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R14)측을 향해 순서대로, 조리개(5),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 필터(60) 및 수광 소자(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사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상기 조리개(5),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 및 필터(60)를 통과하여 상기 수광 소자(70)에 입사된다.
상기 조리개(5)는 입사광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focus length)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조리개(5)가 상기 렌즈들의 사이가 아닌 상기 제1렌즈(10)보다 물체측에 위치함으로써, 전장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촬상 렌즈를 소형화 시킬수 있 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개(5)를 상기 제1렌즈(10)보다 물체측에 배치하였지만, 상기 제1렌즈(10)의 물체측면(R2) 자체가 조리개의 역할을 할 경우 상기 조리개(5)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렌즈(10)는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물체측에 볼록면을 가지며, 상기 제2렌즈(20)는 음(-)의 파워를 갖는 렌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렌즈(30)는 음(-)의 파워를 가지고, 상기 제4렌즈(40)는 양(+)의 파워를 가지며, 상측면에 볼록면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타입의 렌즈로 형성된다.
상기 제5렌즈(50)는 음(-)의 파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변곡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50)에 형성된 상기 비구면 변곡점은 수광소자(70)에 입사되는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면(R14)인 상기 수광소자(70)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인 경우, 각 픽셀에서 광량이 확보되는 각도가 있으며, 상기 각도가 다르면 광량이 확보되지 않아 화면의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shading)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1)에 비구면 변 곡점을 형성하여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조절하므로써, 화면의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0)는 글래스(Glass)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는 모두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의 모든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의 모든 면이 비구면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1)에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코마수차(comatic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sm)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10)는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에 비해 굴절력이 크고, 강한 파워를 갖는다.
상기 필터(6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7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상기 수광 소자(7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CCD 또는 CMOS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광학적 특징을 가진다.
렌즈면 |
곡률반경(mm) |
두께(mm) |
굴절율(N) |
아베수(V) |
비고 |
R1 |
∞ |
0 |
|
|
조리개 |
R2* |
1.90 |
0.59 |
1.58 |
23.5 |
Glass |
R3* |
-9.79 |
0.20 |
|
|
|
R4* |
-3.95 |
0.61 |
1.61 |
26 |
Plastic |
R5* |
65.08 |
0.20 |
|
|
|
R6* |
83.10 |
0.43 |
1.53 |
56.5 |
Plastic |
R7* |
64.81 |
0.66 |
|
|
|
R8* |
-1.38 |
0.49 |
1.61 |
26 |
Plastic |
R9* |
-1.25 |
0.20 |
|
|
|
R10* |
68.39 |
1.00 |
1.53 |
56.5 |
Plastic |
R11* |
2.45 |
0.37 |
|
|
|
R12 |
∞ |
0.30 |
1.52 |
|
필터 |
R13 |
∞ |
0.75 |
|
|
필터 |
R14 |
∞ |
0 |
|
|
센서 |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 표기한 두께는 각 렌즈면에서 다음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아베수(V)는 표 1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20<V2<30 [제2렌즈]
50<V3<60 [제3렌즈]
50<V5<60 [제5렌즈]
상기의 아베수(V)에 관한 조건식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제1실시예의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
K |
A1 |
A2 |
A3 |
A4 |
R2 |
-0.669402 |
0.494369×10-3 |
-0.490542×10-2 |
-0.286490×10-1 |
0.257925×10-1 |
R3 |
7.943618 |
-0.154953×10-1 |
-0.468352×10-1 |
0.404071×10-1 |
-0.875583×10-1 |
R4 |
-19.082855 |
-0.161649×10-1 |
-0.259896×10-2 |
-0.123425×10-1 |
-0.187852×10-1 |
R5 |
1285.875642 |
0.108281×10-1 |
-0.162192×10-1 |
-0.142064×10-1 |
-0.711025×10-1 |
R6 |
-133.697684 |
-0.453151×10-1 |
-0.900413×10-2 |
-0.618877×10-2 |
-0.100670×10-1 |
R7 |
44.831081 |
-0.232356×10-1 |
0.223079×10-2 |
-0.129176×10-2 |
0.290540×10-4 |
R8 |
0.218707 |
0.447899×10-1 |
-0.799844×10-1 |
0.373737×10-1 |
0.135045 |
R9 |
-0.561983 |
0.132823 |
-0.926638×10-1 |
0.697825×10-1 |
-0.801975×10-2 |
R10 |
-2646.16093 |
0.168765×10-1 |
-0.393324×10-2 |
0.673173×10-3 |
-0.216833×10-4 |
R11 |
-17.53923 |
-0.188601×10-1 |
0.628227×10-2 |
-0.182231×10-2 |
0.265752×10-3 |
제1실시예의 비구면 렌즈에 대한 표 2의 비구면 계수 값은 다음의 수학식 1로부터 얻을 수 있다.
Z :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C : 렌즈의 기본 곡률
Y :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K : 코닉 상수(Conic constant)
A1, A2, A3, A4, A5 : 비구면 계수(Aspheric constant)
즉, 상기의 비구면 계수 값을 갖는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를 사용함으로써,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또한, 왜곡(distortion)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f) 및 각 렌즈의 초점거리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광학계의 초점거리(f) |
5.21 mm |
제1렌즈의 초점거리(f1) |
2.79 mm |
제2렌즈의 초점거리(f2) |
-6.11 mm |
제3렌즈의 초점거리(f3) |
-560.36 mm |
제4렌즈의 초점거리(f4) |
9.12 mm |
제5렌즈의 초점거리(f5) |
-4.82 mm |
|f2/f1| |
2.19 |
f1/f |
0.54 |
f/∑d |
0.87 |
이때, 광학계의 초점거리(f)에 대한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f1)의 비(f1/f)와 광학계의 초점거리(f)에 대한 상기 제1렌즈 물체측 면(R1)부터 상면(R14)까지의 거리(∑d)의 비(∑d/f)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5<f1/f<2.0 (1)
상기의 조건식 (1)은 촬상 렌즈를 소형화시키고, 구면수차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또한, 상기 렌즈들의 초점거리에 대한 조건식에서 │f2/f1│ 및 f/∑d의 값은 상기의 표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1<│f2/f1│ (2)
0.5<f/∑d<2.0 (3)
이때, 조건식 (3)의 조건보다 작은 값으로 촬상 렌즈가 설계되면 촬상 렌즈가 소형화될 수 있으나, 수차보정이 어려워지며, 조건식 (3)의 조건보다 큰 값으로 촬상 렌즈가 설계되면 수차보정이 용이해지나, 촬상 렌즈가 소형화되기 어려워진다.
즉, 상기의 조건식 (1), (2) 및 (3)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보정이 용이하고, 소형화된 촬상 렌즈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축에 인접하게 나타나므로,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수차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면수차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내고,상기 비점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탄젠셜면(tangential plane)과 새지털면(sagittal plane)의 수차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왜곡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왜곡도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코마수차는 상면의 높이(field hight)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R14)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1렌즈(10), 조리개(15),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 필터(60) 및 수광 소자(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사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은 상기 제1렌즈(10), 조리개(15),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제5렌즈(50) 및 필터(60)를 통과하여 상기 수광 소자(70)에 입사된다.
상기 제1렌즈(10)는 양(+)의 파워를 갖고, 물체측에 볼록면을 가지며, 상기 제2렌즈(20)는 음(-)의 파워를 갖는 렌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렌즈(30)는 음(-)의 파워를 가지고, 상기 제4렌즈(40)는 양(+)의 파워를 가지며, 상측에 볼록면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타입의 렌즈로 형성된다.
상기 제5렌즈(50)는 음(-)의 파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변곡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50)에 형성된 상기 비구면 변곡점은 수광소자(70)에 입사되는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면(R14)인 상기 수광소자(70)가 CCD 또는 CMOS 센서인 경우, 각 픽셀에서 광량이 확보되는 각도가 있으며, 상기 각도가 다르면 광량이 확보되지 않아 화면의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1)에 비구면 변곡점을 형성하여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조절하므로써, 화면의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0)는 글래스(Glass)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는 모두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의 모든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의 모든 면이 비구면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제5렌즈(50)의 상측면(R11)에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렌즈(10)는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에 비해 굴절력이 크고, 강한 파워를 갖는다.
상기 조리개(15)는 상기 제1렌즈(1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수렴하여 초점거리(focus length)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필터(60)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상기 수광소자(7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되도록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像)이 맺히는 상기 수광 소자(70)는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CCD 또는 CMOS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다음의 표 4와 같은 광학적 특징을 가진다.
렌즈면 |
곡률반경(mm) |
두께(mm) |
굴절율(N) |
아베수(V) |
비고 |
R1* |
1.91 |
0.65 |
|
|
Glass |
R2* |
-13.60 |
0.20 |
1.58 |
23.6 |
|
R3 |
∞ |
0.20 |
|
|
조리개 |
R4* |
-4.37 |
0.43 |
1.61 |
26 |
Plastic |
R5* |
43.82 |
0.20 |
|
|
|
R6* |
76.10 |
0.43 |
1.53 |
56.5 |
Plastic |
R7* |
51.16 |
0.43 |
|
|
|
R8* |
-1.52 |
0.58 |
1.61 |
26 |
Plastic |
R9* |
-1.31 |
0.20 |
|
|
|
R10* |
10.31 |
0.20 |
1.53 |
56.5 |
Plastic |
R11* |
2.22 |
0.43 |
|
|
|
R12 |
∞ |
0.30 |
1.52 |
|
필터 |
R13 |
∞ |
0.66 |
|
|
필터 |
R14 |
∞ |
0 |
|
|
센서 |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상기 표 4에 표기한 두께는 각 렌즈면에서 다음 렌즈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아베수(V)는 표 4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20<V2<30 [제2렌즈]
50<V3<60 [제3렌즈]
50<V5<60 [제5렌즈]
상기의 아베수(V)에 관한 조건식을 만족함으로써, 색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아래의 표 5는 제2실시예의 비구면 렌즈에 대한 비구면 계수 값이다.
렌즈면 |
K |
A1 |
A2 |
A3 |
A4 |
R1 |
-0.756397 |
-0.124300×10-2 |
-0.672047×10-2 |
-0.285151×10-1 |
0.286040×10-1 |
R2 |
25.961546 |
-0.170949×10-1 |
-0.435126×10-1 |
0.484971×10-1 |
-0.801302×10-1 |
R4 |
-30.872319 |
-0.584858×10-2 |
0.427869×10-3 |
-0.300357×10-1 |
-0.452857×10-1 |
R5 |
2806.893669 |
0.149504×10-1 |
-0.300131×10-1 |
-0.308793×10-1 |
-0.137686×10-1 |
R6 |
-173384.8557 |
-0.481840×10-1 |
-0.872600×10-2 |
-0.927621×10-2 |
-0.207956×10-1 |
R7 |
2108.603375 |
-0.223144×10-1 |
0.765725×10-2 |
0.317706×10-2 |
-0.228084×10-3 |
R8 |
0.255052 |
0.410378×10-1 |
-0.827901×10-1 |
0.386723×10-1 |
0.134401 |
R9 |
-0.602089 |
0.138436 |
-0.924291×10-1 |
0.687943×10-1 |
-0.826804×10-2 |
R10 |
-134.920114 |
0.194495×10-1 |
-0.358252×10-2 |
0.653685×10-3 |
-0.309172×10-4 |
R11 |
-16.453801 |
-0.186374×10-1 |
0.494927×10-2 |
-0.186040×10-2 |
0.270256×10-3 |
제2실시예의 비구면 렌즈에 대한 표 5의 비구면 계수 값은 제1실시예에서 기재한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얻을 수 있다.
즉, 상기의 비구면 계수 값을 갖는 상기 제1렌즈(10), 제2렌즈(20), 제3렌즈(30), 제4렌즈(40) 및 제5렌즈(50)를 사용함으로써,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또한, 왜곡(distortion)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f) 및 각 렌즈의 초점거리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광학계의 초점거리(f) |
4.84 mm |
제1렌즈의 초점거리(f1) |
2.94 mm |
제2렌즈의 초점거리(f2) |
-6.52 mm |
제3렌즈의 초점거리(f3) |
-296.30 mm |
제4렌즈의 초점거리(f4) |
7.59 mm |
제5렌즈의 초점거리(f5) |
-5.51 mm |
|f2/f1| |
2.22 |
f1/f |
0.61 |
f/∑d |
0.86 |
이때, 광학계의 초점거리(f)에 대한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f1)의 비(f1/f)와 광학계의 초점거리(f)에 대한 상기 제1렌즈 물체측 면(R1)부터 상면(R14)까지의 거리(∑d)의 비(∑d/f)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5<f1/f<2.0 (1)
상기의 조건식 (1)은 촬상 렌즈를 소형화시키고, 구면수차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또한, 상기 렌즈들의 초점거리에 대한 조건식에서 │f2/f1│ 및 f/∑d의 값은 상기의 표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1<│f2/f1│ (2)
0.5<f/∑d<2.0 (3)
이때, 조건식 (3)의 조건보다 작은 값으로 촬상 렌즈가 설계되면 촬상 렌즈가 소형화될 수 있으나, 수차보정이 어려워지며, 조건식 (3)의 조건보다 큰 값으로 촬상 렌즈가 설계되면 수차보정이 용이해지나, 촬상 렌즈가 소형화되기 어려워진다.
즉, 상기의 조건식 (1), (2) 및 (3)을 만족함으로써, 수차보정이 용이하고, 소형화된 촬상 렌즈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수차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축에 인접하게 나타나므로,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수차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면수차는 각 파장에 따른 구면수차를 나타내고,상기 비점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탄젠셜면(tangential plane)과 새지털면(sagittal plane)의 수차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왜곡수차는 상면의 높이에 따른 왜곡도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코마수차는 상면의 높이(field hight)에 따라 각 파장에 따른 탄젠셜(tangential)과 새지털(sagittal)의 수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제1렌즈 및 제4렌즈가 양(+)의 파워(power)를 갖고, 제2렌즈, 제3렌즈 및 제5렌즈가 음(-)의 파워를 갖는 렌즈로 형성된 촬상 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제1렌즈가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에 비해 강한 파워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변곡점을 갖는 제5렌즈를 이용하여 촬상 렌즈를 구현함으로써, 수차 특성이 우수한 촬상 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가 상기 제1렌즈보다 물체측에 위치함으로써, 전장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촬상 렌즈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