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495B1 -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 Google Patents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1495B1 KR100771495B1 KR1020070010317A KR20070010317A KR100771495B1 KR 100771495 B1 KR100771495 B1 KR 100771495B1 KR 1020070010317 A KR1020070010317 A KR 1020070010317A KR 20070010317 A KR20070010317 A KR 20070010317A KR 100771495 B1 KR100771495 B1 KR 100771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layer
- layer
- vibration
- building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abstract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941 photo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2
- NEHMKBQYUWJMIP-UHFFFAOYSA-N 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 NEHMKBQYUWJM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TUBCCKSQIDNK-UHFFFAOYSA-N Isobutene Chemical group CC(C)=C VQTUBCCKSQIDN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959 is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SFSSNUMVMOOMR-NJFSPNSNSA-N methanone Chemical compound O=[14CH2] WSFSSNUMVMOOMR-NJFSPNSN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0176 methyl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UWGUJSXVOBPHP-UHFFFAOYSA-B titanium(4+);tetraphosphate Chemical compound [Ti+4].[Ti+4].[Ti+4].[O-]P([O-])([O-])=O.[O-]P([O-])([O-])=O.[O-]P([O-])([O-])=O.[O-]P([O-])([O-])=O JUWGUJSXVOBPHP-UHFFFAOYSA-B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167 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20 waste ty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바닥구조물 또는 벽체의 내부에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층간 소음과 진동에 대한 우수한 방음방진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구현되고, 건축물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이 주변의 상황에 관계없이 산화분해되도록 한 구성을 추가하여 항상 괘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및 이를 이용한 층간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기 위해 양 외측에 1, 2차 완충고무층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1, 2차 완충고무층에서 감쇄된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기 위해 크로스셀 입자를 갖는 고무를 발포성형한 발포고무층이 개재된 합성고무층과; 상기 합성고무층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마감몰탈층에 결합되기 위한 접착력을 부여하며, 합성고무층으로 진행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합성고무층에서 흡수되고 잔여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는 뷰틸고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합성고무층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해 상,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 중 2차 완충고무층에 형성된 것은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끝단이 막혀진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를 제공한다.
건축물, 벽체, 층간소음재, 방음방진, 뷰틸
Description
도 1은 종래 방음방진 내장구조가 시공된 건축물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가 설치된 건축물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의 방음방진 내장재 중 합성고무층의 통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가 시공되는 상태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추가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산소촉매층 11, 20: 합성고무층
11a, 30: 통공 12: 제 1 뷰틸고무층
13: 제 2 뷰틸고무층 14, 40: 이형지
21: 1차 완충고무층 22: 발포고무층
23: 2차 완충고무층
본 발명은 방음방진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바닥구조물 또는 벽체의 내부에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층간 소음과 진동에 대한 우수한 방음방진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구현되고, 건축물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이 주변의 상황에 관계없이 산화분해되도록 한 구성을 추가하여 항상 괘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크게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벽면이 시공되고 벽면의 상측에 지붕이 시공되어 완성된다. 이와 같은 건축물 중 아파트, 빌라, 공동건물 등은 이웃간의 거주(주택, 사무실 등의 개념을 포함하여) 간격이 각 공간을 구분하는 벽체 및 층간 구조물에 의해 구분되어 상, 하, 좌, 우로 대단히 근접된 상태로 시공된다.
이와 같이, 거주 간격이 근접된 건축물은 공기음(sound)이 전달되어 발생되는 소음과 고체음(vibration)이 전달되어 발생되는 진동이 상호간의 거주공간에 간 섭되지 않도록 하여 개인의 주거환경을 침해하지 않도록 함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하고 있다. 특히, 상기 소음과 진동은 최근 개개인의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스트레스의 큰 요인이 되며, 심각하게는 이웃간의 불화를 야기시키는 요인이 되어 대부분의 건축물 각 공간을 구분하는 벽체와 층간 구조물에는 방음방진 내장구조가 설치되어 시공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방음"은 공기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차음(遮音)과 흡음(吸音)을 의미하며, "방진"은 고체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防振)과 제진(制振)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도 1은 상기된 종래의 방음방진 내장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음방진 내장구조는 최초시공된 콘크리트 슬리브층(1)의 상부에 가장 먼저 층간소음재로 방음방진재(2)를 얹고, 방음방진재(2)의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3)을 생성한다. 이 후, 기포콘크리트층(3)의 상부에 각 공간의 난방을 수행하는 온수파이프(4)를 배열하고, 이를 은폐시키며 마감몰탈층(5)을 양생한 다음 마감몰탈층(5)이 건조되면, 탄력이 우수한 장판(6) 등을 얹어 공간의 바닥면을 마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음방진재(2)는 에틸렌 계열의 수지를 발포하여서 된 발포 스틸렌 또는 적정두께의 발포고무 등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방음방진재(2)는 끝단을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여 슬리브층(1)에서 입설된 벽체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슬리브층(1)에 전달된 소음, 진동이 벽체에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된 건축물은 외부의 환경상황(기온, 오염도 등)에 따라 외부와 차 단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건축물 내부가 차단됨에 따라 실내에는 상당한 오염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상기 오염물질은 실내가 외부와 차단되어 환기가 제때 수행되지 못할 경우, 다량의 세균, 바이러스 등이 실내에 번식하게 된다. 특히, 신축된 건축물에서는 "새집증후군"이라 하여 다량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포르말린) 등의 오염물질이 함께 방출되어 거주자의 건강상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광촉매제가 사용되고 있다. 광촉매제란 빛을 받아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일컫는데 이산화티타늄이 주성분으로 대부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 고리를 끊어 유해성분을 차단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촉매제는 주로 분무용기에 넣어져 스프레이방식으로 실내에 도포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음방진 내장구조는 콘크리트 슬리브층 상에 방음방진재가 바로 얹혀지기 때문에 상이한 재료의 적층에 따라 방음방진재는 콘크리트 슬리브층과의 잦은 결합불량이 발생되어 방음방진재와 콘크리트 슬리브층의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간격은 층간구조물에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 또는 차단하는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특히, 상기 공간의 바닥면에 복합적인 소음과 진동이 발생될 경우 간격 사이에서 공진이 발생되어 소음과 진동을 더 심화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방음방진재가 콘트리트 슬리브층에 바로 적층되고, 그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상이한 재료의 적층에 따른 까다로운 작업조건을 갖게 된다. 특히, 상기 방음방진재의 상부에 기포콘크리트층과 마감몰탈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방음방진재의 작업불량 등을 이유로 방음방진재를 교체하는 등의 재시공시 기포콘크리트층과 마감몰탈층을 걷어내고 방음방진재를 교체한 후 기포콘크리트층과 마감몰탈층을 다시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의 지연 및 과도한 시공경비를 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는 소음이 되는 공기전달음을 차단하는 효율은 높으나, 층간소음재가 마감몰탈층의 하측에 위치되어 진동이 되는 고체전달음은 마감몰탈층을 경유하며 사방 측면의 벽체를 통해 위, 아래 층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된 방음방진재는 소음을 차단하는 효율은 기대할 수 있는 반면, 진동을 차단하는 효율은 대단히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특히, 전술된 것과 같이 절곡된 형태의 방음방진재는 그 제작이 대단히 불편할 뿐만아니라 이를 보수하기 위한 작업 역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 새집증후군을 해소하기 위한 스프레이방식의 광촉매제 도포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도포상태가 고르지 않게 될 수 있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실내구간에 대한 도포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된 광촉매제는 특성상 자연광이 조사되는 상황에서 촉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일몰 이 후 등 빛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광촉매가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바닥구조 또는 벽체의 내부에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층간 소음과 진동에 대한 우수한 방음방진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건축물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이 주변상황에 관계없이 산화분해되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주거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기 위해 양 외측에 1, 2차 완충고무층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1, 2차 완충고무층에서 감쇄된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기 위해 크로스셀 입자를 갖는 고무를 발포성형한 발포고무층이 개재된 합성고무층과; 상기 합성고무층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마감몰탈층에 결합되기 위한 접착력을 부여하며, 합성고무층으로 진행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합성고무층에서 흡수되고 잔여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는 뷰틸고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합성고무층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해 상,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 중 2차 완충고무층에 형성된 것은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끝단이 막혀진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합성고무층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해 상,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 중 2차 완충고무층에 형성된 것은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끝단이 막혀진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뷰틸고무층 중 실내측 뷰틸고무층의 면에 산소촉매제가 도포형성되어 실내로 발산되는 유해물질 입자를 흡수하고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는 산소촉매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층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해 상,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삭제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가 설치된 건축물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는 산소촉매층(10), 합성고무층(11), 제 1 뷰틸고무층(12), 제 2 뷰틸고무층(13)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에서는 방음방진 내장재가 층간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산소촉매층(10)은 기본적으로 제 1 뷰틸고무층(12)의 실내측 면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산소촉매층(10)은 압축스폰지 등의 격자공간을 갖는 발포(foaming)부재의 내부로 액상의 산소촉매제를 도포하여 격자공간을 구성하는 주변의 면에 산소촉매제 코팅되도록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산소촉매층(10)은 단위체적당 산소촉매제와 공기와의 접촉량을 증가시켜 보다 높은 공기정화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산소촉매제는 인산 이산화티타늄을 물 또는 알코올에 용해하여 분산된 상태로 형성하며, 빛의 존재여부에 관계없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실내의 여러 화학수지, 건축자재 및 가구 등에서 방출되는 VOC,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해물질을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기술내용은 주지된 것과 같으므로 이상의 기재를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산소촉매층(10)은 건축물의 산소촉매제가 도포되어 실내로 발산되는 유해물질 입자를 흡수하고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 합성고무층(11)은 산소촉매층(10)의 하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산소촉매층(10)과 합성고무층(11)의 사이에는 제 1 뷰틸고무층(12)이 개재되어 산소촉매층(10)과 합성고무층(11)과의 접착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합성고무층(11)은 건축물, 특히 건축물의 벽체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전달음인 소음과 고체전달음인 진동을 흡수하여 방음방진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추가되는 구성으로, 상기 합성고무층(11)은 상기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해 다수의 통공(11a)이 상,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한다는 의미는 합성고무층(11)에서 흡수된 후 잔여하는 소음과 진동이 합성고무층(11)의 각 통공(11a)으로 유출되고, 이와 같이 통공(11a)으로 유출된 소음과 진동은 후술될 상, 하부의 제 1 뷰틸고무층(12), 제 2 뷰틸고무층(13)에 의해 밀폐된 통공(11a)이 에어쿠션의 역활을 수행함에 따라 해소되는 상태를 의미 한다.
또한, 상기 통공(11a)은 합성고무층(11)의 평면 상 도면에서는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사각, 삼각, 별표 형태 등의 다각형태로 형성하여 통공(11a)의 형태에 따라 향상된 소음과 진동의 필터링를 수행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각이 증가된 형태가 될 수록 필터링하는 면적이 넓어져 높은 필터링 효율 발생함)
또한, 상기 통공(11a)은 합성고무층(11)의 단위 체적당 28체적% ~ 38체적%가 되도록 통공(11a)을 균일하게 배열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통공(11a)이 28체적% 미만일 경우 합성고무층(11)에서 흡수되고 잔여하는 소음과 진동이 통공(11a)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정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통공(11a)이 38체적%를 초과할 경우 합성고무층(11) 자체의 물리적강성을 낮추게 되어 초기에 전달된 소음과 진동의 흡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상기 합성고무층(11)은 여러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최근 재활용의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폐타이어를 소결하고 고형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뷰틸고무층(12)과, 제 2 뷰틸고무층(13)이 상당한 고가인 것을 감안하면 제품을 저가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제 1 뷰틸고무층(12)은 전술된 것과 같이, 산소촉매층(10)과 합성고무층(11)의 사이에 개재되어 산소촉매층(10)과 합성고무층(11)의 접착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 1 뷰틸고무층(12)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1 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뷰틸고무(또는 부틸고무, Isobutylene-Isoprene rubber)는 이소부틸렌과 소량의 이소프렌을 낮은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이중 중합한 고무로 "IIR"이라 약칭되며, 순도 99중량% 이상의 이소부틸렌에 1.5 ~4.5중량%의 이소프렌 혼합물과 순수한 메틸클로라이드를 넣고 촉매제로 무수염화알루미늄을 넣은 뒤 중합반응기에 넣어 약 -100℃의 낮은 온도에서 중합하여 제작된다.
상기 뷰틸고무는 기후의 변화에 잘 견디고 불포화결합이 적어 열이나 오존, 산화제에 강하며, 전기절연성이 우수하고 특히 충격을 잘 흡수하여 충격방지제로 많이 사용되는 것임은 주지된 것과 같다.
상기 제 2 뷰틸고무층(13)은 합성고무층(11)과 건축물의 마감몰탈층(5) 사이에 개재되어 합성고무층(11)과 마감몰탈층(5)의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2 뷰틸고무층(13)은 합성고무층(11)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흡수된 후, 잔여할 경우 이를 대부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뷰틸고무층(13)에는 이형지(14)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형지(14)는 뷰틸고무의 특성상 제 2 뷰틸고무층(13)이 상당한 접착력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을 마감몰탈층(5)에 부착하기 전에 접착면을 보호하고, 접착면에 이물질이 부착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이형지(14)의 제 2 뷰틸고무층(14)과 결합되는 면에는 실리콘이 도포되어 이형지(14)가 제 2 뷰틸고무층(13)에 늘어붙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제 1 뷰틸고무층(12)과, 합성고무층(11) 및 제 2 뷰틸고무층(13)의 두께 비율은 전체를 10으로 가정하는 단위두께 당 1:8:1의 두께 비율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 뷰틸고무층(12)과 제 2 뷰틸고무층(13)이 1의 비율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될 경우 상당한 량의 소음과 진동이 외부로 유출되고, 1의 비율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경우 소음과 진동의 방음방진 효율은 별 차이가 없지만 뷰틸의 가격으로 인해 전체적인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가 시공되는 상태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내장재는 이형지(14)를 제거하고 이형지가 제거된 접착면을 마감몰탈층(5)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과정에서 상기 내장재는 종래의 층간소음재인 발포 스틸렌 등의 방음방진재(2)를 대신하는 구성으로 이에 따라 층간구조물의 시공순서가 재 설정된다.
상기 층간구조물의 시공은 콘크리트 슬리브층(1)에 바로 기포콘크리트층(3)을 형성하고, 기포콘크리트층(3)의 상면에 마감몰탈층(5)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마감몰탈층(5)은 기포콘크리트층(3)에 온수파이프(4)를 배열하고 이를 몰딩하는 형태로 형성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이 후, 마감몰탈층(5)의 상부에 전술된 내장재를 부착하고, 그 상면을 장판 등으로 마감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방음방진 내장재는 종래의 층간소음재가 마감몰탈층(5) 보 다 하측에 위치되어 고체전달음인 진동을 흡수하기가 어려운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는 마감몰탈층(5)의 상부에 위치하여 고체전달음인 진동이 마감몰탈층(5)을 경유할 때, 이를 대부분 흡수하게 되어 방진효율이 특히 우수하다.
특히, 상기 제 1 뷰탈고무층(12), 합성고무층(11), 제 2 뷰탈고무층(13)은 그 측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벽면을 통해 발생되어 전달되는 소음,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방음방진재를 절곡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는 발포 스틸렌 등의 종래 방음방진재에 비해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층간구조물 외에도 바닥면과 수직한 벽체 또는 천장에 손쉽게 부착하여 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벽체와 천장 시공시에도 본 발명에 의한 방음방진 내장재는 벽체 및 천장의 마감몰탈에 제 2 뷰틸고무층(13)을 접착한 후 그 외면에 벽지 등을 도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산소촉매층(10)에 각종 무늬, 모양, 색채 등을 표현하면 별도의 벽지 없이도 실내 인테리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추가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추가실시예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는 합성고무층(20)을 다수의 겹으로 제작하여 보다 향상된 방음방진효율을 얻도록 한 구성을 제시한다.
상기 합성고무층(20)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1, 2차 완충고무층(21, 23)의 사이에 발포고무층(22)이 개재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1, 2차 완충고무층(21, 23)은 일반적인 조직형태의 합성고무를 적용하여 제작되며, 상기 발포고무층(22)은 크로스셀 입자를 갖는 고무를 발포성형하여 제작된다. 즉, 상기 발포고무층(22)은 1차 완충고무층(21)과 2차 완충고무층(23)에서 감쇄된 소음과 진동을 완전히 흡수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합성고무층(20)에는 원실시예에서와 같이 상, 하면을 관통하여 통공(30)이 형성되는데, 이 때, 상기 통공(30)은 1차 완충고무층(21)과 발포고무층(22)을 완전히 관통한 상태에서 2차 완충고무층(23)은 홈의 형태로 끝단이 막혀진 상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통공(30)의 구성은 에어큐션 기능을 수행하며 합성고무층(20)으로 수집된 잔여소음 및 진동이 2차 뷰틸로 전달되기 이전에 막혀진 2차 완충고무층(23)에서 여과하여 최소화된 소음과 진동을 2차 뷰틸고무층(13)으로 전달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추가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통공은 원실시예의 다른실시예로 제시된 여러 형태의 통공모양을 갖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1차 뷰틸고무층(12)의 상면에는 원실시예에서와 같이 산소촉매층(1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상부에 도면에서와 같이 이형지(40)가 마련되어 이형지(40)의 외면에 자사의 로고, 상품명 등을 표시하여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방음방진층이 접착방식에 의해 마감몰탈 상부에 형성되어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방음방진층이 형성되고 마감몰탈과의 접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져 층간 소음과 진동에 대한 우수한 방음방진 성능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촉매층이 형성되어 건축물에서 발산되는 유해물질이 주변의 상황에 관계없이 장기간 산화분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항상 괘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실내 거주자가 딱딱한 마감몰탈 상면이 아닌 적당한 탄력(부틸고무와 합성고무층에 의해)을 갖는 방음방진 내장재 상에서 활동하여 거주자의 신체, 특히 무릅 등으로 전달되는 충격의 완화 및 유아가 넘어져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대폭감소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0)
-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기 위해 양 외측에 1, 2차 완충고무층(21, 23)이 배치되고, 그 사이에 1, 2차 완충고무층(21, 23)에서 감쇄된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기 위해 크로스셀 입자를 갖는 고무를 발포성형한 발포고무층(22)이 개재된 합성고무층(20)과; 상기 합성고무층(2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건축물의 마감몰탈층(5)에 결합되기 위한 접착력을 부여하며, 합성고무층(20)으로 진행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합성고무층(20)에서 흡수되고 잔여하는 공기전달음과 고체전달음을 흡수하는 뷰틸고무층(12, 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합성고무층(20)은, 건축물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해 상,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30)이 형성되며, 이 통공(30) 중 2차 완충고무층(23)에 형성된 것은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끝단이 막혀진 홈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뷰틸고무층(12, 13) 중 실내측 뷰틸고무층(12)의 면에 산소촉매제가 도포형성되어 실내로 발산되는 유해물질 입자를 흡수하고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는 산소촉매층(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마감몰탈층(5)과 결합되는 제 2 뷰틸고무층(13)에는 이형지(14)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60043161 | 2006-05-12 | ||
KR1020060043161 | 2006-05-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1495B1 true KR100771495B1 (ko) | 2007-10-30 |
Family
ID=3881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317A KR100771495B1 (ko) | 2006-05-12 | 2007-01-31 |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149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074B1 (ko) | 2007-09-06 | 2008-01-10 | 김부열 |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층간 소음 저감패널 |
KR100914333B1 (ko) * | 2008-01-09 | 2009-08-31 | 김재경 | 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
KR101050059B1 (ko) | 2009-01-19 | 2011-07-19 | 아주산업 주식회사 |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 |
KR101285974B1 (ko) * | 2011-09-15 | 2013-07-12 | 김현희 |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
KR101953900B1 (ko) * | 2018-09-19 | 2019-03-27 | (주)건축사사무소광장 | 공동주택 층간 방음구조 |
KR102038064B1 (ko) * | 2018-12-26 | 2019-10-30 | 주식회사 휴나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방음 내장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642A (ko) * | 1998-05-08 | 1999-12-06 | 김충세 | 광촉매가 첨가된 바닥재 |
KR20010027935A (ko) * | 1999-09-16 | 2001-04-06 | 권문구 |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
KR20040083046A (ko) * | 2004-09-08 | 2004-09-30 | (주)모토모 | 자동차용 방음방진패드 |
KR20050076998A (ko) * | 2004-05-25 | 2005-07-29 | 신인류건설(주) | 건물의 차음장치 |
-
2007
- 2007-01-31 KR KR1020070010317A patent/KR1007714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4642A (ko) * | 1998-05-08 | 1999-12-06 | 김충세 | 광촉매가 첨가된 바닥재 |
KR20010027935A (ko) * | 1999-09-16 | 2001-04-06 | 권문구 |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건축물 뜬바닥 구조 및 뜬바닥 시공방법 |
KR20050076998A (ko) * | 2004-05-25 | 2005-07-29 | 신인류건설(주) | 건물의 차음장치 |
KR20040083046A (ko) * | 2004-09-08 | 2004-09-30 | (주)모토모 | 자동차용 방음방진패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074B1 (ko) | 2007-09-06 | 2008-01-10 | 김부열 |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층간 소음 저감패널 |
KR100914333B1 (ko) * | 2008-01-09 | 2009-08-31 | 김재경 | 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
KR101050059B1 (ko) | 2009-01-19 | 2011-07-19 | 아주산업 주식회사 |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 |
KR101285974B1 (ko) * | 2011-09-15 | 2013-07-12 | 김현희 |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
KR101953900B1 (ko) * | 2018-09-19 | 2019-03-27 | (주)건축사사무소광장 | 공동주택 층간 방음구조 |
KR102038064B1 (ko) * | 2018-12-26 | 2019-10-30 | 주식회사 휴나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방음 내장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1495B1 (ko) | 친환경성 건축용 방음방진 내장재 | |
KR100743984B1 (ko) | 조립식 매트블럭 | |
CN1511092A (zh) | 吸声防护垫 | |
KR20090078228A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2038064B1 (ko) | 건축용 방음 내장재 | |
KR101929628B1 (ko) | 층간소음 차음재 | |
KR101477783B1 (ko) |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 |
KR101113544B1 (ko) |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 |
KR101576076B1 (ko) |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 |
KR200428535Y1 (ko) | 층간소음방지재 | |
KR10077000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20070109754A (ko) | 조립식매트블럭 | |
KR20150141460A (ko) | 샌드흡음재를 이용한 층간소음 흡음 바닥재 | |
JP2005098067A (ja) | 吸音板および吸音方法 | |
KR101373091B1 (ko) |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 |
CN208280388U (zh) | 一种多功能装饰隔墙 | |
KR20180025420A (ko) |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 |
TWM549154U (zh) | 減震吸音板材結構 | |
KR100546445B1 (ko) |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 |
KR101670794B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물 | |
KR20080093509A (ko) | 바닥슬라브의 층간소음 차단구조 | |
KR20160104506A (ko) | 건축물용 바닥재 | |
KR101965315B1 (ko) | 건축용 방음 내장재 | |
KR200322187Y1 (ko) | 공동주택의 층간 충격진동흡음판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