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76B1 - Portable car audio transmitter - Google Patents
Portable car audio transmit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7976B1 KR100777976B1 KR1020050126860A KR20050126860A KR100777976B1 KR 100777976 B1 KR100777976 B1 KR 100777976B1 KR 1020050126860 A KR1020050126860 A KR 1020050126860A KR 20050126860 A KR20050126860 A KR 20050126860A KR 100777976 B1 KR100777976 B1 KR 100777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ack
- audio
- output module
- power
- multimedia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와 연결하여 차량내의 A/V 시스템내의 라디오를 통해서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외장형 무선송출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차량용 무선 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sound device to enjoy the sound through the radio in the A / V system in the vehicle, in particular, can be used as an external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of various multimedia devices as a portable ty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ehic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dependently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모듈형태의 무선송출기를 구성하고, 멀티미디어장치와의 간단한 연결을 통해 차량내 오디오시스템을 통해 음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멀티미디어 장치에 충전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wireless transmitter of the modular form, and to provide a charging function to the multimedia device as well as to provide sound through the in-vehicle audio system through a simple connection with the multimedi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공급수단(파워 아울렛)을 통해 전원을 멀티미디어 음향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써, 음향감상과 함께 충전을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의 충전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multimedia sound device through the power supply means (power outle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multimedia sound device with the acoustic enjoyment .
FM무선송출, FM송신, FM오디오 FM radio transmission, FM transmission, FM audio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에 있어, 일체형 구조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tegrated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ortable vehicle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도 2는 본 발명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에 있어, 전원공급 착탈형 구조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detach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portable vehicle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I/O 포트 타입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의 일 실시에를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 / O port type portable vehicle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ortable vehicle audio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와 연결하여 차량내의 A/V 시스템내의 라디오를 통해서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 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외장형 무선송출장치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차량용 무선 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sound device to enjoy the sound through the radio in the A / V system in the vehicle, in particular, can be used as an external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of various multimedia devices as a portable ty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vehic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dependently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급속한 멀티미디어 기술개발로 인해 근래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기술을 채용한 음향기기들이 상용화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sound devices employing various multimedia technologies have been commercialized in recent years.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사용자의 편리 및 고음질의 음향 등을 제공하고 있음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하고 다니면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성을 갖는다.Such multimedia devices not only provide a user's convenience and high-quality sound, but also have technical characteristics that allow the user to carry various multimedia technologies while carrying.
NAVIGATION, MP3, DMB, TV, PDA, PMP, MP3기능을 갖는 휴대전화 등이 상기한 멀티미디어 음향기기의 일 예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음향기기들이 존재한다. NAVIGATION, MP3, DMB, TV, PDA, PMP, mobile phone with a MP3 function is an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multimedia sound device, there are a variety of other sound equipment.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그 사용의 특성상 더욱 소형화를 목적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Due to the nature of their multimedia device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further miniaturization.
이와 같은 장치들은 휴대에 적합하도록 소형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그 소형화를 위해서는 음향출력(스피커)등에 제한을 둘 수 뿐이 없으며, 대부분의 장치들은 헤드폰(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성출력 또는 소용량의 음성출력수단을 이용하게 된다.Such devices are intended to be miniaturized to be portable, but for the purpose of miniaturization, only the sound output (speaker) can be limited, and most devices use headphones (earphones) to output voice or a small amount of audio output means. Will be used.
따라서 사용자들은 필요에 따라서 오디오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고음질의 대용량의 음성출력을 요구하게 된다.Therefore, users need high quality audio output through connection with audio device as needed.
특히 생활필수품으로 까지 언급되고 있는 차량 사용자의 경우 차량의 오디오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편안하면서도 차량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음향을 즐기기를 원한다.In particular, a vehicle user, who is referred to as a necessity of life, wants to enjoy high-quality sound using a vehicle audio system while being comfortable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종래에는 MP3 및 음향기기들을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음향을 즐기기 위해서 카팩이나 독립적인 무선카팩을 이용한다. Conventionally, MP3s and acoustic devices use a carpack or an independent wireless carpack to enjoy sound through an audio system of a vehicle.
카팩은 차량의 테이프플레이어내에 삽입하고, MP3 및 음향기기의 음성출력부(이어폰마이크잭)를 카팩에 연결하여 MP3 및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카팩을 통해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에 전달하여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해 MP3 및 음향기기의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Carpack is inserted into the tape player of the vehicle, and the audio output unit (earphone microphone jack) of the MP3 and the audio device is connected to the carpack, and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MP3 and the audio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s audio system through the carpack. The speakers of the audio system allow you to enjoy the sound of MP3s and sound equipment.
그러나 이와 같은 카팩은 음성 전달을 위한 배선으로 인하여 지저분함은 물론 사용에 있어 불편하고, 또한 신호 전달에 있어, 신호의 직접적인 전달(Line IN)이 아닌 카셋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리드에 의해 신호 전달에 의한 것으로 노이즈에 의해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하기 어렵다. However, such a carpack is not only messy due to wiring for voice transmission, but also inconvenient in use, and also due to signal transmission by the lead of the cassette tape player, not signal transmission (Line IN). It is difficult to provide high quality sound by noise.
그래서 일부 MP3 및 기타 음향기기에서 FM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송출장치(FM Transmitter)를 채용하여 사용하고 있다.Therefore, some MP3 and other sound equipment adopts FM transmitter using FM frequency.
이와 같은 무선송출장치는 장치내의 음성출력신호를 FM주파수에 실어 전송하므로써, 차량내의 FM 라디오를 통해 수신하여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즐길 있도록 한 것이다. Such a radio transmitting device is to transmit the audio output signal in the device to the FM frequency, so that it is received through the FM radio in the vehicle to enjoy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in the vehicle.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경우 다른 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However, most users use one or more various multimedia devices, and in such a case, they cannot be applied to other devices.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형 FM 무선송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차량내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필요에 따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의 오디오 신호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FM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a variety of multimedia devices, to enjoy the audio signal of the various multimedia devices as needed through the in-vehicle audio system.
본 발명은 모듈형태의 무선송출기를 구성하고, 멀티미디어장치와의 간단한 연결을 통해 차량내 오디오시스템을 통해 음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멀티미디어 장치에 충전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a wireless transmitter of the modular form, and to provide a charging function to the multimedia device as well as to provide sound through the in-vehicle audio system through a simple connection with the multimedi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공급수단(파워 아울렛)을 통해 전원을 멀티미디어 음향장치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써, 음향감상과 함께 충전을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의 충전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supply the charging power to the multimedia sound device through the power supply means (power outle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multimedia sound device with the acoustic enjoyment .
본 발명 휴대형 차량용 무선 송출장치는,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vehic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설정된 FM 주파수로 송출하는 FM무선출력모듈과, 차량의 파워 아울렛으로부터 FM 무선출력모듈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잭과, FM무선출력모듈로부터 멀티미디어장치의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공급잭과,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입력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M wireless output module for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at a predetermined FM frequency, a power supply jack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FM wireless output module from the vehicle power outlet, and the multimedia device from the FM wireless output module. A device power supply jack for supply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and an audio input jack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from the multimedia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휴대형 차량용 무선 송출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vehicl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having such a feature as follows.
MP3,PDA,휴대전화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설정된 FM 주파수로 송출하는 FM무선출력모듈(10)과, 차량의 파워 아울렛으로부터 FM 무선출력모듈(10)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잭(20)과, FM무선출력모듈(10)로부터 멀티미디어장치의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공급잭(30)과,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입력잭(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FM
이와 같은 본 발명은,Such a present invention,
FM무선출력모듈(10)은 멀티미디어 음향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FM주파수에 실어 송출하여 RF 주파수 수신을 위한 튜너가 내장된 수신장치 즉, 라디오를 포함하는 AV 시스템에서 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송출수단과, 출력할 FM주파수 채널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변환수단과, 출력되는 FM주파수 대역에 맞춰 정확하게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대역통과필터(BPF ; Band Pass Filter)를 포함하는 회로모듈을 내장한다. The FM
주파수 변환수단은 사용자가 채널선택을 위한 채널선택키이(11)와, 선택된 채널에 따라 송출 주파수를 결정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채널선택키이는 FM무선출력모듈(10)에 외부에 구성하여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frequency converting means includes a
주파수 변환수단에 의해 FM 주파수의 채널은 2개에서 8개까지 확장 가능하며, 확장 개수는 제한적이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구성할 수 있다. The frequency converting means can expand two to eight channels of the FM frequency, and the number of extensions is not limited and can be further configured as necessary.
이와 같이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지역에 따라 깨끗한 주파수를 찾기 위함이다. This way, the frequency can be changed to find clean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region.
상기에서와 같이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정확한 주파수 대역을 송출하도록 하므로써, 주변주파수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아 깨끗한 음질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y using the band pass filter as described above to transmit the correct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clean sound quality with less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frequency.
차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DC전원을 FM주파수출력모듈(10)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잭(20)을 구성한다. The
전원공급잭(20)은 차량의 파워 아울렛(시거잭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시거잭으로 구성된다. The
상기 전원공급잭(20)은 도 1에서와 같이, FM무선주파수모듈(10)에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본체인 FM무선주파수모듈(10)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도 2에서와 같이, FM무선주파수모듈(10)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위해서는 FM무선주파수모듈(10)에 전원공급잭(20)과 연결되는 전원입력잭(12)을 구성하고, 전원공급잭(20)에 있어서도 전원입력잭(12)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잭(21)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FM
차량에서 FM무선주파수모듈(10)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거잭으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잭(20)을 전원공급잭(21)에 연결하여 차량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동작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차량 외부에서는 소정의 어댑터 또는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제공받도록 한다. When the FM
단, 멀티미디어 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성하여야 하는 바, I/O 규격 TB단자 잭(I/O 24P)로 장치전원공급잭(30)을 구성할 경우에 가능하다. However, in order to receive power from the multimedia device, a means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multimedia device must be configured. The device
장치전원공급잭(30)은 규격화된 전원잭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DC전원 잭 또는 규격화된 I/O TB잭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device
일반적으로 휴대전화의 경우 TB단자가 제조사마다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으나, 점차 규격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mobile phones, the TB terminal h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manufacturers, but is gradually becoming standardized.
오디오 입력잭(40)은 NAVIGATION, MP3, PDA, DMB, TV, PMP 등의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에 연결되도록 스테레오 잭으로 구성된다. The
이때 멀티미디어 음향장치별로 그 잭의 구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어댑터(소켓)를 이용하면 된다.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jack may be different for each multimedia sound device, and in this case, an adapter (socket) may be us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사용자가 전원공급잭(20)을 차량의 파워아울렛에 꼽고 FM무선출력모듈(10)의 오디오 입력잭(40)을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의 오디오 출력부(이어폰)에 연결하면 장치의 연결은 완료된다.When the user plugs the
이후 사용자는 주파수선택키이(11)를 조정하여 FM주파수를 선택하고, 이에 맞추어 음향기기(라디오)의 FM주파수를 맞추면 사용에 필요한 설정이 완료 된다.After that, the user adjusts the
이의 동작과정은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입력잭(40)을 통해 FM무선출력모듈(10)에 공급되고, FM무선출력모듈(10)에 내장된 회로모듈에 구성된 무선송출수단에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FM주파수에 오디오 신호를 실어 송출한다. The operation process is supplied to the FM
이와 같이 송출된 신호는 음향장치(라디오)에서 수신하여 차량내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The signal transmitted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sound apparatus (radio)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the vehicle.
한편,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에 FM무선출력모듈(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므로, 충전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power is supplied from the FM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휴대사용에 용이한 구성을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asy configuration for portable u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FM무선출력모듈을 휴대전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격 I/O 인터페이스(I/024P) 포트를 일체화한 I/O 포트타입으로 구성한 예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M wireless output module is an example of an I / O port type in which a standard I / O interface (I / 024P) port commonly used in a cellular phone is integrated.
I/O 24P(101)를 일체화시킨 I/O 포트 타입으로 FM무선출력모듈(100)을 구성하고, 외부로 주파수 선택키이(102)와, 일측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입력잭(103)과,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잭(104)을 FM무선출력모듈(100)의 외부에 구성하고, 오디오잭(104)과 멀티미디어 음향장치(휴대전화)의 오디오출력부(이어폰잭)에 연결하기 위한 오디오링크잭(105)을 구성한다.The FM wireless output module 100 is configured as an I / O port type in which an I /
이와 같은 실시예는 휴대에 용이한 구조로 소형의 FM무선출력모듈(100)을 구성하고, I/O24P(101)를 일체로 하는 I/O 포트 타입으로 구성한 것이다.Such an embodiment is configured as a portable FM structure to form a small FM wireless output module 100, I / O 24P (101) as an integrated I / O port type.
멀티미디어 장치(휴대전화)방향으로 결합될 위치에 I/O 24P(101)를 구성하고, 평면상에 사용자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주파수 선택키이(102)를 구성한다.The I /
소형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디오잭(104) 및 전원입력잭(103)만을 구성하여 선행 예에서 보인 전원공급잭(20) 및 오디오 입력잭(40)을 분리시켜 사용시 연결하도록 구성한다.In order to enable small portable, only the
실제 차량에서 사용할 경우 아닌 이상 I/O 24P(101)를 통해 멀티미디어 장치(휴대전화)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어, 전원공급잭(20) 또는 소정의 DC전압공급장치(어댑터)가 필요하지 않다.Unless used in a real vehicl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mobile phone) through the I /
또한 USB포트(105)를 구성하여 PC 또는 노트북과 연결하여 상기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물론 앞선 실시예 에서도 USB포트를 구성할 수 있다. Of course, the USB port can also be configur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FM무선출력모듈을 적용하면 사용자는 차량내에서 손쉽게 멀티미디어 음향장치의 음향을 차량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외부에서도 FM튜너가 내장된 음향장치가 있는 경우 손쉽게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음향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생생한 음향을 즐길 수 있다.By applying the FM wireless outpu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listen to the sound of the multimedia sound apparatus through the in-vehicle speaker in the vehicle, as well as the sound device with the built-in FM tuner outside the vehicle. If you can easily enjoy the live sound through the speaker of the audio device from the multimedia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내 전원 또는 소정의 어댑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멀티미디어 음향장치내로 공급하여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충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장치의 충전을 수행하면서 원하는 음향을 즐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vehicle or a predetermined adapter into the multimedia sound device to charge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device, the user can enjoy the desired sound while charging the multimedia devic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6860A KR100777976B1 (en) | 2005-12-21 | 2005-12-21 | Portable car audio transmit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6860A KR100777976B1 (en) | 2005-12-21 | 2005-12-21 | Portable car audio transmitt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4010U Division KR200412452Y1 (en) | 2005-12-02 | 2005-12-02 | Portable FM transmit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8280A KR20070058280A (en) | 2007-06-08 |
KR100777976B1 true KR100777976B1 (en) | 2007-11-21 |
Family
ID=3835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6860A KR100777976B1 (en) | 2005-12-21 | 2005-12-21 | Portable car audio transmit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79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7772B1 (en) * | 2009-07-01 | 2011-08-19 | (주)디지파츠 | Signal converter using virtual fil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6934A (en) * | 1999-02-23 | 2000-09-15 | 신현도 | A connecting method of portable audio set to car audio system |
JP2001111680A (en) * | 1999-10-04 | 2001-04-20 | Hosiden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hands-free system |
KR200244953Y1 (en) * | 2001-03-08 | 2001-10-06 | 이상일 | Two 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hands-free and wireless receiver having multipurpose function |
KR20020010350A (en) * | 2000-07-29 | 2002-02-04 | 이강엽 | Apparatus for FM transmit of portable MP3 player |
KR20030086380A (en) * | 2002-05-04 | 2003-11-10 | 주식회사 모바일링크 | Apparatus for converting audio signal into frequency modulation singal |
KR20060094298A (en) * | 2005-02-24 | 2006-08-29 | 장응순 | Transmitting device for audio signal |
-
2005
- 2005-12-21 KR KR1020050126860A patent/KR10077797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6934A (en) * | 1999-02-23 | 2000-09-15 | 신현도 | A connecting method of portable audio set to car audio system |
JP2001111680A (en) * | 1999-10-04 | 2001-04-20 | Hosiden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hands-free system |
KR20020010350A (en) * | 2000-07-29 | 2002-02-04 | 이강엽 | Apparatus for FM transmit of portable MP3 player |
KR200244953Y1 (en) * | 2001-03-08 | 2001-10-06 | 이상일 | Two 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hands-free and wireless receiver having multipurpose function |
KR20030086380A (en) * | 2002-05-04 | 2003-11-10 | 주식회사 모바일링크 | Apparatus for converting audio signal into frequency modulation singal |
KR20060094298A (en) * | 2005-02-24 | 2006-08-29 | 장응순 | Transmitting device for audio sig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8280A (en) | 200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8882B2 (en) | Portable media player emulator for facilitating wireless use of an accessory | |
US20090046869A1 (en) | Wireless audio receivers | |
US20120300962A1 (en) | Solar Powered Wireless Bluetooth Stereo Speaker With connectivity To MP3 Player | |
CN201663675U (en) | Headphone audio power amplifier | |
KR20110111400A (en) | Electrical accessories and how to provide them | |
US20100273421A1 (en) | Electrical accessory configured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between a first electrical device, a second electrical device and a third electrical de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electrical accessory | |
KR200444074Y1 (en) |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412452Y1 (en) | Portable FM transmitter | |
KR200433416Y1 (en) |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ha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fm transfer | |
KR100777976B1 (en) | Portable car audio transmitter | |
CN103997698A (en) | Bluetooth speaker with NFC function | |
US20100081486A1 (en) |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0397845Y1 (en) |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 |
KR200233874Y1 (en) | A wireless audio output transmitter | |
CN205912216U (en) | Multifunctional headset | |
CN101083808A (en) | Wireless playing method and system for handset audio | |
CN101345536A (en) | FM emiss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 |
DE202006017795U1 (en) | Digital wireless stereophonic music transmission device, has transmission module with stereophonic input device, where music transmission device integrates functions of input from stereophonic signals and digital audio signals | |
CN101022279A (en) | Frequency modulation/amplitude modulation transmitting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frequency modulation transmission | |
CN206135462U (en) | On -vehicle charger and car | |
CN204652644U (en) | Earphone-microphone, audio processing equipment and audio frequency processing system | |
KR200415707Y1 (en) | FM Transmitter | |
KR100655102B1 (en) | Wireless FM stereo transmitter for mobile phone | |
US20080123879A1 (en) | Digital wireless stereophonic music transmission device | |
CN207743969U (en) | radi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1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3I Patent event date: 20051221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