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218B1 - Cup with powder tea - Google Patents
Cup with powder te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53218B1 KR100753218B1 KR1020070001131A KR20070001131A KR100753218B1 KR 100753218 B1 KR100753218 B1 KR 100753218B1 KR 1020070001131 A KR1020070001131 A KR 1020070001131A KR 20070001131 A KR20070001131 A KR 20070001131A KR 100753218 B1 KR100753218 B1 KR 1007532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tea
- outer cup
- inner cup
- dou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은 종래의 이중컵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ouble cup,
도 2 는 본 발명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망체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도 8의 A-A 선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외컵 12;외컵돌륜 14;물막음댐 20;내컵 21;유격공간 22;통기공 23;바닥 24;수위 인식용라인 30;분말차 40;티백 50;망체 51;다공성 시트 52;식용막 10;
본 발명은 외컵과, 외컵 내에서 분리 가능토록 수용되며, 바닥에 통기공이 있고, 외컵 바닥과 유격공간을 가지는 내컵, 및 상기 유격공간에 안치되며 내컵에 물을 부으면 통기공 및 유격공간을 통해 차가 우러나오는 분말차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컵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상기 내컵의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the outer cup is separable, there is a ventilation hole on the bottom, the inner cup having a clearance space with the outer cup bottom, and placed in the clearance space and poured water into the inner cup through the vent and clearance space Including powdered tea with tea;
The outer cup is protruded to provide a sealing property with the inner cup, and relates to a double cup incorporating the te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up wheel wheel is formed to provide a shangdongdong space of the inner cup.
일반적으로 일회용 컵은 각종 차(茶), 예를 들면 홍차, 녹차 또는 프리마와 설탕을 포함하고 있는 커피 등과 같은 분말가루를 내부에 개재시킨 다음, 온수를 컵의 내부에 공급한 후 별도의 막대로 상기 온수와 차원료용 분말가루가 잘 섞일 수 있도록 휘저어서 차를 마시도록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일회용 컵을 사용할 때마다 일회용 컵의 내부로 차 원료용 분말가루의 양을 일일이 조절하여 개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었다.Generally, disposable cups include powdered teas such as tea, for example, black tea, green tea or coffee containing prima and sugar, and then supply hot water to the inside of the cup and then use a separate rod. The hot water and the pulp powder to stir so that it can be mixed well is provided to drink tea, but this is a hassle to adjust the amount of powder powder for tea raw materials into the inside of the disposable cup every time you use the disposable cup Had a lot.
이에,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일회용 컵의 내부에 차원료용 분말가루를 일정량 포함하고 있는 포대를 개재시킨 후, 일회용 컵의 상부를 밀봉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는 각각의 일회용 컵의 상부가 밀봉된 상태이므로 상기 일회용 컵을 끼움식으로 적층시킬 수 없어 일회용 컵의 대량 유통시 그 부피가 커져 유통성이 저조해짐은 물론, 제품생산시 공정 수가 증가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Thus, as part of eliminating this hassle, a bag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powdered powder for the inside of the disposable cup is interposed, and then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ealed upper portion of the disposable cup. Since the upper part of the disposable cup is sealed, the disposable cups cannot be laminated by fitting, so that the volume of the disposable cups becomes large when the volume of the disposable cups is largely distributed, and the number of processes increase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Had together.
한편, 종이컵 등의 사용시 뜨거운 물을 마실 때 손이 뜨거운 것을 방지하고자, 외컵을 덧붙인 이중캡이 개발되었는바, 이는 도 1 과 같이 일반적인 컵 구성의 내컵(1)과, 내컵(1)외면에 접착제(2)로 일체로 결합한 외컵(3)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hot hands when drinking hot water, such as paper cups, a double cap with an outer cup was developed, which is the inner cup (1) of the general cup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inner cup (1) adhesive on the outer surface (2) consists of a configuration of the outer cup (3) integrally combine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중컵의 구조이기에 손이 뜨거운 것을 막아주는 효과는 있으나, 제조원가의 상승에 따른 추가 효과는 찾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hand from being hot because of the structure of the double cup,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find additional effects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부 이중컵 구조에 내컵이 분리 가능토록 하고, 내컵 바닥에는 통기공을 두고, 내컵 바닥에 과 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inner cup to be detachable in the inner and outer double cup structure, to place a vent in the bottom of the inner cup, and to provide the bottom of the inner cup.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외컵;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cup;
외컵 내에서 분리 가능토록 수용되며, 바닥에 통기공이 있고, 외컵 바닥과 유격공간을 가지는 내컵; 및An inner cup that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so as to be detachable and has a vent at the bottom, and has a clearance space with the outer cup bottom; And
상기 유격공간에 안치되며 내컵에 물을 부으면 통기공 및 유격공간을 통해 차가 우러나오는 분말차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컵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상기 내컵의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을 이루도록 한다.A powdered tea placed in the clearance space and pouring tea through the aeration hole and the clearance space when water is poured into the inner cup;
The outer cup protrudes inward to provide a sealing property with the inner cup, and to form a double cup incorporating a te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up wheel wheel is formed to provide a shangdong space of the inner cup.
즉, 본 발명은 외컵;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er cup;
외컵 내에서 분리 가능토록 수용되며, 바닥에 통기공이 있고, 외컵 바닥과 유격공간을 가지는 내컵; 및An inner cup that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up so as to be detachable and has a vent at the bottom, and has a clearance space with the outer cup bottom; And
상기 유격공간에 안치되며 내컵에 물을 부으면 통기공 및 유격공간을 통해 차가 우러나오는 분말차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컵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상기 내컵의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 powdered tea placed in the clearance space and pouring tea through the aeration hole and the clearance space when water is poured into the inner cup;
The outer cup protrudes inward to provide a sealing property with the inner cup, and to provide a double cup incorporating a te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up wheel wheel is formed to provide a shangdong space of the inner cup.
본 발명은 또한 The invention also
외컵;One cup;
외컵에 분리 가능토록 수용되며, 뚫린 바닥에 망체가 결합되고, 외컵 바닥과 유격공간을 가지는 내컵; 및It is accommodated to be detachable to the outer cup, the mesh is coupled to the perforated bottom, the inner cup having a clearance space with the outer cup bottom; And
상기 유격공간에 안치되며 내컵에 물을 부으면 망체 및 유격공간을 통해 차가 우러나오는 분말차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컵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상기 내컵의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원료가 내장된 이중컵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 powdered tea placed in the clearance space and pouring tea through the mesh and the clearance space when water is poured into the inner cup;
The outer cup protrudes inward to provide a sealing property with the inner cup, and to provide a double cup incorporating a tea raw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up wheel wheel is formed to provide a shangdong space of the inner cup.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in section showing the
도 2 에서, 본 발명은 외컵(10);2, the present invention is an
외컵(10)내에서 분리 가능토록 수용되며, 바닥(23)에 통기공(22)이 있고, 외컵(10) 바닥과 유격공간(21)을 가지는 내컵(20); 및An
상기 유격공간(21)에 안치되며 내컵(20)에 물을 부으면 통기공(22) 및 유격공간(21)을 통해 차가 우러나오는 분말차(30)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10)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컵(20)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상기 내컵(20)의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It is settled in the
The
도 2 의 구조를 기본으로 내컵(20)에 망체를 대체 결합한 도 6 과 같은 다른 실시예로는 Based on the structure of Figure 2 in another embodiment, such as Figure 6 to replace the mesh body to the
외컵(10);
외컵(10)에 분리 가능토록 수용되며, 뚫린 바닥에 망체(50)가 결합되고, 외컵(10) 바닥과 유격공간(21)을 가지는 내컵(20); 및An
상기 유격공간(21)에 안치되며 내컵(20)에 물을 부으면 망체(50) 및 유격공간(21)을 통해 차가 우러나오는 분말차(30)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10)은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내컵(20)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상기 내컵(20)의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It is settled in the
The
상기 통기공(22)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하나를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 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 것이 좋다.The
상기 망체(50)의 바람직한 예로는 도 8 및 도 9 와 같이 다공성 시트(51)와, 다공성시트(51)에 코팅된 녹는 실링성 식용막(52)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할 수 있다. Preferred examples of the
상기 통기공(22)과 통하는 유격공간(21)에는 분말차(30)를 수용하는 티백(40)이 일체로 결합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It may be exemplified that the
상기 내컵(20)에는 수위 인식용 라인(24)을 형성한다.The
상기 라인(24)은 외부로 돌출되어 외컵(10)과의 실링성을 제공하는 내컵 돌륜 형상을 이룬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상기, 외컵(10)에는 내부로 돌출하여 내컵(20)과의 실링성을 제공하고, 내컵(20)과의 점접촉으로 상하이동 공간을 제공하는 외컵돌륜(12)을 형성한다.The
상기 외컵(10) 상단에는 내부로 절곡되어 내컵(20)의 물이 외컵(10)을 통해 넘치는 것을 차단하는 물막음댐(14)을 형성한다.The top of the
상기 통기공(22) 부위에는 통기공을 막는 원판 상의 스푼을 부가할 수도 있다.Spoon on the disc blocking the vent hole may be added to the
본 발명의 망체(50)는 다공성시트(51)의 융착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식용막으로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공성시트(51)를 내컵(20) 저면(또는 바닥 상면)에 융착한 다음, 통기공(22) 대응 부위를 식용막(52)을 이루도록 스프레이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ne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ating of an edible portion of the
본 발명의 유격공간(21)에는 분말 원두커피를 수용하고 보관시 위치 이동을 막는 망체(50)를 결합시킨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유격 공간(21) 내에 찌꺼기를 걸러야 하는 홍차나 차 분말을 수용하는 티백(40)을 안치시키고, 티백을 고정하는 줄이나 티백의 일부를 내컵(20) 에 일체로 융착 시키거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것을 예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원발명에 사용하는 망체(50)를 이루는 다공성시트(51)와, 다공성시트(51)를 실링 가능토록 일체로 적층한 녹는 식용막(52)으로 이루어지며, It consists of a
이 경우 식용막(52)은 설탕이나 꿀, 엿,녹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차의 향기를 보관시에는 누출되지 않도록 막아주고, 물을 부으면 녹아서 망체(50)가 통기 가능한 다공성시트(51)만 남도록 하는 두께를 이루도록 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의 다공성시트(51)는 부직포,합성수지 망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특히 본원발명은 망체(50)를 다공성시트로 사용하여 내컵(20) 저면에 일체로 융착되도록 결합하고, 융착부를 제외한 부분은 식용막으로 덮을 경우, 분말 차의 내부 향의 분출을 막아 항상 균일한 향을 내는 차를 마실 수 있고, 망체(50)는 분말차를 마실 때 분말차가 컵 내부로 떠다니는 것을 막아주어 마시는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고, 마시는 고생을 덜어준다. 이 경우 망체(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통기공(22)을 미세하게 형성하면 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이 식용막(52)을 가진 망체(50)구조로 티백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본 발명은 찌꺼기가 나오는 원두커피, 홍차, 루이보스차, 자스민차, 유자차, 녹차, 쓱차 등 다양한 차를 사용 가능토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tea, such as coffee beans, black tea, rooibos tea, jasmine tea, citron tea, green tea, 쓱 tea.
본 발명의 내컵(20) 및 외컵(10)은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2 와 같이 하나의 큰 통기공(22)을 가진 내컵(20)이나 도 5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22)을 이룬 구성이나, 도 6 과 같이 도 5 의 구성에 다공성 망체(50)를 결합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필요시 도 6 의 망체(50)를 도 8 및 도 9 와 같이 다공성시트(51)에 물에 녹는 식용막(52)을 입힌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asically consists of an
이를 사용시에는 일반 일회용컵 처럼 적재하여 자판기 등에 적재하고, 자판기에 돈을 넣고 하나씩 인출된 다음 물이 분출된다. 물이 도 3 과 같이 채워지고 정지하면, 사용자는 컵을 꺼내 점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상하 이동을 시킨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티백(40)을 물에 저으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하여, 티백(40) 내의 분말차(30)가 우러나온다, 이 경우 상하 이동은 외컵(1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내컵(20)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하 이동을 잘할 수 있도록 외컵 돌륜(12)이 점접촉 상태로 기능 하고, 동시에 수위 인식용라인(24)을 이루는 돌륜에 의하여 상하 이중으로 실링 함으로써, 수위 인식용라인의 돌륜과 외컵돌륜(12)이 함께 작용하여 내컵(20)과 외컵(10)의 실링 안정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설사 물의 배출이 있다 하여도 마지막으로 물막음댐(14)을 통하여 다시 막아줌으로써 사용자가 내컵(20)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차를 우려내어도 물이 외컵을 통하여 흘러내리지 않고 먹을 수 있도록 작용한다.When it is used, it is loaded like a regular disposable cup, loaded on the vending machine, etc., the money is put out in the vending machine, and the water is ejected one by one. When the water is filled and stopped as shown in Figure 3, the user takes out the cup and moves up and down from the dotted line to the solid line. Then, the
본 발명은 도 4 와 같이 내컵(20)의 바닥을 없애서 만든 통기공(22)에 망체(5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유격공간(21)에 티백을 안치시킨다. 물론 이 경우, 통기공(22)을 막는 원판상의 스푼 등을 결합시킨다면, 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유통시에도 향기를 보존할 수 있도록 기능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by combining the
본 발명은 내컵(20)에 수위 인식용 라인(24)을 형성하였기에 자동판매기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더운물을 부어 사용할 때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본 발명은 도 6 이나 도 7 과 같이 망체(50)를 결합할 경우, 티백이 아닌 분말차(예를 들어 원두커피) 등을 유격공간(21)에 수용토록 하면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일회용 컵 방식의 홍차나 차를 마실 수 있고, 일회용 컵 방식이므로, 이를 적층 시켜 자판기 등에서도 티백방식의 홍차나, 원두커피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rink black tea or tea of a disposable cup method, and because it is a disposable cup method, it is possible to drink tea or coffee beans of a tea bag type by stacking them.
또한, 물을 부으면 녹고, 평소에는 실링성을 가지는 망체로 분말차를 컵 내부와 격리시키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향과 맛을 일정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melts when poured, and normally isolates the powdered tea from the inside of the cup with a sealing net having a sealing property,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provides a constant aroma and taste.
아울러 내컵의 바닥 통기공에서 유격공간을 망체로 막아주므로, 분말차 찌꺼기를 걸러주어 이물질의 부담 없이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inner hole of the cup to close the clearance space with a mesh, to filter out the powdered tea to drink tea without the burden of foreign matter.
또한, 내컵을 상하 이동 가능토록 구성하였기에 분말차가 신속히 우러나오도록 하여, 원두커피나 녹차 등을 신속히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한다.In addition, the inner cup is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powder tea comes out quickly, so that coffee beans or green tea can be used quickly and conveniently.
아울러 외컵의 상단 테두리를 내부로 절곡하여 물막음댐을 이루도록 함으로 써, 내컵의 물이 외컵 내면과의 계면을 통하여 분출하는 것을 막아주어 내컵의 상하 이동으로 인한 물의 흘러내림 없이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토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up is bent inward to form a water blocking dam,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of the inner cup from discharging through the interfa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up, thus enabling stable use without flowing down the water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nner cup. .
또한, 외컵에는 내면으로 돌출한 외컵 돌륜을 형성하여 외컵과 내컵이 점접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내컵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내컵에는 수위 인식용 라인을 돌륜 형태로 구성하여 외컵 과의 실링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의 흘러내림의 불편을 최소화한다.In addition, the outer cup protrud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up to form a point contact between the outer cup and the inner cup to facilitat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nner cup,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cup has a line for water level recognition in the form of a wheel ring to seal the outer cup By maximizing the inconvenience of running water to the user is minimiz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131A KR100753218B1 (en) | 2007-01-04 | 2007-01-04 | Cup with powder te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1131A KR100753218B1 (en) | 2007-01-04 | 2007-01-04 | Cup with powder te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3218B1 true KR100753218B1 (en) | 2007-08-30 |
Family
ID=3861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1131A KR100753218B1 (en) | 2007-01-04 | 2007-01-04 | Cup with powder te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321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6107A (en) | 2020-10-07 | 2022-04-14 | 김태균 | Triple cup capable of retaining density of a beverra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236Y1 (en) | 1999-11-09 | 2000-05-15 | 이한형 | A tea cup |
KR200235636Y1 (en) | 2001-01-11 | 2001-09-25 | 박승근 | Doulbe body paper cup for keeping warm and insulation |
KR200307090Y1 (en) | 2002-04-04 | 2003-04-18 | 주식회사 와이즈아이 | Foldable cup for one time |
KR20050071396A (en) * | 2005-06-02 | 2005-07-07 | 서희동 | Paper cup for tea beverage |
-
2007
- 2007-01-04 KR KR1020070001131A patent/KR10075321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236Y1 (en) | 1999-11-09 | 2000-05-15 | 이한형 | A tea cup |
KR200235636Y1 (en) | 2001-01-11 | 2001-09-25 | 박승근 | Doulbe body paper cup for keeping warm and insulation |
KR200307090Y1 (en) | 2002-04-04 | 2003-04-18 | 주식회사 와이즈아이 | Foldable cup for one time |
KR20050071396A (en) * | 2005-06-02 | 2005-07-07 | 서희동 | Paper cup for tea beverag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6107A (en) | 2020-10-07 | 2022-04-14 | 김태균 | Triple cup capable of retaining density of a beverra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050458B (en) | Method, apparatus and pocket for soaking beverage | |
US7856922B2 (en) | Instant extraction cup | |
US9290317B2 (en) | Method for brewing beverage and cartridge containing infusible material | |
AU2013285526B2 (en) | Capsule,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 |
US5064980A (en) | Coffee maker | |
AU2014352005B2 (en) |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 |
US20050115414A1 (en) | Brew-in-the-cup disposable beverage assembly | |
JPH05199938A (en) | Flexible cartridge type package | |
US20130045307A1 (en) | Brew Cartridge | |
CN104853996B (en) | The purposes of disposable pouring and boiling device and disposable pouring and boiling device | |
US8734874B1 (en) | Beverage brewing li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uch a lid | |
KR100753218B1 (en) | Cup with powder tea | |
NL2007724C2 (en) | Form-retaining pa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assembly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a pad holder and such a form-retaining pa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form-retaining pad, pre-form stiffening body for use in such a method, 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using such a form-retaining pad or such an assembly and a kit of parts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form-retaining pads. | |
KR100847063B1 (en) | Tea Vessel Structure for Straining out Tea Leaves | |
WO2005013775A1 (en) |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 |
JPH07298973A (en) | Teacup with tea strainer | |
JP3152879U (en) | Potable solution extractor | |
WO1991020170A1 (en) | Microwaveable coffee makers | |
KR200475781Y1 (en) | Cup with filter for coffee | |
KR200297236Y1 (en) | receptacl possessed of tea abstraction net | |
KR200446133Y1 (en) | tea infuser | |
KR200418154Y1 (en) | One body filter having tea utensils | |
GB2384689A (en) | Infusion device for beverage making | |
EP1013203A1 (en) | Brewing system | |
KR200334871Y1 (en) | A vessel for tea extraction with dual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