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190B1 -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190B1 KR100795190B1 KR1020070039394A KR20070039394A KR100795190B1 KR 100795190 B1 KR100795190 B1 KR 100795190B1 KR 1020070039394 A KR1020070039394 A KR 1020070039394A KR 20070039394 A KR20070039394 A KR 20070039394A KR 100795190 B1 KR100795190 B1 KR 1007951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frequency
- signal
- instantaneous
- high frequenc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ating Fault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Description
종류 | 회수 | 방법 | 조사항목 |
안전순시 | 월 2회 이상 | 도보,차량 | 선로주변 인위적 환경 변화 |
정기순시 | 고압:분기1회 이상 저압:반기1회 이상 | 도보 | 가공배전설비 전반에 대한 점검 |
특별순시 | 수시 | 도보 | 사고 발생 우려개소 |
간부순시 | 연 2회 이상 | 도보 | 취약설비,안전사고 발생 우려개소 |
점검대상 | 점검 사항 |
변압기 설치전주 | 애자 파손,리드선 손상, 충전부접촉, 볼트너트 조임,절연유 오염,누유, 과부하 운전(부하 측정) |
보호기기 설치주 | 개폐기 가스압, 배전 선로 접압 및 전류 측정, 제어 장치 휴즈 및 조작 전원, 바인드 이탈 |
부하밀집선로 | 전주 균열, 건물과 안전 거리 확보, 전선 부식, 접속부 발열 |
노후 선로 | 종단접속재 오염, 단말 처리 손상, 카바류 손상 |
고장 다발 선로 | 고장 원인 조사 |
구분 | 외물 접촉 | 기자재 열화 | 풍수해 | 타사고 파급 | 일반인 과실 | 기타 | 합계 | |
'03 | 249 | 488 | 205 | 216 | 326 | 158 | 1,642 | |
'04 | 252 | 481 | 223 | 185 | 285 | 164 | 1,590 | |
'05 | 226 | 404 | 238 | 250 | 219 | 150 | 1,487 | |
3년 평균 | 건 | 242 | 458 | 222 | 217 | 277 | 157 | 1,573 |
점유율(%) | 15 | 29 | 14 | 14 | 18 | 10 | 100 |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에서의 설정 주파수 및 음성 신호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량 배전설비에서 방출되는 고주파 잡음신호를 도 4a의 고주파 잡음 주파수 모니터링 수신기(22)가 검출하면 이를 분석 및 기록장치(23)에 통보하고 이를 새로운 감시대상 주파수로 등록한 후에 잡음신호 비교 및 등급판정 수신기(25)가 새로 등록된 주파수에 공조(Tuning)하여 복조된 음성신호가 부분방전 특성을 가진 전원잡음을 가졌는지 확인하여 도 5와 같은 음성신호 특성을 갖는 경우에 이를 설정된 주파수라 한다.
즉, 새로운 고주파 잡음신호가 검출되고 이 주파수의 복조된 음성 출력이 전원주파수 잡음 특성을 갖는 경우에 이를 연속감시하고 또한 동시에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와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해 이를 설정 주파수라 정의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는 설정된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RF Signal)을 복조하여 중간주파로 바뀐 후 최종 음성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말하며 도 4b 와 도 4c의 음성주파 증폭기(36)을 통과한 신호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감시 대상 주파수를 연속으로 감시하여 고주파 신호와 설정 주파수의 잡음 신호를 제거한 음성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전선로에 설치된 절연불량 물체는 도 5에서와 같이 전원주파수(60Hz 또는 50Hz)에 동기된 음성신호를 포함한 고주파 잡음 신호를 도 7b 및 도 7c에서와 같이 전 대역 주파수에 걸쳐 방출한다.
이에 따라 도 7a 및 도 8에서와 같이 배전선로를 순시하고자 하는 지역에서의 방송 및 무선국 주파수를 우선적으로 파악하여 정상적인 무선주파수에 대해서는 스캔 제외 대상으로 등록하여 측정 시간을 단축한다.
그리고 스캔 제외 주파수가 아닌 잡음 신호가 없는 깨끗한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여 연속으로 감시하다가 일정값(-90dBm) 이상의 신호가 검출되면 바로 이 주파수 정보를 잡음신호 비교 및 등급판정 수신기로 보내 이 주파수에 고정하여 감시한다.
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판정 수신기는 먼저 신규 등록된 감시 대상 주파수에서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배전설비 불량에 의한 잡음이라 판단되면 다음 단계인 비교 판정을 하기 위한 설정주파수로 지정하고, 만약 배전설비 불량에 의한 잡음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를 스캔 제외 대상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도 11에서 같이 GPS 신호를 포함한 고주파 전계 강도 레벨을 측정하고 동시에 도 10에서 같이 전원주파수 필터를 통과한 음성신호 레벨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다.
즉, 설정주파수가 신규 등록되면, 잡음신호 비교 및 등급판정 수신기는 기 등록된 다른 설정 주파수들과 음성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이의 등급을 판정하게 되는데 이의 순서는 잡음 신호 비교 단계 및 잡음 등급 판정 단계로 구분한다.
잡음 신호 비교 단계는, 신규 등록된 설정주파수에 공조(Tuning)한 후 필터 삽입 전의 음성신호(고주파 전계강도 값)와 삽입 후의 필터링된 음성신호 값을 비교 측정하고 두 음성 신호레벨 찻값을 메모리에 기록한다. 그리고 다른 등록된 설정주파수에 공조하여 똑같이 필터 삽입전과 후의 음성 출력 레벨을 비교 측정하고 이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잡음 등급 판정 단계는, 상기 잡음신호 비교 후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찻값이 제일 큰 신호 주파수를 파악하고 이 신호보다 더 높은 주파수의 설정 주파수가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도 13에서와 같이 주파수가 높을수록 도달거리가 짧으므로, 설정 주파수 중 제일 높은 주파수와 제일 차이값이 큰 주파수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도 12a 내지 도 12d에서와 같이 등급을 판정하고, 등급 판정이 끝나면 해당 레벨에 정의된 경보를 발생하고 이를 기록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90dBm은 본 발명의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 설비 검출 시스템에서 고주파 잡음 신호 검출 문턱값으로 설정한 것으로 이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부연하면, 배전설비에서 선로고장은 절연파괴(Breakdown)현상에 의해 일어나며,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절연물질 내부 또는 외부의 취약개소에서 국부적인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전원전압의 매 싸이클의 상승 최대점과 하강 최저점 이전에 미소한 에너지의 충방전 현상이 일어나며 이와 같은 아주 짧은 순간의 충방전 현상에 의한 고주파 신호의 잡음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이의 주파수는 도 7b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수십에서 수백MHz의 주파수에 공진하여 자유공간의 방사 또는 전력을 타고 전도하여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데 절연불량 현상이 진행됨에 따라 방사되는 에너지가 커지고 점유하는 주파수 대역도 넓어진다.
이와 같이 수백MHz의 주파수에 공진된 잡음신호라도 이를 일반 수신기와 같이 복조하면 전원 주파수에 동기된 음성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비교 분석하여 자유공간에서 배전선로에 설치된 불량설비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을 쉽게 검출하고 이를 판정하는 것이다.
Claims (14)
- 배전 설비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잡음을 분석하여 불량 개소를 검출하기 위하여,수신된 고주파 신호중 진폭변조 형태의 무선잡음 주파수 존재 여부를 연속으로 감시하고 설정 크기 이상의 주파수를 감시대상 리스트에 등록시키는 고주파 잡음 모니터링 수신기;상기 등록된 감시대상 주파수를 연속으로 감시하여 고주파 신호와, 설정 주파수의 잡음 신호를 제거한 음성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이를 등급별로 구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 판정 수신기;상기 수신기들을 통하여 취득된 정보를 지형도에 표시하고 검출 결과를 분석하고 기록하기 위한 분석 및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은,활선 상태에서 주상 승주 작업 없이 지상에서 주상 설비의 운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중에 고주파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은,전력회사에서 운영중인 배전관리시스템(NDIS)으로부터 순시대상 배전선로의 설치정보를 받아 이를 이용하여 순시 경로를 작성하고, 최적의 경로로 대상 배전선로를 순시 시행하여 취득된 정보의 분석 및 측정 시간, 측정 위치 정보, 이동 속도, 진행 방향이 같이 기록되도록 하기 위하여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순시 차량에 탑재되어 배전 설비의 불량 개소를 검출하기 위하여,배전 선로 설비에서 방사되는 무선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수신된 고주파 신호중 진폭변조 형태의 무선잡음 주파수 존재 여부를 연속으로 감시하고 설정 크기 이상의 주파수를 감시대상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고주파 잡음 모니터링 수신기;상기 감시대상 주파수를 연속으로 감시하여 고주파 신호와, 설정된 주파수의 잡음신호를 제거한 음성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이를 등급별로 구별하고 위험 가능성이 있는 개소에서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 판정 수신기;전력회사에서 운영중인 배전관리시스템(NDIS)으로부터 순시대상 배전선로의 설치정보를 받아 이를 이용하여 순시 경로를 작성하고, 최적의 경로로 대상 배전선로를 순시 시행하여 취득된 정보의 분석 및 잡음 측정 대상 설비 위치 및 측정시간, 순시 차량의 이동 속도, 진행 방향의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GPS 수신기;상기 수신기들을 통하여 취득된 정보를 지형도에 표시하고 이의 등급별 위험 도를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검출 결과를 분석하고 기록하기 위한 분석 및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고주파 잡음 모니터링 수신기는,10 ~ 6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연속으로 감시하고, 고주파 잡음 신호 검출 문턱값으로 설정된 -90dBm 이상의 주파수를 감시대상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 판정 수신기는,잡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주파수 크기가 6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 판정 수신기는,고주파 유입신호에서 전력선에서 발생되는 형태의 임펄스성 잡음성분 포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음성 신호 출력 제한 회로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시스템.
- 배전 설비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잡음을 분석하여 불량 개소를 검출하기 위하여,고주파 잡음 분석을 위하여 수신된 주파수를 스캔 처리하는 단계;상기 스캔 단계에서 등록된 주파수의 전원 주파수 잡음을 처리하는 단계;상기 고주파 잡음 전계 강도와 잡음처리 후의 음성신호를 비교하는 단계;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고주파 잡음 등급 표시하고, 고주파 잡음 분석 결과에 따른 경보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이들 처리 단계가 시스템을 탑재한 순시 차량의 이동중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수신된 주파수를 스캔 처리하는 단계는,무선주파 잡음 신호 수신 안테나에 고주파 잡음 모니터링 수신기 및 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 판정 수신기를 연결하고,고주파 잡음 모니터링 수신기를 이용하여 진폭변조 형식의 무선잡음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연속으로 스캔하는 단계와,상기 스캔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무선 잡음 신호가 있는 주파수를 기록하는 단계와,기록된 주파수가 이전 등록 주파수가 아닌 경우에는 감시 대상 주파수인 것으로 판단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된 주파수를 스캔 처리하는 단계에서,10 ~ 6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연속으로 감시하고, 고주파 잡음 신호 검출 문턱값으로 설정된 -90dBm 이상의 주파수를 감시대상 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주파수의 전원 주파수 잡음을 처리하는 단계는,잡음 신호 비교 및 등급 판정 수신기를 이용하여 감시 대상 주파수 리스트에 있는 주파수를 연속으로 공조(Tuning)하는 단계와,각 주파수별 무선주파 전계 강도 레벨값을 측정하고 시간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잡음 전계 강도와 잡음처리 후의 음성신호를 비교하는 단계는,60Hz 전원 잡음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60Hz 전원 잡음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무선 주파 신호를 복조기를 거쳐 60Hz 잡음필터를 통과시켜 잡음을 소거하는 단계와,잡음 제거 및 각 주파수별 무선주파 전계 강도 레벨값의 저장이 이루어지면 무선주파 전계 강도값과 필터를 통과한 음성신호 레벨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잡음 등급 표시하고, 고주파 잡음 분석 결과에 따른 경보처리 하는 단계는,무선주파 신호에 포함된 전원잡음 등급을 구간별로 나누어 결정하는 단계와,결정된 잡음 등급을 이전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와,동일 레벨인 경우에는 동일 잡음 등급을 표시하고, 다른 레벨인 경우에는 새로운 잡음 등급을 표시하는 단계와,잡음 등급이 설정된 레벨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설정 등급 이상인 경우에는 잡음 등급에 따른 경보 레벨을 결정하고, 잡음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고주파 잡음 분석이 이루어지면,획득된 정보를 지도상에 각각의 위험도에 따라 다르게 분석 및 기록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순시 및 불량설비 검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394A KR100795190B1 (ko) | 2007-04-23 | 2007-04-23 |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PCT/KR2008/002293 WO2008130184A1 (en) | 2007-04-23 | 2008-04-23 | Apparatus and method for patrolling medium voltage power distribution line and pin-pointing the degraded component before its fail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9394A KR100795190B1 (ko) | 2007-04-23 | 2007-04-23 |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5190B1 true KR100795190B1 (ko) | 2008-01-16 |
Family
ID=3921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9394A KR100795190B1 (ko) | 2007-04-23 | 2007-04-23 |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5190B1 (ko) |
WO (1) | WO2008130184A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736B1 (ko) | 2007-12-17 | 2009-11-04 | 한국전기안전공사 | 전력설비의 방전 자외선 이미지 분석 방법 |
KR101174254B1 (ko) | 2012-06-11 | 2012-08-14 | 송원순 | 지능형 전력망 기반의 계량기 데이터 관리시스템 |
KR101488184B1 (ko) * | 2012-07-31 | 2015-02-02 | 이현창 | 지아이에스 매핑 정보를 이용한 불량 전력설비 검출 시스템 |
KR20180076637A (ko) | 2016-12-28 | 2018-07-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
RU2731169C1 (ru) * | 2019-12-30 | 2020-08-31 | ОАО "Сетевая компания" | Датчик для системы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иру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
CN117353833A (zh) * | 2023-09-22 | 2024-01-05 | 恩平市天行电子科技有限公司 | 基于干扰检测的无线信号接收方法及相关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53816B4 (de) * | 2010-12-08 | 2015-02-12 | Audi Ag |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s Lichtbogens und zugehöriges Verfahren |
CN109239505B (zh) * | 2016-08-18 | 2020-12-22 | 安徽瑞邦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避雷器试验装置 |
CN115128415B (zh) * | 2022-08-26 | 2022-11-22 | 北京鼎诚鸿安科技发展有限公司 | 配电站室状态测试平台与方法 |
CN117993696B (zh) * | 2024-04-07 | 2024-06-21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巢湖市供电公司 | 基于无人机电力巡检的风险管理系统及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5593A (ko) * | 1997-09-13 | 1999-04-06 | 이종규 | 부분방전 온-라인 진단시스템 |
KR20030043396A (ko) * | 2001-11-28 | 2003-06-02 | 한국전력공사 |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송전선 진단장치와 그 방법 |
KR20050031578A (ko) * | 2003-09-30 | 2005-04-06 | 최상준 | 삼상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
KR100503215B1 (ko) | 2003-04-04 | 2005-07-25 | 서효성 | 전력용 설비의 이상신호 진단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29145A (en) * | 1992-07-30 | 1998-03-17 |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rcing in AC power systems by monitoring high frequency noise |
US5434509A (en) * | 1992-07-30 | 1995-07-18 | Blades; Frederick K.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rcing in alternating-current power systems by monitoring high-frequency noise |
US5359293A (en) * | 1993-06-03 | 1994-10-25 |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 Electrical cable arcing fault detection by monitoring power spectrum in distribution line |
JP2993931B2 (ja) * | 1998-05-12 | 1999-12-27 | 北陸電力株式会社 | 部分放電検知方法 |
-
2007
- 2007-04-23 KR KR1020070039394A patent/KR1007951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4-23 WO PCT/KR2008/002293 patent/WO200813018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5593A (ko) * | 1997-09-13 | 1999-04-06 | 이종규 | 부분방전 온-라인 진단시스템 |
KR20030043396A (ko) * | 2001-11-28 | 2003-06-02 | 한국전력공사 |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송전선 진단장치와 그 방법 |
KR100503215B1 (ko) | 2003-04-04 | 2005-07-25 | 서효성 | 전력용 설비의 이상신호 진단시스템 |
KR20050031578A (ko) * | 2003-09-30 | 2005-04-06 | 최상준 | 삼상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736B1 (ko) | 2007-12-17 | 2009-11-04 | 한국전기안전공사 | 전력설비의 방전 자외선 이미지 분석 방법 |
KR101174254B1 (ko) | 2012-06-11 | 2012-08-14 | 송원순 | 지능형 전력망 기반의 계량기 데이터 관리시스템 |
KR101488184B1 (ko) * | 2012-07-31 | 2015-02-02 | 이현창 | 지아이에스 매핑 정보를 이용한 불량 전력설비 검출 시스템 |
KR20180076637A (ko) | 2016-12-28 | 2018-07-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
RU2731169C1 (ru) * | 2019-12-30 | 2020-08-31 | ОАО "Сетевая компания" | Датчик для системы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изолирую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
CN117353833A (zh) * | 2023-09-22 | 2024-01-05 | 恩平市天行电子科技有限公司 | 基于干扰检测的无线信号接收方法及相关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130184A1 (en) | 2008-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5190B1 (ko) | 가공 배전선로 순시와 불량설비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
DE68920198T2 (de) | Abnormitäts-Diagnosesystem für eine Hochspannungsanlage. | |
CN111323679B (zh) | 监视铁路车辆中的悬链线-受电弓相互作用的监视设备 | |
EP2050212B1 (en) |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artial discharge of a power line | |
KR101235777B1 (ko) | 복합진단장비를 이용한 인공지능형 전력설비 진단 판정시스템 | |
KR102148618B1 (ko) | 전력케이블 진단 장치, 전력케이블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케이블 진단 방법 | |
US20110012586A1 (en) | Method for detecting, identifying and locating partial discharges occurring in a discharge site along an electric apparatus | |
KR101488184B1 (ko) | 지아이에스 매핑 정보를 이용한 불량 전력설비 검출 시스템 | |
JPH0746116B2 (ja) | 交流―空中架線でのエネルギー損失によって生起する欠陥個所を電子的に検出する為の検査装置 | |
DE102012105414A1 (de) | Überwachung und Diagnose von Fehlern elektrischer Unterstationen | |
Steennis et al. | Guarding MV cables on-line: With travelling wave based temperature monitoring, fault location, PD location and PD related remaining life aspects | |
CN103412246A (zh) | 基于紫外视频的电力设备异常放电自动检测方法 | |
Huecker et al. | UHF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and expert system diagnosis | |
JP4440010B2 (ja) | 電気設備点検方法及び装置 | |
CN102540025A (zh) | 一种基于宽比模型的紫外光子计数方法 | |
Shahid et al. | Health diagnosis scheme for in-service low voltage Aerial Bundled Cables using super-heterodyned airborne Ultrasonic testing | |
Wong et al. | A novel autonomous technique for early fault detection on overhead power lines | |
KR100915633B1 (ko) | 고주파 잡음 신호 변화량 비교에 의한 가공 배전 선로불량설비 검출 장치 및 방법 | |
JP2013213751A (ja) | 車両推進制御装置の異常監視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Avidar | Electronic airborne inspection method for overhead transmission power-lines | |
Colloca et al. | Comparison among different diagnostic systems for medium voltage cable lines | |
Yeo et al. | On-lin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on transformer cable sealing ends in Singapore's transmission network | |
CN116131214A (zh) | 数字化消谐装置的网络管理系统及使用方法 | |
KR102243313B1 (ko) | 부분방전 판단 방법 및 진단 시스템 | |
Styskala et al. | The operation principles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ed system for arc disturbances control for AC and DC electrified railway li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