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455B1 -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8455B1 KR100748455B1 KR1020050106908A KR20050106908A KR100748455B1 KR 100748455 B1 KR100748455 B1 KR 100748455B1 KR 1020050106908 A KR1020050106908 A KR 1020050106908A KR 20050106908 A KR20050106908 A KR 20050106908A KR 100748455 B1 KR100748455 B1 KR 1007484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element
- tray
- element accommodating
- accommodating
- op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2—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in shrink films
- B65D75/004—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in shrink films with auxiliary packaging elements, e.g. protective pads or frames, t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833—Other details of wrappers
- B65D2571/00888—Stacking elements
- B65D2571/00901—Stacking elements for stacking side by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점착력 등을 작용시키지 않고, 케이스 내에 수용시킨 모든 광학소자를 극히 안정된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물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트레이(10)에는 종횡으로 소자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이들 각 소자수용부(11)에는 워크(1)가 세워진 상태로, 그 상면부(10a)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상면부(10a)에 수지시트로 이루어진 커버부재(14)를 완전하게 덮어 씌운 상태로 피착되고, 진공팩(15) 내에 삽입시켜서, 이 진공팩(15)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써, 워크(1)는 트레이(10)의 바닥면과 커버부재(14) 사이에 협지되도록 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의 트레이와, 이 트레이에 수용되는 광학소자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를 구성하는 트레이, 커버부재, 진공팩 및 덮개체를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이다.
도 3은 트레이를 진공팩 내에 넣어서,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의 워크의 행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트레이를 진공팩 내에 넣어서,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의 워크의 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진공팩 내에 수납된 트레이에 덮개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트레이를 진공팩 내에 넣어서,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의 워크 행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트레이를 진공팩 내에 넣어서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의 워크의 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트레이에 형성된 소자수용부에 워크를 끼우고 빼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 9는 소자수용부의 홈을 구성하는 각 부의 치수와, 워크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트레이를 진공팩 내에 넣어서,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의 워크의 행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트레이를 진공팩 내에 넣어서,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의 워크의 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트레이와 압동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트레이와 압동부재를 겹쳐 쌓은 상태를 나타낸 작용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단면도이다.
도 16은 소자수용부 및 투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진공팩의 다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렌즈, 광학필터나, 다이클로익 기능, 위상차 기능, 회절격자로서의 기능 등의 광학기능을 갖는 광학소자, 특히, 사각형의 박판의 유리기판을 갖는 광학소자를 수용시키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광학소자로서, 예를 들면 광학 필터는 엷은 유리판의 표면에 필터막을 진공증착 등의 수단으로 형성하지만, 소정의 광학기기에 조립함에 있어서는 수㎝각 내지 그 이하로 하도록, 작은 칩 상태로서 갖추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광학필터를 제조할 시에는, 보통, 대형의 유리 상태에서 그 표면에 성막을 행하고, 그 후에 필요한 사이즈가 되도록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광학필터 등의 광학소자는, 소정의 케이스에 포장되어 보관되고, 또한,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출하된다.
이와 같이, 광학소자를 수용하는 포장용의 케이스는, 각 광학소자를 각각 수용하는 트레이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덮개체로 구성되지만, 광학소자를 케이스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또한 수용시킨 광학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등의 관점에서, 보통, 광학소자는 케이스 본체에 세운 상태로 해서 수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 본체에 광학소자를 수용시키기 위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소자수용부를 종횡으로 다수 형성하지만, 이 홈의 깊이 치수는 광학소자의 높이 치수와 같지만, 그것보다 작게 한다. 광학소자를 소자수용부에 수용시켰을 때에, 이 광학소자의 상단부가 케이스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하면, 이 광학소자의 유효면에 접촉하지 않고, 광학소자의 좌우 양측부를 협지하고, 소자수용부에 수용시키거나, 이 소자수용부에서 꺼내거나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다수의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케이스 본체에 덮개체를 장착하고, 이 케이스 본체와 덮개체 주위의 가장자리부를 점착테이프 등에 의해 간이한 방법으로 고정부착함으로써, 각각의 광학소자는 케이스 내에 완전하게 수납시킨 상태로 포장된다.
그런데, 광학소자는 케이스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광학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큰 폭을 보유한 홈으로 이루어지는 소자수용부에 다소의 여유를 갖도록 하여 수용시킨다. 따라서, 케이스 내에서는 광학소자는 제한된 범위이지만, 홈을 따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의 운반시 등에 있어서, 광학소자가 소자수용부 내에서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기인해서 광학소자와 케이스의 내면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결과, 광학소자에 마모분이나 파손편 등이 생기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를 절단함으로써 광학소자를 형성할 경우에 있어서, 절단후의 광학소자에 연마 등의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고 있으면, 마모분이나 파손편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하여 발생된 마모분이나 파손편 등의 이물이 광학소자의 유효면에 부착되면, 광학적인 기능을 저하시켜 버리게 된다. 따라서, 광학소자의 유효면에 이물이 부착되면, 세정에 의해 오손물을 제거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절단후의 광학소자에, 그 끝면을 연마함으로써 평활한 원호면 형상이 되도록 처리하면, 전술한 마모분이나 파손편의 발생은 상당한 정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소자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정이 필요가 되거나, 또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끝면처리를 행하거나 하는 것은, 비용상승의 문제 등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케이스 내에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후에, 이 광학소자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식이 여러가지로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의 하나로서는, 특허문헌 1에 있는 바와 같이, 홈의 바닥부에 점착테이프를 붙여 두고, 광학소자를 수용시켰을 때에, 그 하단부를 점착테이프에 고정부착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다른 제안으로서는, 특허문헌 2에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를 단적재로 하고, 상하의 케이스 본체 사이(및 덮개체)에서 광학소자의 상하를 클램프시키도록 해서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599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3-20099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광학소자를 점착테이프에 고정부착하면, 케이스 로부터의 취출이 곤란해지는 것 뿐만 아니라, 취출된 광학소자의 끝부에 점착물이 부착되어 남는다는 점에서, 이 점착물을 제거하지 않은 채로 광학기기에 부착하면, 이 광학소자의 핸들링 미스가 생기는 등의 악영향을 발생시키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광학소자의 두께가 극히 엷을 경우에는, 그 일단면 만을 점착테이프에 고정부착시킨것 만으로는, 반드시 고정성 및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나타냈듯이, 광학부품을 상하로부터 클램프하면, 그 고정성 및 안정성을 얻을 수 있지만, 보통, 광학부품의 외형 치수 정밀도는 그다지 엄격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고, 가공 오차 등이 생기고 있다. 따라서, 광학소자의 사이즈의 불균일로부터, 클램프 힘을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은, 광학소자의 최대의 광학부품만이 되고, 그 이외에 대하여는 충분한 클램프 힘을 작용시킬 수 없고, 특히 최소의 것 등에 대하여는 거의 클램프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운반시 등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완전하게는 저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즉, 전술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되어 있는 대책은 반드시 충분한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부분은, 접착력 등을 작용시키지 않고, 케이스 내에 수용시킨 모든 광학소자를 극히 안정된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워크에 이물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시키는 소자수용부를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한 덮개가 없는 트레이와, 이 트레이를 수납하는 진공팩과, 이 진공팩의 내부에 장착되는 유연성이 있는 보호 시트를 보유하고, 상기 각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트레이에 대하여, 각 광학소자 위를 보호시트로 덮도록 하고, 상기 진공팩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고, 상기 각 광학소자의 상하의 끝면 사이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과 상기 보호 시트 사이에서 클램프시키도록 하여, 이들 각 광학소자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는,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시킨 소자 수용부를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한 덮개가 없는 트레이와, 가요성을 갖는 쿠션재와, 이 쿠션재를 덮는 스크레치에 대한 강도가 높은 외층을 포함하는 다층 기밀부재를 보유한 진공팩과, 상기 각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트레이를 상기 진공팩 내에 수용시키고,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고, 상기 각 광학소자의 상하의 끝면 사이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과 상기 다층 기밀부재 사이에서 클램프시키도록 하여, 이들 각 광학소자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하는데있다.
여기에서, 광학소자는 트레이의 소자수용부에 세운 상태로 수용되어 있고, 진공에 의한 광학소자의 협지력은 이 광학소자의 상하에 배치한 끝부를 트레이의 바닥면과 진공팩에 밀착하도록 해서 발휘한다. 광학소자는, 그 끝부가 트레이에 밀착되도록 되고, 밀착력은 진공팩측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된다. 즉, 진공팩 자체 혹은 보호 시트가 광학소자의 끝면에 압압되게 된다. 이 경우, 광학소자는 엷은 판자형상의 것이고, 사각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예리한 모퉁이부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우선 광학소자를 밀착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는, 광학소자의 모퉁이부에서 손상하거나, 균열이 생기거나 하지 않는 소재가 아니면 안된다. 즉, 스크레치나 파열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다수의 광학소자를 트레이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모든 광학소자에 거의 균일한 밀착력을 작용시킬 수 없으면 안되기 때문에, 보호 시트이든, 진공팩을 구성하는 다층 기밀부재이든, 높은 굽힘 방향으로의 가요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굽힘 방향에의 가요성을 갖는 부 재는, 유연한 부재라도 좋다. 단, 진공력이 작용했을 때에, 광학소자의 끝면 만을 압압할 필요는 있지만, 광학소자의 표면(혹은 이면)에 밀착하는 정도로까지 유연한 것은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한, 광학소자에 대해서도 슬라이딩해도, 발진의 우려가 우려가 없는 것도 요구된다.
일반적인 진공팩은, 알루미늄 등의 엷은 박상의 금속 필름 또는 나일론 등의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사용하고, 그 양면에 각각 1개 내지 복수층의 수지 필름을 접착하도록 구성되는 다층 기밀시트를 자루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진공팩을 구성하는 다층 기밀시트의 내부에 보호 시트를 설치하고, 또 진공팩 그 자체가 흠집나기 어렵게, 발진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이 진공팩 그 자체를 광학소자의 압압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어떻든지 간에, 트레이의 상부를 덮도록 하고, 또한, 광학소자를 상부측으로부터 밀착하도록 고정한다.
보호 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보호 시트를 트레이에 고정할 수도 있지만, 진공팩의 내부를 진공으로 했을 때에, 보호 시트의 일부에 큰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보호 시트는 트레이에 대하여 고정하지 않고 덮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팩의 내부에 부압을 작용시킬 때에, 그 내면 또는 보호 시트가 광학소자의 각 모퉁이부 등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또한 이 각 모퉁이부에 압접된다. 따라서, 진공팩의 광학소자와 접촉하는 측의 면 또는 보호시트는 비섬유질의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섬유가 부분적으로 박리해서 발진요소가 되고, 광학소자에 섬유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섬유질은, 광학소자와 직접 접촉하는 면에 있어서 필요하지만, 중간층에 종이 등의 섬유성의 시트를 끼워도 좋다.
트레이에 형성한 소자수용부는 소정 깊이의 홈에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이 홈의 깊이는 광학소자의 높이 치수 이하로 한다. 광학소자를 홈에 완전하게 매몰시키면, 진공팩측의 밀착력을 발휘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광학소자는 적어도 트레이의 윗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해서 수용시키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학소자가 다소 돌출하는 상태로 수용시키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링 수단 혹은 수작업에서 광학소자를 트레이에 착탈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광학소자의 유효면에 접촉하지 않고, 소자수용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단, 안정성, 특히 광학소자의 튐방지의 관점에서 광학소자의 돌출부는 그 절반 이하의 높이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소자수용부를 구성하는 홈의 깊이는 광학소자를 세웠을 때에, 그 높이와 대략 같은 치수로 한다. 물론, 다소라면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광학소자가 돌출하고 있어도, 또한 매몰상태로 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광학소자를 크게 돌출시키지 않도록 하여, 그 모퉁이부 등에 금이나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광학소자를 소자수용부에 깊게 매몰시키면, 이 광학소자의 취출이 곤란하게 되어 버리고, 작업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진공팩에 의해 광학소자를 홈바닥면에 압압하는 힘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고, 광학소자를 소자 수용부의 내부에 너무 깊게 매몰시키면, 진공팩에 의해 광학소자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작용시킬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진공팩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면, 그 내면 또는 보호시트가 광학소자의 끝면과 접촉하여, 이 광학소자를 트레이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 때, 부압 작용에 의해 개개의 광학소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개개의 광학소자에 다소의 치수오차가 있어도, 모든 광학소자에 대하여 대략 같은 클램프 힘이 작용한다. 또한, 진공팩 내에 진공압을 어느 정도로 하는가에 대해서는, 광학소자의 강도에 의존한다. 즉, 광학소자가 얇고, 변형되기 쉬운 것이면, 너무 강력한 밀착력을 작용시킬 수 없다. 한편, 두꺼우면, 변형하기 어렵고 광학소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고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진공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즉, 진공팩의 내부압력은 트레이에 수용되어 있는 광학소자에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서, 가능한 한 강력한 밀착력을 작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박판형상의 광학소자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넓은 홈으로 이루어지고, 그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는 소자수용부가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되고, 이들 각 소자수용부에 광학소자를 수납시킨 트레이를 진공팩에 의해 밀폐 포장하도록 한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로서, 상기 소자수용부를 구성하는 홈은, 거기에 상기 광학소자를 수용시켰을 때에, 상기 트레이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비돌출상태가 되는 깊이 치수가 되고,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측은, 상기 광학소자의 양측부에 대하여 미소한 간격을 두고 대면하도록 이루어지고, 깊이방향의 상부측은 상기 광학소자를 끼우고 빼내기 위한 지그가 삽입 가능한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광학소자는 트레이에 있어서의 소자수용부에 세운 상태로 수용되어 있지만, 광학소자의 소자수용부에의 끼우고 빼낼시에, 이 광학소자의 표리면이 소자수용부를 구성하는 벽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소자 수용부를 구성하는 홈의 폭치수는 광학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것으로 하고, 또한 미소한 클리어런스를 갖게 한다. 또한, 홈의 전 길이는, 광학소자의 길이치수보다 약간 넓은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광학소자는 실질적으로 연직상태가 되도록 하여 소자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트레이를 이송할 때 등에 있어서, 광학소자가 소자수용부 내에 거의 움직이지 않도록 수용된다.
소자 수용부를 구성하는 홈의 깊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소자를 세웠을 때에, 그 높이와 대략 같은 치수로 한다.
소자 수용부의 깊이방향에 있어서, 하부측이 전술한 것 같이, 좁은 홈폭에서, 짧은 길이가 되고,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부위는 하부측에 존재하고 있고, 상부측은 홈폭 및 길이의 각 치수가 크게 형성되고, 트레이의 윗면에 개구하는 개구부로 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광학소자를 소자수용부에 끼우고 빼내는 지그로서, 예를 들면, 핀셋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부측의 개구부는 핀셋 등의 지그로 광학소자를 안정적으로 협지할 수 있는 깊이 및 길이를 갖게할 필요가 있다. 단,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것은 하부측이기 때문에, 광학소자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보호하기 위해, 소자수용부에 있어서, 하부측의 광학소자를 유지하는 부위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는 소자 수용부가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되고, 이들 각 소자수용부에 광학소자를 수납시킨 트 레이를 진공팩에 의해 밀폐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로서, 상기 소자수용부는 상기 광학소자를 상기 트레이의 상면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비돌출상태가 되도록 수용되는 깊이를 갖는 것이며, 상기 소자 수용부의 저벽부에 광학소자를 밀어 올리기 위한 복수의 투공을 설치하고, 상기 각 투공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밀어올림용의 돌기를 설치한 압동부재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에 중첩시킴으로써, 이들 각 돌기에 의해 투공을 통하여 상기 각 소자수용부 내의 광학소자를 상기 트레이의 상면부로부터 밀어 올리도록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트레이에 소정수 설치된 소자수용부는 소정의 피치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의 소자수용부를 배열함으로써 소자수용부의 열이 되고, 이것을 복수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소자수용부에 광학소자를 끼우고 빼낼때에, 이 소자수용부의 벽면과 광학소자의 표리면의 슬라이딩 접속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소자수용부에는 광학소자의 양측부가 유지되도록 하고, 중간부는 광학소자의 표면이 소자 수용부의 벽면으로부터 크게 이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에 있어서, 개개의 소자 수용부를 독립적으로 형성해도 좋지만, 광학소자의 수용시의 높은 치수와 대략 동일한 깊이가 되고, 폭이 상기 광학소자의 길이 치수보다 짧은 오목홈을 복수열 형성하고, 이들 각 오목홈의 좌우의 측벽부에 광학소자의 양측부를 유지하도록, 이 광학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위치결정홈을 형성하고, 오목홈을 끼우고 대면하는 각 쌍의 위치결정홈에 의해 소자수용부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투공은 오목홈의 저벽부에 형성되지만, 투공은 오목홈에 형성한 모든 소자수용부에 이르는 전 길이로 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즉, 각 열의 소자수용부에 공통의 투공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1개소의 소자수용부 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할 수 도 있고, 또한, 복수개소의 소자수용부에 공통의 투공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트레이에 있어서의 각 소자수용부 내에 광학소자를 수용시켰을 때에, 각 광학소자는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트레이의 저벽부에 설치된 투공은 압동부재에 의해 광학소자를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압동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압동부재는, 시트에 각 투공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밀어올림용의 돌기를 설치한 것을 사용한다. 돌기는 투공의 형상에 따라서 복수개소의 소자수용부에 이르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오목홈의 대략 전 길이에 투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기도 1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돌기에 의한 광학소자의 밀어올림 높이는, 광학소자의 높이 치수의 절반 이하이며, 또한, 광학소자의 끼우고 빼내기용 지그에 의해 원활하게 끼우고 빼낼 수 있는 높이로 한다. 또한, 광학소자의 밀어올림시에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기는 탄성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트레이에 있어서, 이들의 각 광학소자를 고정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수용시켜, 트레이를 움직이거나, 진동시키거나 해도, 각각의 광학소자가 트레이의 내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하지 않고, 마모분이나 파손편 등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광학소자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드러낸다.
또한, 케이스 내에 수용시킨 다수의 광학소자를 극히 안정된 상태로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케이스가 다른 물체와 충돌해도, 광학소자에 크랙 등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소자 수용부의 홈의 깊이를 광학소자의 높이와 대략 같게한 경우라도, 또한 케이스에 광학소자를 용이하게 끼우고 빼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취급되는 워크(1)로서, 사각형상의 엷은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예를 들면 성막수단에 의해 필터를 형성한 것이다. 단, 워크(1)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상 이외의, 예를 들면, 원형 등을 포함하는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나 그 외의 부재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도면 중에 있어서, 10은 트레이로서, 이 트레이(10)는 다수의 워크(1)를 세운 상태로 하여 수용하는 것이며, 이 때문에 소정의 핏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워크(1)를 수용시키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수용부(11)의 열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소자수용부(11)의 열은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10)는 상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있고, 워크(1)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각 소자수용부(11)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트레이(1)는 평면형상이 장방형의 것이며, 그 사방 주위에 형성된 측벽부(10b)에 의해 소정의 높이 치수를 갖는 것이다.
트레이(10)는 엷은 플라스틱의 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및 보형성의 관점에서, 워크(1)의 행방향을 향해서 길이방향이 되고, 워크(1)의 폭치수보다 짧은 폭홈을 갖는 오목홈(12)이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오목홈(12)의 곡절부분에 의해, 높은 굽힘강도를 갖게 된다. 소자수용부(11)는 이처럼 복수열 형성한 오목홈(12)의 좌우양측의 측벽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한 슬릿형상홈(13,13)을 갖는 것이다. 즉, 각 소자수용부(11)는 일방측의 슬릿형상홈(13)으로부터 오목홈(12)을 거쳐, 그것과 대면하는 반대측의 슬릿형상홈(13)에 이르는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오목홈(12) 및 슬릿형상홈(13)의 저벽은 같은 높이 위치에 있고, 주위의 측벽부(10b)는 이 저벽부터 하방까지 연장되어서,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돌출부(10c)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슬릿형상홈(13)의 홈폭은 워크(1)의 두께보다 약간 큰 치수이며, 또한 양 슬릿형상홈(13,13) 사이의 간격은, 워크(1)의 길이방향의 치수, 즉, 세운 상태의 워크(1)에 있어서의 좌우양측의 끝부사이의 길이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워크(1)는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슬릿형상홈(13,13) 사이의 가늘고 긴 공간으로 이루어진 소자수용부(11)에 끼우고 빼낼 수 있고, 또한 장착시에는 워크(1)를 세운 상태에서, 쓸데없이 덜컹거리거나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트레이(10)의 종횡에 형성된 각 소자수용부(11)에 워크(1)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개방된 상면부(10a)에 커버부재(14)를 덮어 씌우도록 피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4)는 시트형상의 부재이며, 예리한 것으로 밀착되어도, 스크래치나 파열이 용이하게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높은 강도를 갖고, 또한 표면이 마찰되어도 마모 내지 분진이 발생하지 않는 시트로 이루 어진 것이 이용된다. 또한, 굽힘방향에 가용성을 갖는 것, 특히 굽힘 방향에 유연한 부재로서, 쿠션성을 갖는 것이다. 단, 신축성은 요건이 아니지만, 다소 신축성을 갖는 시트라도 좋다. 또한, 이 시트는 가능한 한 마찰계수가 작은 것, 즉, 평활하며 미끄러지기 쉬운 것으로 한다. 특히, 비섬유질의 것,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제의 시트가 바람직하다.
트레이(10)에 설치된 모든 소자수용부(11)에 워크(1)가 장착되고, 커버부재(14)로 덮여진 상태에서, 진공팩(15) 내에 삽입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진공팩(15)은 그 전체가 사각형상의 것으로서, 그 1개의 변이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4)를 씌운 트레이(10)는 이 개구측으로부터 진공팩(15) 내에 삽입되어서, 내부를 진공한 후에 이 개구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포장된다. 그 결과, 진공팩(15)의 내부는 부압상태가 되고, 나아가 커버부재(14)에 대하여 워크(1)의 상단면에 압압시키는 방향으로 부압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이 커버부재(14)의 사이즈는 트레이(10)에 있어서의 소자수용부(11)를 형성한 영역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보다 넓은 면을 갖는 것으로 한다. 즉, 트레이(10)의 모든 소자수용부(11)에 워크(1)를 장착한 상태라도, 커버부재(14)를 씌우면, 트레이(10) 주위의 측벽부(10b)를 부분적으로 덮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부재(14)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를 덮도록 피착되지만, 실제로는 워크(1)의 끝단부에 접촉하고, 트레이(10)의 상면부(10a)와 그 주변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 비접촉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커버부재(14)는 트레이(10)에 대해서도, 또한 그 이외의 것에 대하여도 고정장착되지 않고, 완전하게 자유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트레이(10)의 적어도 상면부(10a)의 전체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형태)
트레이의 상부를 커버부재(14)로 덮으면, 커버부재(14)는 트레이(10)의 윗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워크(1)의 끝면과 접촉하고, 트레이(10)의 윗면과 전후의 워크(1,1)와 커버부재(14)에 의해 터널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진공팩(15)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면, 이 공간이 축소하려고 한다. 커버부재(14)는 굽힘방향으로 가요성을 갖고, 또한 트레이(10)를 덮고 있을 뿐으로, 비고정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4)가 전후의 워크(1,1) 사이에 오목형상으로 휘어지게 되고, 워크(1)에 대하여,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을 향해서 압압하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1)의 열간 공간도 마찬가지로 베어링하는 점에서, 커버부재(14)에 동도에 화살표방향의 압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워크(1)의 하단부는 트레이(10)에 있어서의 소자수용부(11)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워크(1)는 트레이(10)의 저면과 커버부재(14)의 사이에 협지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트레이(10)에 워크(1)가 다수 수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14)에 의한 압압력은 개개의 워크(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워크(1)의 사이즈에 불균일이 있어도, 모든 워크(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워크(1)는 얇기 때문에, 전술한 부압에 기초하는 압압력이 과잉으로 작용하 면, 그 압력의 작용으로 워크(1)가 변형되거나, 손상하거나 하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진공팩(15) 내에 작용시키는 부압을 조정함으로써, 워크(1)가 진공팩(15) 내의 진공압에 의해 트레이(10)의 바닥면으로의 밀착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또한 이 워크(1)에 대하여 안정된 협지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워크(1)는 그 엣지부분이 가장 예리하게 되어 있지만, 커버부재(14)는 비구속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 커버부재(14)는 부압의 작용에 의해 부분적으로 강력한 인장력이 가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대략 균등한 압압력이 작용되게 된다. 이 때문에, 커버부재(14)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갖게해 두면, 워크(1)의 엣지부분에 압압되어 파열되거나, 손상하거나 할 우려는 없다. 따라서, 이 커버부재(14)의 외측에 위치하는 진공팩(15)이 파손되어 커버부재(14)에 의해 워크(1)에의 압압력이 손실되어 버리는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10)를 움직여도, 워크(1)는 트레이(10)의 바닥면과 커버부재(14) 사이에서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고, 워크(1)가 그들과 슬라이딩해서 마모분이나 파손편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또한, 진공팩(15)의 외부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경우도 없으므로, 워크(1)의 주변부는 극히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유효면인 워크(1)의 표면부는 덮여지지 않도록 되고, 이 유효면에 이물 등이 부착할 우려는 없다.
그리고, 진공팩(15)을 열어서 내부의 부압을 개방하고, 커버부재(14)와 함께 트레이(10)를 진공팩(15)으로부터 취출한 후에, 커버부재(14)를 떼어냄으로써, 소정의 기기에 조립하거나, 또한 적정한 처리를 행하거나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진공팩(15)에 의해 포장된 트레이(10)에는 커버부재(14) 및 진공팩(15)의 일면에 의해 덮여져 있지만, 워크(1)의 끝단이 트레이(10)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취급에 의해서는, 워크(1)에 금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10)에 덮개체(16)를 피착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덮개체(16)의 내면은, 워크(1)가 수용되어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진공팩(15)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가 되고, 그 사이에 소정 공간이 생기도록 한다.
이처럼 구성하면, 덮개체(16)를 장착한 진공팩(15)을 쌓아 올릴 수 있고, 보관시나, 운반시 등에 있어서, 진공팩(15)을 다단으로 적재해서, 에어패킹 등으로 포장해도, 워크(1)가 손상될 우려는 없다. 단, 진공팩(1)을 겹쳐 쌓을 때에, 상하에 위치하는 진공팩(15) 내의 워크(1)에는 특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하의 진공팩(15,15)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간격을 필요 최소한의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트레이(10)의 측벽부(10b)의 높이를 적정 설정한다. 또한, 이 측벽부에는 상하로 쌓은 진공팩(15,15) 사이를 연결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돌기와 오목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소자수용부(11)의 홈의 깊이를, 워크(1)의 상단부가 트레이(10)의 상면부(10a)와 대략 같은 높이 위치가 되도록 한다.
제1 실시형태과 마찬가지로,
진공팩(15)의 내부에 트레이(10)를 삽입하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면, 내부공간이 축소하려고 한다. 그 결과, 커버부재(14)(또는 진공팩(15))가 트레이(10)의 윗면을 압압하는 방향으로 휘고, 커버부재(14)에 도 6 및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의 압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워크(1)의 하단부는 트레이(10)에 있어서의 소자수용부(11)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워크(1)는 트레이(10)의 바닥면과 커버부재(14) 사이에 협지되도록 해서 고정된다. 또한, 트레이(10)에 워크(1)가 다수 수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커버부재(14)에 의한 압압력은 개개의 워크(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워크(1)의 사이즈에 불균일이 있어도, 모든 워크(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워크(1)는 엷은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부압에 근거하는 압압력이 과잉으로 작용하면, 그 압력의 작용으로 워크(1)가 변형하거나, 손상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크(1)의 상단부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진공을 작용시켰을 때에, 워크(1)가 커버부재(14)의 압압력에서 변형하지 않고, 커버부재(14)와 트레이(10)의 바닥면 사이에서 안정된 협지력이 작용되도록 한다. 또한 사각형으로 한 워크(1)는 그 엣지 부분이 가장 예리하게 되어 있지만, 커버부재(14)가 워크(1)의 엣지 부분에 압압되어, 파열되거나, 손상하거나 하는 우려는 없고, 진공팩(15)이 파손되어 커버부재(14)에 의한 워크(1)에의 압압력이 손실되어 버린다는 사태가 발생할 일은 없다.
또한, 트레이(10)의 보관시나, 운반시에는, 그것을 다단으로 적재함으로써,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를 덮도록 덮개체(16)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워크(1)를 보다 확 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체(16)는 그 덮개체(16)의 내면이 트레이(10)의 상면부(10a)와 거의 접촉하도록 해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높이 치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레이(10)의 소자수용부(11)에 워크(1)를 끼우고 빼낼 때에는, 그것을 위한 지그의 일례로서, 도 8에 나타낸 핀셋(20)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워크(1)는 핀셋(20)을 구성하는 한쌍의 협지부(20a,20a) 사이에 협지되지만, 이 워크(1)에 대한 협지력의 작용위치는, 워크(1)의 끝면에 있어서, 소자수용부(11)에의 끼우고 빼내기 방향을 상하의 끝면으로 했을 때에, 좌우의 끝면으로서, 워크(1)의 표리면에는 핀셋(20)의 협지부(20a)를 접촉시키지 않도록 한다. 워크(1)의 표리면은 광학적인 기능면, 즉 광을 투과시키는 면이기 때문에, 이들의 면에 흠집이 나거나, 오손시키거나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핀셋(20)이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워크(1)의 끼우고 빼내기를 하고 있다.
소자수용부(11)에 수용시킨 워크(1)의 상단부는 실질적으로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비돌출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워크(1)는, 진공팩(15)에 의한 고정전의 단계에서, 또 진공팩(15)의 부압을 개방시킨 후에, 소자수용부(11)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소자수용부(11)의 하부측은 워크 유지부(11a)이며, 상부측은 핀셋(20)을 삽입하고, 워크(1)를 끼우고 빼낼 수 있는 개구부(11b)로 되어 있다. 그래서, 소자수용부(11)와 워크(1)의 치수관계는 도9(a) 및 (b)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9에 있어서, (a)는 소자수용부(11)의 평면도이며, (b)는 종단면도다.
우선, 도 9(a)에 있듯이, 소자수용부(11)에 있어서의 워크 유지부(11a)에 있어서, 그 홈폭(x)은, 워크(1)의 두께 치수(X) 보다 약간 커지고 있다. 그리고, 이 치수차는 워크(1)를 소자수용부(11)에 끼우고 빼낼 때에 주어지는 클리어런스이며, 이 클리어런스는 미소한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워크(1)는 소자수용부(11) 내에서 거의 연직상태에 세워지도록 된다. 또한, 워크 유지부(11a)의 길이 치수, 즉 홈(12)을 끼워서, 소자수용부(11)의 일방측의 끝부로부터 타방측의 끝부까지의 간격, 즉 소자수용부(11)를 구성하는 홈의 길이(y)는, 워크(1)의 길이 치수(Y)보다 약간 길어져 있다.
이상의 치수관계를 갖게 함으로써, 워크(1)는 소자수용부(11)에 거의 연직상태로해서 수용되어서, 트레이(10)를 기울이거나, 이동시키거나 해도, 워크(1)가 소자수용부(11) 내에서 쓸데없이 위치어긋남이나 쓰러짐 등을 일으킬 일은 없다. 그 결과, 발진이나, 워크(1)의 손상 등의 우려가 없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전술한 치수차를 실질적으로 없애버리면, 워크(1)의 고정성은 보다 높아진다. 트레이(10)는, 보통, 수지의 성형품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치수정밀도의 문제로부터, 워크(1)를 소자수용부(11)에 대하여 끼우고 빼낼 때에, 이 소자수용부(11)를 구성하는 벽면과 워크(1)가 슬라이딩 접속하게 되고, 이 워크(1)의 표리면에 흠집이 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트레이(10)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치수 오차분, 바람직하게는 그것보다 큰 치수차를 갖게 한다.
오목홈(12)을 끼운 양측에 위치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소자수용부(11)의 깊이(z)는, 도 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워크(1)의 높이 치수, 즉 워크(1)가 정방형이면, 높이치수는 길이치수와 같지만, 장방형의 경우로서, 긴변을 상하 방향을 향해서 소자수용부(11)에 수용시킬 경우에는, 그 긴변의 치수(Z)와 거의 동일하게 한다. 단,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돌출하고 있거나, 또 매몰하고 있거나 해도, 그것이 약간의 것이면,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소자수용부(11)의 전술한 폭 및 길이 치수는, 하부측의 워크 유지부(11a)로서, 상부측의 개구부(11b)는 그것보다 폭 및 길이 치수가 커지고 있다. 또한, 깊이 방향에 있어서는, 워크 유지부(11a)쪽을 장척으로 한다. 즉, 워크 유지부(11a)에 깊이 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갖게함으로써, 워크(1)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1b)의 깊이는, 워크(1)의 끼우고 빼내기용의 지그로서의 핀셋(20)이 작동가능한 공간을 갖게 하는데 필요한 치수를 갖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개구부(11b)의 폭치수 및 길이치수는, 소자수용부(11) 내에 워크(1)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이 워크(1)의 좌우 양단부를 핀셋(20)의 협지부(20a,20a)에서 협지해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치수로 한다. 이것에 의해, 핀셋(20)에 의해, 워크(1)를 소자수용부(11)에 용이하게, 또한 원활하게 끼우고 빼낼 수 있고, 조작중에 워크(1)를 떨어뜨리거나, 흠집을 내거나 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소자수용부(11)의 홈의 깊이를, 워크(1)의 상단부가 트레이(10)의 상면부(10a)와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진공팩(15)의 내부에 트레이(10)를 삽입하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면, 내부공간이 축소하려고 한다. 그 결과, 도 10 및 도 1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재(14)(또는 진공팩(15))가 트레이(10)의 상면부(10a)를 압압하는 방향으로 휘고, 워크(1)를 상부로부터 압압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워크(1)의 하단부는 트레이(10)에 있어서의 소자수용부(11)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워크(1)는 트레이(10)의 바닥면과 커버부재(14) 사이에 협지되도록 해서 고정된다.
여기에서, 홈(12) 및 슬릿형상홈(13)의 깊이는, 워크(1)의 높이 치수, 즉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슬릿형상홈(13,13)으로 구성되는 소자수용부(11)에 수용시켰을 때의 상하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워크(1)는 소자수용부(11)내에 있어서, 다소 매몰된 상태가 되도록 수용시키는 깊이로 할 수도 있다. 다만, 워크(1)를 너무 깊게 매몰시키면, 부압에 의한 밀착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즉, 워크(1)의 상단부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해서 소자수용부(11)에 수용시켜서, 워크(1)나 진공팩(15)의 보호를 꾀할 수 있다.
워크(1)는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고, 또 워크(1)의 좌우 양측부는 소자수용부(11)를 구성하는 슬릿형상홈(13)의 벽면에 거의 접촉하고 있다. 워크(1)의 소자수용부(11)로의 끼우고 빼내기시, 특히 꺼낼 때에는, 그 지그의 일례로서, 핀셋(20)(도 14 참조)을 이용하여, 그 좌우의 협지부(20a,20a)에 의해 워크(1)의 좌우의 양측부를 협지시키도록 하지만, 핀셋(20)의 협지부(20a)가 슬릿형상홈(13)의 벽면에 간섭해서 워크(1)의 양측부에 접촉시킬 수 없다. 그래서, 워크(1)를 꺼낼 때에는, 이 워크(1)를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소정 길이 정도만 돌출시키도록 한다. 단, 이 워크(1)의 돌출부분의 길이는, 그 전체 길이의 절반 정도 이하로 한다. 또한, 워크(1)를 소자수용부(11)로부터 꺼내기 위해서, 핀셋(20)의 협지부(20a)에 의해 워크(1)를 협지시킬 때에, 최저한, 이 워크(1)를 떨어뜨릴 일이 없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길이 정도 만큼의 돌출량을 확보한다.
이와 같이, 소자수용부(11)로부터 워크(1)을 돌출시키기 위해서,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10)에 있어서의 홈(12)의 저벽으로서, 각 소자수용부(11)를 구성하는 위치에, 이 소자수용부(11)의 길이 방향을 향해서 길어진 투공(17)이 뚫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동부재(30)가 이용되고, 이 압동부재(30)에 의해 각 소자수용부(11) 내의 모든 워크(1)를 일제히 돌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압동부재(30)는, 주위에 소정 높이의 입벽(31a)을 갖는 받침대(31)의 윗면에, 각 투공(17)과 대향하도록 돌기(32)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31)의 외형은 트레이(10)의 측벽부(10b)의 내면 형상과 거의 일치하고 있고, 트레이(10)를 진공팩(15)으로부터 탈착시킨 상태로 해서, 그 측벽부(10b)의 내측에 압동부재(30)의 입벽(31a)이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10)와 압동부재(30)를 겹쳐쌓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작업 테이블 위에 압동부재(30)를 적재하고, 이 압동부재(30)에 트레이(10)를 끼워 맞추지만, 소자수용부(11)을 구성하는 슬릿형상홈(13) 및 홈 (12)의 저벽이 받침대(31)의 표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밀어 넣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받침대(31)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돌기(32)가 오목홈(12)에 설치된 투공(17)내에 진입하게 되고, 도 14 및 도 15에서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자수용부(11) 내에 위치하는 워크(1)가 돌기(32)에 의해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소정량 밀어 올려지게 된다. 그 결과, 워크(1)를 핀셋(20)으로 협지해서 트레이(1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압동부재(30)에 트레이(10)를 겹쳐 쌓을 때에, 그 사이에 소정의 끼워맞춤대를 설치하면, 작업 테이블 상에서 트레이(10)의 상면부(10a)로부터 워크(1)를 핀셋(20)으로 협지할 수 있는 만큼만 돌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돌기(32)는 워크(1)을 직접 밀어 올리는 것이기 때문에, 이 때에 워크(1)에 흠집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돌기(32)는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6에 트레이의 소자수용부와 투공의 다른 구성을 예시한다. 동도(a)에는, 오목홈을 형성하지 않고, 각각 단독으로 형성되는 소자수용부(4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소자수용부(40)는 양단부가 전술한 슬릿형상홈(13)과 같은 형상이 된 위치결정부(40a)이며, 오목홈(12)에 해당하는 부위는 양단부보다 폭이 넓은 확폭부(40b)로 되어 있다. 따라서, 워크(1)는 양쪽 위치결정부(40a,40a)에 의해 세운 상태로 위치결정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확폭부(40b)에 압동부재의 밀어 올리기용의 돌기가 진입하는 투공(41)이 형성된다.
또한, 도 16(b), (c) 및 (d)는, 어느 것이나 오목홈(12)을 구성하는 측벽에 슬릿형상홈(13,13)을 형성해서 소자수용부(11)을 설치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것이 지만, 동도(b)에서는, 투공(50)은 오목홈(12)의 거의 전 길이에 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동부재에 설치되는 밀어 올리기용의 돌기는 각 오목홈(12)에 대해 1개의 장척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압동부재의 구성이 간략화된다. 또한, 동도(c)는 복수의 소자수용부(11)에 미치는 긴 구멍형상의 투공(51)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압동부재에는 각 투공(51)에 대해 1개의 돌기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동도(d)에 나타낸 것 같이, 투공(52)을 오목홈(12)의 길이방향에 길이로 해도 좋다.
이상에 있어서, 도 16(b)의 구성에서는, 압동부재의 돌기의 구조가 간략화된다. 그러나, 소자수용부(11)의 저벽의 강도가 떨어지는 점에서, 트레이를 강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도 16(c)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보다 구성이 간략화될 수 있고, 또한 도 16(b)의 것과 비교하여, 소자수용부(11)의 저벽의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도 1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투공(52)을 오목홈(12)의 길이방향에 긴 것으로 함으로써, 돌기의 폭을 워크(1)의 두께보다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워크(1)의 밀어 올리기 시에 있어서의 안정성이 증대한다.
(제4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공팩(15)과 워크(1) 사이에 커버부재(14)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진공팩으로서,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구성의 것을 이용하도록 하면, 반드시 커버부재(14)를 진공팩과 워크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는 없다. 동도에 예시한 진공팩(60)은 5층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필름의 중심에 위치하는 층은, 예를 들면,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기밀필름(61)이다. 또한, 이 기밀필름(61)의 상하에는 쿠션 기능을 보유하고, 워크(1)의 모퉁이부에 압압되어도,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하중을 흡수하는 쿠션층(62)이 점착되어 있다. 또한, 양 쿠션층(62)의 외측에는 점성 강도가 있고, 예리한 것으로 밀착되어도, 스크래치나 파열이 용이하게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높은 강도를 갖고, 또한, 표면이 마찰되어도 마모 내지 분진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없는 수지로서 리니아로덴시티ㆍ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외층(53)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진공팩(60)에 소요의 특성을 갖게 하도록, 다층 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진공팩(60) 그 자체, 즉 다층 기밀부재가 워크(1)의 끝면을 압압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호시트를 구성하는 커버부재(14)를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트레이(10)에 워크(1)가 다수 수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공팩(60) 내에 트레이(10)를 삽입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써, 개개의 워크(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압압력이 작용하고, 모든 워크(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내에 수용시킨 다수의 광학소자를 극히 안정된 상태에서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각각의 광학소자가 트레이 내면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마모분이 발생하는 등의 우려가 없고, 또한 케이스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여도, 광학소자에 크랙 등의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3)
-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는 소자수용부를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한 덮개가 없는 트레이;이 트레이를 수납하는 진공팩; 및가요성이 있는 보호시트를 갖고:상기 광학소자를 상기 소자수용부에 수용시킨 트레이를 상기 진공팩에 수납하고, 각 광학소자 상을 상기 보호시트로 덮도록 해서 상기 진공팩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고, 상기 각 광학소자의 상하의 끝면 사이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과 상기 보호시트 사이에서 클램프시키도록 해서, 이들 각 광학소자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이고,상기 소자수용부는 소정 깊이를 갖고, 상기 깊이는 상기 광학소자를 수용시켰을 때에, 이 광학소자가 그 절반보다 짧은 높이 만큼 상기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깊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광학소자로의 접촉면이 비섬유질의 커버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는 소자수용부를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한 덮개가 없는 트레이; 및가요성을 갖는 쿠션재와, 이 쿠션재를 덮고, 스크레치에 대한 강도가 높은 외층을 포함하는 다층 기밀부재를 갖는 진공팩을 갖고:상기 광학소자를 상기 소자수용부에 수용시킨 트레이를 상기 진공팩 내에 수납시켜서,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고, 각 광학소자의 상하의 끝면 사이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과 상기 다층 기밀부재 사이에서 클램프시키도록 해서, 이들 각 광학소자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이고,상기 소자수용부는 소정 깊이를 갖고, 상기 깊이는 상기 광학소자를 수용시켰을 때에, 이 광학소자가 그 절반보다 짧은 높이 만큼 상기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깊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삭제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팩된 트레이에 덮개체를 장착하여, 상기 광학소자에 외부로부터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해서, 복수단 적재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소자 수용부는 상기 광학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홈을 갖고,이 홈은, 그 깊이 방향의 하부측이 상기 광학소자의 양단부에 대하여 미소한 간격을 갖고 대면하고,그 깊이 방향의 상부측이 상기 광학소자를 끼우고 빼내기 위한 지그가 삽입 가능한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소자수용부는 상기 소자수용부의 저벽부에 광학소자를 밀어 올리기 위한 복수의 투공을 형성하고,상기 각 투공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밀어 올리기용의 돌기를 설치한 압동부재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에 중첩시킴으로써 이들 각 돌기에 의해 투공을 통하여 상기 각 소자수용부 내의 광학소자를 상기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밀어 올리도록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박판형상의 광학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홈을 갖고 상기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에서 수용하는 소자수용부가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되고, 이들 각 소자수용부에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트레이를 진공팩에 의해 밀폐 포장하도록 한 광학소자수용 케이스로서,상기 소자수용부를 구성하는 홈은 상기 광학소자를 수용했을 때에, 상기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상기 광학소자가 비돌출상태가 되는 깊이를 갖고,그 깊이 방향의 하부측이 상기 광학소자의 양단부에 대하여 미소한 간격을 갖고 대면하고,그 깊이 방향의 상부측이 상기 광학소자를 끼우고 빼내기 위한 지그가 삽입 가능한 개구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박판형상의 광학소자를 세운 상태로 수용하는 소자수용부가 종횡으로 소정수 형성되고, 이들 각 소자수용부에 광학소자를 수용시킨 트레이를 진공팩에 의한 밀폐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로서,상기 소자수용부는 상기 광학소자를 상기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비돌출상태가 되도록 수용되는 깊이를 갖는 것이며,상기 소자수용부의 저벽부에 광학소자를 밀어 올리기 위한 복수의 투공을 형성하고,상기 각 투공과 대응하는 각 위치에 밀어 올리기용의 돌기를 설치한 압동부재를 상기 트레이의 바닥면에 중첩시킴으로써 이들 각 돌기에 의해 투공을 통하여 상기 각 소자수용부 내의 광학소자를 상기 트레이의 윗면으로부터 밀어 올리도록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수용되는 상기 광학소자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이며, 폭이 상기 광학소자의 길이보다 짧은 오목홈을 복수열 형성하고, 이들 각 오목홈의 좌우의 측벽부에 상기 광학소자의 양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광학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큰 슬릿형상홈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는 각 쌍의 슬릿형상홈에 의해 상기 소자수용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공은 상기 오목홈의 저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형성한 모든 소자 수용부에 미치는 길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동부재는, 상기 각 소자수용부 내의 광학소자를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의 돌기를 소정수 보유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트레이에 형성한 상기 각 투공과 대응하는 받침대 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투공은 상기 오목홈의 저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에 형성한 1개 혹은 복수의 소자 수용부 마다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324508A JP2006131288A (ja) | 2004-11-09 | 2004-11-09 | 光学素子収容ケース |
JPJP-P-2004-00324508 | 2004-11-09 | ||
JPJP-P-2005-00097646 | 2005-03-30 | ||
JP2005097645A JP2006273400A (ja) | 2005-03-30 | 2005-03-30 | 光学素子収容ケース |
JP2005097646A JP2006273401A (ja) | 2005-03-30 | 2005-03-30 | 光学素子収容ケース |
JPJP-P-2005-00097645 | 2005-03-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2553A KR20060052553A (ko) | 2006-05-19 |
KR100748455B1 true KR100748455B1 (ko) | 2007-08-10 |
Family
ID=3715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6908A KR100748455B1 (ko) | 2004-11-09 | 2005-11-09 |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8455B1 (ko) |
CN (1) | CN100475664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30623A (ja) * | 2007-03-16 | 2008-10-02 | Konica Minolta Opto Inc | 光学製品収容容器 |
JP5194883B2 (ja) * | 2007-03-16 | 2013-05-08 |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 レンズトレイ |
JPWO2009060680A1 (ja) * | 2007-11-08 | 2011-03-17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光学製品収容容器及び光学製品収容方法 |
CN102837900A (zh) * | 2011-06-23 | 2012-12-26 | 苏州五方光电科技有限公司 | 光学镜头组件存放盒 |
JP6540951B2 (ja) * | 2015-05-14 | 2019-07-10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容器及び梱包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8074U (ja) | 1982-08-18 | 1984-02-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真空包装体 |
JP2001171750A (ja) | 1999-12-14 | 2001-06-26 | Olympus Optical Co Ltd | 物品搬送用包装体および光学レンズ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090228A (en) * | 1978-01-26 | 1980-11-25 | Royden B. Morris | Microfiche trays |
CN2630171Y (zh) * | 2003-06-06 | 2004-08-04 | 钰晶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光学晶片包装盒 |
-
2005
- 2005-11-09 CN CNB2005101202800A patent/CN10047566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1-09 KR KR1020050106908A patent/KR1007484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8074U (ja) | 1982-08-18 | 1984-02-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真空包装体 |
JP2001171750A (ja) | 1999-12-14 | 2001-06-26 | Olympus Optical Co Ltd | 物品搬送用包装体および光学レン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475664C (zh) | 2009-04-08 |
KR20060052553A (ko) | 2006-05-19 |
CN1772570A (zh) | 2006-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8455B1 (ko) | 광학소자 수용 케이스 | |
JP4901338B2 (ja) | レンズユニットの包装体 | |
KR100289636B1 (ko) | 액정용등의 유리판운반용용기 | |
CN214567266U (zh) | 镜片包装盒 | |
JP2009123814A (ja) | 緩衝体及び梱包体 | |
WO2006046522A1 (ja) | 光学デバイス用梱包ケース、及び梱包方法 | |
JP2000142873A (ja) | 包装用補助具および包装体 | |
JP2006131288A (ja) | 光学素子収容ケース | |
JP7061857B2 (ja) | リングスペーサー | |
JP2006273401A (ja) | 光学素子収容ケース | |
US20030213716A1 (en) | Wafer shipping and storage container | |
US11702265B2 (en) | Packaging structure and delivering device | |
JP4947543B2 (ja) | 緩衝包装体及び梱包方 | |
JP2006273400A (ja) | 光学素子収容ケース | |
JP4811008B2 (ja) | パレットとこれを用いた光学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品の包装体と収容体 | |
CN215437873U (zh) | 层叠体托盘一体件及托盘 | |
JP4922676B2 (ja) | 収納用トレー | |
JPH08217184A (ja) | 液晶ガラス板運搬用容器 | |
JPH10194376A (ja) | キャリアおよび保護シート付トレーならびにトレー | |
JP2007230585A (ja) | トレー | |
JP6357898B2 (ja) | 板状物の梱包方法 | |
JP2006160347A (ja) | 光学素子用梱包ケース | |
JP4294970B2 (ja) | プラスチックシート組立容器 | |
JP4567348B2 (ja) | 光学用部品の収容方法 | |
JP7183731B2 (ja) | トレイ、ワーク梱包体、及びワークの梱包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