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742B1 - Rotational conn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Rotational connec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9742B1 KR100709742B1 KR1020050133792A KR20050133792A KR100709742B1 KR 100709742 B1 KR100709742 B1 KR 100709742B1 KR 1020050133792 A KR1020050133792 A KR 1020050133792A KR 20050133792 A KR20050133792 A KR 20050133792A KR 100709742 B1 KR100709742 B1 KR 100709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inner space
- connection device
- base
- contac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부재와 회전부에 고정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가 탄성적으로 제1 부재에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부의 피봇회전 기능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부와 지지부를 연결하고 회전부를 지지부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 부재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부에 고정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연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member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the second member is elastic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member to enable the pivoting function of the rotating portion to enable the rotation It relates to a rotary connec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ry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rotating part and a supporting part and rotating the rot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comprising: a first member fixedly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member accommodated in the first memb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elastically extend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회전, 통신단말기, 피봇, 힌지Rotating, Communication Terminal, Pivot, Hinge
Description
도 1은 피봇스윙 통신단말기 및 그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ivot sw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therei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다.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다른 분해 조립도이다. 3 is another exploded view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다.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다른 분해 조립도이다. 8 is another exploded view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의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rotating apparatu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2 부재 11: 접촉부10: second member 11: contact portion
13: 베이스14: 제1 부재13: base 14: first member
15: 삽입재16: 커버15: insert 16: cover
21: 가이드돌기31: 가이드슬롯21: guide protrusion 31: guide slot
32: 원주가이드 돌기부41: 내부공간부32: circumferential guide protrusion 41: internal space
45: 회전축45: axis of rotation
본 발명은 회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부재와 회전부에 고정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가 탄성적으로 제1 부재에 수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부의 피봇회전 기능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first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member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the second member is elastic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member can rotate It relates to a rotary connection device to enable the pivot rotation function of the rotating unit.
최근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모니터와 같은 기기들에서 디스플레이화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시키거나 개폐하도록 하는 구조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을 상하로 개방하도록 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키패드가 위치한 지지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90도 회전시켜 개방하도록 하는 피봇기능을 가진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Recently, structures for rotating 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play screen in various devices such as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monitors have been proposed. 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opening up and dow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having a pivot function for rotating the opening 90 degrees on the same plane as the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keypad is located has emerged.
종래의 경우 이러한 피봇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도 11과 같은 방식의 피봇힌지가 사용되었다. 이는 한국공개특허 2004-105629호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힌지 회전되는 지지부에 디스플레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 1고정부(200); 상기 제 1고정부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제 1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상기 제 1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제 2고정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제 한하기 위한 캠(312); 및 상기캠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부를 초기 상태와 회전된 상태에서 소정의 제동력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부(410,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이다. In the related art, the pivot hinge of FIG. 11 is used to perform such a pivot function. This relates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105629, "Display Rot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display rotation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rotatably coupling a display to a support that is hinged from a main body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support portion A fixed
이와 같은 회전장치는 조립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고, 복잡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캠(31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는 가이드리브(412)가 상하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90도로 왕복회전만 할 수 있는 기능상의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캠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단지 스프링의 힘에 의해서만 발현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Such a rotating device has a large number of parts to be assembled and has a complicated shape. In addition, the guide rib 412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보다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작단가를 낮추고, 작동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회전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ry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formed in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prior art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he operating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제한없이 360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연결장치를 제공하고, 보다 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ry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more than 360 degrees without limitation, and to provide a rotary connection device having a support structure that can exhibit a stronger bearing for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회전부와 지지부를 연결하고 회전부를 지지부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고정연결되는 제1 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 부재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며, 상기 회전부에 고정연결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연결장치를 제공한다. As a constituent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ry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rotary part and the support and to rotate the rotary 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member fixedly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second member accommodated in the first memb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is elastically extend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는 다각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부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에 수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이다. Preferably, the first member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f a polygon and includes an inner space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e second member is formed with a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Is accommodated in. More preferably,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is substantially square in shap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는, 원판형의 베이스; 및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의 대각선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하도록 연겯되며,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의 모서리(edge)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의 모서리(edge)에 인접한 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접촉부의 대각선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의 대각선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 disc-shaped base; And a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so as to be elastically contracted and expand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formed to contact an edge of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side adjacent to the edge (edge) of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In addition, a guide slot may be formed in the base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member to guide the diagonal movement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may be formed to guide the insertion protrusion to move.
또한 상기 접촉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한쌍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또는 다른 접촉부재와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의 모서리(edge)에 접촉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직각의 접촉부분을 갖는 삼각형 형태이다.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it can be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base or other contact member through a spring.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has a triangular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right contact portion that can contact an edge of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또한 상기 베이스 중 접촉부가 연결되는 면의 원주둘레에는 상기 접촉부의 전방부분을 제외한 상기 접촉부의 둘레면에 접촉하도록 원주가이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의 모서리(edge)들 사이의 변은 외측을 향해 만곡된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부의 모서리 중 만곡된 곡선부분에 상기 베이스의 외주연이 접촉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circumferential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a surface of the base to which the contact part is connected to conta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ct part except the front part of the contact part. In addition, the sides between the edge (edge) of the inner spac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outside.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may be arranged to contact a curved portion of the corner of the inner sp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부재의 외측원주 부분 및 제1 부재의 둘레부분을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제2 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삽입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 및 지지부는 정보통신단말기의 지지부 및 회전부가 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it may include a cover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member, and an insert inserted between the cover and the second member to reduce frictional force due to rotation.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and the support may be a supporting part and a rotating par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가 장착되는 통신단말기의 예시이다. 통신단말기는 피벗동작으로 폴더를 개폐하는 구조의 핸드폰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단말기에서 지지부(3) 및 회전부(2)를 도시하였다. 1 is an illust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having a structure of opening and closing a folder by a pivoting operation. The supporting part 3 and the rotating
본 발명에 의한 회전연결장치(1)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부(3) 및 회전부(2)에 연결되며, 회전부(2)가 지지부(3)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도 1에서는 90도 단위로 총 360도회전이 가능함)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면번호 4는 회전부의 내부커버이다. The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통신단말기의 전방측에서 본 회전연결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다.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1 부재(14)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지지부(3)에 고정연결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외형을 갖고 그 내측에는 다각형으로 오목하게 또는 제1 부재(14)의 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부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부(41)는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형상이 된다. The
제1 부재(14)의 외주연에는 통신단말기의 지지부(3)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재(14)의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에 후술할 제2 부재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내부공간부(41)는 4개의 모서리(edge, 42)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모서리들의 사이에서 내부공간부의 측벽을 형성하는 부분(43)에는 제1 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만곡된 곡선형상(43)으로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2 부재(1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확장되어 상기 제1 부재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제2 부재(10)는 통신단말기의 회전부(2)에 고정연결되며, 원판형의 베이스(13)과 제1 부재(14)의 모서리(edge)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접촉부(11)를 포함한다. At least a part of the
원판형의 베이스(13)는 중앙에 회전축(45)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외주연에는 통신단말기의 회전부(2)와 고정결합되도록 나사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3)는 제1 부재(14)의 내부공간부(41) 내에서 회전할 때 내부공간부와 전혀 간섭되지 않을 크기로 형성되며, 이는 회전부 및 지지부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변경적용되는 설계사항이 된다. The disk-
접촉부(11)는 베이스(13)의 후방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접촉부(11)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꼭지점이 내부공간부(41)의 모서리(edge)와 접촉을 이루도록 직각으로 형성된다. 즉 직각삼각형 형상이 된다. 이러한 접촉부(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3)에 스프링(12)을 통해 연결된다. 스프링(12a)은 일측끝단이 베이스(13)의 회전축(45)에 지지되고, 타측이 접촉부(11)의 중앙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접촉부(13)는 한쌍으로 서로 180도 반대위치에 배열되며, 이들 접촉부(13)들은 서로 접촉부의 끝단부에서 스프링(12b)을 통해 연결된다. The
접촉부(11)는 상기 내부공간부(41)의 대각선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배열된다.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베이스(13)에는 가이드슬롯(31)이 형성된다. 가이드슬롯(31)은 내부공간부의 대각선방향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11)에는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21)가 가이드슬롯(31)에 삽입되어 접촉부가 직선운동을 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The
또한 접촉부(11)가 통신단말기의 회전부(2)의 회전하는 힘을 받아 베이스의 회전축(45)방향으로 수축할 때, 접촉부(11)의 선단에 걸리는 다양한 방향의 힘을 직선방향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13)의 후방면 원주 둘레에는 원주가이드 돌기부(3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when the
도 4는 접촉부(11)가 원주가이드 돌기부(32)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원주가이드 돌기부(32)는 접촉부(11)의 선단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나머지 원주부분에만 형성된다. 이러한 원주가이드는 접촉부(11)의 선단부가 받는 다양한 방향의 힘들의 방향을 직선운동이 가능한 방향으로 변환하여 접촉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접촉부(11)가 베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접촉부의 선단과 선단사이의 거리는 제1 부재(14)의 내부공간부(41)의 대각선 길이와 같거나 약간 크게 될 수도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하여 접촉부(11)는 상하방향으로 이탈을 막는 별도의 부재 없이 베이스(13)와 제1 부재(14)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는 베이스(13)와 제1 부재(14)가 이탈방지커버의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2 부재(10)가 제1 부재(14)에 수용된 후, 제2 부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16)를 결합하게 된다. 커버(16)와 제2 부재(10) 사이에는 제2 부재의 회전시 커버와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삽입재(15)가 배열된다. After the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회전연결부재의 후방측에서 본 내부투영도면이다. 접촉부(11)가 스프링(12)과 함께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부재(14)의 내부공간부(41)의 모서리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Figure 5 (a) is an internal projection view seen from the rear side of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The
이후, 도 1에서와 같은 회전부(2)가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연결장치의 제2 부재(10)가 회전하게 된다. 도 5(b)는 약 45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내부공간부(41)가 정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대각선 길이가 다른 회전반경에 비해 가장 긴 길이가 된다. 최초 회전시 접촉부(11)의 선단은 내부공간부(41)의 모서리로부터 회전력에 대응하는 반력을 받게 된다. 접촉부의 선단에 전해지는 최초의 힘은 접촉부(11)의 이동방향과 약 45도의 차이를 갖게 되나, 전술한 원주가이드 돌기부(32) 및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슬롯(31)에 의해 접촉부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접촉부(11)가 베이스(13)의 회전축(45) 방향으로 수축되면 내부에 같이 배열된 스프링(12)이 수축되어 접촉부를 밖으로 밀어내려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접촉부(11)가 다음 모서리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접촉부(11)를 밀어내게 되며, 결국 90도씩 제2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41)가 사각형 구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45도씩의 회전을 가하기 위한 8각형 구조 및 그 이외의 다른 다각형의 구조에서도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연결부재는 통신단말기 뿐 아니라 피봇기능을 하는 모니터 등 이와 유사한 다른 구조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도면번호 17은 제1 부재를 지지부(3)에 결합하는 나사이며, 25, 27은 그에 대응하는 나사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제1 부재(14) 및 제2 부재(10)가 회전축(45)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그 사이에 접촉부(11) 및 스프링(12)이 배열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삽입재(15) 및 커버(16)가 제2 부재(10) 외측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조립도이다. 7 is an explod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4), 제1 부재에 형성되는 내부공간부(141), 나사공의 구성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보다 내부공간부가 형성하는 모서리(edge, 142)가 보다 완만한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점이 다르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제2 부재(110)는 베이스(113)와 접촉부(111)를 포함하며, 베이스에 형성되는 회전축(145), 나사공의 배열은 제1 실시예의 제2 부재(10)와 동일하다. 베이스(113)에는 접촉부(111)가 마찬가지로 형성되는데, 이때 접촉부(111)는 베이스의 후방면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접촉부(111)의 형상은 제 1실시예에서와 달리 완만한 곡선형상의 선단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접촉부(111)의 선단, 꼭지점 부분이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141)의 모서리와 접촉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부(111)의 선단부 주변의 측면부분이 내부공간부(141)의 모서리에 인접한 측벽부분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베이스(113)에 회전부(2)의 회전력이 전달될 때 접촉부(111)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축(145)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어 자연스러운 회전동작을 형성할 수 있다. 접촉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131) 및 가이드돌기(121)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다. 접촉부(111)는 서로 한쌍이 반대방향으로 선단부가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12)은 접촉부들 간에 연결되어 있다. That is, the tip and vertex portions of the
또한, 이와 동시에 제2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가 상기 내부공간부(141)에 형성되는 만곡된 곡선형상부분(143)에 그 외주연이 접촉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결국 내부공간부(141)의 상부측에 베이스가 충분히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측으로 접촉부(111)가 내부공간부의 측벽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수축 팽창할 수 있도록 배열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형성되는 원주가이드 돌기부(32)는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삽입재(15)는 생략이 가능하며, 이외의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ase is assembled so that the outer periphery may contact the curved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에서 접촉부(111)가 스프링(12)과 함께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부재(114)의 내부공간부(141)의 모서리에 인접한 변에 접촉부(111)의 선단부에 인접한 변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3)가 내부공간부를 덮고 있는 상태가 되고, 고정위치에서 접촉부(111)가 베이스(113)보다 내부공간부의 모서리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9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he
제 2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접촉부(111)의 선단부가 제1 실시예에 비해 곡선으로 완만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공간부(141)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비해 회전연결장치의 높이를 보다 줄일 수 있게 되어 초소형의 힌지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tip portion of the
(b)는 회전부(2)가 회전을 하게 되어 제2 부재(110)가 따라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접촉부(111)의 선단부는 내부공간부(141)의 벽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베이스(113)는 내부공간부 상부측의 만곡된 부분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접촉부(111)는 탄성적으로 수축된 상태로 베이스(113) 내측으로 이동된다. (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는 회전부(2)가 회전하여 90도 만큼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접촉부(111)가 다시 팽창하여 내부공간부(141)의 모서리부분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c)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도 10에서 제1 부재(114) 및 제2 부재(110)가 결합되어 있고, 접촉부(111)들간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커버(116)가 제2 부재(110) 외측에 결합되어 있다. In FIG. 10, the
본 실시예에서도 제1 부재의 내부공간부(41)가 사각형 구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45도씩의 회전을 가하기 위한 8각형 구조 및 그 이외의 다른 다각형의 구조에서도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다.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미설명된 부호 중, 117은 제1 부재를 지지부에 결합하는 나사, 125,127은 그에 대응하는 나사공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는 종래에 비하여 소요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다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작동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compared to the prior ar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operating performance due to a simpler structure.
또한 종래의 회전연결구조를 갖는 힌지들이 90도의 범위에서 왕복운동만 할 수 있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의 회전연결장치는 아무런 제한없이 360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inge having a conventional rotary connection structure can only reciprocate in the range of 90 degrees, the rot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rotated more than 360 degrees without any limitation.
또한 종래의 힌지구조에 비해 강한 지지력을 갖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부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회전부 자체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90도 회전한 위치에서 힘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tructure having a strong supporting for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inge structure. That is, in order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rotating part itself in the state of rotating the rotating part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force in a position rotated 90 degree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such a supporting forc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3792A KR100709742B1 (en) | 2005-12-29 | 2005-12-29 | Rotational connec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33792A KR100709742B1 (en) | 2005-12-29 | 2005-12-29 | Rotational connec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9742B1 true KR100709742B1 (en) | 2007-04-19 |
Family
ID=3818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33792A KR100709742B1 (en) | 2005-12-29 | 2005-12-29 | Rotational connec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974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4123A (en) * | 2004-11-11 | 2006-05-16 | 조필제 | Rotation hinge and rotating type portable phone using the same |
-
2005
- 2005-12-29 KR KR1020050133792A patent/KR1007097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4123A (en) * | 2004-11-11 | 2006-05-16 | 조필제 | Rotation hinge and rotating type portable phone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21231B1 (en) | Mobile electronic device | |
KR100665709B1 (en) | Hinge device | |
US20050155182A1 (en) | Hinge device | |
CN113719525A (en) | Rotary hinge, folding machine shell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040052474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457749B1 (en) | Hinge device | |
KR100418050B1 (en) | Hinge unit and Hinge structure | |
KR100709742B1 (en) | Rotational connecting device | |
TWM575953U (en) | Bend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screen | |
KR101023495B1 (en) |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 |
KR20060098028A (en) | Swing hinge for use in radio telephone | |
KR200353859Y1 (en) | Hinge device having parallel two rotation axes | |
KR100692418B1 (en) |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being folded or unfolded by rotation and coupling device for use in the same | |
KR100468368B1 (en) | Hinge device having two axes of rotation | |
KR100870974B1 (en) |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 |
KR100620504B1 (en) | More than 180 degrees rotation hinge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 |
KR100678627B1 (en) | 180 degrees rotation hinge device for use in radio telephone | |
KR102726780B1 (en) |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able structure | |
KR20060092778A (en) | Hinge module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 |
KR100612822B1 (en) | Hinge device for use in camera of radio telephone | |
KR100595631B1 (en) | Hing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0529784B1 (en)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hinge section | |
KR100468369B1 (en) | Hinge device | |
KR100536079B1 (en) | Double hinge element for mobile phone | |
KR200424549Y1 (en) | Swing hinge module of a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