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9662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662B1
KR100859662B1 KR1020070098425A KR20070098425A KR100859662B1 KR 100859662 B1 KR100859662 B1 KR 100859662B1 KR 1020070098425 A KR1020070098425 A KR 1020070098425A KR 20070098425 A KR20070098425 A KR 20070098425A KR 100859662 B1 KR100859662 B1 KR 10085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riving force
generator
driving
predetermin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최준호
윤종배
송준규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60W10/023Fluid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16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04Throttle position
    • B60W2510/0609Throttle change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05Throttle position
    • B60W2710/0611Throttle change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16Position of fuel or air in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25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하이브리드차에서는 경사 도로의 주행 중 정차 및 주행이 자주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 모터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엔진의 구동 후 이 엔진의 구동력이 변속기에 전달시키기 위한 엔진 클러치의 직결 제어로 발진하였다. 따라서, 발진의 필요 구동력을 얻기 위한 엔진 클러치의 잦은 직결 및 해방으로 인해 엔진 클러치가 마모되고, 이때 엔진 클러치의 오일 온도 역시 상승되므로 더 이상의 엔진 클러치의 직결로 필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없어 주행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 요구 시 전동 모터가 고장 난 경우 엔진 정지 상태에서 엔진 클러치의 유압을 최대로 증가시킨 후 베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로 동작하는 발전기를 통해 생성된 구동력으로 이 후 엔진의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 구동력으로 발진함으로써, 잦은 엔진 클러치의 직결 및 해방으로 인한 엔진 클러치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엔진 클러치 오일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잦은 엔진 클러치의 직결 및 해방에 따라 저하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자동차, 하이브리드, 경사도, ISG, 엔진 클러치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OPPING ROAD OF HYBRID ELECTRICAL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ISG(intergrated Starter and Generator)가 장착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 경사 도로의 정지 중 재출발 요구 시 전동 모터 고장 발생된 경우 발전기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하이브리드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는 내연 엔진과 모터의 출력을 함께 사용하는 차량으로서, 내연 엔진만을 장착한 일반적인 자동차에 비해 유해 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환경자동차(echo-car)로 부른다.
종래의 하이브리드차의 파워 트레인을 가자는 자동차에서 전동 모터 및 발전기는 발전 및 동력 제공이 함께 가능한 ISG(Integrated Starter & Generator)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이브리드차는 차속에 따라 주행모드가 다르게 선택되어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차는 차량은 출발 또는 저속 주행시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동모터에 의해 출력을 제공받아 구동 휠이 회전하며, 통상 주행시에는 차속에 따라 내연 엔진과 전동모터를 조합하여 운행이 이루어지는 데, 특히 고속 운행시에는 전동모터에 동력이 내연 엔진의 동력을 보조하여 내연 엔진과 전동모터에 의한 동력이 함께 구동 휠(W)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감속시에는 전동모터를 발전기로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킴으로써 에너지를 회수하게 되며, 정지시에는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불필요한 연료 소비 및 배출 가스를 저감시키게 된다.
그러나 차량 운행에 필요한 구동력(Vehicle Tractive Force)은 차속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이 운행하고 있는 도로의 구배에 의해서도 좌우되는 바, 종래의 하이브리드차의 경우에는 차속에 의해서만 주행 모드가 선택되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3 은 주행 조건에 따른 엔진 및 변속기 조합을 도시한 도면으로, 차량의 구동력(F)은 다음의 수식과 같이 산출된다.
F = To × TGR ×N / R
여기에서, To는 엔진출력 토크이고, TGR은 전체 기어비이며, N은 전체 전달효율이며, R은 타이어 동반경을 나타낸다.
1속에 해당하는 모터 주행 모드에 각 요소를 필요한 구동력(F)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하이브리드차의 모터 주행 토크와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경사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필요 구동력은 전동 모터와 엔진 클러치의 직결로 전달받은 엔진 동력로 얻어진다.
이때 경사 도로의 주행 중 정차 및 주행이 자주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 모터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엔진의 구동 후 이 엔진의 구동력이 변속기에 전달시키기 위한 엔진 클러치의 직결 제어로 발진하였다. 따라서, 발진의 필요 구동력을 얻기 위한 엔진 클러치의 잦은 직결 및 해방으로 인해 엔진 클러치가 마모되고, 이때 엔진 클러치의 오일 온도 역시 상승되므로 더 이상의 엔진 클러치의 직결로 필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없어 주행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 요구 시 전동 모터가 고장 발생된 경우 ISG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으로 발진함으로써, 잦은 엔진 클러치의 직결 및 해방으로 인한 엔진 클러치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엔진 클러치 오일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잦은 엔진 클러치의 직결 및 해방에 따라 저하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엑셀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엑셀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엔진의 동력이 변속부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엔진 클러치;
도로의 구배도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경사도 센서;
상기 엑셀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경사도 센서, 및 엔진 클러치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을 제공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 및
엔진, 발전기, 및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동하되,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는
상기 엑셀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경사도 센서 및 엔진 클러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로 인해 엔진 정지 상태에서 출발 요구 시 상기 엔진 클러치의 유압을 최대로 가한 후 베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동작하는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고 이 후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이고, 쓰로틀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일 때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하는 엔진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는,
상기 경사도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미리 저장된 설정치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엑셀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 엔진 정지 후 엔진 클러치 유압을 최대로 증가하고,
상기 베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동작하는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며,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일 때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아이들 제어값으로 닫힘 제어한 후 상기 발전기의 증가하는 마찰 토오크를 보상하며,
이 후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일 때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하는 엔진의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에 의한 초기 발진 제어 시 발생하는 엔진 저항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의 연료 분사를 정지하고,
상기 엔진의 흡기 및 배기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하며,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a) 경사도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경사 도로를 주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엑셀 위치 센서 및 브레이크 페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하는 지를 판단하고,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 출발 요구라고 판정되면 전동 모터가 고장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전동 모터가 고장인 경우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는 단계; 및
c)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일 때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의 구동력으로 발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는,
b-1) 엑셀 위치 센서 및 브레이크 페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의 판단 결과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지 후 재출발 요구된 경우 상기 전동 모터가 고장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전동 모터가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엔진의 연료 분사를 정지하는 단계; 및
b-3) 상기 엔진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한 후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하는 단계; 및
b-4)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발생된 초기 토오크로 발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상기 제1 소정치 이상인 경우 쓰로틀 밸브를 아이들 제어값으로 닫힘 제어한 후 상기 발전기의 마찰 토오크를 보상하고,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인 지를 판단하고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상기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을 0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 요구 시 전동 모터가 고장 난 경우 엔진 정지 상태에서 엔진 클러치의 유압을 최대로 증가시킨 후 발전기를 통해 초기 발진하고 이 후 엔진의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 구동력으로 발진함으로써, 잦은 엔진 클러치의 직결 및 해방으로 인한 엔진 클러치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엔진 클러치 오일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잦은 엔진 클러치의 직결 및 해방에 따라 저하된 승차 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도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차의 경사도로 제어 장치의 구성은, 엑셀 위치 센서(10)와,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경사도 센서(30), 엔진 클러치(40), 하이브리드 제어부(50), 베터리(100), 충전 제어부(60), 엔진 제어부(70), 엔진(110), 발전기 제어부(80), 발전기(120), 전동 모터 제어부(90), 및 전동 모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엑셀 위치 센서(10)는, 엑셀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센서(20)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경사도 센서(30)는 상기 차량의 경사도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엔진 클러치(40)는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직결 또는 해방되어 상기 엔진(110)의 동력을 변속부(미도시됨)로 제공하여 변속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상기 엑셀 위치 센서(10),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경사도 센서(30) 및 엔진 클러치(4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 시 상기 전동 모터 제어부(9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 모터(130)의 고장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 상기 전동 모터(130)가 고장난 경우 엔진 정지 상태에서 상기 엔진 클러치(40)의 유압을 최대로 가한 후 베터리(100)에 충전된 전원으로 생성된 상기 발전기(120)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고 이 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이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쓰로틀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일 때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하는 엔진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120)의 구동력을 감소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베터리(100)는 상기 전동 모터(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60)는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베터리(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상기 엔진(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기 엔진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엔진(110)은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가솔린 연료 등을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이어, 상기 발전기 제어부(80)는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발전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발전기(120)는 상기 발전기 제어부(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동 모터 제어부(90)는 하이브리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전동 모터(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동 모터(130)는 상기 전동 모터 제어부(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 동력을 생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사도로 제어 장치의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상기 경사도 센서(3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근거하여 경사 도로 주행 중이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엑셀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지 후 재 출발 요구된 것으로 판정한다.
이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엔진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엔진(110) 정지시킨 후 엔진 클러치(40)의 유압을 최대로 증가하고, 상기 발전기 제어부(80)를 통해 상기 발전기(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를 수신한 발전기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전기(120)는 구동력을 생성하고 이 구동력으로 하이브리드차는 초기 발진한다.
이때 엔진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엔진(110)의 연료 분사를 정지한 후 흡기 밸브, 배기 밸브, 및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를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제1 소정치 이상인 경우 엔진의 아이들 제어를 위해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아이들 제어값으로 닫힘 제어하고 이때 증가하는 상기 발전기(120)의 마찰 토오크를 보상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상기 제2 소정치 이하일 대 엔진(110)을 아이들 제어하여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한 엔 진(110)의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120)의 구동력을 감소한다.
이때 상기 엔진(110)의 구동력을 스텝 바이 스텝 방식으로 순차 증가되므로, 상기 발전기(120)의 구동력이 역시 0 이 될 때까지 스텝 바이 스텝 방식으로 순차감소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제어부(50)에 의해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도로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도로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상기 엑셀 위치 센서(10), 브레이크 페달 센서(20), 및 상기 경사도 센서(3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고(301) 수신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 요구되었는 지를 판단한다(303).
상기 단계(303)의 판단 결과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 출발 요구된 경우 전동 모터(130)가 고장인 지를 판단하고(305), 판단 결과 전동 모터가 고장인 경우 엔진 정지 후 엔진 클러치(40)의 유압을 최대로 증가한 후(307) 엔진(110)의 연료 분사를 정지한다(309).
이 후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흡기 밸브, 배기 밸브, 및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한 후(311) 상기 발전기(120)의 초기 토오크로 발진한다(313).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수신하고(315), 수신된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 상인 지를 판단하며(317), 판단 결과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제1 소정치(1000 rpm) 이상인 경우 상기 쓰로틀 밸브를 아이들 제어값으로 닫힘 제어한 후(319) 상기 발전기의 마찰 토오크를 보상한다(321).
이어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는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0.8%) 이하인 지를 판단하고(323)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상기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325)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110)의 토오크만큼 상기 발전기의 토오크를 감소한다(327).
상기 발전기 토오크가 0인 지가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50)에 의해 판단되고(329), 판단 결과 발전기의 토오크가 0인 경우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303) 및 단계(305)의 판단 결과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지 후 재출발 요구가 없었거나 전동 모터(130)가 고장 나지 않은 경우 전동 모터(130)의 토오크로 발진한다(331).
한편, 상기 단계(317)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상기 제1 소정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단계(313)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323)을 통해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상기 제2 소정치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단계(319)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329)에서 발전기의 토오크가 0이 아닌 경우 상기 단계(325)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도 3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차의 주행 조건에 따른 엔진 및 변속기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Claims (8)

  1. 엑셀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엑셀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브레이크 페달 센서;
    엔진의 동력이 변속부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엔진 클러치;
    도로의 구배도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경사도 센서;
    상기 엑셀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경사도 센서, 및 엔진 클러치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을 제공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하이브리드 제어부; 및
    엔진, 발전기, 및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동하되,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는
    상기 엑셀 위치 센서, 브레이크 페달 센서, 경사도 센서 및 엔진 클러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에 근거하여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출발 시 엔진 정지 상태에서 상기 엔진 클러치의 유압을 최대로 가한 후 베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생성된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고 이 후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이고, 쓰로틀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일 때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하는 엔진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는,
    상기 경사도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미리 저장된 설정치 이상이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엑셀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 엔진 정지 후 엔진 클러치 유압을 최대로 증가하고,
    상기 베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생성된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며,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일 때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아이들 제어값으로 닫힘 제어한 후 상기 발전기의 증가하는 마찰 토오크를 보상하며,
    이 후 상기 쓰로틀 밸브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일 때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하는 엔진의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제어부는,
    상기 발전기에 의한 초기 발진 제어 시 발생하는 엔진 저항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의 연료 분사를 정지하고,
    상기 엔진의 흡기 및 배기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하며,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치는 1000 rpm이고, 상기 제2 소정치는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장 치.
  5. a) 경사도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경사 도로를 주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엑셀 위치 센서 및 브레이크 페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하는 지를 판단하고,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 출발 요구라고 판정되면 전동 모터가 고장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전동 모터가 고장인 경우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으로 초기 발진하는 단계; 및
    c)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일 때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의 구동력으로 발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엑셀 위치 센서 및 브레이크 페달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차 후 재출발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의 판단 결과 경사 도로 주행 중 정지 후 재출발 요구된 경우 상기 전동 모터가 고장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전동 모터가 고장으로 판정된 경우 엔진의 연료 분사를 정지하는 단계; 및
    b-3) 상기 엔진의 흡기 밸브 및 배기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한 후 쓰로틀 밸브를 최대로 열림 제어하는 단계; 및
    b-4) 상기 발전기의 초기 토오크로 발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미리 정해진 제1 소정치 이상인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크랭크 샤프트 스피드가 상기 제1 소정치 이상인 경우 쓰로틀 밸브를 아이들 제어값으로 닫힘 제어한 후 상기 발전기의 마찰 토오크를 보상하고,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미리 정해진 제2 소정치 이하인 지를 판단하고 상기 쓰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상기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엔진을 아이들 제어하고 아이들 제어를 통해 증가된 엔진 구동력만큼 상기 발전기의 구동력을 0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치는 1000 rpm이고, 상기 제2 소정치는 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의 경사 도로 제어 방법.
KR1020070098425A 2007-09-28 2007-09-28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5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425A KR100859662B1 (ko) 2007-09-28 2007-09-28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425A KR100859662B1 (ko) 2007-09-28 2007-09-28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662B1 true KR100859662B1 (ko) 2008-09-23

Family

ID=4002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425A KR100859662B1 (ko) 2007-09-28 2007-09-28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66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2385A (zh) * 2011-01-11 2011-06-15 上海中科深江电动车辆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汽车的自动换挡策略
CN102848899A (zh) * 2011-06-28 2013-01-0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的离合器控制方法及系统
US8500603B2 (en) 2009-12-04 2013-08-06 Hyundai Motor Company Brake system for vehicle with idle stop and g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16877B1 (ko) * 2012-06-05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 진단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8004A (ko) * 2012-10-15 2014-04-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14028B1 (en) 2016-06-30 2017-07-25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clutch thereof
KR20180055944A (ko) * 2016-11-16 2018-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TWI667162B (zh) * 2017-09-29 2019-08-01 大陸商比亞迪股份有限公司 混合動力汽車及其用電控制方法和裝置
CN110901644A (zh) * 2019-11-22 2020-03-24 东风商用车有限公司 电动汽车amt陡坡换挡控制方法
CN116857303A (zh) * 2023-06-28 2023-10-10 东风商用车有限公司 重型amt车辆坡道起步离合器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979A (ja) * 2002-06-13 2004-01-22 Aseputo:Kk 飲料用容器
JP2005033866A (ja) * 2003-07-08 2005-02-03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07196765A (ja) * 2006-01-24 2007-08-0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発進制御装置及び発進制御装置付きハイブリッド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979A (ja) * 2002-06-13 2004-01-22 Aseputo:Kk 飲料用容器
JP2005033866A (ja) * 2003-07-08 2005-02-03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07196765A (ja) * 2006-01-24 2007-08-09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の発進制御装置及び発進制御装置付きハイブリッド車両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0603B2 (en) 2009-12-04 2013-08-06 Hyundai Motor Company Brake system for vehicle with idle stop and go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092385A (zh) * 2011-01-11 2011-06-15 上海中科深江电动车辆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汽车的自动换挡策略
CN102848899A (zh) * 2011-06-28 2013-01-0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汽车的离合器控制方法及系统
KR101316877B1 (ko) * 2012-06-05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언덕길 발진 보조장치 진단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8004A (ko) * 2012-10-15 2014-04-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14028B1 (en) 2016-06-30 2017-07-25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clutch thereof
KR20180055944A (ko) * 2016-11-16 2018-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KR102551670B1 (ko) 2016-11-16 2023-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TWI667162B (zh) * 2017-09-29 2019-08-01 大陸商比亞迪股份有限公司 混合動力汽車及其用電控制方法和裝置
CN110901644A (zh) * 2019-11-22 2020-03-24 东风商用车有限公司 电动汽车amt陡坡换挡控制方法
CN110901644B (zh) * 2019-11-22 2021-12-17 东风商用车有限公司 电动汽车amt陡坡换挡控制方法
CN116857303A (zh) * 2023-06-28 2023-10-10 东风商用车有限公司 重型amt车辆坡道起步离合器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66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70243B1 (ko) 내연기관의 자동시동 제어장치 및 클러치의 결합상태검출장치
JP4040241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5534814B2 (ja) 車両ハイブリッドドライブトレインでクラッチ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56673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부하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82260A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WO2006082954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を備えた自動車
JP6476839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9944270B2 (en) Hybrid vehicle
JP2010215183A (ja) 車両制御装置
JP3541875B2 (ja) ハイブリッド車のエンジン始動装置
US10124803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6260569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102663987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968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 도로 제어 방법 및 장치
JP3774899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パワートレインの故障判断装置
JP2010255493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CN116572935A (zh) 车辆用控制装置
JP2016113977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1349226A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3577971B2 (ja) 車両の始動制御装置
KR102261294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자 오조작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2047991A (ja) 車両用駆動力源の状態判断装置
JP6579071B2 (ja) 電子制御装置
JP408046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時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