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228B1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7228B1 KR100977228B1 KR1020080075557A KR20080075557A KR100977228B1 KR 100977228 B1 KR100977228 B1 KR 100977228B1 KR 1020080075557 A KR1020080075557 A KR 1020080075557A KR 20080075557 A KR20080075557 A KR 20080075557A KR 100977228 B1 KR100977228 B1 KR 100977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sor
- liquid crystal
- touch position
- touch
- crystal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 touch sensor function used in a car navigation system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touch position with high accuracy.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 touch sensor function.
표시화면에 대응하여 복수의 도트 전극을 가지는 투명기판과, 상기 복수의 도트 전극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투명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의 포토센서와, 상기 복수의 도트 전극을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 및 소스 라인과,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로부터 센서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센서출력선과,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소스 라인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을 제어해서 복수의 도트 전극을 구동하는 표시구동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로부터의 출력된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투명기판상의 터치위치를 인식하는 터치위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구동제어수단은, 터치위치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인식위치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dot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creen, a plurality of photosensors provid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o as to be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ot electrodes, and a gate for individually driving the plurality of dot electrodes Display driving control means for driving a plurality of dot electrodes by controlling a line and a source line, a sensor output line for outputting a sensor outpu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photosensors, an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gate line and the source line; And a touch posi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a touch posi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based on the sensor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photosensors, wherein the display drive control means includes a recognition position recognized by the touch position recognition mean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rsor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 cursor on.
터치, 커서, 센서 Touch, cursor,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는, 투명기판상의 각 화소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포토 센서를 가지며,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적용을 주목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172444호 참조)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 touch sensor function has a plurality of photo sensor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pixel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ttention is applied to a car navigation system or the lik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172444). Reference)
도5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된 일반적인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10A)을 도시한 외관도이다. FIG. 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liquid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A)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구동제어부 및 센서출력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the liquid
도5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10A)의 화면상에 유저(user)의 손가락을 배치하면, 주위광의 차단 또는 표시광의 반사에 의해, 터치위치 포토센서(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센서출력신호의 출력레벨이 변동하게 되고, 이와 같은 센서출력신호가 변동하는 영역에 근거하여 터치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a user's finger is placed on the screen of the liquid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표시 장치(10A)에 있어서 광학식 터치센서로서의 인식성능이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접촉 여부와 위치 좌표를 인식할 때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is well known, sinc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s the optical touch sensor is not so high in the liquid
즉, 조작자가 의도한 터치위치와, 실제 손가락의 인식위치와의 사이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자가 의도한 메뉴화면상의 선택항목이 오입력될 가능성이 있었다.That is, because a subtl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touch position intended by the operator and the recognition position of the actual fing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lection item on the menu screen intended by the operator is incorrectly input, for example.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는, 조작자가 의도한 터치위치와 실제 손가락의 검출위치와의 사이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의도한 터치위치와 인식된 검출위치가 상이하게 되어서, 터치센서로서 입력 정밀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ince a subtl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touch position intended by the operator and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actual finger, the touch position intended by the operator is different from the recognized detection position, and is input as a touch senso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ecision wa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작자의 손가락 근접위치를 포함하는 터치위치를 인식위치로 커서를 표시시키는 것에 의하여, 터치위치의 입력 정밀도를 향상시킨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mproves the input accuracy of a touch position by displaying a cursor at a recognition position with a touch position including a position close to an operator's fing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d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 touch sensor function,
표시화면에 대응하여 복수의 도트 전극을 가지는 투명기판과, 상기 복수의 도트 전극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투명기판 상에 구비된 복수의 포토센서와, 상기 복수의 도트 전극을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 및 소스 라인과,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로부터 센서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센서출력선과,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소스 라인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을 제어해서 복수의 도트 전극을 구동하는 표시구동제어수단과, 상기 복수의 포토센서로부터의 출력된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투명기판상의 터치위치를 인식하는 터치위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A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dot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creen, a plurality of photosensors provid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so as to be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ot electrodes, and a gate for individually driving the plurality of dot electrodes Display driving control means for driving a plurality of dot electrodes by controlling a line and a source line, a sensor output line for outputting a sensor outpu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photosensors, an applied voltage applied to the gate line and the source line; And a touch posi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touch posi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based on the sensor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photosensors.
상기 표시구동제어수단은, 터치위치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인식위치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rive control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rsor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the cursor at the recognition position recognized by the touch position recogni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자가 손가락의 실제 인식위치를 커서로 확인하면서,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자가 리얼 타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입력조작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오입력을 피할 수 있도록 터치위치의 입력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input operation while checking the actual recognition position of the finger with the cursor,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easily supplement the input operation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put precision of the touch position to avoid the input.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어장치와 함께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 touch sensor function with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2는 도1내의 투명기판부(글래스 기판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신호선 및 관련된 구체적인 전극구성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portion (glass substrate portion) in FIG. 1, and schematically shows an enlarged signal line and related specific electrode configurations.
도1과 같이,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10A)는, 액정이 개재된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2장의 투명기판(11)과, 투명기판(11)의 배면측으로부터 광(파선화살표 참조)을 조사하는 백라이트(12)와, 2장의 투명기판(11)의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포토센서(이하, 단순히 '센서'라고 함)(13)과, 표시구동제어부(21) 및 터치위치인식부(22)를 가지는 제어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iquid
표시구동제어부(21)는, 터치위치인식(22)에 따른 인식위치에 후술하는 커서(cursor)를 표시시킨 커서 표시제어부(23)을 포함한다.The display
또한, 터치위치인식부(22)는,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해서 손가락(30)의 터치위치 또는 터치 근접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이 더해져서, 거리판별부(24)를 포함한다. 거리판별부(24)는,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해서 투명기판(11)과 조작자의 손가락(30)과의 사이의 거리를 판별한다.In addition, the touch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10)의 표시 패널 상에, 조작자가 손가락(30)을 배치시키면, 터치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센서(13)로 입사된 주위광 즉, 주변으로부터 포토센서로 입사되는 광(2점 쇄선 화살표 참조)이 차단되고, 또는, 백라이트(12)로부터의 광(파선화살표 참조)이 반사해서 센서(13)에 입사된다.As shown, when the operator places the
이와 같이, 터치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센서출력신호의 레벨이, 다른 센서출력신호의 레벨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변동하게 되고, 이러한 센서출력신호 레벨 변화는 제어장치(20) 내의 터치위치 인식부(22)에 입력된다.In this way, the level of the sensor output signal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is significantly changed compared with the level of other sensor output signals, and the change of the sensor output signal level is caused by the touch position recognition unit ( 22).
도2와 같이, 투명기판(11)은, B(청색), R(적색), G(녹색)의 각 표시화소에 대응해서 복수의 게이트 전극(14)(14b, 14r, 14g)을 가진다. 각 게이트 전극(14)은, 표시화면의 라인(도면 중우측)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열된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복수의 센서(13)는, 투명기판(11)에 있어서, 복수의 게이트 전극(14)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한 개씩 개별적으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복수의 게이트 전극(14)에는, 각 게이트 전극을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신호선으로, 게이트 라인 Gn+1, Gn+2, …와, 각 게이트 라인 (Gn+1, Gn+2, …) 등 에 직교배치된 B 소스 라인(Sb), R 소스 라인(Sr), G 소스 라인(Sg)이 접속된다.The gate lines Gn + 1, Gn + 2,... Are signal lines for driving each gate electrode individually to the plurality of
각 센서(13)에는, 각 센서(13)로부터의 센서출력신호를 읽고 출력하기 위한 센서출력선(RO)가 접속된다.Each
게이트 라인(Gn+1, Gn+2, …) 및 소스 라인(Sb, Sr, Sg)는, 표시데이터에 응답하여, 제어장치(20)내의 표시구동제어부(21)에 의해 구동제어된다.The gate lines Gn + 1, Gn + 2, ..., and the source lines Sb, Sr, Sg are drive controlled by the
표시구동제어부(21)는, 게이트 라인(Gn+1, Gn+2, …) 및 소스 라인(Sb, Sr, Sg)으로의 인가전압을 제어하여, 복수의 게이트 전극(14)을 구동한다.The display
센서출력선(RO)는, 제어장치(20)내의 터치위치인식부(22)에 입력된다.The sensor output line RO is input to the touch
터치위치인식부(22)는, 복수의 센서(13)로부터의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센서출력신호의 변동량이 문턱치 이상을 나타내는 영역을 묘출하는 것에 의하여, 투명기판(11) 상의 터치위치를 인식한다.The touch
표시구동제어부(21) 내의 커서 표시제어부(23)는, 터치위치인식부(22)에 의해 인식위치에 커서(31)(도3a 및 도3b 참조)를 표시시키도록 구성되고, 조작자의 손가락(30)의 이동과 동반하여, 커서(31)를 추종이동시키게 된다.The cursor display control unit 23 in the display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손가락(30)과 화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커서(31)가 표시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3A and 3B show a state in which the
도3a 및 도3b에 있어서, 글래스 기판(40)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10)는, 표시구동제어부(21)(도1참조), 소스IC(41) 및 게이트 IC(42), 터치위치인식부(22), 출력 IC(43), 각 IC(41~43) 등에 접속된 배선이 구비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4)을 포함한다.3A and 3B, the liquid
소스 IC(41)는, B소스 라인(Sb), R소스 라인(Sr), 및 G소스 라인(Sg)(도2참조)를 포함하고, 게이트 IC(42)는, 게이트 라인(Gn+1, Gn+2, …)을 포함한다.The source IC 41 includes a B source line Sb, an R source line Sr, and a G source line Sg (see Fig. 2). The gate IC 42 includes a gate line Gn + 1. , Gn + 2, ...).
또한, 출력IC(43)는, 센서출력선(RO)을 포함한다.The output IC 43 also includes a sensor output line RO.
터치위치인식부(22)는,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해서 투명기판(11)과 조작자의 손가락(30) 사이의 거리를 판별하는 거리판별부(24)를 포함하고, 표시구동제어부(21)는, 거리판별부(24)의 판별결과에 응답해서 커서(31)의 표시사이즈를 변화시킨다.The touch
구체적으로는, 조작자의 손가락(30)이 투명기판(11)에 근접할수록, 즉, 거리판별부(24)에 의해 판별된 거리가 가깝게 될수록, 커서(31)를 확대시키는 것에 의하여, 최종적인 조작결정위치를 조작자가 확인하기 쉽게 한다.Specifically, the closer the
또한, 터치위치인식부(22)는,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해 커서 표시가 소정이상의 크기를 가질 경우, 즉, 손가락(30)이 투명기판(11)에 접촉한 경우, 소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태가 소정시간이상 지속되면, 즉, 조작자의 의도하는 선택위치로 정지하는 시간이 소정이상 지속되면, 커서(31)를 조작결정위치로 인식한다.In addition, the touch
다음으로, 도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해 터치위치인식부(22)의 처리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the flow chart of FIG. 4,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touch
도4와 같이, 터치위치인식부(22)는,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입력화상에 대 해서, 화상보정처리(스텝 10, S10)을 수행한 후, 스텝 21 내지 스텝 23(S21~S23)으로 이루어진 화상해석처리(스텝 20, S20)를 실행한다.As shown in Fig. 4, the touch
보다 자세히는, 화상보정처리(스텝 10, S10) 작업에서는, 입력화상에 대한 정규화 작업 및 노이즈 제거 작업을 수행한다. More specifically, in the image correction processing (
휘도 정규화를 통해서는 한 화면의 평균 휘도가 예를 들면 512 레벨이 되기 때문에, 이후의 화상 처리가 안정화된다. 또한, 노이즈 제거를 통해서는 해석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Through luminance normalization, since the average luminance of one screen is, for example, 512 levels, subsequent image processing is stabilized. In addition, analysis accuracy may be improved by removing noise.
이와 같이, 화상보정 처리가 수행된 다음에는 화상 해석처리(스텝 20, S20)가 수행된다.In this manner, after the image correc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image analysis process (steps 20 and S20) is performed.
보다 자세히는, 화상해석처리(스텝 20, S20) 작업은, 화상의 히스토그램으로부터 문턱치를 구하고(스텝 21, S21), 문턱치에 따라 화상묘출(스텝 22, S22)을 수행한 다음, 묘출된 화상의 중심을 구한다.(스텝 23, S23)In more detail, the image analysis processing (
상기 문턱치는, 손가락의 그림자와 배경을 나눌 수 있는 휘도, 즉, 전기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최소의 물리량을 의미한다.The threshold means a luminance that can divide a shadow of a finger and a background, that is, a minimum physical quantity causing an electrical reaction.
예를 들면, 전체 픽셀의 휘도 평균치와, 화상의 히스트그램의 막대 그래프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단 및 하단에 대한 파라미터 col 및 cod를 설정한 후, 가장 밝은 픽셀로부터 (픽셀 전체 개수)/col 개의 픽셀 개수를 제외한 후 가장 밝은 휘도를 상단으로 설정하고, 가장 어두운 픽셀로부터 (픽셀 전체 개수)/cod 개의 픽셀 개수를 제외한 후 가장 어두운 휘도를 하단으로 설정한 다음 다음 식에 따라 문턱치를 구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obtain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uminance average of all pixels and the histogram of the histogram of the image. That is, after setting the parameters col and cod for the top and bottom, excluding the (total number of pixels) / col number of pixels from the brightest pixels, set the brightest luminance to the top, and from the darkest pixels (total number of pixels). After excluding the number of) / cod pixels, the darkest luminance may be set to the bottom, and then the threshold may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문턱치) = [하단 + {평균 - (상단 - 평균)}]/2 = 평균 - (상단-하단)/2(Threshold) = [bottom + {average-(top-average)}] / 2 = mean-(top-bottom) / 2
또는, 상기 문턱치는 키틀러법(kittler법)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배경과 분리하고 싶은 부분(손가락의 그림자)의 면적비가 큰 경우에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hreshold may be obtained by using the kittler method. In this case, it can be an effective method when the area ratio of the part (the shadow of the finger) to be separated from the background is large.
이와 같이, 문턱치를 구한 다음에는, 문턱치에 따라 그림자로 간주된 화상을 묘출한 다음, 상기 그림자로 간주된 화상의 중심을 구한다.In this way, after the threshold is obtained, an image regarded as a shadow is drawn according to the threshold, and then the center of the image regarded as the shadow is obtained.
중심을 구하는 과정은, 예를 들면, 그림자로 간주된 픽셀에서 각 픽셀의 휘도에 따라 각 픽셀에 중량치를 부여한 다음, 전체 픽셀의 가중 평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cess of finding the center may be obtained by, for example, assigning a weight value to each pixel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each pixel in a pixel regarded as a shadow, and then using a weighted average of all pixels.
즉, 중심의 x 좌표 cx와, 중심의 y좌표 cy는 각각 다음 식을 통하여 구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x coordinate cx of the center and the y coordinate cy of the center may be obtain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s, respectively.
(∑는 픽셀 전체에 대한 총합, x[p] 및 y[p]는 각각 각 픽셀의 x좌표 및 y좌표, w[p]는 각 픽셀의 중량치, wsum은 전 픽셀의 중량치의 총합을 의미한다.)(∑ is the total of all pixels, x [p] and y [p] are the x and y coordinates of each pixel, w [p] is the weight of each pixel, and wsum is the sum of the weights of all pixels. do.)
또한, 터치위치인식부(22)내의 거리판별부(24)는, 상기 스텝 22(S22)에 대하여, 묘출화상의 크기로부터 터치위치(근접위치를 포함하는)에 있어서의 손가락(30)과 투명기판(11) 사이의 거리를 판별한다.Further, the
이와 같이, 표시구동제어부(21)내의 커서 표시제어부(23)는, 거리판별부(24)에 의한 판별결과에 응답해서, 손가락(30)과 거리가 가까운 만큼, 커서(31)를 확대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cursor display control unit 23 in the display
또한, 터치위치인식부(22)는,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해서 커서표시가 소정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한편, 소정범위내에 존재하는 상태가 변화없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하는 시점에서, 커서(31)의 위치를 조작결정위치 즉, 터치위치로 인식한다.In addition, the touch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터치 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10)는,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도트 전극(14)을 가지는 투명기판(11)과, 복수의 도트 전극(14)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며 투명기판(11)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13)와, 복수의 도트 전극(14)을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라인 (Gn+1, Gn+2, …) 및 소스 라인 (Sb, Sr, Sg)와, 복수의 센서(13)로부터 센서출력신호를 읽고 출력하기 위한 센서출력선(RO)와, 게이트 라인 및 소스 라인의 인가전압을 제어하여 복수의 게이트 전극(14)을 구동하는 표시구동제어부(21)와, 복수의 센서(13)으로부터의 센서출력신호에 근거해서 투명기판(11) 상의 터치위치를 인식하는 터치위치인식부(22)를 구비하고,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상기 표시구동제어부(21)는, 터치위치인식부(22)에 의해 인식된 위치로 커서(31)를 표시시키는 커서 표시제어부(23)를 포함한다.The display
이와 같이, 광학식 터치센서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10)에 대해서, 조작자는, 손가락(30)의 이동에 추종하는 커서(31)를 눈으로 보면서 선택위치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식성능을 보완하여 오입력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입력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us, with respect to the liquid
또한, 손가락 (30)이 액정 표시 장치(10)의 패널에 근접할수록, 커서(31)가 확대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최종적인 조작위치(선택위치)를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since the
즉, 커서(31)는, 손가락(30)의 움직임에 추동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손가락(30)이 패널로 접근할수록 추종하여 확대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터치센서의 좌표보정 및 터치(클릭) 인식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또한, 터치위치인식부(22)는, 커서(31)가 소정이상의 크기에 도달함과 아울러, 소정범위(일정 좌표 영역)내에서 소정시간이상으로 걸쳐서 존재하는 경우에, 조작자의 클릭위치(조작결정위치)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ouch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제어장치를 함께 나타낸 측단면도.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control device toget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내의 투명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FIG.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터치위치에 따른 및 커서의 크기 조작상태를 도시한 설명도.3A and 3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size manipulation states of and cursors according to touch positions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터치위치인식부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position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일반적인 광학식 터치센서기능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외관도.5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general optical touch sensor function.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 액정 표시 장치 11 : 투명기판10 liquid
12 : 백라이트 13 : 센서(포토센서)12
14, 14b, 14r, 14g : 게이트 전극 20 : 제어장치14, 14b, 14r, 14g: gate electrode 20: control device
21 : 표시구동제어부 22 : 터치위치인식부21: display drive control unit 22: touch position recognition unit
23 : 커서 표시제어부 24 : 거리판별부23: cursor display control unit 24: distance discrimination unit
30 : 조작자의 손가락 31 : 커서30: operator's finger 31: cursor
Gn+1, Gn+2, ...: 게이트 라인 Sb, Sr, Sg : 소스 라인Gn + 1, Gn + 2, ...: gate lines Sb, Sr, Sg: source lines
RO : 센서출력선RO: Sensor output line
Claims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204470A JP2009042297A (en) | 2007-08-06 | 2007-08-06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JP-P-2007-00204470 | 2007-08-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4966A KR20090014966A (en) | 2009-02-11 |
KR100977228B1 true KR100977228B1 (en) | 2010-08-23 |
Family
ID=4044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5557A KR100977228B1 (en) | 2007-08-06 | 2008-08-01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9042297A (en) |
KR (1) | KR1009772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4262B1 (en) * | 2018-12-28 | 2023-07-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riving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18819A (en) * | 2003-03-31 | 2004-11-11 |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KR20050071710A (en) * | 2002-11-29 | 2005-07-07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User interface with displaced representation of touch area |
-
2007
- 2007-08-06 JP JP2007204470A patent/JP2009042297A/en active Pending
-
2008
- 2008-08-01 KR KR1020080075557A patent/KR10097722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1710A (en) * | 2002-11-29 | 2005-07-07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User interface with displaced representation of touch area |
JP2004318819A (en) * | 2003-03-31 | 2004-11-11 |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042297A (en) | 2009-02-26 |
KR20090014966A (en) | 2009-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5223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providing display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an amount of received light | |
JP4787213B2 (en) | Display device having multi-touch recognition function | |
KR10135226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muliti-touch | |
US9015625B2 (en) | Electronic device, method of selecting menu, and program for selecting menu | |
US8610670B2 (en) | Imaging and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apparatus, object detection medium, and object detection method | |
US7924273B2 (en) | Display apparatus with optical input function | |
KR10098916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TWI442286B (en) | Touch control inpu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
EP2249233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touch operation | |
US20120075211A1 (en) | Touch detector, display unit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touched-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US8614696B2 (en) | Display device, position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 |
US20120319977A1 (en) |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control method therefor,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JP4270248B2 (en) | Display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input apparatus, object detection program, and object detection method | |
CN109062427A (en) | A kind of fingerprint recognition touch display unit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 |
US878657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coordinates | |
US10846500B2 (en) |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anel comprising force sensor an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driving the display device | |
JP5016896B2 (en) | Display device | |
JP2009115915A (en) |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977228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1494787B1 (en) | Touch screen device | |
US20120256881A1 (en) |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display program, recording medium | |
US11977704B2 (en) | Touch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touch panel including areas having different touch sensitivities | |
US10379677B2 (en) | Optical touch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8743090B2 (en) | Display device with input unit, control method for sam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101407290B1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multi-touch recogniz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