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66B1 -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6366B1 KR100796366B1 KR1020020018744A KR20020018744A KR100796366B1 KR 100796366 B1 KR100796366 B1 KR 100796366B1 KR 1020020018744 A KR1020020018744 A KR 1020020018744A KR 20020018744 A KR20020018744 A KR 20020018744A KR 100796366 B1 KR100796366 B1 KR 1007963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y assembly
- air duct
- magnetron
- assembly
- microwave ov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2—Aspect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실(110)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면(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장실(120)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실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 그리고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에어플로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를 냉각하는 송풍팬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어셈불리에서의 에어플로를, 상기 일측면(114)에서 다수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유입부(114a)로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의 개구된 입구(156)를 가지는 에어덕트(15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112)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레인지, 캐비티 어셈블리, 에어덕트, 팬, 전장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 상태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캐비티어셈블리 110 ..... 가열실
112 ..... 가열실 상면 114 ..... 측면
114a ..... 유입부 120 ..... 전장실
122 ..... 백플레이트 130 ..... 외부케이싱
150 ..... 에어덕트 152 ..... 상면부
154 ..... 측면부 156 ..... 입구
158 ..... 저면부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실에서 생성된 에어플로를, 가열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에어덕트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도 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서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는 가열실(12)과, 가열실 측면에 형성되는 전장실(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열실(12)의 개구된 전면은 위한 도어(도시 생략)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가열실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외측에는 외부케이싱(도시 생략)이 상부에서 하부로 덮혀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전장실(20)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게 된다.
상기 가열실(12)은 전장실(20)의 부품에서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이다. 그리고 전장실(20)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는 마그네트론(22)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24),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 등을 방열시키기 위한 송풍팬어셈블리(2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어셈블리(26)는, 실질적으로 회전에 의하여 에어플로를 발생시키는 팬(26a)와, 상기 팬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팬가이드(26b)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장실(20)의 후면을 형성하고 있는 백플레이트(28)에는, 다공부(28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팬(26a)의 동작에 의하여 외기가 전장실(2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트론(22)은 전장실(20)의 측면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트랜스(24)는,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23으로 도시한 면은, 전장실(2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임과 동시에, 가열실(12)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면이다.
상기 전장실(20)과 접하는 가열실(12)의 일측면(23)에는, 다수개의 유입공(2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공(23a)의 외측부분에는 덕트(25)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전자레인지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전자레인지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기 위한 마그네트론(22) 및 고압트랜스(24)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열실(12)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가 공급되면서 가열이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어셈블리(26)도 같이 구동되어, 전장실(20)에서 전방을 향하는 에어플로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에어플로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마그네트론(22)과 고압트랜스(24)를 방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플로 중의 일부는, 상기 덕트(25)에 의하여 안내되어, 유입공(23a)를 통하여 가열실(12)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가열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열중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연기 등과 같이, 가열실(12)의 반대측에 있는 다수개의 배기공(12a)을 통하여 가열실에서 배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덕트(25)는 철판과 같은 별도의 부재로 만들어진 후, 캐비티어셈블리(10)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상기 덕트(25)의 일측은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면(10a)에 스크류로 고정되기도 하고, 덕트(25)의 다른 일측은 마그네트론(22)의 상면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가열실(12)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하여, 덕트(25)를 별도로 만들고 이를 캐비티어셈블리(10)에 고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즉, 별도의 덕트(25)를 제조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덕트(25) 자체에 의한 부품수의 증가와, 덕트(25)를 캐비티어셈블리(10)에 고정하기 위한 기계요소 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부품수의 증가하고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하면서도 전장실에서의 에어플로를 가열실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는 캐비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면에 의하여 구분되는 전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실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 그리고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에어플로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를 냉각하는 송풍팬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어셈불리에서의 에어플로를, 상기 일측면에서 다수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유입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의 개구된 입구를 가지는 에어덕트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덕트의 입구는, 마그네트론의 전방측과 인접하게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에서 연속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의 입구를 가지도록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측면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덕트는, 측면부에서, 상기 측면 측으로 연장 성형된 저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조립공정이 더욱 단순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어셈블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어셈블리(100)는, 가열실(11)을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가열실(11)의 인접 측면에는 전장실(120)을 형성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캐비티어셈블리(100)는, 외부케이싱(130)에 의하여 덮혀진다. 하면이 개구된 상기 외부케이싱(130)은, 실질적으로 전자레인지의 외관 상면 및 양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장실(120)의 내부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마이크로웨이부를 생성하기 위한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및 고압커패시터, 그리고 이들 부품을 방열시키기 위한 송풍팬어셈블리가 설치될 것이나, 도시의 편의상 이들 부품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장실의 후방에 설치된 송풍팬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에어플로의 일부를 가열실(11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에어덕트(150)가 캐비티어셈블 리(100)와 일체로 성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어덕트(150)는,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112)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112)의 일부를 연장하고, 에어덕트의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150)는,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112)과 연속하는 상면부(152)와, 상기 상면부(152)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측면부(1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면부(154)는, 에어덕트(150)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그 후방에서 형성되는 개구된 입구(156)를 통하여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150)의 측면부(154)의 하단부를, 절곡 성형함으로써 저면부(158)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에어덕트(150)는, 실질적으로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112)을 절곡하여 성형되는 것이고, 이 때 상기 상면(112)을 절단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15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철판을 절단하여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150)는, 전장실(1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불어오는 공기의 일부를, 유입부(114a)를 통하여 전장실 내부로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구성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상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단순히 상면부(152) 및 측면부(154) 만을 가지도록 성형하여, 전장실(120) 내부에서 전방으로 형성되는 에어플로의 일부를 캐비티내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실질적으로 에어덕트(150)의 형상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에어덕트(150)가 형성된 측면(114)은, 실질적으로 가열실(11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에어덕트(150)의 내부에 대응하는 측면(114)에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유입부(114a)가 성형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에어덕트(150)의 입구(156)와 인접하는 측면(114)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될 것이다. 그리고 전장실(1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122)에는 복수개의 통기공을 형성되는 공기흡입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22)에는 송풍팬어셈블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공기흡입부(124)를 통하여 외기가 전장실(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덕트(150)가 구비되어 있는 전자레인지가 동작하게 되면, 백플레이트(122)에 설치되는 송풍팬어셈블리에 의하여 전장실(120)의 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에어플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플로의 일부는, 본 발명의 에어덕트(150)에 의하여, 유입부(114a)를 경유하여 가열실(110)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114a)를 통하여 가열실(110) 내부로 안내된 공기는, 가열실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된 배기부(도시 생략)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면서, 가열중에 발생하는 수증기 등을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112)과 일체로 성형되는 에어덕트(150)를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면(112)과 일체로 성형되는 기술적 사상 내에서, 상기 에어덕트(150) 자체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장실(120)을 구분하는 가열실의 일측면(114)에 설치되는 에어덕트(150)를,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상면(112)과 일체로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별도로 측면(114)에 부착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부품수가 감소하는 잇점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어셈블리(100)와 일체화된 에어덕트(150)를 구현함으로써, 전자레인지의 전체적인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에어덕트를 캐비티어셈블리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정수가 감소함은 물론이다. 또한 에어덕트를 캐비티어셈블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
Claims (4)
-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는 가열실(110)과, 상기 가열실의 일측면(1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장실(120)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실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 그리고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에어플로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를 냉각하는 송풍팬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에 있어서;상기 송풍팬어셈불리에서의 에어플로를, 상기 일측면(114)에서 다수개의 구멍으로 구성되는 유입부(114a)로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의 개구된 입구(156)를 가지는 에어덕트(150)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의 상면(112)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150)의 입구(156)는, 마그네트론의 전방측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상기 상면(112)에서 연속되는 상면부(152)와,상기 상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후방의 입구를 가지도록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는 측면부(1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측면부에서, 상기 측면(114) 측으로 연장 성형된 저면부(15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8744A KR100796366B1 (ko) | 2002-04-04 | 2002-04-04 |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8744A KR100796366B1 (ko) | 2002-04-04 | 2002-04-04 |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9593A KR20030079593A (ko) | 2003-10-10 |
KR100796366B1 true KR100796366B1 (ko) | 2008-01-21 |
Family
ID=3237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8744A KR100796366B1 (ko) | 2002-04-04 | 2002-04-04 |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63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1863Y1 (ko) * | 2008-10-15 | 2011-01-17 | (주)아모레퍼시픽 | 내용물 배출펌프의 록킹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72233A (ja) * | 1987-12-26 | 1989-07-07 | Canon Inc | 光学素子の成形方法 |
JPH09310866A (ja) * | 1996-05-23 | 1997-12-02 | Lg Electronics Inc | 電子レンジのサーモパイル冷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KR19980015497A (ko) * | 1996-08-22 | 1998-05-25 | 구자홍 |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회전자 구조 |
KR19980015497U (ko) * | 1996-09-10 | 1998-06-25 | 구자홍 | 전자레인지의 공기순환장치 |
JPH1172233A (ja) * | 1997-08-25 | 1999-03-16 | Samsung Electron Co Ltd | 電子レンジ |
KR19990041007A (ko) * | 1997-11-20 | 1999-06-15 | 양재신 | 자동차용 페달 각도조절장치 |
KR200160683Y1 (ko) * | 1995-10-30 | 1999-11-15 | 이구택 | 유압실린더 장착장치 |
KR200160666Y1 (ko) * | 1997-10-02 | 1999-11-15 | 친-린 텡 | 염색 기계 |
KR19990041007U (ko) * | 1998-05-12 | 1999-12-06 | 윤종용 | 전자렌지 |
JP2000320840A (ja) * | 1999-05-12 | 2000-11-24 | Sharp Corp | 加熱調理器 |
JP2001132956A (ja) * | 1999-11-09 | 2001-05-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壁掛け型電子レンジ |
KR20010060683A (ko) * | 1999-12-27 | 2001-07-07 | 구자홍 |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의 퓨즈 냉각구조 |
KR20010060666A (ko) * | 1999-12-27 | 2001-07-07 | 구자홍 | 전자레인지의 과열방지장치 |
-
2002
- 2002-04-04 KR KR1020020018744A patent/KR1007963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72233A (ja) * | 1987-12-26 | 1989-07-07 | Canon Inc | 光学素子の成形方法 |
KR200160683Y1 (ko) * | 1995-10-30 | 1999-11-15 | 이구택 | 유압실린더 장착장치 |
JPH09310866A (ja) * | 1996-05-23 | 1997-12-02 | Lg Electronics Inc | 電子レンジのサーモパイル冷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KR19980015497A (ko) * | 1996-08-22 | 1998-05-25 | 구자홍 |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회전자 구조 |
KR19980015497U (ko) * | 1996-09-10 | 1998-06-25 | 구자홍 | 전자레인지의 공기순환장치 |
JPH1172233A (ja) * | 1997-08-25 | 1999-03-16 | Samsung Electron Co Ltd | 電子レンジ |
KR200160666Y1 (ko) * | 1997-10-02 | 1999-11-15 | 친-린 텡 | 염색 기계 |
KR19990041007A (ko) * | 1997-11-20 | 1999-06-15 | 양재신 | 자동차용 페달 각도조절장치 |
KR19990041007U (ko) * | 1998-05-12 | 1999-12-06 | 윤종용 | 전자렌지 |
JP2000320840A (ja) * | 1999-05-12 | 2000-11-24 | Sharp Corp | 加熱調理器 |
JP2001132956A (ja) * | 1999-11-09 | 2001-05-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壁掛け型電子レンジ |
KR20010060683A (ko) * | 1999-12-27 | 2001-07-07 | 구자홍 |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의 퓨즈 냉각구조 |
KR20010060666A (ko) * | 1999-12-27 | 2001-07-07 | 구자홍 | 전자레인지의 과열방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9593A (ko) | 200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3579B2 (en) | Heater assembly for microwave oven and microwave oven having the same | |
US5951907A (en) |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 |
US6812444B2 (en) | Device for cool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f a microwave oven | |
JP3977383B2 (ja) | 電子レンジ | |
KR100236440B1 (ko)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 |
KR100796366B1 (ko) |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 |
KR100402578B1 (ko) |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 |
KR100420319B1 (ko)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 |
KR100766023B1 (ko) |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 |
JP2006052940A (ja) | 電子レンジ | |
KR20040059039A (ko)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 |
KR100373091B1 (ko) | 전자렌지 | |
KR100286178B1 (ko) | 전자레인지 | |
KR100595261B1 (ko) |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 |
KR100377740B1 (ko) |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 |
KR200189531Y1 (ko) | 전자렌지 | |
KR200189009Y1 (ko) |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기장치 | |
KR100437396B1 (ko) |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 |
KR100595231B1 (ko) |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의 컨벡션부 구조 | |
KR20030079592A (ko) | 전자레인지 | |
KR200189007Y1 (ko) |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구조 | |
KR20030079579A (ko) |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 |
KR200173686Y1 (ko) | 냉각용 에어플로의 고내유입구조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 |
KR20040006625A (ko) |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 |
KR20000034163A (ko)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