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7647B1 -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647B1
KR100797647B1 KR1020070080689A KR20070080689A KR100797647B1 KR 100797647 B1 KR100797647 B1 KR 100797647B1 KR 1020070080689 A KR1020070080689 A KR 1020070080689A KR 20070080689 A KR20070080689 A KR 20070080689A KR 100797647 B1 KR100797647 B1 KR 10079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g
tadpole
breeding
norther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운섭
Original Assignee
임운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운섭 filed Critical 임운섭
Priority to KR102007008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Breeding 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연 상태에 가까운 환경에서 과학적이고 위생적인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부화단계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90% 이상의 수율을 거둘 수 있으므로 북방산 개구리를 식용으로 다량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북방산 개구리는 우리 나라 토종 생물이므로 자연으로 탈출하더라도 오히려 생태계를 복원시켜 주며, 외래종인 황소개구리와는 달리 생태계 파괴의 염려가 전혀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사육하는 올챙이 배양장(100);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는 개구리 양식장(200);
상기 개구리를 동절기에 동면시키는 동면장(300);으로 이루어진다
북방산 개구리

Description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Breeding Facility of Frog and Breeding Method}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구리 사육에 관한 기술로 "청개구리의 사육번식방법 및 그의 이용"(한국등록특허공고 10-0379905)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북방산 개구리의 경우 생활습성이 다르므로 위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북방산 개구리의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구리는 무미목(無尾目)과에 속하는 양서류로 이중 황소개구리와 북방산 개구리, 황색다리 개구리 등이 식용으로 알려져 있다. 황소 개구리는 외래종으로서 양식용으로 수입하였으나 타산이 맞지 않아 양식업자들이 그대로 방치함으로써 현재 생태계 파괴의 주범으로서 큰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북방산 개구리는 토종 개구리로서 몸길이 4∼7㎝이며, 등은 갈색 또는 짙은 갈색이 나 검은빛을 띤 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흩어져 있다.
산란기는 4∼5월이고 2년이 지나면 성체가 되기 시작하여 3년이 되면 완전히 성체가 된다.
북방산 개구리는 평소 산간 계류나 물이 괴어 있는 곳에 서식하다가 겨울에는 물 속에서 동면한다.
따라서 황소개구리와는 달리 식용으로 널리 보급할 필요가 있으나 북방산 개구리의 경우 그 생활습성이 잘 알려져 있지 못하므로 대량 사육이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그간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북방산 개구리의 생활습성에 맞추어 올챙이 배양장과 개구리 양식장 및 동면장을 각각 설치하여 사육함으로써 북방산 개구리를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특히 개구리 양식장을 가능한 한 자연 상태에 가깝도록 조성하여 양식함으로써 자연 상태에서 채집한 것과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였다.
자연 상태에 가까운 환경에서 과학적이고 위생적인 사육시설과 사육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부화단계에서 성체에 이르기까지 90% 이상의 수율을 거둘 수 있으므로 북방산 개구리를 식용으로 다량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북방산 개구리는 우리 나라 토종 생물이므로 자연으로 탈출하더라도 오히려 생태계를 복원시켜 주며, 외래종인 황소개구리와는 달리 생태계 파괴의 염려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북방산 개구리의 알을 채집하여 올챙이 배양장에서 올챙이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사육하는 올챙이 배양장;과 상기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를 개구리로서 완전히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는 연못이 조성되어 있는 개구리 양식장; 및 동절기에 개구리를 동면시키는 동면장;으로 이루어진 북방산 개구리의 사육시설 및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올챙이 배양장(100)에서 사육하는 올챙이 사육단계;와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개구리 양식장(200)사육하는 개구리 사육단계;와 상기 북방산 개구리를 동절기에 동면장(300)에서 동면시키는 동면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올챙이 배양장으로서 도1 (a)는 올챙이 배양장 바닥의 평면도이고 도1 (b)는 올챙이 배양장 급이시설의 평면도이며, 제2도는 개구리 양식장의 측면도, 제3도는 개구리 양식장의 평면도, 제4도는 개구리 양식장 벽면의 측면도이며, 제5도는 동면장의 평면도이다.
올챙이 배양장은 올챙이 40만 마리를 기준으로 할 때 12m×10m 크기의 4각 탱크가 적당하다. 탱크 저면(150)은 콘크리트바닥으로서 이곳에 채취한 북방산 개구리 알을 넣고, 또 바닥 곳곳에는 나무로 칸을 만들어 산에서 채취한 분변토(140)를 채워 놓는다. 분변토(140)는 지렁이의 소화기관을 통과해 배설된 물질을 말하며 산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분변토(140)에는 각종 벌레의 알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이 벌레로 부화하여 나오면 올챙이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올챙이 배양장(100)에는 물을 공급하는 입수구(110)와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120)가 설치되어 있어 올챙이 배양장(100) 내 수심을 15∼50cm로 유지한다. 즉, 알을 넣을 때에는 수심을 15∼25cm를 유지하고 알에서 올챙이가 부화하게 되면 점차로 수심을 높여 35∼50cm가 되게 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수위가 낮으면 활동이 여의치 않아 올챙이가 한군데로 몰리게 되어 성장이 둔해지기 때문이다. 또 수온이 높아도 올챙이가 한군데로 몰리게 되어 역시 성장이 둔화되므로 물의 온도는 항상 12∼18℃를 유지한다.
개구리는 수컷보다는 암컷이 알을 낳기 위하여 영양분을 많이 축적하고 있어 영양가가 높으므로 수요가 많은 바, 수온이 높으면 알에서 올챙이가 나올 때 수컷이 많이 나온다. 그러나 수온을 상기 범위로 수온을 낮게 유지시켜 주면 암컷이 훨씬 많이 나온다. 수온을 조절하는 방법은 수온이 낮은 지하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과 얼음을 넣어 주는 방법 및 냉각기를 설치하여 수온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환경에 따라 이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방법을 혼용할 수 있다.
수면 3∼5cm 아래에 급이기(130)를 설치한다. 급이기(13)는 올챙이 2만 마리 당 1개가 적당하지만 이 숫자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올챙이 사료는 돼지기름 12∼15 중량부와 다진 배추와 상추 각 40∼50 중량부 및 가루소금 3∼5 중량부를 넣고 볶아 사료를 만든 후 상기 사료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20∼30 중량부와 치어 사료 10∼20 중량부를 넣고 버무린다.
이와 같이 버무린 사료를 하루 1회 아침에 주고 다음날 아침에 남은 것을 수거하여 없애고 신선한 사료를 새로 넣어준다.
이 사료에 영양제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급이하면 일반 올챙이에 비하여 3배 크기로 성장한 상태에서 개구리가 되므로 개구리 새끼 때부터 왕성하게 먹이를 먹게 되어 성장이 빠르고 영양상태가 좋게 된다. 상기 영양제는 복합비타민 15∼25 중량부, 비타민E 13∼25 중량부 및 간유(돌고래 간 기름) 50∼7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든다.
올챙이가 뒷다리가 나오면 개구리 양식장(200) 내의 연못(220)으로 옮긴다.
개구리 양식장(200)은 개구리 3만 마리를 기준으로 하여 12m×12m의 4각 형태로 만들고 중앙에는 3m×3m의 4각 형태의 연못(2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4각 형태러 한정할 것은 아니다. 즉, 지형에 따라 개구리 양식장(200)이나 연못(220)을 원형, 타원형, 사다리꼴 등 어느 형태이든 개구리들이 여유있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된다.
개구리 양식장(200) 주변은 60∼90cm 높이의 외벽(290)을 세우고 외벽(290) 윗 부분은 양쪽으로 기와처럼 내려 접어 외벽 지붕(295)으로 한다. 이와 같이 외벽(290)을 설치하면 개구리의 천적인 뱀이나 쥐가 외벽(290)을 기어올랐더라도 외벽 지붕(295) 때문에 외벽(290)을 기어 내려올 수 없으므로 개구리 양식장(200) 내로 들어오지 못한다. 또 개구리 역시 같은 이유로 밖으로 탈출할 수 없다.
개구리 양식장(200) 지면(210)은 연못(220) 쪽으로 20°미만으로 밋밋하게 경사지 게 하여 장마철에도 배수가 잘 되게 하고 연못(220)의 벽 경사는 45°이하로 조성한다. 연못(220)의 물 온도 역시 항상 항상 12∼18℃를 유지한다. 또 연못(200)에는 개구리가 1년이 될 때까지는 비닐(225)을 깔아준다. 왜냐하면 개구리는 뒷발이 나온 후 5일부터 7일 사이에 앞다리가 한 번에 나오는 바, 앞다리가 나온 후 1년까지는 앞발의 힘이 약하므로 비닐이 없으면 연못으로부터 지면(210)으로 기어 나오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못(220) 바닥에서 15∼25cm 높이로 비닐(225)을 깔아주고 그 위쪽으로 풀밭(250)을 조성하여 주면 개구리가 자연스럽게 지면(210)으로 올라올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비닐에는 올챙이에게 유해한 성분이 있으므로 이틀동안 물에 담가두어 유해한 성분이 빠진 후에 설치하여야 한다.
연못 바닥에는 배수파이프(280)를 설치하여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개구리 양식장(200) 바닥에는 폭 30∼50cm의 풀밭(250)을 조성하되 풀밭과 풀밭 사이에는 풀밭과 동일한 폭의 맨땅(260) 공간을 둔다. 그 이유는 개구리들이 먹이를 먹을 때에는 맨땅(260)을 거쳐 급이장소(230)로 나와 먹이를 먹고, 먹이를 먹은 후에는 다시 맨땅(260)을 거쳐 풀밭(250)에 들어가 쉬면서 소화시키므로 풀밭-맨땅-풀밭 순서로 조성하는 것이다. 풀밭(250) 곳곳에는 스프링 쿨러(270)를 설치하여 수시로 물을 뿌려 주되 더울 때에는 자주 뿌려준다. 개구리가 새끼일 때에는 적은 양을 자주 뿌려준다.
개구리 양식장(200) 내의 외벽(290) 쪽에는 급이 장소(230)를 조성하여 먹이를 공급한다. 다만, 아직 올챙이일 때에는 연못 수면 3∼5cm 아래에 급이기(미도시)를 설치하여 올챙이용 사료를 급이한다.
개구리의 먹이는 구더기와 귀뚜라미의 유충과 같이 살아있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또한, 급이장소(230)에는 고운 망사(235)를 깔아 준다. 이와 같이 급이장소(230)에 망사(235)를 깔아 주는 이유는 구더기가 땅속으로 파고 들어가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급이장소(230)에 공기가 통해 구더기가 부패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 개구리 양식장(200)의 외벽(290) 내 급이장소(230) 곳곳에는 지면에 가깝게 형광등(240)을 설치하여 야간에 벌레가 날아들도록 하여 이들 벌레들도 개구리 먹이가 되도록 한다.
동절기에는 개구리를 동면장(300)으로 이송한다. 동면장(300)에는 양수기(310)와 배수구(320) 및 물 분출구(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면장(300) 바닥에는 2∼3cm 높이로 굵은 모래(340)가 깔려 있다. 동면장에 모래를 까는 이유는 모래를 깔면 물 속의 용존산소가 오래 물 속에 머물게 되고 그로 인해 항시 같은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면장(300)의 수심은 40∼50cm로 하고, 물의 온도는 0∼3℃를 유지하여야 한다. 물의 온도가 이보다 낮으면 폐사하고, 이보다 높으면 개구리들이 동면을 하지 않고 활동을 한다. 동면장(300)의 물은 양수기(310)를 이용하여 물 분출구(330)로 보내며, 물 분출구(330)에서는 물에 기포를 만들어 분출시킨다. 이와 같이 기포를 만들어 분출하는 이유는 물 속에 산소를 많이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산간 계류에서는 물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산소가 생성되지만 동면장에는 물이 고여 있으므로 산소 부족의 염려가 있으므로 기포를 형성시켜 자연스럽게 산소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물 분출구(330)로부터 분출된 물은 배수구(320)를 통해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물은 모아져 다시 양수기(310)를 통해 물 분출구(330)로 공급되어 재차 분출된다.
물은 1시간 순환시키고 3시간 휴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사육하는 올챙이 배양장(100);과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는 개구리 양식장(200);과
상기 개구리를 동절기에 동면시키는 동면장(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올챙이 배양장은
개구리 알을 올챙이로 부화시키는 배양장(100);과
수온 12∼18℃ 및 수심 15∼50cm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올챙이 배양장(100)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구(110);및
상기 목적으로 상기 올챙이 배양장(100)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120);와
수면 3∼5cm 아래에 설치된 급이기(1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북방산 개구리 양식장(200)은
폭 30∼40cm의 풀밭(250)과 이와 동일한 폭의 맨땅(260)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연못(200) 방향으로 20°미만으로 밋밋하게 경사진 지면(210);과
상기 지면(210)내에 형성되어 있고 45°이하로 경사진 연못(220);과
상기 지면(210)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외벽(290);과
상기 외벽(290)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급이장소(230);와
상기 지면(210)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쿨러(270);와
상기 연못(220)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파이프(2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못(220)에는 개구리가 1년이 될 때까지는 연못(220)에서 지면(210)까지 연못(220) 바닥에서 15∼25cm 높이로 비닐(225)이 깔려 있다.
또한, 상기 동면장은
동면장(300)의 수심을 40∼50cm 및 수온을 0∼3℃로 유지하기 위하여 동면장(300)에 물을 공급하는 양수기(310);와
상기 양수기(3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출하는 물 분출구(330);와
상기 물 분출구(330)로부터 분출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320); 및
동면장(300) 바닥에 2∼3cm로 깔린 굵은 모래(340);로 이루어진다.
이어 본 발명은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올챙이 배양장(100)에서 사육하는 올챙이 사육단계;와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개구리 양식장(200)사육하는 개구리 사육단계;와
상기 북방산 개구리가 동절기에 수심 40∼50cm 및 수온 0∼3℃로 조절된 동면 장(300)에서 동면시키는 동면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북방산 개구리의 사육장치 및 사육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여러 수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재되었으며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일치하는 여타 발명 및 모든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도 올챙이 배양장으로서
도 (a)는 올챙이 배양장 바닥의 평면도
도 (b)는 올챙이 배양장 급이시설의 평면도
제2도 개구리 양식장의 측면도,
제3도 개구리 양식장의 평면도,
제4도 개구리 양식장 벽면의 측면도
제5도 동면장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올챙이 배양장 110 - 입수구
120 - 배수구 130 - 급이기
140 - 분변토 150 - 알 놓는 곳
200 - 개구리 양식장 210 - 지면
220 - 연못 225 - 비닐
230 - 급이장소 235 - 망사
250 - 풀밭 260 - 맨땅
270 - 스프링 쿨러 280 - 배수파이프
290 - 외벽 295 - 외벽 지붕
300 - 동면장 310 - 양수기
320 - 배수구 330 - 물 분출구
340 - 모래

Claims (10)

  1. 삭제
  2.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사육하는 올챙이 배양장(100)과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는 개구리 양식장(200)과 상기 개구리를 동절기에 동면시키는 동면장(300)으로 이루어진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에 있어서, 상기 올챙이 배양장은
    개구리 알을 배양하는 배양장(100);과
    수온 12∼18℃ 및 수심 15∼50cm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올챙이 배양장(100)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구(110);및
    상기 목적으로 상기 올챙이 배양장(100)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120);와
    수면 3∼5cm 아래에 설치된 급이기(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3.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사육하는 올챙이 배양장(100)과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는 개구리 양식장(200)과 상기 개구리를 동절기에 동면시키는 동면장(300)으로 이루어진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에 있어서, 상기 북방산 개구리 양식장(200)은
    폭 30∼40cm의 풀밭(250)과 이와 동일한 폭의 맨땅(260)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연못(200) 방향으로 20°미만으로 경사진 지면(210);과
    상기 지면(210)내에 형성되어 있고 45°이하로 경사진 연못(220);과
    상기 지면(210)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외벽(290);과
    상기 외벽(290)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급이장소(230);와
    상기 지면(210)내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쿨러(270);와
    상기 연못(220)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파이프(2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4.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사육하는 올챙이 배양장(100)과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는 개구리 양식장(200)과 상기 개구리를 동절기에 동면시키는 동면장(300)으로 이루어진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에 있어서, 상기 동면장은
    동면장(300)에 물을 공급하는 양수기(310);
    상기 양수기(3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분출하는 물 분출구(330);와
    상기 물 분출구(330)로부터 분출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320); 및
    동면장(300) 바닥에 2∼3cm로 깔린 굵은 모래(3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290)은
    그 윗 부분은 양쪽으로 기와처럼 내려 접은 외벽 지붕(29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290)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급이장소(230) 곳곳에는 지면에 가깝게 형광등(2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290)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급이장소(230)에는 고운 망사(235)가 깔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못(220)에는 개구리가 1년이 될 때까지는 연못(220)에서 지면(210)까지 연못(220) 바닥에서 15∼25cm 높이로 비닐(225)이 깔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10. 북방산 개구리 알이 부화하여 올챙이가 된 후 뒷다리가 나올 때까지 올챙이 배양장(100)에서 사육하는 올챙이 사육단계;와
    뒷다리가 나온 올챙이부터 개구리 성체가 될 때까지 개구리 양식장(200)사육하는 개구리 사육단계;와
    상기 북방산 개구리를 동절기에 수심 40∼50cm 및 수온 0∼3℃로 조절된 동면장(300)에서 동면시키는 동면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방산 개구리 사육방법
KR1020070080689A 2007-08-10 2007-08-10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KR10079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689A KR100797647B1 (ko) 2007-08-10 2007-08-10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689A KR100797647B1 (ko) 2007-08-10 2007-08-10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647B1 true KR100797647B1 (ko) 2008-01-24

Family

ID=3921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689A KR100797647B1 (ko) 2007-08-10 2007-08-10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647B1 (ko)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44B1 (ko) 2008-12-16 2011-04-11 이병국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CN102726341A (zh) * 2012-07-09 2012-10-17 朱志明 中国林蛙与牧业互补共生养殖方法
CN102845357A (zh) * 2012-03-21 2013-01-02 浙江海洋学院 一种适用于爬行动物和两栖动物的养殖装置
CN103609524A (zh) * 2013-12-02 2014-03-05 黄山龙王潭生态园有限公司 一种棘胸蛙的养殖方法
CN103734080A (zh) * 2014-01-08 2014-04-23 黄山振鑫特产开发有限公司 石蛙养殖池
CN103749387A (zh) * 2014-02-21 2014-04-30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生珍稀两栖动物工厂化养殖池建造方法
CN103782958A (zh) * 2014-02-21 2014-05-14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蛙仿生态一键式工厂化繁育驯养方法
CN104067985A (zh) * 2014-06-18 2014-10-01 重庆迅浩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蛙养殖和蔬菜种植的联合培育系统
CN104273093A (zh) * 2014-10-29 2015-01-14 陈卫香 一种牛蛙养殖方法
KR101519550B1 (ko) * 2013-11-21 2015-05-15 김종훈 어항
CN104938407A (zh) * 2015-05-26 2015-09-30 三江县连兴蛇业有限公司 王锦蛇蛇园
CN104957098A (zh) * 2015-07-23 2015-10-07 兴安县富秀美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石蛙原生态养殖池
CN106922619A (zh) * 2017-04-24 2017-07-07 浙江海洋大学 一种棘胸蛙的投喂装置及其投喂方法
CN107197826A (zh) * 2017-06-29 2017-09-26 杨慧 一种青蛙养殖饲喂装置
CN107306883A (zh) * 2017-06-29 2017-11-03 杨慧 一种青蛙养殖方法
KR101802309B1 (ko) * 2016-10-18 2017-11-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KR101847150B1 (ko) * 2015-06-10 2018-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서류 서식을 위한 유닛형 인공 비오톱
CN108184756A (zh) * 2017-12-13 2018-06-22 枞阳县鑫誉黑斑蛙养殖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筛选分级饲养的黑斑蛙培育箱
CN108605894A (zh) * 2018-06-06 2018-10-02 赵星星 一种仿生态石蛙种蛙养殖池
CN109105327A (zh) * 2017-06-24 2019-01-01 罗文初 一种无公害青蛙的养殖方法
CN109221014A (zh) * 2018-11-22 2019-01-18 李志清 一种中国林蛙同池孵化饲养越冬一体化养殖方法
CN109349214A (zh) * 2018-10-26 2019-02-19 张家港市广亲和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新型基于发酵床的牛蛙养殖场
CN109804967A (zh) * 2017-11-20 2019-05-28 新宁县聚升农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乌龟的新养殖方法
CN110063296A (zh) * 2019-05-05 2019-07-30 陈惠英 一种增强虎纹蛙前肢臂力的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CN110583566A (zh) * 2019-08-19 2019-12-20 丹阳市杺元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青蛙养殖池
CN110754438A (zh) * 2019-11-18 2020-02-07 衡东县新旺种养农民专业合作社 一种蚯蚓、青蛙和蔬菜的复合养殖池及混合养殖培育方法
CN110754430A (zh) * 2019-12-12 2020-02-07 山东宏济堂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保证蟾蜍资源可持续利用的蟾酥采集方法
CN111418549A (zh) * 2020-05-11 2020-07-17 丽水学院 一种模拟自然生境的养殖池
CN112586446A (zh) * 2020-12-22 2021-04-02 湖南人文科技学院 天敌压力下青蛙捕食和躲避行为能量分配测定装置及方法
KR20210070876A (ko) * 2019-12-05 2021-06-15 국립생태원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81014A (zh) * 2021-11-27 2022-02-25 湖南铠晖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大棚式的牛蛙养殖繁育设备
KR102421530B1 (ko) *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자원의 추적 관찰을 통한 관리방법
KR102421527B1 (ko) *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CN114946757A (zh) * 2022-06-07 2022-08-30 通威股份有限公司 一种青蛙一年两批次养殖模式及养殖系统
CN115720967A (zh) * 2022-11-24 2023-03-03 吉林新方圆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性东北林蛙蝌蚪饲料
CN116138210A (zh) * 2021-11-23 2023-05-23 江西省龙泰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黑斑幼蛙防止同类相食的方法及其养殖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700Y1 (ko) * 2003-07-22 2003-10-10 김철호 개구리 양식장의 동면 케이스
KR20060101958A (ko) * 2005-03-22 2006-09-27 이용철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700Y1 (ko) * 2003-07-22 2003-10-10 김철호 개구리 양식장의 동면 케이스
KR20060101958A (ko) * 2005-03-22 2006-09-27 이용철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과 사육방법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44B1 (ko) 2008-12-16 2011-04-11 이병국 북방산개구리 사육시설
CN102845357A (zh) * 2012-03-21 2013-01-02 浙江海洋学院 一种适用于爬行动物和两栖动物的养殖装置
CN102726341A (zh) * 2012-07-09 2012-10-17 朱志明 中国林蛙与牧业互补共生养殖方法
KR101519550B1 (ko) * 2013-11-21 2015-05-15 김종훈 어항
CN103609524A (zh) * 2013-12-02 2014-03-05 黄山龙王潭生态园有限公司 一种棘胸蛙的养殖方法
CN103734080A (zh) * 2014-01-08 2014-04-23 黄山振鑫特产开发有限公司 石蛙养殖池
CN103749387A (zh) * 2014-02-21 2014-04-30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生珍稀两栖动物工厂化养殖池建造方法
CN103782958A (zh) * 2014-02-21 2014-05-14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蛙仿生态一键式工厂化繁育驯养方法
CN104067985A (zh) * 2014-06-18 2014-10-01 重庆迅浩生态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青蛙养殖和蔬菜种植的联合培育系统
CN104273093A (zh) * 2014-10-29 2015-01-14 陈卫香 一种牛蛙养殖方法
CN104938407A (zh) * 2015-05-26 2015-09-30 三江县连兴蛇业有限公司 王锦蛇蛇园
KR101847150B1 (ko) * 2015-06-10 2018-04-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서류 서식을 위한 유닛형 인공 비오톱
CN104957098A (zh) * 2015-07-23 2015-10-07 兴安县富秀美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石蛙原生态养殖池
KR101802309B1 (ko) * 2016-10-18 2017-11-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육생, 반수생 동물의 실내 사육 시스템
CN106922619A (zh) * 2017-04-24 2017-07-07 浙江海洋大学 一种棘胸蛙的投喂装置及其投喂方法
CN109105327A (zh) * 2017-06-24 2019-01-01 罗文初 一种无公害青蛙的养殖方法
CN107197826A (zh) * 2017-06-29 2017-09-26 杨慧 一种青蛙养殖饲喂装置
CN107306883A (zh) * 2017-06-29 2017-11-03 杨慧 一种青蛙养殖方法
CN109804967A (zh) * 2017-11-20 2019-05-28 新宁县聚升农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乌龟的新养殖方法
CN108184756A (zh) * 2017-12-13 2018-06-22 枞阳县鑫誉黑斑蛙养殖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筛选分级饲养的黑斑蛙培育箱
CN108605894A (zh) * 2018-06-06 2018-10-02 赵星星 一种仿生态石蛙种蛙养殖池
CN109349214A (zh) * 2018-10-26 2019-02-19 张家港市广亲和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新型基于发酵床的牛蛙养殖场
CN109221014A (zh) * 2018-11-22 2019-01-18 李志清 一种中国林蛙同池孵化饲养越冬一体化养殖方法
CN110063296A (zh) * 2019-05-05 2019-07-30 陈惠英 一种增强虎纹蛙前肢臂力的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CN110583566A (zh) * 2019-08-19 2019-12-20 丹阳市杺元农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青蛙养殖池
CN110754438A (zh) * 2019-11-18 2020-02-07 衡东县新旺种养农民专业合作社 一种蚯蚓、青蛙和蔬菜的复合养殖池及混合养殖培育方法
KR20210070876A (ko) * 2019-12-05 2021-06-15 국립생태원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0147B1 (ko) * 2019-12-05 2021-07-21 국립생태원 금개구리 대체서식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54430A (zh) * 2019-12-12 2020-02-07 山东宏济堂制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保证蟾蜍资源可持续利用的蟾酥采集方法
CN111418549A (zh) * 2020-05-11 2020-07-17 丽水学院 一种模拟自然生境的养殖池
CN112586446A (zh) * 2020-12-22 2021-04-02 湖南人文科技学院 天敌压力下青蛙捕食和躲避行为能量分配测定装置及方法
CN112586446B (zh) * 2020-12-22 2023-09-12 湖南人文科技学院 天敌压力下青蛙捕食和躲避行为能量分配测定装置及方法
CN116138210A (zh) * 2021-11-23 2023-05-23 江西省龙泰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黑斑幼蛙防止同类相食的方法及其养殖池
CN114081014A (zh) * 2021-11-27 2022-02-25 湖南铠晖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大棚式的牛蛙养殖繁育设备
KR102421530B1 (ko) *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자원의 추적 관찰을 통한 관리방법
KR102421527B1 (ko) * 2022-03-24 2022-07-15 주식회사 청록환경생태연구소 멸종위기종 양서류 포획방법
CN114946757A (zh) * 2022-06-07 2022-08-30 通威股份有限公司 一种青蛙一年两批次养殖模式及养殖系统
CN114946757B (zh) * 2022-06-07 2023-06-20 通威股份有限公司 一种青蛙一年两批次养殖模式及养殖系统
CN115720967A (zh) * 2022-11-24 2023-03-03 吉林新方圆牧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性东北林蛙蝌蚪饲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647B1 (ko) 북방산 개구리 사육시설 및 사육방법
CN107278576B (zh) 一种多维生态稻田的种植养殖模式
KR101322266B1 (ko)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CN103348890B (zh) 一种在稻田中综合进行多种水产动物养殖及水稻种植的方法
CN104273091B (zh) 一种大鲵仿生态繁殖方法
CN101095402A (zh) 一种黄鳝的生态养殖方法
CN108207723A (zh) 一种澳洲淡水龙虾养殖的方法
CN102939920A (zh) 一种集约化扣蟹稻田养殖模式
CN104067983A (zh) 一种石蛙的仿生养殖方法
CN105794722A (zh) 一种黄缘闭壳龟的苗种工厂化繁育方法
CN101675729A (zh) 高原盐碱水域白斑狗鱼养殖及人工繁育方法
JP2006254880A (ja)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CN103782957A (zh) 一种林下养殖蟾蜍的管理方法
CN106359257A (zh) 一种土鸡的仿野生有机养殖方法
CN103875490A (zh) 稻鳅混养的方法
CN104604755A (zh) 一种河蟹的养殖方法
CN206024919U (zh) 一种平胸龟的规模化仿生态繁殖驯养池
CN106962237A (zh) 竹林下黄鳝养殖方法
CN104082241A (zh) 一种稻田甲鱼生态养殖方法
CN110800681A (zh) 一种池塘疣吻沙蚕、草鱼、鹅三维生态综合养殖系统
JPH05336860A (ja) ドジョウの産卵育成方法及びその装置
CN107836271A (zh) 鱼、虾、鹅、林、藕生态养殖方法
CN104145862A (zh) 一种基于地暖式温室培育虾苗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虾池
CN107466622A (zh) 一种莲田养鱼的养殖方法
CN104028549B (zh) 潮滩上先锋植物和沙蚕联合原位修复石油污染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