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4892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892B1
KR100894892B1 KR1020090004430A KR20090004430A KR100894892B1 KR 100894892 B1 KR100894892 B1 KR 100894892B1 KR 1020090004430 A KR1020090004430 A KR 1020090004430A KR 20090004430 A KR20090004430 A KR 20090004430A KR 100894892 B1 KR100894892 B1 KR 10089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laser
laser diode
scattering memb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주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조현주
이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주, 이기현 filed Critical 조현주
Priority to KR102009000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892B1/ko
Priority to GB1114270A priority patent/GB2480033A/en
Priority to PCT/KR2009/002258 priority patent/WO2010085023A1/ko
Priority to CN200980154979.5A priority patent/CN102281797B/zh
Priority to US13/145,562 priority patent/US2011027725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대와 상기 칫솔대의 전단에 결합된 헤드부를 갖는 칫솔바디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표면 일 영역에 집중 식재된 칫솔모와, 상기 헤드부의 내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기동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기동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배터리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레이저구동부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상기 칫솔모를 향해 안내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을 갖는 칫솔에 있어서,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레이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통과공을 통과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산란되도록 상기 칫솔바디부에 설치되는 산란부재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의 산란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바디부에 설치되는 광산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칫솔, 레이저, 산란, 칫솔바디부

Description

칫솔{Tooth Brush}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캐리어영역의 상세도,
도4는 도2에 도시된 광산란부재의 사시도,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전기연결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요부단면도,
도9는 종래의 칫솔의 사시도,
도10은 종래의 칫솔의 분해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캐리어영역의 상세도,
도12는 종래의 칫솔의 단면도,
도13은 종래의 칫솔의 전기연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칫솔바디부 20, 130 : 칫솔대
30 : 손잡이부 31 : 손잡이바디부
40 : 헤드연결부 41 : 헤드연결바디부
50, 150 : 헤드부 51, 151 : 헤드바디부
52, 152 : 칫솔대연결부 61, 161 : 레이저다이오드
63, 163 : 칫솔모 70, 170 : 레이저구동부
73, 173 : 기동스위치 74, 174 : 안전스위치
80, 80' : 광산란부재 81 : 산란부재바디부
131 : 칫솔대바디부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모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강과 잇몸에서의 혈액순환촉진등과 같은 생체적인 효과와 함께 치아와 칫솔모에 대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칫솔모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칫솔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9는 종래의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10은 종래의 칫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캐리어영역의 상세도이며, 도12는 종래의 칫솔의 단면도이며, 도13은 종래의 칫솔의 전기연결도이다.
종래의 칫솔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130)와 칫솔대(130)에 결합된 헤드부(150)를 갖는 칫솔바디부(110)와, 칫솔대(130)에 설치된 레이저다이오드(161) 및 배터리(162)와, 레이저다이오드(161)와 배터리(1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레이저구동부(170)와, 헤드부(150)의 외표면 일 영역에 집중 식재된 칫솔모(163)와, 헤드부(150)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164)을 갖고 있다.
칫솔대(130)는 관형태의 칫솔대바디부(131)와, 칫솔대바디부(131)의 후단에 결합된 엔드캡(132)과, 칫솔대바디부(131)와 엔드캡(132)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캐리어(133)를 갖고 있다.
칫솔대바디부(131)는 전단영역 내표면에는 삽입언덕부(131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언덕부(131a)에는 한 쌍의 삽입안내홈(13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133)는 반원단면형태로 형성되고, 전단에는 지지판(1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캐리어(133)는 지지판(133a)이 삽입언덕부(131a)를 넘어 칫솔대바디부(13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칫솔대바디부(131)에 본딩 결합된다.
헤드부(150)는 대략 장장형상단면의 헤드바디부(151)와, 헤드바디부(151)로부터 연장 형성된 칫솔대연결부(152)를 갖고 있다.
헤드바디부(151)는 중공(中空)형태로 형성되고, 칫솔모(163)가 식재되어 있는 영역에는 레이저조사공(151a)이 형성되어 있다.
칫솔대연결부(152)는 외표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52a)가 삽입안내홈(131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헤드부(150)는 투명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칫솔대바디부(131)에 결합된다.
먼저 결합돌기(152a)를 삽입안내홈(131b)에 삽입한다.
다음에 결합돌기(152a)가 삽입안내홈(131b)을 완전히 통과할 때 헤드부(150)를 조금 회전시킨다.
헤드부(150)와 칫솔대바디부(131)사이의 결합상태는 결합돌기(152a)와 삽입언덕부(131a)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레이저다이오드(161)는 지지판(133a)의 중앙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162)는 캐리어(133)에 설치된 한 쌍의 배터리단자(16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레이저구동부(170)는 캐리어(133)에 탑재된 기판(171)과, 손잡이바디부(131)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172)과, 캐리어(133)에 설치된 기동스위치(173)와, 기판(171)에 결합된 안전스위치(174)와, 기판(171)상에 구현되어 있는 스위칭회로부(175) 및 구동제어부(176)를 갖고 있다.
기동스위치(173)는 누름버튼(172)의 가압조작시 온상태가 되고 누름버튼(172)의 가압해제조작시 오프상태가 되는 기동접점과 기동접점의 온상태시 구동제어부(176)에 온상태전압신호를 인가하는 온상태신호발생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전스위치(174)는 일단이 레이저다이오드(1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관형태의 안전고정단자(174a)와, 일단이 스위칭회로부(17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직선상의 안전가동단자(174b)로 구성되어 있다.
안전고정단자(174a)는 레이저다이오드(161)를 둘러싸도록 지지판(133a)에 설치되어 있다.
안전가동단자(174b)는 종단이 삽입언덕부(131a)와 안전고정단자(174a)사이에 배치되도록 기판(17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가동단자(174b)는 칫솔대연결부(152)가 칫솔대바디부(131)의 내부로 진입할 때 안전고정단자(174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안전스위치(174)는 온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안전스위치(174)는 헤드부(150)가 칫솔대바디부(131)에 결합될 때 레이저다이오드(161)와 스위칭회로부(175)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칭회로부(175)는 구동제어부(17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회로부(175)는 구동제어부(17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162)와 레이저다이오드(161)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회로부(175)의 구성은 주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제어부(176)는 입력단이 기동스위치(173)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제어부(176)는 안전스위치(174)가 온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동스위치(1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입력될 때 배터리전압이 레이저다이오드(161)에 공급되고 기동스위치(1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레이저다이오드(161)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5)를 제어한다.
반사경(164)은 2회 절곡된 형태의 반사면(164a)을 갖도록 형성되고, 반사 면(164a)이 칫솔모(163)를 향하도록 헤드부(150)의 칫솔모(163) 후방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반사경(164)은 인서트사출방법으로 헤드부(15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경(164)은 레이저다이오드(16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칫솔모(163)를 향해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칫솔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부(150)를 칫솔대바디부(131)에 결합시킨다.
헤드부(150)가 칫솔대바디부(131)에 결합되어 안전가동단자(174b)가 안전고정단자에 접촉하면, 안전스위치(174)는 온상태가 된다.
다음에 누름버튼(172)을 가압 조작한다.
누름버튼(172)이 가압 조작되어 기동스위치(1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제어부(176)는 레이저다이오드(161)와 배터리(1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5)를 제어한다.
레이저다이오드(161)와 배터리(1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레이저다이오드(1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된다.
레이저다이오드(161)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는 반사경(164)에 의해 반사된 후 레이저조사공(151a)을 통해 치아영역에 조사된다.
사용자는 레이저가 조사되면 칫솔모(163)로 이를 닦는다.
이를 다 닦고 나면 다시 한 번 누름버튼(172)을 가압 조작한다.
누름버튼(172)이 다시 가압 조작되어 기동스위치(1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구동제어부(176)는 레이저다이오드(161)와 배터리(1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175)를 제어한다.
레이저다이오드(161)와 배터리(1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레이저다이오드(161)의 레이저 조사는 중지된다.
나중에 다시 이를 닦고자 할 때는 다시 누름버튼(172)을 가압 조작한다.
그런데 종래의 칫솔에 따르면, 레이저의 조사경로에 레이저를 산란시키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다이오드(1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칫솔대와 상기 칫솔대의 전단에 결합된 헤드부를 갖는 칫솔바디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표면 일 영역에 집중 식재된 칫솔모와, 상기 헤드부의 내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기동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기동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배터리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레이저구동부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상기 칫솔모를 향해 안내하 도록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을 갖는 칫솔에 있어서,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레이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통과공을 통과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산란되도록 상기 칫솔바디부에 설치되는 산란부재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의 산란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바디부에 설치되는 광산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광산란부재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광산란부재는 상기 칫솔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귀의 내부 등과 같이 다른 신체부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칫솔모가 식재되는 헤드바디부와 상기 헤드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종단면에는 산란부재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칫솔대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칫솔대연결부를 통해 상기 칫솔대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산란부재는 상기 산란부재안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칫솔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산란부재에 접촉되는 신체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광산란부재는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와 협조하여 우산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접촉안전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캐리어영역의 상세도이며, 도4는 도2에 도시된 광산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전기연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20)와 칫솔대(20)에 결합된 헤드부(50)를 갖는 칫솔바디부(10)와, 칫솔대(20)에 설치된 레이저다이오드(61) 및 배터리(62)와, 레이저다이오드(61)와 배터리(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레이저구동부(70)와, 칫솔바디부(10)에 설치된 광산란부재(80)와, 헤드부(50)의 외표면 일 영역에 집중 식재된 칫솔모(63)와, 헤드부(50)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64)을 갖고 있다.
칫솔대(20)는 봉 형태의 손잡이부(30)와, 손잡이부(30)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형태의 헤드연결부(40)를 갖고 있다.
손잡이부(30)는 관형태의 손잡이바디부(31)와, 손잡이바디부(31)의 후단에 결합된 엔드캡(32)과, 손잡이바디부(31)와 엔드캡(32)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캐리어(33)를 갖고 있다.
손잡이바디부(31)는 전단영역 내표면에는 삽입언덕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언덕부(31a)에는 한 쌍의 삽입안내홈(31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33)는 반원단면형태로 형성되고, 전단에는 지지판(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캐리어(33)는 지지판(33a)이 삽입언덕부(31a)를 넘어 손잡이바디부(3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손잡이바디부(31)에 본딩 결합된다.
헤드연결부(40)는 관형태의 헤드연결바디부(41)와, 헤드연결바디부(41)의 후단으로부터 헤드연결바디부(41)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관형태의 손잡이결합협경부(42)와, 헤드연결바디부(41)의 전단으로부터 헤드연결바디부(41)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관형태의 헤드결합협경부(43)와, 헤드결합협경부(43)의 전단으로부터 헤드결합협경부(43)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관형태의 안착공간협경부(44)를 갖고 있다.
손잡이결합협경부(42)는 외표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42a)가 삽입안내홈(31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헤드연결부(40)는 투명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부(30)에 결합된다.
먼저 결합돌기(42a)를 삽입안내홈(31b)에 삽입한다.
다음에 결합돌기(42a)가 삽입안내홈(31b)을 완전히 통과할 때 헤드연결부(40)를 조금 회전시킨다.
헤드연결부(40)와 손잡이부(30)사이의 결합상태는 결합돌기(42a)와 삽입언덕부(31a)사이의 걸림 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헤드부(50)는 대략 장장형상단면의 헤드바디부(51)와, 헤드바디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된 칫솔대연결부(52)를 갖고 있다.
헤드바디부(51)는 중공(中空)형태로 형성되고, 칫솔모(63)가 식재되어 있는 영역에는 레이저조사공(51a)이 형성되어 있다.
칫솔대연결부(52)는 종단면에 산란부재안착공간(5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산란부재안착공간(52a)은 헤드결합협경부(43)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헤드부(50)는 투명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헤드결합협경부(43)의 외표면에 칫솔대연결부(52)의 내표면이 밀착되도록 헤드연결부(40)에 결합된다.
레이저다이오드(61)는 지지판(33a)의 중앙영역에 안착공간협경부(44)에 정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62)는 캐리어(33)에 설치된 한 쌍의 배터리단자(6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레이저구동부(70)는 캐리어(33)에 탑재된 기판(71)과, 손잡이바디부(31)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누름버튼(72)과, 캐리어(33)에 설치된 기동스위치(73)와, 기판(71)에 결합된 안전스위치(74)와, 기판(71)상에 구현되어 있는 스위칭회로부(75) 및 구동제어부(76)를 갖고 있다.
기동스위치(73)는 누름버튼(72)의 가압조작시 온상태가 되고 누름버튼(72)의 가압해제조작시 오프상태가 되는 기동접점과 기동접점의 온상태시 구동제어부(76)에 온상태전압신호를 인가하는 온상태신호발생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전스위치(74)는 일단이 레이저다이오드(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관형태의 안전고정단자(74a)와, 일단이 스위칭회로부(7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직선상의 안 전가동단자(74b)로 구성되어 있다.
안전고정단자(74a)는 레이저다이오드(61)를 둘러싸도록 지지판(33a)에 설치되어 있다.
안전가동단자(74b)는 종단이 삽입언덕부(31a)와 안전고정단자(74a)사이에 배치되도록 기판(7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가동단자(74b)는 손잡이결합협경부(42)가 손잡이바디부(31)의 내부로 진입할 때 안전고정단자(74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안전스위치(74)는 온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안전스위치(74)는 헤드연결부(40)가 손잡이부(30)에 결합될 때 레이저다이오드(61)와 스위칭회로부(75)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칭회로부(75)는 구동제어부(7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회로부(75)는 구동제어부(7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62)와 레이저다이오드(61)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회로부(75)의 구성은 주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제어부(76)는 입력단이 기동스위치(73)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제어부(76)는 안전스위치(74)가 온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동스위치(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입력될 때 배터리전압이 레이저다이오드(61)에 공급되고 기동스위치(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레이저다이오드(61)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75)를 제어한다.
광산란부재(80)는 대략 반구형태의 산란부재바디부(81)와, 산란부재바디부(81)로부터 연장 형성된 산란부재결합관부(82)와, 산란부재바디부(8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접촉안전부(83)를 갖고 있다.
산란부재바디부(81)에는 레이저통과공(8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이저통과공(81a)은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산란부재결합관부(82)는 레이저통과공(81a)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접촉안전부(83)는 산란부재바디부(81)와 협조하여 우산형태를 이루도록 산란부재바디부(81)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산란부재(80)는 실리콘 등과 같은 투명(반투명 포함) 재질로 제작된다. 여기서 광산란부재(80)는 색상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산란부재(80)는 산란부재결합관부(82)를 안착공간협경부(44)에 억지끼움시킴으로써 헤드연결부(4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광산란부재(80)는 산란부재안착공간(52a)에 수용되고, 레이저통과공(81a)은 레이저다이오드(61)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된다.
레이저통과공(81a)이 레이저다이오드(61)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중 일부는 그대로 레이저통과공(81a)을 통과하고 나머지는 산란부재바디부(81)를 통과하면서 산란하게 된다.
그리고 투명재질로 제작된 헤드연결부(40)의 바로 아래에 광산란부재(80)가 배치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산란부재바디부(81)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산란부재바디부(81)에서 레이저가 산란되고 산란부재바디부(81)를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되면 사용자는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반사경(64)은 2회 절곡된 형태의 반사면(64a)을 갖도록 형성되고, 반사면(64a)이 칫솔모(63)를 향하도록 헤드부(50)의 칫솔모(63) 후방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반사경(64)은 인서트사출방법으로 헤드부(5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경(64)은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칫솔모(63)를 향해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연결부(40)를 손잡이부(30)에 결합시킨다.
헤드연결부(40)가 손잡이부(30)에 결합되어 안전가동단자(74b)가 안전고정단자에 접촉하면, 안전스위치(74)는 온상태가 된다.
다음에 누름버튼(72)을 가압 조작한다.
누름버튼(72)이 가압 조작되어 기동스위치(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제어부(76)는 레이저다이오드(61)와 배터리(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5)를 제어한다.
레이저다이오드(61)와 배터리(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된다.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는 레이저통과공(81a)을 통과하고 산란부재바디부(81)에 의해 레이저가 산란된다. 산란부재바디부(81)에 의해 레이저가 산란되는 것을 통해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레이저통과공(81a)을 통과한 레이저는 반사경(64)에 의해 반사된 후 레이저조사공(51a)을 통해 치아영역에 조사된다.
사용자는 레이저가 조사되면 칫솔모(63)로 이를 닦는다.
이를 다 닦고 나면 다시 한 번 누름버튼(72)을 가압 조작한다.
누름버튼(72)이 다시 가압 조작되어 기동스위치(73)로부터 온상태전압신호가 다시 입력되면 구동제어부(76)는 레이저다이오드(61)와 배터리(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75)를 제어한다.
레이저다이오드(61)와 배터리(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면 레이저다이오드(61)의 레이저 조사는 중지된다.
나중에 다시 이를 닦고자 할 때는 다시 누름버튼(72)을 가압 조작한다.
한편 입, 코 또는 귀의 내부 등 신체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헤드부(50)를 칫솔대(2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광산란부재(80)를 입, 코 또는 귀의 내부에 진입시킨다. 광산란부 재(80)를 진입시킬 때 접촉안전부(83)는 신체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다음에 누름버튼(72)을 가압 조작한다.
누름버튼(72)이 가압 조작되면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된다.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는 레이저통과공(81a)을 통과하고 산란부재바디부(81)에 의해 레이저가 산란된다.
산란부재바디부(81)에서 산란된 레이저에 의해 입, 코 또는 귀의 내부가 밝아지고, 레이저통과공(81a)을 통과한 레이저에 의해 입, 코 또는 귀의 내부가 살균된다.
입, 코 또는 귀의 내부를 다 살펴보거나 또는 살균을 한 후에는 다시 한 번 누름버튼(72)을 가압 조작한다.
누름버튼(72)이 다시 가압 조작되면 레이저다이오드(61)와 배터리(62)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레이저다이오드(61)의 레이저 조사는 중지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산란부재(80)를 칫솔바디부(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으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바디부(10)의 내부에 광산란부재(80')를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광산란부재(80')는 중앙영역에 레이저통과공(8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산란부재(80)는 칫솔바디부(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산란시키는 광산란부재(80, 80')를 칫솔바디부(10)에 설치함으로써, 레이저다이오드(61)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산란부재(80)를 칫솔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광산란부재(80)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부(50)에 산란부재안착공간(53)을 형성하고, 산란부재안착공간(53)에 수용되도록 광산란부재(80)를 칫솔대(20)에 결합함으로써, 귀의 내부 등과 같이 다른 신체부위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산란부재바디부(81)의 외표면에 접촉안전부(83)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신체부위에 사용할 때 신체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산란시키는 광산란부재를 칫솔바디부에 설치함으로써,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레이저가 조사되는 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칫솔대와 상기 칫솔대의 전단에 결합된 헤드부를 갖는 칫솔바디부와, 상기 헤드부의 외표면 일 영역에 집중 식재된 칫솔모와, 상기 헤드부의 내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배터리와, 상기 칫솔대에 설치된 기동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기동스위치의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레이저다이오드와 상기 배터리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폐하는 레이저구동부와,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상기 칫솔모를 향해 안내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반사경을 갖는 칫솔에 있어서,
    투명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레이저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상기 레이저통과공을 통과하고 상기 레이저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산란되도록 상기 칫솔바디부에 설치되는 산란부재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의 산란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바디부에 설치되는 광산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재는 상기 칫솔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칫솔모가 식재되는 헤드바디부와 상기 헤드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종단면에는 산란부재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칫솔대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칫솔대연결부를 통해 상기 칫솔대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산란부재는 상기 산란부재안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칫솔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부재는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와 협조하여 우산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산란부재바디부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접촉안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90004430A 2009-01-20 2009-01-20 칫솔 KR100894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430A KR100894892B1 (ko) 2009-01-20 2009-01-20 칫솔
GB1114270A GB2480033A (en) 2009-01-20 2009-04-29 Toothbrush
PCT/KR2009/002258 WO2010085023A1 (ko) 2009-01-20 2009-04-29 칫솔
CN200980154979.5A CN102281797B (zh) 2009-01-20 2009-04-29 牙刷
US13/145,562 US20110277256A1 (en) 2009-01-20 2009-04-29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430A KR100894892B1 (ko) 2009-01-20 2009-01-20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892B1 true KR100894892B1 (ko) 2009-04-30

Family

ID=4075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430A KR100894892B1 (ko) 2009-01-20 2009-01-20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77256A1 (ko)
KR (1) KR100894892B1 (ko)
CN (1) CN102281797B (ko)
GB (1) GB2480033A (ko)
WO (1) WO20100850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052B1 (ko) * 2010-04-30 2012-08-30 주식회사 비씨엠코리아 레이저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101604025B1 (ko) * 2014-11-25 2016-03-16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레이저를 이용한 구강 치료장치
KR101715659B1 (ko) * 2016-06-02 2017-03-14 한국광기술원 광테라피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23282S1 (en) 2014-03-17 2015-03-03 Gosmile, Inc. Toothbrush head
USD787189S1 (en) 2014-03-17 2017-05-23 Gosmile, Llc Toothbrush
USD776936S1 (en) 2015-06-23 2017-01-24 Gosmile, Llc Toothbrush head
USD778061S1 (en) 2015-06-23 2017-02-07 Gosmile, Llc. Toothbrush
JP2017063955A (ja) * 2015-09-29 2017-04-06 日機装株式会社 歯ブラシ
KR101788694B1 (ko) * 2016-10-26 2017-11-15 (주)원스타인터내셔널 음파 진동 칫솔
CN106583282A (zh) * 2016-12-08 2017-04-26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吸奶器清洁消毒装置
CA182567S (en) 2017-03-22 2018-08-23 Gillette Co Llc Toothbrush
USD873026S1 (en) * 2018-08-03 2020-01-21 Sunstar Americas, Inc. Children's travel toothbrush
CN111012032A (zh) * 2019-12-31 2020-04-17 深圳市恳为科技有限公司 牙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74B1 (ko) 2008-01-24 2008-04-16 조현주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5796A (en) * 1987-07-24 1989-07-11 Randy Mosley Rotating flexible stem tooth brush
EP0417963B1 (en) * 1989-09-12 1994-08-03 Hiroshi Hukuba Toothbrush with voltage tester
EP0927544B1 (en) * 1996-09-10 2003-02-05 Grigory Borisovich Altshuler Toothbrush
IL123437A0 (en) * 1998-02-24 1998-09-24 Shalev Pinchas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thermal destruction of oral bacteria
US6029304A (en) * 1998-06-09 2000-02-29 Colgate-Palmolive Company Light interactive toothbrush
GB9816914D0 (en) * 1998-08-05 1998-09-30 Smithkline Beecham Gmbh Novel device
US7223281B2 (en) * 2001-11-29 2007-05-29 Altshuler Gregory B Multi-directional oral phototherapy applicator
US6954961B2 (en) * 2002-05-03 2005-10-18 Homedics, Inc. Light emitting toothbrush
US20070239143A1 (en) * 2006-03-10 2007-10-11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Photocosmetic device
US7100615B1 (en) * 2002-11-25 2006-09-05 Cms-Dental Aps Low level laser therapy system
US20050050659A1 (en) * 2003-09-09 2005-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 comprising an electrically powered element
US7544204B2 (en) * 2003-10-15 2009-06-09 Valam Corporation Control of halitosis-generating and other microorganisms in the non-dental upper respiratory tract
TW200610504A (en) * 2004-09-21 2006-04-01 Ind Tech Res Inst Toothbrush for bleaching teeth
ATE509546T1 (de) * 2006-03-24 2011-06-15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mit facettengriff
CN200987469Y (zh) * 2006-11-24 2007-12-12 上海顺驰激光科技有限公司 激光保健牙刷
US20080131834A1 (en) * 2006-12-04 2008-06-05 Techlight Systems Llc Photocatalysis process toothbrush
CN101683288A (zh) * 2008-09-28 2010-03-31 苏州科创管理咨询有限公司 激光电动牙刷
CN201333107Y (zh) * 2008-11-24 2009-10-28 苏州科创管理咨询有限公司 激光电动牙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74B1 (ko) 2008-01-24 2008-04-16 조현주 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052B1 (ko) * 2010-04-30 2012-08-30 주식회사 비씨엠코리아 레이저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101604025B1 (ko) * 2014-11-25 2016-03-16 주식회사 유니온메디칼 레이저를 이용한 구강 치료장치
KR101715659B1 (ko) * 2016-06-02 2017-03-14 한국광기술원 광테라피 기능을 갖는 구강 관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023A1 (ko) 2010-07-29
GB2480033A (en) 2011-11-02
CN102281797B (zh) 2014-01-15
CN102281797A (zh) 2011-12-14
US20110277256A1 (en) 2011-11-17
GB201114270D0 (en)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892B1 (ko) 칫솔
US20110162155A1 (en) Germicidal UV-C Toothbrush Method and Apparatus
EP3076825B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KR101269969B1 (ko) 복수의 광원이 교대로 배열된 광 조사 칫솔
CN108697495A (zh) 具有电子信号互锁控制的发射短波长可见光的牙刷
JP5314675B2 (ja) 電子歯ブラシ
JP5139371B2 (ja) 歯ブラシ
KR101853709B1 (ko) 갈바닉 마사지기
KR100737691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칫솔
JP5764269B1 (ja) 超音波スケーラー用チップおよび超音波スケーラー
CN109646137A (zh) 电动牙刷组件
KR100801581B1 (ko) 칫솔
RU234122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снабженная элементом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итанием
KR20100025434A (ko) 살균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구강 위생 장치 및 방법
JP2010213831A (ja) 歯ブラシ
KR100942722B1 (ko) 칫솔
KR20130094127A (ko) 구강용 레이저 조사기
KR100821174B1 (ko) 칫솔
JPH11155638A (ja) 紫外線発生歯ブラシ
KR200311757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KR101166065B1 (ko) 광출사 장치, 브러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칫솔
KR102286646B1 (ko)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JP2004350834A (ja) 照明付歯ブラシ、歯ブラシ用の照明装置、歯ブラシ装置および電動歯ブラシ
KR102553640B1 (ko) 근적외광 구강케어장치
KR200327446Y1 (ko) 음이온 발생 및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