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19117B1 -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117B1
KR100919117B1 KR1020080098698A KR20080098698A KR100919117B1 KR 100919117 B1 KR100919117 B1 KR 100919117B1 KR 1020080098698 A KR1020080098698 A KR 1020080098698A KR 20080098698 A KR20080098698 A KR 20080098698A KR 100919117 B1 KR100919117 B1 KR 10091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agnet
lens
lens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락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filed Critical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Priority to KR1020080098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는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에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의 외주변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구동 코일의 상호 작용을 통한 구동력에 의하여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 상기 캐리어의 상단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하단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한편, 구동력의 크기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Auto-Focusing Lens Assembly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구동력의 향상과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가 크게 감소한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camera)란 일반적으로 렌즈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기계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카메라는 초점 조절 및/또는 줌 기능을 위하여 다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데, 다수의 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소형 광학기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에는 배율 조정(zooming)이나 자동 초점 조절(auto-focusing)을 위한 구동 기기로서 다양한 액츄에이터(actuator)가 구비되어, 그 내부에 적절하게 형성되는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통해서 초점 및/또는 배율을 조정한다.
종래 이와 같은 소형 광학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에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기어 등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이른바, 회전 모터 방식의 기계식 장치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식 장치의 경우, 기어와 모터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초점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각 기계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소형화가 곤란하여,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장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특히,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요구되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화 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많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점차적으로 소형화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서 피사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다수의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렌즈의 곡률을 변화시켜 피사체를 이미지 센서에 선명하게 결상시키는 포커싱(focusing)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의 위치가 변경되는데, 달리 말하면 피사체와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상이 형성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포커싱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미지 센서에 선명한 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1개 이상의 렌즈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에 있어서 포커싱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부로서 예를 들어 매뉴얼, 스텝 모터, 압전 소자, 음성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VCM) 등이 요청되고 있다.
여기서, 음성 코일 모터(VCM)나 음성 코일 액추에이터(Voice Coil Actuator, VCA) 방식이란, 영구자석 및 코일의 유도자기력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도 1은 종래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적용된 VCM 방식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VCM 방식을 이용하여 모바일 통신기기와 같은 소형 광학기기에 설치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는 다수의 초점 조절용 렌즈(L1, L2, L3)로 이루어진 렌즈 유닛이 수용된 렌즈 배럴(10)의 외측으로 캐리어(12)가 체결되어 있다. 한편, 이 캐리어(12)의 외주변을 따라 구동부를 이루는 마그네트(22), 요크(24) 및 구동 코일(26)이 배치되어 있는데, 통상 마그네트(22)의 상단과 측면으로 마그네트(22)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24)가 배치되고, 이 마그네트(22)의 저면에서, 마그네트(22)와 요크(24) 사이에 구동 코일(26)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마그네트(22)의 상면과 내측으로만 요크(24)가 에워싸는 형상의 단면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이 요크(24)는 마그네트(22)의 상면과 내면은 물론이고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캐리어(12)의 저면으로는 캐리어(12) 및 구동부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30)가 구비되어 있는데, 베이스(30)의 하단 내주면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포커싱 기능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렌즈 유닛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렌즈로 구성되는데, 렌즈 유닛을 수용하고 있는 렌즈 배럴(10)을 광축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렌즈 배럴(10) 하부에 형성되는 이미지 센서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포커싱을 구현함으로서 가장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렌즈가 광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VCM 방식을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2)와 전류가 공급되는 구동 코일(26)을 대향 배치하여, 마그네트(22)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 내에서 구동 코일(26)의 유도자기력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전류와 자기장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렌즈 배럴(10) 및 이를 수용하는 캐리어(12)를 구동시킨다.
그런데,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CCD, CMOS와 같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가 제품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 또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소형화, 경량화, 저가격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렌즈 유닛과 케이스의 결합이 단일 핀 등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렌즈 유닛의 구동이 안정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구성 부품들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충격에 의하여 손쉽게 파손되어 신뢰성 면에서 좋지 않다.
특히, 캐리어(12)의 외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마그네트(22), 요크(24) 및 구동 코일(26)이 적합한 전원을 인가받아 렌즈 배럴(10) 및 이를 수용하는 캐리어(12)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는데, 구동 코일(26)로 인가되는 전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로렌츠의 힘에 의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22)의 자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요크(24)는 마그네트(22)의 상면은 물론이고 그 내측면 및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캐리어(12)와 그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2) 사이에는 마그네트(22)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캐리어(12)와 마그네트(22) 사이에 필수적으로 요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된다. 결국, 렌즈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추세에 제대로 부합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였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 면에 있어서도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렌즈 배럴을 구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 구동 코일 및 요크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서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를 이루는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요크를 배치함으로써, 구동 코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구동력을 하여 안정적인 포커싱이 가능한 모바일 통신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과정이나 사용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오물의 침투로 인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 과정에서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목적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을 통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외주변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구동 코일의 상호 작용을 통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부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 상기 캐리어의 상단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하단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 하단에 면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코일은 상기 캐리어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하여 상기 캐리어에 권선되어, 상기 렌즈부가 광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 하단이 하향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향 연장된 외측 하단의 저면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는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제 1 탄성체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단 커버와, 상기 요크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 커버와, 상기 하단 커버 및 상기 캐리어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2 탄성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제 1 탄성체와 제 2 탄성체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물결무늬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는 상기 제 2 탄성체의 하단에서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욱 포함하고, 이때,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으로 이물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른바 VCM 방식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구동부를 이루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을 제어하는 요크 및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코일을 렌즈 배럴에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전체 렌즈 조립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마그네트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으로 배치되지 않고, 마그네트의 저면에서 그 자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구동 코일이 이른바 '보빈 타입'에 의해서 캐리어의 외주변에 장착되기 때문에, 렌즈 조립체를 제조, 조립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조립의 편의성 내지는 공정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종전에 요크가 배치되었던 마그네트의 측면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 마그네트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마그네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 또한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렌즈 조립체의 구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립 과정이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물 침투로 인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는 과정에서의 포커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예를 들어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이른바 보이스-코일 모터(Voice-coil Motor, VCM) 방식을 이용한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와 관련해서, 점차 소형화하고 있는 모바일 통신기기에서도 채택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을 구성 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오토 포커싱 과정에서 촬상된 이미지의 품질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전체 카메라 모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여, 렌즈의 외주변에 배치되는 구동부의 이상적인 배치 및 그 형태의 변경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및 구동 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이루는 구성 부품 사이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라인을 따라 절단한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는 소형 광학기기, 특히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데,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직경 및 곡률 등이 다른 하나 이상의 렌즈(L1, L2, L3, L4)로 구성되는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렌즈 모듈로서의 렌즈부(110)와, 상기 렌즈부(120)의 외주변으로 체결되는 캐리어(120)와, 촬상되는 이미지에 대한 초점 조절을 위해서 상기 렌즈부(120) 및 이를 수용하는 캐리어(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리어(120)의 외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서의 구동부(200), 상기 렌즈부(110), 캐리어(120) 및 구동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미지 촬상을 위 한 소자 등이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1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의 중앙을 이루는 렌즈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 유닛이 렌즈 홀더 조립체 또는 하나 이상의 렌즈가 각각의 렌즈가 광축이 일치하도록 조립된 형태로 배럴(111)의 내부에 장착, 취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유닛으로 4개의 렌즈(L1, L2, L3, L4)를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고 필요에 따라 렌즈의 수와 형태는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이때, 렌즈 유닛을 이루는 다수의 렌즈(L1, L2, L3, L4)는 곡률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피사체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1 렌즈(L1)의 직경을 작게 하고, 나머지 렌즈(L2, L3, L4)의 직경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렌즈(L1 ~ L4)로 구성되는 렌즈 유닛은,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 방법 등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배럴(111)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부(100)의 주변으로는 투과된 빛을 차폐함과 동시에 각각의 렌즈를 렌즈 배럴(110)에 안정적으로 조립, 배열시키고, 각각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렌즈(L1)의 하단 주변부와 제 2 렌즈(L2)의 상단 주변부 사이로 제 1 스페이서(312)가, 제 2 렌즈(L2)의 하단 주변부와 제 3 렌즈(L3)의 상단 주변부 사이로 제 2 스페이서(314)가 각각 개재된다. 한편, 제 3 렌즈(L3)의 하단 주변부와 제 4 렌즈(L4)의 상단 주변부 사이로는 렌즈 배럴(111)의 중간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단(316)이, 제 4 렌즈(L4)의 하단 주변부로는 렌즈 배럴(111)의 하단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단(318)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 배럴(110)의 상단 내주면으로는 제 1 렌즈(L1) 주변부 상단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의 차광판이 형성되어 렌즈부(110)의 광선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입사광이 투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정렬, 배치하는 중공 원통체의 렌즈 수용부를 구성하는 렌즈 배럴(111)의 외측으로는 상단이 중공되어 있는 캐리어(120)가 체결된다. 이를 위해서, 렌즈 배럴(111)의 외주면으로는 나사산(112)이 형성되고, 캐리어(120)의 내주면으로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12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부(110)가 캐리어(120)의 내부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다시 말하면, 렌즈부(110)를 구성하는 렌즈 배럴(111)은 그 중심에 하나 이상의 렌즈를 취부하고 있으며, 상기 캐리어(120)는 그 중심부에 취부되어 있는 렌즈 배럴(111)을 지지하는 한편, 렌즈부(110)를 수용하고 있는 캐리어(120)의 외주변을 따라 오토포커싱(Auto-focusing, AF) 과정을 제어하는 구동부로서의 보이스 코일 모터와, 이러한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부품이 적절하게 배치, 결합되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피사체를 촬상하는 과정에서 해당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을 위하여 렌즈부(110) 및 이를 수용하고 있는 캐리어(120)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구동부(200)로서, 마그네트(210), 요크(220) 및 구동 코일(230)이 캐리어(120)의 외주변에 밀착,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네트(210)는 캐리어(120)의 상단 외주변을 따라 밀착, 배치되고, 마그네트(210)에서 생성되는 자력의 흐름(자속)을 제어하기 위해서 마그네트(210)의 저면에 인접하도록 요크(220)가 배치된다. 한편,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어 마그네트(21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력에 의한 로렌츠의 힘, 즉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 코일(240)은 요크(220)의 내주면과 대향하여, 캐리어(120)의 중간 내주면에 권선된 형태로 측설되어 있다.
이때, 마그네트(210)는 통상의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에서 사용되는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이 S극, 외측이 N극의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되거나 그 역방향의 배치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마그네트(21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성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극으로 구성할 경우에 단극을 내측과 외측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극으로 착자되어 있는 단일한 마그네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마그네트(210)의 극성을 내측 S:N극, 외측 N:S로 착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그네트(210)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120)의 기본 외경보다 큰 중공을 갖는 원판 형태의 오-링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트(210)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210)의 저면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요크(220)가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요크(220)는 마그네트(220)의 외측 저면에 면접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마그네트(210)로부터 형성되는 자속을 효율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요크(220)는 마그네트(210)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흐름을 렌즈 조립체의 횡축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렌즈 조립체의 구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요크(220)는 바람직하게는 마그네트(210)에 비하여 큰 중공을 갖는 오-링 형상으로서, 자속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자기투과율이 우수한 철, 냉간압연강 또는 니켈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종래 모바일용 보이스 코일 모터에서 마그네트의 상면은 물론이고 그 내/외측면을 모두 에워싸는 단면을 갖는 요크와 달리, 마그네트의 저면에 요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모바일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경우, 마그네트의 기본-폭 외에도 그 내/외측면을 에워싸는 요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원하는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전체 렌즈 조립체의 크기는 일정한 크기 이하로 감소시키기 곤란하였다(수백만 화소급을 기준으로 할 때 종전의 렌즈 조립체의 전체 직경은 최소 9.5㎜).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터(200)에서, 요크(220)는 마그네트(210)의 하단으로만 배치되어 있을 뿐이고, 측면으로는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종래 마그네트의 측면으로 요크를 배치하기 위해서 반드시 요구되었던 공간이 필요 없다. 이에 따라, 종래와 동일한 수백만 화소급의 이미지 센서를 기준으로 할 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은 구동부의 배치를 통해서 전체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직경을 8.5㎜ 수준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광축을 따라 렌즈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코일(230)이 상기 요크(220)의 내면에 대향하는 형태로 캐리어(120)의 중간 외주변에 권선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 구동 코일(230)이 캐리어(120)의 외주변을 따라 독립적으로 권선되는 형태가 아니라, 캐리어(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24)을 따라 구동 코일(230)이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권선되어 링 형상으로 측설되는 '보빈(Bobbin)' 타입이다. 이에 따라, 종전에 캐리어의 외주변으로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구동 코일을 권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전 방식에 비하여 액츄에이터의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구동 코일(230)로는 마그네트(210)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투과하는데,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 즉 로렌츠의 힘에 의해서 상기 구동 코일(230) 및 이와 결합된 캐리어(120)와 캐리어(120) 내부에 체결된 렌즈부(110)를 구동시킨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은 배치를 갖는 마그네트(210) 및 구동 코일(230)에 따른 유도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120)는 물론이고, 상기 캐리어(120)에 결합된 채로 권선되어 있는 구동 코일(230) 및 캐리어(120) 내부에 수용, 조립되는 렌즈부(110)가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120)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 코일(230)로 전류가 인가되면, 구동 코일(230)과, 요크(220)를 통하여 그 자속이 제어된 마그네트(210)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서 구동 코일(230)의 유도자기력이 로렌츠 힘으로 작용하여 렌즈부(110) 및 캐리어(1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유발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아울러, 광축을 따라 상하 왕복운동을 반복하는 캐리어(120)-구동 코일(230)과,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210)/요크(220) 사이를 체결할 수 있도록 캐리어(120)의 상단과 하단으로는 각각 탄성체(140, 142)가 구비된다. 이 탄성체(140, 142)는 구동 코일(240)의 양 끝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한편, 렌즈부(110) 및 이를 수용하는 캐리어(1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캐리어(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탄성체(140, 142)는 가동부로서의 캐리어(120)/구동 코일(230)과, 고정부로서의 마그네트(210)/요크(220)를 상호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가동부 및 고정부의 상면 및 저면의 결합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체는 캐리어(120) 및 마그네트(230)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제 1 탄성체(140)와, 캐리어(120) 및 요크(220)의 하단으로 설치되는 제 2 탄성체(141)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탄성체(140) 및 제 2 탄성체(141)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상기 제 1 탄성체(140) 및/또는 제 2 탄성체(142)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각 그 원주면을 따라 구불구불한 파형(波形)의 홈(140a, 142)이 구비되어 있는 물결무늬 판-스프링일 수 있는데, 이러한 외형을 가짐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복원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탄성체(140, 142)와 구동 코일(2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예를 들어 캐리어(120)의 외주변으로 별도의 매립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구동 코일(230)의 양 끝단이 이 매립홈을 통해서 각각의 탄성체(140, 1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컨대 판스프링 형태를 갖는 탄성체(140, 142)는 구동부(200)를 지지하고 구동부의 포커싱 정도를 조정한다.
또한, 모바일 통신 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 1 탄성체(140)의 상단으로 제 1 탄성체 가이드(141)를 경유하여 상부 커버(130)가 캐리어(120)의 개방된 상단에 구비되고, 요크(220)의 하단으로 캐리어(120)의 개방된 하단에 하부 커버(136)가 구비된다.
상부 커버(130)는 전체 렌즈 조립체(100)의 상단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중심에 렌즈부(100) 및 캐리어(120)가 관통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이다. 이때, 상부 커버(130)의 네 모서리의 하단은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조립하는 경우 후술하는 베이스(150)와 체결되며, 그 내부에 삽입되는 마그네트(210), 요크(2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향 연장되는 형태(132)를 갖는다.
한편, 하부 커버(136)는 마그네트(210)는 상술한 요크(220)의 하단에 구비되 어, 구동부를 이루는 마그네트(210) 및 요크(220)를 렌즈 조립체의 상단 외형을 제공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 커버(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크(220)와 동일한 중공을 가지고 있다. 이때, 하부 커버(136)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상부 커버(13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는 하향 돌출단(132)에 대응되는 4개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부 커버(130)의 하향 돌출단(132)이 하부 커버(136)의 체결홀로 삽입, 체결됨으로써, 마그네트(210) 및 요크(220)가 하부 커버(1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이 하부 커버(136)는 그 크기 및 외형이 그 하단에 배치되는 제 2 탄성체(142)의 형태와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하부 커버(136)가 제 2 탄성체(142)의 상단면에 접촉되며, 제 2 탄성체(142)가 수평하게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에 대한 하단 외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 베이스(150)가 캐리어(120)의 하단을 감싸는 베이스(150)가 형성된다. 이 베이스(150)는 캐리어(12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중공을 가지며, 그 모서리 부근에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외형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 2 탄성체(142) 및 그 상단에 형성되는 마그네트(210), 요크(2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향 연장되는 돌출단(152)의 구조를 갖는다.
특히, 이 베이스(150)의 중공 영역의 내주면 부근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8개의 이물방지 홈(1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물방지 홈(156)은 바람직하게는 피사체가 실제로 촬상되는 광학계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조립하는 과정이나 사용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이물(異物)이 피사체를 촬상하는 광학계 안으로 생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캐리어(120)의 외주면과 구동부(200) 내면 사이의 간극을 경유하여 베이스(150)의 내주측으로 이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렌즈 조립체의 가장 하단을 이루는 베이스(15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이물방지 홈(156)으로 이물이 포획되어 이물질이 베이스(150)의 중공 영역에 형성되는 광학계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이물로 인한 이미지 품질 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물방지 홈(156)은 그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아랫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에는 베이스(150)의 내주면으로 체결되는 필터(170)와, 예를 들어 본딩제를 매개로 접합되는 기판(미도시)에 탑재되는 이미지 센서(180)를 포함한다. 즉, 베이스(150)는 일정한 크기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중공된 영역으로 렌즈를 통해 들어온 입사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필터(170)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필터(170)는 예를 들어 근적외선을 차단하는 IR 필터일 수 있으며, 렌즈부(110)를 수용하는 캐리어(120)와 이미지 센서(18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지 센서(180)는 다수의 구성된 화소영역과 화소영역의 입출력 단자인 다수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때 다수의 전극을 예를 들어 와이어 본딩 장비를 이용해서 도시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미지 센서(180)로는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방식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180)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 상면에 와이어 본딩 방식으 로 탑재되거나 또는 기판 하면에 플립-칩 본딩 방식으로 탑재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근적외선 파장 및 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감지할 수 있어서 촬상 시에 화면 색조가 적조의 경향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파장 영역의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IR 필터와 같은 필터(170)가 렌즈부(110)와 이미지 센서(180)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렌즈부(100)를 통하여 모여진 광 이미지는 IR 필터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된 상태로 이미지 센서(180)에 결상된다. 물론, IR 필터를 별도로 구성하는 대신에, 렌즈부(100)를 이루는 다수의 렌즈(L1, L2, L3, L4)면을 코팅 처리하여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를 이루는 구동부로서의 보이스 코일 모터 사이의 작용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이루는 구동부 사이에서의 자력 방향, 전류 방향 및 구동력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구동 코일(230)이 캐리어(120)에 시계 방향으로 감긴 상태에서 구동 코일(230)로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210)와 그 하단에 형성된 요크(220)로 인하여 우측 방향으로 자속(자기장)이 형성되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의 로렌츠의 힘, 즉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렌즈 유닛이 조립되어 있는 렌즈 배럴(111)을 포함하는 렌즈부와, 이 렌즈부를 수용하고 있는 캐리어(120)가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것과 반대로, 마그네트(210)의 극성을 내측 N극, 외 측 S극으로 설정하고 전류의 방향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감는 경우에도 동일한 구동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구동부에서의 자기회로는 자속(flux)의 방향이 구동 코일(230)의 권선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하면, 구동 코일(230)로 인가되는 전류 벡터와 마그네트(210)로부터 생성되는 자석 밀도 벡터가 직각이 되어 구동력이 최대로 되는데, 이때 자기장과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도 자기장이 서로 반발하거나 인력에 의해 힘을 받아 코일이 구비된 경통 부분이 광축 방향으로 운동한다. 본 발명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과 같은 배치를 갖는 구동부에서의 구동력은 최대 3.0 g 으로서,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한 구동력과 유사하였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전체 렌즈 조립체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그 구동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액츄에이터 배치를 가능하게 하였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통신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의 구동에 대해서 상술한 도 4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가 구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렌즈 조립체(100)는 마그네트(210), 요크(220) 및 구동 코일(230)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라 렌즈부(110) 및 이 렌즈부(110)와 체결된 캐리어(12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동부(200)가 그 외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캐리어(120)의 하단을 수용하는 베이스(150)의 하단 내측으로 필터(170) 및 이미지 센서(180)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포커싱 조절 렌즈(L1, L2, L3, L4)로 이루어진 렌즈 유닛의 중앙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이 필터(170)를 경유하여 이미지 센서(180)로 전달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카메라 모듈 본체에 구비된 제어부로 전송되어 포커싱이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캐리어(120), 캐리어(120)에 결합된 구동 코일(230) 및 캐리어(120) 내부에 수용된 렌즈부(110)가 광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부(110)를 수용하는 캐리어(120)가 광축 방향으로 운동을 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 즉 오토 포커싱이 가능해진다. 즉,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상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센서(180)에 맺히는 피사체 광학상의 초점이 맞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이미지 센서(180)로 피사체에 대한 광학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렌즈부(110)가 광축 방향으로 운동을 하여 초점거리를 맞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오토 포커싱은 촬상된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데이터화하여 오토포커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가 가장 큰 위치에 렌즈부를 위치시킴으로서 초점 조정을 하는데, 만약 피사체에 대한 초점이 맞으면 피사체의 형태가 선명하여 명암구분이 명확하기 때문에, 오토포커싱 데이터가 커짐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0)가 채택된 모바일 통신기기의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 센서(180)가 작동되어, 렌즈 조립체(100)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의 상은 중공되어 있는 렌즈부(100) 및 필터 (170)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180)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어부에서 이미지 센서(180)로 전달된 피사체의 영상 신호가 흐릿하면, 렌즈 조립체의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렌즈부(1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양 끝단이 각각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 코일(230)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 코일(230)로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면 구동 코일(230)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마그네트(210)로부터 전달된 자속과의 척력이나 인력에 의하여 로렌츠의 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동력에 의하여 캐리어(120), 캐리어(120) 내부에 수용된 렌즈부(110) 및 캐리어(120)와 결합된 구동 코일(230)이 광축 방향으로 운동하는데, 카메라 모듈 내의 제어부는 전류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캐리어(120)를 광축선상에서 상하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350)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선명하게 하는 포커싱을 실현할 수 있다. 만약 구동 코일(230)로 반대 방향의 전류를 공급하면 캐리어(120)를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구동 코일(230)이 권선되어 있는 캐리어(120)의 직-상단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걸림단(126)으로서, 캐리어(120)가 상향 이동하는 경우에 이 걸림단(126)이 캐리어(120)의 상단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210)의 저면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120)의 구동 거리가 제한되어, 캐리어(120)의 과도한 광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그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탄성체(140, 142)가 그 복원력을 넘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본 원리, 즉 마그네트(210)의 하단으로만 그 자속을 제어하기 위한 오-링 형태의 요크(220)를 배치하는 것과 관련해서 상술한 것과 다른 형태를 갖는 구동부가 가능한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가 구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10)에서는 구동부로서의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루는 마그네트(210)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와 비교해서 차이를 보인다.
즉, 렌즈 배럴(110)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있는 캐리어(120)의 상단 외주변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210)의 외측 하단이 내측 하단에 비하여 하향 연장되어 있는 돌출부(212)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예와 비교해서 마그네트(210)의 전체적인 크기를 늘릴 수 있어, 마그네트(210)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야기되는 구동력의 크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요크(220)는 마그네트(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12)의 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캐리어(120)의 중단 외측으로 형성되는 걸림단(126)으로 인하여 캐리어(120)의 광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에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라면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었던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통신기기에 장착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이루는 구성 부품 사이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외관을 개략적 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라인을 따라 절단한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를 이루는 구동부 사이에서의 자력 방향, 전류 방향 및 구동력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가 구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가 구동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제 1 탄성체 및 제 2 탄성체의 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110 : 렌즈부/렌즈 모듈
111 : 렌즈 배럴 120 : 캐리어
130 : 상부 커버 136 : 하부 커버
140 : 제 1 탄성체 142 : 제 2 탄성체
150 : 베이스 170 : 필터
180 : 이미지 센서 200 : 구동부
210 : 마그네트 220 : 요크
230 : 구동 코일

Claims (9)

  1.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외주변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구동 코일의 상호 작용을 통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부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 상기 캐리어의 상단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하단으로만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2.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외주변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구동 코일의 상호 작용을 통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부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 상기 캐리어의 상단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하단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코일은 상기 캐리어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하여 상기 캐리어에 권선되어, 상기 렌즈부가 광축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3.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외주변으로 배치되는 마그네트 및 구동 코일의 상호 작용을 통한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렌즈부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로서, 상기 캐리어의 상단 외주변에 배치되는 마그네트의 하단으로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크가 배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 하단이 하향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측 하단에 면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의 하향 연장된 외측 하단의 저면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제 1 탄성체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단 커버와, 상기 요크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단 커버와, 상기 하단 커버 및 상기 캐리어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2 탄성체를 더욱 포함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체의 하단에서 상기 캐리어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더욱 포함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주면으로 이물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및 제 2 탄성체는 물결무늬를 갖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20080098698A 2008-10-08 2008-10-08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091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698A KR100919117B1 (ko) 2008-10-08 2008-10-08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698A KR100919117B1 (ko) 2008-10-08 2008-10-08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117B1 true KR100919117B1 (ko) 2009-09-25

Family

ID=4135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698A KR100919117B1 (ko) 2008-10-08 2008-10-08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11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03B1 (ko) 2010-02-25 2012-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초점 구동장치
KR20130034793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35521A (ko) * 2011-09-30 2013-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35520A (ko) * 2011-09-30 2013-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125471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US9906694B2 (en) 2011-09-30 2018-02-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a dust trap
KR101862391B1 (ko) * 2011-07-13 2018-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3557737A1 (en) * 2010-11-02 2019-10-23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039A (ja) 2003-01-23 2004-10-07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JP2004280031A (ja) 2003-03-13 2004-10-07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7108533A (ja) * 2005-10-14 2007-04-26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JP2008112003A (ja) 2006-10-31 200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039A (ja) 2003-01-23 2004-10-07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JP2004280031A (ja) 2003-03-13 2004-10-07 Shicoh E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2007108533A (ja) * 2005-10-14 2007-04-26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
JP2008112003A (ja) 2006-10-31 200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03B1 (ko) 2010-02-25 2012-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초점 구동장치
EP3557737A1 (en) * 2010-11-02 2019-10-23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3975416A1 (en) * 2010-11-02 2022-03-30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862391B1 (ko) * 2011-07-13 2018-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34793A (ko) * 2011-09-29 2013-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12184B1 (ko) * 2011-09-29 2018-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30035521A (ko) * 2011-09-30 2013-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035520A (ko) * 2011-09-30 2013-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906694B2 (en) 2011-09-30 2018-02-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a dust trap
KR101892297B1 (ko) * 2011-09-30 2018-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891598B1 (ko) * 2011-09-30 2018-08-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30125471A (ko) * 2012-05-09 2013-11-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118B1 (ko) 자체 체결 수단을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갖는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0919117B1 (ko)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1019682B1 (ko) 안정적인 포커싱이 가능한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0662238B1 (ko) 구동 수단을 구비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조절 장치
KR20110008478U (ko)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KR20100066678A (ko)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0631793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自動焦点調節装置
KR20110068504A (ko) 저가 제작 및 소형화가 가능한 렌즈 액츄에이터
KR20100125978A (ko) 마그네트 이동 타입 이미지 촬상용 렌즈 액츄에이터
KR20110111624A (ko)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106148A (ko) 발광 램프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431182B1 (ko) 모바일 기기용 렌즈 액추에이터
KR100949091B1 (ko) 마그네트 이동 타입 모바일 기기용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100703588B1 (ko) 자동 초점 렌즈 조립체
KR20190116808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20100062657A (ko)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0951293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124135A (ko) 이미지 촬상 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0760544B1 (ko) 기계적 조리개 및 셔터를 구비한 초소형 카메라 모듈
CN214375501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100790717B1 (ko) 오토 포커싱 카메라모듈 패키지
KR20110058582A (ko) 이미지 촬상장치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184864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101079026B1 (ko) 자동초점 광학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징 장치
KR20100068701A (ko) 렌즈 액츄에이터용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