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730B1 -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5730B1 KR100825730B1 KR1020060095029A KR20060095029A KR100825730B1 KR 100825730 B1 KR100825730 B1 KR 100825730B1 KR 1020060095029 A KR1020060095029 A KR 1020060095029A KR 20060095029 A KR20060095029 A KR 20060095029A KR 100825730 B1 KR100825730 B1 KR 1008257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ye
- electrolyte
- polymer electrolyte
- conductive particles
- solar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1 C 60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1722 carbo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UHYPYGJEEGLRJD-UHFFFAOYSA-N cadmium(2+);selenium(2-) Chemical compound [Se-2].[Cd+2] UHYPYGJEEGLR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YXQLHBRQRXKDLT-UHFFFAOYSA-M 1-ethenyl-3-methylimidazol-3-ium;iodide Chemical compound [I-].C[N+]=1C=CN(C=C)C=1 YXQLHBRQRXKD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OWFYDWAMOKVSF-UHFFFAOYSA-N 3-methoxy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COCCC#N OOWFYDWAMOKVS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327 Ruthenium compl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2 Surly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9 gel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7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116 oxidation-reduction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NJBEVLQSNELDL-UHFFFAOYSA-N pyrrol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CCCN1 HNJBEVLQSNEL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XUYXOFXAQZZMF-UHFFFAOYSA-N titanium(IV) isopropoxide Chemical compound CC(C)O[Ti](OC(C)C)(OC(C)C)OC(C)C VXUYXOFXAQZZ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반도체 전극과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전해질은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겔형 고분자 전해질과 그 안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이 반도체 전극과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또는, 액체 전해질 내에 모노머 유니트들이 용해된 용액과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이 혼합된 전해질 조성물을 반도체 전극과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 주입한 후, 주입된 모노머 유니트들을 중합시켜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과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형성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고분자 전해질, 이온전도도, 전도성 입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반도체 전극, 12: 제1 기판, 14: 금속산화물 반도체층, 20: 상대 전극, 22: 제2 기판, 24: 금속층, 40: 고분자층, 50: 전해질, 52: 고분자 전해질, 54: 전도성 입자, 100: 염료감응 태양전지.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 매장량의 고갈에 따라 반도체 등을 이용하여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환경 오염에 따른 문제 및 에너지 고갈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분야중 하나로서 환경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 기술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태양전지 중에서도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존의 p-n 접합에 의한 실리콘 태양전지와는 달리, 가시광선의 빛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 (electron-hole pair)을 생성할 수 있는 감광성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을 주된 구성 재료로 하는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염료감응 태양전지 중 대표적인 예로서 스위스의 그라첼(Gratzel) 등에 의하여 발표된 것이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4,927,721호 및 동 제5,350,644호). 그라첼 등에 의해 제안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염료 분자가 흡착된 나노입자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전극, 백금 또는 탄소가 코팅된 상대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 채워진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고체형의 산화-환원종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액체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태양광에 의해 태양전지의 외부 온도가 증가될 때 전해질 용매가 태양전지로부터 휘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액체 전해 질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실용화되는 데 제약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최근에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을 채용하는 태양전지의 일 예로서 액체 전해질에 저분자 또는 고분자 겔화제를 첨가하여 얻어진 겔형 고분자 전해질이 양극과 음극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구성을 가지는 태양전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고분자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에 비해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의 에너지 변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반도체 전극의 반도체 산화물 표면에 흡착되어 빛을 흡수하고 전자를 발생시키는 염료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도체 전극에 형성되는 수 내지 수 백 나노미터 수준의 입자 사이즈를 가지는 나노입자 반도체 산화물층의 표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염료에 의하여 반도체 산화물에 전달된 전자가 반도체 산화물층을 통과하는 동안 태양전지에 존재하는 산화된 화학종에 의해 재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전자가 손실된다. 이러한 재결합 과정에서는 염료 분자에서 빛 흡수에 의해 생성된 전자가 반도체 전극에 주입됨으로써 전자가 부족하게 된 산화된 염료 분자와 반도체 전극의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산화된 염료 분자에 의한 재결합 과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해질을 구성하고 있는 산화-환원종이 상대 전극의 백금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를 산화된 염료에 원활히 공급하여야 빛에 의하여 발생된 전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액체 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매우 우수하여 산화-환원 종에 의한 전자 공급 속도가 충분하나,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에는 액체 전해질에 비해 이온전도도가 매우 낮아 산화된 염료를 충분히 빠른 속도로 재생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은 나노입자 산화물층 내부의 입자들 사이의 미세한 공간까지 채워지지 못하여 액체 전해질에 비해 산화된 염료를 효과적으로 환원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켜 에너지 변환 효율의 감소 없이 온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를 향상시켜 에너지 변환 효율의 감소 없이 온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전도성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 위에 흡착된 염료분자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과, 전도성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는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전해질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는 금속 분말, 반도체 산화물, 탄소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을 각각 준비한다. 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금속층이 이들 사이에 소정 공간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반도체 전극 및 상기 상대 전극을 정렬한다. 겔형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을 각각 준비한다. 액체 전해질 내에 소정의 모노머 유니트들이 용해된 용액과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이 혼합된 전해질 조성물을 준비한다. 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금속층이 이들 사이에 소정 공간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반도체 전극 및 상기 상대 전극을 정렬한다.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한다. 상기 주입된 전해질 조성물 내의 모노머 유니 트들을 중합시켜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요인에 의한 온도 증가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장기적 안정성을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하는 동시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된 전도성 입자들에 의해 전해질에서의 이온전도도가 향상되어 장기적으로 안정되고 에너지 변환 효율이 개선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진 것이다. 각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100)는 상호 대향하고 있는 반도체 전극(10) 및 상대 전극(20)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전극(10)은 전도성 제1 기판(12)과, 상기 제1 기판(12) 위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 위에는 염료분자층(도시 생략)이 화학적으로 흡착되어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은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은 약 5 ∼ 30 nm의 입경을 가지는 나노입자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은 약 5 ∼ 3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에 흡착된 염료분자층은 루테늄 착체(錯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대 전극(20)은 전도성 제2 기판(22)과, 상기 제2 기판(22) 위에 형성된 금속층(24)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층(24)은 백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2) 및 제2 기판(22)은 각각 ITO(indium tin oxide), FTO (fluorine-doped tin oxide), 표면에 SnO2가 코팅되어 있는 유리 기판, 또는 전도성 고분자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전극(10) 및 상대 전극(20)은 상기 반도체 전극(10)의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과 상기 상대 전극(20)의 금속층(24)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은 이들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고분자층(40)에 의해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전해질(50)이 채워져 있다. 상기 전해질(50)은 요오드계 산화-환원종과 고분자가 혼합된 고분자 전해질(52)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52) 내에 소정 밀도로 균일하게 분산 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54)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52)을 구성하는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은 I3 -/I- 레독스 쌍 (redox couple)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은 0.7 M의 1-비닐-3-메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 (1-vinyl-3-methyl-imidazolium iodide)와, 0.1 M의 LiI와, 40 mM의 I2 (iodine)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3-methoxypropionitrile) 또는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NMP) 용매에 녹인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52)을 구성하는 고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e):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52)은 겔형 또는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54)는 상기 전해질(50)의 이온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금속 분말, 반도체 산화물, 탄소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54)를 구성하는 데 적합한 금속 분말은 예를 들면 금, 백금, 은, 수은, 구리, 니켈, 철,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54)를 구성하는 데 적합한 반도체 산화물은 SnO2, ZnO, Fe2O3, WO3, In2O3, CdSe, CdS, BaTiO3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54)를 구성하는 데 적합한 탄소화합물은 카본블랙, C60, 탄소나노튜브, 흑연 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해질(50) 내에서 상기 전도성 입자(54)는 상기 전해질(50)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50) 내에서 상기 전도성 입자(54)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고분자 전해질(52) 및 전도성 입자(54)로 이루어지는 전해질(50) 제조 과정중에 용매에 고분자 및 요오드계 산화-환원종과 전도성 입자(50)를 포함하는 용액의 점성이 증가하여 상기 전해질(50) 내에서 상기 전도성 입자(50)의 균일한 분산 분포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54)는 약 5 ∼ 100 nm의 입경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염료감응 태양전지(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염료감응 태양전지(100) 내로 입사된 빛은 상기 반도체 전극(10)의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에 흡착된 염료 분자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염료 분자는 여기되어 전자를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의 전도대로 주입하게 된다.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으로 주입된 전자는 입자간 계면을 통해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에 접하고 있는 상기 제1 기판(12)에 전달되고, 외부 전선(도시 생략)을 통해 상대 전극(20)으로 이동된다. 전자 전이의 결과로 산화된 염료 분자는 전해질 용액(50) 내의 요오드 이온의 산화 환원 작용(3I- → I3 - + 2e-)에 의하여 제 공되는 전자를 받아 다시 환원되며, 산화된 요오드 이온(I3 -)은 상대 전극(20)에 도달한 전자에 의해 다시 환원되어 염료감응 태양전지(100)의 작동 과정이 완성된다. 이 때, 외부 회로를 통하여 상기 상대 전극(20)에 도착된 전자는 상기 제2 기판(22) 상에 형성된 금속층(24), 예를 들면 백금층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겔형 또는 고체형으로 존재하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52) 내에서 I3 -/I- 의 산화 환원 작용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도 상기 전해질(50)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상기 전도성 입자(54)가 I3 -와 I- 와의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게 되어 이들 사이에 전자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회로를 거쳐 상기 상대 전극(20)의 금속층(24)에 도달한 전자들이 고분자 전해질(52) 내의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에 의해 상기 염료 분자까지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어서, 산화된 염료 분자가 충분히 빠른 속도로 재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210에서,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10)과, 금속층(24)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20)을 각각 준비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행할 수 있다.
먼저, 음극인 상기 반도체 전극(10)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이금속산화물을 제조한다. 이를 위하여, 티타늄(IV)이소프로폭사이드와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220℃로 유지되는 오토클레이브에서 수열합성 (hydrothermal synthesis) 방법에 의하여 이산화티탄 콜로이드 용액을 합성한다. 얻어진 용액 내에서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10 ∼ 15 중량%로 될 때까지 상기 합성된 이산화티탄 콜로이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약 5 ∼ 30 ㎚의 나노사이즈를 가지는 나노입자 이산화티탄 콜로이드 용액을 얻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이산화티탄 콜로이드 용액에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상기 이산화티탄 콜로이드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 5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점성이 있는 나노입자 이산화티탄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을 상기 제1 기판(12), 예들 들면 ITO 또는 SnO2가 코팅되어 있는 투명한 전도성 유리 기판 위에 약 10 ㎛의 두께로 코팅한 후, 약 450 ∼ 5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제거하고, 나노입자 산화물들간의 접촉 및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이 코팅되어 있는 상기 제1 기판(12)을 루테늄 착체로 이루어지는 염료 용액 내에 24시간 이상 담그어둠으로써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을 포함하는 음극을 완성한다.
양극인 상기 상대 전극(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기판(20), 예들 들면 ITO 또는 SnO2가 코팅되어 있는 투명한 전도성 유리 기판 위에 백금층을 코팅한다.
도 2의 단계 220에서, 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과 상기 금속층(24)이 이들 사이에 소정 공간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반도체 전극(10) 및 상기 상대 전극(20)을 정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반도체 전극(10) 및 상기 상대 전극(20)에서 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과 상기 금속층(24)이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반도체 전극(10) 및 상기 상대 전극(20) 사이에 예를 들면 SURLYN (Du Pont사제의 상품명)으로 이루어지는 약 30 ∼ 50 ㎛ 두께의 고분자층(40)을 놓고 약 100 ∼ 140 ℃의 가열판상에서 약 1 ∼ 3 기압으로 상기 두 전극을 밀착시키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 230에서, 겔형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50)을 상기 반도체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한다.
상기 전해질(50)을 제조하는 과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을 포함하는 액제 전해질 내에 전도성 입자(54)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원하는 점도가 얻어질 때 까지 고분자 전해질(52)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52) 내에 상기 복수의 전도성 입자(54)를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고분자 전해질(52) 및 전도성 입자(54)를 포함하는 전해질(50)을 상기 상대 전극(20)에 형성된 미세 구멍(도시 생략)을 통해 상기 반도체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하여 상기 소정 공 간을 완전히 채운 후, 상기 미세 구멍을 막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도 2의 단계 2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10)과, 금속층(24)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20)을 각각 준비한다.
단계 320에서,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 내에 소정의 모노머 유니트들이 소정의 농도로 용해된 용액을 준비하고, 이 용액 내에 복수의 전도성 입자(54)를 소정 농도로 혼합하여 전해질 조성물을 준비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해질 조성물 내에는 상기 모노머 유니트들의 중합에 필요한 가교제, 예를 들면 중합 메카니즘에 따라 열 가교제, 자외선 경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준비하기 위하여, 0.7 M의 1-비닐-3-메틸-이미다졸륨 아이오다이드와, 0.1 M의 LiI와, 40 mM의 I2 를 3-메톡시프로피오니트릴 또는 N-메틸-2-피롤리돈 용매에 녹인 혼합물 내에 고분자 합성에 필요한 모노머 유니트들이 소정 농도로 용해된 용액을 준비한 후, 여기에 전도성 입자(50)를 원하는 농도로 분산시킬 수 있다.
단계 330에서, 도 2의 단계 2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14)과 상기 금속층(24)이 이들 사이에 소정 공간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반도체 전극(10) 및 상기 상대 전극(20)을 정렬한 다.
단계 340에서, 단계 320에서 얻어진 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상기 반도체 전극(10)과 상기 상대 전극(20)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한다.
단계 350에서,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주입된 전해질 조성물 내의 모노머 유니트들을 중합시켜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54)로 이루어지는 전해질(50)을 형성한다.
상기 모노머 유니트들의 중합을 위하여 상기 전해질 조성물에 열, 자외선 등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이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전도성 입자들에 의해 겔형 또는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에서의 이온전도도 감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에너지 변환 효율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외부 요인에 의한 온도 증가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장기적 안정성을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하는 동시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된 전도성 입자들이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을 구성하는 I3 -/I- 레독스 쌍 사이에서 음이온 전도의 다리 역할을 하여 전자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안정되고 에너지 변환 효율이 개선된 광전기화학적 특성의 태양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5)
- 전도성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위에 형성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 위에 흡착된 염료분자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과,전도성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위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과,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e):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겔형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입자는 금속 분말, 반도체 산화물, 탄소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입자는 금, 백금, 은, 수은, 구리, 니켈, 철, 알루미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입자는 SnO2, ZnO, Fe2O3, WO3, In2O3, CdSe, CdS, BaTiO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반도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입자는 카본블랙, C60, 탄소나노튜브, 흑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탄소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입자는 상기 전해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 30 중량%의 양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입자는 5 ∼ 100 nm의 입경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각각 ITO(indium tin oxide), FTO (fluorine-doped tin oxide), 표면에 SnO2가 코팅되어 있는 유리 기판, 또는 전도성 고분자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은 이산화티탄(TiO2), 이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요오드계 산화-환원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금속층이 이들 사이에 소정 공간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반도체 전극 및 상기 상대 전극을 정렬하는 단계와,겔형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겔형 고분자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전극과, 금속층 을 포함하는 상대 전극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와,액체 전해질 내에 소정의 모노머 유니트들이 용해된 용액과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이 혼합된 전해질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상기 염료 분자가 흡착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층과 상기 금속층이 이들 사이에 소정 공간을 두고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반도체 전극 및 상기 상대 전극을 정렬하는 단계와,상기 전해질 조성물을 상기 반도체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과의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주입하는 단계와,상기 주입된 전해질 조성물 내의 모노머 유니트들을 중합시켜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과 상기 고체형 고분자 전해질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029A KR100825730B1 (ko) | 2006-09-28 | 2006-09-28 |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029A KR100825730B1 (ko) | 2006-09-28 | 2006-09-28 |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9231A KR20080029231A (ko) | 2008-04-03 |
KR100825730B1 true KR100825730B1 (ko) | 2008-04-29 |
Family
ID=3953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5029A KR100825730B1 (ko) | 2006-09-28 | 2006-09-28 |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573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0970B1 (ko) * | 2008-09-11 | 2010-10-2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산란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겔형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KR101087849B1 (ko) * | 2010-03-16 | 2011-11-3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시츄 화학 가교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겔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136942B1 (ko) | 2009-10-22 | 2012-04-20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양자점으로 도핑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KR101388598B1 (ko) | 2012-07-27 | 2014-04-2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공성 고분자 박막으로 도포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17115A2 (en) * | 2008-08-04 | 2010-02-11 | University Of Washington | Dye-sensitized solar cell employing zinc oxide aggregates grown in the presence of lithium |
KR101045853B1 (ko) * | 2009-04-17 | 2011-07-04 | 주식회사 이건창호 | 나노섬유를 이용한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
US20110203644A1 (en) * | 2010-02-22 | 2011-08-25 | Brite Hellas Ae | Quasi-solid-state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 formed using inkjet printing and nanocomposite organic-inorganic material |
WO2012057503A2 (ko) * | 2010-10-26 | 2012-05-03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712212B1 (ko) * | 2011-03-21 | 2017-03-1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355965B1 (ko) * | 2012-07-02 | 2014-02-03 | 광주과학기술원 | 금속 나노분말을 연료로서 채용한 고체산화물 전해질 기반 금속-공기 연료전지 |
KR101461095B1 (ko) * | 2012-11-12 | 2014-11-1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광 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감응 태양전지 |
KR101791774B1 (ko) * | 2016-01-14 | 2017-10-31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및 상기 전해 조성물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KR101726127B1 (ko) * | 2016-02-22 | 2017-04-12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상대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5551A (ja) * | 1999-07-21 | 2001-02-09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色素増感型太陽電池 |
KR20060003899A (ko) * | 2003-04-25 | 2006-01-11 |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튜브형 금속 본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압력 용기를위한 라이너 및 그 제조 방법 |
KR20060038992A (ko) * | 2003-07-14 | 2006-05-04 |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 전해질 조성물, 이를 사용한 광전변환소자 및 색소증감태양전지 |
-
2006
- 2006-09-28 KR KR1020060095029A patent/KR1008257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5551A (ja) * | 1999-07-21 | 2001-02-09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色素増感型太陽電池 |
KR20060003899A (ko) * | 2003-04-25 | 2006-01-11 |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튜브형 금속 본체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압력 용기를위한 라이너 및 그 제조 방법 |
KR20060038992A (ko) * | 2003-07-14 | 2006-05-04 |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 전해질 조성물, 이를 사용한 광전변환소자 및 색소증감태양전지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0970B1 (ko) * | 2008-09-11 | 2010-10-2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산란층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겔형 고분자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KR101136942B1 (ko) | 2009-10-22 | 2012-04-20 |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양자점으로 도핑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KR101087849B1 (ko) * | 2010-03-16 | 2011-11-3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시츄 화학 가교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겔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101388598B1 (ko) | 2012-07-27 | 2014-04-2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공성 고분자 박막으로 도포된 금속산화물 반도체전극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9231A (ko) | 2008-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5730B1 (ko) | 전도성 입자가 분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540157B1 (ko) | 복합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상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0882503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효율 대향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Lan et al. | Quasi-solid 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gel polymer electrolyte with poly (acrylonitrile-co-styrene)/NaI+ I2 | |
KR101437046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0978401B1 (ko) | 다중 적층 염료 감응 태양전지 및 제조방법 | |
KR101381873B1 (ko) | 고분자 젤 전해질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20120110235A (ko) |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US20120048357A1 (en) | Dye-sensitized solar cell | |
Lan et al. | Influence of ionic additives NaI/I2 on the properties of polymer gel electrolyte and performance of quasi-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 |
Dissanayake et al. | Efficiency enhancement by mixed cation effect in polyethylene oxide (PEO)-based dye-sensitized solar cells | |
EP2879229A1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composition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 |
Zhang et al. | Carbon/polymer composite counter‐electrode applica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 |
JP4522673B2 (ja) | 電解質組成物、こ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 | |
Cheng et al. |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hydroquinone/benzoquinone as bio-inspired redox couple with different counter electrodes | |
KR101136942B1 (ko) | 양자점으로 도핑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 |
Kim et al. | Large area platinum and fluorine-doped tin oxide-free dye sensitized solar cells with silver-nanoplate embedded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counter electrode | |
US10270050B2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layer composition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 |
KR101406427B1 (ko) | 우수한 촉매활성도와 전기전도도를 갖는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용 전도성 고분자-탄소 복합체 전극과 이를 이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190002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반도체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0416502B1 (ko) | 티타노실리칼라이트-2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1006078B1 (ko) | 고체형 나노복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 |
Lan et al. | TiCl 4 assisted formation of nano-TiO 2 secondary structure in photoactive electrodes for high efficiency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R101369731B1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염료의 흡착방법, 이를 이용한 광전극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anciurzewska et al. | Study on Poly (3, 4-ethylene dioxythiophene)-Poly (styrenesulfonate) as a plastic counter electrode in dye sensitized solar ce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