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504B1 - 이중 모니터 - Google Patents
이중 모니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8504B1 KR100878504B1 KR1020070017041A KR20070017041A KR100878504B1 KR 100878504 B1 KR100878504 B1 KR 100878504B1 KR 1020070017041 A KR1020070017041 A KR 1020070017041A KR 20070017041 A KR20070017041 A KR 20070017041A KR 100878504 B1 KR100878504 B1 KR 1008785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protrusion
- screen
- delete delete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제1 모니터, 제2 모니터 및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이중 모니터가 개시된다. 상기 제1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킨다. 그리하여, 서로 고정된 두 개의 모니터를 동시에 사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두 개의 모니터를 일체로 고정시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중 모니터(dual monit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모니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중 모니터의 제1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이중 모니터의 제2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도 8의 이중 모니터의 연결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이중 모니터 111, 211, 311 : 제1 모니터
112, 212, 312 : 제1 스크린 120, 220, 320 : 제2 모니터
121, 221, 321 : 제2 스크린 123, 223, 323 : 모니터 돌기
125, 225, 325 : 고정 부재 130, 230, 330 : 연결부재
140 : 가이드 바 170 : 가이드 고정부
150, 240, 340 : 제1 회전부 160, 250, 350 : 제2 회전부
151, 251, 341 : 제1 연결핀 161, 255, 351 : 제2 연결핀
165, 355 : 제3 연결핀
본 발명은 이중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동시에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이중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장치의 제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니터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의 두께는 얇아지고, 무게는 감소하여, 모니터의 부피는 줄어들고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사무실에서 컴퓨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컴퓨터에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노트북과 같은 이동형 컴퓨터를 사용할 때,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동시에 운반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또한, 이동중에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설치하고 작업하기는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를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는 경우 또는 이동 중에 작업해야 하는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개의 모니터를 서로 결합시킨 모니터가 개발되었다. 즉, 모니터의 측부에 연결 고리를 장착하여, 이동 중에는 두 개의 모니터를 폴더 형태로 접고, 사용 중에는 두 개의 모니터를 펼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폴더 형태로 두 개의 모니터를 결합시킨 구조에서는, 두 개의 모니터의 스크린들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노트북과 같은 이동성 컴퓨터의 경우, 이동시에 모니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스크린을 보호하는 데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다양하게 결합한 이중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는 제1 모니터, 제2 모니터 및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 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가이드 고정부 및 가이드 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는 커버부 및 가이드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모니터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 네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 모니터가 통과된다. 상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커버부의 상기 개구된 측면에 수직인 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를 가이드 한다. 상기 가이드 바는 적어도 하나의 끝부에 상기 가이드 라인에 의해 가이드 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된 측면은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며, 상기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모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3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제2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1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갖는다. 상기 제3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3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3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1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1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갖는다. 상기 제2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모니터의 배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일 측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모니터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 네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 모니터가 통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기 개구된 측면에 수직인 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가이드 고정부, 및 적어도 하나의 끝부에 상기 가이드 라인에 의해 가이드 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는 제1 모니터, 제2 모니터 및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의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배면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킨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배면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갖는다. 상기 제3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모니터의 배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의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배면 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일 측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배면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는 제1 모니터, 제2 모니터 및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일 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킨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돌기와 상기 제1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 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갖는다. 상기 제3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3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3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모니터의 배면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일 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 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상기 제1 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일 측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제2 모니터, 및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돌기와 상기 제1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같은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시켜, 별도의 보호 부재 없이 상기 제2 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 사이의 연결부재의 휨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100)는 제1 모니터(111), 제2 모니터(120) 및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모니터(100)가 노트북에 사용된다면, 상기 이중 모니터(10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연결된 본체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4)는 키보드가 배열된 자판부(115), 손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16) 및 마우스 패드가 배열된 패드부(117)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4)의 상부는 상기 제1 모니터(1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모니터(111)는 상기 본체부(114)의 상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14)와 접힐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중 모니터(100)가 데스크탑에 사용된다면, 상기 이중 모니터(10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연결된 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니터(111)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스크린(112) 및 상기 제1 스크린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1 몰드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모니터(111)는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스크린(112)이 영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제1 방향(X)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X)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제2 방향(Y), 상기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동시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제3 방향(Z)으로 정의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모니터(111)는 지면을 향하는 측면에 연결된 단자(미도시)를 통해 영상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제2 스크린(121), 제2 몰드 프레임(122), 모니터 돌기(123) 및 고정 부재(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크린(121)은 상기 제1 스크 린(112)과 같은 영상 또는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크린(112)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스크린(112)이 상기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고정되면, 상기 제2 스크린(121)도 상기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다만, 상기 두 개의 모니터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제1 스크린(112)의 방향과 상기 제2 스크린(121)의 방향을 약간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122)은 상기 제2 스크린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며 상기 제2 모니터(120)를 보호한다.
상기 모니터 돌기(123)는 상기 제2 모니터의 네 측면 중 양의 제3 방향(+Z)을 향하는 측면을 제외한 모든 측면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양의 제2 방향(+Y) 또는 음의 제2 방향(-Y)의 측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2 방향(Y)으로 슬라이딩 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음의 제3 방향(-Z)의 측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3 방향(Z)으로 슬라이딩 한다.
상기 모니터 돌기(123)는 각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몰드 프레임(1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몰드 프레임(122)과는 별도로 형성된 후, 상기 제2 몰드 프레임(1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25)는 상기 제2 스크린(121)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 몰드 프레임(122)의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음의 제2 방향(-Y)의 측면에 형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125)는 양의 제2 방 향(+Y)의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양의 제2 방향(+Y)의 측면에 형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125)는 음의 제2 방향(-Y)의 측면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음의 제3 방향(-Z)의 측면에 형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125)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고정 부재(125)는 고정 부재 커버부(12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 부재(125)는 상기 고정 부재 커버부(124)로부터 지면에 닿도록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 부재(12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 부재(125)의 끝단부를 확장하여 형성하여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모니터(120)가 후술할 제3 연결핀(16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커버부(124) 및 상기 고정 부재(125)는 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제2 모니터(120)가 소정의 각도 만큼 회전하는 경우라도, 상기 고정 커버부(124) 및 상기 고정 부재(125)는 상기 회전축(12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항상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2 모니터(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일 측면에 상기 제1 모니터(111)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모니터 연결 단자(127) 및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가이드 고정부(170) 및 가이드 바(14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제1 회전부(150) 및 제2 회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는 커버부(171, 172, 173, 174, 175, 179) 및 가이드 라인(177)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모니터(111)의 배면에 접촉하는 전면 커버부(171), 상기 전면 커버부에 마주하는 후면 커버부(179), 및 상기 전면 커버부(171) 및 상기 후면 커버부(179)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부들(172, 173, 174, 175)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모니터(111)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측면 커버부들(172, 173, 174, 175)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커버부는 개구되어 상기 제2 모니터(120)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통과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의 제2 방향(+Y)의 커버부(175)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모니터(111)의 일 모서리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양의 제3 방향(+Z)의 커버부(174) 또는 음의 제2 방향(-Y)의 커버부(172)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모니터(111)의 일 모서리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2개 이상의 측면 커버부들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120)가 상기 제1 모니터(111)의 두 개 이상의 모서리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측면 커버부들은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슬라이더(142)가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어 가이드 고정부(170)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측면 커버부들은 상기 돌출부 외에 상기 슬라이더(142)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177)은 상기 개구된 측면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측면의 내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라인(177)은 개구된 측면 커버부(175)와 수직인 측면 커버부들(174, 17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커버부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와 달리, 양의 제3 방향(+Z)의 측면 커버부(174)가 개구된 경우, 상기 가이드 라인(177)은 상기 측면 커버부(174)에 수직인 측면 커버부들(172, 175)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커버부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177)은 상기 슬라이더(142)가 소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측면 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라인들(177)이 마주하는 측면 커버부들에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142, 143)를 일정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 라인(177)은 상기 슬라이더(142)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라이더(142)의 바퀴가 n개이면, 상기 가이드 라인(177)은 n-1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바(140)는 실린더 형상뿐만 아니라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마주하는 측면 커버부들(174, 175)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 바(140)는 적어도 한 끝부에 슬라이더(142, 143)가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142, 143)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바퀴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바퀴들은 상기 가이드 라인(177)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슬라이더(142, 143)는 상기 제2 모니터(120)가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마찰이 작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40)의 중앙부에는 개구된 측면 커버부 방향으로 소정의 가이드 돌기(14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의 제2 방향(+Y)의 측면 커버부(175)가 개구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144)도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기(144)는 상기 제1 회전부(1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돌기(144)의 중앙에는 홈(145)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1 회전부(150)의 제1 연결홈(152)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 바(140)와 상기 제1 회전부(150)가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회전부(15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 제1 연결홈(152)과 제1 연결 돌기(15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홈(152)은 상기 가이드 돌기(1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144)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44)가 볼록한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처럼, 상기 제1 연결홈(152)은 오목한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홈(152)의 중앙부에도 홈(15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홈에 형성된 홈(153)의 중심은 상기 가이드 돌기(144)의 중앙에 형성된 홈(145)의 중심과 일치한다. 상기 제1 연결홈(152)에 형성된 홈(153)과 상기 가이드 돌 기(144)에 형성된 홈(145)은 제1 연결핀(151)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1 연결핀(151)은 상기 홈들(153, 145)과 억지 끼워맞춤 결합을 하여, 상기 제1 회전부(150)는 소정의 각만큼 회전한 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가이드 돌기(144)와 상기 가이드 돌기(144)의 형상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연결홈(15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1 연결핀(151)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44)와 상기 제1 연결홈(152)은 하나의 회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 돌기(154)는 상기 제1 연결홈(152)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의 제2 방향(+Y)의 측면 커버부(175)가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44)도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제1 연결 돌기(154)도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 돌기(154)는 상기 제2 회전부(16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의 중앙에는 홈(155)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2 회전부(160)의 제2 연결홈(162)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회전부(150)와 상기 제2 회전부(160)가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제2 회전부(16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 제2 연결홈(162)과 제3 연결홈(16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홈(162)은 상기 제1 연결 돌기(1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1 연결 돌기(154)가 볼록한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처럼, 상기 제2 연결홈(162)은 오목한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연결홈(162)의 중앙부에도 홈(16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홈에 형성된 홈(163)의 중심은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의 중앙에 형성된 홈(155)의 중심과 일치한다. 상기 제2 연결홈(162)에 형성된 홈(163)과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에 형성된 홈(155)은 제2 연결핀(161)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2 연결핀(161)은 상기 홈들(163, 155)과 억지 끼워맞춤 결합을 하여, 상기 제2 회전부(160)는 소정의 각만큼 회전한 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와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의 형상에 대응하여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연결홈(16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2 연결핀(161)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와 상기 제2 연결홈(162)은 하나의 회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연결홈(164)은 상기 제2 연결홈(162)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의 제2 방향(+Y)의 측면 커버부(175)가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44)도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연결 돌기(154)도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제3 연결홈(164)도 양의 제2 방향(+Y)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모니터(120)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모니터 돌기(123)는 상기 제3 연결홈(164)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회전부(160)와 상기 제2 모니터(120)가 서로 고정되며,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2 회전부(160)와 상기 제2 모니터(12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중심은 상기 제1 회전부(150) 및 상기 제2 회전부(160)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예를 들어,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음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제2 모니터(120)와 상기 제2 회전부(160)는 음의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 돌기(123)와 상기 제3 연결홈(164)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3 연결핀(165)이 상기 모니터 돌기(123)와 상기 제3 연결홈(164)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44)와 제1 연결홈(152)의 결합, 및 상기 제1 연결 돌기(154)와 제2 연결홈(162)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연결홈(164)과 상기 모니터 돌기(123)도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소정의 각만큼 회전한 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 스크린(121)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모니터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의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모니터(120)의 고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양의 제2 방향(+Y)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모니터(111)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바(140)는 상기 가이 드 라인(177)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의 양의 제2 방향(+Y)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 상기 제1 회전부(150), 상기 제2 회전부(160) 및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두 모니터의 시야각의 차이를 크게 인식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1 회전부(150)를 상기 제1 연결핀(151)을 중심으로 즉, 양의 제3 방향(+Z)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A 위치). 다음, 상기 제2 회전부(160)를 상기 제2 연결핀(161)을 중심으로 즉, 양의 제3 방향(+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일렬로 배치된다(C 위치). 이후, 상기 제2 회전부(160)를 상기 제2 연결핀(16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회전시켜, 최적의 시야각 범위를 갖도록 상기 제2 모니터(120)를 배치한다(B 위치).
이와 달리, 상기 제2 회전부(160)를 먼저 회전시킨 후 상기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켜 최적의 시야각 범위를 갖는 위치에 상기 제2 모니터(1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150, 16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음의 제2 방향(-Y) 또는 양의 제3 방향(+Z)으로 돌출되어 상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30)가 가이드 고정부(170), 가이드 바(140) 및 제2 회전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150)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44)는 상기 제2 회전부(160)의 제2 연결홈(162)에 상기 제2 연결핀(161)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160)의 제3 연결홈(162)에 상기 모니터 돌기(123)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의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 모니터(12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모니터(120)의 고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양의 제2 방향(+Y)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모니터(111)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바(140)는 상기 가이드 라인(177)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의 양의 제2 방향(+Y)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 상기 제1 회전부(150), 상기 제2 회전부(160) 및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2 방향(Y)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된다(D 위치). 이 경우,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두 모니터의 시야각의 차이를 크게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부(160) 만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와 제2 모니터(120)가 연결되므로, 두 모니터의 시야각의 차이를 도 3의 실 시예와 같이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 다만, 상기 제2 회전부(160)를 상기 제2 연결핀(161)을 중심으로 즉, 양의 제3 방향(+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최적의 시야각 범위를 갖도록 상기 제2 모니터(120)를 배치한다(E 위치).
본 실시예에 의한 연결 부재(130)는 회전부를 하나만 사용하므로, 세밀한 시야각 조절은 어려우나, 제작이 용이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를 얇게 제작하여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제2 모니터(120) 사이의 단차를 줄임으로써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시야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모니터(120)의 제2 스크린(121)은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니터(111)의 제1 스크린(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모니터(120)의 제2 스크린(121)은 상기 가이드 고정부(170)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니터(111)의 제1 스크린(112)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크린(112)이 양의 제1 방향(+X)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121)은 음의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린(121)이 상기 제1 스크린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되더라도, 상기 제2 스크린(12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스크린(121)을 상기 제3 연결핀(165)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제1 스크린(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 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200)는 제1 모니터(211), 제2 모니터(220) 및 연결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니터(21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모니터(111)와 배면 돌기(218)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모니터(22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모니터(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상기 배면 돌기(218)는 상기 제1 모니터(211)의 제1 스크린(212)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의 일 모서리 중앙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크린(212)이 양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되면, 상기 배면 돌기(218)는 음의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면 돌기(218)는 후술할 제1 회전부(240)의 제1 연결홈(24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230)는 제1 회전부(240) 및 제2 회전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240)는 두께가 얇은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 제1 연결홈(242)이 형성되고, 측부에 제1 연결 돌기(24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홈(242)은 상기 배면 돌기(2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배면 돌기(218)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홈(242)은 상기 배면 돌기(218)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제1 회전부(2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면 돌기(218)가 음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1 연결홈(242)도 제1 방향(X)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배면 돌기(218)와 상기 제1 연결홈(242)은 서로 결합된 후, 상기 배면 돌기(218)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배면 돌기(218)와 상기 제1 연결홈(242)은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상기 제1 회전부(240)가 소정의 각만큼 회전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 돌기(243)는 상기 제1 연결홈(242)이 형성된 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홈(242)이 제1 방향(X)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1 연결 돌기(243)는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1 연결 돌기(243)와 상기 제2 회전부(250) 사이의 결합 관계 및 상기 제2 회전부(250)와 모니터 돌기(223) 사이의 결합 관계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연결 돌기(154)와 상기 제2 회전부(160) 사이의 결합 관계 및 상기 제2 회전부(160)와 모니터 돌기(123) 사이의 결합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6은 도 5의 이중 모니터의 제1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이중 모니터의 제2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모니터(2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220)는 상기 제1 모니터(211)의 배면에 제2 스크린(221)이 상기 제1 모니터(211)의 배면을 향하도록 고정된다(F 위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모니터(211, 220)는 고정을 위해 소정의 위치에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제2 모니터(22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모니터(220)의 고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 돌기(미도시)를 풀고, 상기 제2 모니터(220)를 상기 배면 돌기(218)를 중심으로 약 180도 회전시켜 상기 제1 모니터(211)의 일 모서리에 위치시킨다(H, I 위치). 도 6에서는 상기 제2 모니터(220)는 음의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배면 돌기(218)의 형성 위치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모니터(211)의 일 모서리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모니터(120)는 상기 제1 모니터(111)와 일직선으로 배열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두 모니터의 시야각의 차이를 크게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제2 모니터(220)를 상기 제1 모니터(211)의 일 모서리에 위치시킨 후, 고정 부재 커버부(225)로부터 고정 부재(224)를 꺼내어 지면에 부착하여, 상기 제2 모니터(220)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면 돌기(218)와 제1 연결홈(242)의 고정을 단단히 하기 위해, 부가적인 고정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부(250) 만을 통해서 상기 제1 회전부(240)와 제2 모니터(220)가 연결되므로, 두 모니터의 시야각의 차이를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세밀하게 조절할 수 없다. 다만, 상기 제2 회전부(250)를 제1 연결핀(251)을 중심으로 즉, 양의 제3 방향(+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최적의 시야각 범위를 갖도록 상기 제2 모니터(220)를 배치한다(J 위치).
본 실시예에 의한 연결 부재(130)에서는 세밀한 시야각 조절은 어려우나,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를 얇게 제작하여 상기 제1 모니터(211)와 제2 모니터(220) 사이의 단차를 줄임으로써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시야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회전부(240)와 제2 회전부(250) 사이에 제3 회전부(미도시)를 추가하여 형성함으로써,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시야각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모니터(220)의 제2 스크린(221)은 상기 제1 모니터(211)의 배면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니터(211)의 제1 스크린(2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모니터(220)의 제2 스크린(221)은 상기 제1 모니터(211)의 배면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니터(211)의 제1 스크린(212)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크린(212)이 양의 제1 방향(+X)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221)은 음의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린(221)이 상기 제1 스크린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되더라도, 상기 제2 스크린(22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스크린(221)을 제2 연결핀(255)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제1 스크린(2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중 모니터(300)는 제1 모니터(311), 제2 모니터(320) 및 연결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니터(311)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1 모니터(111, 211)와 측면 돌기(318)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모니터(320)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2 모니터(120, 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상기 측면 돌기(318)는 상기 제1 모니터(311)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크린(312)이 양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되면, 상기 측면 돌기(318)는 양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측면 돌기(318)는 음의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의 제3 방향(+Z)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모니터(32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돌기(318)는 후술할 제1 회전부(340)의 제1 연결홈(342)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330)는 제1 회전부(340) 및 제2 회전부(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1 회전부(340)는 상기 배면 돌기(318)가 제1 연결홈(342)에 삽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1 회전부(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합관계 및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2 회전부(350)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제2 회전 부(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합관계 및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상기 배면 돌기(318)는 상기 제1 회전부(3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 돌기(318)의 중앙에는 홈(319)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부(340)의 제1 연결홈(342)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배면 돌기(318)의 중앙부에는 홈(319)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홈(342)의 중앙부에도 홈(343)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 돌기(318)에 형성된 홈(319)의 중심은 상기 제1 연결홈(342)의 중앙에 형성된 홈(343)의 중심과 일치한다. 상기 배면 돌기(318)에 형성된 홈(319)과 상기 제1 연결홈(342)에 형성된 홈(343)은 제1 연결핀(341)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1 연결핀(341)은 상기 홈들(319, 343)과 억지 끼워맞춤 결합을 하여, 상기 제1 회전부(340)는 소정의 각만큼 회전한 후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d는 도 8의 이중 모니터의 연결부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9a 내지 9d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모니터(3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320)는 상기 제1 모니터(311)의 배면에 상기 제2 스크린(321)이 상기 제1 모니터(311)의 배면을 향하도록 고정된다(K 위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모니터(311) 및 상기 제2 모니터(320)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부가적인 고정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니터(320)를 사용하는 경우, 제2 모니터(320)의 고정 방법은 다 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 회전부(340)를 상기 제1 연결핀(341)을 중심으로 즉, 양의 제3 방향(+Z)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약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 모니터(320)는 상기 제1 모니터(311)와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다(L 위치).
다음, 상기 제2 회전부(350)를 제2 연결핀(351)을 중심으로 즉, 양의 제3 방향(+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 모니터(320)는 상기 제1 모니터(311)와 일렬로 배치된다(M 위치). 상기 M 위치에서, 상기 제2 모니터(320)의 제2 스크린(321)은 상기 제1 모니터(311)의 배면 즉, 음의 제1 방향(-X)을 향하고 있다.
다음, 상기 제2 모니터(320)를 제3 연결핀(355)을 중심으로 약 180도 회전하면, 상기 제2 모니터(320)의 제2 스크린(321)은 상기 제1 모니터(311)의 제1 스크린(312)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즉, 양의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배치된다(N 위치).
이후, 상기 제2 회전부(350)를 상기 제2 연결핀(35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를 회전시켜, 최적의 시야각 범위를 갖도록 상기 제2 모니터(320)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회전부(350)를 먼저 회전시킨 후 상기 제1 회전부(340)를 회전시켜 최적의 시야각 범위를 갖는 위치에 상기 제2 모니터(3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340, 35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모니터(320)는 음의 제2 방향(-Y) 또 는 양의 제3 방향(+Z)으로 돌출되어 상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모니터(320)의 제2 스크린(321)이 상기 제1 모니터(311)의 배면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니터(311)의 제1 스크린(3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상기 제2 모니터(320)의 제2 스크린(321)이 상기 제1 모니터(311)의 배면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니터(311)의 제1 스크린(312)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스크린(312)이 양의 제1 방향(+X)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321)은 음의 제1 방향(-X)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린(321)이 상기 제1 스크린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되더라도, 상기 제2 스크린(32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스크린(321)을 상기 제3 연결핀(355)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기 제1 스크린(3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같은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시켜, 별도의 보호 부재 없이 상기 제2 스크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 사이의 연결부재의 휨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8)
-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1 모니터;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중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 모니터; 및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부재는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모니터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 네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 모니터가 통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기 개구된 측면에 수직인 측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모니터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가이드 고정부;적어도 하나의 끝부에 상기 가이드 라인에 의해 가이드 되는 슬라이더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바;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의 반대 방향에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 및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가지며,상기 가이드 돌기와 상기 제1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3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3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3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니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의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배면 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중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 모니터; 및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부재는,상기 배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 및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가지며,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배면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3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니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의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배면 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중첩되어 고정된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일 측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 모니터; 및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연결부재는,상기 배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 및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배면 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니터.
- 삭제
- 삭제
-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스크린, 및 일 측면의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 돌기를 포함하는 제1 모니터;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크린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 모니터의 배면에 중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모니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 모니터; 및상기 제1 모니터와 제2 모니터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모니터를 상기 제1 모니터의 일 모서리부로 배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부재는,상기 측면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1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 및상기 제1 연결 돌기가 삽입되는 제2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제3 연결홈을 포함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2 모니터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연결홈에 삽입되는 모니터 돌기를 가지며,상기 측면 돌기와 상기 제1 연결홈은 제1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1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연결홈은 제2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상기 제3 연결홈과 상기 모니터 돌기는 제3 연결핀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모니터는 상기 제3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니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7041A KR100878504B1 (ko) | 2007-02-20 | 2007-02-20 | 이중 모니터 |
US11/737,996 US20080198096A1 (en) | 2007-02-20 | 2007-04-20 | Dual Monitor |
JP2007135347A JP2008203810A (ja) | 2007-02-20 | 2007-05-22 | 二重モニタ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7041A KR100878504B1 (ko) | 2007-02-20 | 2007-02-20 | 이중 모니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7467A KR20080077467A (ko) | 2008-08-25 |
KR100878504B1 true KR100878504B1 (ko) | 2009-01-13 |
Family
ID=3970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7041A KR100878504B1 (ko) | 2007-02-20 | 2007-02-20 | 이중 모니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198096A1 (ko) |
JP (1) | JP2008203810A (ko) |
KR (1) | KR1008785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M361204U (en) * | 2008-11-18 | 2009-07-11 | Wistron Corp | Electronic device |
JP5179330B2 (ja) * | 2008-11-26 | 2013-04-10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電子機器 |
US9568952B2 (en) * | 2014-09-09 | 2017-02-14 | Portal Dual Inc. | Display device apparatus |
BE1024236B9 (fr) * | 2015-12-02 | 2018-02-26 | 120 Pixels Sprl | Dispositif d'affichage comprenant au moins un ecran mobile pour utilisation avec ordinateur portable |
KR102534580B1 (ko) * | 2016-07-27 | 2023-05-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06886255B (zh) * | 2017-03-07 | 2023-08-29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终端 |
US20190101957A1 (en) * | 2017-10-04 | 2019-04-04 | Scott Alexander | Cell Tablet |
US11209869B2 (en) | 2019-02-28 | 2021-12-28 | Stand Steady Company, Llc | Attachable displays screen for electronic devices |
US11531374B2 (en) * | 2019-02-28 | 2022-12-20 | Stand Steady Company, Llc | Attachable display screen for electronic devices |
USD910624S1 (en) | 2019-02-28 | 2021-02-16 | Stand Steady Company, Llc | Display screen |
CN109890155B (zh) * | 2019-03-05 | 2021-03-19 | 深圳市恒利普智能显示有限公司 | 防护机构及显示屏 |
US10809762B1 (en) | 2019-11-04 | 2020-10-20 | Alex Cole Levine | Accessory display device |
TWI715484B (zh) * | 2020-04-16 | 2021-01-01 | 富世達股份有限公司 | 螢幕架及顯示裝置 |
KR102350435B1 (ko) * | 2020-11-20 | 2022-01-13 | 김수현 | 전자 디바이스용 보조 디스플레이 유닛 |
US11899497B1 (en) | 2023-06-03 | 2024-02-13 | Xebec, Inc. | Article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997Y1 (ko) * | 2000-04-18 | 2000-12-15 | 이덕재 |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208003Y1 (ko) * | 2000-04-18 | 2000-12-15 | 이덕재 |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413875Y1 (ko) * | 2005-09-02 | 2006-04-11 | 전영학 | 슬라이딩 보조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노트북 및데스크탑 엘씨디 모니터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24196A (en) * | 1977-03-10 | 1978-11-07 | Hipskind Myron M | Portable device for screening off an accident scene from view |
JPH0559517U (ja) * | 1992-01-08 | 1993-08-06 | 光雄 菊地 | 引出し式表示装置とそれを設置した携帯型コンピユータ |
JPH075819A (ja) * | 1992-12-29 | 1995-01-10 | Pfu Ltd | 平板状ディスプレイの接続方式 |
JP3628223B2 (ja) * | 2000-02-17 | 2005-03-09 | 博行 澤里 | マルチ表示装置 |
JP2002165157A (ja) * | 2000-11-27 | 2002-06-07 | Zenji Tsuchikawa | 液晶テレビ |
JP2003120652A (ja) * | 2001-10-12 | 2003-04-23 | Strawberry Corporation |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04086179A (ja) * | 2003-06-19 | 2004-03-18 | Kyocera Corp | マルチモニタ |
US8854278B2 (en) * | 2003-12-19 | 2014-10-0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isplay apparatus |
GB2419454A (en) * | 2004-10-19 | 2006-04-26 | Pranil Ram | Multiple monitor display apparatus |
-
2007
- 2007-02-20 KR KR1020070017041A patent/KR1008785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4-20 US US11/737,996 patent/US2008019809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5-22 JP JP2007135347A patent/JP2008203810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7997Y1 (ko) * | 2000-04-18 | 2000-12-15 | 이덕재 |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208003Y1 (ko) * | 2000-04-18 | 2000-12-15 | 이덕재 | 보조 모니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413875Y1 (ko) * | 2005-09-02 | 2006-04-11 | 전영학 | 슬라이딩 보조듀얼모니터를 구비한 멀티미디어 노트북 및데스크탑 엘씨디 모니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8203810A (ja) | 2008-09-04 |
US20080198096A1 (en) | 2008-08-21 |
KR20080077467A (ko) | 2008-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8504B1 (ko) | 이중 모니터 | |
CN109658826B (zh) | 柔性屏和电子设备 | |
CN109922181B (zh) | 一种可折叠显示装置的支撑结构及可折叠显示装置 | |
US8125759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WO2021007936A1 (zh) | 联动机构、折叠装置及电子设备 | |
EP4138373A1 (en) | Rotation mechanism,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EP1548545A2 (en) | Notebook computer with rotating display | |
WO2018042602A1 (ja) | 情報処理装置 | |
KR100284300B1 (ko) | 휴대형 컴퓨터 | |
WO2022247565A1 (zh) |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和电子设备 | |
US8539705B2 (en) | Crossfold electronic device | |
CN115362668A (zh) | 折叠装置及电子设备 | |
US9668556B2 (en) | Adjustable display housing assembly | |
US6985356B2 (en) | Rotatable display mounting structure | |
JP2019067279A (ja) | 携帯用情報機器 | |
US9400523B2 (en) | Information device | |
JP2021185444A (ja) | 携帯用情報機器 | |
CN115022430B (zh) | 转动机构和可折叠终端 | |
US11287854B2 (en) |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 |
JP2013156892A (ja) | 電子機器 | |
JP6793234B1 (ja) | 携帯用情報機器 | |
CN114430432A (zh) | 折叠机构及电子设备 | |
CN219372800U (zh) | 折叠组件及电子设备 | |
CN114924619B (zh) | 显示终端 | |
JP2011091566A (ja) | 電子機器の表示筐体ヒンジ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