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6658B1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658B1
KR100806658B1 KR1020060097667A KR20060097667A KR100806658B1 KR 100806658 B1 KR100806658 B1 KR 100806658B1 KR 1020060097667 A KR1020060097667 A KR 1020060097667A KR 20060097667 A KR20060097667 A KR 20060097667A KR 100806658 B1 KR100806658 B1 KR 10080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unit
output
lamp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911A (ko
Inventor
게이이치 다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7003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vehicle inclination, e.g. due to loa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많은 종류의 차량용 등기구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범용성을 높이고, 또한 램프 유닛을 직교하는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을 독립적으로, 또 각각의 동작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쪽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10)는, 전방을 향해서 소정의 패턴에 의한 빔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130)과, 이 램프 유닛을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중 한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 중 다른 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2축 액추에이터(50)를 구비하고, 이러한 2축 액추에이터는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단일의 출력부(540)와, 이 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부〔구동원(550)과 이동부(561)를 포함〕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유닛의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의 평면을 따른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ULAR LAMP}
도 1은 도 2 내지 도 9와 함께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를 자동차용 전조등에 적용한 제1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4 내지 도 6과 함께 구동 수단으로서의 2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메인 케이스 바디와 상부 덮개의 사이를 절단하여 도시하는 절단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기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2축 액추에이터의 변형예를 도 3과 같은 위치에서 절단하여 나타내는 절단 평면도이다.
도 8은 제어 회로의 블럭도이다.
도 9는 조사 위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배광도이다.
도 10은 도 11 및 도 12와 함께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를 자동차용 전조등에 적용한 제2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본 도면은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조사 위치 제어 시의 구동 수단의 상태를 각 조사 위치마다 (a)∼(e)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용 전조등(차량용 등기구) 20 : 하우징
30 : 램프 유닛 36 : 샤프트(지지축)
50 : 2축 액추에이터(구동 수단) 540 : 출력부
550 : 구동원 561 : 래크 부재(이동부)
70 : 2축 액추에이터(구동 수단) 740 : 출력부
761 : 연결 부재(이동부)
110 : 자동차용 전조등(차량용 등기구)
120 : 하우징 130 : 램프 유닛
136 : 샤프트(지지축)
90 : 2축 액추에이터(구동 수단)
92 : 출력부 93L, 93R : 구동부
931 : 직접 구동 모터(구동원) 932 : 볼부(이동부)
본 발명은 신규의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 방향을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의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평면을 따라서 틸팅시킬 수 있 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구동 수단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서, 조사 방향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등기구가 있다.
예컨대, 자동차용의 전조등에 있어서, 하중의 변화에 의해서, 조사 방향이 상향으로 치우치거나 하향으로 치우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적시에, 조사 방향을 하향 또는 상향 방향으로 변화시켜 조사 방향이 올바른 방향으로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불구불한 길을 주행하거나, 교차점에서 곡선 진행하는 경우, 그 자동차의 진행 방향의 노면 등을 조기에 조사하기 위해서 조사 방향을 좌우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편리하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와, 램프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와 램프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단일의 하우징 내에 내장한 2축 액추에이터로 하여,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출력부를 램프 유닛의 각각 다른 부위에 연결하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단일의 구동부와 단일의 출력부를 구비하여, 상기 출력부가 램프 유닛의 각각 다른 피작용부에 작용함 으로써,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119463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 공개 2005-18673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3-54310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수평 방향 회전용의 액추에이터와 상하 방향 틸팅용의 액추에이터가 각각 별개로 설치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의 장착 공정수, 전력 공급이나 제어를 위한 하네스의 수 등이 증대되어, 스페이스나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여, 소형화나 저비용화에 반한다. 또한, 차량용 등기구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차량용 등기구에서의 액추에이터의 공용이 불가능하므로, 이 점에서도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2개의 동작을 담당하는 2개의 액추에이터가 단일의 하우징 내에 내장됨으로써,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비해서 소형화와 저비용화가 가능하지만, 수평 방향으로의 회동을 행하는 액추에이터의 출력부와 상하 방향으로의 틸팅을 행하는 액추에이터의 출력부가 각각 개별 부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2축 액추에이터는 상기 2개의 출력부에 연결되는 부위의 위치 관계가 동일한 램프 유닛에만 사용할 수 있어서, 범용 성이 부족하고, 램프 유닛이 다를 때마다 전용의 2축 액추에이터를 준비해야만 한다. 또한, 차량용 등기구는 좌우로 1쌍을 이루고 있지만, 좌우의 램프 유닛에 각각 전용의 2축 액추에이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2개의 차량용 등기구 와 관련하여 언급한 문제점은 해소되지만, 2개의 다른 방향으로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또한 각각의 동작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쪽의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데, 즉 한쪽의 동작,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이 어느 한계 위치에 도달한 상태, 예컨대 램프 유닛이 바로 정면을 향한 상태로 되고 나서가 아니면 상하 방향의 틸팅을 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많은 종류의 차량용 등기구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범용성을 높이고, 또한 램프 유닛을 직교하는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을 독립적으로, 또한 각각의 동작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쪽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는, 전방을 향해서 소정의 패턴에 의한 빔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과, 이 램프 유닛을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중 한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 중 다른 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단일의 출력부와, 이 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 유닛 의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평면에 따른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램프 유닛은 1 점에서 구동 수단의 출력부와 연결되므로, 구동 수단은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시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자량용 전조등에 적용한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8에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로, 자동차용 전조등의 개요를 설명한다.
자동차용 전조등(10)은 거의 밀폐된 공간인 등실(21)을 구비하는 하우징(20) 내에 램프 유닛(30)이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전방으로 개방된 용기형 램프 보디(22)의 전면 개구가 투명 커버(23)에 의해 덮여 있다.
도시한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30)이 브래킷(40)을 통해 램프 보디(22)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램프 보디(22)에 직접 램프 유닛(30)을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40)에 구동 수단인 2축 액추에이터(50)가 지지되고, 이 2축 액추에이터(50)의 출력부에 상기 브래킷(40)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램프 유닛(3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방전등 점등 회로(60)가 배치되고, 이 방전등 점등 회로(60)에 의해서 램프 유닛(30)이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램프 유닛(30)은, 리플렉터(31)와, 이 리플렉터(31)에 지지된 방전 벌브(32)와, 상기 리플렉터(31)의 전단에 부착된 연결부(33)와, 이 연결부(33)의 전단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 투사 렌즈(34)와, 상기 연결부(33)에 설치된 쉐이드(35)를 구비하고, 방전 벌브(32)로부터 출사하여 리플렉터(31)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쉐이드(35)의 상부 가장자리(35a) 근방에서 집광되어, 이 집광된 빛이 상기 쉐이드(35)의 상부 가장자리(35a)의 근방에 초점을 갖는 투사 렌즈(34)에 의해서 전방으로 투사되어 소정의 배광 패턴을 갖는 빔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광 패턴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쉐이드(35)의 상부 가장자리(35a)에 의해서 한정된 차단 라인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33)의 상면으로부터는 샤프트(36)가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고, 상기 샤프트(36)에는 자동 정렬 메탈(37)이 외삽되어 있다. 상기 자동 정렬 메탈(37)은 대략 구상(球狀)의 외주면(37a)과 중심 구멍(37b)을 갖고, 상기 중심 구멍(37b)에 상기 샤프트(36)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3)의 하면 중 상기 샤프트(36)와 대응한 위치에는 연결 보스(38)가 돌출되어 있다. 이 연결 보스(38)는 대략 원형의 외형을 갖고, 하면에 개구된 결합 오목부(38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오목부(38a)의 내주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결합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36)의 축심과 연결 보스(38)의 축심을 연결한 선은 상기 램프 유닛(30)의 광축 x-x가 위치하는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40)은,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얕은 접시 형상의 메인부(41)에 큰 개구(41a)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41)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상부 지지편(42)이 돌출되고, 상기 메인부(41)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하부 지지편(43)이 돌출되고, 또한 메인부(41)의 3개의 각부(角部)로부터 연결편(44, 45, 4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지편(42)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전방을 향하여 우묵하게 들어간 지지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오목부(42a)의 전방을 향한 면은 오목한 구면(球面)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지지편(42)의 전단면의 지지 오목부(42a)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나사 구멍(42b, 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지지편(42)의 전단부에는 메탈 홀더(47)가 부착된다. 메탈 홀더(47)는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후방을 향하여 우묵하게 들어간 누름부(4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누름부(47a)의 후방을 향한 면은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탈 홀더(47)의 누름부(47a)를 사이에 두고 양측부에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47b, 4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탈 홀더(47)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규제부(47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탈 홀더(47)가 상부 지지편(42)의 전단에 접촉하여, 규제부(47d)가 누름부(47a) 및 지지 오목부(42a)의 위쪽을 덮은 상태에서, 나사 삽입 관통 구멍(47b, 47b)을 전방으로부터 삽입 관통된 나사(47c, 47c)가 상부 지지편(42)의 나사 구멍(42b, 42b)에 나 사식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 메탈 홀더(47)가 상부 지지편(42)의 전단부에 부착된다. 이로써, 상부 지지편(42)의 지지 오목부(42a)와 메탈 홀더(47)의 누름부(47a)의 사이에 구상(球狀)의 받침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편(43)의 전단 부근의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4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장공(43a)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가 상기 받침 오목부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43a)에는 그 장공(43a)보다 한 치수 작은 전후로 긴 트랙형의 트러스트 메탈(43b)이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이 트러스트 메탈(43b)의 트랙형의 개구부의 폭은 램프 유닛(30)의 연결 보스(38)의 외형 크기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지지편(43)의 후단부의 좌우로부터는 장착편(43c, 43c)(도 2에는 한쪽의 것만 도시)이 돌출되어 있고, 이 장착편(43c, 43c)에는 나사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 유닛(30)의 연결 보스(38)가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에 부착된 트러스트 메탈(43b)에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램프 유닛(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샤프트(36)에 외삽된 자동 정렬 메탈(37)이 브래킷(30)의 상부 지지편(42)의 지지 오목부(42a)와 메탈 홀더(47)의 누름부(47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에 의해서 램프 유닛(30)은 브래킷(40)을 통해 램프 보디(22)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기 샤프트(36)와 연결 보스(38)를 연결하는 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상기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며, 또한 연결 보스(38)가 트러스트 메탈(43b) 을 따라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샤프트(36)와 연결 보스(38)를 연결하는 축 및 트러스트 메탈(43b)의 폭 방향의 중앙을 지나 전후로 연장되는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다.
상기 브래킷(40)은 램프 보디(22)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브래킷(40)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a)의 사이에서, 연결편(44)이 회동 지점부(48)에 의해서, 또한 2개의 연결편(45, 46)이 간격 조정부(49, 49)에 의해서 각각 연결된다.
회동 지점부(48)는 연결편(44)에 지지되는 지점축(48a)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a)에 지지되는 볼 받침체(48b)에 의해서 구성된다. 지점축(48a)은 연결편(44)에 전단부가 고정되는 축부(48c)의 후단에 볼(48d)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 볼(48d)이 상기 볼 받침체(48b)에 형성된 구상 오목부(48e)에 끼워 맞춰져, 상기 볼(48d)이 상기 구상 오목부(48e)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축부(48c)가 틸팅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간격 조정부(49)는, 연결편(45, 46)에 지지되는 너트체(49a)와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정축(49b)으로 이루어지고, 조정축(49b)의 나사축부(49c)가 너트체(49a)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예컨대 연결편(45)에 지지된 너트체(49a)에 대하여 조정축(49b)을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사축부(49c)가 너트체(49a)에 나사 체결되거나 나사 해제되게 된다. 이로써, 연결편(45)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a)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한다. 즉, 연결편(45)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 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브래킷(40)은 회동 지점부의 볼(48d)과 구상 오목부(48e)의 연결부와 연결편(46)을 연결한 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거의 좌우 방향으로 틸팅된다. 또한, 연결편(46)에 지지된 너트체(49a)에 대하여 조정축(49b)을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을 따라서 나사축부(49c)가 너트체(49a)에 대하여 나사 체결되거나 나사 해제되게 된다. 이로써, 연결편(46)과 램프 보디(22)의 후면벽(22a)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되는데, 즉 연결편(46)이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브래킷(40)은 회동 지점부의 볼(48d)과 구상 오목부(48c)의 연결부와 연결편(45)을 연결한 선을 회동축으로 하여 대략 상하 방향으로 틸팅된다.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는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의 하면측에서 브래킷(40)에 지지된다.
2축 액추에이터(50)는 상기 램프 유닛(30)을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중 한쪽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드와, 램프 유닛(30)을 상기 2개의 평면 중 다른 쪽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구동 수단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2축 액추에이터(5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2축 액추에이터(50)는 단일의 케이스(510) 내에 2개의 기능을 갖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케이스(510)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3개의 부분, 즉 메인 케이스 바디(520)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상면을 덮는 상부 덮개(511)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하면을 덮는 하부 바닥판체(512)에 의해서 구성된다.
메인 케이스 바디(520)는 평면 형상이며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외주 벽(521)을 구비하고, 이 외주벽(521)의 내측은 중간벽(522)에 의해서 상하의 부분(520a, 520b)으로 나뉘어 있다. 상기 외주벽(512)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개구된 절결부(521a)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521)의 좌우 양측부의 후단 부근 부분의 상단부로부터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장착편(521b, 521b)이 형성되고, 이 장착편(521b, 521b)에는 삽입 관통 구멍(521c, 52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벽(521)의 전단면의 상기 절결부(521a)를 사이에 둔 위치 및 후단면의 좌우에 대략 등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결합면이 위쪽을 향한 결합 돌출부(521d, 52d, …)(후단면에 형성한 것은 도시하지 않음)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외주벽(521)의 좌우 측면의 전후로 간격을 두고 있는 2곳에는 결합면이 아래쪽을 향한 결합 돌기(521e, 521e, …)(한쪽의 측면에 형성한 것은 도시하지 않음)가 돌출되어 있다.
중간벽(52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약간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단이 외주벽(521)의 상단과 거의 동일한 높이의 중앙 대좌부(523)가 돌출되고, 이 중앙 대좌부(523)의 양측면, 중간벽(522)의 저면부 및 외주벽(521)의 내측면에 연속된 결합 홈(524, 5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대좌부(523)의 전면의 양측부로부터 전단으로 향해서 문형(門型) 횡단면 형상으로 중간벽(522)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중앙 대좌부(523)보다 낮은 미끄럼 이동 볼록 바(525, 525)가 형성되고, 이들 미끄럼 이동 볼록 바(525, 525)와 외주벽(521)의 측면부와의 사이에 미끄럼 이동 공간(520c, 520c)이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 이동 돌출 바(525, 525)와의 사이에 미끄럼 이동 볼록 바(525, 525)에 근접하여 돌출벽(526, 526)이 중간벽(522)으로부터 돌출되고, 이들 돌출벽(526, 526)과 미끄럼 이동 볼록 바(525, 525)의 사이에 미끄럼 이동 홈(520d, 520d)이 형성되어, 2개의 돌출벽(526, 526) 사이에 스프링 배치 공간(520e)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벽(526, 526)의 후단은 상기 중앙 대좌부(523)의 상당히 근접한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중앙 대좌부(523)의 약간 후방의 위치에서 좌우로 나란히 2개의 두꺼운 원통형의 지지통(527, 527)이 중간벽(522)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지지통(527, 527)과 중앙 대좌부(523)의 사이에서 외주벽(521)의 측면부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얇은 통 형상의 지지통(528, 528)이 중간벽(522)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꺼운 지지통(527, 527)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 상에 각각 3개씩의 대향 구멍(527a, 527a, …)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대향 구멍(527a, 527a, …)의 형성 위치보다 내측의 동심원 상에 각각 4개씩의 삽입 관통 구멍(527b, 527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벽(521)의 후단부의 내면의 상기 미끄럼 이동 공간(520c, 520c)에 대응한 위치에 받침부(529, 529)가 돌출되어 있고, 이 받침부(529, 529)의 상면에 위쪽을 향하여 개구되고 반원형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받침면(529a, 529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덮개(511)는 상기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크기의 전후로 긴 장방형의 판형의 메인부(511a)와 이 메인부(511a)의 주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주벽부(511b)를 갖는다. 상기 메인부(511a)의 전단 부근의 위 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삽입 관통 구멍(51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벽부(511b)의 후단 부근의 위치의 하단부로부터는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편(511d, 511d)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편(511d, 511d)에는 삽입 관통 구멍(511e, 51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벽(511b)의 상단부의 전후로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는 하측을 향해서 결합편(511f, 511f, …)(한쪽 측부의 것은 도시하지 않음)이 돌출되어 있고, 이들 결합편(511f, 511f, …)에는 결합 구멍(511g, 511g,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덮개(511)를 상기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상면을 덮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타원형의 삽입 관통 구멍(511c)은 메인 케이스 바디(520)에 형성된 미끄럼 이동 볼록 바(525와 525)와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장착편(511d, 511d)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장착편(521b, 521b)과 겹쳐지고, 또한 그 삽입 관통 구멍(511e, 511e)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장착편(521b, 521b)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521c, 521c)과 겹쳐진 상태로 된다. 그리고, 결합편(511f, 511f, …)의 결합 구멍(511g, 511g, …)의 하부 가장자리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외주벽(521)에 형성된 결합 돌기(521e, 521e, …)의 아래쪽을 향한 결합면과 결합하여, 상부 덮개(511)의 메인 케이스 바디(520)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하부 바닥판체(512)는,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하면을 완전히 덮는 크기보다 약간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향 판형의 메인부(512a)와 이 메인부(512a)의 외주연보다 약간 내측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돌출된 높이가 낮은 주벽부(512b)를 갖는다. 메인부(512a)의 전단의 좌우로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2개의 결합편(512c, 512c)이 위쪽을 향해서 돌출되고, 이들 결합편(512c, 512c)에는 결합 구멍(512d, 5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부(512a)의 후단부에서 주벽부(512b)의 후단부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결합벽(512e)이 직립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벽(512e)의 전면에 좌우에 간격을 두고서 결합면이 아래쪽을 향하는 3개의 결합 돌기(512f, 512f, 512f)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바닥판체(512)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하면을 덮도록 위치되고, 하부 바닥판체(512)의 결합편(512c, 512c)의 결합 구멍(512d, 512d)의 상부 가장자리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외주벽(521)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521d, 521d)의 위쪽을 향한 결합면과 결합하고, 또한 후방부의 결합벽(512c)에 형성된 결합 돌기(512f, 512f, 512f)의 아래쪽을 향한 결합면이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외주벽(521)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521d, 521d, 521d)의 위쪽을 향한 결합면과 결합하여, 하부 바닥판체(512)의 메인 케이스 바디(520)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상면을 덮도록 상부 덮개(511)가 결합되고, 또한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하면을 덮도록 하부 바닥판체(512)가 결합되어 케이스(510)가 형성되고,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과 상부 덮개(511)의 사이에 기구 배치 공간(510a)이 형성되어,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과 하부 바닥판체(512)의 사이에 회로 배치 공간(5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바디(510)의 내부는 케이스(510)를 좌우로 2 등분하는 중심선을 지나 수직 방향으로 뻗는 하면을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의 내부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회로 배치 공간(510b)에 제어 회로가 구성된 회로 기판(530)이 배치된다. 상기 회로 기판(530)에는 전자 부품이 실장되고, 전단부 상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커넥터(531)가 부착되고, 이 커넥터(531)는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외주벽(521)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결부(521a)로부터 외측을 향한다. 또한, 회로 기판(530) 중 메인 케이스 바디(520)에 형성된 지지통(527, 527)의 아래쪽에 대응한 위치에는 삽입 관통 구멍(532, 532)이 형성되어, 이 삽입 관통 구멍(532, 53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에 3개씩의 홀 소자(533, 533, …)가 실장되고, 또한 홀 소자(533, 533, …)가 배치된 위치보다 내측의 동심원상에 4개씩의 삽입 관통 구멍(534, 534,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 소자(533, 533, …)는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에 형성된 대향 구멍(527a, 527a, …)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삽입 관통 구멍(534, 534, …)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527b, 527b, …)에 대향 배치된다. 한편, 회로 기판(530) 상에 배치되는 높이가 높은 전자 부품(539, 539, …)은 메인 케이스 바디(520)에 형성된 중앙 대좌부(523)의 아래쪽의 높이가 높은 공간에 위치하도록 실장된다.
케이스(510)의 상기 기구 배치 공간(510a)에는 기구부가 배치된다. 한편, 케이스(510)의 내부는 회로 기판(530)이 배치되는 회로 배치 공간(510b)과 기구부가 배치되는 기구 배치 공간(510a)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기구부로부터 나오는 각 부재의 절삭 스크랩, 오일 등이 회로 기판(530)에 영향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어, 회로 기판(530)의 장기 수명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구부는, 출력부(540)와, 구동원(550)과, 구동원(550)의 구동력을 출력부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560)로 이루어진다.
출력부(540)는 출력 기어(541)와, 슬라이드 베이스(542)와, 압축 코일 스프링(543)으로 구성된다. 출력 기어(541)는 대략 원통형을 한 연결부(541a)와 이 연결부(541a)의 하단부로부터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섹터 기어부(541b, 54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연결부(541a)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히 늘어선 결합 볼록 바(541c, 541c, …)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542)는 판형을 한 베이스(542a)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원통형의 결합부(542b)가 위쪽을 향해서 돌출되고, 또한 베이스(542a)의 하면으로부터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 2개의 판형의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가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되며, 2개의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의 후단부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베이스(542)는 그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미끄럼 이동 홈(520d, 520d)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미끄럼 이동 다리(542c, 542c)의 후단 사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받침판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돌출벽(526, 526)과 중앙 대좌부(523)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542)가 이동 범위의 전단으로 이동할 때까지는 상기 받침판은 돌출벽(526, 526)의 후단에 충돌하지 않게 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543)이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스프링 배치 공간(520c)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베이스(542)의 받침판과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외주벽(521)의 전단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된다. 따라 서, 슬라이드 베이스(542)는 압축 코일 스프링(543)에 의해서 후방을 향해서 압박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510)의 기구 배치 공간(510a)에 배치된 슬라이드 베이스(524)의 결합부(542b)에 출력 기어(541)의 연결부(541a)가 외삽된다. 이에 의해서, 출력 기어(541)는 슬라이드 베이스(542)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542)에 대하여 결합부(542b)의 축 둘레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원(550, 550)은 브러시리스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브러시리스 모터(550, 550)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한 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에 돌출된 지지통(527)에 외삽형으로 절연체(551)가 고정되고, 이 절연체(551)에 지지된 4개의 터미널(552, 552, …)의 하단부가 중간벽(522)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527b, 527b, …)을 삽입 관통하여 회로 배치부(51Ob) 내로 돌출되고, 또한 회로 기판(530)의 삽입 관통 구멍(534, 534, …)을 삽입 관통하여 회로 기판(530)의 이면에서 소정의 접속 랜드(도시 생략)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절연체(55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코어(553)가 메인 케이스 바디(520)에 고정되고, 이 코어(553)에 도시하지 않는 코일이 감긴다. 한편, 상기 코일에는 상기 터미널(552, 552, …)을 통해 급전된다. 상기 절연체(551), 터미널(552, 552, …), 코어(553) 및 코일에 의해서 브러시리스 모터(550)의 스테이터부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통(527)에 베어링 메탈(554)이 내삽형으로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 메탈(554)에 샤프트(55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555)의 상단부에 로터 부재(556)가 고정되고, 이 로터 부재(556)의 상면의 중심부에 피니언 기어(5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558은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 착자된 로터 마그네트(rotor magnet)이며, 그 상단부가 상기 로터 부재(556)의 외주부에 고정되며, 이로써 로터 마그네트(558)가 코어(553)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위치되고, 또 로터 마그네트(558)의 하단부는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에 형성된 대향 구멍(527a, 527a, 527a)을 통해 회로 기판(530) 상의 홀 소자(533, 533, 533)와 대향된다.
따라서, 코어(553)의 둘레에 감긴 코일(도시 생략)에 터미널(552, 552, …)을 통해 통전되면, 로터 마그네트(558)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그 로터 마그네트(558), 로터 부재(556) 및 샤프트(555)에 의해서 구성되는 로터가 회전한다.
구동력 전달부(560)는 좌우에 1쌍 배치되고, 좌우의 것은 좌우 면대칭의 형상을 갖는 것 외에는 완전히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한 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동력 전달부(560)는, 케이스(510)의 미끄럼 이동 공간(520c, 520c)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크 부재(561)를 구비한다. 래크 부재(561)는 전후 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이루고, 한쪽 측면에 래크 톱니(56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 부재(561)가 상기 구동원(550)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부이며, 구동부로서는 이동부인 래크 부재(561)와 상기 구동원(550)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래크 부재(561)에는 후단이 개구된 압입 구멍(561b, 561b)이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리드 스크류(562)의 전단부에 압입부(56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압입부(562a)가 상기 래크 부재(561)의 아래쪽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어, 리드 스크류(562)의 전단부에 래크 부재(561)가 고정된다. 리드 스크류(562)에는 상기 압입부(562a)를 제외한 대부분에 나사 형성 바(562b)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크 부재(561)에 압입 구멍(561b, 561b)을 상하 2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좌우에서 사용하는 래크 부재(561, 561)를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아래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562)와 연결되는 경우라도, 좌우에 배치하는 것을 좌우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래크 부재(561)를 좌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리드 스크류(562)는 원통 기어(563)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원통 기어(563)는 전후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부의 외주면에 이탈 방지 돌기(563a)가 형성되고, 이 이탈 방지 돌기(563a)에서 약간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외경을 크게 한 대직경부(563b)가 형성되고, 이 대직경부(563b)의 뒤쪽에 헬리컬 기어(56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기어(563)의 내주면에 나사홈(563d)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 기어(563)의 전단부에 볼 베어링(564)이 외삽된다. 볼 베어링(564)은 내륜(564a)과 외륜(564b)의 사이에 복수의 볼(564c, 564c, …)이 봉입되어 이루어지고, 외륜(564b)과 내륜(564a)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륜(564a)이 원통 기어(563)의 전단부의 이탈 방지 돌기(563a)와 대직경부(563b)의 사이에서 외삽되어, 볼 베어링(564)의 원통 기어(563)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크류(562)의 나사홈(562b)을 원통 기어(563)의 나사홈(563d)에 나사 결합하고, 볼 베어링(564)의 외륜(564b)을 케이스(510)의 중앙 대좌부(523)로부터 외주벽(521)의 내면에 걸쳐서 형성된 결합홈(524) 내에 결합하고, 또한 원통 기어(563)의 후단부를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외주벽(521)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된 받침부(529)의 받침면(529a)에 수용되게 한다. 이로써, 원통 기어(563)는 케이스(5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565, 565는 전달 기어이며, 좌우에 동일한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그 한 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달 기어(565)는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550)의 회전을 원통 기어(563)에 전달한다. 전달 기어(565)는 평기어(565a)와 이 평기어(565a)의 중심부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된 원통형의 웜 기어(56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웜 기어(565b)가 메인 케이스 바디(520)의 중간벽(522)으로부터 직립 설치된 지지통(528)에 회전 가능하게 외삽되고, 상기 웜 기어(565b)가 원통 기어(563)의 헬리컬 기어(563c)와 맞물리고, 또한 평기어(565a)가 모터(550)의 피니언 기어(557)와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2축 액추에이터(50)는, 그 장착편(511d, 511d, 521b, 521b)의 삽입 관통 구멍(511e, 511e, 521c, 521c)을 아래쪽으로부터 삽입 관통한 나사(570, 570)가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의 후단부 양측에 돌출된 장착편(43c, 43c)의 나사 구멍(도시 생략)에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의 하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출력부(540)의 출력 기어(541a)의 연결부(541a)가 브래킷(40)의 하부 지지편(43)에 지지되어 있는 트러스트 메탈(43b)에 결합하고 있는 램프 유닛(30)의 연결 보스(38)의 결합 오목부(38a)에 내삽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41a)의 상단부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 볼록 바(541c, 541c, …)가 상기 결합 오목부(38a)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절결부(도시 생략)와 결합하여, 연결 보스(38)와 출력 기어(541)의 연결부(541a)는 서로 자유롭게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한편, 제조상의 공차 등에 의해서, 연결 보스(38)와 출력 기어(541)의 연결부(541a)는 미소한 각도로 상호의 축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30)의 광원에는 방전 벌브(32)가 사용되고 있며, 이 때문에 램프 보디(22) 내의 하부에 방전 벌브(32)를 점등시키기 위한 방전등 점등 회로(60)가 배치된다. 방전등 점등 회로(60)로부터 연장되는 코드(61)의 선단에는 벌브 소켓(62)이 접속되어 있고, 이 벌브 소켓(62)이 방전 벌브(3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방전등 점등 회로(60)에 의해서 생성된 점등 전압이 벌브 소켓(62)을 통해 방전 벌브(32)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서 방전 벌브(32)가 점등한다.
이하에,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 공장으로부터의 출하시, 혹은 차량 검사시에 있어서 빔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때는, 2개의 간격 조정부(49, 49)의 조정축(49b, 49b)을 적절하게 조작하여, 램프 유닛(30)을 지지한 브래킷(40)을 상하 좌우로 틸팅시켜, 빔의 조사 방향을 조정한다.
주행 중에 있어서의 빔의 조사 방향의 조정은 2축 액추에이터(50)를 구동함 으로써 행한다.
빔 조사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경우는, 2개의 래크 부재(561, 561)가 동일한 위상으로 이동하도록, 즉 2개의 래크 부재(561, 561)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2개의 모터(550, 550)를 구동한다. 모터(550, 550)가 구동되면, 로터 마그네트(558, 558)의 회전이 피니언 기어(557, 557)를 통해 전달 기어(565, 565)의 평기어(565a, 565a)에 전달되고, 이 평기어(565a, 565a)와 함께 회전하는 웜 기어(565b, 565b)에 의해서 원통 기어(563, 563)의 헬리컬 기어(563c, 563c)가 이동하여 원통 기어(563, 563)가 회전한다. 원통 기어(563, 563)가 회전하면, 그 나사홈(563d, 563d)과 맞물려 있는 리드 스크류(562, 562)의 나사 형성 바(562b, 562b)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리드 스크류(562, 562)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래크 부재(561, 561)가 미끄럼 이동 공간(520c, 520c) 안에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2개의 래크 부재(561, 561)가 함께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섹터 기어부(541b, 541b)가 래크 부재(561, 561)의 래크 이빨(561a, 561a)과 맞물려 있는 출력 기어(541)가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2축 액추에이터(50)의 출력 기어(541)가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출력 기어(541)의 연결부(541a)와 결합하고 있는 램프 유닛(30)의 연결 보스(38)가 브래킷(40)에 지지된 트러스트 메탈(43b)을 따라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따라서 램프 유닛(30)은 샤프트(36)에 지지된 자동 정렬 메탈(37)이 브래킷(40)의 상부 지지편(42)과 메탈 홀더(47)에 의해 서 지지되어 있는 부분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상기 샤프트(36)의 축심과 연결 보스(38)의 축심을 연결한 선이 위치하고 있는 램프 유닛(30)의 광축 x-x가 위치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서 틸팅, 즉 상향 방향으로 또는 하향 방향으로 틸팅된다.
빔 조사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는, 2개의 래크 부재(561, 561)가 역위상으로, 즉 한쪽의 래크 부재(56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래크 부재(561)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2개의 모터(550, 550)를 구동한다. 2개의 모터(550, 550)의 구동은 상기 전달 경로에 의해서 래크 부재(561, 561)의 이동으로서 구현되고, 좌우의 래크 부재(561, 561)가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출력 기어(54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없이 회전한다. 출력 기어(541)의 회전에 의해서, 그 연결부(541a)와 연결 보스(38)가 결합하고 있는 램프 유닛(30)이 샤프트(36)와 연결 보스(38)를 연결하는 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기 축 둘레에서 회동한다. 이로써, 램프 유닛(30)이 좌우 방향에서 회동한다. 이에 의해서, 램프 유닛(30)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으로의 틸팅 도중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에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도 7에 2축 액추에이터의 변형예(70)를 도시한다. 이 2축 액추에이터(70)는 출력부의 일부와 구동력 전달부의 일부가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와 다를 뿐이며 그 외의 점에서는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와 다른 점에 관해서만 주로 설명하고,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2축 액추에이터(70)의 케이스(510)는 상기 케이스(510)와 같다.
출력부(740)는 상기 출력부(540)에서와 같은 슬라이드 베이스(542) 및 압축 코일 스프링(543)을 갖는다. 출력 기어(741)도 상기 출력 기어(5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섹터 기어부(541b, 541b) 대신에 연결부(741a)의 측면으로부터 좌우로 돌출된 아암부(741b, 741b)를 구비하고, 이 아암부(741b, 741b)의 양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연결 구멍(741d, 74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510) 내에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수납된 슬라이드 베이스(542)의 결합부(542b)에 출력 기어(741)의 연결부(741a)가 외삽되고, 이로써 출력 기어(741)가 슬라이드 베이스(7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력 전달부(760)는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의 구동력 전달부(560)의 래크 부재(561) 대신에 이동부로서 연결 부재(761)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761)는 메인부(761a)와 이 메인부(761a)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연결 핀(761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부(761a)에는 후단면에 개구된 압입 구멍(76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에서와 같은 리드 스크류(562)의 압입부(562a)가 메인부(761a)의 압입 구멍(761c)에 압입되고, 이에 의해서 연결 부재(761)가 리드 스크류(762)의 전단부에 고정된다. 그 밖에, 구동력 전달부(760)는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에 있어서와 같이, 원통 기어(563), 볼 베어링(564) 및 전달 기어(565)를 구비하고, 구동원(브러시리스 모터)(550)의 회전이 전달 기어(565), 원통 기어(563)를 통해 리드 스크류(562)의 전후 방향으로의 직진 운동으 로 변환되어, 이 리드 스크류(562)의 전단에 고정된 연결 부재(76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761)의 연결 핀(761b)이 상기 출력 기어(741)의 아암부(741b)의 연결 구멍(741d)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원(550)과 연결 부재(761)를 구비하는 것이 구동부로서 필요하다.
따라서, 2개의 연결 부재(761, 761)가 동위상으로, 즉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면, 출력 기어(741)는 회전하는 일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 2개의 연결 부재(761, 761)가 역위상으로, 즉 역방향으로 동일한 거리 이동하면, 출력 기어(741)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없이 회전한다.
상기 2축 액추에이터(70)의 출력축(741)의 연결부(741a)를 램프 유닛(30)의 연결 보스(38)의 결합 오목부(38a)에 내삽함으로써, 램프 유닛(30)이 2축 액추에이터(70)와 연결되고, 2축 액추에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평면을 따라서 각각 따로 틸팅된다.
도 8에 상기 램프 유닛(30)을 포함하는 전조등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하는 제어 회로의 일례(80)를 도시한다.
제어 회로(80)는 상기 램프 유닛(30)을 포함하는 전조등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하는 ECU(81)를 구비하고, 이 ECU(81)에는 이그니션 스위치(81a) 및 램프 스위치(81b)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그니션 스위치(81a)가 투입(ON)된 상태에서 램프 스위치(81b)가 투입(ON)되면, ECU(81)로부터 점등 회로(82)에 대하여 점등 지령이 나오고, 이에 의해서 점등 회로(82)에 의해서 램프 유닛(30)의 방전 벌브(32) 가 점등되어, 소정의 배광 패턴을 갖는 빔이 전방을 향해서 조사된다.
상기 ECU(81)에는 각종 센서(8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스티어링 센서(83a), 차고 센서(83b), 차속 센서(83c), 차륜 센서(83d), GPS 센서(83e)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스티어링 센서(83a)로부터는 스티어링 조작 시의 스티어링 방향 및 스티어링 각도에 관한 정보가, 차고 센서(83b)로부터는 전후 차축의 각각의 높이에 관한 정보가, 차속 센서(835c)로부터는 차속에 관한 정보가, 차륜 센서(83d)로부터는 각 차륜의 높이에 관한 정보가, GPS 센서(83e)로부터는 전지구 위치 측정 시스템에 기초한 현재 위치 정보가 각각 입력된다. 그리고, ECU(81)는 상기 각 센서(8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조사 방향이 되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2축 액추에이터(50 또는 70)에 송출하고, 2축 액추에이터(50 또는 70)는 ECU(81)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하나의 커넥터(531)를 통해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530) 상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CPU(중앙 처리 장치)(535)가 탑재되어, 상기 커넥터(531)를 통해 ECU(81)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가CPU(535)에 보내진다. CPU(535)는 ECU(81)로부터 얻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회로 기판(530) 상에 구성된 각각의 드라이버 회로(536, 537)에 소정의 신호를 보내, 각 드라이버 회로(536, 537)에 의해서 2개의 모터(550, 550)가 각각 따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550, 550)의 구동에 의해서 이동부〔래크 부재(561, 561) 또는 연결 부재(761, 761)〕가 이동되고, 또한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서 출력부(540, 540)(또는 740, 740)가 회동 및/또는 이동된다.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 램프 유닛(30)은 한 점, 즉 연결 보스(38)에 있어서 구동 수단인 2축 액추에이터(50 또는 70)의 출력부(540 또는 740)〔의 출력축(541 또는 741)〕와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동 수단을 형상이나 크기를 달리하는 대다수의 종류의, 적어도 많은 종류의 램프 유닛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축 액추에이터는 램프 유닛(30)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각각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램프 유닛(30)의 회동 제어에 제한이 없게 되어, 원하는 방향으로의 빔의 조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램프 유닛(30)은, 하우징(20)에 대하여〔브래킷(40)을 통해〕 회전 및 틸팅 가능한 지지축인 샤프트(36)에 지지되는 동시에 램프 유닛(30)의 상기 샤프트(36)에 연결된 곳과 반대측에 위치한 곳에 상기 출력부(540 또는 740)〔의 출력축(541 또는 741)〕가 연결되어, 상기 출력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램프 유닛(30)이 상기 샤프트(36) 둘레에서 회동하는 제1 구동 모드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부의 상기 샤프트(36)의 축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램프 유닛(30)이 상기 샤프트(36)와 함께 틸팅되는 제2 구동 모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램프 유닛(30)의 하우징(20)으로의 지지 구조가 단순화되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540 또는 740)〔(의 출력축(541 또는 741)〕는 상기 램프 유닛(30)의 광축 x-x를 따르는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에 동일한 구성의 램프 유닛(30)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더욱이, 상기 구동 수단(50 또는 70)은 2개의 구동원(550, 550) 및 상기 구 동원에 의해서 각각 따로 이동되는 2개의 이동부인 래크 부재(561, 561) 또는 연결 부재(761, 761)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구동원 및 2개의 이동부는 상기 출력부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른 수직 평면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2개의 이동부가 역위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부가 회전하고, 상기 2개의 이동부가 동위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부가 직선 이동하기 때문에, 좌우의 램프 유닛에 동일한 구조의 구동 수단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한편,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에 있어서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기능을 갖는다. 즉, 예컨대 2개의 모터(550, 550) 중 한쪽이 고장난 경우, 다른 쪽의 모터(550)를 구동함으로써, 그 모터(550)에 의해서 이동되는 래크 부재(561) 또는 연결 부재(761)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적어도 램프 유닛(30)을 하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어, 대향차의 운전자에 대한 눈부심을 초래하는 것이 방지된다.
페일 세이프 기능의 일례에 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상기 CPU(535)에는 램프 유닛(30)의 소정의 위치 제어가 불능으로 되는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수단(538), 램프 유닛(30)의 조사 위치를 검지하는 조사 위치 검지 수단(539) 및 이상 발생시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한 쪽의 구동부를 구동하는 이상시의 위치 제어 수단(540)이 설치되어 있다.
램프 유닛(30)이 소정의 조사 위치로 이동하지 않게 되는 이상으로는, 예컨대 드라이버 회로(536 또는 537)의 고장, 모터(550)의 고장이나 로크, 이동부(561, 761)의 로크나 파손이 있다. 상기 이상 검지 수단(538)은 예컨대, 상기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그 이상을 검지한다.
상기 이상 검지 수단(538)에 의해서 이상이 검지된 경우는, 램프 유닛(30)의 조사 위치가 상기 조사 위치 검지 수단(539)에 의해서 검지되어, 램프 유닛(30)의 위치가 소정의 조사 위치, 즉 대향차의 운전자 등에게 눈부심을 초래하지 않는 상한의 위치 이하의 위치에 있는 경우는 그대로 두고, 소정의 조사 위치보다 위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상시의 위치 제어 수단(540)에 의해서 이상이 없는 쪽의 구동부를 구동하여, 램프 유닛(30)의 조사 위치가 소정의 조사 위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쪽의 구동부의 래크 부재(561) 또는 연결 부재(761)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페일 세이프 기능의 구체적 동작을 도 9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9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스크린상에 조사되는 배광 패턴의 중심 스폿광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S1∼S6은 조사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6 등분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S1이 조사 위치의 최상부를 나타내고, S6이 조사 위치의 최하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a)는 정상시의 조사 위치 변경 동작을 도시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의 위치 변경 및 좌우 방향의 위치 변경 모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하 방향의 위치 변경과 좌우 방향의 위치 변경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스폿광(S)은 비스듬하게 이동한다.
도 9의 (b)는 주행 방향을 향해서 우측의 구동부에 이상이 생긴 경우이다. 이 경우, 좌측의 구동부를 동작시켜 조사 위치를 제어하게 하여, 좌측의 이동부(561 또는 761)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폿광(S)은 좌측 아래쪽을 향해 내려간다. 또한, 도 9의 (c)는 주행 방향을 향해 좌측의 구동부에 이상이 생긴 경우이 다. 이 경우, 우측의 구동부를 동작시켜 조사 위치를 제어하게 하여, 우측의 이동부(561 또는 761)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폿광(S)은 우측 아래쪽을 향하여 내려간다. 예컨대, 도 9의 (b)의 경우, S5로부터 위의 영역이 눈부심을 발생하는 영역(글레어 영역)이라고 하면, 조사 위치를 S6 이하로 할 때까지 정상인 쪽의 구동부를 구동한다.
한편, 상기 페일 세이프 기능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30)의 조사 위치의 검출도 행하고, 이상 발생시에는, 램프 유닛(30)의 조사 위치가 소정 위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지만, 이상 발생시에는, 정상 쪽의 구동부를 구동하여 가능한 한 조사 위치를 아래쪽으로 하는 제어를 하더라도 좋다. 이것은 우선, 눈부심을 초래하는 빛만큼은 나오지 않게 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한편, 상기 2축 액추에이터(50 및 70)의 구동원으로서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구동원이 브러시리스 모터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경우라도, 예컨대 DC(직류) 모터나 스테핑 모터의 사용이 가능하고, 혹은 모터 이외의 구동원의 사용도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2에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를 자동차용 전조등에 적용한 제2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자동차용 전조등(110)은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과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램프 보디(122)의 전방을 투명 커버(123)로 덮어 형성한 등실(121)을 갖는 하우징(120)의 상기 등실(121) 내에 상기 램프 보디(30)와 같은 램프 유닛(130)이 배치되어 있다.
램프 유닛(130)은 브래킷(140)을 통해 램프 보디(122)에 상하 및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램프 보디(122)에 직접 램프 유닛(130)을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40)에 구동 수단인 2축 액추에이터(90)가 지지되고, 이 2축 액추에이터(90)의 출력부에 상기 브래킷(140)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램프 유닛(13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 내에는 방전등 점등 회로(160)가 배치되고, 이 방전등 점등 회로(160)에 의해서 램프 유닛(130)이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램프 유닛(130)은, 리플렉터(131)와, 이 리플렉터(131)에 지지된 방전 벌브(132)와, 상기 리플렉터(131)의 전단에 부착된 연결부(133)와, 이 연결부(133)의 전단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된 투사 렌즈(134)와, 상기 연결부(133)에 설치된 쉐이드(135)를 구비하고, 방전 벌브(132)로부터 출사하여 리플렉터(131)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쉐이드(135)의 상부 가장자리(135a)의 근방에서 집광되어, 이 집광된 빛이 상기 쉐이드(135)의 상부 가장자리(135a)의 근방에 초점을 갖는 투사 렌즈(134)에 의해서 전방으로 투사되어 소정의 배광 패턴을 갖는 빔이 형성된다. 상기 배광 패턴은 그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쉐이드(135)의 상부 가장자리(135a)에 의해서 한정된 차단 라인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133)의 상면으로부터는 샤프트(136)가 위쪽을 향해서 돌출되고, 이 샤프트(136)에는 자동 정렬 메탈(137)이 외삽되어 있다. 상기 자동 정렬 메탈(37)은 대략 구상의 외주면(137a)과 중심 구멍(137b)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 구 멍(137b)에 상기 샤프트(136)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3)의 하면 중 상기 샤프트(136)와 대응한 위치에는 연결 보스(138)가 돌출되어 있다. 이 연결 보스(138)는 상하 방향으로 보아 대략 원형의 외형을 갖고, 하면에 개구된 결합 오목부(138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오목부(138a)의 내주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결합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36)의 축심과 연결 보스(138)의 축심을 연결한 선은 이 램프 유닛(130)의 광축 x-x가 위치하는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브래킷(140)은,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된 얕은 접시형의 메인부(141)에 큰 개구(141a)가 형성되고, 이 메인부(14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상부 지지편(142)이 돌출되고, 이 메인부(14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하부 지지편(143)이 돌출되며, 또한 메인부(141)의 3개의 각부에 연결 구멍(144, 145, 14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지편(142)의 전단부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간 지지 오목부(14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오목부(142a)의 전방을 향한 면은 오목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 지지편(142)의 전단면의 지지 오목부(142a)를 사이에 둔 양측에는 나사 구멍(142b, 1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지지편(142)의 전단부에는 메탈 홀더(147)가 부착된다. 메탈 홀더(147)는 그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후방을 향해서 우묵하게 들어간 누름부(14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누름부(147a)의 후방을 향한 면은 오목 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탈 홀더(147)의 누름부(147a)를 사이에 둔 양측부에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147b, 14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탈 홀더(147)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규제부(147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달 홀더(147)가 상부 지지편(142)의 전단에 접촉하고, 규제부(147d)가 누름부(147a) 및 지지 오목부(142a)의 상측을 덮은 상태에서, 나사 삽입 관통 구멍(147b, 147b)을 전방으로부터 삽입 관통한 나사(147c, 147c)가 상부 지지편(142)의 나사 구멍(42b, 142b)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이에 의해서 메탈 홀더(47)가 상부 지지편(142)의 전단부에 부착된다. 이로써, 상부 지지편(142)의 지지 오목부(142a)와 메탈 홀더(147)의 누름부(147a)와의 사이에 구상의 받침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편(143)의 전단 부근의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장공(14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장공(143a)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가 상기 받침 오목부와 상하로 대응한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장공(143a)에 트러스트 메탈(143c)이 결합한다. 한편, 상기 연결 보스(138)의 외경 치수는 상기 트러스트 메탈(143c)에 형성된 전후로 긴 미끄럼 이동 홈(143d)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램프 유닛(130)의 연결 보스(138)가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에 지지된 트러스트 메탈(143c) 상에 적재되고, 또한 램프 유닛(1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한 샤프트(136)에 외삽된 자동 정렬 메탈(137)이 브래킷(130)의 상부 지지편(142)의 지지 오목부(142a)와 메탈 홀더(147)의 누름부(147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에 의해서 램프 유닛(130)은 브래킷(140)을 통해 램프 보디(122)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상 기 샤프트(136)와 연결 보스(138)를 연결하는 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서 그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며, 또 연결 보스(138)가 미끄럼 이동 홈(143d)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샤프트(136)와 연결 보스(138)를 연결하는 축 및 미끄럼 이동 홈(143d)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지나 전후로 뻗는 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회동 가능하다.
상기 브래킷(140)은 램프 보디(122)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브래킷(140)을 램프 보디(122)에 장착하는 장착 방법은 상기 자동차용 전조등(10)에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2축 액추에이터(90)는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의 하면측에서 브래킷(140)에 지지된다.
2축 액추에이터(90)는 2개의 구동부와 단일의 출력부가 케이스(91)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91)는 상기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과 이 하부 지지편(143)의 하면측에 고정되는 하측 케이스(911)에 의해서 구성된다. 하측 케이스(911)는, 모터 배치부(911a)와 이 모터 배치부(911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출력부 배치부(91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대략 판형을 한 모터 배치부(911a)의 상면에는 좌우로 간격을 두고서 2개의 지점 오목부(911c, 911c)가 형성되어 있다. 대략 판형의 상기 출력부 배치부(911b)는 상기 모터 배치부(911a)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있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는 미끄럼 이동 구멍(91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 배치부(911b)의 좌우 양단부에는 장착 구멍(911e, 91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 고, 이 장착 구멍(911e, 911e)의 주연부로부터는 칼라(911f, 911f)가 상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출력부 배치부(911b)의 전단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스토퍼(911g)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고, 이 스토퍼(911g)에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911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케이스(911)의 장착 구멍(911e, 911e)을 아래쪽에서부터 삽입 관통한 장착 나사(911i, 911i)가 상기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도시 생략)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 하측 케이스(911)가 브래킷(140)에 고정되어, 칼라(911f, 911f)에 의해서 상기 하측 케이스(911)와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과의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값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2축 액추에이터(90)의 케이스(91)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91) 내에 단일의 출력부(92)와 좌우 1쌍의 구동부(93L, 93R)가 배치된다.
출력부(92)는, 램프 유닛(30)의 연결 보스(138)와 연결되는 출력축(921)과, 구동부(93L, 93R)가 연결되는 연결 윙(922L, 922R)과, 케이스(91)의 미끄럼 이동 구멍(911d)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피안내부(9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축(921)은 상하의 축방향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상반부의 외주면에 복수의 결합 돌출 바(921a)가 상하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하단부(921b)는 다른 부분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윙(922L, 922R)은 상기 출력축(921)의 하단에 일체로 연속되고, 922L은 좌측으로, 922R은 우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각 연결 윙(922L, 922R)에는 상면이 개방된 오목부(92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922a)의 대략 중앙부에 이음부(922b)가 돌출되며, 이 이음부(922b)의 내부에는 돔형의 공간(922c)이 형성되고, 이 돔형 공간(922c)은 후방으로 개구(922d)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922a)을 한정하고 있는 주벽(922e) 중 상기 이음부(922b)의 후방부 개구(922d)에 대향한 위치에는 절결부(922f)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연결 윙(922L, 922R)이 연결되어 있는 중앙부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안쪽면이 접촉면(922g)으로 되어 있다.
상기 피안내부(923)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그 외경은 하측 케이스(911)에 형성된 미끄럼 이동 구멍(911d)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피안내부(923)의 하단에는 이탈 방지판(9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92)는, 그 피안내부(923)가 하측 케이스(911)의 미끄럼 이동 구멍(911d)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출력축(921)이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의 장공(143a)에 끼워 맞춰진 트러스트 메탈(143c)의 미끄럼 이동 홈(143d)을 아래쪽으로부터 삽입 관통하여 램프 유닛(130)의 연결 보스(138)의 결합 오목부(138a)에 끼워 맞춰진다. 이때, 출력축(921)의 결합 돌출 바(921a)는 결합 오목부(138a)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절결부(도시 생략)와 결합한다. 또한, 연결 보스(138)에 부착된 스프링(138b)의 선단(138c)이 출력축(921)과 결합 오목부(138a)의 벽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출력축(921)과 결합 오목음(138a) 사이의 요동을 흡수한다. 그리고, 출력부(92)와 케이스(91)와의 사이에 는 출력부(92)를 후방으로 압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924)이 개재 삽입된다. 즉, 원판형의 접촉부(925a)의 전방면으로부터 받침축(925b)이 돌출된 접촉 부재(925)의 접촉부(925a)가 출력부(92)의 전방면에 형성된 접촉면(922g)에 접촉하여, 그와 같은 상태의 접촉 부재(925)의 받침축(925b)에 압축 코일 스프링(924)의 후단부가 외삽되고,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924)의 전단부가 하측 케이스(911)의 전단부에 설치된 스토퍼(911g)의 돌기(911h)에 외삽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924)은 스토퍼(911g)와 출력부(92)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된다. 이 압축 코일 스프링(924)에 의해서 출력부(92)는 후방으로 압박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이 흡수된다.
상기 2개의 구동부(93L, 93R)는 배치되는 위치가 좌우로 다를 뿐이며,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구동부(93)는 구동원으로서 직접 구동 모터(931)를 구비하고, 이동부로서 볼부(932)를 구비한다. 직접 구동 모터(931)는 그 구동에 의해서 이동축(933)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부(932)는 상기 이동축(933)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접 구동 모터(931)의 외피(931a)의 전단 부근의 위치에는 위아래로 돌출한 지점축(931b, 93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접 구동 모터(931)의 상측의 지점축(931b)은 상기 브래킷(140)의 하부 지지편(143)의 후방부 하면에 형성된 지점 오목부(143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하측의 지점축(931c)은 하측 케이스(911)의 모터 배치부(911a)에 형성된 지점 오목부(911c)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서, 직접 구동 모터(931)는 케이스(91)의 모터 배치부(911a)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볼부(932)는 출력부(92)의 이음부(922b) 내부의 돔형 공간(922c)과 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이동축(933)은 이음부(922b)의 후방부 개구(922d), 주벽(922e)에 형성된 절결부(922f)를 지나 후방으로 뻗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2개의 구동부(93L, 93R)와 출력부(92)가 연계된다.
이어서, 상기 2축 액추에이터(90)의 동작에 관해서 주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중앙에 위치한 (a), (b), (c)의 상태가 좌우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조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좌측에 위치한 (d)의 상태가 좌측을 향하여 조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에 위치한 (c)의 상태가 우측을 향하여 조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중단에 위치한 (a), (d), (c)의 상태가 글레어(glare)가 생기지 않는 상한의 위치를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a)의 상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을 향하여 또 글레어가 생기지 않는 상한의 위치를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좌우의 이동부(93L, 93R)의 이동축(933, 933)은 직접 구동 모터(931, 931)로부터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고 있다. 따라서, 출력부(92)의 연결 윙(922L, 922R)은 전후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a)의 상태에서 조사 위치를 위쪽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좌우의 이동부(93L, 93R)의 이동축(933, 933)을 동일한 길이만큼 직접 구동 모터(931, 931)로부터 더욱 돌출시킨다〔(b)의 상태〕. 또한, 상기 (a)의 상태에서 조사 위치를 아래쪽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좌우의 이동부(93L, 93R)의 이동축(933, 933)을 동일한 길이만큼 직접 구동 모터(931, 931) 내에 인입시킨다〔(c)의 상태〕. 상기 (a), (b) 또는 (c)의 상태에서, 조사 위치를 좌측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좌측 이동부(93L)의 이동축(933)을 직접 구동 모터(931) 안으로 인입시키고, 우측 이동부(93R)의 이동축(933)을 직접 구동 모터(931)로부터 더욱 돌출시킨다〔(d)의 상태〕. 이에 의해서, 좌측 연결 윙(922L)의 선단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또한 우측 연결 윙(922R)의 선단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연결 윙(922L, 922R)과 일체의 출력축(921)이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출력축(921)과 결합되어 있는 램프 유닛(130)이 좌측을 향해 틸팅된다. 그리고, 이때 각 연결 윙(922L, 922R)의 이음부(922b, 922b) 사이의 직접 구동 모터(931, 931)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좁게 되어, 각 구동부(93L, 93R)의 볼부(932, 932) 사이의 직접 구동 모터(931, 931)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직접 구동 모터(931, 931)는 각각의 지점축(931b, 931c)을 중심으로 전단 사이가 가까워지도록 틸팅한다. 상기 (a), (b) 또는 (c)의 상태에서, 조사 위치를 우측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우측 이동부(93R)의 이동축(933)을 직접 구동 모터(931) 안으로 인입시키고, 좌측 이동부(93L)의 이동축(933)을 직접 구동 모터(931)로부터 더욱 돌출시킨다〔(e)의 상태〕. 이에 의해서, 우측 연결 윙(922R)의 선단은 후방으로 이동하고, 또 좌측 연결 윙(922L)의 선단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연결 윙(922L, 922R)과 일체의 출력축(921)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출력축(921)과 결합되어 있는 램프 유닛(130)이 우측을 향해 틸팅된다. 그리고, 이때 각 연결 윙(922L, 922R)의 이음부(922b, 922b) 사이의 직접 구동 모터(931, 931)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좁아져서, 각 구동부(93L, 93R)의 볼부(932, 932) 사이의 직접 구동 모터(931, 931)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가까워지므로, 직접 구동 모터(931, 931)는 각각의 지점축(931b, 931c)을 중심으로 전단 사이가 가까워지도록 틸팅한다.
이러한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110)에 있어서의 2축 액추에이터(90)는, 출력부(92)의 회전에 의해서 출력부(92)의 좌우 양단에 생기는 직접 구동 모터(931, 931)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편차를 직접 구동 모터(931, 931)가 요동함으로써〔도 9의 (d), (e)의 상태〕 흡수하기 때문에, 이동축(933, 933)에 굽힘 응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되어, 동작 불량이나 덜걱거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각 부분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행하는 구체화의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는, 전방을 향해서 소정 패턴에 의한 빔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과, 이 램프 유닛을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중 한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 중 다른 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단일의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 유닛의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상관없이 램프 유닛을 각각의 평면을 따른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은 한 점에 있어서 구동 수단의 출력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구동 수단을, 대다수의 종류, 적어도 많은 종류의 램프 유닛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은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평면을 따라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램프 유닛의 회동 제어에 제한이 없게 되어, 원하는 방향으로의 빔의 조사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램프 유닛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및 틸팅 가능한 지지축에 지지되는 동시에 램프 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에 위치한 부위에 상기 출력부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출력축 둘레에서 회동하는 제1 구동 모드가 형성되어, 상기 출력부의 상기 지지축의 축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지지축과 함께 틸팅되는 제2 구동 모드가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램프 유닛의 지지 구조가 단순화되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는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드 베이스와, 이 슬라이드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수단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는 2개의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의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2개의 이동부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구동 수단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램프 유닛의 광축을 따른 수직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로 동일한 구성의 램프 유닛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는 2개의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 의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구동원 및 2개의 이동부는 상기 출력부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르는 수직 평면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2개의 이동부가 역위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부가 회전하고, 상기 2개의 이동부가 동위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부가 상기 직선 이동하기 때문에, 좌우의 램프 유닛에 동일한 구조의 구동 수단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 및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와, 센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수단을 표준화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2개의 이동부와 연결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이 아암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부의 회전시에 생기는 출력부의 좌우 방향의 편차를 흡수하여, 동작 불량이나 덜걱거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부는 상기 2개의 이동부와 연결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 지되는 지점축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부의 회전시에 생기는 출력부의 좌우 방향의 편차를 흡수하여, 동작 불량이나 덜걱거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 구동 수단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수단과, 상기 램프 유닛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조사 위치를 검지하는 조사 위치 검지 수단과,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이 구동 수단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램프 유닛을 소정의 조사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이상시의 위치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부의 한 쪽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조사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위쪽으로 된 채로 방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방을 향해서 소정 패턴에 의한 빔을 조사하는 램프 유닛과,
    상기 램프 유닛을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중 한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 중 다른 쪽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제2 구동 모드를 갖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램프 유닛을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라 회동시키는 단일의 출력부와, 이 출력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 유닛의 상기 2개의 평면을 따른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램프 유닛을 각각의 평면을 따라 회동 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및 틸팅이 가능한 지지축에 지지되고, 램프 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에 위치한 부위에 상기 출력부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지지축 둘레에서 회동하는 제1 구동 모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출력부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램프 유닛이 상기 지지축과 함께 틸팅되는 제2 구동 모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직선 이동하는 슬라이드 베이스와, 이 슬라이드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2개의 구동원과, 이들 구동원에 의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2개의 이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램프 유닛의 광축을 따른 수직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2개의 구동원과, 이들 구동원에 의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2개의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구동원 및 2개의 이동부는 상기 출력부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른 수직 평면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이동부가 역위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부가 회전하고,
    상기 2개의 이동부가 동위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부가 상기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 및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와, 센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가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2개의 이동부와 연결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이 아암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2개의 이동부와 연결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원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지점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수단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수단과,
    상기 램프 유닛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조사 위치를 검지하는 조사 위치 검지 수단과,
    상기 이상 검지 수단이 구동 수단의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램프 유닛을 소정의 조사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이상시의 위치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060097667A 2005-10-06 2006-10-04 차량용 등기구 KR100806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93563 2005-10-06
JP2005293563 2005-10-06
JP2006214553A JP4667321B2 (ja) 2005-10-06 2006-08-07 車輌用灯具
JPJP-P-2006-00214553 2006-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911A KR20070038911A (ko) 2007-04-11
KR100806658B1 true KR100806658B1 (ko) 2008-02-26

Family

ID=3749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667A KR100806658B1 (ko) 2005-10-06 2006-10-04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15127B2 (ko)
EP (1) EP1772311B1 (ko)
JP (1) JP4667321B2 (ko)
KR (1) KR100806658B1 (ko)
CN (2) CN1951722B (ko)
DE (1) DE602006010640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18B1 (ko) * 2008-12-31 2011-12-20 에스엘 주식회사 안전 장치 기능을 구비한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시스템
KR101117418B1 (ko) * 2009-09-15 2012-02-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72769A3 (de) * 2004-12-18 2009-07-0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komponenten
DE102006034243A1 (de) * 2006-07-21 2008-01-31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Scheinwerferverstellvorrichtung mit Getriebe
JP4688220B2 (ja) * 2006-10-10 2011-05-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4518505B2 (ja) 2006-10-12 2010-08-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4761563B2 (ja) * 2006-11-13 2011-08-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及び車輌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JP5077543B2 (ja) * 2007-09-07 2012-11-2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ユニット
TW200936409A (en) * 2008-02-26 2009-09-01 quan-ying Zeng Vehicle adaptive headlamp with stop function
JP5344739B2 (ja) * 2008-06-25 2013-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CN101396985B (zh) * 2008-09-19 2010-12-15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汽车前照灯调光系统的旋转执行装置
US8246441B2 (en) 2008-10-22 2012-08-21 Wms Gaming Inc. Gaming machine having position sensor for mechanical reel modularity
JP5580978B2 (ja) * 2008-10-31 2014-08-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5346554B2 (ja) 2008-10-31 2013-11-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2011060727A (ja) * 2009-09-14 2011-03-2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2011108456A (ja) * 2009-11-16 2011-06-0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1150993A (ja) * 2009-12-25 2011-08-04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5517651B2 (ja) 2010-02-02 2014-06-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ー
CN101823457B (zh) * 2010-04-26 2013-07-03 福州大学 汽车前照灯调节装置
JP5551545B2 (ja) * 2010-08-20 2014-07-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KR101728552B1 (ko) * 2010-12-21 2017-04-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레벨링 모터
JP5700813B2 (ja) * 2011-04-08 2015-04-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5678796B2 (ja) * 2011-05-11 2015-03-04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CN102392964A (zh) * 2011-08-11 2012-03-28 冯金勋 视线同步灯
WO2013035798A1 (ja) 2011-09-07 2013-03-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ーおよび車輌用前照灯
JP5894474B2 (ja) * 2012-03-14 2016-03-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学ユニット
CN102632829A (zh) * 2012-04-18 2012-08-15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afs调光系统的反射镜旋转支承结构
JP6034608B2 (ja) * 2012-07-18 2016-11-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6081115B2 (ja) * 2012-09-20 2017-02-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車輌用前照灯
CN102923046B (zh) * 2012-11-07 2014-09-10 福州大学 球面副结构汽车前照灯调节装置
CN104995060B (zh) * 2013-02-05 2017-10-20 株式会社小糸制作所 促动器及车辆用照明装置
AT514128B1 (de) * 2013-04-11 2015-02-15 Zizala Lichtsysteme Gmbh Einstelleinrichtung für Fahrzeugscheinwerfer sowie Fahrzeugscheinwerfer
FR3017345A1 (fr) * 2014-02-11 2015-08-14 Sonceboz Sa Actionneur lineaire pour dispositif d'orientation d'un projecteur d'un vehicule automobile, compact et econome en energie
FR3022983B1 (fr) * 2014-06-27 2019-04-26 Valeo Iluminacion Dispositif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16119173A (ja) * 2014-12-19 2016-06-3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ヘッドランプ
DE102015103629A1 (de) * 2015-03-12 2016-09-15 Hella Autotechnik Nova, S.R.O. Verstellvorrichtung für Scheinwerfer
ITRM20150111A1 (it) * 2015-03-16 2016-09-16 Lorusso Alessio Sistema di movimentazione meccatronica per una macchina per la prototipazione rapida
KR101776395B1 (ko) * 2015-08-28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모듈
WO2017110426A1 (ja) 2015-12-25 2017-06-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固定部材、自動調心軸受機構、アクチュエータ及び灯具
FR3050799B1 (fr) * 2016-04-28 2019-11-29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rotatif
CN108302487B (zh) * 2016-09-22 2024-06-25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车用前照灯远近光调光装置
US20180334082A1 (en) * 2017-05-16 2018-11-22 Kun Chau Huang Heat dissipation device
TWI629186B (zh) * 2017-07-28 2018-07-11 帝寶工業股份有限公司 機動車輛照明裝置及其控制機構(一)
JP6920152B2 (ja) * 2017-09-25 2021-08-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TWI643771B (zh) * 2017-10-11 2018-12-11 帝寶工業股份有限公司 機動車輛照明裝置及其控制機構(二)
CN109693604B (zh) * 2017-10-20 2020-11-17 帝宝工业股份有限公司 机动车辆照明装置及其控制机构
EP3699028A1 (de) * 2019-02-21 2020-08-26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CN113825671A (zh) * 2019-05-15 2021-12-21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CN113966285B (zh) * 2019-06-12 2024-09-27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DE102019122927A1 (de) * 2019-08-27 2021-03-0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lektromotorisch verstellbarer Abstrahlrichtung
FR3109621B1 (fr) 2020-04-27 2022-04-08 Valeo Vision Dispositif d’éclairage de véhicule automobile présentant un aspect sans glace
JP2022041123A (ja) * 2020-08-31 2022-03-11 コイト電工株式会社 車側灯
CN117355703A (zh) * 2021-05-26 2024-01-05 海拉有限双合股份公司 用于补偿灯的截止线漂移的设备、包括所述设备的灯以及包括所述灯的车辆
CN117850126B (zh) * 2024-03-04 2024-05-10 杭州方千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伸缩、旋转的切换机构及氙气爆闪补光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872A1 (de) * 1981-02-25 1982-09-01 Th. Goldschmidt AG Härtbares Phenolformaldehydharz mit verbesserten elastischen Eigenschaften nach der Aushärtung
US4954933A (en) * 1988-09-22 1990-09-04 Valeo Vi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aiming direction of a motor vehicle headligh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7982C (de) 1931-06-26 1935-08-30 Rudolf Lochner Dipl Ing Elektromagnetische Schwenkvorrichtung fuer Scheinwerf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62185142U (ko) * 1986-05-16 1987-11-25
JPH089841Y2 (ja) * 1990-09-11 1996-03-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電動式サーチライト
FR2695710B1 (fr) 1992-09-17 1994-12-02 Valeo Vision Projecteur comprenant un module correcteur à sortie rotative.
DE10044392B4 (de) * 2000-09-08 2018-10-0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Fahrzeugscheinwerfer
JP3638868B2 (ja) * 2000-11-01 2005-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3779173B2 (ja) * 2001-04-24 2006-05-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3687741B2 (ja) * 2001-05-07 2005-08-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装置
EP1270323A1 (de) * 2001-06-19 2003-01-02 Saia-Burgess Murten AG Stell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s von einem Scheinwerfer ausgesendeten Lichtbündels
FR2826709B1 (fr) 2001-06-29 2004-02-13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a orientation variable
JP2003263906A (ja) * 2002-03-07 2003-09-19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4130345B2 (ja) * 2002-09-20 2008-08-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DE10247381A1 (de) 2002-10-10 2004-04-22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2004349095A (ja) * 2003-05-22 2004-12-09 Ntn Corp 前照灯駆動装置
JP2005119463A (ja) 2003-10-16 2005-05-12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4190004B2 (ja) * 2003-12-25 2008-12-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8872A1 (de) * 1981-02-25 1982-09-01 Th. Goldschmidt AG Härtbares Phenolformaldehydharz mit verbesserten elastischen Eigenschaften nach der Aushärtung
US4954933A (en) * 1988-09-22 1990-09-04 Valeo Vi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aiming direction of a motor vehicle headligh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18B1 (ko) * 2008-12-31 2011-12-20 에스엘 주식회사 안전 장치 기능을 구비한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시스템
KR101117418B1 (ko) * 2009-09-15 2012-02-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이중 안전 검사에 따른 우회 제어 기능을 가지는 인공지능형 전조등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10640D1 (de) 2010-01-07
EP1772311A1 (en) 2007-04-11
US20070082577A1 (en) 2007-04-12
US7315127B2 (en) 2008-01-01
KR20070038911A (ko) 2007-04-11
CN1951722A (zh) 2007-04-25
CN102019876A (zh) 2011-04-20
JP4667321B2 (ja) 2011-04-13
EP1772311B1 (en) 2009-11-25
CN1951722B (zh) 2011-06-22
JP2007128856A (ja) 2007-05-24
CN102019876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658B1 (ko) 차량용 등기구
US7175319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KR100877168B1 (ko) 차량용 등기구
KR100741341B1 (ko) 차량용 등기구
US7878694B2 (en) Up-down and left-right tiltable vehicular lamp
US20020018348A1 (en) Automotive headlamp system and illumination axis adjucting apparatus for automotive headlamps
JP5507987B2 (ja) 車両用灯具
JP5079860B2 (ja) 駆動手段
JP2002133913A (ja) 車輌用前照灯
US9283886B2 (en) Vehicular headlamp
JP4518496B2 (ja) 車輌用灯具
JP4636627B2 (ja) 車輌用灯具
JP4726249B2 (ja) 車輌用灯具
JP4889063B2 (ja) 車輌用灯具
JPH01253102A (ja) 車輌用前照灯
JP2011044435A (ja) アクチュエータ
JPH0226755Y2 (ko)
CN115930150A (zh) 一种汽车大灯透镜调节结构、汽车大灯及汽车
JPH0313380Y2 (ko)
JP2012182146A (ja) アクチュエータ
JPH09282908A (ja) 車輌用前照灯
KR20040045523A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에이밍장치
JPH04102104U (ja) 車両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