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2419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419B1
KR100992419B1 KR1020070068845A KR20070068845A KR100992419B1 KR 100992419 B1 KR100992419 B1 KR 100992419B1 KR 1020070068845 A KR1020070068845 A KR 1020070068845A KR 20070068845 A KR20070068845 A KR 20070068845A KR 100992419 B1 KR100992419 B1 KR 10099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ctivation state
communication
terminal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649A (ko
Inventor
권일원
김영수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419B1/ko
Priority to US12/169,403 priority patent/US8041297B2/en
Publication of KR2009000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상태 천이 방법에 있어서,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단말의 상태를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활성화상태,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단말의 상태를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P2P 활성화상태, 그리고 P2P 통신을 위해 상대 단말이 전송하는 비이콘(beac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P2P 사전 활성화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P2P 접속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P2P 활성화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P2P 활성화상태에서 P2P 종료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단말이 수면모드나,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 있을 경우에도 P2P 통신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P2P 연결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유휴상태, P2P(Peer to Peer), P2P_pre_active, 천이.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 방법{METHOD FOR SUPPORT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P2P 통신과 이동통신 시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단일 RF Module), 단말의 비활성화 모드에 P2P_pre_active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단말이 수면모드(sleep mode)나, 비활성화 모드(idle mode)에 있을 경우에도 P2P 통신을 요청할 경우에 즉시 P2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종래에는 단말은 일반적인 피어-투-피어(Peer-to-Peer: 이하 "P2P"라 칭함) 통신을 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에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이 아닌 별도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별도의 RF 송수신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이 P2P 통신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P2P 통신과 이동통신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효율적인 자원 운용 방안을 사용하여 간섭문제를 해결한다면 각 전송 대역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더 향상된 대역폭 효율 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윈너 시스템(WINNER SYSTEM)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의 천이상태는 제 1 활성화상태(제 1 active state)(100), 비활성화 상태(inactive state)(102), P2P 활성화 상태(P2P active state)(108)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활성화상태(100)는 단말이 다른 단말과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하고 있는 상태이고, 비활성화 상태(102)는 단말이 통신을 하지 않고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P2P 활성화상태(108)는 단말이 다른 단말 직접 P2P 통신하는 상태이다.
일반적인 상기 제 1 활성화상태(100)의 단말은 일정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연결요청이 없으면,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비활성화 상태(102)로 천이 되어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동통신이 종료(104)되면 상기 비활성화 상태(102)로 천이 된다.
상기 비활성화 상태(102)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짧은 교신을 한 뒤 정해지 시간이 지나면 수신 중지상태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비활성화 상태(1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연결요청(106)이 있으면 상기 제 1 활성화상태(100)로 천이된다.
하지만, P2P 통신과 이동통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P2P 통신은 이동통신과 별도 독립 모드로 운영되기 때문에, 상기 비활성화 상태(102)에서 P2P 통신을 원하는 단말이 접속요청을 해 올 경우에는 단말은 P2P 접속 요청 메시지를 처리하지 못한다. 따라서, P2P 통신을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P2P 활성화 상태(110)로 천이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신속한 P2P 접속이 이루어 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P2P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왔기 때문에, 별도의 RF 모듈이 필요했으며, 접속방법 또한 이동통신과는 별도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 및 운영되어왔다. 또한, P2P 통신과 이동통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RF 모듈도 단일 모듈을 사용하게 되지만, 이로 인해 P2P를 별도의 독립 모드로 운영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 단말은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서 기지국 하고만, 특정 구간 동안에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P2P 통신을 위한 주변 단말들이 보내는 P2P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은 처리를 할 수 없어서 P2P 통신 접속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2P 통신과 이동통신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 우에, 단일 RF 모듈을 사용해서 P2P를 별도의 독립 모드로 운영할 수 없는 상황에, P2P 통신을 요청할 경우에 자동으로 P2P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해서, 신속하게 P2P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상태 천이 방법에 있어서,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단말의 상태를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활성화상태,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단말의 상태를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P2P 활성화상태, 그리고 P2P 통신을 위해 상대 단말이 전송하는 비이콘(beac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P2P 사전 활성화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P2P 접속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P2P 활성화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P2P 활성화상태에서 P2P 종료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비활성화(inactive 혹은 idle) 모드에 "P2P_pre_active mode"를 적용함으로써 단말이 수면모드나, 비활성화(inactive) 모드에 있을 경우에도 P2P 통신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P2P 연결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P2P 모드로 변경을 해줄 필요 없이 자동으로 기지국과 단말이 P2P 접속을 실행해 줄 수 있다. 또한, 주변 단말에서 전송하는 P2P 요청신호를 항상 감시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단말의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면서 기지국과 단말이 자동으로 신속한 P2P 통신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P2P 통신과 이동통신 시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단일 RF Module), 단말의 비활성화 모드(inactive)에 P2P 사전 활성화(P2P_pre_active)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단말이 수면모드(sleep mode)나,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경우에도 P2P 통신을 요청할 경우에 P2P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단말의 상태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P2P 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동작 상태는 P2P 활성화상태(P2P_Active)(200), P2P 사전 활성화상태(P2P_pre_active)(210)로 구성된다.
상기 P2P 활성화상태(200)는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201),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call)가 열려 있는 P2P-sleep 상태(202)로 구분된다. 상기 RxTx 상태(201)는 역방향 혹은 순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아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단말이 속하는 매체접근제어 동작 상태로 정의된다. 상기 P2P-sleep 상태(202)는 현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발생 확률이 높거나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레벨이 높아 원하는 경우 비경쟁(contentionless) 모드로 신속히 상기 P2P 활성화상태(200)로 천이할 수 있도록 전용 제어채널을 할당받은 단말들이 속하는 상태이다. 상기 P2P-sleep 상태(202)의 단말들은 항상 신호채널(signal channel)을 수신하고 있으므로 순방향 데이터 발생시에는 별도의 절차나 지연없이 바로 상기 RxTx 상태(201)로 천이 가능하다.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210)로 천이된 단말은 P2P 통신을 위해 피어(Peer) 단말이 전송하는 비이콘(beacon) 메시지(접속요청 메시지) 수신이 가능해서, P2P 통신을 위한 데이터 채널을 점유하고 있지 않아도 피어 단말이 보내는 접속요청 메시지(beacon)를 바로 수신 가능하고, P2P Rx/Tx(201)로 바로 천이가 가능 하기 때문에 피어 단말의 P2P 연결요청을 신속히 처리 가능하다.
상기 P2P 활성화상태(200)에서 P2P 종료(205)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210)로 천이되고,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210)에서 P2P 연결요청(206)이 일어나면 상기 P2P 활성화상태(200)로 천이된다. 상세한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210)에 대한 설명은 하기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의 매체접근제어 동작 상태는 이동통신 활성화상태(Cellular-active)(300), 유휴상태(idle)(310), P2P 활성화상태(P2P_Active)(3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는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301),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call)가 열려 있는 수면(sleep)상태(302)로 구분된다. 상기 RxTx 상태(301)는 역방향 혹은 순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아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단말이 속하는 매체접근제어 동작 상태로 정의된다.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의 상기 RxTx 상태(301)에서 송수신이 해제(release)되면(303) 상기 수면상태(302)로 천이된다. 반대로, 상기 수면상태(302)에서 송수신하기 위해 다시 액세스가 필요하면(305) 즉 자원할당이 되면 상기 RxTx 상태(301)로 천이된다. 상기 수면상태(302)는 이동통신을 위한 대기모드 상태로써 현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발생 확률이 높 거나 서비스품질 레벨이 높아, 신속히 전용 제어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에서 상기 유휴상태(310)로 천이하는 경우는 먼저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인 단말이 일정기간 통신이 없는 상태이거나, 두 번째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호 종료(call-termination) 되거나,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호 종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는 상태가 되면 상기 유휴상태(310)로 천이(308)된다.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와 유사하게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는 P2P 통신을 위한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321),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call)가 열려 있는 P2P 수면상태(322)로 구분된다. 상기 RxTx 상태(321)는 P2P 통신을 위한 역방향 혹은 순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아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단말이 속하는 매체접근제어 동작 상태로 정의된다.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의 상기 RxTx 상태(321)에서 송수신이 해제(release)되면(323) 상기 P2P 수면상태(322)로 천이된다. 반대로, 상기 P2P 수면상태(322)에서 송수신하기 위해 다시 액세스가 필요하면(305) 상기 RxTx 상태(321)로 천이된다. 상기 P2P 수면상태(322)는 P2P 통신을 위한 대기모드 상태로써 현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발생 확률이 높거나 서비스품질 레벨이 높아, 신속히 전용 제어채널을 할당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에서 상기 비활성화상태(310)로 천이하는 경우는 먼저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인 단말이 일정기간 P2P 통신이 없는 상태이거나, 두 번째 상기 P2P 활성화 상태(320)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P2P 종료(P2P termination) 되거나,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P2P 종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는 상태가 되면 상기 유휴상태(310)로 천이(326)된다.
상기 유휴상태(310)에서 단말은 호출채널 감시, 유휴 핸드오프, 호출채널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더하여, P2P 통신을 위해 피어 단말이 전송하는 비이콘(beacon)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는 P2P 사전 활성화상태(311)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311)는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300)에서 호 종료(308)가 일어나거나 또는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에서 P2P 종료(326)가 일어나면 천이된다. 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311)에서 페이징 혹은 대역폭 요청(307)이 발생하면 상기 RxTx 상태(301)로 천이되고, P2P 접속요청이 일어나면 상기 RxTx 상태(321)로 천이된다. 이로써,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311)에서 이동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와 P2P 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예를 들면, 단말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311)로 천이한 뒤, P2P 접속요청을 위해 수신 가능한 메시지에는 "P2P_SETUP_READY", "P2P_SLP_REQ" 등이 있는데, P2P_SETUP_READY 메시지는 피어 단말을 찾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방송(broadcasting) 하는 메시지로, 이 메시지를 받은 단말은 P2P 활성화 상태(320)의 (Rx/Tx)(321) 상태로 전환해서 주변 단말의 메시지를 받을 준비를 한다. 또한, 상기 P2P 활성화상태(320) 모드는 Group sleep mode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P2P_SLP_REQ 메시지는 단말이 P2P 수면상태(322)에 있을 경우, peer 단말이 Group sleep mode 신청을 위해 사용된다.
P2P 사전 활성화상태(311) 모드에서의 P2P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Rx 링크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P2P Neighbor Discovery(PND)과 Direct P2P Neighbor Discovery(DPNR) 메커니즘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P2P_setup_ready 신호를 받으면 P2P 활성화상태(320)로 천이하고, P2P 통신을 원하는 Peer 단말로 부터 PNR_REQ와 P2P_setup_neighbor_req 메시지를 받음으로써 P2P 연결 셋업이 완료되게 된다.
Tx 링크 데이터 트래픽 발생 시, 단말은 CAP(Contention Access Period) 기반의 P2P 연결절차를 통해 기지국에 P2P_setup_req 메시지 전송하게 되면, 기지국은 P2P_setup_ready 메시지를 단말들에게 방송하게 되고, 이후에 PNR_req(P2P Neighbor Report)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면, 수신 단말은 PNR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 또는 PNR_req 메시지 송신 단말에 직접 전송하게 된다. 이후에 P2P 요청 단말은 P2P_setup_neighbor_req 메시지를 전송, P2P 연결 셋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천이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400 단계에서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단말의 상태를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활성화상태,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단말의 상태를 무선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는 P2P 활성화상태, 그리고 P2P 통신을 위해 상대 단말이 전송하는 비이콘(beac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P2P 사전 활성화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2 단계에서 P2P 통신을 하는 상태로 확인되면 404 단계로 진행하여 P2P가 종료될 때까지 P2P 활성화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8 단계에서 P2P 종료되면 412 단계로 진행하여 P2P 사전 활성화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상기 단말은 402 단계에서 이동통신 활성화상태로 확인되면, 406 단계로 진행하여, 이동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이동통신 활성화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0 단계에서 이동통신이 종료되면 412 단계로 진행하여 P2P 사전 활성화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이동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와 P2P 통신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천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 통신을 위한 단말의 상태천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천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천이 흐름도.

Claims (18)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상태 천이 방법에 있어서,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거나 호가 연결된 이동통신 활성화상태,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거나 호가 연결된 P2P 활성화상태, 그리고 P2P 통신을 위해 상대 단말이 전송하는 접속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P2P 사전 활성화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P2P 접속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P2P 활성화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P2P 활성화상태에서 P2P 종료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는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일정기간 통신이 없는 상태이거나,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호 종료(call-termination) 되거나,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호 종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는 상태가 되면 천이되며,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는 상기 P2P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일정기간 P2P 통신이 없는 상태이거나, 상기 P2P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P2P 종료(P2P termination) 되거나, 상기 P2P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P2P 종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는 상태가 되면 천이되며,
    상기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과 상기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단일 RF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페이징 혹은 대역폭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에서 호 종료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2P 활성화상태는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가 열려 있는 P2P 수면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천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RxTx 상태에서 자원이 해지(release)되면 상기 P2P 수면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P2P 수면상태에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RxTx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이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는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가 열려 있는 수면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RxTx 상태에서 자원이 해지(release)되면 상기 수면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수면상태에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RxTx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는,
    피어 단말을 찾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방송(broadcasting) 하는 메시지이거나 P2P 연결 셋업을 위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2P 수면상태는,
    현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발생 확률이 높거나,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레벨에 따라 원하는 경우, 비경쟁(contentionless) 모드로 상기 RxTX 상태로 천이될 수 있도록 전용 제어채널을 할당받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거나 호가 연결된 이동통신 활성화상태,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거나 호가 연결된 P2P 활성화상태, 그리고 P2P 통신을 위해 상대 단말이 전송하는 접속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P2P 사전 활성화상태 상태천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P2P 접속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P2P 활성화상태로 천이시키고, 상기 P2P 활성화상태에서 P2P 종료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일정기간 통신이 없는 상태이거나,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호 종료(call-termination) 되거나,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호 종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는 경우,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시키고, 그리고
    상기 P2P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일정기간 P2P 통신이 없는 상태이거나, 상기 P2P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P2P 종료(P2P termination) 되거나, 상기 P2P 활성화상태인 단말이 정상적으로 P2P 종료된 후 일정시간 동안 통신이 없는 경우,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이시키며,
    상기 제 1 매체접근 제어계층과 상기 P2P 통신을 위한 매체접근 제어계층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단일 RF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에서 페이징 혹은 대역폭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로 천이하고,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에서 호 종료가 일어나면 상기 P2P 사전 활성화상태로 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P2P 활성화상태는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가 열려 있는 P2P 수면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RxTx 상태에서 자원이 해지(release)되면 상기 P2P 수면상태로 천이되고, 상기 P2P 수면상태에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RxTx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활성화상태는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RxTx 상태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 있지 않으나 호가 열려 있는 수면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RxTx 상태에서 자원이 해지(release)되면 상기 수면상태로 천이되고, 상기 수면상태에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RxTx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는,
    피어 단말을 찾기 위해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방송(broadcasting) 하는 메시지이거나 P2P 연결 셋업을 위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P2P 수면상태는,
    현재 역방향 데이터 채널을 할당받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발생 확률이 높거나,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레벨에 따라 원하는 경우, 비경쟁(contentionless) 모드로 상기 RxTX 상태로 천이될 수 있도록 전용 제어채널을 할당받은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68845A 2007-07-09 2007-07-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KR10099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45A KR100992419B1 (ko) 2007-07-09 2007-07-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US12/169,403 US8041297B2 (en) 2007-07-09 2008-07-08 Method for supporting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45A KR100992419B1 (ko) 2007-07-09 2007-07-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49A KR20090005649A (ko) 2009-01-14
KR100992419B1 true KR100992419B1 (ko) 2010-11-05

Family

ID=4025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45A KR100992419B1 (ko) 2007-07-09 2007-07-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41297B2 (ko)
KR (1) KR100992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949B2 (en) 2013-04-01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ate transi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3953A1 (en) * 2010-03-15 2011-09-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direct communication in a wireless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267983B1 (ko) * 2011-04-21 2013-05-27 아이테크 도쿄 코포레이션 무선랜 기반 피어투피어 응용간 연결 방법, 무선랜 기반 피어투피어 응용간 연결성 유지 방법 및 무선랜 기반 피어 단말
WO2013089452A1 (ko) * 2011-12-13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81476B2 (en) * 2011-12-20 2017-06-13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peer-to-peer (P2P) wireless connections between devices
CN104284449B (zh) * 2013-07-08 2018-05-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释放方法和装置
KR102019999B1 (ko) * 2013-07-12 201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인접 디바이스를 발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71255B1 (en) * 2013-12-05 2016-02-23 Sprint Spectrum L.P. Providing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US9775111B2 (en) * 2014-09-26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WO2016181117A1 (en) 2015-05-11 2016-11-17 Bae Systems Plc Aircraft coupling method and system
CN109845336B (zh) * 2017-04-07 2021-06-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15243398A (zh) * 2021-04-22 2022-10-25 华为技术有限公司 WiFi链路休眠唤醒方法、电子设备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4601A1 (en) 2002-10-10 2005-05-05 Hsu Raymond T. Dormant handoff in a packet dat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0315A1 (en) 2001-08-20 2003-02-27 Farideh Khaleghi Reduced state transition delay and signaling overhead for mobile station state transitions
CN1759577A (zh) * 2003-01-10 2006-04-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过无线网络和无线网络上的无线媒体发送数据流的方法
CA2513498C (en) * 2003-01-22 2011-10-11 Nimcat Networks Inc. Call transfer system, method and network devices
US7548758B2 (en) * 2004-04-02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s
KR100834664B1 (ko) 2004-07-13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CDMA 1x EVDO 시스템에서의 응용 계층 서비스를위한 시그널 메시지 전송 방법
US7809386B2 (en) * 2005-06-29 2010-10-05 Nokia Corporation Local network proxy for a remotely connected mobile device operating in reduced power mode
US20070070996A1 (en) * 2005-09-26 2007-03-29 Oran David R Port hopping scheme for peer-to-peer connections
KR20070069360A (ko) 2005-12-28 2007-07-0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동작 제어 방법
US20100172317A1 (en) * 2009-01-07 2010-07-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efficient paging and reconnecting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4601A1 (en) 2002-10-10 2005-05-05 Hsu Raymond T. Dormant handoff in a packet data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949B2 (en) 2013-04-01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ate transi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0075991B2 (en) 2013-04-01 2018-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tate transi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7857A1 (en) 2009-01-15
US8041297B2 (en) 2011-10-18
KR20090005649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41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상태천이방법
US1187724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support in sidelink communication
EP3562212B1 (en) Pagin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1742609B (zh) 用于空闲状态和不活跃状态的带宽部分操作
KR102118402B1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141835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피어투피어 접속방법 및 장치
JP5778307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用共存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9430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 by coordinated wake-up in a wireless multi-band network
US20190320389A1 (en) Waking up a dozing wireless device
US8971225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for station operating based on battery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812514B2 (en) Relaying of broadcast/multicast delivery from a relay UE to a remote UE
CN105594293A (zh) 设备到设备(d2d)控制信息中继
EP3556155A1 (en) Improved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US11218961B2 (en) Power saving for wireless device
JP2020504576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輻輳緩和のための技術
CN112166646A (zh) 减少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功耗的方法和设备
US202300840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sidelink relay based data communication
US20140128067A1 (en) Network-assisted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50791B1 (ko) 이중 연결 지원 네트워크에서의 기지국 전력 소모 절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200609386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13015231A (zh) 用于无线通信设备的低能耗节能快速重新连接
JP2024529357A (ja) 無線リソース制御(rrc)非アクティブ接続状態にある中継ユーザ機器(ue)装置を介した間接通信への経路切り替え
US882434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in group communication
WO2023051366A1 (zh) 一种控制传输的方法及相关装置
CN118175657A (zh) 一种确定直连链路非连续接收配置的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