KR101021174B1 -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21174B1 KR101021174B1 KR1020080083372A KR20080083372A KR101021174B1 KR 101021174 B1 KR101021174 B1 KR 101021174B1 KR 1020080083372 A KR1020080083372 A KR 1020080083372A KR 20080083372 A KR20080083372 A KR 20080083372A KR 101021174 B1 KR101021174 B1 KR 101021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cell
- dye
- sensitized solar
- thin film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ersulph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FCARXCZXQIEQB-UHFFFAOYSA-N 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AFCARXCZXQIE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8347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5191 Ga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73 Polyethyleni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15 cel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KQOBOMRSSHSTC-UHFFFAOYSA-N cellulose acetate Chemical compound OC1C(O)C(O)C(CO)OC1OC1C(CO)OC(O)C(O)C1O.CC(=O)OCC1OC(OC(C)=O)C(OC(C)=O)C(OC(C)=O)C1OC1C(OC(C)=O)C(OC(C)=O)C(OC(C)=O)C(COC(C)=O)O1.CCC(=O)OCC1OC(OC(=O)CC)C(OC(=O)CC)C(OC(=O)CC)C1OC1C(OC(=O)CC)C(OC(=O)CC)C(OC(=O)CC)C(COC(=O)CC)O1 HKQOBOMRSSHST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2 nano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0 precious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SBSFAARYOCBHB-UHFFFAOYSA-N tetrapropylammonium Chemical compound CCC[N+](CCC)(CCC)CCC OSBSFAARYOCB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LJSQTXMGCGYMG-UHFFFAOYSA-N tri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C(=O)CC(O)=O ILJSQTXMGCGY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oxide Inorganic materials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81—Serial interconnection of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77—Sealing arrangements, e.g.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제 1 전극이 연결설치된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되는 타측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되도록 제 2 전극이 연결설치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충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구조의 단위 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셀은 각각 분리된 병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위 셀 각각이 독립적으로 전류를 생성시켜, 외부 회로로 보내므로, 단위 셀 하나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나머지 단위 셀의 전류 생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외부 회로로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구동 안정성이 확보되며, 특히 외부 충격으로 단위 셀 일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나머지 단위 셀에 의한 전류생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가혹한 외부 환경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 나아가 금속 그리드의 사용을 최소화시키므로 태양 전지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금속 그리드와 전해액의 접촉에 따른 부식 등의 문제 또한 상당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 단위셀의 기능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전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공정 안정성이 우수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또한 보다 긴 사용수명을 갖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1971년 스위스 연방 기술원(EPFL) 화학과의 마이클 그랏젤 교수가 개발한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는 값싼 유기 염료와 나노 기술을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고도의 에너지 효율을 갖도록 개발된 태양 전지로서,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전극이 투명하여 건물 외벽 유리창이나 유리 온실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광전변환 효율이 낮아 실제 적용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분자가 흡착된 나노 결정 산화물 필름이 코팅된 투명성의 전도성 전극과, 금속성 물질이 코팅된 전극 및 산화-환원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해질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염료분자가 흡착되는 나노 결정 산화물 로서 TiO2를 주로 사용하는데, 상기 TiO2 박막은 나노 크기의 다공성 물질로 염료 분자가 흡착될 수 있는 결합 부위를 제공하고, 또한 염료 분자로부터 생성된 여기 전자를 전극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태양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제 1 전극(6)이 연결설치된 제 1 기판(2); 상기 제 1 기판(2)에 대향되는 타측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 1 전극(2)에 대향되도록 제 2 전극(8)이 연결설치된 제 2 기판(4) 및 상기 제 1 기판(2) 및 제 2 기판(4) 사이에 충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셀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전술한 단위 염료감응 태양전지 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셀은 금속 그리드(10)를 통해 서로 직렬 연결된다.
도 2는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도성 전극 및 제 1 산화물 박막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 종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각 단위 태양전지(즉, 단위 셀)는 그리드(10)를 통하여 X축 방향으로 상호 직렬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직렬로 이동하는 전류는 하나의 단자를 통하여 외부 회로와 연결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직렬 연결된 구조의 태양전지는 하나의 단위 셀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타 단위 셀로부터 발생하는 전자를 또 다른 단위 셀로 전달하 지 못하는 경우 모듈 전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성인 액체 전해질은 장기산 그리드 측면에 형성된 밀봉 격벽(14)으로 인하여, 은과 같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를 부식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듈 전체의 오작동, 또는 효율 저하 등으로 이어진다. 더 나아가, 은과 같은 귀금속을 사용하는 그리드는 결국 태양전지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므로 차세대 에너지 공급 수단인 태양전지의 활용성을 크게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부 단위셀의 기능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전류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공정 안정성이 우수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또한 보다 긴 사용수명을 갖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전극이 연결설치된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되는 타측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되도록 제 2 전극이 연결설치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구조의 단위 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셀은 각각 분리된 병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단위 셀의 분리는 상기 단위 셀 간에 구비된 격벽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단위 셀에서 발생한 전류는 상기 단위 셀의 단부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외부 회로로 흐르며, 상기 단위 셀에서 발생한 전류는 상기 단위 셀의 단부와 연결된 금속선을 통하여 외부 회로로 흐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적층된 제 1 산화물 박막; 및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 상에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단위 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구조의 제 2 산화물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도는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의 입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경은 50nm 이하이며,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의 입경은 50n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단위 셀 각각이 독립적으로 전류를 생성시켜, 외부 회로로 보내므로, 단위 셀 하나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나머지 단위 셀의 전류 생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외부 회로로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구동 안정성이 확보되며, 특히 외부 충격으로 단위 셀 일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나머지 단위 셀에 의한 전류생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가혹한 외부 환경에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 나아가 금속 그리드의 사용을 최소화시키므로 태양 전지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금속 그리드와 전해액의 접촉에 따른 부식 등의 문제 또한 상당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하기의 도면 및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태양전지의 구성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등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금속 그리드에 의하 여 각 단위 셀(300)이 연결되지 않고, 격벽(310)에 의하여 분리된 형태를 갖는다. 즉, 각 단위 셀(300)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각 단위 셀로부터 발생한 전류를 각각의 단위 셀(300) 단부로부터 외부 회로로 흐르게 된다(화살표 참조).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격벽(310)은 단위 셀의 충진된 전해질이 인접한 단위 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여기에서 특히 주목하여야 하는 점은 상기 격벽으로 전해액이 새어나오는 경우 상기 전해액은 인접한 단위 셀의 전해액과 합쳐질 뿐 전체 모듈 기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점이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격벽(310)으로 전해질이 새어나가는 경우 새어나온 상기 전해질은 금속 그리드를 부식시켜, 직렬 구조의 모듈 전체에 영향을 끼쳤으나,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문제가 결코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 감응 태양전지는 금속 그리드를 포함하지 않으며, 단위 셀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격벽(15')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15')은 단위 셀을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하기 위하여 전도성 전극(22)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금속 그리드에 해당되는 영역만큼 단위 셀의 유효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금속 그리드 양측에 격벽을 구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유효면적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따르며, 상기 단위 셀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는 각 단위 셀의 양단부를 통하여 외부 회로로 인가되는데, 상기 전류의 외부 회로로의 인가는 다양한 구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도성 부재로서 하나의 금속선을 사용하여, 병렬 구조의 단위 셀로부터 발생한 전류를 하나의 금속선을 통하여 외부 회로로 인가시키게 된다. 하지만, 사용하는 구동 전류 및 전압에 따라 단위 셀을 외부 소자에 각각 분배할 수 있으며, 이는 병렬 구조의 본 발명이 갖는 또 다른 우수한 효과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제 1 전극이 구비된 제 1 기판 및 제 2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제 2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빛, 특정적으로 태양광이 투과하는 동시에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외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기판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l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lene 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non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재 또는 유리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일 측 표면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제공된 가시광선을 염료가 흡수하며 여기된 전자가 이동하는 경로로서 전도성 물 질, 예를 들면 ITO, FTO, ZnO-(Ga2O3 또는 Al2O3), SnO2-Sb2O3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22)이 더 코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기판(2)의 표면 일측, 특정적으로 전도성 필름(2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음극(-)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나노 다공질막의 형태로 존재하는 TiO2, ZnO, SnO2 등과 같은 넓은 밴드갭을 가진 n형 산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좋고, 이 표면에 단분자 층의 염료가 흡착됨으로써 태양광이 입사되면, 염료속의 페르미 에너지 부근의 전자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가 채워지지 않은 상위 준위로 여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기판의 표면 일측, 특정적으로 전도성 필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전해질 속에 있는 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여 표면에서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해질 속의 이온에 전자를 제공하는 상대전극인 양극(+)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극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 나노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분말, 전도성 고분자 및 백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은 제 1 전극이 구비된 제 1 기판 및 제 2 전극이 구비된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어 산화-환원반응에 의하여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전해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아세토나이 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이러한 전해액이 금속과 접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을 부식시키는 반응을 일으키므로, 종래의 태양전지에서는 이를 보호하고자 전자의 연결 통로인 그리드를 보호하여야 했다. 하지만,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전해액이 일부 침투하여 그리드와 접촉하는 경우, 그리드의 부식이 진행되어 직렬 구조의 태양전지 모듈 자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해액이 격벽을 투과하여 누액되는 경우라하더라도 전체 모듈의 성능에는 미미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단위 셀 내에서 발생한 전류를 특정 방향, 특히 단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나노산화물 층의 구성을 변경하였는데, 이하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전극 상에 적층되어 염료가 흡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나노 산화물을 갖는다. 본 발명자는 특히 나노 산화물의 구조를 하부의 제 1 제 1 산화물 박막(210)과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210) 상에 적층된 제 2 제 1 산화물 박막(220)으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제 2 제 1 산화물 박막(220)은 빛을 스캐터링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소이므로, 하부의 제 1 제 1 산 화물 박막(210)에 비하여 입자의 직경이 더 크다. 제 1 산화물 박막(210)의 경우 입자의 입경이 커질수록 전극과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염료가 직접 전극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산화물 박막(210)의 입자 크기는 제 2 산화물 박막(220)의 입자 크기에 비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자가 갖는 입경은 50nm 이하,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의 입자가 갖는 입경은 5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자가 50nm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과의 접착력이 약해지게 되며, 또한 제 2 산화물 박막의 입자 크기가 50nm 미만인 경우 흡착되는 염료 분자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수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작은 입도의 제 1 산화물 박막과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자가 갖는 입도 보다 큰 입도의 제 2 산화물 박막인 경우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220)의 입도가 커질수록 제 2 산화물 박막(220)의 투명도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제 2 산화물 박막(220)을 평면으로 넓게 적층시키는 경우, 태양전지의 투명도가 전체적으로 저감되며, 이는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가지는 여러 장점 중 하나인 투명도를 크게 떨어뜨리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 2 산화물 박막(220)을 특정 위치에 국소적으로 배열시키기 때문에, 제 2 산화물 박막(220)이 적층되지 않는 나머지 부위(즉, 조밀한 입자 크기의 제 1 산화물 박막만이 적층된 부위)는 충분한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투명한 제 2 산화물 박막(220)을 이용하여 일정한 패턴의 디자인을 태양전지에 형성할 수도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은 불투명하고, 제 1 산화물 박막은 투명하므로, 상기 두 산화물 박막은 외부에서 명확한 색 대비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된 제 2 산화물 박막 사이로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이 노출되는 경우 불투명한 제 2 산화물 박막는 일정한 형상을 외부에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결과 하트, 상호명 등과 같은 무늬 또는 글자를 상기 불투명한 제 2 산화물 박막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단위 셀의 상기 구성을 병렬 구조의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하는 경우 전류 흐름의 방향을 보다 단위 셀 단부 쪽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단위 셀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나노 산화물의 제 2 산화물은 단부 쪽으로 연장되는 구조의, 일정 너비를 갖는 선형 구조이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흡착되는 염료를 단위 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열시키므로, 특히 생성된 전자가 임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충돌, 재조합되어 소멸하는 대신, 단부 방향으로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그 결과 단부로부터 외부 회로로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은 크게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
1
ITO 또는 SnO2:F가 코팅된 유리기판을 알코올을 이용하여 세척한 다음(초음 파 세정기 사용) 상기 유리기판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제를 이용, 2차 세척하였다. 이후 TiO2 박막을 약 5~15㎛의 두께로 TiO2 페이스트(20nm 입경)를 코팅한 다음 약 450~500℃로 소성하여 제 1 TiO2 박막을 적층하였다. 다시 상기 제 1 TiO2 박막 상에 TiO2 페이스트(300nm 입경)를 상기 단위 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세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구성(도 5 참조)으로 코팅하여 다시 500℃로 소성하여 N719 염료에 12시간 이상 침지시킴으로써 코팅된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완성하였다. 대향 전극(양극)은 전도성 유리기판 예를 들면 ITO 또는 SnO2:F가 코팅되어 있는 투명한 전도성 유리 기판 위에 백금층이 코팅되게 하였다. 이후 전도성 기판들을 에칭 공정으로 식각한 후 상기 에칭된 부위에 격벽 필름을 페이스트 형태로 적층시킨 후 양 전극을 결합시킴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호 이격된 구조 대신 제 1 TiO2 박막 상에 제 2 TiO2 박막이 평면으로 균일하게 증착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에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1, 1-2 및 비교예 1의 태양전지에 대하여 전압 및 전류를 측 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압 | 전류 | |
비교예 | 5.3 | 55 |
실시예 1-1 | 5.6 | 57 |
실시예 1-2 | 6.1 | 70 |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제 2 TiO2 박막이 상호 이격된 복수의 선형 구조인 경우(실시예 1-1, 1-2), 제 2 TiO2 박막이 평면 구조를 이루고 있는 비교예의 태양전지에 비하여 개선된 전류 및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극의길이 방향과 평행한 구조인 가로 방향(실시예 1-2)인 경우 전압 및 전류 개선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보다 긴 선형 구조를 갖는 실시예 1-2의 태양전지가 제 2 TiO2 박막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흡착되는 염료의 양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생성된 전류의 흐름을 일정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유도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단위 셀의 병렬 구성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단위 셀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를 효과적으로 단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전류를 독립적으로 외부회로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효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태양전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도성 전극 및 제 1 산화물 박막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단위 셀에 대한 사시도이다.
Claims (7)
- 제 1 전극이 연결설치된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되는 타측에 연결설치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되도록 제 2 전극이 연결설치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충진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구조의 단위 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복수의 단위 셀은 각각 분리된 병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로서,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적층된 제 1 산화물 박막; 및 상기 제 1 산화물 박막 상에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며, 상기 단위 셀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 구조를 갖는 제 2 산화물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위 셀의 분리는 상기 단위 셀 간에 구비된 격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위 셀에서 발생한 전류는 상기 단위 셀의 단부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외부 회로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위 셀에서 발생한 전류는 상기 단위 셀의 단부와 연결된 하나의 금속선을 통하여 외부 회로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도는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의 입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산화물 박막의 입경은 50nm 이하이며, 상기 제 2 산화물 박막의 입경은 50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3372A KR101021174B1 (ko) | 2008-08-26 | 2008-08-26 | 염료감응 태양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3372A KR101021174B1 (ko) | 2008-08-26 | 2008-08-26 | 염료감응 태양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4690A KR20100024690A (ko) | 2010-03-08 |
KR101021174B1 true KR101021174B1 (ko) | 2011-03-15 |
Family
ID=4217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3372A KR101021174B1 (ko) | 2008-08-26 | 2008-08-26 | 염료감응 태양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211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54700A (zh) * | 2011-05-13 | 2011-11-23 | 西安交通大学 | 层叠结构的光侧入式染料敏化太阳能电池组及其制造工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9044B1 (ko) * | 2011-06-16 | 2012-03-16 | 주식회사 티모테크놀로지 | 병렬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4912A (ko) * | 2002-10-17 | 2004-04-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나노입자 산화물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KR20050087903A (ko) * | 2004-02-27 | 2005-09-01 | 한국전기연구원 | 교번 극성의 단위 셀의 배열구조를 갖는 염료감응형태양전지 |
KR20050102854A (ko) * | 2004-04-23 | 2005-10-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JP2007026883A (ja) * | 2005-07-15 | 2007-02-01 | Nippon Paint Co Ltd | 色素増感太陽電池を備えた車載用ガラスの製造方法 |
-
2008
- 2008-08-26 KR KR1020080083372A patent/KR1010211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4912A (ko) * | 2002-10-17 | 2004-04-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나노입자 산화물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KR20050087903A (ko) * | 2004-02-27 | 2005-09-01 | 한국전기연구원 | 교번 극성의 단위 셀의 배열구조를 갖는 염료감응형태양전지 |
KR20050102854A (ko) * | 2004-04-23 | 2005-10-2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JP2007026883A (ja) * | 2005-07-15 | 2007-02-01 | Nippon Paint Co Ltd | 色素増感太陽電池を備えた車載用ガラスの製造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54700A (zh) * | 2011-05-13 | 2011-11-23 | 西安交通大学 | 层叠结构的光侧入式染料敏化太阳能电池组及其制造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4690A (ko) | 2010-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9352B2 (en) |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conductive fiber electrode | |
US20080115824A1 (en) |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having vertically stacked ce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05310787A (ja) | 染料感応太陽電池のモジュール | |
US20070119499A1 (en) | Solar cell | |
KR20080067586A (ko) | 분리막을 구비하고 있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JP2009021122A (ja) | 光電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03168367A (zh) | 具备光散射层的染料敏化太阳能电池模组及其制造方法 | |
KR101021174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1050471B1 (ko) | 광전 변환 모듈 | |
US9589736B2 (en) | Dye-sensitized solar cell element | |
KR100987528B1 (ko)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KR100993847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38689B1 (ko) | 금속 기판을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반도체 전극 형성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 |
US20110114166A1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 |
KR101015550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 |
KR101071699B1 (ko)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KR20100117459A (ko) | 복수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0984080B1 (ko) | 대면적이 가능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KR101070452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 |
US10580586B2 (en) |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 |
JP6598710B2 (ja) | 入力装置 | |
KR20090006907A (ko) | 이중구조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1161515B1 (ko) | 전도성 구립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
US20130104955A1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 |
KR101034217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