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8079B1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79B1
KR100838079B1 KR1020070018499A KR20070018499A KR100838079B1 KR 100838079 B1 KR100838079 B1 KR 100838079B1 KR 1020070018499 A KR1020070018499 A KR 1020070018499A KR 20070018499 A KR20070018499 A KR 20070018499A KR 100838079 B1 KR100838079 B1 KR 10083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area
pix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형
김광남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와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정의막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화소정의막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봉지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봉지기판을 밀봉하는 글라스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10: 기판 120: 디스플레이 영역
121: 발광층 122: 화소정의막
130: 패시베이션막 140: 글라스 프릿층
150: 봉지기판 151: 돌출부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와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들 전극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화소전극으로부터 주입되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한 정공(hole)과, 대향전극으로부터 주입되어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전자가,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소멸하면서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이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천이하면서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에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것이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소자는 자발광형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표시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수분에 취약하여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수분이 소자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메탈 캡 또는 봉지기판(50)을 밀봉재(30)로 봉지시키고 밀봉 공간내에 실리콘오일 또는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40)를 채워서 산소 또는 수분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흡습제 배치를 위한 밀봉공간을 별도로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종래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기 발광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 막(22) 상에 스페이서(23)를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스페이서(23)와 봉지기판(50) 사이의 공간이 비어있기 때문에(물론 질소와 같은 기체는 존재하지만)외부의 충격을 분산시키기 어려워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박막트랜지스터 소자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23)를 별도로 형성해야 하기때문에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정의막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화소정의막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봉지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봉지기판을 밀봉하는 글라스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소정의막의 두께는 1.5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글라스 프릿층의 두께는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시베이션막의 두께는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120)과, 패시베이션막(130)과 프릿층(140)이 구비되고, 그 위에 돌출부(151)를 구비한 봉지기판(150)이 구비된다.
기판(11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글라스재 기판일 수도 있고 그 외에도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질의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배면 발광형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라면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나, 전면 발광형의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판(110)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120)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121)과, 화소영역(1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막(122)이 구비되어 있다.
화소영역(121)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들을 갖는데,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각 유기 발광 소자는 그 발광 여부를 각 유기 발광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제어하는지 여부에 따라 능동 구동형(AM: active matrix) 유기 발광 소자와 수동 구동형(PM: passive matrix) 유기 발광 소자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소자와 수동 구동형 유기 발광 소자 중 어느 것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상호 대향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을 구비한다.
제1전극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제1전극과 제2전극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제1전극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투명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도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중간층을 향하도록 증착하여 형성된 막과, 그 위의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위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유기막층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 N-디(나프탈렌-1-일)-N, N'-디페닐-벤지딘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화소영역(121) 주위에는 화소영역(121)을 한정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물로 구성된 화소정의막(pixel define layer, PDL)(122)이 구비된다.
화소정의막(122)은 제1전극이 노출되도록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하고, 소정의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화소전극의 단부와 대향 전극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 전극의 단부에서 아크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소정의막(122)은 통상적으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유기절연물로 스핀코팅 등의 방법으로 적층하여 드라이 에칭 등을 통해 제1전극을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12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120)을 덮는 패시베이션막(130)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130)은 디스플레이 영역(120)을 덮으며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후술할 프릿층(140)과 함께 발광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시베이션막(130)은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한다.
이러한 무기 절연물질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AlO), 징크옥사이드(ZnO), 티타늄 옥사이드(TiO2), 탄탈륨 옥사이드(Ta2O6), 지르코늄 옥사이드(ZrO2), 하프늄 옥사이드(HfO2), 실리콘 옥사이드(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알루미늄 옥시나이트라이드(AlON),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20) 주위에는 밀봉 특성이 우수한 프릿층(140)이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프릿층(140)은 통상적으로 글라스 프릿을 사용하여 형성되는데, 프릿층(140)은 기판(110) 또는 후술할 봉지기판(150)에 디스펜스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얼라인 및 용융하는 공정을 거친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글라스 프릿층(140)을 용융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미치는 열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글라스 프릿층(140)을 용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20)과 글라스 프릿층(140) 상에는 봉지기판(15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기판(150)은 화소정의막(122) 상의 패시베이션막(130)과 접촉하도록 화소정의막(122)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돌출부(151)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레이저 어닐링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층(140)은, 전술한 패시베이션막(130)과 함께,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달리 우수한 밀봉 특성으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로부터 유기 발광소자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흡습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기판(150)은 종래와 같이 흡습제가 배치되어야 할 공간을 따로 둘 필요가 없으므로, 밀봉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봉지기판(150)을 에칭할 필요가 없다.
삭제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패시베이션막(130)과 접촉하도록 화소정의막(122)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151)를 패터닝한다. 즉, 기존의 봉지기판(150)을 패터닝하여 밀봉공간을 형성하는 대신에 돌출부(151)를 패터닝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없이 기존의 패터닝 공정을 변형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51)는 화소정의막(122) 상에 형성된 패시베이션막(130)과 접촉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돌출부(151)에서 패시베이션막(130)을 통하여 화소정의막(122)과 접촉된 영역을 따라 분산되기 때문에 발광층과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51)를 화소정의막(122)에 대응되도록 패터닝하였기 때문에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이 화소정의막(122) 상에 스페이서를 추가적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봉지기판(150)의 돌출부(151)가 스페이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형성 및 패터닝을 위한 추가적인 공정을 요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릿층(140)의 두께는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가능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글라스 프릿의 입도 및 균일도를 고려여 약 5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최대 10 마이크로미터(㎛)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시베이션막(130)은 상술한 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소정의막(122)은 유기막의 노광 조건 등을 고려하여 1.5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151)의 두께는 전체 프릿층(140)의 두께에서 화소정의막(122)과 패시베이션막(130)의 두께를 뺀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흡습제 대신에 글라스 프릿층(140)과 패시베이션막(130)을 채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키고, 봉지기판(150)의 화소정의막(122)에 대응되는 면이 돌출되어 에칭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의 두께를 슬림화 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를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봉지기판(150)의 돌출부(151)가 스페이서(123) 대응됨으로써 소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21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패시베이션막(230)과 프릿층(240)이 구비되고, 그 위에 제1돌출부(251) 및 제2돌출부(252)를 포함한 밀봉부재(250)가 구비된다. 이하,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판(210) 상에 구비된 디플레이 영역(220)에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221)과, 화소영역(221)을 한정하는 화소정의막(222)이 구비되어 있다.
화소영역(221)은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들을 갖는데, 각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 이 상호 대향된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화소영역(221) 주위에는 화소영역(221)을 한정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물로 구성된 화소정의막(222)이 구비된다. 이 화소정의막(222)을 구성하는 재료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디스플레이 영역(220) 상에는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덮는 패시베이션막(230)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230)은 디스플레이 영역(220)을 덮으며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후술할 프릿층(240)과 함께 발광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시베이션막(230)은 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20) 주위에는 밀봉 특성이 우수한 프릿층(240)이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프릿층(24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글라스 프릿을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 얼라인 후, 레이저 어닐링의 과정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220)과 프릿(240)층 상에는 봉지기판(250)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기판(250)은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돌출부(251)와 제1돌출부(252)에서 화소정의막(222)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제2돌출부(252)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봉지기판(1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은 직접 화소정의막(122)에 대응되도록 일단의 돌출부(151)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기판(150)의 경우에는 봉지기판(250)의 발광층을 향하는 면에 이단의 돌출부(251, 252)를 구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기판(250)은,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대응하도록 발광층을 향하는 면과 평행하게 돌출된 제1돌출부(251)와, 상기 제1돌출부(251)로부터 화소정의막(222)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제2돌출부(252)가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제2돌출부(252)는 화소정의막(222) 상에 형성된 패시베이션막(130)과 접촉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돌출부(251)에서 패시베이션막(230)을 통하여 화소정의막(222)과 접촉된 영역을 따라 분산되기 때문에 발광층과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부(252)를 화소정의막(222)에 대응하도록 패터닝하기 때문에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이 화소정의막(122) 상에 스페이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봉지기판(250)의 제2돌출부(252)가 스페이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형성 및 패터닝을 위한 추가적인 공정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레이저 어닐링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글라스 프릿층(240)은, 전술한 패시베이션막(230)과 함께,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달리 우수한 밀봉 특성으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로부터 유기 발광소자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흡습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한 봉지기판(250)은 종래와 같이 흡습제가 배치되어야 할 공간을 따로 둘 필요가 없으므로, 밀봉공간 형성을 위해 봉지기판(250)을 에칭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220)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251)와 패시베이션막(230)과 접촉하도록 화소정의막(222)에 대응하는 제2돌출부(251)를 패터닝한다. 즉, 밀봉공간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치(200)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 기존의 봉지기판(250)의 패터닝 공정을 변형함으로써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릿층(240)의 두께는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가능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글라스 프릿의 입도 및 균일도를 고려여 약 5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림화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최대 10 마이크로미터(㎛)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시베이션막(230)은 상술한 대로 아웃개싱(out gasing)의 염려가 없는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층막 또는 다층막 구조로 약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의 두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소정의막(222)은 유기막의 노광 조건 등을 고려하여 1.5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251)의 두께는 전체 프릿층(240)의 두께에서 화소정의막(222)과 패시베이션막(230)의 두께를 뺀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게 될 것이다.
전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돌출부(251) 및 제2돌출 부(252), 즉 2단의 돌출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체 돌출부의 두께를 증가시키기가 용이하다.
즉, 일단의 돌출부만으로는 한 번의 패터닝 공정에서 원하는 만큼 두께를 두텁게 형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단의 돌출부를 채용할 경우 두 번의 패터닝 공정으로 각각 소정의 두께를 형성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돌출부의 두께를 증가시키기가 쉬어진다.
상기와 같은 이단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봉지기판(250)을 두 번 패터닝해야 하기 때문에 봉지기판(250)을 패터닝하는 공정 순서가 증가 될 수 있지만, 프릿층(240)의 두께와 화소정의막(222)의 두께가 현저히 차이가 날 경우, 화소정의막(222)의 두께나 패시베이션막(230)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돌출부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그 두께의 차이를 메꿀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종래의 UV경화용 실링제와 흡습제 대신에 프릿층(240)과 패시베이션막(230)을 채용함으로써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밀봉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봉지기판(250)의 화소정의막(122)에 대응되는 면이 이단으로 돌출되어 에칭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장치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고, 스페이서를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봉지기판(250)의 제2돌출부(251)가 화소정의막(222)에 대응됨으로써 소자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글라스 프릿층과 패시베이션막을 채용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한다.
둘째, 봉지기판에 흡습제를 배치할 밀봉공간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세째, 봉지기판에 형성된 돌출부가 패시베이션막을 통하여 화소정의막과 대응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광층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발광층을 포함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한정하도록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덮는 패시베이션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정의막 상의 패시베이션막과 접촉하도록 상기 화소정의막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봉지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봉지기판을 밀봉하는 글라스 프릿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의 두께는 1.5 내지 2.5 마이크로미터(㎛)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프릿층의 두께는 5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의 두께는 700 내지 1000 옴스트롱(Å)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070018499A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99A KR100838079B1 (ko)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99A KR100838079B1 (ko)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079B1 true KR100838079B1 (ko) 2008-06-13

Family

ID=3977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079B1 (ko) 2007-02-23 2007-02-23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0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944A (ja) * 2009-10-05 2011-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elパネル、パネル接合型発光装置、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US8525406B2 (en) 2008-12-11 2013-09-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50035409A (ko) * 2013-09-27 2015-04-06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6963A (ja) * 2005-02-25 2006-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6963A (ja) * 2005-02-25 2006-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5406B2 (en) 2008-12-11 2013-09-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2011081944A (ja) * 2009-10-05 2011-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elパネル、パネル接合型発光装置、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143043B1 (ko) * 2009-10-05 2012-05-08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패널, 패널 접합형 발광장치, 유기 el패널의 제조 방법
US8917017B2 (en) 2009-10-05 2014-12-23 Tohoku Pioneer Corporation Organic el panel, panel-combine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 panel
KR20150035409A (ko) * 2013-09-27 2015-04-06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2261B1 (ko) 2013-09-27 2021-09-14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324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092718B2 (en) Functional polarizing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942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523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US899401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898136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4699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582980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507982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JP4558763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CN101202298B (zh) 有机发光显示设备
KR1020133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70132365A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0036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18011217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769237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multi-layered electrod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9586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40980A (ja) 機能性有機物素子及び機能性有機物装置
US824727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77746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88854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28594B2 (en) Display device
KR10083807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74796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818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