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539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396B1
KR100985396B1 KR1020070002220A KR20070002220A KR100985396B1 KR 100985396 B1 KR100985396 B1 KR 100985396B1 KR 1020070002220 A KR1020070002220 A KR 1020070002220A KR 20070002220 A KR20070002220 A KR 20070002220A KR 100985396 B1 KR100985396 B1 KR 10098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frame
information
relay st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3155A (en
Inventor
오창윤
강현정
장영빈
조재원
임형규
손영문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7122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31158B1/en
Priority to US11/953,358 priority patent/US8681743B2/en
Publication of KR2008005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3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중계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프레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수행 중 상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각 프레임 구조마다 갖는 전송 지연 및 오버헤드 간의 상호 조건(Trade off)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using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the process of perform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a predetermined relay station,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dur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and using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and having a transmission delay and over for each frame structure. The advantage is that the trade off between the heads can be freely selected.

다중 홉 중계방식, 프레임 구조, 프레임 구조 변경, 중계국, 제어메시지 Multi-hop relay method, frame structure, frame structure change, relay station, control message

Description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 선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SELECT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APPARATUS AND METHOD SELECT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general multi-hop relay method;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bas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중계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y station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bas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중계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y station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1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nd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using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ulti-hop relay method. Is in.

차세대 통신시스템인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통화량을 수용하기 위하여 반경이 매우 작은 셀들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현재의 무선망 설계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 중앙 집중적인 설계가 불가능해 질 것이다. 즉, 상기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는 분산적으로 제어되고 구축되면서도, 새로운 기지국(Base station)의 추가와 같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중앙 시스템의 제어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자율적으로 또한 분산적으로 구성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율적 적응형(Self-Configurable) 무선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야 한다.In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a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cells having a very small radius are installed to enable high speed communication and to accommodate more call volume. In this case, centralized design using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sign method will be impossible. That is, while the wireless network of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tributed and controlled, it must be able to actively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addition of a new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configured as a self-configurable wireless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utonomously and distributedly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without control of a central system.

상기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상기 자율적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중계국(Relay station)을 이용한 다중 홉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utonomous adaptive wireless network required in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relaying technique for transmitting data in a multi-hop form using a relay station may be applied.

일반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Mobile station) 간에 하나의 직접 링크(direct link)로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링크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망 구성의 유연성(flexibility)이 낮아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의 변화가 심한 무선환경에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In general, since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direct link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having high reliability can be easily configur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However, sinc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s fixe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fficient service in a wireless environment in which the traffic distribution or the call demand is changed due to low flexibility of the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변의 여러 단말기 또는 중계국을 이용하여 다중 홉 형태로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법은 주변 환경변화에 대해 빠르게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계 기법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중계국을 설치하여 상기 중계국을 통한 다중 홉 중계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중 홉으로 구성된 중계 경로를 이용하여 음영 지역과 같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의 단말들에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어, 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drawbacks,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apply a relaying method of transferring data in a multi-hop form using several terminals or relay stations in the vicinity. The relay technique can quickly reconfigure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ore efficiently operate the entire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relay scheme may provide a radio channel having a better channel state to the terminal by configuring a multi-hop relay path through the relay station by installing a relay st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addition, by using the multi-hop relay path, a high-speed data channel can be provided to terminals in a reg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such as a shaded region, thereby expanding a cell region.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general multi-hop relay method.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서비스 영역(101)에 포함되는 단말(110)과 직접 링크로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서비스 영역(101) 밖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120)과 중계국(130)을 통해 중계 링크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station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10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101. On the other hand, the base station 100 is located outside the service area 101 and is connected to the relay link through the terminal 120 and the relay station 130 having a poor channel state.

즉,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단말(120)이 상기 서비스 영역(101)의 외곽 또는 건물 등에 의해 차폐현상이 심한 음영지역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 상기 중계국(130)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120)에 더욱 우수한 무선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다중 홉 릴레이 기법을 적용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지역에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상기 중계국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단말사이의 신호를 중계하기 때문에 기지국과 단말 링크뿐만 아니라 기지국과 중계국 링크와 중계국과 단말 링크가 구성된다.That is, the base station 100 uses the relay station 130 when the terminal 120 is located in a shaded area where shielding is severe due to the outside of the service area 101 or a building, and the channel state is po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tter wireless channel to the terminal 120.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100 can provide a high-speed data channel to a cell boundary region having a poor channel state by applying the multi-hop relay scheme, and can expand the cell service region. In this case, since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relays a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using the relay station, not only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but also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re configured.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기 도 2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시스템의 프레 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However,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 fram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Here, FIG. 2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e system.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2 shows a fram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은 하향링크 부프레임(20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21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frame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200 and an uplink subframe 210.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200)은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동기 채널, 제어 정보 및 하향링크 버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210)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버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ownlink subframe 200 inclu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control information, and a downlink burst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uplink subframe 210 is configured to include control information and uplink burst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 링크에 대한 자원만 할당된다. 따라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단말 링크뿐만 아니라,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링크와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 자원을 할당하는 프레임 구조가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ram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only resources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re allocated. Accordingly, when the multi-hop relay method is used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 frame structure for allocating resources to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s well as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for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 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각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structure information to each RS u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BW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초기 접속하는 중계국으로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rame structure information to a relay station initially connecte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 변경시 접속 중인 중계국으로 프레임 구조 변경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rame structure change information to a relay station that is connected when a frame structure is change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서빙 노드에서 프레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소정 중계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수행 중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a serving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the process of perform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a predetermined relay station,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dur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서빙 노드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정보에 포함된 프레임 구조 및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이 되면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structure in a relay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cludes perform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a serving node, and receiving frame information from the serving node.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including the step of check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relay service start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rame information, and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using the frame structure when the relay service start tim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서빙 노드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빙 노드와 동기를 맞추고 프레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노드로 초기 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structure in a relay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a serving node and using the control signal. Synchronizing with the serving node and checking frame information, and requesting initial access to the serving node.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서빙 노드에서 프레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은, 프레임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와 접속 중인 중계국들이 상기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는 시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 및 변경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a serving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cludes, when a frame structure is changed, a frame structure that is changed and relay stations connected to the frame are changed. And checking the time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structur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and the changed ti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서빙 노드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프레임 구조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신호에서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구조의 변경 시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구조 변경 시점이 되면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structure in a relay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cludes: connecting to a serving node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changing a frame structure from the serving node; When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s received, checking a frame structure changed from the signal and change time information of the frame structure,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when the frame structure change time arriv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빙 노드 장치는, 상기 서빙 노드의 프레임 구조를 확인하는 프레임 구조 확인부와, 상기 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제어 메시지를 하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 serving node device includes a frame structure checking unit for checking a frame structure of the serving node, and a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frame structure information. And a transmitter for generating the message generator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message to the lower relay st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시스템 환경(예: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적합한 상기 프레임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technique for selectively using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using the frame structure selectively according to a system environment (eg, frame length).

또한, 이하 설명은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및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다른 다중 접속 방식 및 다른 분할 복신 기반의 통신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for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scheme, and another multiple access scheme and another divided duplex basis. The same applies to th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하기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중 홉 중계방식을 지원한다.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s a multi-hop relay method using a frame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3 and 5.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fram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은 하향링크 부프레임(30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31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30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310)은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구간(301, 311), 제 2 구간(303, 313), 제 3 구간(305, 315)으로 구분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rame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300 and an uplink subframe 310. In this case, the downlink subframe 300 and the uplink subframe 310 are the first interval (301, 311), the second interval (303, 313), the third interval (305, 315) using time resources. Separated by.

먼저 상기 제 1 구간(301, 311)은 기지국과 단말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중계국과 단말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first intervals 301 and 311 include a subframe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nd a subframe for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다음으로 상기 제 2 구간(303, 313)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중계국과 중계국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홀수 홉 종단 중계국과 단말링크를 위한 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second section 303, 313 includes a subframe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 subframe for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and a subframe for the odd hop end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마지막으로 상기 제 3 구간(305, 315)은 상기 기지국과 1홉 중계국을 위한 부프레임과 중계국과 중계국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짝수 홉 종단 중계국과 단말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nally, the third section 305, 315 includes a subframe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1-hop relay station, a subframe for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and a subframe for the even-hop terminal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상기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300)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310) 사이에는 시간 보호 영역인 TTG(Transmit/receive Transmission Gap)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는 시간 보호 영역인 RTG(Receive/Transmit Transmission Gap)가 존재한다.In the frame structure, a TTG (Transmit / receive Transmission Gap), which is a time protection region, exists between the downlink subframe 300 and the uplink subframe 310. In addition, there is a Receive / Transmit Transmission Gap (RTG) that is a time protection reg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은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Using the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operate as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4 illustrates a frame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번째 프레임(400)은 하향링크 부프레임(41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4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41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420)은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구간(411, 421), 제 2 구간(413, 423), 제 3 구간(415, 425)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i-th frame 400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410 and an uplink subframe 420. In this case, the downlink subframe 410 and the uplink subframe 420 use a time resource to use a first section 411 and 421, a second section 413 and 423, and a third section 415 and 425.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상기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이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기지국(430)은 하향링크 부프레임(41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420)의 제 1 구간(411, 421)과 제 2 구간(413, 423)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 1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430)은 제 3 구간(415, 425) 동안 1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When 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es using the frame structure, first, the base station 430 firstly divides the first intervals 411 and 421 of the downlink subframe 410 and the uplink subframe 420 from each other. The terminal 1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two sections 413 and 423.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430 communicates with the one-hop relay station during the third periods 415 and 425.

다음으로 홀수 홉 중계국(440)은 상기 제 1 구간(411, 421)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 2와 통신을 수행한다.Next, the odd-hop relay station 44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intervals 411 and 421.

상기 홀수 홉 중계국(440)은 상기 제 2 구간(413, 423) 동안 다음 짝수 홉 중계국(45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홀수 홉 중계국(440)이 종단 홉 중계국인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2 구간(413, 423) 동안 상기 단말 2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odd hop relay station 440 communicates with the next even hop relay station 450 during the second period 413 and 423. Here, when the odd hop relay station 440 is an end hop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 during the second intervals 413 and 423.

상기 홀수 홉 중계국(440)은 상기 제 3 구간(415, 425) 동안 이전 짝수 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홀수 홉 중계국(440)이 1홉 중계국인 경우, 상기 중계국(440)은 상기 제 3 구간(415, 425) 동안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odd hop relay station 440 communicates with a previous even hop relay station during the third interval 415, 425. Here, when the odd-hop relay station 440 is a one-hop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44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during the third periods 415 and 425.

마지막으로 짝수 홉 중계국(450)은 상기 제 1 구간(411, 421)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 3과 통신을 수행한다.Finally, the even-hop relay station 45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3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intervals 411 and 421.

상기 짝수 홉 중계국(450)은 상기 제 2 구간(413, 423) 동안 이전 홀수 홉 중계국(440)과 통신을 수행한다. The even-hop relay station 450 communicates with the previous odd-hop relay station 440 during the second intervals 413 and 423.

상기 짝수 홉 중계국(450)은 상기 제 3 구간(415, 425) 동안 다음 홀수 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짝수 홉 중계국(450)이 종단 홉 중계국인 경우, 상기 중계국(450)은 상기 단말 3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even-hop relay station 450 communicates with the next odd-hop relay station during the third period 415, 425. Here, when the even-hop relay station 450 is an end hop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45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 frame configuration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은 하향링크 부프레임(50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51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50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510)은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구간(501, 511)과 제 2 구간(503, 513)으로 구분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rame includes a downlink subframe 500 and an uplink subframe 510. In this case, the downlink subframe 500 and the uplink subframe 510 are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501 and 511 and a second section 503 and 513 using time resources.

먼저 상기 제 1 구간(501, 511)은 기지국과 단말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중계국과 단말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the first intervals 501 and 511 are configured to include a subframe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nd a subframe for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다음으로 상기 제 2 구간(503, 513)은 기지국과 1홉 중계국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중계국과 중계국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과 종단 중계국과 단말 링크를 위 한 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second intervals 503 and 513 include a subframe for the base station and the 1-hop relay station link, a subframe for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and a subframe for the end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상기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500)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510) 사이에는 시간 보호 영역인 TTG(Transmit/receive Transmission Gap)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는 시간 보호 영역인 RTG(Receive/Transmit Transmission Gap)가 존재한다.In the frame structure, there is a TTG (Transmit / receive Transmission Gap) that is a time protection region between the downlink subframe 500 and the uplink subframe 510. In addition, there is a Receive / Transmit Transmission Gap (RTG) that is a time protection reg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이 세 홉 이상으로 구성되면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을 하나의 슈퍼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이 동작한다.When using the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5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system is configured with three or more hops, two frames are configured as one super frame as shown in FIG.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operat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6 illustrates a frame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번째 프레임(600)과 (i+1)번째 프레임(630)은 하향링크 부프레임(611, 631)과 상향링크 부프레임(613, 6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프레임들(611, 613, 631, 633)은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제 1 구간(621, 625, 641, 645)과 제 2 구간(623, 627, 643, 647)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i-th frame 600 and the (i + 1) -th frame 630 include downlink subframes 611 and 631 and uplink subframes 613 and 633. In this case, the subframes 611, 613, 631, and 633 are divided into first sections 621, 625, 641, and 645 and second sections 623, 627, 643, and 647 using time resources. do.

상기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이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기지국(650)은 상기 제 1 구간(621, 625, 641, 645)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 1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650)은 상기 i번째 프레임(600)의 제 2 구간(623, 627) 동안 1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i+1)번째 프레임(630)의 제 2 구간(633, 637) 동안 상기 단말 1과 통신을 수행한다.When the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es using the frame structure, the base station 650 firs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period 621, 625, 641, and 645. .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650 communicates with the 1-hop relay station during the second intervals 623 and 627 of the i-th frame 600, and the second interval (i + 1) -th frame 630 ( 633, 637 and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

다음으로 홀수 홉 중계국(660)은 상기 제 1 구간(621, 625, 641, 645)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 2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홀수 홉 중계국(660)은 상기 i번째 프레임(600)의 제 2 구간(623, 627) 동안 이전 짝수 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i+1)번째 프레임(630)의 제 2 구간(633, 637) 동안 다음 짝수 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Next, the odd-hop relay station 66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period 621, 625, 641, 645. In addition, the odd-hop relay station 660 communicates with the previous even-hop relay station during the second intervals 623 and 627 of the i-th frame 600, and transmits the first of the (i + 1) th frames 630. Communicate with the next even hop relay station during two intervals (633, 637).

이때, 상기 홀수 홉 중계국(660)이 상기 1홉 중계국인 경우, 상기 중계국(660)은 상기 i번째 프레임(600)의 제 2 구간(623, 627) 동안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660)은 상기 (i+1)번째 프레임(630)의 제 2 구간(633, 637) 동안 2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odd-hop relay station 660 is the one-hop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66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s 623 and 627 of the i-th frame 600. In addition, the relay station 660 communicates with the two-hop relay st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s 633 and 637 of the (i + 1) th frame 630.

상기 홀수 홉 중계국(660)이 종단 홉 중계국인 경우, 상기 중계국(660)은 상기 (i+1)번째 프레임(630)의 제 2 구간(633, 637) 동안 상기 단말 2와 통신을 수행한다.When the odd-hop relay station 660 is an end hop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66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2 during the second intervals 633 and 637 of the (i + 1) th frame 630.

마지막으로 짝수 홉 중계국(670)은 상기 제 1 구간(621, 625, 641, 645)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 3과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짝수 홉 중계국(670)은 상기 i번째 프레임(600)의 제 2 구간(623, 627) 동안 다음 홀수 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i+1)번째 프레임(630)의 제 2 구간(633, 637) 동안 이전 홀수 홉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Finally, the even-hop relay station 67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3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period 621, 625, 641, 645. In addition, the even-hop relay station 670 communicates with the next odd-hop relay station during the second intervals 623 and 627 of the i-th frame 600, and performs the first of the (i + 1) th frame 630. Communicate with the previous odd hop relay station during two intervals (633, 637).

이때, 상기 짝수 홉 중계국(670)이 종단 홉 중계국인 경우, 상기 중계국(670)은 상기 i번째 프레임(610)의 제 2 구간(623, 627) 동안 상기 단말 3과 통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even-hop relay station 670 is an end hop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670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3 during the second periods 623 and 627 of the i-th frame 610.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정의된 상기 도 3과 도 5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는 각각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다.The frame structures shown in FIGS. 3 and 5 defined for using the multi-hop relay scheme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먼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구조는, 중계국이 한 프레임 동안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신호를 하위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First, in the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a relay station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for one fram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lower relay station.

따라서, 상기 중계국은 한 프레임 동안 신호를 중계할 수 있으므로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중계국은 상기 프레임의 제 2 구간에서 제 3 구간으로 전환되는 동안 동작 전환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제 2 구간과 제 3 구간 사이에는 상기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동작 전환 자원이 필요하다.Therefore, the relay station can relay a signal for one frame, thereby reducing the transmission delay. However, the relay station performs operation switching while switching from the second section to the third section of the frame. Accordingly, an operation switching resource for operation switching of the relay station is required between the second interval and the third interval of the frame.

다음으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구조는, 상기 중계국이 제 1 프레임 동안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제 2 프레임 동안 상기 신호를 하위 중계국으로 전송한다.Next, in the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the RS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or an upper RS during a first fram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lower RS during a second frame.

따라서, 상기 중계국은 두 프레임에 걸쳐 신호를 중계하므로 전송 지연이 발생한다. 하지만, 상기 제 1 프레임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프레임에서 신호를 송신하므로 상기 중계국의 동작 전환에 필요한 자원을 줄일 수 있다. Thus, the relay station relays the signal over two frames, causing a transmission delay. However, since the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second frame, resources required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station can be reduced.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시스템마다 서로 다른 길이의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마다 2ms ~ 20ms 내에서 특정 길이의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에서 정해진 프레임 길이와 구조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든 노드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한다. 즉, 상기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프레임 길이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동일한 시스템에 포함되는 모든 노드들은 동일한 프레임 길이와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frames having different lengths for different systems. For example, a frame of a specific length may be used within 2 ms to 20 ms for each system. In this case, the frame length and structure defined in the system are commonly used by all nodes included in the system. That is, although the systems can communicate using different frame lengths and frame structures, all nodes included in the same system communicate using the same frame length and structure.

만일,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짧은 길이(예 : 2ms)의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의 길이기 짧기 때문에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의 동작 전환 자원은 상기 시스템에 큰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즉, 상기 t시스템에서 상기 동작 전환 자원은 상기 도 5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에서 나타나는 전송 지연보다 상기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If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ame having a short length (for example, 2 ms), since the frame length is short, the operation switching resource of the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is a large overhead for the system. Works. That is, in the t system, the operation switching resource has a greate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an the transmission delay shown in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상기 짧은 길이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도 3의 프레임 구조보다는 상기 도 5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이다.Therefore,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the short frame, it is more efficient to support the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5 than the frame structure of FIG. 3.

한편,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긴 길이(예 : 20ms)의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길이기 길기 때문에 상기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의 동작 전환 자원은 상기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즉,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도 5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에서 나타나는 전송 지연은 상기 동작 전환 자원보다 상기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ame having a long length (for example, 20 ms), since the frame length is long, the operation switching resource of the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ystem. . That is, the transmission delay shown in the frame structu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in the system has a greater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than the operation switching resource.

따라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상기 긴 길이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도 5의 프레임 구조보다는 상기 도 3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이다.Therefore,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the long frame, it is more efficient to support the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3 than the frame structure of FIG. 5.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시스템 환경(예 : 프레임 길이)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지국과 중계국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기지국에서 중계국으로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상위 중계국에서 하위 중계국으로 프레임 구조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ulti-hop relay method, it is more efficient to selectively use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eg, frame length).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for selectively using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xample of transmitting frame structure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to a relay station is described. However,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transmitting frame structure information from the upper relay station to the lower relay station.

이하 설명에서 하기 도 7과 도 8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초기 접속시 시스템의 프레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과 상기 프레임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프레임 정보는 시스템 환경(예 : 프레임 길이)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구조와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 서비스를 시작할 프레임 번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프레임 정보는 초기 접속 후 상기 중계국이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위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영역 정보의 시작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에 초기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영역을 이용하여 초기 접속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상기 도 3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1 구간(301, 311)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초기 접속을 수행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IGS. 7 and 8 describe operations of a base station for providing frame information of a system at initial access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relay station for receiving the fram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fram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ncludes a frame structure selected by a system environment (for example, a frame length) and a frame number to start a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In another embodiment, the frame information may includ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area information for the RS to communicate with a higher node to perform a relay service after initial access. Here, when the relay station performs initial access to the base station, the relay station performs initial access using an area for the base st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the frame structure of FIG. 3, the RS performs initial access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intervals 301 and 311.

만일,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상기 도 5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1 구간(501, 511)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초기 접속을 수행한다.If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the frame structure of FIG. 5, the RS performs initial access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sections 501 and 511.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ase station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701단계에서 임의의 중계국으로부터 초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base station first checks whether an initial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n arbitrary relay station in step 701.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초기 접속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예 : 프레임 길이)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구조와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 서비스를 시작할 프레임 번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상기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기 이전에 확인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수행 중에 상기 프레임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초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When the initial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lay station, the base station checks frame information of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 step 703. Here, the frame information includes a frame structure selected by a system environment (for example, a frame length)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frame number to start a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Her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checks the frame information before perform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However, the base station may check the frame information dur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check the frame information before the initial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상기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기지국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통신 상태(예 : 부하량)를 확인하여 상기 중계국의 초기 접속 수행 수락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중계국의 초기 접속 수행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After confirm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705 to determine its communication status (eg, load)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y station accepts the initial access. If the relay station accepts the initial access, the base station performs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the relay station.

상기 초기 접속 수행 중, 상기 기지국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상기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 및 상기 프레임 번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초기 접속 절차의 마지막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전송한다. 즉, 상기 초기 접속의 마지막 절차가 등록 절차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등록 응답 메시지에 상기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지원가능한 프레임 구조마다 특정 인덱스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사용하는 프레임 구조의 인덱스를 상기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만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어 메시지에 상기 중계 링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위치 정보만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 링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영역의 제어 메시지에 상기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During the initial access,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707 and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of the system to the relay sta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o the relay station using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message. In another embodiment,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frame number using the last control message of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That is, when the last procedure of the initial access is a registration procedure, the base station include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in the registration response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station. Here,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an assign a specific index for each supportable frame structure.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index of a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 the control message. If the base station includes only th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an area for starting a service using the relay link in the control message may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o the relay station by includ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in a control message of a region for starting a service using the relay link.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base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중계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ay station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계국은 80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동기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8, first, the RS acquires synchronization with the BS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received from the BS in step 801.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한 후, 상기 중계국은 8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초기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After acquiring synchroniz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RS proceeds to step 803 to transmit an initial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base station.

이후, 상기 중계국은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초기 접속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Thereafter, the RS proceeds to step 805 to check whether an initial access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만일, 상기 초기 접속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If the initial access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e RS proceeds to step 807 to perform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수행 중 상기 중계국은 8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 구조 정보 및 프레임 번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접속 링크의 DCD 메시지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중 마지막 절차의 제어 메시지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중계국이 중계 링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Dur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the RS proceeds to step 809 to check whether a control message including fram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Here, the frame information includes the frame structure information and the frame number. For example, the control message indicates a DCD message of the access link of FIG. 3 or 5 or a control message of the last procedure of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In another embodiment, the frame information may includ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an area for the relay station to start a service using a relay link.

만일, 상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어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프레임 구조와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서비스를 시작하는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번호는, 상기 중계국이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제 1 구간(접속 링크(Access Link)이 아니라 중계 링크(Relay Link)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프레임 번호를 나타낸다. 만일, 상기 제어 메시지가 상기 중계 링크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시작 위치에 따른 영역의 제어메시지를 통해 상기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If the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fram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S proceeds to step 811 to determine a frame structure used by the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and a frame number for starting a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Check it. Here, the frame number indicates a frame number for the relay station to start a service using a relay link instead of the first section (Access Link) of FIG. 3 or 5. When the control message includes a start position of an area for starting a service using the relay link, the RS may identify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hrough a control message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start position.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중계국은 8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프레임 번호를 통해 중계 서비스 제공 시점부터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After check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he RS proceeds to step 813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the frame structure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relay service is provided through the frame number.

이후,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relay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하위 중계국의 초기 접속 시 DCD 메시지 또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은 정해진 주기마다 전송하는 DCD메시지에 상기 프레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DCD메시지의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중계국은 상기 초기 접속 요청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받은 DCD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을 상기 기지국과의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수신받은 상기 DCD메시지에 포함된 프레임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으로 초기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using a DCD message or a control message when the lower relay station is initially connected. In another embodiment,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the frame information in a DCD message transmitted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 the same.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eriod of the DCD message, the RS may check fra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CD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before the initial access request. For example, the fra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CD message receiv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relay st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checked. Thereafter, an initial access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초기 접속 절차는,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의 방송 메시지를 수신받아 동기를 획득하는 시점부터 상기 초기 접속이 완료되는 시점까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중계국은 초기 접속 절차 중 상기 기지국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DCD 메시지를 수신받아 프레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DCD메시지뿐만 아니라 별도의 다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국으로 프레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indicates from the time when 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broadcast message of the base station and acquires synchronization to the time when the initial connection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RS can check frame information by receiving a DCD message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BS dur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Here, the base station can provide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using a separate message as well as the DCD message.

다음으로, 하기 도 9와 도 10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이 변하여 상기 시스템 환경에 맞게 상기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기 위한 기지국과 중계국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Next, FIG. 9 and FIG. 10 describe operations of a bas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for changing th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ystem environment by changing the system environment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901단계에서 중계국이 접속되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9, in step 901,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 when the relay station is connected.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 using a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3 or 5.

이후, 상기 기지국은 9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스템의 환경이 변화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를 변경되는지 확인한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903 to determine whether the environment of the system is changed to change the frame structure.

만일, 상기 프레임 구조를 변경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와 상기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이 포함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포함하는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구조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프레임 번호를 전송하여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 정보를 다중 홉에 걸쳐 모든 노드로 전송한 후, 상기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시점에 상기 변경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frame structure is changed,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905 and checks the changed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for applying the frame structure. Here, all nodes included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base station communicate using the same frame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changed frame structure information to all nodes over multiple hops by transmitting a frame number, so that all the nodes can communicate us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at the same time.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기지국은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 변경 제어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중계 링크에 포함되는 DCD 메시지에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중계 링크에 포함되는 중계국 DL(Downlink)-MAP에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 DL-MAP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상기 중계국 DL-MAP의 IE(Information Element) 정보로서 포함시킨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상기 중계국 DL-MAP에 하나의 필드로 포함시키거나, 상기 중계국 DL-MAP의 물리적 동기(PHY synchronization) 내의 필드로 포함시킬 수 있다. After check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and frame number,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907 and transmits a frame structure change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o the relay sta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in the DCD message included in the relay link of FIG. 3 or 5.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in the relay station DL (MA) included in the relay link of FIG. 3 or 5. In this case, when the base station uses the relay station DL-MAP, the frame structure and frame number are included as IE (Information Element) information of the relay station DL-MAP. The base station may include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as one field in the relay station DL-MAP or as a field in PHY synchronization of the relay station DL-MAP.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base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상술한 실시 예는 상기 기지국에서 시스템 환경에 따라 상기 도 3의 프레임 구조와 상기 도 5의 프레임 구조 중 상기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se station selects a frame structure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station from among the frame structure of FIG. 3 and the frame structure of FIG. 5 according to a system environment, and transmits the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다른 실시 예로 두 홉으로 구성된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중계국에 하위 중계국이 연결되어 세 홉 이상의 다중 홉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프레임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a two-hop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extended to three or more hops by connecting a lower relay station to a relay station, the system may change the frame structure.

상기 두 홉으로 구성된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은 부프레임을 직접 링크를 위한 구간과 중계 링크를 위한 구간으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세 홉 이상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슈퍼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The two-hop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ame structure configured by dividing a subframe into a section for a direct link and a section for a relay link. At this time,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s extended to more than three hops, the system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a super frame including two frames as shown in FIG.

즉,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두 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프레임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세 홉 이상의 다중 홉으로 확장되는 경우, 두 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That is,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two hops,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one frame, and when extended to three or more hops,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wo frames.

따라서, 상기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은 하기 <표 1>은 형태로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중계국 DL-MAP을 생성하여 하위 중계국으로 전송한다.Therefore, the base station or the upper relay station generates the relay station DL-MAP including the frame information in the form of Table 1 and transmits it to the lower relay station.

SyntaxSyntax SizeSize NotesNotes Frame_Type_IE()Frame_Type_IE () Extended DUIUCExtended DUIUC 4bits4bits Frame_Type=0xxxFrame_Type = 0xxx LengthLength 4bits4bits Length = 0x03Length = 0x03 Frame Unit changeFrame unit change 1bit1 bit '1' indicate the start that enable 2 frame unit
'0' indicate the start of that enable 1 frame unit
'1' indicate the start that enable 2 frame unit
'0' indicate the start of that enable 1 frame unit
Frame numberFrame number 7bits7bits Frame number that enable 2 frame unitFrame number that enable 2 frame unit

여기서, 상기 Frame_Type_IE는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할 프레임 구조 정보를 나타내는 프레임 유닛 변경(Frame Unit change) 정보와 상기 프레임 구조를 적용할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프레임 번호(Frame Number)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임 유닛 변경 정보가 1인 경우, 두 개의 프레임을 이용하므로 세 홉 이상으로 확장되는 경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프레임 유닛 변경 정보가 0인 경우, 한 개의 프레임을 이용하므로 두 홉 구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Here, the Frame_Type_IE includes frame unit change information indicating frame structure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system and frame number information indicating a frame number to which the frame structure is to be applied. That is, when the frame unit change information is 1, two frames are used, and thus the frame structure when the frame unit change information is extended to three or more hops is shown. In addition, when the frame unit change information is 0, since one frame is used, a frame structure having a two hop structure is show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중계국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ay station operation procedur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계국은 1001단계에서 기지국에 접속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0, first, the RS accesses a base station in step 1001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relay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3 or 5.

이후, 상기 중계국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는,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중계 링크에 포함되는 DCD 메시지 또는 DL-MAP에 포함되어 수신된다.In step 1003, the RS checks whether a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BS. Here, the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is received in a DCD message or DL-MAP included in the relay link of FIG. 3 or 5.

만일, 상기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에서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번호는,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기 위한 시점 정보를 나타낸다.If the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is received, the RS proceeds to step 1005 to check the frame structure and frame number that are changed in the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Here, the frame number indicates viewpoint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frame structure.

상기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중계국은 10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된 프레임 번호부터 상기 확인된 프레임 구조로 변경하여 통신을 수행한다.After confirming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number, the RS proceeds to step 1007 to change the checked frame number from the checked frame structure to perform communication.

이후,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relay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상술한 실시 예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링크 구간 동안 상기 DCD 메시지 또는 DL-MAP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링크 구간 동안 상기 프레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별도로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using the DCD message or DL-MAP during the relay link period. However,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frame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using a message defined separately for transmitting the frame information during the relay link period.

이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블록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하위 중계국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번호를 전송하는 상위 중계국도 상기 기지국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s a block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frame structure and frame number of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relay station as described above. Here, since the upper relay station that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frame number to the lower relay station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e sta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기(1101, 112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or)(1103), OFDM복조기(1105), 복호화기(1107), 메시지 처리부(1109), 제어부(1111), 프레임 구조 확인부(1113), 메시지 생성부(1115), 부호화기(1117), OFDM변조기(1119),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or)(1121), 스위치(1125) 및 시간제어기(1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1, the base station includes an RF processor 1101 and 1123, an analog / digital convertor 1103, an OFDM demodulator 1105, a decoder 1107, and a message processor 1109. Control unit 1111, frame structure checker 1113, message generator 1115, encoder 1117, OFDM modulator 1119, digital / analog converter 1121, switch 1125 And a time controller 1127.

먼저 상기 시간제어기(1127)는 프레임 동기에 근거해서 상기 스위치(112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신호를 수신하는 구간이면, 상기 시간제어기(1127)는 안테나와 수신단의 RF처리기(1101)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1125)를 제어한다. 또한, 신호를 송신하는 구간이면 상기 안테나와 송신단의 RF처리기(1123)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1125)를 제어한다.First, the time controller 1127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1125 based on frame synchronization. For example, if a signal is received, the time controller 1127 controls the switch 1125 so that the antenna and the RF processor 1101 of the recei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period, the switch 1125 is controlled to connect the antenna and the RF processor 1123 of the transmitting end.

수신 구간동안, 상기 RF처리기(110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RF(Radio Frequency))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3)는 상기 RF처리기(1101)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복조기(1105)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3)에서 출력되는 샘플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출력한다.During the reception period, the RF processor 1101 frequency down convert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received through an antenna into a baseband analog signal.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103 converts an analog signal from the RF processor 1101 into sample data and outputs the sample data. The OFDM demodulator 1105 performs fast Fourier transform on the sample data output from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1103 and outputs data in a frequency domain.

상기 복호화기(1107)는 상기 OFDM복조기(1105)로부터의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에서 실제 수신하고자 하는 부반송파들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여 출력한다.The decoder 1107 selects data of subcarriers to be actually received from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from the OFDM demodulator 1105, demodulates the selecte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level (MCS level), and Decode and output

상기 메시지 처리부(1109)는 상기 복호화기(110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메시지를 분해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111)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과 같이 중계국의 초기 접속 요청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111)로 제공한다.The message processor 1109 decomposes a control message input from the decoder 1107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111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n initial access request signal of a relay station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11.

상기 제어부(111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1109)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들에 대한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메시지 생성부(1115)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11)는 상기 중계국의 초기 접속 또는 프레임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 구조 확인부(1113)에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확인하여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로 제공한다.The controller 1111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ssage processor 1109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message generator 1115. In this case, when the initial connection or frame structure of the relay station is changed, the controller 1111 checks the frame structure of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rom the frame structure checking unit 1113 to the message generating unit 1115. to provide.

상기 프레임 구조 확인부(1113)는 상기 기지국이 포함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확인한다.The frame structure checking unit 1113 confirms the frame structure of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base station.

송신 구간동안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는 상기 제어부(1111)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정보들을 가지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물리계층의 부호화기(1117)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의 초기 접속 시,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는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접속 링크 구간의 DCD 메시지에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시간을 포함시켜 상기 부호화기(1117)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의 초기 접속 절차의 마지막 절차의 제어 메시지에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시간을 포함시켜 상기 부호화기(1117)로 출력할 수도 있다.During the transmission period, the message generator 1115 generates a message wit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111 and outputs the message to the encoder 1117 of the physical layer. For example, when the RS is initially connected, the message generator 1115 include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time in the DCD message of the access link section of FIG. 3 or 5 and output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time to the encoder 1117. . In addition,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time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of the last procedure of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of the relay station and output to the encoder 1117.

만일, 상기 중계국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는 상기 도 3 또는 도 5의 중계 링크 구간에 포함되는 DCD 메시지 또는 DL-MAP에 상기 프레임 구조 및 프레임 시간을 포함시켜 상기 부호화기(1117)로 출력한다.If the frame structure is changed while the relay station is connected, the message generator 1115 transmits the frame structure and the frame to the DCD message or DL-MAP included in the relay link section of FIG. 3 or 5. The time is included and output to the encoder 1117.

상기 부호화기(1117)는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로부터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변조수준(MCS레벨)에 따라 부호 및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OFDM변조기(1119)는 상기 부호화기(1117)로부터의 데이터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샘플데이터(OFDM심볼)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21)는 상기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RF처리기(1123)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21)로부터의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The encoder 1117 codes and modulates the data from the message generator 111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level (MCS level) and outputs the encoded data. The OFDM modulator 1119 performs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on the data from the encoder 1117 and outputs sample data (OFDM symbols).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121 converts the sample data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he RF processor 1123 frequency-converts the baseband analog signal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121 to a high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hrough an antenna.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111)는 프로토콜 제어부로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1109),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 및 상기 프레임 구조 확인부(1113)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111)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1109), 상기 메시지 생성부(1115) 및 상기 프레임 구조 확인부(111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이들 모두를 제어부(111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 상기 제어부(1111)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111 is a protocol controller, and controls the message processor 1109, the message generator 1115, and the frame structure checker 1113. That is, the controller 1111 may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message processor 1109, the message generator 1115, and the frame structure checker 1113.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parately configured to describe each function separately. Therefore, in actual implementation, all of them may be configured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11, and only some of them may be configured to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11.

상술한 실시 예는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에 따라 상기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두 개의 프레임 구조 중 하나의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지원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프레임 구조들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by selecting one frame structure among the two frame structures shown in FIGS. 3 and 5 according to a system environment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However, the same applies to selecting other types of frame structures that can be supported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만일, 상기 이동성을 갖는 중계국이 핸드오버(Handover)하여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핸드오버를 수행한 타켓 기지국 또는 타켓 상위 중계국의 프레임 구조를 미리 파악해야한다. 따라서, 상기 서빙 기지국 또는 서빙 상위 중계국은 인접 기지국 또는 인접 상위 중계국 정보에 상기 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즉, 상기 중계국은 서빙 기지국 또는 서빙 상위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인접 기지국 또는 인접 상위 중계국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인접 기지국 또는 인접 상위 중계국들의 프레임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If the base station or the upper relay station is changed due to the handover of the relay station having the mobility, the relay station must grasp in advance the frame structure of the target base station or the target higher relay station that performed the handover. Therefore, the serving base station or the serving upper relay station includes the frame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neighbor base station or neighbor upper relay st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hat is, the RS can grasp the frame structure of the neighbor BS or the neighbor RS through the neighbor BS or the neighbor RS received from the serving BS or the serving R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환경(예 : 프레임 길이)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레임 구조 정보를 하위 중계국으로 알려줌으로써,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각 프레임 구조마다 갖는 전송 지연 및 오버헤드 간의 상호 조건(Trade off)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a frame structure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for example, frame length)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frame structure information is informed to a lower relay station,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a system environ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frame structure can be used, and the trade-off between transmission delay and overhead that each frame structure has can be freely selected.

Claims (40)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서빙 노드에서 프레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a serving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상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frame information; 상기 제어 신호를 하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 lower relay station,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구조 정보, 상기 중계국이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서비스를 시작할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rame information includes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frame and time point at which the relay station starts a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빙 노드는,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erving node is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구조는, 단일 프레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프레임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슈퍼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rame structure is a super frame comprising a single frame or at least one single frame consisting of one 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프레임의 개수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ram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he number of sub-frames constituting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 환경 정보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frame structure is determined according to system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시스템 환경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ystem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length information of a frame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소정 중계국과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a predetermined relay station, 상기 초기 접속 절차 수행 중 상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frame information dur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프레임에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rol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using the interv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s in the fram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중계 서비스를 위해 상기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구간의 시작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In case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a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station for a relay service, 상기 초기 접속 후, 프레임 구조 정보와 상기 중계국이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중계서비스를 시작할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과,After the initial access, genera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frame structur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n the relay station starts the relay service using the frame structure; 상기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구간에서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in a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station.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초기 접속 절차는,The initial access procedure, 상기 프레임에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간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using a peri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s in the 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 신호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또는 초기 접속 절차에서 마지막 절차의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message or a control message of the last procedure in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structure in a relay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서빙 노드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the serving node,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정보에 포함된 프레임 구조 및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When a control signal including fram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ing node, checking a frame structure and relay service start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rame information; 상기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이 되면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relay service starts,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the frame structur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서빙 노드는,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erving node is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 신호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에서 마지막 절차의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DC) message or a control message of a last procedure in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structure in a relay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서빙 노드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ing node;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빙 노드와 동기를 맞추고 프레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Synchronizing with the serving node and checking frame information using the control signal; 상기 서빙 노드로 초기 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고,Requesting initial access to the serving node; 상기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구조와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rame information includes a structure of the frame and relay service start time information.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서빙 노드는,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erving node is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어 신호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rol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message. 삭제delete 제 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서빙노드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an initial access procedure with the serving node; 상기 프레임 정보에 포함된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이 되면 상기 프레임 정보에 포함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start time of the relay service included in the frame information, communicating using the frame structure included in the frame information.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서빙 노드에서 프레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a serving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프레임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와 접속 중인 중계국들이 상기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는 시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When the frame structure is changed, checking the time frame at which the changed frame structure and accessing relay stations change the frame structure;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 및 변경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and the changed time point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서빙 노드는,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erving node is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프레임 구조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frame structure is changed according to system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23항에 있어서,24. 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시스템 환경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의 길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ystem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length information of a frame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국을 통해 목적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소정 구간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predetermined interval allocated for communicating with a destination through the relay station in the frame.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어 신호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하향링크 MAP 메시지,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rol signal is any one of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DC) message, a downlink MAP message, and a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프레임 구조 및 변경 시점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하나의 필드 값,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하나의 IE(Information Element)정보,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물리 동기화(PHY synchronization)의 하나의 필드 값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하향링크 MAP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rame structure and the change time poin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field value of the downlink MAP message, one information element (IE) information of the downlink MAP message, and one of PHY synchronization of the downlink MAP message. Method included in the downlink MAP in the form of any one of the field values.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하향링크 MAP은,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를 통신에 사용할 프레임의 개수로 구분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M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hanged frame structure to be divided into the number of frames to use for communication.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중계국에서 프레임 구조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selecting a frame structure in a relay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서빙 노드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Connecting to the serving node to perform communication; 상기 서빙 노드로부터 프레임 구조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신호에서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구조의 변경 시점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When a signal including frame structure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rving node, checking a frame structure changed in the signal and change time information of the frame structure; 상기 프레임 구조 변경 시점이 되면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frame structure change time is reached, communicating us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서빙 노드는,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serving node is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신호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국을 통해 목적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소정 구간을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ignal is received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allocated for communicating with a destination via the relay station in the frame.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신호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또는 하향링크 MAP 메시지,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ignal may be any one of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message, a downlink MAP message, and a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제 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프레임 구조 및 변경 시점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하나의 필드 값,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하나의 IE정보,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물리 동기화(PHY synchronization)의 하나의 필드 값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하향링크 MAP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rame structure and the modification time point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field value of the downlink MAP message, one IE information of the downlink MAP message, and one field value of PHY synchronization of the downlink MAP message.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downlink MAP in one form. 제 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하향링크 MAP은, 상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를 통신에 사용할 프레임의 개수로 구분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M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changed frame structure to be divided into the number of frames to use for communication.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빙 노드 장치에 있어서,A serving node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상기 서빙 노드의 프레임 구조를 확인하는 프레임 구조 확인부와,A frame structure checking unit for checking a frame structure of the serving node; 상기 프레임 구조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frame structure information; 상기 제어 메시지를 하위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message to a lower relay station. 제 35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상기 서빙 노드는, 기지국 또는 상위 중계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serving node is a base station or an upper relay station. 제 35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상기 프레임 구조 확인부는,The frame structure confirmation unit,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프레임 구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identifying a frame structure selected according to a system environ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35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The message generator, 상기 중계국이 초기 접속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구조 정보와 중계서비스 시작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또는 상기 초기 접속 절차에서 마지막 절차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n the relay station initially accesses, the apparatus comprises generating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message including the frame structure information and the relay service start time information or a control message of the last procedure in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제 35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The message generator, 상기 프레임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프레임 구조 정보 및 상기 프레임 구조 변경 시점 정보를 포함하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 메시지 또는 하향링크 MAP 메시지 또는 프레임 구조 변경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n the frame structure is changed, generating a downlink channel descriptor (DCD) message or a downlink MAP message or a frame structure change message including the changed frame structure information and the frame structure change time information. 제 39항에 있어서,40. 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프레임 구조 및 변경 시점 정보를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하나의 필드 값,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하나의 IE정보, 상기 하향링크 MAP 메시지의 물리 동기화(PHY synchronization)의 하나의 필드 값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ssage generating unit may include one field value of the downlink MAP message, one IE information of the downlink MAP message, and one of PHY synchronization of the downlink MAP message.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cluding in the form of any one of the field values.
KR1020070002220A 2006-12-08 2007-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KR1009853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22761.5A EP1931158B1 (en) 2006-12-08 2007-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53,358 US8681743B2 (en) 2006-12-08 2007-12-10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5020 2006-12-08
KR1020060125020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55A KR20080053155A (en) 2008-06-12
KR100985396B1 true KR100985396B1 (en) 2010-10-05

Family

ID=3980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220A KR100985396B1 (en) 2006-12-08 2007-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3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231A1 (en) * 2022-04-28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of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846A (en) * 1997-03-04 2000-12-26 도날드 디. 먼둘 System and method for data link synchronization
KR20030080874A (en) * 2002-04-11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A multihop forwarding method, apparatus and MAC data structure thereb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846A (en) * 1997-03-04 2000-12-26 도날드 디. 먼둘 System and method for data link synchronization
KR20030080874A (en) * 2002-04-11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A multihop forwarding method, apparatus and MAC data structure there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231A1 (en) * 2022-04-28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of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55A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84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ystem
KR100866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links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JP48761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mission information of broadcast message configured by relay st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ystem
KR100961746B1 (en) Resource al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JP5066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andwidth request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cheme
US82333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49214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989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relay method
KR200700311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links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US86817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4990357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mediate link area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ystem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7001A (en) Resource al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72957B1 (en) Fram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359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KR101349788B1 (en) Apparatus and method communicating multi-frame data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853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fram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KR100866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48639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relay method, base station apparatus, relay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relay program
KR20070117407A (en) Schedul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0130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method
KR1009665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1132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lay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503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relayed data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4179742A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upper-leve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