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4362B1 - Data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Data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362B1
KR100994362B1 KR1020090027859A KR20090027859A KR100994362B1 KR 100994362 B1 KR100994362 B1 KR 100994362B1 KR 1020090027859 A KR1020090027859 A KR 1020090027859A KR 20090027859 A KR20090027859 A KR 20090027859A KR 100994362 B1 KR100994362 B1 KR 10099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positions
data
referenc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4781A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to KR102009002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362B1/en
Publication of KR2009010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7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에서 위치 변위 가능한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접촉과 가압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또는 가압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이나 가압지점, 또는 접촉이나 가압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data input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in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reference position that can be displaced in the sensing area; An input unit which detects at least one of a contact and a press on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or pres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ntact or pressing point of the finger or a contact or pressing direction from the input signal, and extract and input data allocated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입력, 감지부, 접촉, 가압, 내향, 외향 Input, sensing, contact, pressurization, inward, outward

Description

데이터 입력장치{DATA INPUT DEVICE}Data input device {DATA INPUT DEVICE}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접촉, 가압 및 접촉이나 가압의 방향을 구별할 수 있고 내향과 외향을 근거로 하여 효과적인 입력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nput contact, pressurization, and the direction of contact or pressurization, and effective input is possible based on inward and outward,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t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근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비례하여 각종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입력 또한 그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oftware,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nformation device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and as a result, data input to various information devices is also increasingly important.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However, many problems have been revealed in the input of various characters or commands in such information devices.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used in a personal computer (PC) or a notebook (NoteBook)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its siz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se information devices.

또한,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은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In addition, a touch screen method used in a PDA (Personal Data Assistant) or a keypad method used in a mobile phone h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input speed is often slow and incorrectly input.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동작 1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input letters, numbers or symbols at a higher speed i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evices such as PCs, laptops, PDAs or mobile phones, so-called one-operation one phoneme input is performed in which one phoneme (character) is input in one input operation. There is a need.

이러한 1동작 1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one-in-one phoneme input is for Korean, a button or input key for inputting 24 or more characters needs to be arranged in the information apparatus.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키를 증설해야 할지도 모른다.If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Japanese or other foreign languages, more buttons or input keys may need to be added than in Korean.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점 데스크탑 PC의 성능을 구현해 냄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문자입력 외에도 각종 명령키(엔터, 스페이스, 쉬프트키 등), 기호 등 키보드 자판의 모든 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performance of the desktop PC is increasingly realiz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must be able to perform all input functions of the keyboard keyboard such as various command keys (enter, space, shift key, etc.) and symbols in addition to character input. Is coming.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used in various information devices is a method of assigning a character to each input key and tapping or pressing with a finger to input.

따라서, 입력키의 배열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다. Therefore, in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ving a relatively small space for arranging the input keys, it is difficult to arrange more than 24 input keys having the size of a finger. This has been the reason why keyboards have never been miniaturized so far.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보통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it is inevitable that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repeatedly arranged in one button since all Korean characters are inputted with 24 or more characters with 12 buttons.

따라서,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그 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고, 오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repeated input phenomenon of repeatedly inputting twice and three times to input one character (phoneme) occurs frequently, so that the input time is long and there are a lot of typos.

또한, 입력방법 자체가 매우 복잡해져 익숙해지는 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input method itself is very complicated and takes a long time to get used to i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글문자 입력의 경우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inputting a combination of predetermined characters, such as 'Cheonjiin',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전술한 방법의 경우, 기본이 되는 문자를 조합하여 원하는 문자를 생성하므로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입력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원하는 문자가 조합될 때까지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야 하므로 그만큼 입력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number of input buttons for allocating characters because the desired characters are generated by combining the basic characters, but the input buttons must be repeatedly pressed until the desired characters are combined. As a result, the input time was longer.

특히, 전술한 입력장치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모드전환기능이 할당된 소정의 입력키로 이동 및 선택하여 모드전환을 수행한 후에 해당 문자가 할당된 입력키로 다시 이동하여 상기 문자를 입력하거나, 소정 입력키를 여러번 반복하여 입력함으로써 선택위치를 변경하여 모드전환을 수행한 후에 다시 해당 문자가 할당된 입력키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입력해야 했다. Particularly, in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after moving and selecting a finger to a predetermined input key to which a mode switching function is assigned, the user switches to an input key to which a corresponding letter is assigned and inputs the character or inputs a predetermined input key. You could change the selection position by repeatedly inputting several times, change the selection position, and then enter the desired character by selecting the input key to which the character is assigned again.

따라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까지 입력동작이 많고 복잡할 뿐 아니라 그만큼 입력속도도 저하되고, 입력정확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put operation is many and complicated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as well as the input speed is lowered and the input accuracy is lowered.

또한,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나,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의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technologies such as a keyboard that can be rolled around or a virtual laser keyboard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a finger and inputs it when a us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projecting an image of the keyboard keyboard on the floor and inputting the keyboard with a finger thereon are also used. It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type of input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always inconvenient to carry and carry, and can be input only in a state placed on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applicable to a 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needs to be input by hand while mov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가압 또는 접촉이나 가압의 방향을 구별가능하여 협소한 면적에서도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ccurate data even in a narrow area by distinguishing the direction of contact, pressurization or contact or pressurization. have.

또한, 본 발명은 반복입력이 필요하지 않고 접촉입력이 가능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을 위한 이동 범위가 좁아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입력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repeated inputs, the contact input is possible, so that data can be input quickly, and the movement range for the input is narrow, which prevents the user from inadvertent operation of the input, thereby accurately entering the data. An input device is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되어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that can input a large amount of data even in a narrow area and is applied to various information devices to achieve a lighter weight and a smaller size of the information device.

또한, 입력용량을 최대한 증가시켜 입력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키며, 문자입력 전반에 필요한 엔터, 스페이스 등의 텍스트 편집 명령입력과, 숫자, 기호, 특수키 등의 입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t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input by increasing the input capacity as much as possible, and inputs text editing commands such as enter and space required for character input in general, and data input for easy input of numbers, symbols, special keys, etc. To provide a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영역에서 위치 변위 가능한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 의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접촉과 가압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또는 가압에 대응하는 제1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입력부; 및 상기 제1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접촉이나 가압지점, 또는 접촉이나 가압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제1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ata input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in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reference position that can be displaced in the sensing area and the radial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A sensing input unit configured to sense one or more of contact and pressuriza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the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or pressuriz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ntact or pressing point of the finger or a contact or pressing direction from the first input signal, and extract and inpu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베이스에 마련되고,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위치로부터 외향으로 가압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base of 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a first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and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s outward from a reference position;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e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e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rom the memor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베이스에 마련되고,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위치를 향하여 내향으로 가압하는 제3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상기 제3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 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3방향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ase of 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presses any one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a first direction input and a third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ne of the indication positions inward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 third sensing unit sensing the third direction input; And the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for the indication position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and the third data allocated to the third direction input for the indication position when the thir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And a controller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rom the memory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베이스에 마련되고,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위치로부터 외향으로 가압하는 제2방향입력, 및 상기 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위치를 향하여 내향으로 가압하는 제3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입력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및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그리고 상기 제3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 대한 제3방향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base of 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 first direction input to pressurize, a second direction input to press any one of the pointing positions out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nd a third direction input to press any one of the pointing positions inward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An input unit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 third sensing unit sensing the third direction input; And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e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e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the indication posi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xtract and execute third data allocated to the third direction input for the instruction position from the memory unit when the thir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기준위치와 지시위치 중 하나 이상의 입력동작을 이용하여 협소한 면적 내에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반복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large amount of data even within a narrow area by using one or more input operations of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instruction position, and the repeated input operation eliminates the need for repeated operation. By preventing inadvertent malfunctions, there is an advantage of enabling accurate data input.

또한, 입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을 소형화, 슬림화할 수 있으므로 PDA, 노트북,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등 각종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input space can be minimized and the product can be miniaturized and slimme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 terminals such as PDAs, notebooks, and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아울러,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간단한 구성과 사용방법으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하여 상기 정보기기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of data input due to a simple configuration and use method,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information devic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of the information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방향입력 중 2가지 이상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문자입력이나 기호,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용량을 제한 없이 확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wo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 inputs, it is possible to enter a new character input, symbols, numbers, etc. can increase the input capacity without limitation.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 장치에서도 입력 인터페이스가 키보드처럼 1동작 1음소 입력이 가능해지므로, 한글 24자, 알파벳 26자 등 최소 24개 이상의 신호를 1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n a small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since the input interface can input one operation and one phoneme like a keyboard, it is possible to input at least 24 signals such as 24 Korean characters and 26 alphabet characters in one opera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한 형태는 아니지만 기능적인 면에서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constituent elements that are not the same shape but functionally equivalen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기기용 단말기에서, 소정의 입력영역 내에서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지시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1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접촉과 가압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제1입력부와,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in a predetermined input area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y one of the first input unit for performing a first direction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contact and pressurization,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And a control unit which extracts and executes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for the instruction position from the memory unit.

이때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제1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지시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제1지시위치로부터 제2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방향입력을 상기 제1방향입력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방향입력은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한다.In this case, the first input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econd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move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move from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to any one of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s. It may be provided to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one-way input. Here,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by a second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second direction input,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ssign a second direction input to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2 Extract data from the memory section and execute it.

그리고 상기 제2지시위치는 제1지시위치에서 기준위치측으로 마련된 내향방향지시위치가 될 수 있고, 제1지시위치에서 기준위치의 반대측으로 마련된 외향방향기준위치가 될 수 있으며, 이 두 형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시위치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십자방향 또는 대각 십자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각 제1지시위치별도 서로 다른 개수 및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may be an inwar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provided from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to the reference position side, and may be an outward direction reference position provided from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to the opposite side of the reference position. Can be used. In addition,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may be provid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may be provided in a crosswise or diagonal crosswise direction, and each first indication position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number and shape.

이 경우, 상기 제1입력부는 각 제1지시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각 제1입력부를 가압하여 제1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입력부를 제2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기울일 수 있는 키와 같은 기계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적 인 형태라는 것은, 제1입력부의 기계적인 움직임에 의한 것일 뿐, 상기 제1입력부에 대한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각각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전자적인 형태로 처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put unit may be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and the first input unit may press the first input unit to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key may move or tilt the first input unit toward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 mechanical form such as. Herein, the mechanical shape is only due to the mechanical movement of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the first input unit ar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respectively. It can be processed in a formal form.

또는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제1지시위치에 마련되고 접촉, 접촉이동이나 가압을 수행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가 이러한 접촉, 접촉이동이나 가압을 감지하여 제1 또는 제2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전자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input unit is provided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performs contact, contact movement, or pressurization, and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detect such contact, contact movement, or pressurization to input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onic form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at can perform.

여기서, 상기 제1입력부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면,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는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감지부 형태로 마련되거나 상기 제1입력부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은 제1입력부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 또는 가압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의 일례를 든 것일 뿐이므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 Here, if the first input unit is configured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one sensing unit 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input unit. Since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is merely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or pressure of a finger on the first input unit, if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may be replaced with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can do.

또한 상기 제1입력부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가 촉각센서, 광센서 또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져 손가락의 접촉, 접촉이동이나 가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put unit is made of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touch pad or the touch screen, and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is made of a tactile sensor, an optical sensor or a pressure sensor to sense the touch, touch movement or pressure of the finger. Can be implemen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제1입력부와는 별도로 제2입력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input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제1입력부의 내측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입력부에서는, 상기 제1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3방향입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제2입력부에 의한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제3감지부가 더 구비된다.The second input unit is provided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inside the first input unit. In the second input unit, a thir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o move toward any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Therefore,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sensing unit is further provided to sense a third direction input by the second input unit.

이러한 제2입력부도 제1입력부와 마찬가지로, 키 형태 또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의 구현 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총 4가지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모두 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제1입력부는 키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입력부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입력부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입력부는 키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모두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Like the first input unit, the second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key or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refor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resent four types in total. That is, when both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is in the form of a key, and the first input unit is in the form of a key, and the second input unit is in the form of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first input unit i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When the second input un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key, both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is in the form of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이때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모두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서로 간의 경계에 대한 구분없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에서는 손가락의 접촉위치를 기준으로 기준위치를 생성할 수 있어 입력영역 내에서 어떠한 위치에 손가락을 최초 접촉하더라도 제1 내지 제3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손가락을 이동함으로써 손가락의 입력영역 내에서의 위치가 변경되면, 기준위치도 동시에 변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위치는 손가락의 접촉면적의 중심을 감지하여 결정한다.In this case, when both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out distinguishing a boundary between each other. In this form, the reference posi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so that the first to third direction inputs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finger is first touched at any position in the input area. In addition, in this form, when the position in the input area of the finger is changed by moving the finger, the reference position may be chang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reference position is determined by sensing the center of the contact area of the finger.

또한 상기에서 제1 내지 제3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기준이 되는 제1지시위치와 제2지시위치의 개수 및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지시위치는 8개로 마련되고, 제2지시위치는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모든 제1지시위치에서 제1방향입력이 수행될 수 있으나, 특정 제1지시위치에서는 제3방향입력은 수행되지 않도록 처리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on which the first to third direction inputs are performe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eight first indication positions may be provided and two second indication positions may be provided. Alternatively, the first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at all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but the third direction input may not be performed at the specific first indication positions.

한편,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라 함은 한글문자, 영어문자 또는 일본어 문자 등 각국 언어에 따른 좁은 의미의 문자뿐만 아니라, 숫자와 기호, 그리고 방향이동과 띄어쓰기, 확인, 취소 등과 같은 기능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1데이터, 제2데이터, 제3데이터 등으로 구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데이터 등은 단순히 문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숫자, 기호나 가능명령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 "dat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not only a narrow meaning character according to each language, such as Korean characters, English characters or Japanese characters, but also numbers and symbols, and functional commands such as direction movement, spacing, confirmation, and cancellation. I shall do it. Such "data" may be classified into first data, second data, third data, and the like and arranged in the data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irst data and the like should not only mean letter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above-mentioned numbers, symbols, and possible instructions.

다음으로는 이상과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한 구체화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various embodiments of the data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기본적인 구성Basic composition

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모두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전자기기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입력영역(50)을 구비하여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상기 입력영역(50)에서 위치 변위 가능한 기준위치(S)와 상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접촉과 가압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또는 가압에 대응하는 제1방향입력을 수행 가능하게 마련된 제1입력부(10);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접촉이나 가압지점, 또는 접촉이나 가압방향을 판단하여 해당 접촉이나 가압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 case in which both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is,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edetermined input area 50 in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uses a motion detection of a finger, so that the reference position S can be displaced in the input area 50. And one or more of contact and pressuriza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radially dispos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 the first direction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or pressurization is provided. A first input unit 10;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extracting and inputting first data allocated to the contact or pressurization from a memory unit (not shown) by determining a contact or pressurization point of the finger or a contact or pressurization directio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detecting unit. And a controller (not shown).

이때 상기 제1입력부에서는, 상기 제1지시위치에서 상기 제1지시위치의 방사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제2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면 상기 제2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한다.In this case, the first input unit may perform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moving toward the one or more second indication positions arranged radially from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this case, a second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additionally provided,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controller extracts and inputs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from the memory unit.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입력부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1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3방향입력이 수행 가능한 제2입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제2입력부에서의 제3방향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제3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ata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put unit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input unit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and capable of performing a third direction input moving towar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may include a third sensing unit capable of sensing a third direction in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별도의 구분없이 일체로 마련되므로,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 모두를 포함하여 단순히 입력부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상에서는 각 방향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서로 구분된 감지부가 구비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3감지부 모두를 포함하여 단순히 감지부로 칭하기로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integrally provided without any distinction,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will be referred to simply as the input unit including both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sensing unit for sensing each direction input is not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both the first and third sensing units will be referred to simply as the sensing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나,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 손가락이나 도구의 접촉이나 가압을 감지하여 입력 처리할 수 있다면 터치스크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ata in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but the electronic devic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as long as it can detect an input or pressure of a finger or a tool and process the inp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적용예로 상기 PDA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구현가능하다.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영역(50)에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현될 경우, 상기 기준위치(S)는 스크린 상에 기준을 나타내기 위한 작은 점으로 구현되며, 상기 제1지시위치(D1)는 상기 기준위치(S) 주변에 방사방향의 일정 영역으로 형성된다.1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like the PDA. When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input area 50 such as a touch screen, the reference position S is implemented as a small point for indicating a reference on the screen,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s provide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adial area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상기 기준위치(S)가 작은 점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점 형태란 원형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mall dot, the dot form is a term including a circle and a polygon and is implemented to play a role of a reference so that a user can check.

상기 터치스크린 타입에서 상기 기준위치(S)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작은 점으로 구현되고 상기 기준위치(S)가 투명하게 설정가능하여 입력과 동시에 화면을 확인하도록 하여 입력을 위한 스크린 상의 별도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화면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touch screen type, the reference position S is implemented as a small point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e reference position S can be set transparently so that the screen can be checked simultaneously with the input so that a separate space on the screen for input is provided. This eliminates the need to use the screen more efficiently.

또한, 상기 기준위치(S)가 마련되는 입력부(10)는 스크린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의 이동은 특정한 신호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부(10)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특정한 신호는 상기 기준위치(S) 또는 제1지시위치(D1)를 소정시간 내에 두 번 클릭하는 것으로 상기 특정한 신호가 입력된 후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일반적인 데이터 입력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0 provided with the reference position S may be movable on the screen. The input unit 10 may move the input unit 10 by dragging the input unit 10 to a desired point after inputting a specific signal. In this case, the specific signal may be the reference position S or the first instruction. It is preferable to double click the position D1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o as to be movable after the specific signal is input so that general data input is not disturbed.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스크린의 일측에 상기 기준위치(S)를 옮겨 놓을 수 있는 대기영역(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위치(S)를 상기 대기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지시위치(D1)의 영역은 사라지며, 상기 기준위치(S)가 대기영역을 벗어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제1지시위치(D1)의 영역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0)가 불필요할 경우, 일반 윈도우 환경과 같이 스크린의 일측에 대기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1지시위치(D1)의 영역을 사라지거나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may have a standby area (not shown) to move the reference position (S) on one side of the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is moved to the standby area, the area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disappears, and 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moves out of the standby area,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s moved. ) Area can be displayed. That is, when the input unit 10 is unnecessary,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by area exists on one side of the screen as in a general window environment, and the area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can be set to disappear or appear.

또한, 상기 대기영역에서 제1지시위치(D1)의 영역은 사라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준위치(S)를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대기영역을 두 번 터치하거나 비비는 동작을 통해 제1지시위치(D1)의 영역이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disappears from the waiting area, and not only the reference position S is moved, but also the first indication is made by touching or rubbing the waiting area twic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area of the position D1 to appear.

아울러, 기존의 PDA는 터치입력을 위한 별도의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에는 입력키와 마찬가지의 버튼 영역이 존재하므로 각각의 버튼을 터치할 때 인접하는 버튼 영역을 함께 터치하게 되어 오입력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버튼이 형 성된 일정 영역은 다른 창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최소한의 영역과 투명한 제1지시위치(D1)의 영역 설정으로 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DA is formed with a separate screen for the touch input and the same button area as the input key is present on the screen, so that when touching each button to touch the adjacent button area with the wrong input and While the predetermined area where the button is formed together hides other windows, it is inconvenient to us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out covering the screen with a minimum area and a transparent first setting position D1.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도시한 PDA 외에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다양한 기기에 이용될 수 있어 다양한 정보기기에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devices using a touch screen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PDA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information devices.

한편, 이하에서 언급될 접촉입력(T), 가압입력(P) 및 이동입력(MO1, MO2, MI1, MI2, PM1, PM2)을 실현하기 위한 입력부(10) 구성의 일예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fo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10 for realizing the contact input T, the press input P, and the movement inputs MO1, MO2, MI1, MI2, PM1, PM2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explained.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감지부(11)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력부(10)는 감지부(11)에 표시되는 기준위치(S)와 제1 및 제2지시위치(D1, D2)를 접촉이나 가압하여 접촉입력(T)과 가압입력(P)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에서 제1지시위치(D1)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입력(M)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0)는 접촉이나 가압의 지점, 또는 접촉이나 가압된 상태에서의 이동에 대한 방향이나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As shown in FIG. 2A,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on the sensing unit 11 such as a touch screen. In more detail, the input unit 10 contacts or presses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and second indication positions D1 and D2 displayed on the sensing unit 11 so as to contact the touch input T and the pressurization input. (P)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A, the movement input M may be performed by moving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0 detects a point of contact or pressure, a direction or a movement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in the contact or pressure state,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이렇게 발생된 입력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처리하게 된다.The input signa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extracts data allocated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and performs input processing.

그리고 상기 입력부(10)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감지부(11) 상에 배치되는 리턴부(13)가 더 구비되어, 접촉입력(T), 가압입력(P) 및 이동입력이 수행된 후 에 상기 입력부(1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리턴부(13)는, 상기 감지부(11) 상에 표시된 기준위치(S)나 제1 및 제2지시위치(D1, D2)가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투명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0 further includes a return unit 1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disposed on the sensing unit 11, after the contact input T, the press input P, and the movement input are performed. The input unit 10 may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return unit 13 is preferably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and second indication positions D1 and D2 displayed on the sensing unit 11 are externally identifiable.

한편, 상기 입력부(1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과 같은 감지부(11)와, 상기에서 언급한 리턴부(13) 및 상기 감지부(11)와 리턴부(13)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돌기(15)를 구비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0)에 대한 입력은 각 접촉돌기(15)가 기준위치(S)나 제1 및 제2지시위치(D1, D2)로 할당되고, 기준위치(S)나 제1 및 제2지시위치(D1, D2)에 대한 접촉입력(T), 가압입력(P) 및 이동입력시에 상기 접촉돌기(15)가 감지부(11)에 접촉 또는 가압함에 따라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input unit 10, as shown in (b) of Figure 2, the sensing unit 11, such as a touch screen, the return unit 13 and the sensing unit 11 and the above-mentioned return with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5 disposed between the portion (13). The input to the input unit 10 is that each contact projection 15 is assigned to the reference position (S) or the first and second indication positions (D1, D2), the reference position (S) or the first and second indications At the time of contact input T, pressure input P, and movement input to the positions D1 and D2, the contact protrusion 15 is made by contacting or pressing the sensing unit 11.

제1방향입력First direction inpu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0)에는 위치 변위 가능한 기준위치(S)와 상기 기준위치(S)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D1)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입력영역(50)에 마련되고, 상기 입력영역(50)은 손가락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0)에서는, 상기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이나 가압에 따라 제1방향입력인 접촉입력(T)이나 가압입력(P)이 수행되어 각 입력에 대응하는 제1데이터가 입력처리된다. 즉, 상기 제1방향입력 은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입력(T)과 가압입력(P)으로 구분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As shown in FIG. 3, the input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reference position S that can be displaced and a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FIG. do.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0 is provided in the input area 50 of the terminal fo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input area 50 is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motion of a finger. Accordingly, in the input unit 10, a contact input T or a pressure input P, which is a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act or pressure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First data corresponding to each input is input processed. That is,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ivided into a contact input T and a pressure input P for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시위치(D1)에 대해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시위치(D1)에 대한 접촉입력(T)으로 각 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시위치(D1)에 대한 가압입력(P)으로 각 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is assigned to each instruction position D1 as a contact input T for each instruction position D1 as shown in FIG. Can be entered.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the data allocated to each of the indication positions may be input to the pressing input P for each of the indication positions D1.

이때 각 지시위치(D1)에서의 접촉입력(T)에 할당된 데이터와 가압입력(P)에 할당된 데이터는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지시위치(D1)에 대해 접촉입력(T)과 가압입력(P)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동일한 지시위치(D1)에서 2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력용량이 2배로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assigned to the contact input (T) and the data assigned to the pressing input (P) at each indication position (D1) may be arranged differently. Therefore, when data is input by the contact input T and the press input P with respect to each said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D1, since two data can be input in the same instruction | indication position D1, the input capacity is doubled. Can be increased.

제1방향입력의 다른 형태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가압입력을 들 수 있다.Another form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may be a vertical pressure input as shown in FIG. 4.

본 발명에서 '수직가압입력(PP)'이라 함은,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가 하나의 손가락 범위 내에서 마련된 때, 상기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전체에 손가락을 얹고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수직으로 가압하여 제1지시위치(D1)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vertical pressure input PP" means any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re provided within one finger range. The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s input by placing a finger on the entir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nd press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I mean.

즉, 수직가압입력(PP)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상에 손가락을 얹고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가압입력(P)을 하여 제1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고,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1지시위치(D1) 상에 손가락을 얹고 해당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가압입력(P)을 하여 제1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places a finger o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nd presses the pressure input P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D1. The data allocated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may be inputted, or as shown in FIG. 12B, a finger is placed on the specific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nd the corresponding first indication position is set.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the data allocated to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by applying the pressure input P to D1.

이러한 수직가압입력(PP)시에는 손가락의 움직임은 거의 없이 특정 제1지시위치(D1)에 대해서만 의도적으로 가압하며 수행된다. 이때 상기 수직가압입력(PP)은 가압의 세기에 따라 다단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vertical pressing input PP, the finger is intentionally pressed with only a specific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with little movement of the finger. At this time,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may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이동입력Move inpu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접촉입력(T)이나 가압입력(P)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손가락의 접촉 또는 가압 이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시위치(D1)에서 제1지시위치 주변의 방사상 특정 위치로의 손가락의 접촉 또는 가압 이동에 의한 제2방향입력과, 기준위치로부터 제1지시위치로의 손가락의 접촉 또는 가압 이동에 의한 제3방향입력을 결합한 형태를 갖는 '이동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입력은 다시 제1외향이동입력, 제2외향이동입력, 제1내향이동입력, 제2내향이동입력, 제1관통이동입력과 제2관통이동입력으로 구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ata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the data is input to the contact input (T) or the pressure input (P) for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n the absence of movement It may be, but may also be made by the contact or pressure movemen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direction input by the contact or pressure movement of the finger from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to the radial specific position arou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the finger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 'moving input' having a form in which a third direction input is combined by contacting or pressing movement of the second key may be performed. The movement input is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outward movement input, a second outward movement input, a first inward movement input, a second inward movement input, a first through movement input, and a second through movement movement input.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위치(S)를 접촉한 상태에서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1외향이동입력(MO1)에 의해 각 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5A, the first outward movement input MO1 moving toward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in a state in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S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position S. Referring to FIG. By this, it is possible to input data allocated to each instruction position D1.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위치(S)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외향으로 이동하는 제2외향이동입력(MO2)에 의해 각 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second outward movement input MO2 moves outward toward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without contacting the reference position S. By means of this, the data allocated to each indication position can be input.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위치(S)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하는 제1내향이동입력(MI1)에 의해 각 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C, each of the first inward movement inputs MI1 moves from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to the reference position S until the first position moves. The data allocated to the indication position can be input.

또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기준위치(S)에 접촉하기 전까지 내향으로 이동하는 제2내향이동입력(MI2)에 의해 각 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d) of FIG. 5, by the second inward movement input MI2 moving inward until it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S at any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Data allocated to each of the instruction positions D1 may be input.

한편,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1지시위치(D1)에서 기준위치(S)를 관통하여 지나는 이동입력(M)에 의해서도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이동입력(M)은 특정 제1지시위치(D1)에서 기준위치(S)를 관통하는 제1관통이동입력(PM1)과, 상기 기준위치(S)를 관통하여 특정 지시위치(D1)로 이동하는 제2관통이동입력(PM2)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이동입력(PM1)과 제2관통이동입력(PM2)에 의해 서로 별개의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e) of Figure 5, the data can also be input by the movement input (M)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position (S) in the specific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t this time, the movement input M is a first through-movement input PM1 penetrating the reference position S at a specific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nd a specific instruction position D1 penetrating the reference position S. FIG. It may be classified as a second through-movement input PM2 moving to. In addition, separate data may be inputted by the first through-movement input PM1 and the second through-movement input PM2.

이때 도 5의 (a) 내지 (e)에서의 각 이동입력(MO1, MO2, MI1, MI2, PM1, PM2)은 기준위치(S)를 접촉이나 관통하는지 여부 및 내향인지 외향인지 여부에 따 라 구분된다. 따라서 한 벌의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도 5의 (a) 내지 (e)에 따른 이동에 의해 각각 별개의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한 벌의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로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가 6배로 증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movement inputs MO1, MO2, MI1, MI2, PM1, PM2 in Figs. 5A to 5E depends on whether the reference position S is contacted or penetrated, and whether it is inward or outward. Are distinguished. Accordingly, separate data may be input to each of the pair of reference positions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by the movement according to FIGS. 5A to 5E. In this case, data that can be input to the pair of reference positions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may be increased by six times.

또한 도 5의 (a) 내지 (e)에서의 각 이동입력(MO1, MO2, MI1, MI2, PM1, PM2)은 이동 거리의 장단 및 가압의 세기에 따라 다단으로 입력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서의 제1외향이동입력(MO1)이 기준위치(S)로부터 출발하여 제1지시위치(D1)에 도달하거나 도달하기 전에 종료되면 'ㄱ'이 입력되고(이동 거리가 짧은 형태), 제1지시위치(D1)를 통과하여 종료하면(이동 거리가 긴 형태), 'ㅋ'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에서의 제1외향이동입력(MO1)이 기준위치(S)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접촉입력(T) 형태)와, 상기 기준위치(S)를 가압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가압입력(P) 형태)에, 서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movement inputs MO1, MO2, MI1, MI2, PM1, and PM2 in FIGS. 5A to 5E may be input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length and the strength of the moving distance. For example, 'a' is input when the first outward movement input MO1 in FIG. 5A start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ends before reaching or reaching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Short moving distance),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nd ending (long moving distance), 'ㅋ' can be input. In addition, when the 1st outward movement input MO1 in FIG. 5 (a) moves in the state which contacted the reference position S (contact input T form), and pressed the said reference position S, When moving to a state (type of pressure input P), different data can be input.

제2방향입력Second direction input

제2방향입력은, 각 제1지시위치(D1)로부터 상기 제1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제2지시위치(D2)를 향하여 접촉이나 가압하여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방향입력은 도 6 및 도 7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direction input means moving from each first directing position D1 toward one or more second directing positions D2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first directing position.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S. 6 and 7.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시위치(D1)에는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지시위치(D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시위치(D2)에 대해서는 각 제1지시위치(D1)에서 제2지시위치(D2)로 외향이동하는 외향이동입력(MO)에 의해 각 제2지시위치(D2)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2방향입력은 각 제2지시위치(D2)를 접촉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접촉입력(T)이나 가압입력(P)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as illustrated in FIG. 6, a plurality of second indication positions D2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For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data assigned to each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by an outward movement input MO which moves outward from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to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Can also be entered. 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by a contact input T or a pressure input P for contacting or applying pressure to each of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s D2.

이러한 제2지시위치(D2)에 대한 제2방향입력에 의해 감지부에서는 입력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제2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처리한다.An input signal is generated in the sensing unit by the second direction input to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D2, and the controller extracts second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and processes the input data.

또한 제2방향입력은, 수평가압입력의 형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평가압입력(HP)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에 손가락을 얹고 해당 제1지시위치(D1)의 외향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지시위치(D1) 또는 제2지시위치(D2)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ressure input. That is, as shown in FIG. 7A,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HP places a finger on on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and presses the finger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For example, the data allocated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or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D2 may be input.

이때 수평가압입력(HP)시에는 입력부(10)의 접촉면과 손가락은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수평가압입력(P)도 수평가압의 세기에 따라 다단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during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the contact surface and the finger of the input unit 10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fi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P may also be provid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horizontal pressing.

또한 상기 수평가압입력(HP)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복수개의 제2지시위치(D2)가 구비되는 경우에, 각 제1지시위치(D1)에 손가락을 얹고 각 제2지시위치(D2)로 수평가압을 하여 각 제2지시위치(D2)에 할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7,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ng positions D2 for each of the first directing positions D1. A finger may be placed on the instruction position D1 and horizontal pressure may be applied to each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so that data allocated to each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may be input.

제3방향입력3rd direction input

제3방향입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제1지시위치로 접촉 또는 가압 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3방향입력은 기준위치로부터 제1지시위치로 기울임이동이나 경사가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The third direction input means that the thir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contact or pressure movemen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lso, the thir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by tilting or tilting the pressur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3방향입력은 수평가압입력(HP)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가압입력(HP)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상에 손가락을 얹고 각 제1지시위치(D1)를 향하여 수평으로 가압하여 제1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한다.In more detail, the thir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8,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places a finger o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nd places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The data allocated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s input by pressing the lens horizontally.

도 8의 (b) 내지 (d)는 수평가압입력(HP)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B to 8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입력부(10)는 입력부(1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수축하면서 이러한 수축의 정도를 감지하여 수평가압입력(HP)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detail, as shown in (b) of FIG. 8, when the finger is pres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put unit 10 contracts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put unit 10 and detects the degree of such contraction.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감지패드와 같은 감지부(11) 상에 리턴부(13)가 마련되어 입력부(10)가 구성되는 경우, 손가락의 수평가압을 상기 감지부(11)가 감지하여 수평가압입력(HP)에 따른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리턴부(1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가압입력(HP)이 종료되면 원상태로 복귀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8, when the return unit 13 is provided on the sensing unit 11 such as a pressure sensing pad and the input unit 10 is configured, the horizontal pressure of the finger may be applied to the sensing unit ( 11) detects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At this time, the return unit 1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completed.

아울러,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0)는 손가락의 수평가압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17)와 상기 이동부(17) 주변에 배치되는 감지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1)는 제1지시위치(D1)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8, the input unit 10 may include a moving unit 17 that is moved according to horizontal pressure of a finger and a sensing unit 11 disposed around the moving unit 17.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but may be provided in four directions as shown.

이렇게 감지부(11)가 4방향에만 마련되어도, 상기 감지부(11)를 통해 8방향의 입력도 감지가능하다. 예를 들면, 1시 방향으로의 수평가압입력(HP)시에는 12시방향의 감지부(11)와 3시방향의 감지부(11)가 이동부(17)의 이동을 감지하여 12시방향이나 3시방향으로의 입력이 아닌 1시방향의 입력으로 파악하게 된다.Even if the sensing unit 11 is provided only in four directions, an eight-direction input can be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 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erformed at 1 o'clock, the sensing unit 11 at 12 o'clock and the sensing unit 11 at 3 o'clock detect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7 and the 12 o'clock direction. In other words, it is regarded as the input at 1 o'clock rather than the input at the 3 o'clock.

이때 상기 입력부(10)에는 리턴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턴부(13)는 상기 이동부(17) 상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부(13)에 대한 수평가압으로 상기 이동부(17)가 미세하게 이동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return unit 13 may be provided in the input unit 10. The return unit 13 is provided on the moving unit 17 to allow the moving unit 17 to move finely by horizontal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return unit 13.

한편, 제3방향입력은 기울임이동입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direction inpu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ilt movement input.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의 (a)에서의 화살표는 외향이동되면서 압력이 증가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9의 (b)에서는 기준위치(S)로부터 특정 제1지시위치(D1)로 손가락이 이동되면서 압력을 증가시키는 형태가 설명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rrow in FIG. 9 (a) shows a form in which pressure is increased while moving outward, and in FIG. 9 (b), the finger move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 the specific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s this moves, a form of increasing pressure has been described.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이동입력시에 최초 접촉지점에 대한 가압의 세기를 외향이동하면서 증가시키는 이동에 의해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하면서 압력이 증가되는 형태의 입력을 '기울임이동입력(LM)'이라 정의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data may be input by a movement that increases while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press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contact point at the time of the movement input to each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outward. An input in which the pressure is increased while moving in this way is defined as a 'tilt movement input (LM)'.

이러한 기울임이동입력(LM)은 기준위치(S)측에서 제1지시위치(D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력을 증가시키는 형태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경사가압입력(SP)'과 구별된다. 즉, 경사가압입력(SP)은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전체에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각 제1지시위치(D1)의 외향방향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가하는 입력을 의미한다.The tilt movement input LM is a form of increasing the pressure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inclination pressure input SP to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inclined pressure input SP is an input applied while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while the fingers are placed on the entir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

한편, 제3방향입력은 경사가압입력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가압입력(SP)'이라 함은,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가 하나의 손가락 범위 내에서 마련된 때, 상기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상에 손가락을 얹고 제1지시위치(D1)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압력을 증가시킴에 의해 제1지시위치(D1)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direction inpu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lope pressure input. That is, the "inclined pressure input S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position 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re provided within one finger range. It means that the data assigned to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is input by placing a finger on the instruction position D1 and increasing the pressur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D1.

이러한 '경사가압입력(SP)'은 도 9에 도시된 '기울임이동입력(LM)'과 유사한데, 그 차이점은 경사가압입력(SP)시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상에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행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제1지시위치(D1)를 향하여 압력을 증가시키는 입력에 대해서도 손가락을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얹고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경사가압입력(SP)'과 '기울임이동입력(LM)'이 구분되므로, 이러한 구분에 의해 입력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is 'inclined pressure input (SP)' is similar to the 'tilt movement input (LM)' shown in Figure 9,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S), as shown in Figure 10 during the gradient pressure input (SP) )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Therefore, the 'inclined pressure input SP' and 'tilt depending on whether the finger is placed o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for the input that increases the pressure towar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Since the mobile input LM 'is di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put capacity by this division.

조합입력Combination input

이상에서 설명한 각 입력은 서로 연속하여 수행됨으로써 각 입력에 할당된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입력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지, 아니면 조합되어 수행되는지 여부는, 2개 이상의 입력이 수행되는 시간간격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설정된 시간범위 내에서 2개 이상의 입력이 수행된다면, 이를 조합입력으로 판단하여 각각의 입력에서와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Each of the input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so that data different from the data allocated to each input may be input. In this case, whether two or more inputs are perform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may be set by a time interval at which two or more inputs are performed. That is, if two or more inputs are performed within a set time range, the input is determined as a combination input so that different data is input from each input.

도 11 내지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입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각 입력은 제1 내지 제3방향입력으로 구분하지 않고 상기에서 설명된 형태적 특징에 따른 명칭으로 구분하기로 한다(예를 들면, 접촉입력, 가압입력, 이동입력 등).11 to 1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mbination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input is not classified as a first to third direction input, but is divided by a nam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For example, contact input, pressure input, movement input, etc.).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도 11의 (a)는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외향이동입력(MO)(①)과 가압입력(P)(②)이 조합된 형태로서, 외향이동입력(MO)(①)을 수행한 후 가압입력(P)(②)을 하여 각 외향이동입력(MO)과 가압입력(P)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11A illustrates a combination of an outward movement input MO (①) and a pressurization input P (②)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After performing (MO) (①), a press input (P) (②) may be performed so that data different from each outward movement input MO and the press input P may be input.

예를 들면, 3시방향으로의 외향이동입력(MO)에 의해서는 'ㄱ'이 입력되고, 3시방향의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가압입력(P)에 의해서는 'ㅏ'가 입력된다면, 외향이동입력(MO)과 가압입력(P)의 조합입력에 의해서는 'ㅋ'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is input by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in the 3 o'clock direction, and 'ㅏ' is input by the pressure input P for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n the 3 o'clock direction. If input, 'K' may be input by the combination input of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and the pressure input P.

또한, 도 11의 (b)는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가압입력(P)(①)을 수행한 후에 외향이동입력(MO)(②)을 하는 조합입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합입력에 의해서도 각 가압입력(P)과 외향이동입력(MO)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FIG. 11B shows the combined input for performing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②) after performing the pressing input P (1) for each of the first indicating positions D1. The combination input may also allow data different from each of the pressure input P and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to be input.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압입력(P)과 내향이동입력(MI)을 조합할 수도 있고, 접촉입력(T)과 가압입력(P)을 조합할 수도 있으며, 내향이동입력(MI)과 외향이동입력(MO)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입력(P), 내향이동입력(MI) 및 외향이동입력(MO)을 조합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sure input P and the inward movement input MI may be combined, the contact input T and the pressure input P may be combined, the inward movement input MI and outward. The move input MO may be combined. In addition, new data may be input by combining the pressing input P, the inward movement input MI, and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다음으로, 도 12은 수평가압입력(HP), 수직가압입력(PP)이 조합되는 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즉, 도 12의 (a)에서는,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손가락을 얹은 상태에서 수평가압입력(HP)(①)을 수행한 후 수직가압입력(PP)(②)을 하여 각 수평가압입력(HP)과 수직가압입력(PP)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Next, FIG. 12 illustrates a form in which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are combined. That is, in FIG. 12A,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erformed while the finger is placed o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and t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is performed. In this case, data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is input.

또한 도 12의 (b)에서는 각 제1지시위치(D1)에만 접촉한 상태에서 수평가압입력(HP)(①)과 수직가압입력(PP)(②)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12 (b) shows a case where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1)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2) are continuously input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도 12에서는 수평가압입력(HP)을 수행한 후 수직가압입력(PP)을 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그 반대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1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is performed after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erformed, but the reverse operation may be performed.

한편, 도 13은 각 제1지시위치(D1)에 방사상으로 제2지시위치(D2)가 마련되는 경우의 조합입력을 나타낸다. 즉, 도 13의 (a)에서는,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가압입력(P)을 수행한 후 각 제2지시위치(D2)로 외향이동입력(MO)을 수행하여 각 가압입력(P)과 외향이동입력(MO)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13 shows the combined input when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is provided radially at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That is, in FIG. 13A, after performing the pressing input P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indicating positions D1,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is performed to each of the second indicating positions D2, thereby providing each pressing input. The case where data different from (P) and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are input is shown.

또한 도 13의 (b)에서는, 각 제1지시위치(D1)에 손가락을 얹고(즉,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접촉입력(T)을 수행하고), 제2지시위치(D2)를 향하여 외향이동입력(MO)을 한 후, 각 제2지시위치(D2)에 대해 가압입력(P)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3개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서 개별 입력과는 다른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FIG. 13B, a finger is placed on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that is, a contact input T is applied to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nd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is shown. The pressure input P is applied to each of the second commanded positions D2 after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is made toward (). The combination of these three inputs allows the input of data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inputs.

아울러, 도 13의 (c)에서는, 각 제1지시위치(D1)에 손가락을 얹고(즉,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접촉입력(T)을 수행하고),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가압입력(P)을 한 상태에서 다시 제2지시위치(D2)를 향해 외향이동입력(MO)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In addition, in FIG. 13C, a finger is placed on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that is, a contact input T is performed for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nd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is performed. The case where the outward movement input MO is made toward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D2 again with the pressurizing input P being applied to (D1).

기준위치와 제1지시위치의 설정Setting of reference position and first indication position

도 14는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 상에 손가락을 얹고 입력할 때 기준위치(S)를 설정하는 방법 및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입력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FIG. 14 illustrates a method of setting a reference position S when the user places a finger on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nd inputs each of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D1. It explains.

즉, 본 발명에서는 기준위치(S)의 위치 변위가 가능하여, 현재 손가락이 얹혀진 위치로 상기 기준위치(S)가 옮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가락을 입력부(10)에 얹었을 때 손가락의 특성상 균일한 원형태로 접촉할 수는 없을 뿐만 아니 라, 정확하게 입력부(10)에 나타난 기준위치(S)에 손가락의 중앙을 일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기준위치(S)를 어디로 결정하느냐가 입력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reference position S is possible, and the reference position S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urrent finger is placed. At this time, when the finger is placed on the input unit 10, it is not only possible to make a uniform circular conta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ger, but also it is impossible to exactly match the center of the finger to the reference position S shown in the input unit 10. Where the reference position S is determined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put.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입력부(10)에 얹으면(도 14의 (a)에서 원에 빗금친 부분 참조), 입력부(10)는 상기 입력부(10)에 얹혀진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러한 접촉면적에서 중앙부분을 파악하여 그 중앙부분을 기준위치(S)로 결정한다. As shown in (a) of FIG. 14, when a finger is placed on the input unit 10 (see the hatched portion in FIG. 14 (a)), the input unit 10 is a finger placed on the input unit 10. Determine the contact area of the. And the center part is grasped | ascertained from this contact area, and the center part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position (S).

만일 입력부(10)에 표시된 기준위치(S)가 접촉면적을 통해 결정된 기준위치(S)와 다른 경우에는, 접촉면적을 통해 결정된 기준위치(S)로 그 위치가 변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준위치(S)는 위치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If the reference position S displayed on the input unit 10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determined through the contact area, the position is displaced to the reference position S determined through the contact area.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reference position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in position.

이와 같이 기준위치(S)가 결정되면 그 기준위치(S)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된 지점에 복수의 제1지시위치(D1)를 마련하고, 필요한 경우 각 제1지시위치(D1)에 제2지시위치(D2)를 마련한다.In this way, when the reference position S is determined, a plurality of first instruction positions D1 are provided at points radially spac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a second second at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is necessary. The instruction position D2 is provided.

도 14의 (b)에서는, 손가락을 입력부(10)에 얹은 상태에서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수직가압입력(PP)이나 수평가압입력(HP)을 수행할 때 특정 제1지시위치(D1)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In FIG. 14B, w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or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erformed for each first command position D1 with the finger on the input unit 10, the specific first command posi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D1) is described.

즉, 수직가압입력(PP)이나 수평가압입력(HP)을 수행하면 특정 제1지시위치(D1)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각 제1지시위치(D1) 중에서 압력이 가장 집중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수직가압입력(PP)이나 수평가압입력(HP)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을 토대로 어떤 제1 지시위치(D1)에 대해 수직가압입력(PP)이나 수평가압입력(HP)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or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erform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specific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or the horizontal pressure input HP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mand position D1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pressure is most concentrated among the first command positions D1. Alternatively, the first pressing position D1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rea to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in which the vertical pressing input PP or the horizontal pressing input HP is performed.

기 타Oth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접촉이나 압력을 입력영역(50) 상에서 감지할 수 있는 기구에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손가락의 이동, 가압이나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른 기구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기구의 예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mechanism that can detect a contact or pressure on the input area 50, such as a touch screen, but if it can detect the movement, pressure or tilt of a finger,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mechanism. An example of such another mechanism is shown in FIG. 15.

즉,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에는 링형태의 감지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는 입력부(10) 상의 손가락의 이동이나, 가압 및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11)는 리턴부(13) 내에 위치되어 손가락의 이동이나, 가압 및 기울임이 종료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5, the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 ring-shaped sensing unit 11. The detector 11 may detect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input unit 10, or pressing and tilting the finger. At this time, the detection unit 11 is located in the return unit 13 is configured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movement of the finger, pressing and tilting is finish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부(13)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하면 리턴부(13)가 한쪽으로 밀리면서 그 내부에 위치되는 링 형태의 감지부(11)도 밀리게 된다. 이때 감지부(11) 전체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이 이동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감지부(11)만이 리턴부(13)에 밀려 해당 방향으로 이동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5B, when a finger is moved on the return unit 13, the return unit 13 is pushed to one side and the ring-shaped sensing unit 11 is located therein. It is pushed back. At this time, the entire sensing unit 11 is not moved, but only the sensing unit 11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is moved is pushed by the return unit 13 to mov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그리고 감지부(11)는 이러한 수평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의 방향에 해당 하는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이동입력(M)이 수행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이동입력(M)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입력신호를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1 detects the horizontal movement,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input M is performed for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nd corresponds to the movement input M. FIG.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to input data.

또한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감지부(11) 상의 일지점을 가압하면 해당 지점의 감지부(11)는 아래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감지부(11)는 이러한 하방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에 의해 제1지시위치(D1)에 가압입력(P)이 수행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가압입력(P)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입력신호를 발생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c) of FIG. 15, when pressing a point on the ring-shaped sensing unit 11, the sensing unit 11 of the corresponding point is pushed down.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1 detects such a downward movement and determines that the pressing input P is performed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by the movement, so that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input P is input. Generate an input signal.

아울러,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감지부(11) 상의 일지점을 하향 대각으로 가압하면, 해당 지점의 감지부(11)는 그에 따라 하향 대각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1)는 이러한 하향 대각 이동, 즉 기울임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에 의해 제1지시위치(D1)에 기울임이동입력(LM) 또는 경사가압입력(SP)이 수행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기울임이동입력(LM) 또는 경사가압입력(SP)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입력신호를 발생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15, when pressing a point on the ring-shaped sensing unit 11 in a downward diagonal, the sensing unit 11 of the corresponding point is pushed in a downward diagonal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1 detects the downward diagonal movement, that is, the tilt movement, and determines that the tilt movement input LM or the gradient pressing input SP is performed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by the movement. The input signal is generated to in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tilt movement input LM or the gradient pressing input SP.

또한 입력부는 도 15의 변형예로서 도 16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리턴부(13a, 13b)가 적층되고, 상기 하단의 리턴부(13b)에 감지부(11)가 설치되어, 제1지시위치(D1)를 향한 이동입력(M)과 제1지시위치를 가압하는 수직가압입력(PP)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의 표면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방향입력을 수행할 때 입력감을 느낄 수 있어 보다 실감있고 정확한 입력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6 as a modification of FIG. 15.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6, two return units 13a and 13b are stacked, and a sensing unit 11 is installed in the lower return unit 13b to provide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moving input (M) toward the D1) and the vertical pressure input (PP) for pressing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is protruded by the sensing unit,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input when performing the direction input, thereby making the input more realistic and accurate.

또는 입력부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마련된 리턴 가능한 감지부(11)와, 상기 감지부의 하단에 수평 이동 가능한 이동부(17)를 구비하여, 각 방향입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7)의 이동은 감지부(11)에서 감지되는 것이 아니다. 다만, 감지부(11) 상에서의 손가락의 이동시에 상기 이동부(17)가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에 의해 사용자가 이동감 또는 입력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16, the input unit includes a returnable sensing unit 11 provided on a surface and a moving unit 17 horizontally movable at the lower end of the sensing unit to perform each direction input. Can be prepare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7 is no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1. However, when the finger moves on the sensing unit 11, the moving unit 17 moves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feel a sense of movement or input by the moving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는 입력부(10)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입력기구부(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기구부(20)의 예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mechanism unit 20 to facilitate the data input to the input unit 10. An example of such an input mechanism 20 is shown in FIGS. 17 and 18.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 입력기구부(20)를 다양한 재질의 끈과 같은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시에만 입력기구부(20)를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영역(50)에 얹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는 베이스(40)에 체결되어 있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a) of FIG. 17, whe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put member 20 is connected to a member 30 such as a string of various materials. By connecting using), the input mechanism unit 20 can be placed and used on the input area 50 such as a touch screen only during data input. The connecting member 30 is fastened to the base 40.

이때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기구부(20)의 저면에는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대응하는 부위에 돌기(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기구부(20)의 저면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올려지면, 입력부(10)는 입력기구부(20)의 각 돌기(21)를 감지하여, 중앙의 돌기(21)에 기준위치(S)가 배치되고 주변의 돌기(21)에 제1지시위치(D1)가 배치된 것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입력기구부(20) 상에서 기준위치(S)와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각 입력을 수행하면 그러한 입력동작이 입력부(10)에 전달되어 상기 입력부(10)는 각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ure 17, the bottom of the input mechanism 20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21 o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When the bottom of the input mechanism 20 is placed on the touch screen, the input unit 10 detects each protrusion 21 of the input mechanism 20, and the reference position S is disposed at the central protrusion 21. Then, it is understood th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is disposed in the peripheral protrusion 21. Therefore, when each inpu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on the input mechanism unit 20 is performed, such an input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put unit 10, the input unit 10 input corresponding to each input Generate a signal.

여기서 상기 입력기구부(20)는 기준위치(S)와 각 지시위치(D1)에 대한 입력이 용이하도록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ut mechanism 2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facilitate inpu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each indication position (D1).

한편, 도 18에는, 입력기구부(20)가 띠형상을 갖는 본체(23)와, 본체(23)에 마련되며 입력부(10)에 대한 입력이 수행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25)와, 본체(23)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베이스(4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동지지부(27)를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ure 18, the input mechanism 20 is a main body 23 having a belt shape, the receiving portion 25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3, the input to the input unit 10 is receivably operable, and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moving support portion 27 which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23 and coupled to the slide groove 41 formed in the base 40 to slide.

이 경우, 입력기구부(20)가 베이스(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입력기구부(20)가 터치스크린 상의 입력영역(5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5)의 저부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21)가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수용부(25)에서의 입력동작이 입력부(10)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ile the input mechanism 20 moves along the base 40, the input mechanism 20 moves to the input area 50 on the touch screen. And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25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and the projection 21 is formed as shown in (b) of FIG. 17 so that the input operation in the receiving portion 25 is the input portion 10 It is desirable to ensure accurate delivery to.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입력부와 제2입력부가 키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형태로도 응용될 수 있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ar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 However, as in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기본적인 구성Basic composition

도 19는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장착된 전자기기용 단말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전자기기용 단말기는 휴대폰이나 PDA 등이 될 수 있고,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USB 포트가 장착된 USB 장치일 수도 있는데, 도 19에서는 전자기기용 단말기로서 휴대폰을 예시하고 있다.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may be a mobile phone or a PDA, or may be a USB device equipped with a USB port for connecting to a notebook or a computer. In FIG. 19, a mobile phone is illustrated as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상기 전자기기용 단말기에는, 베이스(40)와 디스플레이부(60)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4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1)와, 각종 기능키(41) 및 포트(43)가 구비된다.In the terminal for the electronic device, a base 40 and a display unit 60 are provided, and the base 40 includes a data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unction keys 41 and a port 43. I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버튼이나 키 등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1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19,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ata input device 1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button or a key currently used, or may be modified and used in various forms.

제1방향입력First direction input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는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D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입력부(10a)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 제1지시위치(D1)는 링 형태의 제1입력부(10a)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20 to 25, the first input unit 10a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 Referring to FIGS.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input unit 10a is formed in a ring shape,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is disposed along the ring-shaped first input unit 10a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시위치(D1)가 8개로 마련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제1지시위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4개, 5개, 6개 또는 9개 이상도 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eight instruction positions D1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first instruction positions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four, five, six, or nine or more may be provided.

그리고 각 제1지시위치(D1)에서는 가압에 의한 제1방향입력(P)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입력(P)은 각 지시위치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인데, 이는 완전한 수직방향을 포함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방향입력(O)과 구분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In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the first direction input P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At this time, the first direction input (P) is to press each indication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inclin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econd direction input (O) described below, including the complete vertical direction It can also be done.

제2방향입력Second direction input

제2방향입력은,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기준위치(S)로부터 제1지시위치의 외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외향입력(O)'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외향입력(O)은 제1입력부(10a)의 내측에서 외향으로 상기 제1입력부(10a)의 내측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입력부(10a) 상에 손가락을 얹고 외향을 향해 제1입력부(10a)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n 'outward input O' for pressing the first directing position D1 toward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directing positions D1. The outward input O may be made by pressing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0a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outer side. Alternatively, the outward input O may be placed on the first input unit 10a and face outward. It may also be achieved by pressing the first input unit 10a.

한편, 상기 제1입력부(10a)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 지시위치별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1은 분리된 형태의 제1입력부(10a)를 예시한 것이고, 도 23은 일체로 이루어진 제1입력부(10a)를 예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formed integrally or in a separate form for each indication position. FIG. 21 illustrates the separated first input unit 10a, and FIG. 23 illustrates the integrated first input unit 10a.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제1입력부(10a)에서는 각 제1지시위치별로 분리되어 각 제1지시위치(D1)에 대한 제1방향입력(P)과 외향입력(O)이 독립적으 로 수행된다. 이러한 분리형 입력부(10a)에서의 제1방향입력(P)과 외향입력(O)은 도 22의 (a) 내지 (c)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1, in the detachable first input unit 10a, the first direction input P and the outward input O for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are independently separated by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Is performed. The first direction input P and the outward input O in the separate input unit 10a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22A to 22C.

즉,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a)에 대해 제1방향입력(P)을 수행하면 제1감지부(71)가 제1방향입력(P)에 의한 가압을 감지하여 제1방향입력(P)에 할당된 제1데이터가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입력된다.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2, 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to the input unit 10a, the first sensing unit 71 detects the pressurization by the first direction input P. The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P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not shown) and input by the controller (not shown).

그리고 상기 제1입력부(10a)를 외향으로 가압하는 외향입력(O)을 수행하면, 입력부(10a)의 외측에 마련된 제2감지부(73)가 외향입력(O)에 의한 가압을 감지하여 상기 외향입력(O)에 할당된 제2데이터가 메모리부로부터 추출되어 제어부에 의해 입력된다. 이때 외향입력(O)은 제1입력부(10a)를 외향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When the outward input O for pressing the first input unit 10a outward is performed, the second sensing unit 73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put unit 10a senses the pressurization by the outward input O. The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outward input O is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and input by the controller. At this time, the outward input O is performed by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outward.

또는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방향입력(P) 및 외향입력(O)은 도 22의 (a)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22B,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At this time, the first direction input P and the outward input O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또한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는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외향입력(O)은 제1방향입력(P)과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다만 제1지시위치(D1)를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P)과는 달리, 외향입력(O)에서는 상기 제1지시위치의 외부로 연장된 제1입력부(10a)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제1입력부(10a)는 도 22의 (a) 및 (b)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1지시위치를 넘어 제1입력부(10a)의 연장 된 부위를 쉽게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2C,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provided to extend outward. In this case, the outward input O is configured to press from the top like the first direction input P. However, unlike the first direction input P that presses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the outward input O In (O), the first input portion 10a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s pressed.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input unit 10a is formed in a relatively low form compared to FIGS. 22A and 22B, the first input unit 10a can easily press the extended portion of the first input unit 10a beyo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have.

한편, 제1입력부(10a)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2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압에 의해 제1방향입력(P)이 수행되고, 외측으로의 제1입력부(10a)의 뒤틀림에 의해 외향입력(O)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1입력부(10a)에는, 제1입력부(10a)를 외향으로 밀때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개의 돌기(18)가 마련될 수도 있고 마찰력이 강한 고무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입력부(10a)는 뒤틀린 상태에서 손가락을 떼면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입력부를 외향으로 민다는 것은, 수평방향으로의 가압이 아니라 제1입력부를 감싸듯이 비트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rovided integrally as shown in Fig. 23, as shown in Figs. 24 (a) and 24 (b), the first direction input (P) by the vertical pressure This may be performed, and the outward input O may be performed by twis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outsid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8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input unit 10a so that the fingers do not slip when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ushed outward, or may be made of a rubber-like material having strong frictional force.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finger is released from the twisted state. Here, pushing the first input unit outward means not twis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wisting the first input unit as if it wraps.

아울러, 상기 제1입력부(10a)의 하단에는 제1입력부(10a)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9)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19)의 상부에는 감지부(7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70)는 제1방향입력(P)과 외향입력(O)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되고, 광센서나 압력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부(70)는 제1입력부의 외향으로의 뒤틀림에 의해 제1입력부 하단이 제1입력부의 다른 부분에 대해 뒤틀리는 것을 외향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upport member 19 for suppor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input unit 10a, and a sensing unit 70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9.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70 may be provided to separately detect the first direction input P and the outward input O, and an optical sensor or a pressure sensor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sensing unit 70 may detect an outward input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put unit is warped with respect to another part of the first input unit by the outward distortion of the first input unit.

그런데 상기 감지부(70)는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 구분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감지부는 가압을 감지할 수 있어 제1방향입력(P)을 감지하고, 제2감지부는 뒤틀림에 의한 접촉이동을 감지하여 외향입력(O)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ensing unit 70 may be provided by being divided into a first sensing unit and a second sensing unit.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unit may sense a pressurization to sense the first direction input P, and the second sensing unit may sense the outward input O by sensing the contact movement due to distortion.

그리고 도 20에서는 외향입력이 입력부의 내측에서 입력부를 향하는 직선 형태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외향입력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외향입력은 이상에서 설명한 외향으로의 다양한 입력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outward input is shown in a straight line form from the inside of the input unit toward the input unit in FIG. 20, this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outward input, and the outward inp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input forms to the outward described above.

즉, 도 22의 (a), (b)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입력(O)이 제1입력부를 외측으로 가압 또는 기울이거나 뒤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입력(O)은 각 제1지시위치에서 제1입력부의 외측으로 휘어지는 곡선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a), (b) and FIG. 24 of FIG. 22, when the outward input O is configured to press, tilt, or twist the first input unit to the outside, FIG. As shown in), the outward input O may be expressed in a curved form that is ben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put unit at each first indication position.

또한,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입력(O)이 제1입력부의 외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입력(O)은 각 제1지시위치의 방사상 외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C, when the outward input O is configured to press the outside of the first input unit, as shown in FIG. 25B, the outward input O )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pressing the radially outer side of each first indication position.

한편, 제2방향입력은 외향이 아닌 기준위치(S)를 향하는 내향으로 가압하는 '내향입력(I)'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inward input (I)' to press inward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S) rather than outward.

이때 내향입력(I)은, 제1입력부(10a)의 외부에서 제1입력부(10a)의 외측을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입력부(10a) 상에서 기준위치(S)를 향하여 가압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내향입력(I)은 반드시 가압에 의해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고, 제1입력부(10a)를 내향으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도 28에서 내향입력(I) 참조).In this case, the inward input I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out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0a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input unit 10a, and to press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S on the first input unit 10a. It may also be in the form. The inward input I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only by pressing,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inward (see inward input I in FIG. 28).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1입력부(10a)는 분리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일체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formed in a separate form or in an integral form.

한편, 도 27 내지 도 31에서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인 내향입력과 외향입력이 조합된 형태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시위치(D1)에 대한 수직 가압에 의해 제1방향입력(P)이 수행되고, 각 지시위치에 대해 외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제2방향입력 중 외향입력(O)이 수행되며, 각 지시위치에 대해 내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제2방향입력 중 내향입력(I)이 수행된다.27 to 31 illustrate that the first direction input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the inward input and the outward input, are performed in a combined form. That is, the first direction input P is performed by vertical pressing on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D1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he pressure is directed outwardly to each instruction position. The outward input O is performed during the two-way input, and the inward input I is per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input by pressurizing inward to each of the indicated positions.

이와 같이 각 입력(P, O, I)이 수행가능한 본 실시예에서도 제1입력부(10a)가 분리형태 또는 일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태로 제1입력부(10a)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가 구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inputs P, O, and I may be performed,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formed in a separated form or an integrated form. That is, when the first input unit 10a is formed in a separated form as shown in FIG. 21,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27.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입력부(10a)는 도 2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압에 의한 제1방향입력(P)을 제1감지부(71)가 감지하고, 외향으로의 외향입력(O)과, 내향으로의 제3방향입력(I)을 각각의 제2감지부(73, 75)가 감지한다. 이때 외향입력(O)과 내향입력(I)은 상기 제1입력부(10a)를 기울이면서 이루어져 해당 방향의 감지부(73, 75)에 기울임이 감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more detail, as illustrated in FIG. 28A, the first input unit 10a detects the first direction input P by the vertical pressure and detects the first direction input P in the outward direction. Each of the second sensing units 73 and 75 detects the outward input O and the third direction input I toward inward. At this time, the outward input O and the inward input I are formed while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so that the inclination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s 73 and 75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또는 도 2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는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는 수직방향의 가압에 의한 제1방향입력(P)을 제1감지부(71)가 감지하고, 외향으로의 기울임에 의한 외향입력(O)과, 내향으로의 기울임에 의한 내향입력(I)을 제2감지부(73, 75)가 각각 감지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8B,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and outward. At this time, the first sensing unit 71 detects the first direction input P by the vertical pressure, the outward input O by tilting outward, and the inward input I by tilting inward. ) Are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s 73 and 75, respectively.

또한 제1입력부(10a)는 도 2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과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제1지시위치(D1)로부터 외측과 내측을 직접 가압하여 외향입력(O)과 내향입력(I)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28의 (c)에 도시된 제1입력부(10a)는 도 28의 (a) 및 (b)에 도시된 제1입력부(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되므로, 제1입력부(10a) 상을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P)과, 제1입력부(10a)를 넘어 수행하는 외향입력(O), 및 제1입력부(10a) 내측의 내향입력(I)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8C,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ly and outwardly. In this case, the outward input O and the inward input I are performed by directly press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from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input unit 10a illustrated in FIG. 28C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input unit 10a illustrated in FIGS. 28A and 28B,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used. The first direction input P for pressing the image, the outward input O performed over the first input unit 10a, and the inward input I inside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smoothly performed.

아울러, 제1입력부(10a)는 도 2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력부(10a)의 외주연에는 돌기(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18)는 제1입력부(10a)를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전시킬 때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1입력부(10a)의 회전이 감지부(73, 75)에서 감지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d) of FIG. 28. In this case, a protrusion 18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put unit 10a, which prevents slipping of a finger when the first input unit 10a is rotated outward or inward. The rotation of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s 73 and 75.

그리고 도 28의 (d)와 같은 제1입력부(10a)에서는, 제1입력부(10a)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벽(19a)이 마련될 수 있고 지지벽(19a) 사이에는 제1입력부(10a)가 장착되는 안착부(19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9b)와 지지벽(19a) 사이에 제1감지부(71)가 마련되어 상기 제1입력부(10a)의 가압에 의해 안착부(19b)가 제1감지부(71)를 가압할 때 제1방향입력(P)을 감지한다.In the first input unit 10a as shown in FIG. 28D, a support wall 19a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input unit 10a, and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walls 19a. There is provided a seating portion (19b) is mounted. In addition, a first sensing unit 71 is provided between the seating unit 19b and the support wall 19a so that the seating unit 19b presses the first sensing unit 71 by pressurization of the first input unit 10a. When detect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P).

또한 제1입력부는 도 2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압에 의한 제1방향입력(P)을 제1감지부(71)가 감지하고, 외향으로의 외향입력(O)과, 내향으로의 내향입력(I)을 제2감지부(73, 75)가 각각 감지한다. 이때 도 28의 (e)에 도시된 입력 부는, 외향입력(O)과 내향입력(I)이 상기 제1입력부(10a)를 기울이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28의 (a) 및 (b)에 도시된 입력부와 동일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e) of FIG. 28, the first input unit detects the first direction input P by the vertical pressure, and the first sensing unit 71 detects the outward input O toward the outside. The second sensing units 73 and 75 respectively detect the inward input I toward inward. At this time, the input unit shown in (e) of Figure 28, the outward input (O) and inward input (I) is made in Figs. 28 (a) and (b) in that the inclined first input unit (10a). Same as the input unit shown.

다만 도 28의 (e)에 도시된 제1입력부에서는, 제1입력부(10a)의 저부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9c)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눌려지거나 기울여지면서 제1 및 제2감지부(71, 73, 75)에 접촉되어 입력이 수행되고, 도 28의 (a) 및 (b)에 도시된 입력부에서는 메탈돔으로 이루어진 감지부에 의해 입력부를 통한 각 방향입력이 감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도 28의 (a) 및 (b)와 같은 형태의 제1입력부에서는 각 방향입력시 각 감지부에서 클릭감을 느낄 수 있지만, 도 28의 (e)와 같은 형태의 제1입력부에서는 각 방향입력시 클릭감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8의 (e)에 도시된 제1입력부에서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입력부(10a)에 대해 방향입력을 수행할 때 클릭감을 느낄 때까지 제1입력부를 가압하거나 기울이지 않더라도 하나의 손가락으로 신속하게 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n the first input unit illustrated in (e) of FIG. 28,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71, while the bottom of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ressed or inclined while being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19c such as a spring, are provided. 73 and 75, an input is performed, and in the input unit illustrated in FIGS. 28A and 28B,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each dire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s sensed by a sensing unit made of a metal dome. That is, in the first input unit of FIGS. 28A and 28B, the sensing unit may feel a click when each direction is input, but in each direction of the first input unit of FIG. 28E. It can be performed without a feeling of click upon input. Therefore, in the first input unit illustrated in (e) of FIG. 28, one finger may be pressed even if the first input unit is not pressed or tilted until a click feeling is sensed when the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on the first input unit 10a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irection input quickly.

한편, 제1입력부(10a)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 상에 마련된 지지부재(19)에 제1입력부(10a)가 설치되어 상기 제1입력부(10a)의 가압과 뒤틀림에 의해 제1 및 제2방향입력(P, O, I)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9) 상에는 제1입력부(10a)에 대한 수직가압을 감지함과 아울러, 뒤틀림을 감지하되 뒤틀림의 방향에 따라 외향입력(O)과 내향입력(I)을 감지하는 감지부(70)가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input unit 10a is integrally provided as shown in FIG. 23,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29 to 31. That is, as shown in FIG. 29, the first input unit 10a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9 provided on the base 40 so that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ressed and twisted by the first input unit 10a. Direction inputs P, O, and I may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vertical pressure on the first input unit 10a on the support member 19 and detects the distortion while detecting the outward input O and the inward input I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arp. 70) may be provided.

이때 제1입력부(10a)에서는, 수직가압에 의한 제1방향입력(P)을 감지하는 제 1감지부와, 외향으로의 뒤틀림에 의한 외향입력(O)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내향으로의 뒤틀림에 의한 내향입력(I)만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input unit (10a), the firs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P) by the vertical pressure, the sensing unit for detecting only the outward input (O) by the distortion to the outward, and inward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only the inward input (I) by the distortion.

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입력부(10a)의 하부에는 베이스(40)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지지부재(19)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9) 하부에는 제1입력부(10a)의 수직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71)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9)에는 제1입력부의 내부로 연장되어 제1입력부(10a)와 함께 탄성 변형되면서 변형되는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77)가 마련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0, the first input unit 10a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a support member 19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base 4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put unit 10a. A first sensing unit 71 is provided below the support member 19 to sense vertical pressure of the first input unit 10a.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9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sensing unit 77 that extends into the first input unit and senses a deformation direction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input unit 10a.

이때 상기 제1감지부(71)와 방향감지부(77)는 각 지시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nsing unit 71 and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77 are provided only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struction positions.

그리고 도 30에 도시된 제1입력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도 28에 도시된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input unit illustrated in FIG. 3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one piece, the first input unit illustrated in FIG.

한편, 제1입력부(10a)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입력부(10a)에는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2줄의 감지라인(78)이 마련되고, 각 지시위치에 대한 상기 감지라인(78) 상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제1방향입력(P)으로 파악되며, 각 지시위치에서 외향으로 이동하면서 2줄의 감지라인(78)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면 외향입력(O)으로 파악되고, 각 지시위치에서 내향으로 이동하면서 2줄의 감지라인(78)을 순차적으로 접촉하면 내향입력(I)으로 파악된다. 이때 상기 제1입력부(10a)에는 각 제1지시위치를 구분하기 위한 구획선(12)이 표시된다. Meanwhile,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provided as a touch type as shown in FIG. 31. That is,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rovided with two lines of sensing lines 78 for detecting the touch of the finger,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ensing line 78 for each instruction position. It is identified as (P), and when two lines of sensing lines 78 are sequentially touched while moving outward at each indicating position, it is recognized as an outward input (O), and two lines of sensing lines moving inward at each indicating position. If 78 is sequentially contacted, it is regarded as an inward input I. In this case, a partition line 12 for distinguishing each first indication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input unit 10a.

그리고 도 27에서는 외향입력(O)이 제1입력부의 내측에서 제1입력부를 향하는 직선 형태와 내향입력(I)이 제1입력부의 외측에서 제1입력부를 향하는 직선 형태로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외향입력 및 내향입력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5를 토대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향입력(O) 및 내향입력(I)은 이상에서 설명한 외향 또는 내향으로의 다양한 입력형태로 구현되고 표시될 수 있다.In FIG. 27, the outward input O is shown in a straight line shape toward the first input part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input part and the inward input I is shown in a straight line shape toward the first input part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input par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 the outward input O and the inward input I may be implemented and displayed in various input forms to the outward or inward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

한편, 제2방향입력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 양측에 돌출부(18a, 18b)가 마련되어 상기 각 돌출부(18a, 18b)에 대한 가압에 의해 외향입력과 내향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33의 우측의 돌출부(18a)에 대한 입력은,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가압되면서 수행되므로 외향입력(O)이라 할 수 있고, 좌측의 돌출부(18b)에 대한 입력은, 내측으로 기울어지거나 가압되면서 수행되므로 내향입력(I)이라 할 수 있다.32 and 33, protrusions 18a and 18b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input unit 10a, so that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input outwardly by pressing against each of the protrusions 18a and 18b. And inward input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input to the protrusion 18a on the right side of FIG. 33 is performed while being inclined or pressed outward, it can be referred to as an outward input O, and the input to the protrusion 18b on the left side is inclined or pressed inward. Since it is performed, it may be referred to as an inward input (I).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방향이 전혀 상반된 2개의 입력을 통해 각 방향입력을 보다 명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direction input can be more clearly performed through the two inputs in which the directions are completely opposite.

제3방향입력3rd direction input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에서의 제3방향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방향입력은 제1입력부 전체의 이동에 의한 전체이동입력과, 제1입력부 내부에 마련된 제2입력부 자체의 이동, 상기 제2입력부 상에서의 접 촉 이동, 가압에 의한 중앙이동입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Next, a third direction input in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direction input includes the total movement input by the movement of the entire first input un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input unit itself provided inside the first input unit, the contact movement on the second input unit, and the central movement by pressurization. Can be distinguished by input.

먼저 제3방향입력중 전체이동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the entire moving input among the third direction inputs will be described.

도 34에서는, 본 실시예의 제1 및 제2방향입력에 대해 제1입력부(10a) 자체의 이동에 의한 전체이동입력(A)이 추가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방향입력(P, O, I)에 전체이동입력(A)이 추가된 형태를 주로 설명하지만, 제1방향입력 및 외향입력(P, O), 제1방향입력 및 내향입력(P, I)에서 각각 전체이동입력(A)이 추가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FIG. 34, a form in which the entire movement input A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input unit 10a itself is added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inputs of this embodiment is illustrated. That is, the following description mainly describes the form in which the entire moving input A is added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 inputs P, O, and I, but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outward inputs P, O, and the first direction. In one direction input and inward input (P, I),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that the entire movement input (A) is added respectively.

이때 전체이동입력(A)은 제1입력부(10a) 외부에 마련된 제3감지부(미도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입력부(10a)는 베이스(40)와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이동입력(A)이 수행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this case, the entire movement input A may be detected by a third sensing unit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first input unit 10a. The first input unit 10a is connected to the base 40 by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first input unit 10a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entire movement input A is performed.

또한 전체이동입력(A)와 외향입력(O) 또는 내향입력(I)의 구분은, 기준위치(S)나 제1입력부(10a)의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키(미도시)를 통해 제1입력부(10a) 자체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별도의 키를 선택하면 제1입력부(10a)가 이동될 수 있게 잠금해제되어 제1입력부(10a) 자체의 이동에 의해 전체이동입력(A)이 수행가능하고, 별도의 키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면 제1입력부(10a)는 잠금 상태로 되어 전체이동입력(A)이 수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vision between the entire movement input A and the outward input O or the inward input I may be performed by using a first key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reference position S or the first input unit 10a. This may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input unit 10a itself. That is, when a separate key is selected, the first input unit 10a is unlocked to be moved so that the entire movement input A can be per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input unit 10a itself. When it is released,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locked so that the entire movement input A may not be performed.

또는 전체이동입력(A)은 이하에서 설명될 제2입력부(10b)를 전체적으로 가압함에 의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입력부(10b)를 전체적으로 가압하면 이를 전체이동입력로의 모드변경으로 파악하여 제2입력부를 이동시키면 전체이동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entire movement input A may be provided by pressing the second input unit 10b to be described below as a whole. 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input unit 10b is pressed as a whole, this may be regarded as a mode change of the entire moving input path, and when the second input unit is moved, the entire moving input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방향입력(P, O, I, A)이 수행될 수 있고, 각 방향입력에 의해 8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총 32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 24자 또는 영어의 알파벳 26자를 모두 배열하고, 나머지에는 띄어쓰기, 취소 및 확인 등와 같은 기능을 배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to third direction inputs P, O, I, and A may be performed, and eight data may be input by each direction input, a total of 32 data may be input. It becomes possible. Therefore, all 24 letters of Korean or 26 letters of English can be arranged, and other functions such as spacing, cancellation and confirmation can be arranged.

다음으로, 중앙이동입력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enter shift input will be described.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위치(S)에 제2입력부(10b)가 제1입력부(10a)와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부(10b)에서는 기준위치(S)로부터 각 제1지시위치(D1)를 향하여 가압 또는 이동하여 중앙이동입력(C)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동입력(C)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전체이동입력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는, 총 40개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입력 가능한 데이터 용량을 늘리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5, the second input unit 10b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input unit 10a at the reference position S. In FIG. The second input unit 10b may perform a central movement input C by pressing or moving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 toward each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6, when the central movement input C is additionally perform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the entire movement input described above, a total of 40 data can be input. Therefore, it can be usefully u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input.

또는 상기 중앙이동입력(C)은 마우스 기능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1)를 마우스 모드로 사용하면, 중앙이동입력(C)에 의해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을 수행하고,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전체이동입력(P, O, I, A) 중 하나 이상을 마우스의 좌/우 버튼과 스크롤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entral movement input C may be used as a mouse function. In this case, when the data inpu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in the mouse mode, the mouse pointer is moved by the central movement input C, and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the entire movement input are performed. One or more of (P, O, I, A) can be used as the left / right and scroll buttons of the mouse.

또한 중앙이동입력은 게임시 캐릭터 이동에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제1방향입력, 제2방향입력 및 전체이동입력(P, O, I, A) 중 하나 이상을 캐릭터에 대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movement input may be used to move the character during the game, and at this time, various commands for the character may be input to one or more of the first direction input,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the entire movement input (P, O, I, A). Can be used.

상기에서 언급된 제3방향입력 중 전체이동입력(A)은 도 37과 도 38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부(10b)에 대해 접촉 또는 가압을 하게 되면 제1입력부(10a)와 제2입력부(10b) 전체가 제1지시위치(D1)를 향하여 이동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입력부(10a)는 키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접촉 또는 가압을 감지하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촉각센서, 압력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제1방향입력(P) 및 제2방향입력(O, I)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entire movement input A of the third direction input mention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S. 37 and 38. That is, as shown in FIG. 37, when the second input unit 10b is contacted or pressed, the entire first input unit 10a and the second input unit 10b are moved towar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In this case, although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 the first input unit 10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tactil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contact or pressure. Inputs O and I may be arranged to be performed.

또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입력부(10b)를 가압하면 제1입력부(10a)와 제2입력부(10b) 전체가 전체이동입력(A)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38에서는 제1입력부(10a)가 가압에 의한 제1방향입력(P)과 외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제2방향입력(O)을 수행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입력부(10a)에 대한 제2방향입력(O)에서는, 제2입력부(10b)는 이동하지 않고 제1입력부(10a)의 해당 부분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38, when the second input unit 10b is pressurized, the entire first input unit 10a and the second input unit 10b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entire movement input A. FIG. In this case, in FIG. 38, the first input unit 10a is provided to perform the first direction input P by pressing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O by moving outward. Here, in the second direction input O to the first input unit 10a, the second input unit 10b may be configured to move only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input unit 10a without moving.

제1지시위치와 제2지시위치의 배열형태Arrangement type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nd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다음으로 상기에서 언급된 제1방향입력의 수행의 기초가 되는 제1지시위치와, 제2방향입력의 수행의 기초가 되는 제2지시위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됨에 따른 입력 형태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hange of the input for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of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on which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and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on which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in various ways. do.

즉,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1지시위치(D1)와, 상기 제1지시위치(D1)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지시위치(D2)가 마련된다. 이때 제1지시위치(D1)는, 도 39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2 내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하여 사각형 형태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9 to 46,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from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s D1 ( D2) is provid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9 to 41,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D1 may be disposed radially spaced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as shown in FIGS. 42 to 46, the reference position ( It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a rectangular shape with respect to S).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9에서는, 8개의 제1지시위치(D1)가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고, 각 제1지시위치에는 다시 제1지시위치를 중심으로 4개의 제2지시위치(D2)가 배치된다. 이때 제2지시위치(D2)는 기준위치(S)를 향하는 내향방향, 내향방향의 반대인 외향방향, 상기 내향방향과 외향방향에 직각인 2개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More specifically, in FIG. 39, eight first directing positions D1 are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ur second directing positions D2 are disposed at the first directing positions again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ng positions. do. At this time,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D2) is disposed in two circumferenti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inward direction, the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ward direction,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S), the inward direction and outward direction.

이는 기준위치(S)에 대한 손가락의 이동 편의를 고려한 것으로, 사용자는 손가락의 자연스런 움직임에 따라 각 지시위치에 할당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the user can input the data assigned to each of the indication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movement of the finger.

그리고 각 제1지시위치(D1)에는 제1감지부(71)가 마련되고, 각 제2지시위치(D2)에는 제2감지부(73)가 마련된다. 따라서 각 제1지시위치를 가압하면 이를 제1감지부가 감지함으로써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다.In addition, a first sensing unit 71 is provided at each first indicating position D1, and a second sensing unit 73 is provided at each second indicating position D2. Therefore, when each first indication position is pressed,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detecting the first detection unit.

또한 각 제2지시위치를 향하여 입력부를 가압하거나 기울이면 이를 제2감지부(73)가 감지함으로써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방향입력이 입력부를 외향으로 가압하거나 기울여서 수행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지시위치(D2)를 향하여 제1입력부를 가압하거나 기울이는 것을 제2방향입력(M)이라고 칭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2방향입력(M)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외향입력(O)과 내향입력(I)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when the input unit is pressed or inclined toward each of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s, the second sensing unit 73 detects this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He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y pressing or tilting the input unit outward.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pressing or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toward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D2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input ( It is called M). That is,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in this embodiment is used in the concept including the outward input O and the inward input I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한편, 도 40에서는, 제2지시위치(D2)가 각 제1지시위치(D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배치된다. 따라서 각 제1지시위치에 대해 제2지시위치는 서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제2지시위치를 숙지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FIG. 40,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D2 is dispos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D1. Therefore, since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is easy to know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도 41에서는, 도 39와 동일하게 제1지시위치가 방사상으로 배열되지만,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제2지시위치는 내향방향 및 외향방향으로만 배치된다. 이는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배치되는 제1지시위치에서는 4개의 제2지시위치를 배치하여 각각 4개의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하고,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대각 방향에 배치되는 제2지시위치에서는 2개의 제2지시위치를 배열하여 각각 2개의 제2방향입력(M)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2개의 제2지시위치는 내향방향 및 외향방향에 배치함으로써 손가락의 자연스런 이동에 따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이다.In FIG. 41, similarly to FIG. 39,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are arranged radially, but 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in the diagonal directions,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are disposed only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outward direction. In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rrang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four second indication positions are arranged to respectively perform four second direction inputs M, and the reference position S is centered. In order to perform two second direction inputs M by arranging two second indication positions at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s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s. In addition, the two second indication positions are arranged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outward direction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input according to the natural movement of the finger is possible.

도 42 내지 도 46에서는, 제1지시위치(D1)가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고, 각 제1지시위치에는 2개 또는 4개의 제2지시위치(D2)가 배열된다. In FIGS. 42 to 46,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D1 are arranged in a square shape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wo or four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D2 are arranged at each first instruction position.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2 및 도 43에서는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는 4개의 제2지시위치가 배열되고,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는 2개의 제2지시위치가 배열된다. More specifically, in FIG. 42 and FIG. 43, four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are arranged 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wo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are arranged 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are arranged.

이때 도 42에서는,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제2지시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해당 제2지시위치로 제1입력부(10a)를 가압하거나 기울여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At this time, in FIG. 42,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by pressing or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corresponding second indication position. do.

그리고 도 43에서는,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제2지시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해당 제2지시위치로 제1입력부(10a)를 가압하거나 기울여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In FIG. 43,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is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by pressing or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corresponding second indication position. do.

한편, 도 44 내지 도 46에서는,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 4개의 제2지시위치가 배열되고, 상하좌우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는 2개의 제2지시위치가 배열된다. On the other hand, in FIGS. 44 to 46, four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are arranged 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S, and two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rrang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4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제2지시위치가 내향방향 및 외향방향으로 배치되어 해당 제2지시위치로 제1입력부(10a)를 가압하거나 기울여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More specifically, in FIG. 44,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is disposed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outward direction at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ress or tilt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corresponding second indication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he input M is arranged to be performed.

그리고 도 45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제2지시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해당 제2지시위치로 제1입력부(10a)를 가압하거나 기울여서 제2방향입력(M)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In FIG. 45, the second directing positions are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first directing position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is performed by pressing or tilting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corresponding second directing positions. Prepared.

또한 도 46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서 제2지시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해당 제2지시위치로 제1입력부(10a)를 가압하거나 기울여서 제2방 향입력(M)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in FIG. 46, the second directing position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directing posi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ress or incline the first input unit 10a to the second directing position to perform the second direction input M. FIG. It is prepared to be.

이때 도 44 내지 도 46에서 대각 방향의 제1지시위치에는 각 4개의 제2지시위치가 배열되고, 각 제2지시위치는 제1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2지시위치는 제1지시위치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이 아닌, 대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four second instruction positions are arranged a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s in the diagonal directions in FIGS. 44 to 46, and each second instruction position is dispos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bout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The second indication position may be disposed in a diagonal direction, not up, down, left, or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제1입력부(10a)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형이나, 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분리형이나 일체형의 제1입력부는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input unit 10a illustrated in FIGS. 39 to 46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type as shown in FIG. 21 or as an integrated type as shown in FIG. 23. In this case, the detachable or integrated first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28 to 31.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 전체가 제1지시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방향입력 중 전체이동입력(A)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0a)의 중앙에 제2입력부(10b)가 마련되어 제2입력부(10b)에 의한 제3방향입력 중 중앙이동입력(C)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중앙이동입력(C)에 의해서는 마우스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34, the entire movement input A may be performed among the third direction inputs in which the entire first input unit 10a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35, the second input unit 10b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input unit 10a to perform the center movement input C among the third direction inputs by the second input unit 10b. In this case, the mouse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entral movement input C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제1방향입력 8가지와 제2방향입력 32가지가 가능하여 총 40가지의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1 내지 도 4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제1방향입력 8가지와 제2방향입력 24가지가 가능하여 총 32가지의 서로 다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각 지시위치에 영어 알파벳 26자 또는 한글 자모 24자를 모두 배열할 수 있고, 남는 지시위치에는 각종 기능키(엔터, 띄어쓰기, 취소, 확인, 모드변경 등)를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39 and 40 in the present embodiment, eight first direction inputs and 32 second direction inputs are possible, so that a total of 40 different data can be input. 41 to 46, eight first direction inputs and 24 second direction inputs are possible, so that a total of 32 different data can be input. Therefore, in the forms shown in Figs. 39 to 46, all 26 English alphabets or 24 Korean alphabet letters can be arranged at each instruction position, and various function keys (enter, space, cancel, confirmation, mode change, etc.) are lef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 Can be used.

만일 도 39 내지 도 46과 같은 형태만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모드 할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체이동입력(A)과 중앙이동입력(C)이 수행되도록 하여 입력가능한 데이터 개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최대의 경우,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형태에 의한 40가지와, 전체이동입력 8가지 및 중앙이동입력 8가지가 가능하여 총 56가지의 서로 다른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If the mode to be inputted cannot be assigned in the form of FIGS. 39 to 46 only, the total number of input data may be increased by performing the entire movement input A and the central movement input C. FIG. Therefore, in the maximum case, 40 types according to the forms shown in FIGS. 39 and 40, 8 total moving inputs and 8 central moving inputs are possible, and thus, 56 different data can be input. .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접촉입력 및 가압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act input and a pressurization input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수직가압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ertical pressure input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이동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input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제2방향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direction input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수평가압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7 and 8 are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horizontal pressure input to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기울임이동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ilt movement input for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경사가압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0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inclined pressure input to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 대한 조합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11 to 13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ombinational input to an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에서 기준위치와 제1지시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ference position and a first indication position in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 면,15 and 16 are views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기구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7 and 18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inpu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장착된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2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분리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구성도,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chable data input device;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분리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구현방식을 도시한 도면,FIG. 22 is a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manner of the removable data input device shown in FIG. 21;

도 23은 일체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도시한 구성도,2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grated data input device;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일체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구현방식을 도시한 도면,24 is a view showing an implementation manner of the integrated data input device shown in FIG. 23;

도 25는 도 20에 따른 실시예의 개념에 대한 다른 표현예를 도시한 개념도, 2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xpression example of the concept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0;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2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2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other embodiment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분리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다른 구현방식을 도시한 도면,28 is a view showing another implementation manner of the detachable data input device;

도 29 내지 도 31은 일체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다른 구현방식을 도시한 도면,29 to 31 are views showing another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data input device;

도 32 및 도 33은 데이터 입력장치의 다른 구현방식을 도시한 도면,32 and 33 illustrate another implementation of the data input device;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다른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3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ncept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또 다른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3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ncept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6 내지 도 38은 도 35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장치의 구현예를 도시한 개념도,36 to 38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data input device shown in FIG. 35;

도 39 내지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의 또 다른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39 to 46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yet another concept of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5)

전자장치용 단말기에서의 소정의 감지영역을 구비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In a data input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terminal, 상기 감지영역에서 위치 변위 가능한 기준위치 및 상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복수의 제1지시위치에 대한 접촉 또는 가압을 구분하여 감지하고, 상기 접촉 또는 가압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distinguishing and detecting a contact position or a pressurization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sitions that are positionally displaceable in the sensing area and a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or pressurization; And 상기 입력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접촉, 가압지점 또는 가압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할당된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inputting data allocated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by determining the contact of the finger, the pressing point or the pressing direction from the input sig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부는, The input unit, 상기 기준위치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1외향이동입력과, A first outward movement input moving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reference position; 상기 기준위치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외향으로 이동하는 제2외향이동입력과, A second outward movement input moving outward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without contacting the reference position;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는 제1내향이동입력 및A first inward movement input that moves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until it contacts the reference position; and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에 접촉하기 전까지 내향으로 이동하는 제2내향이동입력을 구분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And generating the input signal by dividing a second inward movement input moving inwardly until it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입력부는, The input unit,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제1관통이동입력과, 상기 기준위치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제2관통이동입력을 구분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A first through movement input moving through the reference position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and a second through movement input moving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struction positions through the reference position; And classifying and generating the input sig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접촉 상태에서 수행되는 이동입력과 가압 상태에서 수행되는 이동입력을 구분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And a movement input performed in a contact state and a movement input performed in a pressurized state to generate the input sig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상기 제1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2지시위치에 대한 접촉입력이나 가압입력, 또는 상기 제2지시위치로 향하는 이동입력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더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And further generating a corresponding input signal by detecting a contact input or a pressurizing input or a moving input directed to the second instruction position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first instruction position. In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제1지시위치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덮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배치되며, 상기 손가락이 상기 입력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수직으로 가압하는 수직가압입력, 상기 손가락이 상기 입력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수평가압입력, 상기 손가락이 상기 입력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가압하는 경사가압입력 중 하나 이상의 가압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is dispos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covered with one finger, and a vertical pressure input for vertically press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with the finger placed on the input unit. A horizontal pressure input for applying a pressure radially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while the finger is placed on the input uni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when the finger is placed on the input unit;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f the pressure input of the inclined pressure input to pressurizing while increasing the pressure in one radial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에 얹혀진 손가락의 수평가압입력―여기서, 수평 가압은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수평으로 압력을 가하는 입력임―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 및A moving unit which is moved by a horizontal pressing input of a finger placed on the input unit, wherein the horizontal pressing is an input for applying a pressure horizontally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And 상기 복수의 제1지시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A sensing unit dispos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ndication positions to sens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and 7 to 8,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입력부의 이동 거리에 대한 장단, 또는 상기 입력부에 대한 가압의 세기에 따라 2가지 이상의 신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And the input signal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ignals according to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input part or the strength of the pressing force on the input part.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and 7 to 8, 상기 입력신호는 2가지 이상의 입력이 연속하여 수행되면, 상기 각각의 입력에 따른 데이터와 상이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And the input signal generat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data different from the data according to each input when two or more inputs are successively per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and 7 to 8, 상기 입력부는 손가락의 접촉면적을 감지하여 획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면적의 중앙위치를 파악한 뒤, 상기 중앙위치를 토대로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제1지시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The input unit detects the contact area of the finger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btain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contact area and then determines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first indication position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베이스에 마련되고,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기준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외향 가압하는 제2방향입력 및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기준위치의 방향으로 내향 가압하는 제3방향입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입력부;A first direction input provided at a base of 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pres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in a vertical direction; One or more direction inputs of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ne outwar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a third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ne of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i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eference position are each independently performed. An input unit;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및 A third sensing unit sensing the thir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제1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3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3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3방향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sensing unit,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is extracted from a memory,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sensed through the second sensing unit,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Extracting the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from the memory, and when the thir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third sensing unit, the third data allocated to the third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rom the memory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입력부 전체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외향으로 이동되는 제4방향입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방향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4방향입력에 할당된 제4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entire input unit independently performs a fourth direction input in which the entirety of the input unit is moved outwardly toward the one of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ourth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as the fourth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And extracting from the memory unit the fourth data allocated to the four-way input.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외향으로 가압 또는 이동하는 제5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중앙입력부가 상기 기준위치에 추가로 구비되며,The center input unit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ference position to perform a fifth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r moving out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압입력부의 제5방향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5방향입력에 할당된 제5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controller extracts and executes, from the memory unit, fifth data allocated to the fifth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as the fifth direction input of the medium voltage input unit is per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각각에서 비틀어짐이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지고,The input unit is made of an elastic body that can be twist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cating positions, 상기 제2감지부 또는 제3감지부는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비틀어짐의 방향을 통해 상기 제2방향입력 또는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And the second sensing unit or the third sensing unit senses the second direction input or the third direction input through a twisting direction at the instruction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베이스에 마련되고,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의 외측을 가압하는 제2방향입력 및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의 내측을 가압하는 제3방향입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입력부;A first direction input provided at a base of the terminal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pres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radially spaced about a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at least one direction input among a second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ne outside and a third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ne inside of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상기 제3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 및 A third sensing unit sensing the thir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제1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1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2방향입력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3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3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3방향입력에 할당된 제3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first sensing unit,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is extracted from a memory,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sensed through the second sensing unit,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Extracting the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second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from the memory, and when the third direction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third sensing unit, the third data allocated to the third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from the memory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제35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입력부 전체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외향으로 이동되는 제4방향입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방향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지시위치에서의 제4방향입력에 할당된 제4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entire input unit independently performs a fourth direction input in which the entirety of the input unit is moved outwardly toward the one of the plurality of instruction positions,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fourth direction input at the instruction position as the fourth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And extracting from the memory unit the fourth data allocated to the four-way input. 전자장치용 단말기의 베이스에 마련되고, 소정의 입력반경 내에서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방향입력 및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를 중심으로 방사상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입력부;A first direction input and a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provided on a base of the electronic device terminal and press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radiu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second direction inputs moving in any one direction among a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s disposed radially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A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e first direction input;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the second direction input; And 상기 제1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When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unit, first data allocated to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is extracted from a memory, and when the second direction input is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the first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d executing the second data allocated to the two-way instruction position from the memory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Data input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서 상기 기준위치를 향하는 내향방향, 상기 내향방향의 역방향인 외향방향, 상기 내향방향과 외향방향에 직각인 2개의 원주방향 중 2 이상의 방향에 상기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plurality of second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in at least two of two circumferenti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inward direction, the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inward direction toward the reference position at each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Data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angement. 제3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입력부 전체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외향으로 이동하는 제4방향입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방향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의 제4방향입력에 할당된 제4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The entire input unit independently performs a fourth direction input of moving outward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ward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 as the fourth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And extracting from the memory unit the fourth data allocated to the fourth direction input in the memory. 제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외향으로 가압 또는 이동하는 제5방향입력이 수행되는 중앙입력부가 상기 기준위치에 추가로 구비되며,The central input unit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ference position to perform a fifth direction input for pressing or moving out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owar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rection indicating posit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입력부의 제5방향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서의 제5방향입력에 할당된 제5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controller extracts and executes, from the memory unit, fifth data allocated to the fifth direction input at the first direction indication position as the fifth direction input of the central input unit is per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27859A 2008-03-31 2009-03-31 Data input device KR100994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859A KR100994362B1 (en) 2008-03-31 2009-03-31 Data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615 2008-03-31
KR1020080112285 2008-11-12
KR1020090027859A KR100994362B1 (en) 2008-03-31 2009-03-31 Data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81A KR20090104781A (en) 2009-10-06
KR100994362B1 true KR100994362B1 (en) 2010-11-16

Family

ID=4153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859A KR100994362B1 (en) 2008-03-31 2009-03-31 Data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3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213A (en) 2014-02-11 2015-08-19 이주협 Touch execution device using a thumb
KR20200124189A (en) 2014-02-11 2020-11-02 이주협 Touch execution device using a thum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319B1 (en) * 2013-04-10 2020-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043A (en) 2002-04-09 2003-10-24 Polymatech Co Ltd Display screen ope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3043A (en) 2002-04-09 2003-10-24 Polymatech Co Ltd Display screen oper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213A (en) 2014-02-11 2015-08-19 이주협 Touch execution device using a thumb
KR20200124189A (en) 2014-02-11 2020-11-02 이주협 Touch execution device using a thum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81A (en)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370B1 (en) Data input device
JP2011516948A (en) Data input device
KR100954594B1 (en) Virtual keyboard input system using pointing apparatus in digial device
JP2010507861A (en) Input device
KR20090059079A (en) Data input device
KR101077790B1 (en) Data Input Device
KR20090059078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73997A (en) Data input device
KR20080010266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006718A (en) Data input device by detecting finger&#39;s moving
KR20080010364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0994362B1 (en) Data input device
KR20080050351A (en) Data input device
KR101063100B1 (en) Device for inputting data
KR10083533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method
KR20080082551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00033879A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20130025306A (en) Device for inputting data
KR20090112197A (en) Character input device
RU2450318C2 (en) Apparatus for inputting symbols and method of using said apparatus
KR200800701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99768A (en) Data input device
KR20100039777A (en) Data input device
KR200800756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125008A (en) Data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