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160B1 - Closer of beverage vessel - Google Patents
Closer of beverage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4160B1 KR100844160B1 KR1020020008912A KR20020008912A KR100844160B1 KR 100844160 B1 KR100844160 B1 KR 100844160B1 KR 1020020008912 A KR1020020008912 A KR 1020020008912A KR 20020008912 A KR20020008912 A KR 20020008912A KR 100844160 B1 KR100844160 B1 KR 1008441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inlet
- main body
- contain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hel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삽입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뚜껑이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전시키면 승강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어 음료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가 취출되는 배출구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폐되므로 음료 배출구의 청결상태가 유지되어 위생효과가 증진된다.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the lid is rotatably covered with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container is lowered when the lid is rotated forward It is composed of a lifting member for opening the inlet and the lid is reversely rotated to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by rotating the lid, the lifting member is l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Sinc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opened and closed without touching the outlet from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the hygienic effect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the cleanness of the beverage outlet.
음료용기, 개폐, 승강부재, 뚜껑, 나사, 회전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lifting member, lid, screw, rot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표현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ure 1 is mounted on the beverage container,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lid shown in Figure 1,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member is lower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표현된 분해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shown in Figure 6 mounted on the beverage container,
도 9는 도 7의 C-C선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표현된 단면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20 : 승강부재10: main body 20: elevating member
30 : 뚜껑
30: lid
본 발명은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폐하여 필요에 따라 수시로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a stat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ingest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as needed. .
일반적으로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음료용기로 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분리형 음료용기 개폐장치와,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가 음료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개방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로 구별되는 데, 야외에서 수시로 음료를 섭취하게 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는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a separat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by completely separating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main body of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divided into the main body typ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beverage by opening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state. Due to its use a lot.
종래기술에 따른 본체 결합형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결합된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101)와,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씌워진 실링부재(110)와, 상기 본체의 상측부 외측에 상하 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부재(102)와, 상기 본체(101)의 상측부에 씌워진 뚜껑(103)으로 구성되어, 음료용기(100)로 부터 음료를 취출하여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본체(101)를 음료용기(100)로 부터 분리시켜 상기 실링부재(110)를 제거하고, 상기 본체(101)를 다시 음료용기(100)의 입구에 결합시킨 다음, 뚜껑(103)을 열고 상기 승강부재(102)를 손으로 잡고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본체(101)의 헤드부(101a)로부터 승강부재(102)의 상측면(102a)이 이격되어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음료용기(100)를 기울려서 음료을 배출시켜 마시게 되고, 음료를 마실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기 승강부재(102)를 손으로 압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음료용기(100)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The body-coupled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0, the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101)를 음료용기(100)로 부터 해체시켜 실링부재(110)를 제거한 다음, 다시 상기 본체(101)를 음료용기(100)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02)를 상측으로 잡아당겨야 하고 음료를 마시고 난 다음에는 다시 손을 사용하여 상기 승강부재(102)를 원 위치로 밀어넣어야 하므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가 오염되어 위생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the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얇은 원판상의 실링부재(110)에 의하여만 음료용기의 입구가 밀폐되기 때문에 그 밀폐효과가 취약하여 음료용기 내부에 압력을 발생하는 탄산음료 등이 저장된 음료용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is used becaus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sealed only by the thin disc-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수시로 개폐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any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음료취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outlet that can be maintained in a clean state by allowing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opened without touching the area where the beverage is discharged by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의 입구를 견실하게 밀폐되게 하여 압력을 발생하는 탄산음료 등이 저장된 음료용기에도 사용될 수 있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a carbonated beverage or the like, which generates pressure by tightly sealing an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sto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음료용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part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가능토록 삽입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뚜껑이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ain body of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the lid is rotatably covered on the main body,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t is inserted so as to be movable downward, when the lid is rotated forward is lowered to open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when the lid is rotated reversely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lifting member for clos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상기 뚜껑을 회전하여 승강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승강되게 함으로써 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용기의 입구가 개방되면 뚜껑을 벗기고 용기를 기울려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배출되는 부위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by rotating the lid to elevate the elevat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opened, remove the lid and tilt the container to ingest the beverage. As a result, the area where the beverage is discharged can be kept clea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가 음료용기에 장착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의 입구(1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음료취출구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끼워져 음료용기(1)의 입구(1a)를 개폐시키는 승강부재(20)와, 상기 본체(10)에 씌워져 상기 승강부재(20)를 상,하 이동시키는 뚜껑(30)으로 구성된다.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상기 본체(10)는 상,하측부가 개방된 중공의 상,하측원통부(11)(12)로 형성되고, 하측원통부(12) 내부에 숫나사(14)가 형성되어 음료용기(1)의 입구에 형성된 암나사(1b)와 나사결합된다.The
한편, 상기 상측원통부(11)는 하측원통부(12) 보다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어 그 경계부위가 환상의 구획판(13)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획판(13)의 내주면은 상기 음료용기(1)의 입구(1a)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음료용기(1)의 입구(1a) 상측 에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또한, 상기 상측원통부(11)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8개의 요홈(15)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상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의 돌출막(16)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한편, 상기 돌출막(16)은 상측원통부(11)로 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내측원통부(18)의 끝단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하측원통부(12)의 하단에 스커트부(12a)를 형성하여 상기 스커트부가 병의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본체(10)가 스커트부(12a)로 부터 이탈되면서 병의 입구로 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상기 승강부재(20)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 내부에 끼워지고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리브(21)가 형성된 기둥부(22)와, 기둥부(22)의 하측에 형성된 원판형상의 밀폐판(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브(21)는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측부에 형성되어 끝단부가 상기 요홈(15)에 끼워지는 안내부(21a)와, 상기 안내부(21) 보다 반경 외측방향으로 작게 돌출되고 외벽에 숫나사(21d)가 형성된 헤드부(21c)와, 상기 헤드부(21c)와 안내부(21a) 사이에 상기 헤드부(21c) 보다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넥크부(21b)로 구획된다.
As shown in FIGS. 1, 2, and 3, the
한편, 상기 밀폐판(25)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구획판(13)의 하측에 위치 되고, 상기 헤드부(21c)는 상기 상부원통체(11)의 돌출막(16)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막(16)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넥크부(21b)는 상기 돌출막(16)에 접촉되지 않도록 돌출길이가 짧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밀폐판(25)은 직경이 상기 구획판(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음료용기의 입구(1a)의 내경보다 적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3)의 내측에 형성된 구멍을 하측에서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뚜껑(3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의 외측에 씌워지고, 뚜껑(30)의 상측부(31) 저면에 하측을 향하여 뚜껑(30)의 외측벽(32)으로 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내부원통체(33)가 형성되어, 상측원통부(11)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내부원통체(33)의 내벽에는 상기 넥크부(21c)의 숫나사(21d)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3d)가 형성된다. 한편, 뚜껑(30)의 하단에는 봉인띠(34)가 형성되고 그 봉인띠(34) 내주면에 환형턱(34a)이 돌출 형성된다.1 and 2, the
또한, 상기 승강부재(20)의 헤드부(21c)에 형성된 숫나사(21d)는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원통체(3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3d)는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측으로 부터 상기 상측원통부(11) 내부로 승강부재(20)를 밀어 넣으면, 상기 숫,암나사(21d)(33d)가 용이하게 나사결합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본체(10)의 구획판(13)의 저면에는 실링부재(40)가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상기 실링부재(40)를 생략하고, 본체(10)의 구획판(13)의 하측면에 환상의 실링부(미도시)를 하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용기(1)의 입구(1a)와 구획판(13) 사이가 상기 실링부(13a)에 의하여 밀봉됨과 아울러 구획판(13)과 밀폐판(25) 사이가 실링부에 의하여 밀봉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ealing
한편, 상기 뚜껑(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의 외측벽(32)과 봉인띠(34) 사이가 이음부(35)로 연결되어, 뚜껑을 회전시키면 상기 이음부(35)가 끊어져 뚜껑의 외측벽(32)이 봉인띠(34)로 부터 분리되는 데, 상기 봉인띠(34) 내부에 상기 이음부(35)와 함께 절취될 수 있는 절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도 1,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ssembl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체(10)에 형성된 구획판(13) 저면에 실링부재(40)를 접착시킨 다음, 본체(10)의 하측부로 부터 상기 승강부재(20)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승강부재(20)의 리브(21)가 구획판(13)의 내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면서 승강부재(20)가 상승되어 승강부재(20)의 밀폐판(25)이 상기 실링부재(40)에 접촉되는 데, 상기 승강부재(20)의 상측에 형성된 헤드부(21c)는 상측원통부(11)에 형성된 돌출막(16)을 밀어올리면서 상승되어 상측원통부(11)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원통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15)에 승강부재(20)의 안내부(21a)가 삽입된다.After the sealing
그 다음 뚜껑(30)을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에 씌워주면, 뚜껑(30)의 내부원통체(33)에 형성된 암나사(33d)가 승강부재(20)의 헤드부(21c)에 형성된 숫나사(21d)와 나사결합되고 밀봉띠(34)에 형성된 환형턱(34a)은 상부원통부(11)에 하 측에 밀착되어,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Then, the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의 입구(1a)에 나사결합된다.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s screwed to the inlet (1a) of the beverage container (1) as shown in FIG.
음료용기(1)에 결합된 상기의 음료용기 개폐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upled to the beverage container (1)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에 의하여 음료용기의 입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승강부재(20)가 하강되어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closed by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opened by the lifting
도 2의 상태에서 뚜껑(30)을 손으로 잡고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30)이 봉인띠(34)로 부터 이탈되면서 뚜껑(30)이 회전된다. 뚜껑(30)이 정회전되면, 뚜껑과 나사결합된 승강부재(20)는 하강한다. 이때 승강부재(20)의 안내부(21a)는 그 끝단이 상측원통부(11)의 요홈(15)에 끼워져 있어 승강부재(20)는 회전하지 못하고 수직방향으로 하강된다. 뚜껑(30)을 계속 정회전 시키면 승강부재(20)는 계속 하강하여 뚜껑(30)과 승강부재(20)의 나사결합이 해제된다.Holding the
한편, 승강부재(20)가 하강됨에 따라 밀폐판(25)이 실링부재(40)로 부터 이격되어 용기입구가 개방된다. 뚜껑(30)과 승강부재(20)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다음, 도 6의 상태에서 뚜껑(30)을 벗기고 음료용기(1)를 기울이면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는 실링부재(40)와 밀폐판(25) 사이의 공간부, 리브(21)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lifting
한편, 뚜껑(30)과 나사결합이 해제된 승강부재(20)는 승강부재(20)의 헤드부(21c)의 저면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원통부(11)의 돌출막(16)에 접촉된다. 상기 돌출막(16)에 상기 넥크부(24)가 접촉되면 승강부재(20)는 상기 돌출막(16)에 의하여 하강을 멈추게 되므로, 승강부재(20)가 상측원통부(11)로 부터 이탈되어 음료용기(1) 내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내측원통부(18)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턱(18a)이 헤드부(21c)의 외벽에 밀착되어 승강부재(20)의 좌우요홈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승강부재(20)가 뚜껑(30)과 나사결합이 해제될 경우 뚜껑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헤드부(21c)의 저면이 돌출막(16)을 하측으로 압박하면서 내측원통부(18)의 하측단이 외측으로 약간 확개되고, 뚜껑(30)이 벗겨지면 승강부재(20)는 상기 내측원통부(18) 및 돌출막(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약간 상승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fting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한 다음, 음료용기(1)의 입구(1a)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뚜껑(30)을 본체(10)의 상측원통부(11)에 씌운 다음, 뚜껑(30)을 역회전시키면, 돌출막(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약간 상승된 승강부재(20)는 뚜껑과 나사결합되면서 상승되고, 승강부재(20)의 밀폐판(25)은 실링부재(40)에 밀착되므로 음료용기(1)의 입구(1a)가 폐쇄된다.If the user wants to close the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링부재(40)가 본체(10)의 구획판(13) 저면에 접착되어 있으나, 상기 실링부재(40)를 생략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밀폐판(25)이 직접 상기 구획판(13)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sealing
한편, 여기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뚜껑(30)을 벗긴 다음, 뚜껑(30)을 일시적으로 상기 본체(10)에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뚜껑착탈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here, after removing the
상기 뚜껑착탈수단은 뚜껑(30)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요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d detachment means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따라서, 뚜겅(30)을 본체(10)로 부터 벗긴 다음 상기 본체(10)의 요홈에 뚜껑(30)의 돌기를 끼어넣어 뚜껑(30)을 본체(1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봉인띠(34)가 씌워진 상측원통부(11)의 하측부에 미세한 구멍을 천공하여 음료를 설취할 때 상기 미세한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도 7 내지 도 9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7 to 9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지는 뚜껑(30)과, 상기 본체 내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삽입된 승강부재(20')로 구성된다.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승강부재(20')는 밀폐판(25')과, 밀폐판(25') 상에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입설된 복수개의 기둥(21')과 상기 기둥들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밀폐판(25')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중공의 원통형의 넥크부(22')와, 상기 넥크부(2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넥크부(22') 보다 직경 이 크게 형성되고 내면에 암나사(23a')가 형성되 원통형의 헤드부(23')로 구성된다. The elevating member 20 'is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aling plate 25',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뚜껑의 상측면(31) 저면에는 하측방향으로 내부원통체(33')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원통체(33')의 외면에는 상기 헤드부(23')의 암나사(23a)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33a')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inner cylindrical body 3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승강부재(20')의 기둥(21')의 끝단은 본체의 상측원통부(11) 하측부 내면에 형성된 요홈(15)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column (21 ') of the elevating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뚜껑(30)이 정회전되면 승강부재(20')가 하강되어 밀폐판(25')이 실링부재(4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음료용기(1)의 입구(1a)가 개방되고, 뚜껑(30)과 승강부재(20')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다음, 음료용기를 기울이면, 음료용기(1)에 저장된 음료는 밀폐판(25')과 실링부재(40)의 사이의 공간부, 기둥(21') 사이의 공간부(21'), 넥크부(22') 및 헤드부(23')의 중공부(22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개폐장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토록 씌워진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토록 삽입되어 상기 뚜껑이 정회전되면 하강되어 용기의 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뚜껑이 역회전되면 상승되어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는 승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뚜껑을 회전시 키면 승강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승강되어 음료용기의 입구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가 취출되는 배출구를 손으로 접촉하지 않고 음료용기의 입구가 개폐되므로 음료 배출구의 청결상태가 유지되어 위생효과가 증진된다.The beverage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inlet of the container, the lid is rotatably covered with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container is lowered when the lid is rotated forward It is composed of a lifting member for opening the inlet of the lid and the lid is reversely rotated to close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when the lid is rotated, the lifting member is l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since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opened and closed without touching the outlet from which the beverage is drawn out, the hygienic effect is maintained by maintaining the cleanness of the beverage outlet.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8912A KR100844160B1 (en) | 2002-02-20 | 2002-02-20 | Closer of beverage vessel |
CNA028034899A CN1484601A (en) | 2001-11-07 | 2002-11-04 |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beverage container |
PCT/KR2002/002047 WO2003039986A1 (en) | 2001-11-07 | 2002-11-04 | Closer of beverage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8912A KR100844160B1 (en) | 2002-02-20 | 2002-02-20 | Closer of beverage vess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9333A KR20030069333A (en) | 2003-08-27 |
KR100844160B1 true KR100844160B1 (en) | 2008-07-04 |
Family
ID=322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8912A KR100844160B1 (en) | 2001-11-07 | 2002-02-20 | Closer of beverage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416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15627A1 (en) * | 2004-06-12 | 2007-09-20 | Hee Kwon Rho | Cap With Push Type Open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2058U (en) * | 1983-09-30 | 1985-04-30 |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 Cap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
JPH0662058U (en) * | 1993-02-08 | 1994-09-02 | 銅金株式会社 | Rain gutter device and gutter |
-
2002
- 2002-02-20 KR KR1020020008912A patent/KR10084416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62058U (en) * | 1983-09-30 | 1985-04-30 | 豊國樹脂工業株式會社 | Cap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
JPH0662058U (en) * | 1993-02-08 | 1994-09-02 | 銅金株式会社 | Rain gutter device and gut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9333A (en) | 2003-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7403B1 (en) | Beverage container | |
EP0918731B1 (en) | One-piece cap for liquid dispenser container | |
KR101133979B1 (en) | Lid for a vacuum receptacle and, check valve and packing for the lid | |
KR101542590B1 (en) | An upside down container | |
US20050247714A1 (en) | Closure for drink bottle | |
US20070215627A1 (en) | Cap With Push Type Opener | |
US5346088A (en) | Reusable beverage can cap | |
KR100844160B1 (en) | Closer of beverage vessel | |
KR100860834B1 (en) | Closer of beverage vessel | |
US5221020A (en) | Reusable beverage can cap | |
WO2001049583A1 (en) |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osure receptacle for fluid | |
KR100613226B1 (en) | Bottle cap | |
JP2005510425A (en) | Contain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100696676B1 (en) | Cap of storage vessel | |
KR20070022082A (en) | Closure of vessel | |
KR100783189B1 (en) |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 |
JPH11240552A (en) | Closure of container for beverage | |
KR100905759B1 (en) | Closer of beverage vessel | |
WO2003039986A1 (en) | Closer of beverage vessel | |
KR100810744B1 (en) |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 |
KR100814483B1 (en) |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 |
JP4215144B2 (en) | Synthetic plastic inner plug with sealed pouring hole | |
JP4187964B2 (en) | Beverage container | |
JPS6090151A (en) | Combination consisting of vessel, inside plug and outer cover | |
JPH10194316A (en) | Discharging container for beve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