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434B1 -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er tan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er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1434B1 KR101011434B1 KR1020080105713A KR20080105713A KR101011434B1 KR 101011434 B1 KR101011434 B1 KR 101011434B1 KR 1020080105713 A KR1020080105713 A KR 1020080105713A KR 20080105713 A KR20080105713 A KR 20080105713A KR 101011434 B1 KR101011434 B1 KR 1010114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ion tank
- diffuser
- air
- connecting pipe
- ai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는, 산기관의 분리막유닛에 대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분리막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송풍량 및 복수의 분리막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적은 수의 송풍기로도 다수의 분리막유닛에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air supply apparatus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embrane unit of the diffuser, the air flow rat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membrane units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and the air flow rate and Since the air flow rate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membrane units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iciently supply air to the plurality of membrane units even with a small number of blowers.
침지형분리막여과조, 분리막유닛, 공기공급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membrane unit, air supp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지형분리막여과공정에서 분리막의 세정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the separator in an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일반적으로, 침지형분리막여과공정은 여과조에 분리막을 침지시켜 오폐수를 흡인 여과함으로써 처리수를 생산하는 처리공정으로, 부유물을 분리막을 이용하여 완벽하게 분리시키는 물리적인 공정이다.In general, an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s a process of producing treated water by immersing a separator in a filtration tank to suction and filter waste water, and is a physical process of completely separating suspended solids using a separator.
침지형분리막여과공정의 중요한 운전인자중의 하나는 세정공기의 공급이다. 즉, 분리막여과조의 부유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막표면에 부유물에 의한 오염이 진행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정공기의 공급을 통하여 분리막의 표면을 세정한다.One of the important operating factors of the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s the supply of cleaning air. That i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uspended matter in the membrane filtration tank, contamination by the suspended matter proceeds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urface of the membrane is cleaned through the supply of cleaning air.
세정공기의 공급량이나 공급방식에 따라 분리막의 오염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세정공기의 공급량이 늘어나면 세정효과는 증가하지만, 운전비의 상승문제가 동반된다. 통상의 경우 일정한 양의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과다한 공기량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공기공급에 소요되는 비용이 전체비용의 상 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he fouling rate of the membran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or supply method of the cleaning air. As the supply amount of cleaning air increases, the cleaning effect increases, but the operation cost increases. In general, since a method of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air is used, an excessive amount of air is required, and thus, the cost of supplying air has a problem that accounts for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total cos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분리막유닛 중 각 분리막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조절 및 제어함으로써, 동일한 송풍량 또는 적은 수의 송풍기로도 다수의 분리막유닛에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세정공기의 공급을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air flow rate supplied to each of the membrane unit of the plurality of membrane units, a plurality of membrane units even with the same blower or a small number of blowe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supply device for an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ration tank that can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supplying cleaning air because it can efficiently supply air to the ai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막유닛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여과조 내의 산기관의 높이차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산기관에 적용되는 수압의 차이에 의하여 공기유량의 차이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량의 제어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diffuser in the filtration tank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of air supplied to the membrane unit, thereby causing the difference in air flow by the difference in the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diff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pply device of an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control the air flow r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는 여과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분리막이 설치되는 분리막유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산기관과, 산기관의 분리막유닛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ir supply device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filtration tank disposed in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is installed, the air diffuser and the diffuser is form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embrane unit.
여기에서, 공기공급장치는 공급용 공기를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여과조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유입관과 산기관 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높이조절장치는 연결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산기관의 분리막유닛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ir supply device includes a blower for generating air for supply,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blower, and a connection pipe arrang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to connect the inlet pipe and the diffuser, and height adjustment Th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embrane unit of the diffuser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or.
이를 위하여, 연결관은 제1연결관 및 제1연결관에 삽입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높이조절장치는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을 서로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은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연결관 및 제1연결관에 삽입되고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고, 높이조절장치는 제1연결관 또는 제2연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은 적어도 일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를 구비하고, 높이조절장치는 신축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relative to each other. .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ipe in which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in which a second screw thread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pipe and engag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n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It can be applied in a configuration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tube or the second connecting tube.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member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to stretch or contract the stretchable member.
한편, 산기관은 여과조 내에 복수로 배치된 분리막유닛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며, 유입관은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와 연결되고, 복수의 산기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과 각각 연결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ffus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ranged in each of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unit disposed in a plurality of filtration tank,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blower,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iffusers The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한편, 높이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가 송풍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ontrol device may be to control the blower.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는 각 산기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및 제어함으로써, 동일한 송풍량 또는 적은 수의 송풍기로도 다수의 분리막유닛에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분리막유닛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의 크기 및 운전비의 증가를 방지하여 처리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ir supply apparatus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supply air to a plurality of membrane units by the same blowing amount or a small number of blowers by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each diffuse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treatment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increase in the size and operating c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embrane unit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는 종래의 비하여 충분한 강도의 세정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분리막 주변에 강한 와류를 형성시켜 분리막의 세정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분리막의 오염이 진행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cleaning air of sufficient strength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thereby forming a strong vortex around the membrane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membran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mination of the membrane procee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는, 공급용 공기를 발생시키는 송풍기(10)와, 송풍기(10)와 연결되는 유입관(20)과, 유입관(20)과 연결되고 오폐수가 저장되는 침지형분리막여과조(8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관(30)과, 여과조(8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유닛(90)의 하측에 배치되고 연결관(30)과 연결되어 연결관(30)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41)가 형성되는 산기관(40)과,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50)와, 송풍기(10) 및 높이조절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o 5,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분리막유닛(90)에는 복수의 분리막(미도시)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여과조(80) 내부의 분해유기물 및 부유물과 처리수가 분리막에 의하여 분리된다.The
공기공급장치는 이러한 분리막의 표면에 부착물질을 분리막으로부터 제거하고 여과조(80)에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air supply device serves to remove the adhesion substance from the separation membrane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supply oxygen required to the
처리용량이 큰 오폐수처리장치에서는 여과조(80)의 크기도 이에 대응하여 대형화되며, 여과조(80)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분리막이 장착된 분리막유닛(90)이 여과조(80)의 내부에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리막유닛(9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산기관(40)이 요구된다.I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large treatment capacity, the size of the
산기관(40)이 복수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산기관(4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10)의 개수도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송풍기(10)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증가된 송풍기(10)의 설치면적 및 송풍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차지하는 설치면적이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치가 실질적인 처리용량에 비하여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송풍기(10)를 작동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등, 운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분리막유닛(90)의 개수에 비하여 적은 수의 송풍기(10)를 구비하고, 각 산기관(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 및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분리막유닛(90)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의 크기 및 운전비의 증가를 방지하고, 처리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embrane units (10) are provided in comparison with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membrane units (90),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supplied to each diffuser (10) is adjusted and controlled,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membrane units (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size and operating cost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90) and improving treatment efficiency is propos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0)은 하나의 송풍기(10)와 연결되고 복수의 연결관(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분지되어 복수의 연결관(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0)은 복수의 송풍기(10)와 연결되고 복수의 연결관(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분지되어 복수의 연결관(30)과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높이조절장치(50)는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에 따라 복수의 분리막유닛(90)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40)과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가 조절되면, 분리막유닛(90)에 인접하는 산기관(40)과 분리막유닛(90)으로부터 이격되는 산기관(40) 사이에는 수두차가 발생되는 데, 이와 같은 수두차에 의하여 분리막유닛(90)에 인접하는 산기관(40)에서 배출되는 공기유량은 분리막유닛(90)으로부터 이격되는 산기관(40)에서 배출되는 공기유량에 비하여 크다.Height adjusting
또한, 분리막유닛(90)으로부터 이격되는 산기관(40)의 경우, 그 이격되는 거리가 일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두에 의하여 산기관(40)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높이조절장치(50)를 통하여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를 조절함으로써 산기관(40)으로부터 공기배출을 차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이와 같이, 산기관(40)의 높이(H1), (H2)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 차를 조절하여 복수의 산기관(40)에서 배출되는 공기유량을 각각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In this way, by adjusting the height (H1), (H2)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분리막유닛(90)에 각각 하나의 산기관(40)이 배치된 구성이 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분리막유닛(90)에 두 개 이상의 산기관(40)이 배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와 같은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산기관(40)의 높이차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분리막유닛(90)의 각 위치에 설치된 분리막들에 대한 공기의 공급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산기관(40)의 높이(H1), (H2)의 조절은 수동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으나,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H1), (H2) of the
특히, 제어장치(60)를 구비하여 높이조절장치(50)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분리막유닛(90)에 순위를 정하여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즉, 가장 최근에 공기를 공급한 분리막유닛(90)은 후순위로 공기를 공급하는 등)할 수 있으며, 세정이 크게 요구되는 분리막이 설치된 분리막유닛(90)으로부터 세정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분리막이 설치된 분리막유닛(90)쪽으로 공기의 공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60)에 타이머 기능을 부여하여 일정시간의 간격을 두고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또한, 제어장치(60)를 이용하여 송풍기(1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세정이 필요한 분리막의 수가 많은 경우, 즉, 여과조(80)의 내부로 오염물질의 농도가 큰 오폐수가 유입된 경우에는 송풍기(10)의 송풍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복수의 송풍기(10)가 설치된 경우에는 다수의 송풍기(10)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등 산기관(40)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의 경우에는 송풍기(10)의 용량을 줄이거나 복수의 수의 송풍기(10) 중 적절한 수의 송풍기(10)만 동작을 유지시킨 채 나머지 송풍기(10)의 동작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는,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를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분리막유닛(90)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제어장치(60)를 이용하여 송풍량 및 복수의 분리막유닛(90)으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적은 수의 송풍기(10)로도 다수의 분리막유닛(90)에 효율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immersion type membrane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분리막유닛(90)에 대한 산기관(40)의 높이(H1), (H2)를 조절하는 구성을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제시될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기관(40)의 높이(H1), (H2)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embodiment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heights H1 and H2 of 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30)은 내부에 제1나사산(311)이 형성되는 제1연결관(310)과, 제1연결관(310)에 삽입되며 그 외주에 제1연결관(310)의 제1나사산(311)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321)이 형성되는 제2연결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연결관(310) 또는 제2연결관(320) 중 어느 하나 또는 회전되거나 제1연결관(310) 및 제2연결관(320) 모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제1연결관(310) 또는 제2연결관(32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연결관(30)의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분리막유닛(90)에 대한 산기관(40)의 높이(H1), (H2)도 조절될 수 있다.6 and 7,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높이조절장치(50)는 제1연결관(310)의 외주를 감싸는 벨트(511)와, 벨 트(511)와 연결되는 구동풀리(512)와, 구동풀리(512)와 연결되어 구동풀리(512)를 회전시키는 모터(5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터(513)는 제어장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벨트(511)는 제1연결관(31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1연결관(310)의 외주에는 벨트(511)의 내주에 대응하는 종동풀리(514)가 구비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513)의 동작에 의하여 구동풀리(512)가 회전되면, 구동풀리(512)의 회전력이 벨트(511)를 통하여 제1연결관(310)으로 전달되어 제1연결관(310)이 회전된다. 이와 같은 제1연결관(310)의 제2연결관(320)에 대한 상대회전에 의하여 제1연결관(31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연결관(30)의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연결관(30)과 연결된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가 조절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driving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높이조절장치(50)가 벨트(511), 구동풀리(512) 및 모터(5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터(513)가 제1연결관(310)과 기어 등의 메커니즘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에 연결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 또는 제2연결관(3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 및 제2연결관(320)의 모두에 연결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30)은 제1 연결관(310)과, 제1연결관(3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결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연결관(310)의 내주와 제2연결관(320)의 외주의 사이에는 그 사이의 기밀을 위한 씰링부재(33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높이조절장치(50)는 제1연결관(310)의 외주에 제1연결관(3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기어(521)와, 랙기어(52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22)와, 피니언기어(522)를 회전시키는 모터(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터(523)는 제어장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523)의 동작에 의하여 피니언기어(522)가 회전되면, 피니언기어(522)와 랙기어(521)의 동력전달관계에 의하여, 랙기어(521)가 설치된 제1연결관(310)이 제2연결관(32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연결관(30)의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연결관(30)과 연결된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에 연결된 구성이 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 또는 제2연결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30)은, 제1연결관(310)과, 제1연결관(3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연결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높이조절장치(50)는, 제1연결관(310) 및 제2연결관(320)의 외주와의 사이에 소정 체적의 내부공간(533)을 형성하고 그 일단(534)은 제2연결관(320)의 외주에 부착되며 그 타단(535)은 제1연결관(310)의 외주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530)과, 하우징(530)의 내부에서 제1연결관(3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하우징(530)의 내부공간(533)을 제1공간(531) 및 제2공간(532)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540)와, 하우징(530)의 제1공간(531)과 외부를 연통하는 제1출입구(536)와, 하우징(530)의 제2공간(532)과 외부를 연통하는 제2출입구(5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하우징(530)의 내부공간(531), (532), (533)에는 압력유 또는 공기 등의 유체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체는 제1출입구(536) 및 제2출입구(537)를 통하여 하우징(530)의 내부공간(531), (532), (533)으로 유입되거나 내부공간(531), (532), (533)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The
구획부재(540)와 하우징(530)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제1공간(531)과 제2공간(532) 사이의 기밀을 위한 씰링부재(5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530)의 타단(535)과 제1연결관(310)의 외주의 사이에도 제2공간(532)의 외부로부터의 기밀을 위한 씰링부재(5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etween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어장치(60)의 동작에 의하여, 제1출입구(536)를 통하여 하우징(530)의 제1공간(531)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제2출입구(537)를 통하여 하우징(530)의 제2공간(532)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면, 제1공간(531)과 제2공간(532)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제1연결관(310)이 제2연결관(3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제1공간(531)으로부터 유체가 유출되고 제2공 간(532)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1연결관(310)이 제2연결관(320)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연결관(30)의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연결관(30)과 연결된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fluid flows into the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하우징(530)의 내부공간(533)에 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출입구(536), (537)가 구비된 구성이 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30)의 내부공간(533)에 하나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구획부재(540)와 하우징(530)의 일단(534) 또는 타단(535)과의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부재(542)가 설치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two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30)은, 제1연결관(310)과, 제2연결관(320)과, 제1연결관(310)과 제2연결관(3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신축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신축부재(350)는 제1연결관(310) 및 제2연결관(32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관(30)이 하나의 일체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높이조절장치(50)는 제1연결관(310)의 외주에 제1연결관(3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기어(551)와, 랙기어(55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52)와, 피니언기어(552)를 회전시키는 모터(5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터(553)는 제어장치(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553)의 동작에 의하여 피니언기어(552)가 회 전되면, 피니언기어(552)와 랙기어(551)의 동력전달관계에 의하여, 신축부재(350)가 신장되는 것과 동시에 랙기어(551)가 설치된 제1연결관(310)이 제2연결관(32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연결관(30)의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연결관(30)과 연결된 산기관(40)의 분리막유닛(90)에 대한 높이(H1), (H2)가 조절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연결관(30)의 내부와 외부를 긴밀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losely block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에 연결된 구성이 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높이조절장치(50)가 제1연결관(310) 또는 제2연결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가 적용된 오폐수정화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waste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o which the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개략도이다.4 and 5 are schematic views of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의 제4실시예가 도시된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송풍기 20: 유입관10: blower 20: inlet pipe
30: 연결관 40: 산기관30: connector 40: diffuser
50: 높이조절장치 60: 제어장치50: height adjustment device 60: control device
80: 침지형분리막여과조 90: 분리막유닛80: submerged membrane filtration tank 90: membrane unit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713A KR101011434B1 (en) | 2008-10-28 | 2008-10-28 |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er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713A KR101011434B1 (en) | 2008-10-28 | 2008-10-28 |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er ta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6729A KR20100046729A (en) | 2010-05-07 |
KR101011434B1 true KR101011434B1 (en) | 2011-01-28 |
Family
ID=4227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5713A KR101011434B1 (en) | 2008-10-28 | 2008-10-28 |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er 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143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2396A (en) * | 2000-12-06 | 2002-06-18 | Kureha Techno Enji Kk | Method for reducing ph of raw water in water cleaning facilities and apparatus used therein |
KR200292487Y1 (en) * | 2002-07-08 | 2002-10-25 |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 Flat sheet type membrane module for submerged membrane bio reacto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KR20020092487A (en) * | 2001-06-04 | 2002-12-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lash memory management method |
-
2008
- 2008-10-28 KR KR1020080105713A patent/KR10101143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2396A (en) * | 2000-12-06 | 2002-06-18 | Kureha Techno Enji Kk | Method for reducing ph of raw water in water cleaning facilities and apparatus used therein |
KR20020092487A (en) * | 2001-06-04 | 2002-12-1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Flash memory management method |
KR200292487Y1 (en) * | 2002-07-08 | 2002-10-25 | 주식회사 진우환경기술연구소 | Flat sheet type membrane module for submerged membrane bio reacto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6729A (en) | 2010-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38306B1 (en) | Self-cleaning filtering system | |
KR101538772B1 (en) |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cartridge-type submerged end-fre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aeration apparatus having intermittent/continuous ae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WO2013031425A1 (en) |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and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 |
US20140027360A1 (en) | Filtration apparatus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refor | |
KR101004055B1 (en) | Cleaning device for immerged membrane | |
EP3964274A1 (en) | Filtering apparatus | |
KR101011434B1 (en) | Apparatus for supplying air for cleaning membrane of immersion type separation membrane filter tank | |
KR20120111226A (en)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fil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160101852A (en) | Filtration device, ballast water treatment method, and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said filtration device | |
KR101049242B1 (en) |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diffuser | |
KR100616522B1 (en) | A contact reacting mixer by ozone gas | |
CN114380411B (en) | Industrial wastewater's purification treatment equipment that becomes more meticulous | |
JP5967714B2 (en) | Dehumidifier and air cleaner to which the dehumidifier is applied | |
KR200370318Y1 (en) | Self-Cleaning Filtering System | |
KR102239749B1 (en) | Water injection device used for air purification | |
JPWO2014118926A1 (en) | Ballast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1641888B1 (en) | Filtration devices | |
JP2014217821A (en) | Filter device for drinking water | |
KR20190090460A (en) | Membrane unit for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system | |
JP3583202B2 (en) | Filtration device and filtration operation method | |
CN218665622U (en) | Air flotation device with sewage precipitation function | |
KR101132464B1 (en) |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Blocking of Air Diffuser | |
KR102696319B1 (en) | air purifying apparatus | |
CN116621271B (en) | Ultraviolet treatment device for ship ballast water | |
KR200385291Y1 (en) | A contact reacting mixer by ozone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