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2629B1 -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629B1
KR100822629B1 KR1020070064782A KR20070064782A KR100822629B1 KR 100822629 B1 KR100822629 B1 KR 100822629B1 KR 1020070064782 A KR1020070064782 A KR 1020070064782A KR 20070064782 A KR20070064782 A KR 20070064782A KR 100822629 B1 KR100822629 B1 KR 10082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r
disposable
disposable absorbe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610A (ko
Inventor
조민석
송준실
정대붕
정홍식
김정래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6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6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6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with ultrasonic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흡수체를 부분 부분 구획함으로써 뭉침방지 특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0),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30) 및 상기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의 사이에 위치하여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는 흡수체(20)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제 방식, 접착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기 흡수체(20)를 분할하여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흡수체 분리 접합부(25)에 의해 흡수체 재료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뭉침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일회용 흡수제품, 기저귀, 흡수체, 뭉침, 핫멜트(hot melt), 열융착

Description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for disposable Absorbents Improved Anti-aggregation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I-I선을 취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를 보인 것으로, 흡수체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를 보인 것으로, 흡수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를 보인 것으로, 흡수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방 허리부분 2 : 가랑이 부분
3 : 후방 허리부분 10 : 상부시트
15 : 흡수 확산시트 20 : 흡수체
21 : 고흡수성 수지 22 : 솜펄 펄프
23 : 흡수 접합시트 25 : 흡수체 분리 접합부
30 : 배면시트 32 : 플라스틱 필름
34 : 부직포 40 : 내측응가밴드
41,46 : 응가밴드 플랩 42 : 응가밴드 탄성체
43 :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 44 : 응가밴드 말단부
45 : 외측응가밴드 47 :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
48 : 내측플랩 49 : 외측플랩
50 : 허리밴드 61 : 접착부
62 : 고정부 65 : 타켓부
본 발명은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흡수체를 부분 부분 구획함으로써 종래의 흡수제품과 동등이상의 흡수력을 발휘하면서도 뭉침방지 특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뇨, 대변, 생리혈 등의 분비물을 배설한다. 일회용 흡수제품은 이러한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한 생활 환경을 제공한다. 즉, 일회용 흡수제품은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오줌, 대변, 월경분비물 및 질 분비물 등을 흡수 및 저장하는 제품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 아나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그리고 여성을 위한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Panty Liner)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분비물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수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가적으로는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수단을 갖는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에는 기저귀의 좌우측으로 분비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포켓(pocket)을 형성할 수 있도록 흡수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샘 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일회용 흡수제품은 무엇보다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우수한 흡수력과 저장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일회용 흡수제품의 구성요소 중에서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는 흡수체가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흡수제품의 흡수체로는 흡수성이 우수한 폴리머 입자나 섬유 입자가 사용된다. 그러나, 흡수체는 수분을 흡수할 경우 흡수체 재료 입자가 팽윤되어 입자 상호간이 엉기어 뭉칭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회용 흡수제품 중에서 기저귀의 경우에는 입자 형태 또는 섬유 형태의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가 사용된다.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콜-아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폴리비닐알콜 가교물,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아크릴레이트-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 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가교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렌옥사이드 중합체 가교물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는 물, 염수, 뇨, 혈액, 장액 및 체액 등을 자기 중량의 몇 배에서 수백 배에 달하는 양을 흡수할 수 있어 흡수체의 재료로서 유용하다.
그러나, 고흡수성 수지는 수분을 흡수할 경우 겔 점착(gel blocking)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직면한다. 겔 점착은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됨으로써 고흡수성 수지 입자 상호간이 달라붙어 응집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응집 현상은 고흡수성 수지 일부의 유체 흡수를 차폐시키거나 차단시키기 때문에 고흡수성 수지의 단위 중량당 흡수율을 감소시킨다.
위와 같이 흡수체가 고흡수성 수지로만 이루어질 경우 겔 점착 현상에 직면하기 때문에 겔 점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다른 흡수재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기저귀의 경우에는 솜털 펄프(Fluff Pulp)와 같은 섬유 재료와 혼합하여 흡수체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솜털 펄프는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를 서로 분리시켜 겔 점착도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저귀 흡수체에 있어서 고흡수성 수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제조 공정 및/또는 사용(착용)하는 동안 제한적으로나마 자유롭게 움직인다. 제조하는 동안 고흡수성 수지의 움직임은 제조 공정 과정에서 고흡수성 수지의 취급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며 고흡수성 수지 입자가 불균일하게 분포되게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사용(착용)시 고흡수성 수지가 유입된 다량의 액체 를 흡수하여 팽윤하는 동안 또는 팽윤 후 이동할 때 더욱 심하여 뭉침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최적 위치에 고흡수성 수지 입자를 고정할 수 없으면 고흡수성 수지의 겔 점착에 의해서 한 영역에서는 불충분한 저장능을 다른 영역에서는 과다능을 일으키며 소비자는 흡수제품이 뭉친다는 불만을 제기하게 된다.
또한, 고흡수성 수지의 입자를 제한적으로나마 고정하여 겔 점착도를 감소시키고 흡수체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솜털 펄프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솜털 펄프를 다량 혼합 적용하여도 솜털 펄프는 결속력이 약하여 다량의 액체를 흡수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뭉침현상은 여전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뭉침현상은 흡수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게 하여 구조안정성을 저하시키고 흡수체 전영역으로의 확산성을 방해하여 결국 흡수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수체를 부분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흡수체 재료의 이동을 제한하여 뭉침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0),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30) 및 상기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의 사이에 위치하여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는 흡수체(20)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제 방식, 접착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기 흡수체(20)를 분할하여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흡수체를 부분부분 분할하여 구획하는 흡수체 분리 접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흡수체를 이루는 흡수체 재료 입자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뭉침현상을 방지한 것임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수체 분리 접합부는 흡수체 재료 입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막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흡수체에 적어도 1개소 형성된다. 상기 흡수체 분리 접합부는 흡수체의 길이방향(세로방향), 가로방향 및/또는 대각선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이러한 방향으로 하여 흡수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수체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팬티라이너 등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흡수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에는 입자 형태 또는 섬유 형태의 고흡수성 수지와, 상기 고흡수성 수지 입자간을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솜털 펄프 등의 섬유 재료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은 흡수체를 갖는 것으로서 유아나 실금자가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 여성용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회용 흡수제품 중에서 일회용 기저귀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일회용 기저귀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형태로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을 보다 분명하게 도시하기 위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펼쳤을 때의 평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도 1의 I-I선을 취한 단면 구성도이다.
일회용 기저귀(D)의 겉모양은 꼭 상하, 좌우가 대칭구조로 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대칭구조하여 모래시계형의 겉모양을 갖게 한다. 설명의 편의상 착용자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을 전방 허리부분(1), 착용자의 가랑이 부분에 위치하여 분비물(배설물)을 중점적으로 흡수, 저장하는 부분을 가랑이 부분(2), 그리고 착용자의 뒷부분에 위치하는 부분을 후방 허리부분(3)으로 구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회용 기저귀(D)는 착용 시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시트(10)와, 착용 시 외부 표면을 형성하며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면시트(30)와,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의 사이에 위치하며 분비물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흡수체(20)와, 기저귀(D)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좌우측에 구비된 내측응가밴드(40) 및 외측응가밴드(45)와, 전후방 허리부분(1)(3)에 형성된 허리밴드(50), 그리고 착용수단을 갖는다.
상기 상부시트(10)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며 액상의 분비물을 신속 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액체 투과성이다. 이러한 상부시트(10)는 촉감이 부드러우며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재질로서, 예를 들면 직물, 부직포 또는 다수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열가소성 필름이 사용된다. 직물 및 부직포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시트(10)는 흡수체(20) 및 배면시트(30)에 접착되는데, 중앙 영역은 흡수체(20)에 접착되며, 가장자리는 배면시트(30)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서 "접착"이란 고형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열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구성요소 상호간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가리킨다.
상기 상부시트(10)와 흡수체(20) 사이에는 흡수 확산시트(15)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 확산시트(15)는 피부에 쿠션을 제공할 수 있고, 상부시트(10)를 통과한 분비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흡수체(20)의 전영역으로 분산시켜 신속한 흡수·확산 및 효율적인 흡수력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 확산시트(15)는 예를 들어 흡수성이 좋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흡수체(20)의 전체 표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하여 개재되거나 분비물이 집중 투하되는 부위만을 덮을 수 있도록 흡수체(20)보다 작은 크기로 하여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0) 및 흡수 확산시트(15)는 분비물을 흡수하여 흡수체(20)로 확산시키며, 특히 흡수 확산시트(15)는 흡수체(20)에 흡수된 분비물이 상부시트(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수체(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면시트(30)는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하여 착용자의 의 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32)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순면감촉(부드러움)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직포(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플라스틱 필름(32)의 중앙 영역은 흡수체(20)에 접착하고, 부직포(34)는 플라스틱 필름(32)의 배면에 접착하여 부직포(34)가 기저귀(D)의 최외각 표면을 형성하게 한다.
상기 내측응가밴드(40) 및 외측응가밴드(45)는 흡수체(20)의 좌우측으로 분비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샘 방지수단으로서 기저귀(D)의 길이방향(도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방향)을 따라서 기저귀(D)의 좌우측에 접착된다. 이러한 내측응가밴드(40) 및 외측응가밴드(45)는 응가밴드 탄성체(42)가 구비되어 탄성체(42)의 수축에 의해 기립된다. 이에 따라, 내측응가밴드(40)는 흡수체(20)의 좌우측으로 분비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가두는 포켓(poket)을 형성하고, 외측응가밴드(45)는 내측응가밴드(40)로부터 이탈된 분비물을 가두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측응가밴드(45)는 착용자의 다리 허벅지 부분을 조여주게 되어 종래의 팬티형 기저귀의 다리탄성체 기능을 한다.
상기 내측응가밴드(40)는 흡수체(20)와 인접하여 접착되며, 외측응가밴드(45)는 기저귀(D)의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접착된다.
내측응가밴드(40) 및 외측응가밴드(45)는 응가밴드 탄성체(42)와 응가밴드 플랩(41)(46)으로 이루어지며,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 응가밴드 말단부(44),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7)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가밴드 탄성체(42)는 내외측 응가밴드(40)(4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가랑이 부분(2)에는 결합되 어 있다. 즉, 응가밴드 탄성체(42)는 전방 및 후방 허리부분(1)(3)에 형성된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7) 이외의 응가밴드 플랩(41)(46)에 결합되어져 가랑이 부분(2)에서 포켓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응가밴드 플랩(41)(46)은 소수성의 부직포 또는 방수성의 부직포 등의 액체 불투과성의 필름이 사용된다. 소수성의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소수성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2겹으로 응가밴드 플랩(41)(46)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2겹의 응가밴드 플랩(41)(46) 사이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는 응가밴드 플랩(41)(46)이 기저귀(D)에 접착되는 부분이다. 이때, 내측응가밴드(40)의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는 흡수체(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부시트(10)에 접착되는 지점으로 될 수 있으며, 또는 흡수체(20)를 벗어난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플라스틱 필름(32)에 접착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응가밴드 말단부(44)는 응가밴드 플랩(41)(46)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적어도 가랑이 부분(2)에서는 응가밴드 말단부(44)가 탄성체(42)에 의해 피부에 밀착되어 분비물의 이탈을 방지한다.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7)는 응가밴드 플랩(41)(46)의 종방향 말단 부분이 전방 허리부분(1)과 후방 허리부분(3)에 접착되는 부분이다. 즉,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7)는 응가밴드 플랩(41)(46)이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와 응가밴드 탄성체(42)에 의해 흡수포켓을 형성하도록 응가밴드 플랩(41)(46)의 길이방향 말단 부분을 고정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47)의 길이는 50~100mm가 되도록 형성한다.
응가밴드 탄성체(42)는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와 응가밴드 말단부(44) 사이의 응가밴드 플랩(41)(46)에 하나 이상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때 응가밴드 탄성체(42)는 100~300%의 탄성율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0~200%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응가밴드 탄성체(42)의 탄성율은 응가밴드 말단부(44)에 가까울 수록 또는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에 가까울수록 탄성체의 탄성율을 더 크게 하여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응가밴드 탄성체(42)는 탄성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실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응가밴드(40) 및 외측응가밴드(45)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 개의 응가밴드 플랩(41)(46)을 사용하여 내측 및 외측응가밴드(40)(45)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내측응가밴드 플랩(41)과 외측응가밴드 플랩(46)이 하나로 연결되어 내측응가밴드(40)와 외측응가밴드(45) 사이에는 내측플랩(48)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플랩(48)은 별개의 플랩을 사용하여 양쪽 말단부가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에 고정되어 내외측응간밴드(40)(4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응가밴드(45)의 외측으로는 외측플랩(49)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플랩(49)은 외측응가밴드 플랩(46)에서 연장되어 단일화된 플랩일 수 있으며, 또는 별개의 플랩이 사용되어 일측이 외측응가밴드 플랩 접착부(43)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플랩(49)의 폭은 10~50mm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35mm로 설정한다. 10mm미만과 50mm이상으로 형성할 경우 기저귀(D) 의 외관 이미지를 저해함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외에 일회용 기저귀(D)는 인체에 착용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허리밴드(50)와 착용수단을 갖는다.
상기 허리밴드(50)는 일회용 기저귀(D)의 전방 및 후방 허리부분(1)(3)에 탄성체를 접착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허리밴드(50)의 탄성체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탄성체 또는 탄성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실로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허리밴드(50)는 기저귀(D)의 가로방향으로 폭 전체에 걸쳐 형성하거나 부분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착용수단은 전방 허리부분(1) 및 후방 허리부분(3)에 형성되며, 재접착 테이프 또는 후크-루프 시스템(Hook & Loop System) 등과 같은 기계적 고착수단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착용수단은 전방 허리부분(1)의 배면시트(30)에 접착되어 접착부(61)의 접착 영역을 제공하는 타켓부(65)와, 후방 허리부분(3)의 배면시트(30)에 고정된 고정부(62), 그리고 이 고정부(6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켓부(65)와 재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물질이 점착된 접착부(61)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흡수체(20)에는 흡수체 분리 접합부(25)가 형성된다.
흡수체(20)는 T-자형, 모래시계형, 일자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형상화될 수 있고,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흡수체(20)의 구조 및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 길이 및 수를 가지는 흡수체 분리 접합부(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수체 분비 접합부(25)는 봉제(sewing) 방식,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 또는 열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열융착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 방식에 있어서는 고형접착제, 고온용융접착제 등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용융접착제를 사용한 핫멜트(hot melt) 접착 방식이 좋다. 이러한 흡수체 분비 접합부(25)는 흡수체(20)의 그 길이방향(도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거나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으로 하여 흡수체(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흡수체(20)를 부분부분 분할하여 구획하는 것으로서 흡수체(20)를 이루는 흡수체 입자의 이동을 차단하여 뭉침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20)의 흡수성능 및 뭉침방지 성능은 흡수체(20)의 재료 및 흡수체 분리 접합부(25)의 형태와 수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수체(20)는 고흡수성 수지(21)로 이루어지거나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펄프(22)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펄프(22) 그리고 흡수 접합시트(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21)는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입자 형태의 것이나 혹은 섬유 형태의 것으로서, 예컨대 아크릴산염 중합체 가교물, 비닐알콜-아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무수말레인산 그라프트 폴리비닐알콜 가교물,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아크릴레이트-초산비닐 공중합체의 비누화 물의 가교물,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가교물,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의 가교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가교물, 이소부틸렌-무수말레인산염 공중합체 가교물, 메틸렌옥사이드 중합체 가교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5~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600㎛의 지름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솜털 펄프(22)는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섬유상의 웹 혹은 시트상의 목재펄프를 분쇄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수 접합시트(23)는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 펄프(22)가 혼합된 흡수체 재료의 상층 또는 하층에 적층되는 구조이거나 상층 및 하층 모두에 적층되는 구조로 흡수체(20)를 구성한다. 이때 상층 및 하층 모두에 적층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 접합시트(23)는 티슈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티슈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습강 처리가 되어있는 습강 티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는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조되어진 장섬유 혹은 단섬유로 구성되어진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친수 처리를 한 친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흡수체(20)의 구성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 펄프(22)가 혼합된 흡수체 재료와 티슈 또는 부직포의 흡수 접합시트(23)로 구성된 것이다.
흡수체(20)를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 펄프(22) 및 이들을 감싸는 식으로 하여 흡수 접합시트(23)로 구성하는 경우 흡수체 분리 접합부(25)에는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 펄프(22)가 개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상하 흡수 접합시트(23)를 접합시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흡수 접합시트(23)의 사용에 있어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고온용융접착제를 핫멜트 접착방식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티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열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열융착 방식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흡수된 분비물(체액, 뇨)을 흡수체(20)의 길이방향으로 안정되게 확산시켜 줄 수 있도록 흡수체(20)의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 하여 1개소 이상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20)를 3개로 분할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2개소를 형성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흡수체 분리 접합부(25)의 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흡수체(20)의 가로방향으로 3개소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 모두에 형성시키되 길이방향으로는 2개소, 가로방향으로는 3개소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흡수체 분리 접합부(25)의 형태에 따른 다양한 구조 및 수를 예시한 것으로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1개소 이상으로 길이방향, 가로방 향 및 대각선 방향의 어떠한 방향으로든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기저귀, 생리대 등의 흡수제품에 따라 그 형태, 크기 및 수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형성 방법 또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흡수체(20)에 차단막을 형성하여 흡수체의 재료, 일례로 기저귀의 경우 고흡수성 수지(21) 및 솜털 펄프(22)의 유동을 제어하는 기능과 신속한 흡수·확산의 역할을 한다. 즉,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고흡수성 수지의 겔 점착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팽윤하는 동안 또는 팽윤 후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이동과 솜털 펄프(22)의 이동을 제한하여 뭉침현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뭉침현상이 방지됨에 따라 흡수체(20)의 구조안정성이 우수해지고 흡수성능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0),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30), 그리고 이들의 사이의 흡수체(20), 흡수체(20) 상부의 흡수 확산시트(15), 내외측응가밴드(40)(45), 허리밴드(50) 및 착용수단으로 이루어진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일회용 기저귀(D)를 제작하였다. 이때 흡수체(20)는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 펄프(22)의 혼합 재료에 흡수 접합시트(23)로서 티슈를 사용하여 감싸는 형태로 하였다.
또한, 흡수체(20)에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2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시켰다. 여기에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핫멜트 접착제(삼정산업(주), SJ-260T)를 이용한 핫멜트 방식으로 상하층 티슈를 접합하여 형성시켰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기저귀(D)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뭉침방지 특성 평가방법 >
흡수제품에 대한 뭉침방지 특성 평가는 시험하고자 하는 일회용 기저귀(D)를 사용자 60명에게 제공하여 삼일 동안씩 사용하게 하여 뭉침방지 특성에 대한 사용소감을 5점 척도로써 아래의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이를 평균한 점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판정기준 >
5점 : 사용 중 전혀 뭉치는 현상이 없어서 좋았다.
4점 : 사용 중 오래 채워서 배뇨량이 많을 경우 간혹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3점 : 사용 중 간혹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2점 : 사용 중 배뇨를 한번만 해도 너무나 뭉쳐서 자주 갈아주어야 했다.
1점 : 사용 중 배뇨를 안해도 뭉쳐서 사용하기가 힘들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일회용 기저귀(D)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흡수체(2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4등분되도록 그 가로방향으로 3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시켰다. 여기에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실 시예 1에서와 같이 핫멜트 접착제(삼정산업(주), SJ-260T)를 이용한 핫멜트 방식으로 상하층 티슈를 접합하여 형성시켰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기저귀(D)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일회용 기저귀(D)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흡수체(20)에는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2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한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4등분되도록 가로방향으로 3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하여 흡수체(20)를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12등분하였다. 여기에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핫멜트 접착제(삼정산업(주), SJ-260T)를 이용한 핫멜트 방식으로 상하층 티슈를 접합하여 형성시켰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기저귀(D)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0),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30), 그리고 이들의 사이의 흡수체(20), 흡수체(20) 상부의 흡수 확산시트(15), 내외측응가밴드(40)(45), 허리밴드(50) 및 착용수단으로 이루어진 도 1 및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일회용 기저귀(D)를 제작하였다. 이때 흡수체(20)는 고흡수성 수지(21)와 솜털 펄프(22)의 혼합 재료에 흡수 접합시트(23)로서 부직포를 사용하여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흡수체(20)에는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2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시켰다. 여기에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열을 이용한 열융착 방식으로 상하층 부직포를 접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기저귀(D)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일회용 기저귀(D)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흡수체(2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4등분되도록 그 가로방향으로 3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시켰다. 여기에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열을 이용한 열융착 방식으로 상하층 부직포를 접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기저귀(D)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일회용 기저귀(D)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흡수체(20)에는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3등분되도록 그 길이방향으로 2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한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4등분되도록 그 가로방향으로 3개소의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하여 흡수체(20)를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12등분하였다. 여기에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는 열을 이용한 열융착 방식으로 상하층 부직포를 접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이와 같이 얻어진 기저귀(D)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지되, 흡수체(20)에는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시키지 않았다. 이와 같은 기저귀(D)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뭉침방지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뭉침 방지 특성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4 3 4 5 4 5 2
상기 [표 1]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흡수 제품(비교예 1)의 경우에는 뭉침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이 많았으나, 본 발명에 따라 흡수체(20)에 흡수체 분리 접합부(25)가 형성된 경우 뭉침현상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소비자 만족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였을 경우(실시예 1~3) 보다는 흡수 접합시트(23)를 부직포로 사용하여 부직포 사이를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하였을 경우(실시예 4~6)가 사용 시에도 접합부위가 견고하여 더욱 우수한 뭉침방지 효과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실시예 2, 실시예 5)보다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실시예 1, 실시예 4) 및 길이방향과 가로방향 모두 에 형성된 경우(실시예 3, 실시예 6)가 더욱 뭉침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수체를 부분적으로 분할하는 흡수체 분리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체 재료의 이동을 제한하여 뭉침현상을 획기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뭉침현상 방지 효과는 결국 제품의 흡수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킨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고흡수성 수지의 겔 점착 현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팽윤하는 동안 또는 팽윤 후의 고흡수성 수지 입자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뭉침현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흡수 확산성과 구조안정성을 발휘한다.

Claims (8)

  1.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0), 분비물이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30), 및 상기 상부시트(10)와 배면시트(30)의 사이에 위치하여 분비물을 흡수 및 저장하되, 흡수체 재료 및 상하층 흡수 접합시트(23)를 갖는 흡수체(20)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봉제 방식, 접착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상기 흡수체(20)의 상하층 흡수 접합시트(23)를 접착시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흡수체(20)의 길이방향(세로방향)에 따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흡수체(20)의 가로방향에 따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흡수체(20)의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에 따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접착 방식은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열융착 방식은 열 또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체(20)가 흡수체 재료 및 상하층 흡수 접합시트(23)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층 흡수 접합시트(23)를 접합시켜 상기 흡수체(20)를 분할하여 흡수체 분리 접합부(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접합시트(23)를 티슈 또는 부직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KR1020070064782A 2007-06-28 2007-06-28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KR10082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82A KR100822629B1 (ko) 2007-06-28 2007-06-28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782A KR100822629B1 (ko) 2007-06-28 2007-06-28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715A Division KR100774562B1 (ko) 2003-07-07 2003-07-07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610A KR20070080610A (ko) 2007-08-10
KR100822629B1 true KR100822629B1 (ko) 2008-04-16

Family

ID=3860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782A KR100822629B1 (ko) 2007-06-28 2007-06-28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6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50A (ko) * 1999-09-15 2002-04-13 로날드 디. 맥크레이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50A (ko) * 1999-09-15 2002-04-13 로날드 디. 맥크레이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610A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610B2 (en) Absorbent product
CN101415386B (zh) 带有泄漏阻隔件的吸收制品
JP2008521481A (ja) 吸収用品
JP2014180345A (ja) 吸収性物品
JP375435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H1136103A (ja)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10523259A (ja) 漏出バリアを備えた吸収用品
WO2020251434A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KR100774562B1 (ko)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KR100822629B1 (ko)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US20230114320A1 (en) Absorbent article
JP6878755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KR101723811B1 (ko) 일회용 흡수제품
JP2007117231A (ja) 吸収性物品
RU2397744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барьерами от протекания
JP2002224162A (ja) 体液吸収性物品
JP2007117231A5 (ko)
KR100860099B1 (ko) 천연 순면을 이용한 일회용 흡수제품
JP2001104371A (ja) 吸収性物品
KR20060110474A (ko) 일회용 기저귀의 초박형 흡수코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3657A (ko) 대나무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KR101322200B1 (ko) 극세사 섬유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20090123653A (ko) 대나무섬유 및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RU2362528C2 (ru)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JP6878754B2 (ja) 吸収性補助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