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357B1 - 휴대 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0357B1 KR100630357B1 KR1020050030668A KR20050030668A KR100630357B1 KR 100630357 B1 KR100630357 B1 KR 100630357B1 KR 1020050030668 A KR1020050030668 A KR 1020050030668A KR 20050030668 A KR20050030668 A KR 20050030668A KR 100630357 B1 KR100630357 B1 KR 1006303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element
- coupled
- keypad
- hinge
- mobile ph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중심으로 주위의 바디를 플랙서블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키패드를 플랙서블 하게 형성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힌지 어셈블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대 회전 구조로 포개어지는 제2 디스플레이 소자,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고 플랙서블 하게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 플랙서블, 힌지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소자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1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2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회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제1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바디에 내장되는 제1 플랙서블 인쇄 회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회전시키는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힌지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3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4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바디 11 : 키패드
12, 22 : 제1, 제2 유연회로기판 14, 24 : 보강 부재
35, 45 : 인터 커넥션 포트 16, 26 : 제1, 제2 커넥터
36 : 커넥터 20 : 제2 바디
30 : 제1 디스플레이 소자 32, 42 : 스틱 메모리 포트
40 : 제2 디스플레이 소자 43 : 다각 홀
50 : 힌지 어셈블리 51 : 제1 힌지 부재
52 : 내측 연결부재 53 : 제2 힌지 부재
54 : 외측 연결부재 51a : 고정부
51b : 회전부 52a : 다각 홀
52b : 탄성부재 52c : 볼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중심으로 주위의 바디를 플랙서블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하게 변형된 형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단말기들은 통상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사용자가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keypad) 및 이 키패드와 디스플레이 소자를 일체화시키는 바디를 포함한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이메일의 송수신 및 동영상 감상 등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형 화면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요구하면서도 또한 편리한 휴대 및 사용 그리고 경량인 휴대 전화 단말기를 원한다.
이러한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개발 동향을 보면, 그 형상에 따라 키패드가 노출되는 바(bar)형에서 키패드를 덮개로 덮는 플립(flip)형, 본체가 반으로 접히는 폴더(folder)형, 그리고 본체의 일측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slid)형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들은 어떠한 형상을 가지든지 전체적으로 고정된 소정의 형상을 가지거나, 그 종류에 따라, 사용 시 일부 형태가 부분적으로 위치 변화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중심으로 주위의 바디를 플랙서블 구조로 형성하여 다양하게 변화되는 형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는, 키패드를 플랙서블 하게 형성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힌지 어셈블리,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대 회전 구조로 포개어지는 제2 디스플레이 소자,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고 플랙서블 하게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각각은 유연회로기판을 내장하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외표면 및 외주에 부착되어 키패드를 각 키로 구획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보강 부재의 탄성은 상기 키패드의 탄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액정표시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스틱 메모리를 연결하는 스틱 메모리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상기 제1 바디에 내장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의 커넥터와 및 제2 바디에 내장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인터커넥션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상기 제1 플랙서블 바디 및 제2 바디의 중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소자 측 다각 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제1 힌지 부재, 상 기 제1 힌지 부재의 회전부가 결합되는 다각 홀을 구비하는 내측 연결부재, 상기 내측 연결부재의 상기 다각 홀의 회전부 대응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에 결합되는 제2 힌지 부재, 및 상기 내측 연결부재의 일측에 이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에 그 일측이 결합되는 외측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1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제2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를 포함한다. 이 플랙서블(flexible)한 구조로 형성되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바디(10)는 그 일측으로 키패드(11)를 형성한다. 따라서 키패드(11)는 전체적으로 플랙서블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각각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는 실질적으로 길이나 폭이 길어졌다가 줄어드는 것과 같이 길이에 변화가 있는 것이 아니라 두께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주로 구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일측으로 오목하고 다른 일측으로 볼록한 형상 그리고 그 반대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그 배면 중심을 누르면서(Fb) 양단을 이의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거나(Fa), 그 전면을 누르(Ff)면서 양단을 이의 반대 방향으로 조작함에(Fc) 따라 도 1 또는 도 2의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는 최초의 굽혀진 형상에서 그 한계를 넘는 반대 방향으로 굽힘 작용을 받으면 자체 탄성으로 원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을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회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1 바디(10)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를 구비하고, 제2 바디(20)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별도의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를 구비한다. 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30)는 동일한 화상을 구현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화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각종 상황 및 사용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1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제1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바디에 내장되는 제1 플랙서블 인쇄 회로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이 제1 바디(10)는 제1 유연회로기판(12)(도 6 참조)을 내장하는 키패드(11)와, 이 키패드(11)의 외표면 및 이의 외주에 부착되어 키패드(11)를 각 숫자 및 문 자 키로 구획하는 보강 부재(14)를 포함한다. 이 보강 부재(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11)의 외표면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고 외표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보강 부재(14)의 일측에 다수의 기능 키(17)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보강 부재(14)는 키패드(11)의 탄성보다 더 큰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 부재(14)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경우, 키 패드(11)가 일측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또한, 제2 바디(20)는 제1 바디(10)와 같이 제2 유연회로기판(22)을 내장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보강 부재(2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보강 부재가 제2 바디(20)의 외주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각각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에 그것들이 각각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는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30)가 배치되는 위치에 이의 외주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제1 장착구(13) 및 제2 장착구(23)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유연회로기판(12) 및 제2 유연회로기판(22)에도 상기 제1 장착구(13) 및 제2 장착구(23)에 상응하는 장착구(12a, 1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각각 다양한 방식의 표시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나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대중화된 액정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에 비하여 가격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각각 외부 전자기기들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스틱 메모리(31, 41)가 연결되는 스틱 메모리 포트(32, 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는 인터 커넥션 포트(35)를 구비한다. 제1 바디(10)에 내장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12)은 제1 커넥터(16)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 커넥션 포트(35)와 커넥터(16)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제1 바디(10)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인터 커넥션 포트(35)와 커넥터(16)는 그 구조에 따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커넥터(36)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같이 인터 커넥션 포트(45)를 구비하고, 제2 바디(20)에 내장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22)은 제2 커넥터(26)를 구비한다. 이 인터 커넥션 포트(45)와 커넥터(26)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와 제2 바디(20)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인터 커넥션 포트(45)와 커넥터(26)는 그 구조에 따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커넥터(46)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는 제1 바디(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바디(10)의 중심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제2 바디(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바디(20)의 중심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회전시키는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힌지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제1 바디(10)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제2 바디(20)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힌지 어셈블리(50)를 개재하여 상호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힌지 어셈블리(50)를 개재하여 포개어지는 구조로 연결되므로 상대 회전에 따른 다양한 형상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도 1 및 도 2와 같이 변형되는 형상에 더하여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변형되는 형상으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 어셈블리(50)는 양 측 제1 바디(10) 및 제2 바디(20) 측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10)의 후면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의 후면에 대향하는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의 일면에 연결된다.
이 힌지 어셈블리(5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노말 힌지(normal hinge)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을 편리하게 하는 구조의 힌지를 예시한다.
이 힌지 어셈블리(50)는 제1 힌지 부재(51), 내측 연결부재(52), 제2 힌지 부재(53), 및 외측 연결부재(54)를 포함한다.
제1 힌지 부재(51)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51a)와 회전부(51b)를 구비한다. 이 고정부(51a)는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 측 다각 홀(43)에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부(51b)는 고정부(51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내측 연결부재(52)는 그 내측에 다각 홀(52a)을 구비하고, 이 다각 홀(52a)에는 제1 힌지 부재(51)의 회전부(51b)가 결합된다. 이 회전부(51b)가 내측 연결부재(52)의 다각 홀(51a)에 결합됨에 따라, 제1 힌지 부재(51)의 회전부(51b)와 내측 연결부재(52)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다각 홀(52a)과 힌지 부재(51)의 회전부(51b)는 상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 및 결합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다각 홀(52a)과 회전부(51b)는 같은 형상의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하(도면에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는 팔각형의 다각 홀(52a)과 회전부(51b)를 예시한다.
제2 힌지 부재(53)는 상기 내측 연결부재(52)의 상기 다각 홀(52a)에 결합된다. 이 제2 힌지 부재(53)의 일측은 내측 연결부재(52) 내에서 회전부(51a)와 맞닿는 상태로 결합된다. 또 제2 힌지 부재(53)의 다른 일측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의 일측 즉, 후면에 결합된다. 이 제2 힌지 부재(53)가 내측 연결부재(52)의 다각 홀(52a)에 결합됨에 따라, 제2 힌지 부재(53)와 내측 연결부재(52)는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또한 팔각형의 제2 힌지 부재(53)를 예시한다.
결국,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의 다각 홀(43)에 제1 힌지 부재(51)의 고정부(51a)가 결합되고, 이 제1 힌지부재(51)의 회전부(51b)가 내측 연결부재(52)의 다각 홀(52a)에 결합되며, 이 내측 연결부재(52)의 다각 홀(52a)에 제2 힌지 부재(53)가 결합되고, 이 제2 힌지 부재(53)가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제1 힌지 부재(51)를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50)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길이 방향(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체결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외측 연결부재(54)가 구비된다.
이 외측 연결부재(54)는 그 일측이 내측 연결부재(52)의 일측에 이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의 다각 홀(43) 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연결부재(52)와 제2 힌지 부재(53)는 상호 결합 방향으로 저절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내측 연결부재(52)와 제2 힌지 부재(53)는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연결부재(52)는 제2 힌지 부재(53)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탄성부재(52b)로 지지되는 볼(52c)을 구비하고, 제2 힌지 부재(53)는 상기 볼(52c)이 삽입되는 홈(53a)을 구비한다. 이 경우, 분해 및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52b)의 지지력을 받는 볼(52c)이 제2 힌지 부재(53)의 홈(53a)에 걸림에 따라, 내측 연결부재(52)와 제2 힌지 부재(53)는 상호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외측 연결부재(54)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는 상기와 같이 상호 결 합 방향으로 저절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 외측 연결부재(54)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 사이에는 상기한 내측 연결부재(52)와 제2 힌지 부재(53) 사이에 구비되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바디(10), 제2 바디(20),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 및 힌지 어셈블리(50)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단말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또는 게임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0), 제2 바디(20), 제1 디스플레이 소자(30), 제2 디스플레이 소자(40), 및 힌지 어셈블리(50)의 구성은 이러한 기기의 각각에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한 기기 중 하나 이상의 기기를 조합하는 다기는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의하면,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플랙서블 하게 형성하고, 이 제1 바디와 제2 바디에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소자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며, 이 제1 디스플레이 소자와 제2 디스플레이 소자를 힌지 어셈블리로 결합함으로써,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다양하게 변형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상대적 회전 조작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전체적으로 보다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 키패드를 플랙서블 하게 형성하는 제1 바디;상기 제1 바디에 구비되는 제1 디스플레이 소자;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의 후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힌지 어셈블리;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와 상대 회전 구조로 포개어지는 제2 디스플레이 소자; 및상기 제2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고 플랙서블 하게 형성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각각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 각각은 유연회로기판을 내장하는 키패드와,상기 키패드의 외표면 및 외주에 부착되어 키패드를 각 키로 구획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보강 부재의 탄성은 상기 키패드의 탄성보다 큰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액정표시장치로 형성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스틱 메모리를 연결하는 스틱 메모리 포트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상기 제1 바디에 내장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의 커넥터와 및 제2 바디에 내장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인터커넥션 포트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 및 제2 디스플레이 소자 각각은 상기 제1 플레서블 바디 및 제2 바디의 중심에 구비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소자 측 다각 홀에 결합되는 고 정부와 이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제1 힌지 부재,상기 제1 힌지 부재의 회전부가 결합되는 다각 홀을 구비하는 내측 연결부재,상기 내측 연결부재의 상기 다각 홀의 회전부 대응 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에 결합되는 제2 힌지 부재, 및상기 내측 연결부재의 일측에 이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소자에 그 일측이 결합되는 외측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668A KR100630357B1 (ko) | 2005-04-13 | 2005-04-13 | 휴대 전화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668A KR100630357B1 (ko) | 2005-04-13 | 2005-04-13 | 휴대 전화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0357B1 true KR100630357B1 (ko) | 2006-09-29 |
Family
ID=3762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0668A KR100630357B1 (ko) | 2005-04-13 | 2005-04-13 | 휴대 전화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035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7771A (ja) * | 2000-08-08 | 2002-02-22 | Alps Electric Co Ltd | 携帯型情報端末 |
KR20040009466A (ko) * | 2002-07-23 | 2004-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KR20040022561A (ko) * | 2002-09-09 | 2004-03-16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수평 회전식 상폴더를 구비하는 휴대폰 |
KR20050014096A (ko) * | 2003-07-30 | 2005-02-07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
KR20050114586A (ko) * | 2004-06-01 | 2005-12-06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화면 양쪽에서 개폐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 및휴대전화기용 힌지장치 |
-
2005
- 2005-04-13 KR KR1020050030668A patent/KR1006303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7771A (ja) * | 2000-08-08 | 2002-02-22 | Alps Electric Co Ltd | 携帯型情報端末 |
KR20040009466A (ko) * | 2002-07-23 | 2004-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
KR20040022561A (ko) * | 2002-09-09 | 2004-03-16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수평 회전식 상폴더를 구비하는 휴대폰 |
KR20050014096A (ko) * | 2003-07-30 | 2005-02-07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
KR20050114586A (ko) * | 2004-06-01 | 2005-12-06 |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 화면 양쪽에서 개폐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 및휴대전화기용 힌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46026B2 (en) |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 |
US8005521B2 (en) | Portable terminal | |
US7669289B2 (en) | Dual-axis hinge | |
EP2066126A2 (en) |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 |
US20090091512A1 (en) | Dual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834633B1 (ko) |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 |
US7734314B2 (en) | Slim type portable terminal | |
KR20060099668A (ko) | 모듈 조립형 휴대용 단말기 | |
US8712487B2 (en) |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EP1898605A1 (en) | Key input devi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a sliding module therefor | |
US7197345B2 (en) | Replaceable sliding cover unit for folder in folder-type portable phone | |
EP1630331B1 (en) |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 |
JP4549391B2 (ja) | 積層型携帯端末 | |
KR100461769B1 (ko) |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이 장착된 스타일러스 및 이를채용한 무선 단말기 | |
KR100575746B1 (ko) | 폴더형 휴대 단말기 | |
US7054670B2 (en) | Cellular phon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KR100630357B1 (ko) | 휴대 전화 단말기 | |
US20090097199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with data cable | |
KR100724919B1 (ko) | 휴대용 단말기 | |
JP4974079B2 (ja) | 折り畳み式通信端末 | |
KR200453310Y1 (ko) | 안테나가 탑재된 다기능 젠더 | |
JP2007181050A (ja) | 携帯端末 | |
KR10070330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모듈 | |
JP4807248B2 (ja) | 折畳み式電子機器におけるケーブル位置決め構造及び折畳み式電子機器 | |
KR100721146B1 (ko) | 카메라 모듈 하우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