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68B1 - 턱관절 보호 기구 - Google Patents
턱관절 보호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3168B1 KR100883168B1 KR1020070050395A KR20070050395A KR100883168B1 KR 100883168 B1 KR100883168 B1 KR 100883168B1 KR 1020070050395 A KR1020070050395 A KR 1020070050395A KR 20070050395 A KR20070050395 A KR 20070050395A KR 100883168 B1 KR100883168 B1 KR 100883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eth
- support
- jaw joint
- tongue
- protection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보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는, 치아가 안착되도록 U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할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고, 혀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혀를 중앙에 안착시키는 혀 움직임 수단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와의 고정력을 높이고,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며,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치아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턱관절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턱관절 보호 기구 110: 몸체부
112: 수직 고정 수단 114: 공기통로
120: 제1 지지부 122: 제1 수평 고정 수단
130: 제2 지지부 132: 혀 움직임 수단
134: 제2 수평 고정 수단
본 발명은 턱관절 보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턱관절의 교합 불균형을 해소함으로써 턱관절을 보호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여 두뇌를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턱관절의 균형이 무너지면 전신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턱관절의 불균형은 1번 경추와 2번 경추의 아탈구를 유발하여 경항부 주위의 근육 밸런스를 깨트림으로서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증상을 야기한다.
인간은 밤낮으로 하루에 2,400번 이상 무의식적으로 침을 삼키게 되는데 이때 상하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 1.6kg정도가 되고, 음식을 씹을 때 가해지는 압력은 20kg~80kg 정도가 되며, 수면 시간 동안 이갈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높은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좌우 턱관절의 불균형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엄청나다고 할 수 있으며,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질수록 턱관절의 불균형이 심화되며, 턱관절의 불균형이 심화될수록 상술한 전신증상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균형장치 등이 많이 발명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213824호로 제안된 턱관절 교정패드, 특허등록 제10-200982호로 윗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특허등록 제10-200983호로 아랫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등은 턱관절의 디스크를 교정하기 위하여 유동액을 사용하고, 아랫니 또는 윗니의 잇몸에 장착하는 특징이 있으나, 아랫니 또는 윗니에 착용됨으로써 교정패드의 착용시 잇몸에 고정되기 어려워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치아가 모아질 때 유동액의 이동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턱관절의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에 착용되어 턱관절을 보호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혀 움직임 수단을 구비하여 착용시에도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턱관절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부에 치아의 미끄럼을 조절하는 수직 고정 수단을 형성하고, 제1 지지부의 내측 및/또는 제2 지지부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 고정 수단을 형성하여 착용시 치아를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력을 높이는 턱관절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좌우 단차를 조절하여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턱관절의 보호 효과를 높이는 턱관절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니의 윗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을 앞니의 아랫부분이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형성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치아 고정 효과를 최대화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는, 치아가 안착되도록 U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할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고, 혀가 안착되는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혀를 중앙에 안착시키는 혀 움직임 수단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윗니의 내외측을 지지하는 상부의 간격이 아랫니의 내외측을 지지하는 하부의 간격보다 앞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부 또 는 제2 지지부는 윗니를 지지하는 상부의 내측 및 아랫니를 지지하는 하부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치아를 고정시키는 수평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턱관절 보정 기구의 부착시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탈부착시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는 M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는 W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치아를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보다 80mm 내지 120mm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는 구강 내외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좌측 가장자리부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부 두께가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6a 및 도 6b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마찬가지로 도 7a 및 도 7b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100)는 몸체부(110),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합성수지, 고무, 라텍 스,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의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지 아니하며, 향균 및 살균할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 고무, 라텍스, 실리콘 재질 등에 항균,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재료가 추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상면은 윗니 부분이 안착되고, 하면은 아랫니 부분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치아가 안착될 수 있도록 U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10)는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110a)이 앞니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앞니의 폭을 고려하여 좁게 형성되며,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앞니와 어금니의 치아 두께 차이를 고려하여 중앙 부분(110a)에서 가장자리 부분(110b)으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다. 앞니 부분이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w1)은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된다.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w1)은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되고,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폭(w1)은 앞니가 압박을 느낄 정도로 형성하여 치아의 고정력을 높인다.
또한, 몸체부(110)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잇몸의 일부에 치아가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가 잇몸까지 연장되면 사용자는 더욱 평안한 착용감을 느끼게 되고 잇몸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예컨대, 평균적인 치아와 잇몸의 길이를 고려하여 몸체부와 제1 지지부의 길이 차이(l)는 80mm 내지 12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치아의 안착성 및 사용 편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중앙 부분(110a)에서 가장자리 부분(110b)으로 이동할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윗니가 안착되는 상면은 균일하게 형성되는 반면,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면은 중심 부분(110a)에서 가장자리 부분(110b)으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따라서,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110b)의 두께(d2)는 앞니 부분이 안착되는 중앙 부분의 두께(d1)는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입이 다물어지는 경우, 어금니 부분이 맞물리게 되고, 어금니가 맞물리는 부분에서 가장 큰 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어금니 부분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치아가 맞물리는 부분은 앞니로부터 어금니로 이동할수록 면적이 넓어지고, 맞물리는 부분의 면적이 커질수록 치아의 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려하여 앞니가 안착되는 중앙 부분에서 어금니가 안착되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할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도 7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는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측 어금니 부분과 우측 어금니 부분의 단차를 고려하여 몸체부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d3)가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가장자리 부분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 차이(d3-d2)는 1mm 내지 10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이 다물어지는 경우, 어금니가 맞물리게 되는데, 치아의 미묘한 구조적 차이에 따라 우측 어금니가 좌측 어금니보다 먼저 맞물리게 되고, 맞물리는 부분 역시 우측 어금니 부분의 면적이 좌측 어금니의 부분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측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두께를 좌측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미묘한 좌우측 치아 구조의 차이를 보정하며, 이에 따라 턱관절 보정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되며 착용감 역시 좋아지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110)는 치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치아를 원래의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 고정 수단(112)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몸체부의 가장자리 부분(110b)에 상면 및 하면 모두 돌출(112a, 112b)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몸체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몸체부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몸체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몸체부(110)는 구강내외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 통로(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몸체부(110)의 중앙 부분에 2개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몸체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20)는 치아의 외측이 지지되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윗니 외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상부(120a)와 아랫니 외측을 지지하는 제1 지 지 하부(120b)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20)는 치아 및 잇몸 외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며, 몸체부(110)의 외곽선을 따라 치아 외측을 감싸듯이 형성됨으로써 치아의 외측을 지지한다. 또한, 제1 지지부 상부 및 하부(120a, 120b)는 치아가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치아 방향으로 각각 기울어져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와 치아를 고정시키는 제1 수평 고정 수단(122)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의 상부(120a)는 내측에 제1 지지부의 상부와 윗니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고정 수단(1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7a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부 상부의 중앙 부분 및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 상부의 중앙 부분 및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돌출 수단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평 고정 수단은 치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제1 지지부 상부의 위치 및 방향에 상관없이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의 하부(120b)는 내측에 제1 지지부의 하부와 아랫니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고정 수단(12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 하부의 중앙 부분에 치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지지부 하부의 중앙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수평 고정 수단이 형성되는데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정 수단은 아랫니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 며, 제1 지지부 하부의 위치 및 방향에 상관없이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는 치아의 내측이 지지되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윗니 내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부(130a)와 아랫니 내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하부(130b)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130)는 치아 및 잇몸 내측에 고정되도록 몸체부(110)의 내선을 따라 치아 내측 및 입 천정을 감싸듯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지지부의 내측은 혀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인 혀 주머니 낭(140)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지지부(130)는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혀를 입 천정에 닿을 수 있도록 하며, 혀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는 혀 움직임 수단(132)을 포함한다. 특히 혀 움직임 수단(132)은 제2 지지부 상부(130a)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1 슬럿(134)과 제2 슬럿(135)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혀의 이동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혀가 보호 기구의 중앙에 안착되지 아니하면 오히려 치아가 불균형하게 되고, 턱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 가드의 중앙에 혀 움직임 수단을 형성하여 혀를 보호 기구의 중앙에 안착시키고, 혀 움직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30)는 제2 가드(130)는 치아의 내측 및 입 천정을 감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가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니의 하단과 상단의 두께가 차이나는 것을 고려하여 앞니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제2 지지부(130)의 중앙 부분의 하단 두께가 상단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는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동일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front)에 위치되도록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입이 다물어지는 경우, 앞니 부분은 어금니 부분과는 달리 윗측 앞니와 아랫측 앞니가 맞물리지 아니하고, 윗측 앞니 부분이 아랫측 앞니 부분의 앞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턱관절 보호 기구는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착용감 및 치아 고정력을 높인다.
먼저, 제1 지지부 상부(120a)의 두께를 제1 지지부 하부(120b)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고, 제2 지지부 상부(130a)의 두께를 제2 지지부 하부(130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은 동일하나,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지지부의 상부 및 제2 지지부의 상부를 제1 지지부의 하부 및 제2 지지부의 하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과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간격은 동일하나, 윗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이 아랫측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130)는 제2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제2 수평 고정 수단(134) 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의 상부(130a)는 외측에 제2 지지 상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고정 수단(13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7a에서 자세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2 지지부 상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의 하부(130b)는 외측에 제2 지지부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 수단(13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부 하부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턱관절을 보정하기 위하여는 치아를 압력으로부터 보호하여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는 턱관절을 보호하는 기구가 치아에 정확히 고정될 필요성이 있다. 보호 기구가 치아에 정확히 고정되지 않으면 오히려 턱관절에 무리를 주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는 보호 기구를 치아에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들이 패드 및/또는 가드에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2 지지부의 혀 움직임 수단(132)을 손으로 잡은 후, 턱관절 보호 기구를 삽입한다. 이후 혀 움직임 수단(132)에 혀를 안착시키고, 턱관절 보호 기구를 물고 앞니와 턱이 가지런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지지부를 이용하여 턱관절 보호 기구를 한 손으로 잡은 후, 탈착과 동시에 혀를 내밀어주면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로서, 도 1 내지 도 5의 발명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 내지 도 5의 발명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는 제1 지지부(210)에 턱관절 보호 기구 부착시 고정력을 높이고, 탈착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의 상부(120a) 중앙에 제1 홈(125)이 형성되며, 제1 지지부의 하부(120b) 중앙에 제2 홈(12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부의 상부(120a)는 제1 홈(125)을 중심으로 가장자리 부분으로 이동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부(125)는 M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120b)는 W형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 홈 및 제2 홈(125, 126)을 이용하여 파지하고, 탈부착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 편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제1 지지부의 제1 홈(125) 및 제2 홈(126)을 이용하여 턱관절 보호 기구를 한 손으로 잡은 후, 다른 손으로 혀 움직임부(132)를 잡은 다음, 턱관절 보호 기구를 구강내로 삽입한다. 이후 혀 움직임부(132)에 혀를 안착시키고, 턱관절 보호 기구를 물고 앞니와 턱이 가지런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할 수 있다. 또한,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지지부의 제1 홈(125) 및 제2 홈(126)을 이용하여 턱관절 보호 기구를 한 손으로 잡은 후, 탈착과 동시에 혀를 내밀어 주면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보호 기구는 몸체의 중앙 부분에 턱관절 보호 기구 부착시 고정력을 높이고, 구강내외로 공기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홀(127)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지지부 상부(120a)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2 홀(12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1 지지부의 하부(120b)에도 적어도 하나의 홀들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지지부의 중앙에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혀 움직임 수단을 구비하여 착용시에도 혀의 이동을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에 치아의 미끄럼을 조절하는 수직 고정 수단을 형성하고, 제1 지지부의 내측 및/또는 제2 지지부의 외측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 고정 수단을 형성하여 착용시 치아를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써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 치아의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좌우 단차를 조절하여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고, 턱관절 보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앞니의 윗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을 앞니의 아랫부분이 안착되는 부분보다 앞에 형성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치아 고정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8)
- 치아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턱관절을 보호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에 있어서,상기 치아가 안착되도록 U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할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몸체부(110);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120); 및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고, 혀가 안착되는 공간(140)을 확보하며, 상기 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혀를 중앙에 안착시키는 혀 움직임 수단(132)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130)를 포함하고,상기 몸체(110)는 상기 치아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 수단(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는 윗니의 내외측을 지지하는 상부의 간격이 아랫니의 내외측을 지지하는 하부의 간격보다 앞(front)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지지부(120) 또는 제2 지지부(130)는 윗니를 지지하는 상부의 내측 및 아랫니를 지지하는 하부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치아를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 수단(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110)는 상기 제1 지지부의 길이보다 80mm 내지 120mm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구강 내외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공기 통로(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좌측 가장자리부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부 두께가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보호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395A KR100883168B1 (ko) | 2007-05-23 | 2007-05-23 | 턱관절 보호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395A KR100883168B1 (ko) | 2007-05-23 | 2007-05-23 | 턱관절 보호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3287A KR20080103287A (ko) | 2008-11-27 |
KR100883168B1 true KR100883168B1 (ko) | 2009-02-10 |
Family
ID=4028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0395A KR100883168B1 (ko) | 2007-05-23 | 2007-05-23 | 턱관절 보호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3168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483B1 (ko) | 2009-05-18 | 2009-11-12 |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 턱관절 균형 장치 |
KR200455055Y1 (ko) | 2009-09-18 | 2011-08-12 |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 턱관절 균형 장치 |
KR101180285B1 (ko) | 2009-09-17 | 2012-09-06 |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
KR20170028582A (ko) * | 2015-09-04 | 2017-03-14 | 성진욱 | 턱관절 교정장치 |
KR101862164B1 (ko) * | 2018-03-21 | 2018-05-29 | (주)퓨쳐 라이팅 | V 밸런스 장치 |
KR101921568B1 (ko) * | 2017-03-21 | 2018-11-23 | 배정호 | 비금속성 형상기억폴리머를 포함한 치과 치료용 임시 의치 |
KR101921587B1 (ko) * | 2017-03-21 | 2018-11-23 | 배정호 | 비금속성 형상기억폴리머를 포함한 치아 지혈용 지혈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0157B1 (ko) * | 2013-05-31 | 2014-02-12 | 박균섭 | 안면 운동기 |
KR20200053548A (ko) * | 2017-09-13 | 2020-05-19 | 크리스토퍼 존 패럴 | 구강 훈련 기구 |
JP6875018B2 (ja) * | 2019-07-31 | 2021-05-19 | 株式会社デンタルアシスト | 歯科矯正具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17335A (ja) * | 1992-05-27 | 1993-12-03 | Zenji Hashimoto | 顎関節の位置のずれを矯正する装置 |
US5624257A (en) * | 1991-10-31 | 1997-04-29 | Farrell; Christopher J. | Oral appliance |
KR20020026394A (ko) * | 2000-10-02 | 2002-04-10 | 김용무 |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
KR20050053676A (ko) * | 2002-09-20 | 2005-06-08 |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
WO2006108209A1 (en) | 2004-10-14 | 2006-10-19 | Christopher John Farrell | Oral appliance |
-
2007
- 2007-05-23 KR KR1020070050395A patent/KR1008831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24257A (en) * | 1991-10-31 | 1997-04-29 | Farrell; Christopher J. | Oral appliance |
JPH05317335A (ja) * | 1992-05-27 | 1993-12-03 | Zenji Hashimoto | 顎関節の位置のずれを矯正する装置 |
KR20020026394A (ko) * | 2000-10-02 | 2002-04-10 | 김용무 |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 방법 |
KR20050053676A (ko) * | 2002-09-20 | 2005-06-08 |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
WO2006108209A1 (en) | 2004-10-14 | 2006-10-19 | Christopher John Farrell | Oral appliance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483B1 (ko) | 2009-05-18 | 2009-11-12 |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 턱관절 균형 장치 |
KR101180285B1 (ko) | 2009-09-17 | 2012-09-06 |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
KR200455055Y1 (ko) | 2009-09-18 | 2011-08-12 |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 턱관절 균형 장치 |
KR20170028582A (ko) * | 2015-09-04 | 2017-03-14 | 성진욱 | 턱관절 교정장치 |
KR101725846B1 (ko) * | 2015-09-04 | 2017-04-11 | 성진욱 | 턱관절 교정장치 |
KR101921568B1 (ko) * | 2017-03-21 | 2018-11-23 | 배정호 | 비금속성 형상기억폴리머를 포함한 치과 치료용 임시 의치 |
KR101921587B1 (ko) * | 2017-03-21 | 2018-11-23 | 배정호 | 비금속성 형상기억폴리머를 포함한 치아 지혈용 지혈구 |
KR101862164B1 (ko) * | 2018-03-21 | 2018-05-29 | (주)퓨쳐 라이팅 | V 밸런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3287A (ko) | 2008-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3168B1 (ko) | 턱관절 보호 기구 | |
KR200443403Y1 (ko) | 치아 보호용 장치 | |
US11504213B2 (en) |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344394B1 (ko) |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 |
KR200443404Y1 (ko) |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 |
KR100926483B1 (ko) | 턱관절 균형 장치 | |
US11833008B1 (en) |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 |
US9375289B1 (en) | Intra-oral device | |
KR101947634B1 (ko) |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 |
US7404404B2 (en) | Anterior sextant dental bite tray apparatus | |
US20140093834A1 (en) | Repositioning Appliance | |
KR101637087B1 (ko) |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 |
US9192455B1 (en) |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 |
KR101844663B1 (ko) |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 |
US20180325721A1 (en) | Dental aligner, method of production, and orthosis comprising such an aligner | |
KR102098391B1 (ko) | 근기능 교정장치 | |
KR102425662B1 (ko) | 턱관절 교정 장치 | |
US5678991A (en) | Orthodontic appliance for the correction of class III skeletal and/or dental deviations | |
WO2023188415A1 (ja) | マウスピース | |
KR200455055Y1 (ko) | 턱관절 균형 장치 | |
KR101745561B1 (ko) |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 |
JP3210257U (ja) | 食いしばり防止装置 | |
CA2458350C (en) | An oral appliance | |
KR101764683B1 (ko) | 구강 및 턱관절 보호장치 | |
JP2019141604A (ja) | 高さ調節型スプリント及びその作製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3 Effective date: 20100908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