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72B1 -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4872B1 KR101014872B1 KR1020080078779A KR20080078779A KR101014872B1 KR 101014872 B1 KR101014872 B1 KR 101014872B1 KR 1020080078779 A KR1020080078779 A KR 1020080078779A KR 20080078779 A KR20080078779 A KR 20080078779A KR 101014872 B1 KR101014872 B1 KR 101014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ctic acid
- acid bacteria
- food poisoning
- fermented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title 2
- 208000028774 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title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1000186612 Lactobacillus sake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072205 lactobacillus plantarum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1929 Lactobacillus brev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192130 Leuconostoc mesenteroi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957 Lactobacillus brev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1468192 Leuconostoc citre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965142 Leuconostoc kimch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93869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607762 Shigella flexner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6872 mrs medi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01465 Leuconostoc gelidum subsp. gasicomit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2129 Leuconostoc lact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633 brot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HMUNWXXNJPVALC-UHFFFAOYSA-N 1-[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2-(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N1CC2=C(CC1)NN=N2)=O HMUNWXXNJPVA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41 probio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291 probiotic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000 Bifid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046 Lactobacillus acidophi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56 Lactobacillus acidophi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40 Staphyl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20 Streptococcus thermophi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036 growth inhib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90 intestinal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CJWQYWQDLBZGPD-UHFFFAOYSA-N isoflavone Natural products C1=C(OC)C(OC)=CC(OC)=C1C1=COC2=C(C=CC(C)(C)O3)C3=C(OC)C=C2C1=O CJWQYWQDLBZG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15 isoflavo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9695 lactobacillus acidophilus Drug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916 nutrient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H adjust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29 probi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YHQOLUKZRVURQ-NTGFUMLPSA-N (9Z,12Z)-9,10,12,13-tetratritiooctadeca-9,12-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3H])\[3H])\[3H])\[3H])(=O)O OYHQOLUKZRVURQ-NTGFUMLP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2877 Bacterioc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31482 Bifidobacterium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9885 Lactobacillus bulgar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60 Lactobacillus bulgari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9866 Lactobacillus cas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58 Lactobacillus case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10 Lactobacill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4136 Pediococc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4851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80685 Sporolactobacill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22 Streptococc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98 dragé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3 enhan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109 genis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TZBJGXHYKVUXJN-UHFFFAOYSA-N genistein Natural products C1=CC(O)=CC=C1C1=COC2=CC(O)=CC(O)=C2C1=O TZBJGXHYKVUX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9 genis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COLJUOHXJRHDI-CMWLGVBASA-N genistein 7-O-beta-D-gluc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O)=C2C(=O)C(C=3C=CC(O)=CC=3)=COC2=C1 ZCOLJUOHXJRHDI-CMWLGVBA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65 immun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04208 lactobacillus bulgaric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7800 lactobacillus casei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97 liquid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8 plant-derived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8 sauerkra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9 solid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941 soy pro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92 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은 단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에 비해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해 항균 효과가 뛰어나고, 또한 기존에 발효 배지로 사용되는 MRS 배지 등 고가의 배지를 대체하여 선택된 콩물에서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식중독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김치유산균, 콩 발효물, 식중독균
Description
본 발명은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콩을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하여 만든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혐기적으로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한다. 유산균이 발견되는 자연환경은 다양한데, 사람이나 동물의 장내에 존재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소와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요구르트, 우리나라의 김치나 독일의 사우어크라우트(sauerkraut)와 같은 발효식품에서 그 발효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산균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포로락토바실러스 속(Sporolactobacilus sp.),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등이 있다. 이들 유산균은 장내로 유입된 후 장내 상피세포에 착생하게 되어 유해 미생물의 장 정착을 방지하고 항균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면역활성 증진, 항암 작용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이 장내에 유입되어 자체적인 대사활동을 통해 분비하는 물질은 숙주에 많은 이로움을 주기 때문에 유산균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치유산균 중에 항균 활성을 보이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등이 보고 되었다.
콩은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된다.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콩의 단백질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 있고, 다른 식물성 단백질에서 부족 되기 쉬운 라이신(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콩의 지방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레산으로 혈중의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콩에는 이소플라본(isoflavone)의 일종인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등의 영양소가 있는데 이 물질들은 인체에 섭취되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당이 떨어져 나간 뒤에 소장에서 흡수된다. 흡수된 이소플라본 등은 특수한 생리작용을 하는데 항암효과 및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어 각종 만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식중독 균의 감염 시 항생제에 의한 치료가 주가 되지만 항생제 남용으로 각종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바이오틱(probiotics)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이용하여 유익한 세균총의 장내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중요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획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주로 보고된 프로바이오틱 균주들로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등이 있으나, 상기 균주들의 단독 배양에 의한 박테리오신 등의 배양산물에 의한 항균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으며, 이들의 대량생산에 대한 방안에 대해 연구가 미진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김치유산균 복합균주로 콩을 발효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 콩 성분의 분해가 촉진되어 인체에 유익한 유산균 대사산물을 대량 함유한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발효물이 종래 단일 유산균으로 생산된 발효물에 비해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효과를 보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효과를 갖는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이용하여 식중독 균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 상기 복합 김치유산균(kimchi lactic acid bacteria)은 콩물을 발효하고,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해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을 생성하여 분비하는 어떠한 복합 김치 유산균도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을 포함하는 복합균주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들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균주인 것이 좋다. 상기 균주 이외에도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론굼(Bifidobacterium longum), 스트렙토코커스 써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를 더 포함하여 복합균주를 배양하는 경우 콩물의 발효를 촉진시켜 인체에 유익한 대사산물을 다량 생성하고 배출시킬 수 있으며,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한 항균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콩물은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두유를 의미하며, 김치유산균의 접종 시 잡균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해 100℃ 이상에서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복합균주를 사용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은 유산균의 종류마다 그 발효 메커니즘이 상이하여 상호 보완을 통해 풍부한 발효산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발효 메커니즘의 상이함의 예를 들면 같은 부류의 유산균이라 하더라도 포도당을 이용하여 생육할 때에 젖산(Lactic acid)을 주로 생성하는 스트렙토코커스 김치 유산균이 있는가 하면 젖산과 더불어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류코노스톡 김치 유산균이 있고, 젖산과 초산을 생성하는 비피도박테리움과 같은 유산균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김치에서 채취한 수십 가지의 김치 유산균 중에서 콩물에서 배양할 때 생육이 촉진되고, 대사산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많은 양의 유기 물질을 생성하는 김치 유산균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혼합 배양하였을 때 상호 보완적으로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김치 유산균의 조합을 발견하고 본 발명 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콩 발효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김치유산균 복합균주로 콩을 발효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단일한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것보다 복합유산균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효되는 콩의 성분이 분해되는 정도가 높아지고 유산균 대사산물도 더 많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비타민 C의 경우를 들어보면 한 가지 유산균을 사용하여 콩을 발효한 경우엔 10mg/100ml 이하로 만들어지지만 복합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하면 30mg/100ml 이상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 상기 콩 발효물은 콩물(두유)에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20 ~ 40℃에서 10내지 30시간 발효된 것이 김치유산균의 생장이 증가하고, 많은 발효 대사산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5℃에서 20내지 30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에서 24시간 발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 상기 식중독의 예방 및 치료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어떠한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쉬젤라 플렉네리(Shigella flexneri),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작용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이 그 자체적으로 식중독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갖고 있 으므로 식중독균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 될 수 있고, 식중독균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천연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다른 기능성 식품에 첨가하거나 이러한 천연물들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형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건강 기능식품, 건강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80 중량% 혼합하여 식중독균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음료, 환제, 정제 또는 상기 성분을 건조 분말화하여 충진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중독균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첨가 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코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다이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헤바우디오시드 A, 글리 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코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식중독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 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7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에는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g의 비율로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 주스이거나, 산성음료수를 포함하는 음료류, 쿠키, 사탕, 카라멜, 껌 등과 같은 제과류, 제빵류, 아 이스크림 제품류, 다류,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류식품, 유가공식품, 양념류, 주류, 통조림 또는 병조림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미생물발효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육가공류, 감초류, 또는 허브류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식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 에멀젼, 현탁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되어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슈크로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 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클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중독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 대비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은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우수한 식중독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1-10g/kg 범위 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균(복합
김치유산균
) 배양
배지를 가열 멸균하고 김치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각각 접종하여 종균을 배양한다. 이때 배지의 가열 멸균은 121℃에서 15분 이상 하는 것이 좋고, 김치유산균 접종량은 1× 104 cfu/ml 이상이 되게 하고 배양온도는 20~40℃, 배양시간은 10~30시간, 배지는 MRS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양은 정치 배양한다.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콩물을 100℃에서 1~2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20~40℃로 식힌 다음 여기에 상기 종균 배양단계에서 제조된 8가지의 종균에서 수와 종류를 선택하여 동일한 양으로 혼합된 복합 김치유산균을 2~4%(v/v)되게 접종한 다음 20~40℃에서 10~30시간 발효한다. 이때, 10시간 미만을 발효하면 발효대사산물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으며 30시간을 초과하여 발효하면 도리어 대사산물의 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술한 발효 시간 범위 내에서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발효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발효가 끝난 콩 발효물은 65 ~ 75℃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콩 발효물로 식중독균에 대해 억제 활성실험을 수행하였고, 본 발명의 상기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인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쉬젤라 플렉네리(Shigella flexneri),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김치유산균
종균 배양
MRS 배지를 121℃에서 20분간 멸균하고, 식물성 김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를 각각 5× 104 cfu/ml 되게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여 8종의 종균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단일 김치 유산균 발효에 의한 콩 발효물의 제조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콩물을 10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30℃로 식혔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8종의 종균을 각각 콩물에 3%(v/v)되게 접종하였다. 접종 후에 30℃에서 24시간 발효하여 단일 김치유산균 발효된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단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여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 활성 비교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복합 유산균 발효에 의한 콩
발효물의
제조
3-1. 2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물에 불린 콩을 갈아서 만든 콩물을 100℃에서 1시간 가열하여 멸균하고 30℃로 식혔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종균 중에서 선택된 2종[각각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류코노스톡 김치아이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 류코노스톡 시트레움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와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그리고 류코노스톡 김치아이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의 조합]의 종균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복합 김치유산균을 제조하고 콩물에 3%(v/v)되게 접종하였다. 접종 후에 30℃에서 24시간 발효하여 5종의 김치유산균 발효된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여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2. 3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8종의 복합 김치 유산균 중에서 선택된 3종의 김치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및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류코노스톡 시트레움,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접종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3. 5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8종의 복합 김치 유산균 중에서 선택된 5종의 김치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접종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4. 8종의 복합 유산균 발효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8종의 복합 김치 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을 동일한 양으로 혼합하여 접종한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3-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콩이 아닌 배지에서의 복합 유산균 발효액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발효하되 콩물이 아닌 MRS 배지를 사용하였고 단일 김치유산균이 아닌 상기 실시예 1의 8종의 복합 김치유산균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복합 유산균 발효액을 70℃에서 10분간 저온 살균하여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 활성 비교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2 ~ 4의 실험 조건을 표 1에 요약하였다.
[표 1]. 접종된 김치 유산균의 조합
실시예
5.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활성 실험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에 의한 식중독균의 생장억제실험은 구로이와 등의 문헌(Kuroiwa et al.,감염증학지,64,257,1990)을 변형하여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 후 나타난 억제환의 직경을 측정하여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능력을 비교하였다. 항균력 평가 시 사용된 미생물은 한국생명공학연구소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E.coli(KCTC 2441), Staphylococcus aureus(KCTC 1621), Shigella flexneri(KCTC 2008), Salmonella typhimurium(KCTC 2514)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식중독균을 NB(nutrient broth)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37℃,18시간)후 배양액 0.1ml을 취하여 NA(nutrient agar) 고체 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된 배지를 건조시킨 다음 지름 8 mm의 페이퍼 디스크를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식중독 예방조성물을 페이퍼 디스크 위에 각각 30㎕를 접종하고, 배양(37℃, 24시간)하였다. 일정시간의 배양이 끝난 다음 형성된 생육 억제환(clear zone)의 지름을 측정하여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식중독균의 억제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유산균 복합 발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조구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단일 김치유산균 발효 콩 발효물을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 실험으로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일반적인 유산균 배지인 MRS배지에서 복합 발효한 것도 평가하였다.
[표 2]. 항균력 평가
그 결과 단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발효물에 비해 본 발명의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이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 ~ 3 종의 김치유산균을 복합발효하여 생성된 콩 발효물에 비하여 5종 및 8종의 복합균주로 발효한 콩 발효물 식중독균에 항균효과가 월등히 높았다. 그리고, 일반적인 유산균 배지에 복합 발효한 것보다도 김치유산균 복합발효 콩 발효물의 항균력이 높아 콩물을 배지로 사용하여 김치유산균을 접종하여 생성된 콩 발효물에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는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은 단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된 콩 발효물에 비해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에 대해 항균 효과가 뛰어나고, 또한 기존에 발효 배지로 사용되는 MRS 배지 등 고가의 배지를 대체하여 선택된 콩물에서 용이하게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식중독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김치 유산균의 복합균주로 발효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유산균의 복합균주는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김치유산균을 더 포함하는 복합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중독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0 ~ 40℃에서 10내지 30시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중독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중독의 예방 및 치료는 대장균(E. coli),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쉬젤라 플렉네리(Shigella flexneri), 및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중독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중독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제1항에 따른 조성물과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식중독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779A KR101014872B1 (ko) | 2008-08-12 | 2008-08-12 |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779A KR101014872B1 (ko) | 2008-08-12 | 2008-08-12 |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123A KR20100020123A (ko) | 2010-02-22 |
KR101014872B1 true KR101014872B1 (ko) | 2011-02-15 |
Family
ID=4209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779A KR101014872B1 (ko) | 2008-08-12 | 2008-08-12 |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48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61495B2 (en) | 2009-11-17 | 2015-10-20 | Jejuhongamga |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
KR101297628B1 (ko) | 2009-11-17 | 2013-08-19 | 농업회사법인 제주홍암가 주식회사 |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
KR102509499B1 (ko) * | 2022-02-07 | 2023-03-16 | (주) 아머드프레시 | 식물성 유산균 발효 아몬드 밀크의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25193A (ja) * | 2002-05-10 | 2003-11-18 | Kirin Brewery Co Ltd | 抗菌活性物質の製造方法 |
-
2008
- 2008-08-12 KR KR1020080078779A patent/KR1010148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25193A (ja) * | 2002-05-10 | 2003-11-18 | Kirin Brewery Co Ltd | 抗菌活性物質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123A (ko) | 2010-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80219B2 (en) | Bacillus amyloliquefaciens K317 for suppressing the growth of antibiotics-resistant pathogenic microorganism or enteropathogenic microorganism | |
JP6183794B2 (ja) | 粉末米麹抽出組成物 | |
KR101915463B1 (ko)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또는 조성물 | |
KR100998575B1 (ko) |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요구르트(쏘이프로)와 식물추출발효액(면역유산효소)을 함유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 |
KR102344838B1 (ko) | 항균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yg1102 균주 및 이의 용도 | |
KR101806720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 |
JP6651202B1 (ja) | ストレプトコッカス・サリバリウス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 |
KR20190002036A (ko) |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 |
KR101014872B1 (ko) |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JP2022100407A (ja) | エクオールおよび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有する経口組成物 | |
KR20170120264A (ko) |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밤 발효 퓨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 |
KR102313770B1 (ko) |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 |
KR100864006B1 (ko) |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 |
KR102139732B1 (ko) |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 |
KR102394733B1 (ko) |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 |
KR100630337B1 (ko) | 손바닥 선인장 열매 발효분말 및 발효유의 제조방법 | |
KR20100076540A (ko) |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 |
KR100865075B1 (ko) |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 |
KR20180040906A (ko) | 질염 예방 및 치료용 폴리감마글루탐산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101776511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향나무 열매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 |
JP6921350B1 (ja) | ヤエザクラの花から分離した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及びその利用 | |
KR20200081721A (ko) |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룸 g72 균주를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00065546A (ko) | 와이셀라 시바리아 jw15 균주를 포함하는 세균성 장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JP2020061978A (ja) |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シウムに属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利用 | |
KR102427965B1 (ko) | 복합 유산균 발효 식품 개발을 위한 복합 유산균 선발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