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04029B1 - 배기가스정화촉매 - Google Patents

배기가스정화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029B1
KR100904029B1 KR1020077018799A KR20077018799A KR100904029B1 KR 100904029 B1 KR100904029 B1 KR 100904029B1 KR 1020077018799 A KR1020077018799 A KR 1020077018799A KR 20077018799 A KR20077018799 A KR 20077018799A KR 100904029 B1 KR100904029 B1 KR 10090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arrier substrate
bismuth
catalyst
composit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419A (ko
Inventor
히로마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7010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02Mixed oxides other than spinels, e.g. perovsk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4Platinum group metals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644Arsenic, antimony or bismuth
    • B01J23/6447Bism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4Multiple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37/0242Coating followed by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4Multiple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37/0248Coatings comprising impregnat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3원 촉매에 있어서, 비스무트 성분의 스캐터링은 Bi-Ti 복합산화물을 소정의 비율로 채택하여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소황화물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담체기재, 및 상기 담체기재 상에 형성되어, 귀금속, 다공질산화물 및 Bi-Ti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촉매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0.3 ≤ R ≤ 1.5 를 만족하는 데, 여기서 R은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Ti 함유량에 대한 Bi 함유량의 몰비이다.

Description

배기가스정화촉매{EXHAUST GAS PURIFYING CATALYS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황화물(H2S) 생성량을 억제할 수 있는 배기가스정화촉매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자동차 등으로부터의 배기가스 내의 NOx(질소산화물), CO(일산화탄소) 및 HC(탄화수소)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로서 3원 촉매가 널리 사용된다. 3원 촉매는 알루미나, 세리아, 지르코니아 및 세리아-지르코니아 고용체(solid solution)와 같은 다공질산화물담체 및 상기 담체 상에 로딩된 백금(Pt), 로듐(Rh) 및 팔라듐(Pd)과 같은 귀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HC 및 CO를 산화에 의해 그리고 NOx를 환원에 의해 정화시킨다. 이들 반응은 3원 촉매가 인스톨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근사적으로 산화 성분과 환원 성분의 등가량을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연혼합물이 이론적인 공연비, 즉 화학양론적 포인트(A/F = 대략 14.6 ±0.2)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연소되도록 공연비가 제어된다.
하지만, 3원 촉매는 배기가스분위기가 환원될 때에 상기 배기가스 내의 황산 화물이 환원되어 H2S로 생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심사특허공보(KOUKOKU) 제H08-015,554호에는 3원 촉매의 성분으로서 니켈 또는 구리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니켈 또는 구리 산화물은 산화분위기에서 SO2를 SO3 또는 SO4 로 산화시켜, 환원분위기에서 Ni2S3와 같은 황화물로서 황성분을 흡장함으로써, H2S 생성량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니켈 또는 구리는 환경적으로 유해 물질이기 때문에, 자동차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촉매에 질소나 구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니켈 또는 구리 산화물에 대한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스무트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Bi-함유 촉매는 비스무트 성분이 상승된 온도에서 스캐터링하여,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일본심사특허공보(KOUKOKU) 제H02-020,561호, 제H05-081,521호 및 제S61-020,342호에는 Bi-함유 촉매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촉매는 산화분위기에서 H2S를 산화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공연비가 자동차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어되면, 화학양론적 또는 환원분위기에서 H2S가 생성되는 위험이 있다. 이들 특허 문헌들은 화학양론적 또는 환원분위기에서의 촉매 효과들을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화학양론적 또는 환원분위기에서도 사용되는 3원 촉매로서 상기 촉매들을 사용하는 것도 전혀 개시하거나 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스무트의 스캐터링을 줄일 수 있어,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정화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Bi-Ti 복합산화물을 종래의 3원 촉매에서 소정의 비율로 채택하여 Bi 성분들의 스캐터링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정화촉매는, 담체기재 및 상기 담체기재 상에 형성되어, 귀금속, 다공질산화물 및 비스무트와 티탄의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촉매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티탄의 몰량에 대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의 비(R)가 0.3 ≤ R ≤ 1.5 를 만족한다.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은 0.2 mol/liter 이상이고 0.5 mol/lite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에 따르면, Bi-Ti 복합산화물에 함유된 비스무트의 스캐터링이 0.3 ≤ R ≤ 1.5를 만족하여 억제될 수 있는데, 여기서 R은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Ti의 몰량에 대한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Bi의 몰량의 비이다. 그 결과, 배기가스정화촉매의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Bi의 몰량을 0.2 mol/liter 이상이고 0.5 mol/liter 이하이게 하여, H2S 생성량 억제 및 비스무트 스캐터링 억제가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고레벨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Bi 함유량의 함수로서 Bi 잔존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Bi/Ti 비율의 함수, 즉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Ti의 몰량에 대한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Bi의 몰량의 비(R)로서 Bi 잔존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기재의 단위체적당 Bi 함유량의 함수로서 H2S 생성량을 도시한 그래프; 및
도 4는 기재의 단위체적당 Bi 함유량의 함수로서 CO-NOx 크로스 컨버전(cross conversion)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는 담체기재 및 촉매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층은 상기 담체기재 상에 형성되어, 귀금속, 다공질산화물 및 Bi-Ti 복합산화물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촉매층은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3원 촉매 이외에 Bi-Ti 복합산화물을 포함한다.
다공질산화물의 예로는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세리아, 지르코니아 및 세리아-지르코니아 고용체와 같이 복수의 상기 물질을 함유하는 복합산화물을 들 수 있고, 1이상의 상기 산화물이 채택될 수 있다. 적어도 비표면적이 큰 활성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세리아-지르코니아 고용체와 같은 산소 흡장 환원 능력을 갖는 산화물이 채택된다면, 배기가스분위기에서의 변동이 억제될 수 있어, 3원 활성이 더욱 개선된다.
Bi-함유 복합산화물이 종래의 3원 촉매에 첨가되면, Bi-함유 복합산화물은 산화분위기에서 SO2를 SO3 또는 SO4 로 산화시켜, 환원분위기에서 황화물로서 황성분을 흡장함으로써 H2S 생성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비스무트 성분들은 상승된 온도에서 스캐터링된다. 본 발명자는 비스무트의 스캐터링이 비스무트의 복합산화물과 비스무트와 화합물을 형성하는 또다른 원소를 이용하여 억제될 수 있다는 것과, 특히 비스무트와 화합물을 형성하는 또다른 원소로서 티탄이 사용될 때에 현저한 효과가 달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Bi-Ti 복합산화물은 주로 Bi 이온과 Ti 이온 양자 모두를 함유하는 산화물이지만, 주석(Sn) 및 아연(Zn)과 같은 기타 금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Ti의 몰량에 대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Bi의 몰량의 비(R)(이하, 간단히 "R"이라고 함)가 0.3 ≤ R ≤ 1.5 를 만족하면, 상승된 온도에서 사용 시에 발생하기 쉬운 비스무트의 스캐터링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R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비스무트가 스캐터링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 과가 강렬하게 열화되어, 결과적으로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저하된다. R이 0.5 ≤ R ≤ 1.3 를 만족하면, 비스무트의 스캐터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더욱이, Bi 함유량에 관해서는,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Bi의 몰량이 0.2 mol/liter 이상이고 0.5 mol/liter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i의 몰량이 상기 범위 이내에 있으면, H2S 생성량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H2S 생성량 억제 및 비스무트 스캐터링 억제가 동시에 실현될 수 있고,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고레벨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은 0.2 mol/liter 이상이고 0.4 mol/liter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로딩된 Bi의 몰량이 상기 범위 이내에 있으면, 종래의 3원 촉매의 3원 활성을 유지하면서 H2S 생성량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Bi-Ti 복합산화물은 다공질산화물과 물리적으로 혼합될 수 있지만, 졸-겔 공침전 처리 등에 의해 첨가될 수도 있다. 예컨대, Bi-Ti 복합산화물은, 적어도 비스무트와 티탄을 포함하는 질산으로서 수용성 화학 화합물의 수용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고, 상기 침전물을 알루미나 분말 등에 로딩한 다음, 결과물을 캘사이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귀금속은 HC 및 CO의 산화 또는 NOx의 환원에 촉매작용을 하며, 상기 귀금속의 적절한 예로는 백금(Pt), 로듐(Rh) 및 팔라듐(Pd)을 들 수 있 다. 강산화 활성을 보이는 백금 및 강환원 활성을 보이는 로듐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부 귀금속이 Bi-Ti 복합산화물 상에 로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귀금속은 다공질산화물 상에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금속 로딩은 종래의 3원 촉매에서와 동일한 레벨에 있을 수 있고, 원하는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귀금속 로딩은 귀금속 종류에 좌우하지만, 촉매층의 리터당 0.1 내지 10 g 이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는 촉매층이 형성되는 담체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용되는 담체기재는 세라믹 및 금속 허니콤 구조와 같은 종래의 구조일 수 있다. 촉매층을 담체기재 상에 형성하는 것은, 예컨대 다공질산화물과 Bi-Ti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허니콤 구조 상에 워시 코팅하고,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된 구조를 캘사이닝하며, 흡착(습식 주입(wet impregnation)) 또는 흡수(초기 습식 주입(incipient wetness impregnation))에 의해 상기 코팅층 상에 귀금속을 로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귀금속을 사전에 미리 다공질산화물 상에 로딩하여 형성되는 촉매 분말을 준비하고, 상기 촉매 분말과 Bi-Ti 복합산화물을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상기 방법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의 장점들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 촉매층에 또다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또다른 물질이 첨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
이하,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의 예시들을 비교예들과 함께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배기가스정화촉매의 형성>
배기가스정화촉매의 샘플(1 내지 15)들은 다음과 같은 절차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샘플 1]
[슬러리의 준비]
Ce-Zr 고용체(CeO2 : ZrO2 : Y2O3 = 65 : 30 : 5의 몰비)의 75 중량부, 활성 알루미나의 120 중량부, 알루미나 바인더(알루미나 하이드레이트의 3 중량부, 40% 알루미늄 질산 수용액의 44 중량부) 및 소정량의 순수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밀링함으로써 슬러리(S)가 준비되었다.
[촉매코팅층의 형성]
400 cpsi(cells per square inch)의 셀 밀도, 100 ㎛의 벽 두께, 103 mm의 직경, 130 mm의 길이, 및 1.1 리터의 체적을 갖는 허니콤 기재가 준비되어, 슬러리(S)로 워시 코팅되었다. 코팅된 기재는 120℃로 건조된 후, 3시간 동안 650℃로 캘사이닝되어, 촉매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촉매코팅층을 구비한 기재가 로듐을 흡착 및 로딩하기 위하여 소정의 농도의 로듐 질산 수용액 내에 침지되었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제거된 후, 피 스가 120℃로 건조된 후, 1시간 동안 500℃로 캘사이닝되어, 로듐을 로딩하였다. 더욱이, 상기 피스는 백금을 흡착 및 로딩하기 위하여 소정의 농도의 백금 디니트로디아민 용액 내에 침지되었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제거된 후, 상기 피스는 120℃로 건조된 후, 1시간 동안 500℃로 캘사이닝되어, 백금을 로딩하였다. 귀금속 로딩은 기재의 리터당 0.2 g 로듐 및 1.0 g 백금이었다.
[샘플 2]
샘플 2는 비스무트 산화물의 23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3]
샘플 3은 비스무트 산화물의 46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4]
샘플 4는 비스무트 산화물의 69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5]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1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5는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27 중량부(비스무트 산화물과 티탄 산화물 전체의 27 중량부; 이하 동일하게 적용됨)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6]
샘플 6은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54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7]
샘플 7은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108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8]
샘플 8은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216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9]
샘플 9는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270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10]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4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10은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96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11]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2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11은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100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12]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1.33으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12는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104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13]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1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13은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108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14]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0.5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 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14는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132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샘플 15]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은 Ti에 대한 Bi의 몰비(R) = 0.33으로 비스무트 질산을 함유하기 위하여 비스무트 질산 수용액과 함께 아나타세 티타니아 분말을 주입하고, 건조한 다음 그 결과물을 2시간 동안 600℃로 캘사이닝하여 준비되었다. 샘플 15는 상기 Bi-Ti 복합산화물 분말의 140 중량부가 슬러리(S)에 첨가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되었다.
각각의 샘플의 Bi 함유량, Ti 함유량 및 Bi/Ti 비율(R)이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Bi 함유량 (mol/liter) Ti 함유량 (mol/liter) Bi/Ti 비율 H2S 생성량 (ppm) Bi 잔존율 (%) CO-NOx 크로스 컨버전(%)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0 0 0.05 0 0.1 0 0.3 0 - 300 - 96.7 - 25 34 96.4 - 15 27 94.7 - 8 18 91.0
샘플 5 샘플 6 샘플 7 샘플 8 샘플 9 0.05 0.05 0.1 0.1 0.2 0.2 0.4 0.4 0.5 0.5 1 54 95 96.5 1 36 93 95.7 1 24 94 95.0 1 21 93 93.7 1 19 85 93.0
샘플 10 샘플 11 샘플 12 샘플 13 샘플 14 샘플 15 0.2 0.05 0.2 0.1 0.2 0.15 0.2 0.2 0.2 0.4 0.2 0.6 4 21 22 - 2 20 23 - 1.33 24 78 - 1 23 95 - 0.5 26 90 - 0.33 25 60 -
<조사 및 평가>
[Bi 스캐터닝 테스트]
상기 각각의 샘플 1 내지 15는 4.3-리터 V-타입 8-기통 엔진이 갖춰진 엔진 벤치의 배기 라인에 배치되어, A/F = 15와 A/F = 14 사이의 1 Hz의 공연비 주파수로 50시간 동안 850℃의 촉매층 온도에서 에이징되었다. 이러한 에이징 후, 각각의 샘플들이 해체되어 Bi 함유량의 원소 분석을 거쳤으며, 상기 Bi 함유량은 에이징 전후로 비교되었다. 에이징 전에 대한 에이징 후의 Bi 함유량의 비율은 표 1, 도 1 및 도 2의 "Bi 잔존율"로 도시되며, 번호들은 샘플 번호를 나타낸다.
[H2S 생성량 테스트]
상술된 각각의 샘플 1 내지 15는 2.4-리터 인라인 4-기통 엔진이 갖춰진 자동차에서 언더플로어 촉매로서 인스톨되었고, 테스트 런은 언더플로어 촉매층의 온도를 600 내지 650℃로 하기 위하여 40 km/hr의 주행 속도로 주행 모드 및 연소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실시되었다. 다음으로, 스로틀을 완전히 개방하면서, 자동차가 10초 이내에 110 km/hr의 속도까지 가속되어, 이 속도로 10초 동안 유지된 다음, 20초 이내에 감속 및 정지되어, 상기 정지로부터 10초 동안 공회전 상태가 유지되었다.
공회전 시의 배기가스 내의 H2S의 농도가 측정되었고, 그 피크 농도가 표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번호들은 샘플 번호들을 나타낸다.
[컨버전 효율 테스트]
상기 각각의 샘플 1 내지 9는 상기 Bi 스캐터링 테스트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에이징되었다. 이러한 에이징 후, 상기 각각의 샘플 1 내지 9는 2.4-리터 인라인 4-기통 엔진이 갖춰진 자동차에서 언더플로어 촉매로서 배치되었고, 연소 조건이 A/F = 13.5와 A/F = 15.5 사이의 공연비를 스위핑하도록 변경되면서, CO 및 NOx의 유입 및 유출 촉매 배기가스 컨버전 효율들이 측정되었다. 샘플 촉매들의 유입 배기가스 온도는 400℃이었다. CO 컨버전 곡선 및 NOx 컨버전 곡선의 교차점에서의 컨버전 효율을 "CO-NOx 크로스 컨버전"이라고 한다. 상기 CO-NOx 크로스 컨버전은 표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번호들은 샘플 번호들을 나타낸다.
[평가]
Ti 및 Bi 양자 모두를 함유하고 있는 복합산화물이 에이징 이후에 Ti가 없는 복합산화물보다 높은 Bi 잔존율을 나타낸다는 것은 도 1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Bi/Ti 비율(R)이 0.3 ≤ R ≤ 1.5 를 만족하는 샘플 12 내지 15는 Bi가 스캐터링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에 있어 우수하다는 점도 도 2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하다. 특히, 상기 비율(R)이 0.5 ≤ R ≤ 1.3 을 만족하는 촉매들은 Bi가 스캐터링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에 있어 더욱 우수하다.
도 3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Bi 함유량이 0.2 mol/liter 이상이고 0.5 mol/liter 이하이면, H2S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 더욱이, 도 4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Bi 함유량이 0.2 mol/liter 이상이고 0.4 mol/liter 이하이면, 3원 활성을 유지하면서 H2S 생성량이 억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 및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및 대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지 예시의 방법을 통해서 기술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러한 예시 및 실시예들이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배기가스정화촉매는 자동차 엔진용 3원 촉매로서 유용하다. 하지만, 본 출원이 자동차 엔진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학양론적 분위기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연소가 제어되는 여타의 내연기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배기가스정화촉매에 있어서,
    담체기재; 및
    상기 담체기재 상에 형성되어, 귀금속, 다공질산화물 및 비스무트와 티탄의 복합산화물을 포함하는 촉매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티탄의 몰량에 대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의 비(R)가 0.3 ≤ R ≤ 1.5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정화촉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티탄의 몰량에 대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의 비(R)가 0.5 ≤ R ≤ 1.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정화촉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은 0.2 mol/liter 이상이고 0.5 mol/lite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정화촉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기재의 단위체적당 로딩된 비스무트의 몰량은 0.2 mol/liter 이상이고 0.4 mol/lite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정화촉매.
KR1020077018799A 2005-02-18 2006-01-27 배기가스정화촉매 KR100904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2681A JP4716087B2 (ja) 2005-02-18 2005-02-18 排ガス浄化用触媒
JPJP-P-2005-00042681 2005-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419A KR20070104419A (ko) 2007-10-25
KR100904029B1 true KR100904029B1 (ko) 2009-06-22

Family

ID=3648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799A KR100904029B1 (ko) 2005-02-18 2006-01-27 배기가스정화촉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98205B2 (ko)
EP (1) EP1850948B9 (ko)
JP (1) JP4716087B2 (ko)
KR (1) KR100904029B1 (ko)
CN (1) CN101119789B (ko)
CA (1) CA2598395C (ko)
ES (1) ES2367136T3 (ko)
WO (1) WO2006087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3980B2 (ja) 2006-10-24 2012-10-31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排ガス浄化触媒用複合酸化物およびフィルター
JP4793316B2 (ja) * 2007-04-20 2011-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黄吸蔵触媒
WO2009044736A1 (ja) * 2007-10-01 2009-04-09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セリウム含有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pm燃焼用触媒、並びに、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
EP2269730B1 (en) 2008-04-23 2018-04-18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Composite oxide for catalyst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atalyst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and filter for diesel exhaust gas purification
JP5528040B2 (ja) 2008-10-03 2014-06-25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排ガス浄化触媒用複合酸化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排ガス浄化触媒用塗料とディーゼル排ガス浄化用フィルタ
GB201303396D0 (en) * 2013-02-26 2013-04-10 Johnson Matthey Plc Oxidation catalyst for a combustion engine
CN108659210B (zh) * 2017-03-29 2020-08-21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相催化剂及其在聚酯制备中的应用
KR102241948B1 (ko) * 2019-12-19 2021-04-2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황성이 개선된 선택적 촉매환원반응용 저온 탈질촉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2826A (en) 1996-04-26 2000-02-08 Engelhard Corporation Composition for oxidizing carbon monoxide in the presence of sulfur compounds with reduced formation of SO3 from SO2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531A (en) * 1903-08-21 1904-04-19 Utley Wedge Preparing iron pyrites for desulfurization.
GB1384248A (en) * 1971-05-07 1975-02-19 Ici Ltd Catalytic process
JPS5276289A (en) * 1975-12-22 1977-06-2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Nox reduction catalyst composition
FR2481252B1 (fr) * 1980-04-23 1985-09-20 Rhone Poulenc Spec Chim Catalyseur et procede d'oxydation de composes organiques du soufre
EP0039266B1 (fr) 1980-04-23 1984-10-24 Rhone-Poulenc Specialites Chimiques Procédé d'oxydation de l'hydrogène sulfuré et de composés organiques du soufre
JPS6120342A (ja) 1984-07-09 1986-01-2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672336B2 (ja) 1988-07-08 1997-11-0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US5120695A (en) 1989-07-28 1992-06-09 Degusaa Aktiengesellschaft (Degussa Ag) Catalyst for purifying exhaust gases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gas turbines operated at above the stoichiometric ratio
JPH04219306A (ja) * 1991-01-17 1992-08-10 Union Oil Co Calif 硫化水素の酸化方法
JPH0581521A (ja) 1991-09-20 1993-04-0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排出装置
JP2891609B2 (ja) * 1993-07-15 1999-05-17 株式会社アイシーティー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浄化用触媒
JP2795182B2 (ja) 1994-06-27 1998-09-10 日本鋼管株式会社 金属管被覆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接続方法
JPH0986928A (ja) 1994-10-04 1997-03-31 Nissan Motor Co Ltd Aサイト欠損型ペロブスカイト複合酸化物及びそれを用いた触媒
DE19838282A1 (de) * 1998-08-24 2000-03-02 Degussa Stickoxid-Speichermaterial und daraus hergestellter Stickoxid-Speicherkatalysator
US6350421B1 (en) 1998-08-24 2002-02-26 Dmc2 Degussa Metals Catalysts Cerdec Ag Nitrogen oxide storage material and nitrogen oxide storing catalyst prepared therefrom
KR20010017318A (ko) * 1999-08-10 2001-03-05 이형도 디젤엔진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FR2800631B1 (fr) * 1999-11-10 2002-05-24 Inst Francais Du Petrole Materiau ilmenite pour l'elimination des oxydes d'azo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2826A (en) 1996-04-26 2000-02-08 Engelhard Corporation Composition for oxidizing carbon monoxide in the presence of sulfur compounds with reduced formation of SO3 from SO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0948B9 (en) 2012-02-22
US7598205B2 (en) 2009-10-06
CN101119789B (zh) 2011-04-06
KR20070104419A (ko) 2007-10-25
JP2006224032A (ja) 2006-08-31
US20090163358A1 (en) 2009-06-25
EP1850948B1 (en) 2011-08-03
WO2006087920A1 (en) 2006-08-24
ES2367136T9 (es) 2012-03-09
CA2598395A1 (en) 2006-08-24
JP4716087B2 (ja) 2011-07-06
ES2367136T3 (es) 2011-10-28
CN101119789A (zh) 2008-02-06
CA2598395C (en) 2010-09-14
EP1850948A1 (en) 200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5630B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KR950002218B1 (ko) 알루미늄으로 안정화시킨 세리아 촉매 조성물
US10919025B2 (en) N2O removal from automotive exhaust for lean/rich systems
KR100921994B1 (ko) 배기가스정화촉매
EP2301661B1 (en) Honeycomb catalyst for purifying exhaust gas discharged from automobil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exhaust gas purifying method using the catalyst
KR920009112B1 (ko) 빈(貧) 가스 배기계용 삼원 촉매
EP0832688B1 (en) Exhaust gas purifying catalyst and exhaust gas purifying method
KR100904029B1 (ko) 배기가스정화촉매
US20150238940A1 (en) Synergized PGM Catalyst Systems Including Palladium for TWC Application
US6172000B1 (en) Diesel catalyst made from a mixture of particles: platinum on alumina and manganese-zirconium oxide
EP1985353A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for automobile,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system and purifying process of exhaust gas
JP2018528847A (ja) 排気システム用の亜酸化窒素除去触媒
CN105916578B (zh) 用于稀燃发动机的排气净化催化剂
CN101073772A (zh) 尾气净化用催化剂
JP2013176774A (ja) 触媒作用トラップ
KR101226670B1 (ko) 황화수소생성억제재
KR100879965B1 (ko) 배기가스정화용 촉매
EP0722767A1 (en) Catalyst for purifying exhaust gases
US20070123418A1 (en) Catalyst composition containing gallium for purifying exhaust g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141333A1 (e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JP4290391B2 (ja) 窒素酸化物を接触的に除去するための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KR20060108853A (ko) 내연기관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조성물 제조용 400ppm 이상 이리듐 성분이 불순물로 포함된 로듐용액
JP2001058131A (ja) 排ガス浄化用触媒
KR920009113B1 (ko) 희박 가스 배기계용 삼원 촉매
WO2002030546A2 (en) Catalytic material and method for abatement of nitrogen ox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