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 및 P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에 인가하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를 구비하는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는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부; 상기 제1 온도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1 온도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압 조정부; 및 상기 제1 전압 조정부의 출력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P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올라가면 상기 P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증대시키고,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내려가면 상기 P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키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를 구비하는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 및 N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에 인가하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를 구비하는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는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부; 상기 제2 온도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2 온도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전압 조정부; 및 상기 제2 전압 조정부의 출력 전압을 입력하고, 상기 N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올라가면 상기 N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감소시키고,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내려가면 상기 NMOS 백바이어스 전압을 증가시키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를 구비하는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201)는 리프레시 신호(RFRS)와 기준 전압(VREF1) 및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입력하고,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출력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201)는 제1 온도 감지부(211), 제1 전압 조정부(221) 및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를 구비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201)는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에 구비된다. 메 모리 집적회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뱅크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뱅크는 다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다. 메모리 셀들이 디램 셀(DRAM cell)들일 경우, 디램 셀들은 소정 시간마다 한번씩 리프레시 신호(RFRS)에 의해 리프레시된다.
제1 온도 감지부(211)는 리프레시 신호(RFRS)를 입력하고, 리프레시 신호(RFRS)에 응답하여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한다. 즉, 제1 온도 감지부(211)는 대기 상태에서는 비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다가 리프레시 신호(RFRS)가 논리 하이(logic high) 또는 논리 로우(logic low)로 액티브(active)되면, 제1 온도 감지부(211)는 활성화되어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온도 감지부(211)는 리프레시 신호(RFRS)가 액티브될 때에만 활성화됨으로써,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201)의 대기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제1 온도 감지부(211)는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다수개의 디지털 비트들(도 3의 a1∼an-2)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수개의 비트들(도 3의 a1∼an-2)은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최고일 때 모두 "1"로써 출력되고,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최저일 때 모두 0"으로써 출력된다. 또한, 다수개의 비트들(도 3의 a1∼an-2)은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최고와 최저 사이일 때는 "1"과 "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높을수록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에는 "1"의 수가 많이 포함되고,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낮을수록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에는 "0"의 수가 많이 포함된다.
제1 전압 조정부(221)는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와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입력하고,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즉,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은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전압이 증가하면 감소하고,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전압이 감소하면 증가한다. 제1 전압 조정부(221)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는 기준 전압(VREF1)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을 입력하고,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출력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는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이 증가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감소시키고,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이 감소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증가시킨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P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201)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온도 감지부(211)는 리프레시 신호(RFRS)가 논리 로우로 인액티브되면 대기 상태로 유지하며, 리프레시 신호(RFRS)가 논리 하이로 액티브되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1 전압 조정부(221)로 전달한다. 제1 전압 조정부(221)는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TA)가 이전보다 증가하면 출력 전압(VA)을 감소시키고,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TA)가 이전보다 감소하면 출력 전압(VA)을 증가시켜서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로 전달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는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기준 전압(VREF1)보다 낮으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증가시키고,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으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증가하고,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감소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전압 조정부(221)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압 조정부(221)는 제1 내지 제n 저항들(R1∼Rn)과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을 구비한다.
제1 저항(R1)에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인가된다.
제n 저항(Rn)에는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접지 전압(VSS)이 인가된다.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은 각각 제2 저항(R2) 내지 제(n-1) 저항에 하나씩 병렬로 연결된다.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의 게이트들에는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a1∼an-2))가 인가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은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a1∼an-2)가 논리 하이이면 활성화되고,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a1∼an-2)가 논리 로우이면 비활성화된다.
제1 저항(R1)과 제2 저항(R2)의 연결 노드(N1)로부터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출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TA)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비트들(a1∼an-2)이 논리 하이로 되는 숫자가 증가하면 활성화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감소한다. 반대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여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TA)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비트들(a1∼an-2)이 논리 로우로 되는 숫자가 증가하면 비활성화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증가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의 회로가 도 3에 도시된 제1 전압 조정부(221)의 회로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는 차동 증폭기(411)와 출력 드라이버(421)를 구비한다.
차동 증폭기(411)는 기준 전압(VREF1)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을 입력하고, 기준 전압(VREF1)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한다. 즉, 차동 증폭기(411)는 반전 입력부(-)와 비반전 입력부(+)를 구비하고, 기준 전압(VREF1)은 반전 입력부(-)로 입력하고,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비반전 입력부(+)로 입력한다. 차동 증폭기(411)는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기준 전압(VREF1)보다 낮으면 접지 전압(VSS)을 출력하고,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으면 전원 전압(VDD)을 출력한다.
출력 드라이버(421)는 차동 증폭기(411)의 출력 전압(OUT1)을 입력하고,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출력한다. 출력 드라이버(421)는 차동 증폭기(411)의 출력 전압(OUT1)이 액티브되면, 예컨대 접지 전압(VSS) 레벨이면 활성화되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증가시키고, 차동 증폭기(411)의 출력 전압(OUT1)이 인액티브되면, 예컨대 전원 전압(VDD) 레벨이면 비활성화되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차동 증폭기(411)의 출력 전압(OUT1)이 인액티브될 경우 출력 드라이버(421)는 비활성화되어 동작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출력 드라이버(421)의 출력단에는 전압 공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실제로는 저절로 감소되는 것이며, 출력 드라이버(421)에 의해 감소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드라이버(421)는 차동 증폭기(411)의 출력 전압(OUT1)이 게이트에 인가되고, 전원 전압(VDDK)이 소오스에 인가되며,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되는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출력 드라이버(421)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DDK)은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의 최대치보다 더 높은 전압이다. 따라서, 출력 드라이버(421)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VDDK)으로는 외부에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로 입력되는 외부 전압과,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메모리 셀에 구비되는 워드라인에 인가되는 워드라인 승압 전압, 및 상기 메모리 셀에 연결되는 비트라인을 프리차지시키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압 중 하나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 기로 한다.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VREF1)보다 감소하면, 차동 증폭기(411)는 접지 전압(VSS) 레벨을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 드라이버(421)는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증가한다. 반대로,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기준 전압(VREF1)보다 증가하면, 차동 증폭기(411)는 전원 전압(VDD)을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 드라이버(421)는 비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감소한다.
도 4에 도시된 제1 전압 조정부(221)와 P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231)의 동작을 서로 연결시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의 값이 증가하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일정 크기만큼 감소한다. 차동 증폭기(411)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1)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대기시에는 거의 동일한 크기로 유지된다. 때문에,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일정 크기만큼 감소하면, 출력 드라이버(421)가 활성화되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일정 크기로 증가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증가하면, 노드(N1)의 전압도 따라서 증가한다.
그러다가,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일정 크기만큼 증가하게 되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도 일정 크기만큼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기준 전압(VREF1)을 초과하는 순간, 출력 드라이버(421)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감소하기 시작하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다시 감소하며,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감소하다가 기준 전압(VREF1)보다 낮아지면, 출력 드라이버(421)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되며, 그로 인하여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증가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서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 즉,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올라가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일정한 크기만큼 증가한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와 반대 동작을 통하여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일정한 크기만큼 감소한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여 제1 온도 감지부(211)의 출력 신호(도 3의 TA)의 값이 감소하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일정 크기만큼 증가한다. 차동 증폭기(411)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1)과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대기시에는 거의 동일한 크기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일정 크기만큼 증가하면, 출력 드라이버(421)가 비활성화되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일정 크기로 감소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감소하면, 노드(N1)의 전압도 따라서 감소한다.
그러다가,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일정 크기만큼 감소하게 되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도 일정 크기만큼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기준 전압(VREF1)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 (VA)이 기준 전압(VREF1) 이하로 낮아지는 순간, 출력 드라이버(421)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증가하면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은 다시 증가하며, 제1 전압 조정부(221)의 출력 전압(VA)이 증가하다가 기준 전압(VREF1)보다 높아지면, 출력 드라이버(421)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되며, 그로 인하여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감소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서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501)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501)는 리프레시 신호(RFRS)와 기준 전압(VREF2) 및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입력하고,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출력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501)는 제2 온도 감지부(511), 제2 전압 조정부(521) 및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를 구비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501)는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에 구비된다.
이하에서,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접지 전압(VSS)보다 낮은 음전압이며,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감소한다는 것은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의 절대치가 증가한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증가한다는 것은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의 절대치가 감소한다는 의미이다.
제2 온도 감지부(511)는 도 2에 도시된 제1 온도 감지부(211)와 기능 및 동작이 동일함으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전압 조정부(521)는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와 NMOS 백바 이어스 전압(VBBN)을 입력하고,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에 따라 변동하는 전압(VB)을 출력한다. 즉,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의 값이 증가하면 증가하고,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의 값이 감소하면 감소한다. 제2 전압 조정부(521)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는 기준 전압(VREF2)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을 입력하고,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출력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는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증가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감소시키고,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감소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증가시킨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생기(501)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온도 감지부(511)는 리프레시 신호(RFRS)가 액티브되면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2 전압 조정부(521)로 전달한다. 제2 전압 조정부(521)는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가 이전보다 증가하면 출력 전압(VB)을 증가시키고,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가 이전보다 감소하면 출력 전압(VB)을 감소시켜서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로 전달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는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으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감소시키고, 제2 전압 조정부 (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낮으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감소하고,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증가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전압 조정부(521)의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전압 조정부(521)는 제1 내지 제n 저항들(R1∼Rn)과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을 구비한다.
제1 저항(R1)에는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
제n 저항(Rn)에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인가된다.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은 각각 제2 저항(R2) 내지 제(n-1) 저항에 하나씩 병렬로 연결된다.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의 게이트들에는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가 인가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NM1∼NMn-2)은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가 논리 하이이면 활성화되고,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가 논리 로우이면 비활성화된다.
제(n-1) 저항(Rn-1)과 제n 저항(Rn)의 연결 노드(N2)로부터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출력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를 구성하는 비트들(a1∼an-2)이 논리 하이로 되는 숫 자가 증가하면 활성화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증가한다. 반대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여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를 구성하는 비트들(a1∼an-2)이 논리 로우로 되는 숫자가 증가하면 비활성화되는 NMOS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감소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의 회로가 도 6에 도시된 제2 전압 조정부(521)의 회로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을를 참조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는 차동 증폭기(711)와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를 구비한다.
차동 증폭기(711)는 기준 전압(VREF2)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을 입력하고, 기준 전압(VREF2)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출력한다. 즉, 차동 증폭기(711)는 반전 입력부(-)와 비반전 입력부(+)를 구비하고, 기준 전압(VREF2)은 반전 입력부(-)로 입력하고,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비반전 입력부(+)로 입력한다. 차동 증폭기(711)는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낮으면 접지 전압(VSS)을 출력하고,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으면 전원 전압(VDD)을 출력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차동 증폭기(711)의 출력 전압(OUT2)을 입력하고,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출력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차동 증폭기(711)의 출력 전압(OUT2)이 액티브되면, 예 컨대 전원 전압(VDD) 레벨이면 활성화되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감소시키고, 차동 증폭기(711)의 출력 전압(OUT2)이 인액티브되면, 예컨대 접지 전압(VSS) 레벨이면 비활성화되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차동 증폭기(711)의 출력 전압(OUT2)이 인액티브될 경우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비활성화되어 동작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의 출력단에는 전압 공급이 되지 않기 때문에,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실제로는 저절로 증가하는 것이며,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에 의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즉,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접지 전압(VSS)보다 낮은 음전압이기 때문에,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의 출력단에 전압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물리적인 현상에 의해 접지 전압(VSS)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아지면, 차동 증폭기(711)는 전원 전압(VDD)을 출력한다. 그러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감소한다. 반대로,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낮아지면, 차동 증폭기(711)는 접지 전압(VSS)을 출력한다. 그러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비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증가한다.
도 4에 도시된 제2 전압 조정부(521)와 NMOS 백바이어스 전압 출력부(531)의 동작을 서로 연결시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상승하여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의 값이 증가하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일정 크기만큼 증가한다. 차동 증폭기(711)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2)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대기시에는 거의 동일한 크기로 유지된다. 때문에,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일정 크기만큼 증가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가 활성화되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일정 크기로 감소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감소하면, 노드(N2)의 전압도 따라서 감소한다.
그러다가,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일정 크기만큼 감소하게 되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도 일정 크기만큼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기준 전압(VREF2)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낮아지는 순간,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다시 증가하며,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증가하다가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아지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되며, 그로 인하여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감소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서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 즉,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올라가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일정한 크기만큼 감소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와 반대 동작을 통하여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일정한 크기만큼 증가한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온도가 하강하여 제2 온도 감지부(511)의 출력 신호(TA)의 값이 감소하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일정 크기만큼 감소한다. 차동 증폭기(711)로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2)과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대기시에는 거의 동일한 크기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일정 크기만큼 감소하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가 비활성화되어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일정 크기로 증가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증가하면, 노드(N2)의 전압도 따라서 증가한다.
그러다가,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일정 크기만큼 증가하게 되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도 일정 크기만큼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기준 전압(VREF2)보다 높아지는 순간,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되고, 그에 따라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감소하면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은 다시 감소하며, 제2 전압 조정부(521)의 출력 전압(VB)이 감소하다가 기준 전압(VREF2)보다 낮아지면, NMOS 백바이어스 전압 발진 및 펌프부(721)는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되며, 그로 인하여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 은 증가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서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
도 8은 도 2의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 및 도 5의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은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전원 전압(VDD)보다 높으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한다. 또한,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은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접지 전압(VSS)보다 낮으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감소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기(901)의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동 증폭기(901)는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 및 전류원(931)을 구비한다. 또한,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에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인가되고,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에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인가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전압(VDD)이 낮을 경우, 온도가 낮아질수록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문턱전압은 상승한다. 그 이유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드레인 포화 전류(idsat)가 커지기 때문이다.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드레인 포화 전류와 문턱 전압은 비례한다.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문턱 전압이 상승하면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동작 속도가 저하한다. 이 때,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의 백바이어스 전압으로써 사용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백바이어스 전압으로써 사용함으로써, 냉온에서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문턱 전압은 상승하지 않고 낮아진다. 따라서, 냉온에서 전원 전압(VDD)이 낮더라도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동작 속도는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온도가 높아질수록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누설 전류가 증가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의 백바이스 전압으로써 사용하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NMOS 트랜지스터들(921∼922)의 백바이어스 전압으로써 사용한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포화 전류가 증가하여 PMOS 트랜지스터들(911∼912)과 NMOS 트랜지스터들(911∼912)의 누설 전류는 증가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센스 앰프(1001)의 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입출력 센스 앰프(1001)는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1011∼1012)과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1021∼1022) 및 전류원(1031)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1011∼1012)에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이 인가되고,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1021∼1022)에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이 인가된다.
도 9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가 낮아질수록 감소하는 PMOS 백바이어스 전압(VBBP)을 복수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1011∼1012)의 백바이어스 전압들로써 사용하고,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NMOS 백바이어스 전압(VBBN)을 복수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1021∼1022)의 백바이어스 전압들로써 사용함으로써, 냉온에서 PMOS 트랜지스터들(1011∼1012)과 NMOS 트랜지스터들(1021∼1022)의 문턱 전압들의 동작 속도는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온도가 높아지더라도 PMOS 트랜지스터들(1011∼1012)과 NMOS 트랜지스터들(1021∼1022)의 누설 전류는 증가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온도와 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상태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1112)은 냉온에서 종래 기술(1111)에 비해 감소된다.
이와 같이, 냉온에서도 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감소됨에 따라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에 낮은 전원전압을 사용하더라도 냉온 및 고온에서 동작 속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낮은 전원 전압(VDD)을 사용함으로써 메모리 집적회로 장치의 전력 소모도 감소된다.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가 개시되었으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