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7882B1 -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882B1
KR100897882B1 KR1020070035501A KR20070035501A KR100897882B1 KR 100897882 B1 KR100897882 B1 KR 100897882B1 KR 1020070035501 A KR1020070035501 A KR 1020070035501A KR 20070035501 A KR20070035501 A KR 20070035501A KR 100897882 B1 KR100897882 B1 KR 10089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motion value
pointing device
optical pointing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089A (ko
Inventor
이방원
이우석
곽종택
정완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07003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882B1/ko
Priority to US12/127,664 priority patent/US20080259034A1/en
Publication of KR2008009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사체의 움직임과 동일한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은 광 포인팅 장치를 일반적인 사용 방법 이외에 다양한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Optic pointing device and motion value calculation method of it}
도1 은 종래의 광 포인팅 장치의 일예인 광 마우스의 블록도이다.
도2 는 종래의 광 포인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 은 이미지 센서와 광원의 배치 구조에 따른 움직임을 찾는 검색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는 이미지 센서와 광원의 배치 구조에 따른 움직임을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는 광 포인팅 장치의 오버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은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7 은 도6 의 움직임 값 계산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8 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는 도8 의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도7 의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가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사체의 움직임과 동일한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계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 포인팅 장치는 광원을 피사체(또는 작업대 표면)에 조사하여 피사체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하고, 이전에 획득된 이미지와 현재 획득된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장치이다.
도1 은 일반적인 광 포인팅 장치의 일 예로 광마우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어부(10), 입력부(20), 및 광원(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10)는 이미지 센서(11-1) 및 컨버터(11-2)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 움직임 값 계산부(12), 및 통신부(13)로 구성되어 있다. 도1 에서 렌즈(lens)는 바닥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이미지 센서(11-1)로 전달한다. 또한, 도1 에서 점선은 광원(30)로부터 조사된 빛이 이미지 센서(11-1)로 입력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1 에 나타낸 블록들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는 바닥의 이미지를 감지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고,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 및 상기 계산된 움직임 값에 따라 움직임 정보(INF)를 컴퓨터 등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를 구성하는 이미지 센 서(11-1)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렌즈(lens)를 통하여 입력받아 이미지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컨버터(11-2)는 이미지 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움직임 값 계산부(12)는 컨버터(11-2)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여 출력하고, 광 마우스의 상태 및 통신부(13)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응답하고 광원(30)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신호를 출력한다.
통신부(13)는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 등에 응답하여 입력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예를 들면, 버튼의 작동 상태 또는 스크롤 장치의 움직임 등) 등에 대한 신호를 움직임 값 계산부(12)로 출력함과 동시에, 움직임 값 계산부(12)로부터 입력된 상기 움직임 값 및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컴퓨터 등 외부 장치로 움직임 정보(INF)를 출력한다.
입력부(20)는 버튼 또는 스크롤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한다. 광원(30)은 움직임 값 계산부(12)로부터 입력되는 조명신호에 응답하여 온, 오프 되며, 바닥에 빛을 조사한다. 광원(30)은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온, 오프 시키기 위한 구동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 포인팅 장치는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 많이 이용이 되고, 광 포인팅 장치와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의 편의상 나란히 놓이게 되는데 현재 널리 사용되는 키보드는 X축이 Y축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모니터 화면의 커서를 움직이기 위한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영역도 X축이 Y축보다 길게 된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는 모니터 화면의 X축 길이보다 키보드와 광 포인팅 장치가 놓이는 X축의 길이가 길게 된다.
그리고 사용상의 편이를 위해, 사람의 눈과 손의 중심이 일치시키기 위해 광 포인팅 장치의 위치가 키보드의 오른쪽으로 튀어 나오게 되며, 이러한 키보드와 광 포인팅 장치의 배치는 X축 방향으로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는 열차나 비행기와 같이 제한된 면적에서의 컴퓨터 사용 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즉,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영역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도2 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의 광 포인팅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 에 도시된 광 포인팅 장치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도2 의 광 포인팅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 센서로부터 읽어드리는 영역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미지 센서(21-1)는 X축을 구성하는 픽셀의 수(12개)와 Y축을 구성하는 픽셀의 수(12개)가 동일하도록 픽셀 어레이를 구비하되, 움직임 값 계산부(22)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21-1a)를 변경하여 준다.
즉, 움직임 값 계산부(22)로부터 전송되는 칼럼 및 로우 선택 신호와 픽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영역(21-1a)에 해당하는 픽셀들만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픽셀들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여 컨버터(21-2)로 출력한다.
여기서, 칼럼 선택 신호는 이미지 센서(21-1)의 Y축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이 고, 로우 선택 신호는 이미지 센서(21-1)의 X축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 그리고 픽셀 제어 신호는 이미지 센서(21-1)의 시작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신호로, 이미지 센서(21-1)는 픽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도3 ,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21-1a)의 시작점을 결정한다.
컨버터(21-2)는 이미지 센서(21-1)의 각각의 픽셀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각각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움직임 값 계산부(22)로 출력한다.
움직임 값 계산부(22)는 광원 위치 감지부(40)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의 X축과 Y축의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에 해당하는 이미지 센서의 특정 영역(21-1a)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칼럼 및 로우 선택 신호와 픽셀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이미지 센서(21-1)로 전송한다.
칼럼 및 로우 선택 신호와 픽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21)가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면, 움직임 값 계산부(22)는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전의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하여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을 계산한다.
광원 위치 감지부(40)는 광 포인팅 장치에 부착되는 이미지 센서(21-1)와 광원의 배치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움직임 값 계산부(22)에 통보하여 준다.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포인팅 장치의 이미지 센서(21-1)와 광원(30)을 광 포인팅 장치의 Y축과 평행하도록 배치하면, 실제적인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인지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동일하도록 움직임을 찾는 검 색 범위의 X축 및 Y축의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의 X축의 길이(12 픽셀)는 Y축의 길이(9 픽셀)보다 길게 된다.
그러나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포인팅 장치의 이미지 센서(21-1)와 광원(30)을 광 포인팅 장치의 X축과 평행하도록 배치하면, 실제적인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인지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의 X축 및 Y축의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의 X축의 길이(9 픽셀)는 Y축의 길이(12 픽셀)보다 짧게 된다.
즉, 광 포인팅 장치의 실제 움직임과 광 포인팅 장치가 인지하는 움직임의 X축과 Y축이 바뀌게 되어, 광 포인팅 장치의 실제 움직임이 X축으로 이동하면, 광 포인팅 장치가 인지하는 움직임은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인지하게 된다.
상기한 광 포인팅 장치는 X축 방향으로 좁은 공간에서 광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기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광 포인팅 장치와 이미지 센서(21-1)의 X축과 Y축을 바꾸어 인식하여, 움직임 값 계산부(22)의 출력이 X축과 Y축 값을 90도 또는 -90도 회전하는 로테이션 맵핑(Rotation Mapping)기능과 함께 이미지 센서(21-1)의 검색 범위도 재설정하였다. 그러나 광 포인팅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광 포인팅 장치의 바닥을 위로 뒤집어서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작업대에서 광 포인팅 장치를 움직여서 움직임 값을 계산하지 않고, 사용자가 광 포인팅 장치를 들고 손가락과 같은 피사체를 움직여서 광 포인팅 장치가 움직임 값을 계산하도록 할 수 있다.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 에 따라 피사체의 움직임 방향과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움직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피사체의 움직임과 동일한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광 포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오버턴 방향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버턴 방향 감지부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Y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1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오버턴 방향 감지부, 및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X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오버턴 방향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제1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제1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제1 미러부, 및 상기 제2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을 반전하여, 상기 제2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은 광을 방출하는 단계, 광 포인팅 장치가 뒤집어진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와 상기 기본 움직임 값에 응답하여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이전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며,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Y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1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은 광을 방출하는 단계, 광 포인팅 장치가 뒤집어진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와 상기 기본 움직임 값에 응답하여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이전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며,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X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광 포인팅 장치가 작업대 위를 움직여서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방식을 일반 모드(normal mode)라고 하고,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고 피사체를 움직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방식을 오버턴 모드(overturn mode)라고 한다. 그리고 도4 와 같이 광 포인팅 장치의 X축과 Y축을 서로 바꾸어 인식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방식을 로테이션 모드(rotation mode)라고 한다.
도5 는 광 포인팅 장치의 오버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오버턴 모드에서도 도5 의 A 방향과 같이 광 포인팅 장치를 Y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피사체의 좌우 움직임에 대하여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일치한다. 그러나 피사체의 상하 움직임에 대해서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반대가 된다. 즉 피사체가 아래로 움직이면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위로 움직이는 것으로 출력하며, 피사체가 위로 움직이면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아래로 움직이는 것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도5 의 B 방향과 같이 광 포인팅 장치를 X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피사체의 상하 움직임에 대하여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일치한다. 그러나 피사체의 좌우 움직임에 대해서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반대가 된다. 즉 피사체가 좌로 움직이면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우로 움직이는 것으로 출력하며, 피사체가 우로 움직이면 광 포인팅 장치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좌로 움직이는 것으로 출력한다.
도6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6 의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0)는 도2 의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와 같이 이미지 센서(111)와 컨버터(112)를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111)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되며, 움직임 값 계산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칼럼 및 로우 선택 신호와 픽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영역(111a)에 해당하는 픽셀들만을 활성화한다. 그리고 활성화된 픽셀들을 통해 이미지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여 컨버터(112)로 출력한다.
컨버터(112)는 이미지 센서(111)의 복수개의 픽셀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각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움직임 값 계산부(120)로 출력한다.
모드 판별부(400)는 광 포인팅 장치의 오버턴 방향을 감지함과 더불어, 도2 의 광원 위치 감지부(40)와 같이 광포인팅 장치의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배치구조에 따라 로테이션 방향을 감지하여, 광 포인팅 장치의 상태에 따른 모드를 판별하고, 해당 모드에 따른 모드 신호(MS)를 움직임 값 계산부(120)로 출력한다.
움직임 값 계산부(120)는 컨버터(11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인가 받고, 모드 판별부(400)로부터 모드 신호(MS)를 인가 받아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움직임 값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도2 에서와 같이 움직임 값 계산부(120)는 모드 신호(MS)에 응답하여 움직임을 찾는 검색 범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움직임을 찾는 검 색 범위에 해당하는 이미지 센서의 특정 영역(111a)을 활성화하기 위한 칼럼 및 로우 선택 신호와 픽셀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이미지 센서(111)로 전송한다.
도7 은 도6 의 움직임 값 계산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7 을 참조하면, 움직임 값 계산부(120)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 로테이션부(122), 및 미러부(123)를 구비한다.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는 일반적인 광 포인팅 장치에서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움직임 값을 계산하여 제1 X값(dX1)과 제1 Y값(dY1)을 출력한다. 제1 X값(dX1)은 광 포인팅 장치 또는 피사체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 픽셀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며, 제1 Y값(dY1)은 광 포인팅 장치 또는 피사체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 픽셀의 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로테이션부(122)와 미러부(123) 각각은 모드 신호(MS)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모드 판별부(400)에서 인가되는 모드 신호(MS)가 로테이션 모드 신호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로테이션부(122)가 활성화되고, 모드 신호(MS)가 오버턴 모드 신호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미러부(123)가 활성화된다.
로테이션부(122)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에서 출력되는 제1 X값(dX1)과 제1 Y값(dY1)을 인가 받고, 모드 판별부(123)에서 인가되는 모드 신호(MS)가 로테이션 모드 신호가 아니면 제1 X값(dX1)과 제1 Y값(dY1)을 그대로 제2 X값(dX2)과 제2 Y값(dY2)로서 출력한다. 그러나 모드 신호(MS)가 로테이션 모드 신호로 인가되면 로테이션부(122)는 제1 X값(dX1)을 제2 Y값(dY2)로서 출력하고, 제1 Y값(dY1)을 제2 X값(dX2)으로서 출력한다. 즉 제1 X값(dX1)과 제1 Y값(dY1)을 서로 바꾸어서 제2 X값(dX2)과 제2 Y값(dY2)으로서 출력한다.
광 포인팅 장치를 Y축을 기준으로 뒤집은 A 방향 오버턴 모드인 경우, 미러부(123)는 로테이션부(122)에서 출력되는 제2 X값(dX2)과 제2 Y값(dY2)을 인가 받고, 모드 판별부(123)에서 인가되는 모드 신호(MS)가 오버턴 모드 신호가 아니면 제2 X값(dX2)과 제2 Y값(dY2)을 그대로 제3 X값(dX3)과 제3 Y값(dY3)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모드 신호(MS)가 오버턴 모드 신호로 인가되면 미러부(123)는 제2 X값(dX2)은 그대로 제3 X값(dX3)으로서 출력하고, 제2 Y값(dY2)은 반전하여 반전된 제2 Y값(-dY2)을 제3 Y값(dY3)으로서 출력한다. 즉 X축 방향의 값은 그대로 유지하고, Y축 방향의 값만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광 포인팅 장치를 X축을 기준으로 뒤집은 B 방향 오버턴 모드인 경우, 모드 신호(MS)가 오버턴 모드 신호로 인가되면 미러부(123)는 제2 Y값(dY2)은 그대로 제3 Y값(dY3)으로서 출력하고, 제2 X값(dX2)은 반전하여 반전된 제2 X값(-dX2)을 제3 X값(dX3)으로서 출력한다. 즉 Y축 방향의 값은 그대로 유지하고, X축 방향의 값만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도7 에 도시된 움직임 값 계산부(120)는 모드 판별부(400)에서 인가되는 모드 신호(MS)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해당 모드에 따른 움직임 값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광 포인팅 장치가 로테이션 모드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광 포인팅 장치와 동일하게 움직임 값(dX1, dY1)을 계산한 후, 움직임 값(dX1, dY1)의 X값(dX1)과 Y값(dY1)을 서로 교환하여 로테이션된 움직임 값(dY1, dX2)을 출력한다. 그리고 광 포인팅 장치가 오버턴 모드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광 포인팅 장치와 동일하게 움직임 값(dX1, dY1)을 계산한 후, 광 포인팅 장치를 오버턴하는 방법에 따라 움직임 값(dX1, dY1)의 Y값(dY1)을 반전하여 오버턴 된 움직임 값(dX1, -dY1)을 출력하거나 움직임 값(dX1, dY1)의 Y값(dX1)을 반전하여 오버턴 된 움직임 값(-dX1, dY1)을 출력한다.
또한 로테이션부(122)와 미러부(123)를 동시에 활성화 할 수도 있다. 로테이션부(122)와 미러부(123)를 동시에 활성화하게 되면,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에서 출력되는 제1 X값(dX1)과 제1 Y값(dY1)을 로테이션부(122)에서 서로 교환하여 로테이션된 움직임 값(dY1, dX1)을 각각 제2 X값(dX2)과 제2 Y값(dY2)으로 출력하게 되고, 미러부(123)는 오버턴 방법에 따라 A 방향 오버턴이면 제2 X값(dX2)과 제2 Y값(dY2)에서 제2 Y값(dY2)을 반전하여 오버턴된 움직임 값(dX2, -dY2)을 각각 제3 X값(dX3)과 제3 Y값(dY3)으로 출력하고, B 방향 오버턴이면 제2 X값(dX2)과 제2 Y값(dY2)에서 제2 X값(dX2)을 반전하여 오버턴된 움직임 값(-dX2, dY2)을 각각 제3 X값(dX3)과 제3 Y값(dY3)으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dX3, dY3)을 일반적인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인 제1 X값(dX1)과 제1ㅇ Y값(dY1)으로 표현하면, Y축을 기준으로 오버턴 한 A 방향 오버턴인 경우 움직임 값(dY1, -dX1)으로 출력되고, X축을 기준으로 오버턴 한 B 방향 오버턴인 경우 움직임 값(-dY1, dX1)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A 방향 오버턴과 B 방향 오버턴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미러부(123)를 제1 미러부와 제2 미러부로 구성하여 제1 미러부는 A 방향 오버턴에 대응하는 움직임 값을, 제2 미러부는 B 방향 오버턴에 대응하는 움직임 값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움직임 값 계산부(120)가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이외에 로테이션부(122), 미러부(123)를 모두 구비하여 사용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광 포인팅 장치를 다양한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적합한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추가로 움직임 값 계산부(120)는 모드 신호가 로테이션 모드 신호인 경우에 칼럼 및 로우 선택 신호와 픽셀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선택 신호 발생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7 의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를 제외한 로테이션부(122)와 미러부(123)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관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로테이션부(122), 및 미러부(123)가 움직임값 계산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미지 센서(111)의 출력단, 컨버터(112)의 출력단, 혹은 통신부에 구현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로테이션된 움직임 값이나 상하 반전된 움직임 값 또는 좌우 반전된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에서 움직임 값(dX1, dY1)을 출력한 이후 부분에 로테이션부(122), 및 미러부(1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 은 도7 의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111)를 통해 획득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9 는 도8 의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도7 의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가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 에서 기준 프레임(211)은 광 포인팅 장치의 이전 샘플링 기간 동안에 이미지 센서(111)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이며, 샘플 프레임(212)은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에 이미지 센서(111)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이다.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광 포인팅 장치가 움직임 거리를 계산하고자 하는 경우, 광 포인팅 장치는 이전에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프레임을 기준 프레임(211)으로 설정하고, 기준 프레임(211)의 일정 영역을 기준 영역(211-1)으로 설정하고,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프레임(12)을 샘플 프레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영역(211-1)을 샘플 프레임(212)의 왼쪽 상단 끝(-3, 3)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하단 끝(3, -3)에 이를 때까지의 한 픽셀 단위로 지그재그(zigzag) 스캐닝하면서, 기준 영역(211-1)과 샘플 프레임(212)과의 상관관계를 계산한다.
이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샘플 프레임(212)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된 샘플 프레임(212)의 위치로부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도9 에서는 샘플 프레임(212)의 (3,0)의 위치에서 기준 영역(211-1)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것은 광 포인팅 장치가 X축으로 3픽셀 이동한 것이므로 도7 의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121)는 제1 X값(dX1)과 제1 Y값(dY1)으로 움직임 값(3,0)을 출력한다.
그리고 도8 에서 기준 프레임(211)의 가운데 영역을 기준 영역(211-1)으로 설정하였으나, 다른 영역을 기준 영역(211-1)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준 프레임(211)의 가운데 영역을 기준 영역(211-1)으로 설정하면, 광 포인팅 장치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용이하다.
또한 도3 , 도4 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광 포인팅 장치가 로테이션 모드와 같은 특정 모드 시에는 샘플 프레임(212)의 크기를 제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의 특징은 오버턴 모드를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버턴 모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드 판별부(400)에서 광 포인팅 장치의 현재 상태가 오버턴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광 포인팅 장치가 모드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다. 모드를 판별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는 광 포인팅 장치에 모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일반 모드와 로테이션 모드 및 오버턴 모드를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모드가 설정되므로 스위치가 각 모드에 따라 각각의 모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모드 판별부(400)가 불필요하다.
스위치를 이용하여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 외에도 도3 과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등록 특허 제0620950호(이하 인용 발명이라 함)에 공개된 광 마우스의 광원에 의한 눈부심 방지 방법을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인용 발명의 광 마우스는 광 마우스를 뒤집어 볼 때 발생하는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 마우스가 바닥에서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오버턴 모드는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므로 인용 발명과 유사한 방법으로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인용 발명에서는 광 마우스가 바닥에서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코드 발생기와 감지 센서 및 코드 해석부를 구비하여 광 마우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푸시 버튼을 구비하여 광 마우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상단 덮개와 하단 덮개를 구비하여 광 마우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및 발광 다이오드와 감지부를 구비하여 광 마우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도10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포인팅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광 포인팅 장치의 모드를 판별하기 위하여 인용발명의 상단 덮개(UC)와 하단 덮개(BC)를 구비하여 광 마우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도10 의 광 포인팅 장치는 제어부(100), 입력부(200), 광원(300), 상단 덮개(UC), 하단 덮개(BC), 및 모드 판별부(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이미지 센서(111) 및 컨버터(112)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0), 움직임 값 계산부(120), 및 통신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도10 에서 렌즈(lens)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이미지 센서(111)로 전달한다.
제어부(100)는 바닥의 이미지를 감지하고, 모드 신호(MS)에 응답하여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움직임 값을 계산한다.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0)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 및 계산된 움직임 값에 따라 움직임 정보(INF)를 컴퓨터 등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이미지 데이터 출력부(110)를 구성하는 이미지 센서(111)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렌즈(lens)를 통하여 입력받아 이미지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컨버터(112)는 이미지 센서(111)로부터 입 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움직임 값 계산부(120)는 모드 신호(MS)를 인가 받아 광 포인팅 장치의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응답하여 컨버터(112)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통신부(130)는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신호를 움직임 값 계산부(120)로 출력함과 동시에, 움직임 값 계산부(120)로부터 입력된 상기 움직임 값 및 입력부(20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컴퓨터 등 외부 장치로 움직임 정보(INF)를 출력한다.
상단 덮개(UC)는 광 포인팅 장치가 뒤집어지게 되면 상단 덮개(UC)의 접점이 대응하는 광 포인팅 장치 본체의 접점으로부터 떨어지고, 하단 덮개(BC)는 광 포인팅 장치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면 하단 덮개(BC)의 접점이 대응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본체의 접점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모드 판별부(400)는 상기 상단 덮개(UC) 또는 상기 하단 덮개(BC)가 광 포인팅 장치의 본체로부터 떨어졌는지 여부에 따라 모드 신호(MS)를 출력한다.
즉, 도10 에 나타난 광 포인팅 장치는 광 포인팅 장치가 바닥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단 덮개(UC) 또는 하단 덮개(BC) 중 어느 하나가 광 포인팅 장치의 본체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드 판별부(400)가 상단 덮개(UC) 또는 하단 덮개(BC) 중 어느 하나가 광 포인팅 장치의 본체로부터 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드 신호(MS)를 출력함으로써 광 포인팅 장치가 뒤집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10 에서는 모드 판별부에서 오버턴 모드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단 덮 개(UC)와 하단 덮개(BC)를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상단 덮개(UC) 만을 구비하여도 광 포인팅 장치의 오버턴 모드를 판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인용 발명의 다른 실시 예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광 포인팅 장치에서 오버턴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A 방향 오버턴과 B 방향 오버턴을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광 포인탕 장치를 오버턴하여 사용하는 것은 광 포인팅 장치에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었을 때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가기능에 따라 광 포인팅 장치의 오버턴 방향이 설계시에 미리 결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모드 스위치와 같은 별도의 선택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센서와 같은 감지 장치를 광 포인팅 장치의 특정 위치에 추가로 구비하여 오버턴 방향을 감지 할 수도 있다. 즉 오버턴 하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광 포인팅 장치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르므로 접촉 센서에 접촉 여부를 판별하여 오버턴 방향을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센서는 광 포인팅 장치의 오버턴 여부를 판별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 법은 광 포인팅 장치를 일반적인 사용 방법 이외에 로테이션 모드와 오버턴 모드를 제공함으로서 광 포인팅 장치를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로테이션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과 Y값을 서로 바꾸어 로테이션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로테이션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6. 삭제
  7.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로테이션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과 Y값을 서로 바꾸어 로테이션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로테이션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광을 방출하는 광원;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판별부;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기본 움직임 값 계산부; 및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인가받아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움직임 값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오버턴 방향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버턴 방향 감지부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Y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1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오버턴 방향 감지부, 및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X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오버턴 방향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제1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제1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제1 미러부, 및 상기 제2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을 반전하여, 상기 제2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미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추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값 제어부는
    상기 로테이션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과 Y값을 서로 바꾸어 로테이션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로테이션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광을 방출하는 단계;
    광 포인팅 장치가 뒤집어진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와 상기 기본 움직임 값에 응답하여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이전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며,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Y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1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Y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은
    상기 로테이션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X값과 상기 Y값을 서로 바꾸어 로테이션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광을 방출하는 단계;
    광 포인팅 장치가 뒤집어진 경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피사체에 반사된 상기 광을 인가 받아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와 상기 기본 움직임 값에 응답하여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과 이미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로테이션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이전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샘플링 기간 동안 획득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본 움직임 값을 출력하며,
    상기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를 뒤집는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턴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광 포인팅 장치가 X축을 기준으로 뒤집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제2 오버턴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버턴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상기 기본 움직임 값의 X값을 반전하여 상기 미러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은
    상기 로테이션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X값과 상기 Y값을 서로 바꾸어 로테이션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KR1020070035501A 2007-04-11 2007-04-11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KR100897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01A KR100897882B1 (ko) 2007-04-11 2007-04-11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US12/127,664 US20080259034A1 (en) 2007-04-11 2008-05-27 Optical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motion value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01A KR100897882B1 (ko) 2007-04-11 2007-04-11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089A KR20080092089A (ko) 2008-10-15
KR100897882B1 true KR100897882B1 (ko) 2009-05-18

Family

ID=3987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01A KR100897882B1 (ko) 2007-04-11 2007-04-11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59034A1 (ko)
KR (1) KR100897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4290B2 (en) * 2009-05-27 2011-11-08 Microsoft Corporation Image contrast enhancement in depth sensor
JP6742816B2 (ja) * 2016-05-26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EP3481939A4 (en) 2016-07-06 2020-02-26 Virdia, Inc. METHODS FOR REFINING A LIGNOCELLULOSIC HYDROLYSAT
CN113918037B (zh) * 2021-11-12 2024-09-24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鼠标操作模式的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89U (ko) * 1996-09-12 1998-06-25 구자홍 볼 마우스 겸용 트랙볼
KR20030036979A (ko) * 2001-11-01 2003-05-12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펜형 광 마우스 장치 및 펜형 광 마우스 장치의 제어방법
KR100620950B1 (ko) * 2004-09-14 2006-09-19 주식회사 애트랩 광 마우스 및 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508A (en) * 1988-10-31 1990-07-03 Emtek Health Care Systems, Inc. Point and select device
US5063289A (en) * 1990-10-09 1991-11-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ombined mouse and trackball
US5280276A (en) * 1992-07-10 1994-01-18 Quickshot (Bvi) Ltd. Combination mouse/trackball input device
US5287090A (en) * 1992-09-30 1994-02-15 Grant Alan H Combination mouse and track ball unit
US6392634B1 (en) * 1993-07-08 2002-05-21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having reversible trackball/mouse device
US5767841A (en) * 1995-11-03 1998-06-16 Hartman; William M. Two-sided trackball
KR200168773Y1 (ko) * 1997-08-16 2000-02-01 윤종용 마우스장치
US6515651B1 (en) * 1998-09-24 2003-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versible wireless pointing device
US6373468B1 (en) * 1999-05-18 2002-04-16 Micron Technology, Inc. Reversible ergonomic pointer device
US7289102B2 (en) * 2000-07-17 2007-10-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sensors in a device with a display
US6950093B2 (en) * 2002-08-13 2005-09-27 Aiptek International Inc. Mouse handled in hand
US6917357B2 (en) * 2002-08-13 2005-07-12 Aiptek International Inc. Handy mouse with a direction-switch device
CN1206585C (zh) * 2003-01-06 2005-06-1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两用型光学式鼠标
US20070132733A1 (en) * 2004-06-08 2007-06-14 Pranil Ram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070004451A1 (en) * 2005-06-30 2007-01-04 C Anderson Eric Controlling functions of a handheld multifun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89U (ko) * 1996-09-12 1998-06-25 구자홍 볼 마우스 겸용 트랙볼
KR20030036979A (ko) * 2001-11-01 2003-05-12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펜형 광 마우스 장치 및 펜형 광 마우스 장치의 제어방법
KR100620950B1 (ko) * 2004-09-14 2006-09-19 주식회사 애트랩 광 마우스 및 이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59034A1 (en) 2008-10-23
KR20080092089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9127B1 (en) Optical pointing device
US9857892B2 (en) Optical sensing mechanisms for input devices
US6151015A (en) Pen like computer pointing device
US8022928B2 (en) Free-space pointing and handwriting
TW464800B (en) A method for inputting data to an electronic device, an article comprising a medium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n image processing system
RU2546063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злом восприятия и способ интерпретации смещенных жестов
JP520379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表示情報編集方法
US11048342B2 (en) Dual mode optical navigation device
EP1406159A2 (en) Pointing device
JP2006509269A (ja) データを入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GB2402460A (en) Optically detecting a click event
KR100897882B1 (ko) 광 포인팅 장치, 및 광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 값 계산 방법
KR20080007991A (ko) 광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110090178A1 (en) Detecting method for pen-like optical input device with multiple optical components and optical input device thereof
KR100469294B1 (ko) 펜형 광 마우스 장치 및 펜형 광 마우스 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090179A1 (en) Specific wavelength selecting method for optical input device and optical input device thereof
KR20070042858A (ko) 펜 형태의 디지털 입력 장치
JP200620194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端末
KR102216804B1 (ko) 정보 기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KR101310515B1 (ko) 프로젝션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과 장치
JP2018156305A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91441B1 (ko)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입력 장치
KR100899650B1 (ko) 무선 광 마우스의 제어방법
WO2017149719A1 (ja) 入力操作検出装置及び映像投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