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4366B1 -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366B1
KR100674366B1 KR1020060042233A KR20060042233A KR100674366B1 KR 100674366 B1 KR100674366 B1 KR 100674366B1 KR 1020060042233 A KR1020060042233 A KR 1020060042233A KR 20060042233 A KR20060042233 A KR 20060042233A KR 100674366 B1 KR100674366 B1 KR 10067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connect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417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5076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436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ublication of KR2007000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에 의한 축조가 가능하고, 보강재의 선단부를 별도의 앵커 없이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 과도한 벌어짐이나 개별적인 돌출 또는 후퇴현상 없이 가지런하게 1단 엇쌓기·2단 엇쌓기·다단 엇쌓기 및 일직축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축조할 수 있는 것으로,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10)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20)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30,30')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40)과, 상기 상면(40)과 대응되는 하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40,50)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P)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격벽(62)에 의해 좌·우로 이격된 2개의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측부로는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배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양측 관통공(60) 사이의 격벽(62) 전방에는 하나의 보강재(80)가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보강재(80)의 중간부가 끼워져 지나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녹화, 조립식 보강토 옹벽, 블록, 교차, 유니트, 겹침 효과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직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돌출 곡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만입 곡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에서 직선부과 곡선부가 만나는 지점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블록을 2단 엇쌓기 축조방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10은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축조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1은 2단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블록을 1단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14는 1단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16은 일직축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17은 일직축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18은 옹벽의 부분 개보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전면부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배면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저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직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돌출 곡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만입 곡선형 옹벽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축조된 옹벽에서 직선부과 곡선부가 만나는 지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블록을 2단 엇쌓기 축조방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28은 도 27과 같은 상태에서 축조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29는 2단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정면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블록을 1단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
도 32는 1단 엇쌓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정면도,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34는 일직축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35는 일직축조 방식으로 축조 완성된 옹벽의 측단면도,
도 36은 옹벽의 부분 개보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의 사시도,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블록의 평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의 사시도,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블록의 평면도,
도 41은 도 37 또는 도 39에 도시된 블록에 보강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2는 도 37 또는 도 39에 도시된 블록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상태에서의 옹벽의 배면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12,12' : 후퇴면
20 : 배면 22,22' : 후퇴면
30,30' : 측면 32,32' : 요철결합부
34,34' : 날개부 35,35' : 파단홈
40 : 상면 42 : 지지돌기
44 : 보강재 삽입홈 44' : 보강재 삽입홈
46 : 외력흡수홈 (내측) 48,48' : 외력흡수홈 (외측)
50 : 하면 60,60' : 관통공
61 : 전면 62 : 격벽
70 : 보강토체 80 : 보강재
100 : 배수필터 C : 콘크리트 기초
h : 연결핀 삽입구멍 h1 : 확장부
h2 : 축소부 h3 : 테이퍼부
P : 연결핀 B : 블록
B1 : 하부 블록 B2 : 상부 블록
B3 : 파손된 블록 B4 : 상부 블록(파손된 블록에 대하여)
U : 유니트화 된 블록
본 발명은 그간의 비효율적인 인력 축조방식에서 탈피하여 장비에 의한 축조가 가능하고, 지반 부동침하시 블록 자체의 균열(전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보강재의 선단부를 별도의 앵커 없이도 블록에 직접 연결할 수 있고,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 과도한 벌어짐이나 개별적인 돌출 또는 후퇴현상 없이 가지런하게 1단 엇쌓기·2단 엇쌓기·다단 엇쌓기 및 일직축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축조할 수 있으며, 일직축조시에는 부분적인 개보수가 매우 용이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볼록(Block) 조립식 보강토 옹벽에 관한 기술 및 패널(Panel)형 옹벽, 그리고 블록과 패널을 절충(折衷)한 방식의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축조방법에 관한 기술은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한편, 기존의 블록 조립식 보강토 옹벽은 블록 자체가 소형이고 이를 작업자가 하나씩 직접 인력으로 들어올려 개별적(個別的)으로 축조하여야 했었으므로 육체적인 피로의 가중(加重)으로 인하여 작업의 진척(進陟)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단기간에 옹벽을 축조하여야 할 경우에는 대대적인 인력이 투입되어야 했었으므로 축조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부담 및 많은 인력의 동원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 패널조립식 옹벽은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이 적고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장점은 있으나, 패널의 구조상 식생(植生)이 불가능함은 물론 블록에 비하여 미감이 떨어져 옹벽 자체가 주변의 자연환경과 어울리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 블록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패널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단점을 해소하고 각각의 장점만을 살릴 수 있도록 비교적 큰 규격(規格)의 블록을 수직으로 축조하여서 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특허출원 제2004-37835호, 특허출원 제2004-65998호, 특허출원 제2004-81576호, 특허출원 제2004-89152호 및 특허출원 제2005-4044호로 이미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 선출원발명을 좀더 보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장비를 사용한 축조가 가능하여 수작업으로 인한 각종 폐해를 예방함과 동시에 신속한 축조가 가능하도록 하고, 둘째,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의 수평변위에 의한 블록의 균열(전단) 및 우각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옹벽과 보강재 간의 연결시 앵커와 같은 별도의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강재의 선단부를 블록에 직접 연결할 수 있고, 보강재의 선단부를 느즈러짐 없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블록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넷째,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 과도한 벌어짐이나 개별적인 돌출 또는 후퇴현상 없이 가지런하게 1단 엇쌓기·2단 엇쌓기·다단 엇쌓기 및 일직축조가 가능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축조할 수 있으며, 일직축조시에는 인접하는 블록 및 후부 보강토체를 파내지 않고도 부분 개보수할 수 있는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Anchor)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과, 이 상면과 대응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좌·우로 이격된 2개의 관통공이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에 끼워진 연결핀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측부로는 보강재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이 배면측으로 형성되며, 양측 관통공 사이의 격벽 전방에는 보강재가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을 통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보강재의 중간부가 끼워져 지나가는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된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좌·우의 관통공은 블록의 경량화를 도모하되 블록 자체의 구조적인 강도는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양측 관통공 사이에 전후로 격벽이 형성 된 것이며, 상기 양측 관통공의 측부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구멍은 상기 관통공의 전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하여 연결핀 삽입구멍에 끼워진 연결핀이 상·하 엇쌓기 식으로 블록이 직선형은 물론 곡선형으로 축조될 경우에도 연결핀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관통공의 전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블록이 보강토체의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 삽입홈은 띠형 섬유보강재가 별도의 앵커 없이 블록에 직접 결합되는 곳으로, 부분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 상면의 내측과 좌우 외측에는 블록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된 후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 중간 부분에 전단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 엇갈리게 축조된 블록의 양 측면 하부가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외력흡수용 홈을 형성하여 블록의 수평변위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의 중간 부분이 전단력에 의해 전단 되거나 상부의 블록 하부 모서리(우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되는 옹벽이 도 1 내 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블록은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10)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20)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30,30')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40)과, 상기 상면(40)과 대응되는 하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40,50)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P)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B)의 내측에는 격벽(62)에 의해 좌·우로 이격된 2개의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측부로는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배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이 보강재 삽입홈(44)의 선단부는 상기 관통공(60)의 전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양측 관통공(60) 사이의 격벽(62) 전방에는 하나의 보강재(80)가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보강재(80)의 중간부가 끼워져 지나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블록(B)에서 그 전면(10)은 장방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전면(10)은 스플릿가공에 의해 자연석 질감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후퇴면(12,12')은 곡면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후퇴면(12,12')에는 상하로 길게 홈(12a,1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블록(B)에서 상기 상면(40)의 좌·우측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구멍(h)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되는 블록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체로 블록의 전후 폭 중심부분에 위치하는데, 이는 상기 관통공(60)의 전면(61)이 형성하는 가상의 직선(L)상에 위치하여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의 하단부가 상·하 엇쌓기 식으로 블록이 직선형은 물론 곡선형으로 축조될 경우에도 상기 장방형의 관통공(60)에 끼워져 관통공(60)의 전면(61)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블록이 블록 후부에 위치한 보강토체의 토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핀의 지지구조는 옹벽의 축조후는 물론, 개별 블록을 축조할 때 후방으로 아무런 지지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상부의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 떨어지는 사고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h)은 도 3의 평면도 및 도 4의 저면도와 도 12의 축조상태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의 넓은 확장부(h1)에서 하부의 축소부(h2) 사이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퍼부(h3)가 형성되어 연결핀(P)의 삽입이 용이하고, 연결핀(P)의 흘러내림이 방지되며, 상·하부 블록 상호 간 전후방향으로 유동이 작아서 전방으로의 밀림 및 전도(前途)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은 도 12의 축조상태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 전면(61)에 거의 닿을 정도로 위치하며, 하부 블록(B1)의 보강재 삽입홈(44,44')에 끼워진 섬유보강재(80)는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에 위치한 연결핀(P)의 앞 부분에 위치하므로 섬유보강재(80)는 하부 블록(B1)의 보강재 삽입홈(44,44')과 함께 상부 블록(B2)에 끼워진 연결핀(P)에도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어서 보강재(80)를 각 층의 블록마다 연결시키지 않고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계상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섬유보강재의 소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블록(B)에서 상기 좌우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은 블록의 배면(20)에서 전방 측을 향하여 형성되는데 블록(B) 내측의 관통공(60)에 접하면서 블록(B)의 중심부를 향하여 완만한 곡선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격벽(62)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44')에 의해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이 "∪"형으로 연통되어 여기에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절반의 폭으로 접힌 상태로 끼워져 연결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의 보강재 삽입홈(44,44')에 끼워진 보강재(80)가 벌어지지 않고 접혀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보강재(80)의 느즈러짐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보강재(80)가 블록(B)의 윗쪽 또는 앞쪽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블록의 축조작업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상면(40)의 좌,우 외측과 내측에는 상면(40)보다 낮게 단차가 형성 된 외력흡수홈(46,48,48')을 갖고 있는데, 이 외력흡수용 홈(46,48,48')은 본 실시예의 블록(B)이 상,하로 엇갈리게 축조된 후 옹벽이 축조된 지반의 부동침하시 블록간의 교차위치인 블록 중간 부분에 상부 블록이 가하는 전단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블록 하면의 우각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40) 내측의 외력흡수홈(46)은 옹벽의 배면(20) 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블록 축조시 상,하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인 외력흡수홈(46)에 레버를 끼워 누르거나 밀어 젖히면 상부 블록의 안착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흡수홈(46)의 중간 후부에는 직선옹벽 또는 곡선옹벽 축조시 상부에 얹혀지는 블록이 닿지 않는 위치에 상면(40)과 동일한 높이의 지지돌기(42)가 형성되어 있어 일직축조 또는 2단 엇쌓기 축조시 상하의 블록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B)의 배면(20) 양측에는 측부 전방으로 후퇴면(22,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후퇴면(22,22')은 전면(10)의 후퇴면(12,12')과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본 실시예의 블록을 상부에서 보면 선수와 선미가 좁아지는 전형적인 보트(Boat)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의 전면(10)은 장방형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되, 적어도 일부가 자연석 무늬를 갖도록 스플릿(split)방식으로 절단되어 축조 후 완성된 옹벽이 자연석으로 축조한 것과 같은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옹벽에서의 삭막한 느낌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엇쌓기 축조시 상·하부 블록의 정렬 및 연결핀과 보강재의 결합상태가 도 5 내지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엇쌓기식으로 직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블록(B1)과 상부 블록(B2)이 거의 수직으로 축조되는데, 이 때 상부 블록(B2)의 좌우 측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은 각각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부 블록(B2)이 하부 블록(B1)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된다.
한편, 상부 블록(B2)에서 끼워진 연결핀(P)의 하단부는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의 전면(61)에 거의 밀착될 정도로 인접하여 있으며, 하부 블록(B1)의 보강재 삽입홈(44,44')에 끼워진 절반으로 접혀진 보강재(80)가 연결핀(P)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연결핀(P)은 하부 블록(B1)에 형성된 관통공(60)의 전면(61)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부 블록(B2)이 옹벽의 전방으로 밀리거나 심할경우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블록(B1)의 보강재 삽입홈(44)에 절반의 폭으로 접혀져 끼워진 보강재(80)는 후방 측으로 연장되면서 원래의 폭으로 벌어진 상태로 보강토체에 매립된다.
또, 엇쌓기식으로 돌출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블록(B1)이 곡선상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상부 블록(B2)이 엇쌓아질 때 상부 블록(B2)에 끼워진 연결핀(P)의 위치가 직선형 옹벽에서보다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의 전면(61)내측으로 약간 더 이동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돌출형 옹벽의 곡률반경이 다양하게 설계되더라도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은 과도한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상부 블록이 과도하게 후퇴하거나 돌출되지 않고 가지런한 상태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엇쌓기식으로 만입된 곡선형 옹벽을 축조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B2)에 끼워진 연결핀(P)의 위치가 직선형 옹벽에서보다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 전면 내측으로 약간 더 이동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만입형 옹벽의 곡률반경이 다양하게 설계되더라도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은 과도한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상부 블록이 과도하게 후퇴하거나 돌출되지 않고 가지런한 상태로 곡선형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와 곡선부가 만나는 지점에서도 상부 블록(B2)에 끼워진 연결핀(P)이 하부 블록(B1)의 관통공(60) 좌우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블록 사이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가지런하게 보기 좋은 상태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의 블록을 2단 엇쌓기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을 도시한 것으로, 2단 엇쌓기식 축조형태는 시각적으로 웅장한 느낌의 옹벽을 축조하는데 적합하고, 또한 장비에 의해 한꺼번에 2장 또는 4장의 블록을 들어 올려 축조 하므로 시공서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블록을 2단 엇쌓기식으로 축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2개의 블록을 수직으로 겹쳐서 연결핀(P)으로 일체화가 되도록 한 유니트화 된 블록(U)으로 운반하며, 옹벽의 축조시에도 이를 기중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한꺼번에 인양하여 축조하면 되는데, 이의 축조과정은 첫째,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이를 연결핀(P)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 둘째, 유니트화 된 블록(U)을 한꺼번에 들어올려 콘크리트 기초(C)위에 축조하는 1차 축조단계; 셋째, 1차 축조된 유니트화 블록(U)의 후부에 보강토체(70)를 포설하고, 1차 축조된 블록(U)에 보강재(80)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70) 위에 깔고 보강토체(70)를 다짐하는 단계; 다섯째, 적어도 2단 이상의 단위 블록을 수직으로 적층하고 연결핀(P)으로 유니트화 하는 단계; 여섯째, 1차 축조된 유니트화 블록(U) 위에 2차로 유니트화 된 블록(U)을 좌,우로 교차되도록 축조하는 2차 축조단계; 일곱째, 2차 축조된 블록(U)의 후부에 보강토체(70)를 포설하고, 2차 축조된 블록(U)에 보강재(80)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토체(70)위에 깔고 보강토체(70)를 다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축조단계 이후의 과정은 옹벽의 축조높이에 따라 상기 2차 축조단계에서부터 동일한 과정을 반복 실시하면 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축조방식에서, 상기 좌우로 인접하는 유니트화 된 블록(U) 사이에 부직포로 된 배수필터(100)를 블록의 겹친 부위의 후방에 설치하여 뒷채움 흙인 보강토체(70)가 옹벽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단지 물만 옹벽의 전면으로 배수(排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블록과 함께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보강재는 폭이 비교적 좁은(약 40~50mm내외) 띠형 섬유보강재로서, 이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2004-29493호 및 특허출원 제2004-111929호에 띠형 섬유보강재의 구체적인 형태와 블록에의 연결방법이 설명되어 있는바, 이는 종래의 띠형 섬유보강재와는 달리 별도의 앵커를 사용하지 않고 블록에 직접 연결하여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으로, 띠형 섬유보강재(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상면에 형성된 보강재 삽입홈(44,44')을 통해 끼워서 걸어주고 섬유보강재(80)의 양단을 블록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보강토체 위에 후방으로 길게 늘어뜨린 후 그 위에 다시 블록을 엇쌓으면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연결되거나 각 블록(B)마다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형 옹벽은 물론 어떠한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형의 옹벽도 축조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을 블록을 사용하여 1단 엇쌓기식으로 다단(B1~B4)의 옹벽을 도시한 것으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1단 엇쌓기식 옹벽은 블록 축조식 보강토 옹벽에서 일반적인 방식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1단 엇쌓기 축조방식에서도 연결핀의 결합방식과 보강재의 설치구조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2단 엇쌓기 축조방식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블록을 일직축조방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을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옹벽의 부분 개보수상태를 도시한 옹벽의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일직축조형 옹벽은 지반의 부등침하시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블록의 전단이나 옹벽면의 틀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옹벽을 이루는 블록의 일부가 외력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된 블록(B3)이 위치한 열의 상부 블록들(B4)만을 상부에서부터 차례대로 들어낸 후 파손된 블록(B3)을 제거하고 다시 새 블록으로 차례대로 쌓아주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개보수시에는 인접하는 블록 및 후부의 보강토체는 전혀 손대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므로 개보수에 소요되는 작업공간과 비용 및 작업인원 및 작업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일직축조방식에서는 연결핀(P)이 상,하부 블록간의 연결핀 삽입구멍(h)을 통하여 끼워지는 것이며, 이 점이 앞서 설명된 축조방식들과 다른 점이며, 이로 인해 인접하는 블록열과 간섭없이 파손된 열의 블록만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상기한 첫번째 실시예에 의한 옹벽과 외형만이 다를뿐 실질적인 구조는 마찬가지인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블록도 옹벽의 노출면을 형성하는 전면(10)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20),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30,30'),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40)과, 상기 상면(40)과 대응되는 하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40,50)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P)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내측 전방에는 격벽(62)에 의해 좌·우로 이격된 2개의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측부로는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배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이 보강재 삽입홈(44)의 선단부는 상기 관통공(60)의 전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양측 관통공(60) 사이의 격벽(62) 전방에는 하나의 보강재(80)가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보강재(80)의 중간부가 끼워져 지나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록의 좌·우측면(30,30') 후방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날개부(34,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날개부(34,34')는 그 배면측에 파단홈(35,35')이 형성되어 있어 돌출된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의 측면(30,30')이 상호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파단홈(35.35')을 따라 날개부(34,34')를 떼어낸 후 축조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또 다른 관통공(60')이 블록의 후방 양측에 대 칭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블록의 중량을 가볍게 제작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6는 위에서 설명한 첫번째 실시예의 도 5 내지 도 8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도 직선형 옹벽과 돌출 및 만입형 옹벽 그리고 직선부와 곡선부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 과도한 벌어짐이나 개별적인 돌출 또는 후퇴현상 없이 가지런하게 축조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바,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27 내지 도 30은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을 사용하여 2단 엇쌓기식으로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1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을 사용하여 1단 엇쌓기식으로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도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블록과 동일한 방법으로 2단 엇쌓기 및 1단 엇쌓기식으로 축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을 사용하여 일직축조방식으로 축조중인 옹벽을 도시한 것이고,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옹벽의 부분 개보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블록도 상기한 제1실시예의 블록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직축조 및 부분 개보수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단순히 외형만이 다를 뿐, 상·하 블록 간 연결핀을 사용한 결합구조 및 보강재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블록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10)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20)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30,30')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형성되는 상면(40)과, 이 상면(40)과 대응되는 하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40,50)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P)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h)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좌,우 측부와 후부에는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각각 측면과 배면으로 개방되어 T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블록의 사시도 및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블록은 관통공(60)이 격벽(62)에 의해 좌,우 2개로 분할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3실시예의 블록과 동일하다.
도 41은 도 37 또는 도 39에 도시된 블록에 보강재(8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블록은 좌,우로 인접하는 2개의 블록에 좌,우방향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하나의 보강재(80)가 연계하여 걸리고, 하부의 블록(B1,B1)에서 배면으로 개방된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보강토체(80)쪽으로 노출되어 보강토체에 매립되며, 그 위에 상부의 블록(B2)이 엇쌓여지게 된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의한 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의한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는 보강재(80)가 각각의 블록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에 함께 걸리도록 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축조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력으로 직접 축조하는 대신 장비를 사용하여 축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육체적인 부담을 크게 덜어줄 수 있고, 2단 엇쌓기 1단 엇쌓기 및 일직 축조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패턴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보강재의 선단부를 연결할 때 보강재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길이가 늘어지지 않고 절반의 폭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보강재의 느즈러짐으로 인한 옹벽면의 배부름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품질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일직축조시에는 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한 내성이 매우 강할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블록 및 후부 보강토체를 파내지 않고도 손쉽게 부분적인 개보수가 가능하며, 직선형 옹벽은 물론 곡선형 옹벽의 축조시에도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하는 블록간 과도한 벌어짐이나 개별적인 돌출 또는 후퇴현상 없이 가지런하게 축조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안정감을 갖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상부 블록에 끼워진 연결핀이 하부 블록의 관통공 전면에 밀착되어 축조완료후 상부 블록이 보강토체의 압력에 의한 밀림이나 전도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축조중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과, 이 상면과 대응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측부로는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배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2.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이 형성되는 상면과, 이 상면과 대응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 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P)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좌,우 측부와 후부에는 보강재(80)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각각 측면과 배면으로 개방되어 T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60)은 격벽(62)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며, 2개의 양측 관통공(60) 사이의 격벽(62)에는 하나의 보강재(80)가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보강재(80)의 중간부가 끼워져 지나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상면(40)의 좌,우 외측과 내측에는 상면(40)보다 낮게 단차가 형성된 외력흡수홈(46,48,4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력흡수홈(46)은 옹벽의 배면(20) 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력흡수홈(46)의 중간 후부에는 직선옹벽 또는 곡선옹벽 축조시 상부에 얹혀지는 블록이 닿지 않는 위치에 상면(40)과 동일한 높이의 지지돌기(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 삽입구멍(h)은 직경이 넓은 상부의 확장부(h1)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좁은 하부의 축소부(h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h1)와 축소부(h2) 사이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테이퍼부(h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삽입홈(44)은 블록 내측의 관통공(60)에 접하면서 블록의 중심부를 향하여 완만한 곡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면(30,30')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날개부(34,34')가 형성되고, 이 날개부(34,34')는 그 배면측에 파단홈(35,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060042233A 2005-07-04 2006-05-11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74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542 2005-07-04
KR1020050059542 2005-07-04
KR20050084510 2005-09-12
KR1020050084510 2005-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17A KR20070004417A (ko) 2007-01-09
KR100674366B1 true KR100674366B1 (ko) 2007-01-29

Family

ID=3750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233A KR100674366B1 (ko) 2005-07-04 2006-05-11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03381A1 (ko)
EP (1) EP1748111A3 (ko)
KR (1) KR100674366B1 (ko)
WO (1) WO200700477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88B1 (ko) * 2008-09-16 2011-04-04 윤기현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1143498B1 (ko) 2009-07-04 2012-05-09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WO2012096426A1 (ko) * 2011-01-14 2012-07-19 Lee Jeung Su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 및 옹벽의 코너부 축조방법
KR101196485B1 (ko) 2010-10-20 2012-11-01 (주) 에코월드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160033867A (ko) 2014-09-18 2016-03-29 삼부토건주식회사 경량 보강토 옹벽 패널 축조방법
KR20190022240A (ko)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500B1 (ko) * 2006-01-19 2007-12-28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및 옹벽 축조용 블록
CO5820228A1 (es) * 2006-05-23 2007-11-30 Martinez Naranjo Jhon Jairo Sistema de ladrillo con varilla
US8430603B2 (en) * 2009-05-05 2013-04-30 Mortarless Technologies, Llc Wall block with barrier member
US8876438B2 (en) * 2010-07-30 2014-11-04 Redi-Rock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casting concrete wall blocks for use with geogrid
US20140345220A1 (en) 2013-05-24 2014-11-27 Francesco Ferraiolo Anchoring system for concrete panels in a stabilized earth structure
KR101528238B1 (ko) * 2014-12-11 2015-06-11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1719710B1 (ko) * 2016-09-21 2017-03-24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0482968Y1 (ko) * 2016-12-01 2017-04-05 김광일 보강토 블록
CN108677998A (zh) * 2018-04-27 2018-10-19 河海大学 一种转角型加筋土挡墙结构及制作方法
CN109374867B (zh) * 2018-12-21 2021-07-06 青岛科技大学 一种基于离散元的砂砾岩水力压裂模拟方法
USD915626S1 (en) * 2019-07-05 2021-04-06 Hanforce, Co., Ltd Sleeve for inserting reinforcement material for retaining wall panel
CN114855870B (zh) * 2022-05-31 2024-05-07 叶晓明 穿过式加筋土挡墙面板
KR102683239B1 (ko) * 2023-10-17 2024-07-09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을 사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0561A1 (fr) 2000-08-08 2002-02-20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Bloc d'attache d'une bande d'armature et paroi de parement
US6615561B2 (en) 2001-06-07 2003-09-09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7030A (en) * 1993-03-31 1998-09-15 The Reinforced Earth Company Stabilizing elements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en structure
US5507599A (en) * 1993-03-31 1996-04-16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C. Vidal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components
US5702208A (en) * 1994-06-02 1997-12-30 Hilfiker; William K. Grid-locked block panel system
US5595460A (en) * 1994-06-06 1997-01-21 The Tensar Corporation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5551809A (en) * 1994-08-30 1996-09-03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Embankment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and block construction for making the same
US5601384A (en) * 1995-06-07 1997-02-11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Plantable retaining wall
JPH09195276A (ja) * 1996-01-23 1997-07-2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
ES2202612T3 (es) * 1996-05-21 2004-04-01 Netlon Limited Construccion de muro de contencion en bloques modulares.
KR100290257B1 (ko) * 1998-05-13 2001-05-15 황광웅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392590B1 (ko) * 2000-07-21 2003-07-23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US6536994B2 (en) * 2001-07-12 2003-03-25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Grooved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WO2004053239A1 (en) * 2002-12-06 2004-06-24 Jeung Su Lee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EP1749135A1 (en) * 2004-05-27 2007-02-07 Jeung Su Lee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and its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0561A1 (fr) 2000-08-08 2002-02-20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Bloc d'attache d'une bande d'armature et paroi de parement
US6615561B2 (en) 2001-06-07 2003-09-09 Keystone Retaining Wall Systems, Inc. Retaining wall bloc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88B1 (ko) * 2008-09-16 2011-04-04 윤기현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1143498B1 (ko) 2009-07-04 2012-05-09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196485B1 (ko) 2010-10-20 2012-11-01 (주) 에코월드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WO2012096426A1 (ko) * 2011-01-14 2012-07-19 Lee Jeung Su 옹벽축조용 코너 블록 및 옹벽의 코너부 축조방법
KR20160033867A (ko) 2014-09-18 2016-03-29 삼부토건주식회사 경량 보강토 옹벽 패널 축조방법
KR20190022240A (ko)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04772A1 (en) 2007-01-11
EP1748111A3 (en) 2008-08-06
US20070003381A1 (en) 2007-01-04
EP1748111A2 (en) 2007-01-31
KR20070004417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366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823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1열 자립식 흙막이공법
CN108729564A (zh) 装配式建筑体系
KR20190022240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WO2004053239A1 (e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constructed using th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0632966B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200397873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CN204475366U (zh) 钢管桩连续墙及其水平向连接结构与辅助施工桩架
CN207110083U (zh) 装配式建筑体系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1143498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789500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및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0660574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93195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616011B1 (ko)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0378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CN205636527U (zh) 一种箱涵顶进装置
CN210857186U (zh) 一种预应力u型板桩
KR101452188B1 (ko)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우각부 또는 곡선부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0401232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71027B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00609

Effective date: 201010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