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683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0683B1 KR100950683B1 KR1020090077742A KR20090077742A KR100950683B1 KR 100950683 B1 KR100950683 B1 KR 100950683B1 KR 1020090077742 A KR1020090077742 A KR 1020090077742A KR 20090077742 A KR20090077742 A KR 20090077742A KR 100950683 B1 KR100950683 B1 KR 100950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ole
- angle
- pedestal
- slide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드블록의 회동 가이드홈에 설치된 회동블록을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직각 상태에서 강연선을 안정적으로 인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느 상측에 경사면(111)이 형성되고 경사면(111)의 하측에는 다수 개의 볼트공(112)이 형성된 좌대(110)와;
상기 좌대의 상면에 체결되며 상면 양측에 회동 가이드홈(121)을 갖는 고정판(122)을 형성하고 고정판(122)의 양측 외면으로 하측 양쪽에 볼트공(123)이 형성된 지지판(124)을 갖는 슬라이드블록(120)과;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의 회동 가이드홈(121)에 체결되고 하측면이 반원 형태로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131)가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132)이 형성된 회동블록(130);으로 구성한다.
슬라이드블록, 회동블록, 보조캡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블록의 회동 가이드홈에 설치된 회동블록을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강연선을 안정적으로 인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 토류벽이 굴착공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어스 앵커 공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지반에 H빔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박고 지정된 지반을 굴착한 후에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1)을 형성한다.
그리고 토류벽(1)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2)에 앵커체(3)를 박은 후에 정착장(Lb)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3)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앵커체(3)는 굴착공의 바닥면(6) 모서리와 지반사이에 토질에 따른 설계기준에 의해 가상붕괴선(도면상 점선)을 설정한 후 천공각과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장(La)과 정착장(Lb)으로 구분되며 통상 1차 그라우팅은 정착장(Lb)에 대해 실시된다.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3)의 자유장(La)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1)의 수평보(4)에 설치된 브라켓(10)에 고정하며, 이를 위해 앵커체(3)의 자유장(La)을 좌대(1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구멍보다 큰 직경의 콘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앵커체(3)를 좌대(10)에 고정시킨 후에는 천공부(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2차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시공을마치게 되며, 이를 통해 앵커체(3)의 인장력이 토압에 대응하여 토류벽(1)을 지지하게 된다.
종래의 좌대(10)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2개의 측판(11)을 형성하고, 양 측판(11)의 동일 경사변의 상부에 횡설(橫設)되어 양 측판(11)을 연결하는 한편 중심부에 앵커체(3)가 인출되는 구멍(12a)을 가지는 지압플레이트(12)를 설치한다.
그런데 이러한 좌대(10)는 앵커체(3)의 인장력이 지압플레이트(12)와 양 측판(11)을 통해 분배되기 때문에 실제 시공과정에서 지압플레이트(12)가 휘어지거나 측판(11)이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10)는 H빔(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좌대(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좌대(10)의 양 측판을 수평보(4)에 용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좌대(10)의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이소요될 뿐만 아니라 용접으로 인해 수평보(4)의 손상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지압플레이트의 구멍이 측판과 90도 직각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앵커체가 직각으로 설치되지만, 지압플레이트의 구멍이 측판의 경사면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된 경우에는 강연선을 인장할 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된다.
즉 좌대 아래 방향으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과 그 반대 방향으로 강연선을 당기는 힘이 직선 상으로 놓여야 가장 안정적인 구조가 되는데 좌대, 앵커헤드 등이 수직선이 아닌 경사각으로 놓여져 있으면 다수의 개수로 구성된 강연선에 걸리는 하중이 일정하지 않으며 강연선의 꺾임 현상 발생으로 강연선과 다른 부품 등에 손상을 주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좌대에 설치된 슬라이드블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강연선을 회동블록으로 각도조절을 통해 최대한 직각 상태에서 강연선을 인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인장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인장력을 충분히 줄 수 있는 각도 조절용 대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하측에는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면에 체결되며 상면 양측에 회동 가이드홈을 갖는 고정판을 형성하고 고정판의 양측 외면으로 하측 양쪽에 볼트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갖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회동 가이드홈에 체결되고 하측면이 반원 형태로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회동블록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첫째는 회동블록을 회동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강연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인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는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여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는 간단한 구조로 가지고 있어 제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록과 회동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는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좌대(110)와, 좌대(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120)과, 슬라이드블록(12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블록(130)으로 구성한다.
상기 좌대(110)는 상면에 일정한 각도의 경사면(111)을 갖는 두 개의 삼각형태의 측판을 연결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두 개의 측판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사면(111)의 하측에는 다수 개의 볼트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은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 양측 중앙에 반원 형태의 회동 가이드홈(121)을 갖는 고정판(122)이 형성하고 고정판(122)을 지지하는 보강판(122a)을 고정판(122)의 양측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22)의 양측 외면으로 하측 양쪽에 볼트공(123)이 형성된 지지판(124)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120)은 좌대(110)의 경사면(111)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되는데, 설치 상태는 좌대(110)의 경사면(111) 외측으로 슬라이드블록(124)의 지지판(124)을 삽입한 다음에 상,하로 이동하면서 위치를 조정한 후에 경사면(111)의 볼트공(112)과 고정판(122)의 볼트공(123)을 일치시키고 볼트과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블록(120)은 좌대(110)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블록(130)은 하측면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반원 형태로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13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구멍(13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원 형태의 결합돌기(131)는 슬라이드블록(120)의 회동 가이드홈(121)과 밀착된 상태에서 반원 형태의 호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블록(130)의 구멍(132)으로는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캡(140)을 삽입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보조캡(140)은 상단에 걸림턱(141)이 형성되고 중앙에 삽입공(142)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상측에 오링(145)이 설치되는 설치홈(143)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좌대(110)의 상면 외부로 슬라이드블록(120)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블록(120)의 회동 가이드홈(121)으로 회동블록(130)의 결합돌기(131)를 밀착되게 삽입 설치한다.
이때, 강연선(3)의 각도가 직각이 아닐 경우에는 회동블록(130)을 회동시키면서 각도를 조정한 후에 강연선(3)을 물고 있는 웨찌(20)가 결합된 헤드(30)를 장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강연선(3)을 인장하게 되면 강연선(3)이 휘어지거나 꺽임 현상 없이 인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블록과 회동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좌대 111: 경사면
112,123: 볼트공 120: 슬라이드블록
121: 가이드홈 122: 고정판
130: 회동블록 131: 결합돌기
132: 구멍 140: 보조캡
141: 걸림턱 142: 삽입공
143: 설치홈 145: 오링
Claims (2)
- 상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하측에는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좌대와;상기 좌대의 상면에 체결되며 상면 양측에 회동 가이드홈을 갖는 고정판을 형성하고 고정판의 양측 외면으로 하측 양쪽에 볼트공이 형성된 지지판을 갖는 슬라이드블록과;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회동 가이드홈에 체결되고 하측면이 반원 형태로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회동블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대좌.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회동블록의 구멍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보조캡이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대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7742A KR100950683B1 (ko) | 2009-08-21 | 2009-08-2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7742A KR100950683B1 (ko) | 2009-08-21 | 2009-08-2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0683B1 true KR100950683B1 (ko) | 2010-03-31 |
Family
ID=4218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7742A KR100950683B1 (ko) | 2009-08-21 | 2009-08-2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068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4639B1 (ko) * | 2010-02-08 | 2011-01-04 | 이윤정 | 앵커 브라켓 |
KR101147334B1 (ko) | 2010-06-25 | 2012-05-23 | 장안철강(주) | 어스 앵커 브래킷 |
CN111236267A (zh) * | 2020-03-25 | 2020-06-05 | 武汉金涛岩土工程有限公司 | 一种基坑边坡支护结构 |
CN114482075A (zh) * | 2022-03-08 | 2022-05-13 | 福建省茂宏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室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4700A (ja) | 2001-04-02 | 2002-10-09 | Kozo Koji Kk | 自動調心型アンカー固定装置 |
JP2008267099A (ja) | 2007-04-25 | 2008-11-06 | Kajima Corp | アースアンカー固定台座 |
-
2009
- 2009-08-21 KR KR1020090077742A patent/KR1009506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4700A (ja) | 2001-04-02 | 2002-10-09 | Kozo Koji Kk | 自動調心型アンカー固定装置 |
JP2008267099A (ja) | 2007-04-25 | 2008-11-06 | Kajima Corp | アースアンカー固定台座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4639B1 (ko) * | 2010-02-08 | 2011-01-04 | 이윤정 | 앵커 브라켓 |
KR101147334B1 (ko) | 2010-06-25 | 2012-05-23 | 장안철강(주) | 어스 앵커 브래킷 |
CN111236267A (zh) * | 2020-03-25 | 2020-06-05 | 武汉金涛岩土工程有限公司 | 一种基坑边坡支护结构 |
CN114482075A (zh) * | 2022-03-08 | 2022-05-13 | 福建省茂宏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室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0213B1 (ko) | 톱니가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 |
KR100652530B1 (ko) | 어스 앵커 브라켓 | |
KR100992942B1 (ko) |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 |
KR100950683B1 (ko) |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 |
KR101062179B1 (ko) |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 |
KR101260966B1 (ko) |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 |
KR100812722B1 (ko) | 프리스트레스트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
KR101093185B1 (ko) | 연속 벽체용 각도 조절 브라켓 | |
KR100964258B1 (ko) | 어스앵커용 오토앵글브라켓 | |
KR20120076806A (ko) |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 |
KR101328907B1 (ko) |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 |
KR101034900B1 (ko) | 어스앵커용 3d 브라켓 | |
KR101237241B1 (ko) | 뒷돌 고정식 옹벽 시공용 연결 고정체 | |
KR101060287B1 (ko) | 각도조절 브래킷 | |
KR200354027Y1 (ko) | 어스앵커 브라켓 지지구조 | |
KR101287687B1 (ko) | 띠장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흙막이벽의 설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인장재고정용 띠장 | |
KR200469905Y1 (ko) |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 |
KR20040039523A (ko) |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용 정착장치 및 받침대 | |
KR100899528B1 (ko) | 스토퍼를 가지는 어스 앵커 브라켓 | |
KR101004639B1 (ko) | 앵커 브라켓 | |
KR101147334B1 (ko) | 어스 앵커 브래킷 | |
KR200457659Y1 (ko) | 어스 앵커용 브래킷 | |
KR100989023B1 (ko) | 띠장 사이로 내설되는 앵커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 |
KR101692204B1 (ko) |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 |
KR200344980Y1 (ko) | 어스앵커 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