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710B1 -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2710B1 KR100922710B1 KR1020090015682A KR20090015682A KR100922710B1 KR 100922710 B1 KR100922710 B1 KR 100922710B1 KR 1020090015682 A KR1020090015682 A KR 1020090015682A KR 20090015682 A KR20090015682 A KR 20090015682A KR 100922710 B1 KR100922710 B1 KR 100922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cell
- double
- cell module
- sided light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양면에 수광부가 형성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일면 수광부와 대향되는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반사경과,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반사경의 반대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사경을 포함한다. 따라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의 수광량을 늘려 태양광 발전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태양광,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 반사경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에서 태양광 흡수가 가능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화석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존 화석 에너지 자원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 에너지 중에서도 자원이 무한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는 태양 에너지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전지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광(photons)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전지로 구분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라고 하면 태양광 전지를 말하며 이하에서 말하는 태양전지는 태양광 전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태양전지가 결합되어 모듈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하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인 단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단면 수광부를 갖지만,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Bifacial Photovoltaic Solar Module)은 투명전극과 두 개의 p-n접합을 구성함으로써 양면에서 수광이 가능한 양면 수광부를 갖는다. 따라서 양면에서 동시에 발전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설치과정에서 대부분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도 종래 단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과 비슷한 광변환 효율을 가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태양광 추적장치를 사용하여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이 태양을 추종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이 태양을 추종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모듈제작 비용이 발생하며 크기가 큰 태양전지 모듈을 회전시키는데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게가 무거운 태양전지 모듈 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이 태양을 추적하지 않고도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의 수광량을 높일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양면에 수광부가 형성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일면 수광부와 대향되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반사판을 구비하는 제1반사경과, 상기 복수개의 제1반사판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반사경의 반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반사판을 구비하는 제2반사경과, 상기 복수개의 제2반사판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각각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캠 플레이트와, 일측은 상기 복수개의 반사판과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캠 플레이트의 가장 자리와 힌지 결합되는 링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제1반사경 및 상기 제2반사경이 태양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사판 및 제2반사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과, 상기 복수개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광투과성 유리를 가질 수 있으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수광부가 동서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은 계절과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가 입력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에 설치된 반사경이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로 입사하는 태양광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반사경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의 반대 측에 설치된 반사경이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투과한 태양광을 반사시켜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에 집광하도록 상기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의 반대 측에 설치된 반사경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에 의하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의 양측 수광부에 모두 태양광을 공급함으로써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의 수광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양면에 수광부(105)가 형성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과,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반사경(110)과,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중심으로 제1반사경(11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제2반사경(120)을 구비한다.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부(105)는 복수개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101)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101)은 광투과성 유리(10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하나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크기는 예를 들어 대략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1.2mⅹ1.0m 정도로 형성되어 150와트(watt) 정도의 전력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형성하는 하나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101)은 전기적 성질이 다른 N(negative)형의 반도체와 P(positive)형의 반도체를 교대로 접합시킨 구조로, 양면 수광에 의해 양면에서 동시에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하나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101)의 크기는 대략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12.5cm인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펜스(fense)나 가드레일(guiderail) 등에 설치 가능하다. 이때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이 설치되는 방향은 동서 방향 또는 남북 방향이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오전과 오후에 가장 많은 양의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이 동서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보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양측 수광부(105)에 각각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쪽 방향을 바라보는 반사경을 제1반사경(110)이라고 하고, 서쪽 방향을 바라보는 반사경을 제2반사경(120)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태양광 발전장치가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을 구비함으로써 태양광이 직접적으로 입사되는 수광부(105)의 반대측에 형성된 수광부(105)에 도 태양광이 입사할 수 있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반사경(110)은 복수개의 제1반사판(111)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반사경(120)은 복수개의 제2반사판(12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반사경(110)과 제2반사경(120)을 각각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반사판(111,121)은 블라인드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반사판(111,121)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반사판(111,121)은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판(111,121)은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과 같이 가벼우면서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반사판(111,1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반사판(111,121)의 양단에는 각각 회전축(111a,121a)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11a,121a)은 각각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측면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브라켓(10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반사판(111)의 회전축(111a)에는 제1연결로드(112)가 결합되고, 상기 제2반사판(121)의 회전축(121a)에는 제2연결로드(122)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복수개의 제1반사판(111)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130)와, 복수개의 제2반사판(121)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1구동부(130)는 상기 제1연결로드(112)와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1링크(131)와 상기 제1링크(131)를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132)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부(140)는 상기 제2연결로드(122)와 각각 힌지 결합하는 제2링크(141)와 상기 제2링크(141)를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14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구동모터(132)의 회전축에는 제1캠플레이트(133)가 결합되고 상기 제1캠플레이트(133)의 가장 자리에는 제1링크(131)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모터(142)의 회전축에는 제2캠플레이트(143)가 결합되고 상기 제2캠플레이트(143)의 가장 자리에는 제2링크(141)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132)의 회전에 의해 제1링크(131)는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고, 제2구동모터(142)의 회전에 의해 제2링크(141)는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링크(131)가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링크(131)와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로드(112)는 회전축(111a)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게 되고, 제2링크(141)가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제2링크(141)와 힌지 결합된 복수개의 연결로드(122)도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131)가 이동하여 연결로드(112)가 회전축(111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반사경(11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반사판(111)은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링크(141)가 이동하여 연결로드(122)가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반사경(12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반사 판(121)은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기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가 각각 구동모터(132,142)와, 캠 플레이트(133,143)와, 링크(131,141)로 형성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는 각 반사판(111,121)의 회전축(111a,121a)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로 형성되거나, 하나의 구동모터와 상기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반사판의 각 회전축과 각각 연결되는 벨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132,142)는 각각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제1구동모터(132) 및 제2구동모터(142)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이 회전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60)를 구비한다.
도 3은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구비되는 데이터 저장부(160), 제어부(150), 제1 및 제2구동부(130,14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는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가 미리 입력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60)와, 태양광 발전장치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의 회전을 각각 구동하는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온 후 불러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가 미리 입력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60)를 구비하여 제어부(150)가 상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 및 제2구동부(130,140)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지 않고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모터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은 태양의 위치가 입력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10)와,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에 설치된 반사경을 회전시키는 단계(S120)와,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의 반대편에 설치된 반사경을 회전시키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함에 있어 현재 태양이 동쪽에 위치한다고 가정한 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60)에서 불러온다(S110).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데이터 저장부(160)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구동부(130)를 제어하여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에 설치된 제1반사경(110)이 태양광을 최소한으로 가리도록 제1반사경(110)을 회전시킨다(S120).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가 제1반사경(11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반사판(111)의 폭방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태양광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부(105)로 입사하는 각도와 일치되도록 제1구동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의 수광부(105)에서 수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데이터 저장부(160)에서 불러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2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투과한 태양광이 제2반사경(120)에 반사되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로 재입사되는 양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각도로 제2반사경(120)을 회전시킨다(S130).
또는 제2구동부(140)를 제어하여 태양광이 입사되는 측의 반대편에 설치된 제2반사경(120)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2반사경(12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태양은 시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도 5a 내지 도 5c는 하루 중 시간에 따라 변하는 태양의 위치 및 그에 따라 제1반사경 및 제2반사경의 회전 각도가 변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의 회전 각도는 상술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제어되는데, 도 5a, 도5b, 도 5c는 각각 하루 중 오전, 정오, 오후 따라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이 각각 회전한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전에는 태양이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동쪽을 향해 설치된 제1반사경(110)의 폭방향이 태양광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부(105)에 입사하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제1반사경(110)이 회전되고, 서쪽을 향해 설치되는 제2반사경(120)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을 통과한 태양광이 제2반사경(120)에 반사된 후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로 최대한 입사되도록 회전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오에는 태양이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부(105)로 직접 입사되는 태양광의 양이 적게 된다.
이와 같이 태양이 남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은 모두 태양광을 반사하여 반사된 태양광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양측에 형성된 수광부(105)에 최대한 입사되도록 회전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후에는 태양이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서쪽을 향해 설치되는 제2반사경(120)의 폭방향이 태양광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부(105)에 입사하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제2반사경(120)이 회전되고, 동쪽을 향해 설치되는 제1반사경(110)은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통과한 태양 광이 제1반사경(110)에 반사된 후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로 최대한 입사되도록 회전된다.
이와 같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양측에 구비된 수광부(105)와 각각 대향하도록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을 설치하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제1반사경(110) 및 제2반사경(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수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100)의 광변환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장치에 설치되는 장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내지 도 5c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제1반사경과 제2반사경이 회전하는 각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 110: 제1반사경
120: 제2반사경 130: 제1구동부
140: 제2구동부 150: 제어부
160: 저장부
Claims (12)
- 양면에 수광부가 형성된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과,상기 양면 수광부 중 일면 수광부와 대향되는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반사판을 구비하는 제1반사경과,상기 복수개의 제1반사판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와,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제1반사경의 반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반사판을 구비하는 제2반사경과,상기 복수개의 제2반사판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회전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각각구동모터와,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캠 플레이트와,일측은 상기 복수개의 반사판과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캠 플레이트의 가장 자리와 힌지 결합되는 링크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반사경 및 상기 제2반사경이 태양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제 5항에 있어서,날짜 및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반사판 및 제2반사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개의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셀과,상기 복수개의 태양전지 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광투과성 유리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수광부가 동서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 계절과 시간에 따른 태양의 위치가 입력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에 설치된 반사경이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로 입사하는 태양광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반사경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에서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의 반대 측에 설치된 반사경이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투과한 태양광을 반사시켜 상기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 모듈에 집광하도록 상기 태양광이 입사하는 측의 반대 측에 설치된 반사경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5682A KR100922710B1 (ko) | 2009-02-25 | 2009-02-25 |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5682A KR100922710B1 (ko) | 2009-02-25 | 2009-02-25 |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2710B1 true KR100922710B1 (ko) | 2009-10-21 |
Family
ID=4156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5682A KR100922710B1 (ko) | 2009-02-25 | 2009-02-25 |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271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092B1 (ko) * | 2012-10-10 | 2013-11-28 | 이윤기 | 랙 타입 구조를 가지는 태양광 충전장치 |
JP2021519054A (ja) * | 2018-04-16 | 2021-08-05 | ボリーメディア 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olymedia Holdings Co. Ltd. | 集光型太陽エネルギー装置 |
CN117155282A (zh) * | 2023-07-18 | 2023-12-01 | 苏州旭杰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光伏发电的性能影响因素分析装置及其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4199A (en) * | 1981-03-04 | 1982-09-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Solar cell panel device |
JPH04233773A (ja) * | 1990-08-16 | 1992-08-21 | Eev Ltd | 太陽電池装置 |
KR20010084930A (ko) * | 2001-05-10 | 2001-09-07 | 김재송 | 3차원태양에너지시스템 |
KR20060012785A (ko) * | 2004-08-04 | 2006-02-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중구조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
-
2009
- 2009-02-25 KR KR1020090015682A patent/KR10092271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44199A (en) * | 1981-03-04 | 1982-09-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Solar cell panel device |
JPH04233773A (ja) * | 1990-08-16 | 1992-08-21 | Eev Ltd | 太陽電池装置 |
KR20010084930A (ko) * | 2001-05-10 | 2001-09-07 | 김재송 | 3차원태양에너지시스템 |
KR20060012785A (ko) * | 2004-08-04 | 2006-02-0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이중구조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092B1 (ko) * | 2012-10-10 | 2013-11-28 | 이윤기 | 랙 타입 구조를 가지는 태양광 충전장치 |
WO2014058091A1 (ko) * | 2012-10-10 | 2014-04-17 | Lee Yun Kee | 랙 타입 구조를 가지는 태양광 충전장치 |
JP2021519054A (ja) * | 2018-04-16 | 2021-08-05 | ボリーメディア 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Bolymedia Holdings Co. Ltd. | 集光型太陽エネルギー装置 |
CN117155282A (zh) * | 2023-07-18 | 2023-12-01 | 苏州旭杰建筑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基于光伏发电的性能影响因素分析装置及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515B1 (ko) | 각도조절이 가능한 반사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 |
Tabaei et al. |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 photovoltaic water pumping system by using booster reflector and cooling array surface by a film of water | |
JP5337961B2 (ja) | 太陽追尾モジュール装置 | |
US9660122B2 (en) | Compact LCPV solar electric generator | |
WO2010101468A1 (en) | Multi-element device | |
KR20100010256A (ko)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발전 장치 | |
KR101005296B1 (ko) | 도로의 방음벽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
KR20190128539A (ko) | 태양광 반사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US2011016823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cking for Concentrated Solar Modules | |
CN101471615A (zh) | ∧型聚光双轴跟踪太阳能光伏发电装置 | |
KR20100098973A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WO2020007292A1 (zh) | 一种增强组件光强的单轴跟踪系统 | |
KR20120049503A (ko) | 접이식 반사판을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0922710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CN101702410B (zh) | 一种双斜面反射聚光太阳能光伏电池组件 | |
KR101929786B1 (ko) |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 |
US20100224181A1 (en) | High-efficiency array type focusing solar tracking system | |
JP5864293B2 (ja) | 集光式太陽光発電システム | |
CN104075222A (zh) | 一种自然光照明的太阳能装置 | |
KR20140072403A (ko) | 반사판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 |
Rajaee et al. | Experimental measurements of a prototype high-concentration Fresnel lens and sun-tracking method for photovoltaic panel’s efficiency enhancement | |
CN202395684U (zh) | 一种太阳能线形聚光发电装置 | |
KR101723148B1 (ko) |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 유닛 및 그 제조방법 | |
JP2012169570A (ja) | 太陽光発電装置 | |
CN202182968U (zh) | 一种超级聚光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