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4010B1 -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 Google Patents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010B1
KR100834010B1 KR1020080022776A KR20080022776A KR100834010B1 KR 100834010 B1 KR100834010 B1 KR 100834010B1 KR 1020080022776 A KR1020080022776 A KR 1020080022776A KR 20080022776 A KR20080022776 A KR 20080022776A KR 100834010 B1 KR100834010 B1 KR 10083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damper
wind direction
tower
variable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무
Original Assignee
서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출구(22)가 다단으로 직립 설치되는 외통체(2)와; 상기 공기출구(22)에 대응되는 다수의 댐퍼공(48)과 댐퍼그릴(46)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2)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체(4)와; 상기 내통체(4)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장치(6)와; 상기 외통체(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소음방지장치(8)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댐퍼그릴(46)은 상기 댐퍼공(48)의 상하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내통체(4)의 내주면 축에 상하로 연결 설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며, 경사진 상부면(461)과 하부면(462)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풍과 온풍의 특성을 반영하여 냉,온풍의 분사각도를 상이하게 설계하여 냉.난방효율이 증대되도록 고안되었다.
냉방, 난방, 가변풍량조절, 타워형, 소음방지

Description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TOWER TYPE REGULATOR FOR VARIABLE WIND DIRECTION}
본 발명은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 또는 난방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출 풍향을 조절함으로써 냉난방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서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된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까지 안내하는 덕트와, 각 실에 상기 덕트와 연결 설치된 디퓨져로 구성된다.
종래 덕트 및 디퓨져는 천장 또는 바닥에 주로 설치되는데, 실내 공간이 넓은 경우 많은 덕트 및 디퓨져가 소요된다.
특히, 공항이나 역사의 대합실은 천장이 매우 높게 설계되어 있어 천장에 덕트 및 디퓨져를 설치할 경우 배출되는 냉풍, 온풍이 하강하는 도중에 열을 잃게 되어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므로 냉.난방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94525호의 『타워형 가변 풍량 조절기』를 출원한 바 있다.
첨부된 도 9는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직립으로 설치되는 실린더(10)의 사방 주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기출구(11)가 다단으로 천공되고, 실린더(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 댐퍼(20)의 사방 주벽에도 실린더(10)의 공기출구(11)와 일치되는 위치에 댐퍼공(21)이 천공되었으며, 원통 댐퍼(20)의 내주벽에 다수의 승강봉(22)이 수직으로 용착되고, 이 승강봉(22)의 각 상단부가 실린더(10)의 상단에 고정된 덮개(12)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12)의 상면 양측에 고정된 베어링(30)에 회전축(40)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회전축(4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된 승강편(41)이 상기 대각선상에 위치된 양측 승강봉(22)의 안내베어링(23)에 접속되었으며, 실내 온도감지센서로 작동되는 댐퍼 작동기(50)의 작동축(51)이 상기 회전축(40)에 고정된 안내간(42)에 접속되게 구성되었다.
또한 실린더(10) 덮개(12)의 내면에는 하부 중앙으로 좁게 형성되고, 주벽에 흡음공(61)이 배열된 원추형 소음기(60)가 고정되고, 실린더(10)의 하부에는 주벽에 흡음공(61)이 배열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내경이 점차 좁게된 원통형 소음기(7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바닥에 매립된 덕트와, 상기 덕트와 연결되며 실내에 직립되게 설치된 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에는 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풍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천장이 높은 장소에 설치하여 사람의 머리 위쪽으로 냉,온풍을 적절 한 량으로 분사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냉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냉방 또는 난방시 냉풍 또는 온풍의 기류가 적절하게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냉풍인 경우 공기의 비중이 무거운 관계로 하부로 가라앉는 특성이 있고, 온풍인 경우 공기의 비중이 가벼워 위로 뜨는 특성이 있는 바, 종래 기술은 이러한 냉,온풍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향으로만 분사되도록 하고 있어 냉난방효율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94525호를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풍 및 온풍의 분사각도를 상이하게 조정함으로써 냉풍의 분사각도는 보다 상향조정하고, 온풍의 분사각도는 보다 하향조정하여 냉풍은 상부에서 하부로 보다 서서히 가라앉도록 하고, 온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서서히 상승하도록 하여 냉난방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출구가 다단으로 천공되어서 직립으로 설치되는 외통체와; 상기 공기출구에 대응되는 다수의 댐퍼공과 댐퍼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소음방지장치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댐퍼그릴은 상기 댐퍼공의 상하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내통체의 내주면 축에 설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며, 경사진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풍과 온풍의 특성을 반영하여 냉,온풍의 분사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냉난방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통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승강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정교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출구가 다단으로 천공되어서 직립으로 설치되는 외통체와; 상기 공기출구에 대응되는 다수의 댐퍼공과 댐퍼그릴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장치와; 상기 외통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소음방지장치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댐퍼그릴은 상기 댐퍼공의 상하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내통체의 내주면 축에 상하로 연결 설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며, 경사진 상부면과 하부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의 하부에는 완충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완충수단은 내통체의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베어링지지판과, 상기 베어링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퍼그릴의 상부면은 -7°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댐퍼그릴의 하부면은 +15°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외통체 하단에 수직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내통체의 원할한 상하운동을 위한 베어링과, 상기 샤프트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통체의 상부지지판에 결합된 축봉과, 상기 축봉의 상단에 결합된 유니버셜조인트와, 일단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에 힌지결합된 제 1로드와, 상기 제 1로드의 타단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제 2로드와, 상기 제 2로드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A)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기출구(22)가 다단으로 천공되어서 직립으로 설치되는 외통체(2)와; 상기 공기출구(22)에 대응되는 다수의 댐퍼공(48)과 댐퍼그릴(46)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2)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체(4)와; 상기 내통체(4)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장치(6)와; 상기 외통체(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소음방지장치(8)로 구성된다.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외통체(2)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있고 덕트(100)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장공형태의 공기출구(22)가 수평으로 천공되며, 자연적으로 상기 공기출구(22)의 상하부에는 돌턱(24)이 형성된다.
상기 외통체(2)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장치(6)가 설치되는 상판(26)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외통지지대(28)가 설치된다.
상기 외통지지대(28)는 외통체(2)의 하단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는 샤프트(61)가 결합되는 안착구(282)가 형성된다.
첨부된 도 4는 상기 도 1에서 "내통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통체(4)는 상기 외통체(2)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통체(2)와 동일한 형상인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평철축(42)과, 상기 평철축(42)의 상단에 부착된 상부지지판(44)과, 상기 평철축(42)의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출구(22)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댐퍼그릴(46)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댐퍼그릴(46)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자연적으로 댐퍼공(48)의 상하부에 인접되어 형성된다.
상기 댐퍼그릴(46)은 댐퍼공(48)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철축(42)의 외면에 리벳팅으로 고정설치된 원형부재로써,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으로 이루어져 경사진 상부면(461)과 하부면(46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그릴(46)의 상부면(461)은 가상의 수평선(h1)을 0°로 설정하였을 때 이 수평선(h1)의 하부에 -7°의 경사도(θ1)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댐퍼그릴(46)의 하부면(462)은 가상의 수평선(h2)을 0°로 설정하였을 때 이 수평선(h2)의 상부에 +15°의 경사도(θ2)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체(4)의 하단 중심부에는 베어링지지판(43)이 형성되는데, 상기 베어링지지판(43)은 내통체(4)의 내면과 방사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내통지지대(45)에 의해 지지되며, 하부에는 스프링(7)이 안착되는 홈(432)이 형성된 것으로, 중심에는 승강장치(6)의 샤프트(61)가 관통하는 통공(434)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6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통체(4)의 상부지지판(44) 및 외통체(2)의 상판(26)을 관통하여 외통체(2)의 상단의 승강장치판(68)과 결합되고, 그 하단은 외통체(2)의 외통지지대(28)에 형성된 안착구(282)에 결합되어 수직설치된다.
이때, 샤프트(61)의 상단부는 상기 외통체(2)에 연결되어있는 승강장치판(68)과 결합되고 샤프트(61)의 상단 외주에 결합된 리니어베어링(612)은 내통 체(4)의 상부지지판(44)과 결합되어 내통체(4)가 상.하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된다.
첨부된 도 5는 상기 도 1에서 "완충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충수단은 내통체(4)의 하중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내통체(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통체(4)의 베어링지지판(43)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프링(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7)은 상기 승강장치(6)의 샤프트(61)의 외주에 결합된 것으로, 상단은 상기 베어링지지판(43)의 홈(432)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하단은 외통체(2)의 외통지지대(28)에 형성된 안착구(282)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승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승강장치(6)는, 상기 내통체(4)의 상부지지판(44)에 결합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내통체(4)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6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통체(4)의 상부지지판(44)에 결합된 축봉(63)과, 상기 축봉(63)의 상단에 결합된 유니버셜조인트(64)와, 일단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64)에 힌지결합된 제 1로드(65)와, 상기 제 1로드(65)의 타단에 결합된 회전축(66)과, 상기 회전축(66)에 결합된 제 2로드(67)와, 상기 제 2로드(67)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액츄에이터(6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로드(65,67)와 회전축(66)과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액츄에 이터(62)의 작동에 연동되어 동반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62)는 통상의 리니어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인출 및 인입되는 가동자(622)의 선단은 제 2로드(67)와 힌지결합된다. 이에 대한 작동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소음방지장치(8)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나팔형상이며,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것으로, 상부의 확관부에는 내통체의 평철축(42)이 통과하는 슬릿(미도시)이 다수로 형성되며, 확관부의 끝단이 외통체(2)의 내주면에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내부에 소음방지장치(8)가 설치된 내통체(4)를 외통체(2)의 내부에 삽입하고, 내통체(4)의 상부지지판(44)에 승강장치(6)의 축봉(63)을 삽입하고, 축봉(63)의 상단에 유니버셜조인트(64)를 설치하며, 유니버셜조인트(64)의 상단을 제 1로드(65)에 힌지결합한다.
상기 제 1로드(65)는 외통체(2)의 상판(26)에 베어링으로 결합된 수평의 회전축(66)에 일단을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축(66)의 타측에는 제 2로드(67)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상기 제 2로드(67)의 타단에는 액츄에이터(62)의 가동자(622)를 힌지결합시킨 후 액츄에이터(62)는 외통체(2)의 상판(26)에 힌지결합시킨다.
한편, 내통체(4) 및 소음방지장치(8)는 그 중심부에 샤프트(61)가 수직되게 통과되고, 샤프트(61)의 상단은 내통체(4)의 상부지지판(44) 및 외통체(2)의 상판(26)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단은 외통체(2)의 외통지지대(28)에 형성된 안착구(282)에 결합된다.
이때, 샤프트(61)의 하부 외면에는 스프링(7)이 끼워지고, 스프링(7)의 상단은 내통체(4)의 베어링지지판(43)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하단은 안착구(282)에 지지된다.
이후, 상기 외통체(2)의 하부는 공기조화기와 연결되어 오는 바람 덕트(100)와 연결되어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의 "닫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그릴(46)이 외통체(2)의 공기출구(22)를 막음으로써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62)의 가동자(622)가 최초에 인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어있고, 상기 엑츄에이터(62)가 작동되기 시작하여 가동자(622) 인출되면 내통체(4)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가동자(622)가 최대, 최소 이동거리의 중간위치에 도달하면 내통체(4)의 댐퍼그릴(46)이 공기출구(22)를 막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의 "난방"가동을 나타낸 도면이 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방시에는 내통체(4)가 중간위치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상승함으로써 공기출구(22)와 댐퍼공(48)이 통하게 되어 온풍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내통체(4)의 상승과정을 살펴보면, 액츄에이터(62)의 가동자(622)가 중간위치에서 소정 간격으로 인출되면, 제 2로드(67)가 상방으로 회전되고, 회전축(6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1로드(65)가 상방으로 회전되고, 유니버셜조인트(64) 및 축봉(63)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내통체(4)가 상승하게 된다.
특히, 내통체(4)의 상승에 의해 댐퍼그릴(46)의 하부면(462)이 돌턱(24)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는데, 댐퍼공(48)을 통해 토출된 온풍이 상기 하부면(462)에 먼저 부딪힌 후 하향되게 방향이 전환되어 공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부로 올라가려는 특성을 갖는 온풍을 강제로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전환시킴으로써 온풍이 보다 많이 지상으로 향하도록 하여 난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의 "냉방"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방시에는 내통체(4)가 난방시 도 6과 같이 닫힘상태에서 하강함으로써 공기출구(22)와 댐퍼공(48)이 통하게 되어 냉풍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내통체(4)의 하강과정을 살펴보면, 액츄에이터(62)의 가동자(622)가 도 6과 같이 닫힘상태에서 하강함으로써 제 2로드(67)가 하방으로 회전되고, 회전축(6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1로드(65)가 하방으로 회전되고, 축봉(63) 및 유니버셜조인트(64)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내통체(4)가 하강하게 된다.
특히, 내통체(4)의 하강에 의해 댐퍼그릴(46)의 하부면(462)이 돌턱(24)의 하단보다 하부에 위치되는데, 댐퍼공(48)을 통해 토출된 냉풍이 상기 하부면(462)에 부딪치지 않고 곧바로 공기출구(22)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하부로 가라앉으려는 특성을 갖는 냉풍을 최대한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분출된 냉풍이 보다 높은 위치에서부터 하강하도록 하여 냉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서 "내통체"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서 "완충수단"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의 "닫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의 "난방"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의 "냉방"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외통체 4 : 내통체
6 : 승강장치 8 : 소음방지장치
22 : 공기출구 24 : 돌턱
28 : 외통지지대 42 : 평철축
43 : 베어링지지판 44 : 상부지지판
46 : 댐퍼그릴 48 : 댐퍼공
61 : 샤프트 62 : 액츄에이터
63 : 축봉 64 : 유니버셜조인트
65 : 제 1로드 66 : 회전축
67 : 제 2로드 68 : 승강장치판

Claims (8)

  1. 외주면에 공기출구(22)가 다단으로 천공되어서 직립으로 설치되는 외통체(2)와;
    상기 공기출구(22)에 대응되는 다수의 댐퍼공(48)과 댐퍼그릴(46)이 형성되어 상기 외통체(2)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체(4)와;
    상기 내통체(4)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승강장치(6)와;
    상기 내통체(4)의 내부에 설치된 소음방지장치(8)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댐퍼그릴(46)은, 상기 댐퍼공(48)의 상하부에 인접되며, 상기 내통체(4)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단면이 사다리꼴형상이며, 경사진 상부면(461)과 하부면(46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그릴(46)의 상부면(461)은 가상의 수평선(h1)을 0°로 설정하였을 때 상기 수평선(h1)의 하부에 -7°의 경사도(θ1)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그릴(46)의 하부면(462)은 가상의 수평선(h2)을 0°로 설정하였을 때 상기 수평선(h2)의 상부에 +15°의 경사도(θ2)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2)는, 상기 공기출구(22)의 상하부에 돌턱(24)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승강장치(6)가 설치되는 상판(26)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외통지지대(28)가 설치된 것이며,
    상기 외통지지대(28)는 상기 외통체(2)의 하단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는 안착구(28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4)는,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평철축(42)의 상단에 상부지지판(44)이 형성되고, 하단 중심부에는 베어링지지판(43)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베어링지지판(43)은 내통체(4)의 내면과 방사상으로 연결된 다수의 내통지지대(45)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는 홈(432)이 형성되고, 중심에는 통공(4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4)의 하부에는 완충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베어링지지판(43)의 홈(432)에 삽입되는 스프링(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6)는, 상기 내통체(4)에 결합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내통체(4)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내통체(4)에 결합된 축봉(63)과, 상기 축봉(63)의 상단에 결합된 유니버셜조인트(64)와, 일단이 상기 유니버셜조인트(64)에 힌지결합된 제 1로드(65)와, 상기 제 1로드(65)의 타단에 결합된 회전축(66)과, 상기 회전축(66)에 결합된 제 2로드(67)와, 상기 제 2로드(67)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액츄에이터(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KR1020080022776A 2008-03-12 2008-03-12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KR10083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776A KR100834010B1 (ko) 2008-03-12 2008-03-12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776A KR100834010B1 (ko) 2008-03-12 2008-03-12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010B1 true KR100834010B1 (ko) 2008-05-30

Family

ID=3966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776A KR100834010B1 (ko) 2008-03-12 2008-03-12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0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01Y1 (ko) * 1990-05-24 1992-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그릴장치
KR100256411B1 (ko) 1997-12-15 2000-05-15 윤종용 공기조화기용실내기의풍량조절장치
KR200394525Y1 (ko) 2005-06-21 2005-09-02 서진공조 주식회사 타워형 가변 풍량 조절기
KR20070009952A (ko) * 2006-12-15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01Y1 (ko) * 1990-05-24 1992-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그릴장치
KR100256411B1 (ko) 1997-12-15 2000-05-15 윤종용 공기조화기용실내기의풍량조절장치
KR200394525Y1 (ko) 2005-06-21 2005-09-02 서진공조 주식회사 타워형 가변 풍량 조절기
KR20070009952A (ko) * 2006-12-15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41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RU2544396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потолочный вентилятор
KR200413942Y1 (ko) 배전반의 환기 장치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ITUD940178A1 (it) Perfezionamenti ai dispositivi modulari permettenti l'assemblaggio di apparecchiature per l'estrazione dei fumi o l'aerazione dei
KR200372149Y1 (ko)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
KR100709109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KR100834010B1 (ko) 타워형 가변 풍향 조절기
KR10064082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정압상승장치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100976704B1 (ko) 고정식 환기구
KR102468857B1 (ko) 댐퍼를 갖는 급기 디퓨저
KR20100031449A (ko) 풍력 발전기용 배풍기
JP2015140971A (ja) 空気調和機の天井埋込型室内機
US2337382A (en)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
KR20120020261A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US2337863A (en) Attic ventilator
KR100479390B1 (ko) 벤틸레이터
CN111442376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21016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449441Y1 (ko) 루프팬 환기장치
KR200436327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00803052B1 (ko)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US20100143112A1 (en) Housing for paddle fan
KR101584539B1 (ko) 환기 설비용 디퓨저
KR101921916B1 (ko) 공기조화용 자동 정풍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