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28B1 - Connector lock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nector lock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6028B1 KR100796028B1 KR1020060071591A KR20060071591A KR100796028B1 KR 100796028 B1 KR100796028 B1 KR 100796028B1 KR 1020060071591 A KR1020060071591 A KR 1020060071591A KR 20060071591 A KR20060071591 A KR 20060071591A KR 100796028 B1 KR100796028 B1 KR 1007960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connector
- housing
- holder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록킹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Figure 2b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단면도.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king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서 도 5e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5a to 5e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10; Connector 1: 1 Housing
12; 관통부 14; 가이드레버12;
14': 걸이돌기 15: 록킹레버14 ': Hanging hook 15: Locking lever
16: 핑거슬롯 17: 가이드경사16: Finger Slot 17: Guide Slope
18: 걸이요홈 19: 조작부18: hanger groove 19: control panel
20: 제2커넥터 21: 제2하우징20: 2nd connector 21: 2nd housing
23: 체결돌기 24: 가이드경사23: fastening protrusion 24: guide inclination
30: 록킹홀더 31: 록킹몸체30: locking holder 31: locking body
33: 가이드부 34: 록킹공33: guide portion 34: locking ball
35: 유지핑거 36: 연결부35: retaining finger 36: connection part
36': 경사부 37: 슬롯안착부36 ': slope 37: slot seat
37': 걸이돌기 38: 걸이단37 ': Hanger 38: Hanger
40: 손잡이리브 40: handle rib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된 커넥터사이를 체결하여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커넥터 록킹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locking structure for faste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or by fastening between the connectors coupled to each other.
커넥터는 한쌍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암,수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의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커넥터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홀더를 사용하기도 한다.The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In general, the male and male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erminals inside thereof are electrically connected. As such, a separate holder may be used to prevent the connectors coupled to each other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이와 같은 홀더는 어느 일측 커넥터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홀더는 커넥터에 가조립된 상태에 있다가,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에 결합되고 나면 체결을 수행한다.Such a holder is inserted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of any one connector serves to prevent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To this end, the holder is generally in a preassembled state to the connector, and the fastening is performed after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록킹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홀더는 커넥터에 1차록킹상태로 있다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 후에 2차록킹상태로 되어 체결을 수행하도록 한다. 참고로, 1차록킹상태란 상기 홀더가 커넥터에 조립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록킹레버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이고, 2차록킹상태는 상기 록킹레버의 탄성변형을 홀더가 차단하는 상태를 말한다. 하지만, 상기 홀더가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에 미리 2차록킹상태로 되거나 2차록킹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즉, 1차록킹상태에 있어야 할 홀더가 2차록킹상태 또는 2차록킹위치에 있게 되면 이를 작업자가 1차록킹상태로 만들고 나서 상대 커넥터를 결합하고 다시 2차록킹상태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The holder is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to the connector, and after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to the secondary locking state to perform the fastening. For reference, the primary locking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assembled to the connector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lever for engagement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secondary locking state is for the holder to block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ing lever. Say the status. However, the holder may be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or in the secondary locking position before the mating connector is engaged. This makes the process of joining the connector very cumbersome. That is, when the holder to be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is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or the secondary locking position, the operator has to make it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and then engages the mating connector and makes the secondary locking state again.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커넥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바로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커넥터 사이가 기구적으로 정확히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지 않고 나중에 전원을 통전시켜야만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it is not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made correctly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ors.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t is inconvenient to confirm whe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is made correctly only after energizing the power source without checking whether the connectors are mechanically correctly coupl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어야만 록킹홀더의 2차록킹이 가능한 커넥터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secondary locking of the locking holder only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를 기구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완벽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that can confirm whe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in the process of mechanically coupling the connector is comple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연장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핑거슬롯이 형성되는 록킹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제1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핑거슬롯에 유지핑거의 선단이 위치되게 상기 제1커넥터에 설치되는 1차록킹상태와 상기 록킹레버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2차록킹상태 사이에서 동작되는 록킹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록킹홀더는 상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결합된 후에야 1차록킹상태에서 2차록킹상태로 되도록 이동가능하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deformable to exte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that constitutes the appearance and the terminal is installed therein, the finger slo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nnector provided with a locking lever;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exterior and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having a terminal installed therein; The primary locking stat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tip of the retaining finger is located in the finger slot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ary locking stat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to preven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ing lever. A locking holder operated between; And the locking holder is movable only from the primary locking state to the secondary locking state after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제1하우징의 록킹레버에 형성된 상기 핑거슬롯에는 상기 록킹홀더의 일측이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록킹레버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돌기와의 연동을 위한 가이드경사가 구비된다.One side of the locking holder is positioned on the finger slot formed in the locking lever of the first housing, and a fastening protrusion of the second connector is selectively walked, and a guide inclination for interlocking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is at the tip of the locking lever. It is provided.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록킹레버의 양단에 나란히 연장되도록 가이드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록킹홀더가 설치되도록 하고 록킹홀더의 이동을 안내한다.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guide levers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both ends of the locking lever so that the locking holder is installed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locking holder.
상기 가이드레버에는 걸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홀더에는 록킹공이 형성되어 2차록킹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와 록킹홀더 사이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A hook protrusion is formed on the guide lever, and a locking hole is formed on the locking holder to maintain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lever and the locking holder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상기 록킹홀더는 록킹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의 양단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가이드레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록킹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부와 나란히 위치되고 선단에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슬롯안착부가 구비되는 상기 유지핑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holder extends from the locking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body, a guid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locking body and movably connected to the guide lever of the first housing, and a guide portion. And a retaining finger having a slot seating portion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the guide portion and selectively seated at a finger slot of the locking lever at a tip end thereof.
상기 유지핑거는 록킹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그 선단부의 슬롯안착부가 경사부에 의해 높이차가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과 상기 록킹레버와 제1하우징의 사이공간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The retaining fing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cking body and the slot seating portion of the front end thereof by the inclined portion is selectively positioned in the finger slot of the locking lever and the space between the locking lever and the first housing.
상기 유지핑거의 슬롯안착부는 상기 제2커넥터의 체결돌기에 의해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에서 선택적으로 입출된다.The slot seating portion of the retaining finger is selectively pulled out from the finger slot of the locking lever by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유지핑거의 선단에는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 일단에 형성된 걸이요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걸이돌기가 더 형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retaining finger is further formed with a hook projection that is selectively seated in the hook groove formed in one end of the finger slot of the locking lever.
상기 록킹홀더의 록킹몸체에는 록킹홀더에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는 손걸이리브가 더 구비된다.The locking body of the locking hold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held rib for the operator to apply a force to the locking holder by han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2차록킹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사이의 결합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록킹홀더가 2차록킹상태로 됨에 의해 커넥터 사이의 결합정확성이 확인되므로 별도로 커넥터 결합의 정확성을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oupling work between the connectors having the secondary locking structure can be made more easily, and the coupling accuracy between the connectors is confirmed by the locking holder being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The advantage is that there is no need to check for accurac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록킹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록킹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 터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의 구성이 평면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in a plan vie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hold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Figs.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is shown in cross sec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 관통부(12)(도 2a참고)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부(12)에는 터미널의 고정을 위한 랜스(13)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부(12)가 형성되어 터미널이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데, 그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게 가이드레버(1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버(14)는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레버(14)의 선단부에는 각각 걸이돌기(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14')는 양단의 가이드레버(14)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버(14)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고, 상기 걸이돌기(14')는 록킹홀더(30)가 제1하우징(11)에 대해 2차록킹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게 록킹레버(15)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레버(15)는 상기 가이드레버(14)의 사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록 킹레버(15)의 선단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2a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레버(15)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제1하우징(11)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레버(1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11)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록킹레버(15)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The locking
상기 록킹레버(15)의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핑거슬롯(16)이 형성된다. 상기 핑거슬롯(16)은 상기 록킹레버(15)를 도 2a를 기준으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핑거슬롯(16) 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의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ocking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 즉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가이드경사(17)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1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와 록킹레버(15)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의 일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경사(17)가 형성된 단부쪽에 해당되는 핑거슬롯(16)의 단부에는 걸이요홈(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요홈(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걸이돌기(34)가 선택적으로 걸어진다.A
상기 록킹레버(15)중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는 조작부(19)이다. 상기 조작부(19)는 작업자가 눌러서 상기 록킹레버(15)를 탄성변형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조작부(19)는 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된다.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제2커넥터(20)는 그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3)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핑거슬롯(16)에 걸어짐에 의해 제1 및 제2 커넥터(10,2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돌기(23)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가 록킹레버(15)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돌기(23)에는 제2하우징(21)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이드경사(24)가 형성된다.A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돌기(23)의 양측방에 삽입안내리브(2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25)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이 서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26은 스페이서리브로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이 결합될 때, 이들 사이의 틈새가 없도록 하는 역할과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록킹홀더(30)의 골격을 록킹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록킹몸체(31)를 포함하는 록킹홀더(30) 전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몸체(31)의 양단에는 가이드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가이드레버(14)를 따라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33)의 내부로 상기 가이드레버(14)가 삽입되어 이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33)는 대략 상기 가이드레버(14)의 3면을 둘러싼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The locking
상기 가이드부(33)의 사이에 가이드부(33)와 나란히 연장되게 유지핑거(35)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지핑거(35)는 일단부가 상기 록킹몸체(31)에 일체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유지핑거(35)는 그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는 사각기둥형상이다.The retaining
상기 유지핑거(35)는 상기 록킹몸체(31)와 연결되는 연결부(36)와 상기 연결부(36)의 선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36') 및 상기 경사부(36')의 선단에 길게 연장되는 슬롯안착부(37)로 구성된다. 상기 슬롯안착부(37)와 연결부(36)는 경사부(36')에 의해 높이차가 있도록 된다. 상기 슬롯안착부(37)의 선단에는 걸이돌기(3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37')는 상기 걸이요홈(18)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The retaining
상기 슬롯안착부(37)와 상기 경사부(36')가 연결되는 부분은 걸이단(38)을 형성한다. 상기 걸이단(38)은 상기 록킹홀더(30)가 제1하우징(11)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ortion where the
상기 록킹홀더(30)의 록킹몸체(31)에는 록킹홀더(30)를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는 손걸이리브(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손걸이리브(40)는 상기 록킹홀더(30)의 후단에 록킹몸체(31)에 직립되게 형성된다.The lockin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록킹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어 록킹홀더(30)에 의 해 록킹되는 과정을 도 5a에서 도 5e를 참고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in which the
먼저, 도 5a에는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1차록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록킹홀더(30)의 가이드부(33)에 상기 제1하우징(11)의 가이드레버(14)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에 위치된다.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빠지는 것은 상기 유지핑거(35)의 걸이단(38)이 상기 핑거슬롯(16)의 후단에 걸어짐에 의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홀더(30)는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와 핑거슬롯(16) 사이의 틈새 내에서 약간의 길이방향 유동이 가능하다.First, FIG.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조립된 상태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을 위한 작업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홀더(30)를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더 삽입하려고 힘을 가해도 상기 록킹홀더(30)는 일정 이상 전진할 수 없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가 그 선단의 걸이돌기(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걸이요홈(18)에 걸어진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를 1차록킹상태라 할 수 있다.In general, the locking
이제, 제2커넥터(20)를 제1커넥터(1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의 가이드경사(24)가 상기 록킹레버(15) 선단의 가이드경사(17)와 접해 있다.Now,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2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로 더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경사(17,24)의 안내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3)가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유지핑거(35) 선단의 걸이돌기(37')는 상기 걸이요홈(18)에서 빠진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그리고, 계속하여 제2커넥터(20)가 제1커넥터(10)로 삽입되면, 상기 유지핑거(35) 선단의 슬롯안착부(37)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로 상기 제2커넥터(2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이 완성된 상태가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에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가 걸어진다. 즉, 상기 체결돌기(23)가 상기 걸이요홈(18)이 형성되어 있는 핑거슬롯(16)의 내면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A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 선단은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유지핑거(35) 선단의 걸이돌기(37')가 상기 걸이요홈(18)에서 빠진 상태이다. 다시 말해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의 적어도 선단이 상기 핑거슬롯(16)에서 벗어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더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p of the retaining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록킹홀더(30)를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밀어주면 상기 록킹홀더(30)가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록킹홀더(30)는 상기 가이드레버(14)의 걸이돌기(14')가 상기 가이드부(33)의 록킹공(34)에 걸어질 때까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록킹홀더(30)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임의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pushes the locking
그리고,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가 되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면과 상기 록킹레버(15)의 사이에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가 위치되면서 상기 록킹레버(15)의 조작부(19)를 눌러주더라도 록킹레버(15)가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록킹레버(15)와 체결돌기(23)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를 2차록킹상태라 한다.When the locking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록킹홀더(30)를 먼저 제1하우징(11)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록킹공(34)에서 상기 걸이돌기(14')가 빠지도록 작업자가 힘을 록킹홀더(30)에 가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5d의 상태가 된다. Next, in order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레버(15)의 조작부(19)를 작업자가 눌러주면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에서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가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20)가 제1커넥터(10)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5c의 상태)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도 5c의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이들 커넥터(10,20)가 분리되고, 상기 록킹홀더(30)는 유지핑거(35) 선단의 걸이돌기(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걸이요홈(18)에 걸어져 더 이상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 상태로 된다.In the state of FIG. 5C, when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록킹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lock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커넥터가 결합됨에 있어서, 제1커넥터의 록킹레버에 록킹홀더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도록 가조립되고, 상기 록킹홀더와 제1커넥터의 록킹레버 사이의 결합이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해제되어 록킹홀더가 록킹레버의 동작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어야만 록킹홀더의 2차록킹이 가능하게 되므로 록킹홀더가 제1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록킹홀더가 2차록킹상태로 임의로 전환될 수 없다. 이와 같이, 제1커넥터와 록킹홀더 사이의 1차록킹상태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제2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록킹홀더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변경하지 않아도 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작업성이 매우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the locking holder is selectively assembled to the locking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locking holder and the locking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Is released in the process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locking holder can block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l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nnector can be locked only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coupled, so that the locking holder cannot be arbitrarily switched to the second locking state by external force while the locking holder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s such, since the primary locking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ocking holder is not arbitrarily changed, the coupling workability between the connectors is very high since the locking holder does not need to be checked or changed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져야만 록킹홀더가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록킹홀더의 2차록킹 동작 가능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커넥터 사이의 결합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별도로 커넥터 결합의 정확성을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holder can be operated only after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mad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locking holder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ccording to whether the second locking operation is possible,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check the accuracy of the connector coupling.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591A KR100796028B1 (en) | 2006-07-28 | 2006-07-28 | Connector lock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591A KR100796028B1 (en) | 2006-07-28 | 2006-07-28 | Connector lock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6028B1 true KR100796028B1 (en) | 2008-01-21 |
Family
ID=3921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1591A KR100796028B1 (en) | 2006-07-28 | 2006-07-28 | Connector lock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6028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942B1 (en) * | 2008-06-10 | 2010-09-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KR100988786B1 (en) | 2008-03-31 | 2010-10-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0988794B1 (en) * | 2008-06-30 | 2010-10-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KR200466409Y1 (en) * | 2008-12-18 | 2013-04-1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1830425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8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4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7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6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0542A (en) * | 2001-06-26 | 2003-01-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Thd Wire-harnes Connector of Electronic Apparatus |
KR200318478Y1 (en) | 2003-04-02 | 2003-06-27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for cars having a double locking structure |
KR20030087167A (en) * | 2002-05-07 | 2003-11-13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Double locking construction for terminal of connector |
-
2006
- 2006-07-28 KR KR1020060071591A patent/KR10079602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0542A (en) * | 2001-06-26 | 2003-01-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Thd Wire-harnes Connector of Electronic Apparatus |
KR20030087167A (en) * | 2002-05-07 | 2003-11-13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Double locking construction for terminal of connector |
KR200318478Y1 (en) | 2003-04-02 | 2003-06-27 |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for cars having a double locking structur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8786B1 (en) | 2008-03-31 | 2010-10-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0982942B1 (en) * | 2008-06-10 | 2010-09-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KR100988794B1 (en) * | 2008-06-30 | 2010-10-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KR200466409Y1 (en) * | 2008-12-18 | 2013-04-1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1830425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8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4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7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KR101830426B1 (en) | 2017-11-02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Device for preventing seperation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6028B1 (en) | Connector locking structure | |
KR100829733B1 (en) | Connector assembly having a latching mechanism | |
US7470138B1 (en)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 |
US7544074B2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 defined plug-in sequence | |
KR101998077B1 (en) | Connector Apparatus with CPA | |
JP4425316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 |
KR101652162B1 (en) | Connector | |
US9147958B2 (en) | Connector | |
CN108110496B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KR100952436B1 (en) | Connector | |
KR20140008642A (en) | Connector assembly | |
US11114801B2 (en) | Connector | |
JP4496475B2 (en) | connector | |
JP5910882B2 (en) | connector | |
KR20130042161A (en) | Connector having a spacer | |
JP5818103B2 (en) | connector | |
KR200466409Y1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100022841A (en) | A connector | |
KR20090001328A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2658829B1 (en) | Connector | |
KR100922206B1 (en) | Locking apparatus for connector | |
KR100955054B1 (en) |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 |
JP2016207253A (en) |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or and terminal fitting | |
KR102589863B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 |
JP2023023763A (en) | Male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