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378B1 -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Google Patents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4378B1 KR100624378B1 KR1020040079630A KR20040079630A KR100624378B1 KR 100624378 B1 KR100624378 B1 KR 100624378B1 KR 1020040079630 A KR1020040079630 A KR 1020040079630A KR 20040079630 A KR20040079630 A KR 20040079630A KR 100624378 B1 KR100624378 B1 KR 1006243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vane
- compression
- double
- compres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of internal-axis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구조적인 변화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압축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의 상단이 지지되는 하부 실린더와 상기 하부실린더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실린더의 내부로 선회베인이 상기 크랭크축의 상단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고, 이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가 한 쌍으로 압축되어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상,하부 압축부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압축기의 성능 및 압축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선회베인, 압축기, 복동식, 압축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선회베인 압축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조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쉘
11 : 흡입튜브 13 : 토출튜브
D : 구동부
P1 : 상부 압축부 P2 : 하부 압축부
4 : 상부 실린더
41 : 상부 내측링 42 : 상부 환형공간 43 : 흡입구
44 : 토출구 45 : 고저압 분리판
4a : 하부 실린더
41a : 하부 내측링 42a : 하부 환형공간 43a : 흡입구
44a : 토출구 45a : 하부 분리판
46a : 유도통로
461a : 관통관 462a : 외부유도관
5 : 선회베인
50 : 경판 51 : 상부 원형베인 51a : 하부 원형베인
7 : 서브프레임 8 : 크랭크축
본 발명은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구조적인 변화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압축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회베인 압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D)와 압축부(P)가 하나의 쉘(1) 내부에 밀폐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구동부(D)와 압축부(P)는 상,하부 양단이 메인프레임(6) 및 서브프레임(7)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직의 크랭크축(8)으로 상호 연결되어 상기 크랭크축(8)을 통하여 구동부(D)의 동력이 압축부(P)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D)는 메인프레임(6)과 서브프레임(7)의 사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2)와, 상기 스테이터(2)의 내부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크랭크축(8)을 회전시키는 로터(3)로 구성되고, 상기 로터(3)의 상,하부에 균형추(3a)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크랭크핀(81)에 의한 크랭크축(8)의 회전 불균형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축부(P)는 하부측의 보스부(55)가 크랭크핀(81)에 결합된 선회베인(5)이 실린더(4)의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4)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스가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실린더(4)는 하부측으로 돌출된 내측링(41)을 포함하고, 상기 선회베인(5)은 상부측에 원형베인(51)이 수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링(41)과 실린더(4)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환형공간(42)의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선회운동에 의하여 원형베인(51)을 중심으로 내.외측에 압축실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는 상부측 실린더(4)의 내,외측 토출구(44)(44a)를 통해서 실린더(4)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6)과 선회베인(5)의 사이에 자전 방지기구인 올담링(9)이 구비되며, 크랭크축(8)의 내부에는 급유로(82)를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크랭크축(8)의 하단부에 설치된 오일펌프(83)의 작동에 의해서 압축부(P)에 대한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은 흡입튜브이고, 12는 고압실이며, 13은 토출튜브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P)는 크랭크축(8)의 상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프레임(6)의 상단부에 상기 크랭크축(8)과 결합되는 선회베인 (5)이 구비되고, 상기 선회베인(5)의 상부측에 메인프레임(6)과 결합되는 실린더(4)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4)는 측방향으로 흡입구(43)가 형성되고, 상단면의 일측에 내,외측 토출구(44)(44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8)의 크랭크핀(81)이 경판(50)의 하면에 형성된 보스부(55)에 결합된 선회베인(5)의 원형베인(51)에는 상기 실린더(4)의 흡입구(43)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가스가 원형베인(51)의 내측으로도 흡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52)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원형베인(5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53)에는 슬라이더(54)가 구비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9는 올담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랭크축(8)을 통해 구동부(D)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압축부(P)의 선회베인(5)이 구동되면(도 1 참조.), 실린더(4)의 환형공간(42) 내부에 삽입된 선회베인(5)의 원형베인(51)이 화살표와 같이 상기 환형공간(42)의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구(43)를 통해 환형공간(42)의 내부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게 된다.
즉, 최초의 작동상태(0°)는 상기 흡입구(43) 및 원형베인(51)의 관통공(52)을 통해 내측 흡입실(A1)의 내부로 냉매가스의 흡입이 진행되고, 원형베인의 외측 압축실(B2)은 흡입구(43) 및 외측 토출구(44a)와 차단된 상태에서 압축이 시작되며, 내측 압축실(A2)은 냉매가스에 대한 압축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90°회전된 상태에서는 원형베인(51)의 외측 압축실(B2)에 대한 압축이 계속 진행중이며, 상기 원형베인(51)의 내측 압축실(A2)은 내측 토출구(44)를 통한 압축 냉매가스의 토출이 거의 완료된 상태가 되고, 전 단계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외측 흡입실(B1)이 생성되어 흡입구(43)를 통해 냉매가스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180°회전된 상태에서는 전 단계에서 존재하던 내측 흡입실(A1)은 사라지고, 그 대신 상기 내측 흡입실(A1)이 내측 압축실(A2)로 되어 압축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며, 외측 압축실(B2)은 외측 토출구(44a)와 통하게 되어 압축된 냉매가스에 대한 토출을 진행한다.
270°회전된 상태에서는 원형베인(51)의 외측 압축실(B2)은 외측 토출구(44a)를 통한 압축된 냉매가스에 대한 토출을 거의 완료하게 되며, 내측 압축실(A2)도 압축을 계속 진행하고, 외측 흡입실(B1)에 대한 압축은 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상태에서 90°더 회전되면 전 단계에서 존재하던 외측 흡입실(B1)이 외측 압축실(B2)로 되어 상기 외측 압축실(B2)에 대한 압축을 진행하면서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크랭크축의 1회전을 기준으로 한 사이클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4는 원형베인(51)의 내,외측 압축실(A2)(B2)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한 슬라이더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압축부의 압축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양 압축실의 체적을 증대시켜야 하고, 이와 같이 상기 압축실의 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선회베인의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실린더의 환형공간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함으 로 압축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구조적인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구조적인 변화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압축용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회베인의 상하면에 각각 원형베인을 형성하여 하나의 선회베인으로 한 쌍의 압축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쉘의 내부가 흡입가스로 채워진 저압식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쉘의 내부가 토출가스로 채워진 고압식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한 쌍의 압축부에서 토출되는 토출가스가 토출튜브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의 상단이 지지되는 하부 실린더와 상기 하부실린더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실린더의 내부로 경판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 원형베인이 형성된 선회베인이 상기 크랭크축의 상단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고, 이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가 한 쌍으로 압축되어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상,하부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압축부는, 상기 상부 원형베인과 상기 상부 원형베인이 삽입되어 선회하는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상부 내측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환형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압축부는, 상기 하부 원형베인과 상기 하부 원형베인이 삽입되어 선회하는 상기 하부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하부 내측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환형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실린더의 외측 둘레와 상기 쉘의 내부면 사이에 고저압 분리판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의 토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실린더의 하면에 하부 분리판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 실린더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를 상기 토출튜브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통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튜브는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일측으로 형성된 한 쌍의 상기 흡입구에 각각 기밀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통로는, 상기 하부 분리판의 상부로 상기 상,하부 실린더와 고저압 분리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통로는, 일단이 외부에서 상기 쉘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분리판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쉘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외부유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는 상부 일측으로 흡입튜브(11) 및 토출튜브(13)를 갖는 밀폐된 쉘(1)이 구비되고, 상기 쉘(1)의 내부로 크랭크축(8)을 회전시키는 구동부(D)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한 상기 크랭크축(8)의 회전으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하로 압축하는 상부 압축부(P1) 및 하부 압축부(P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축(8)은 그 하단이 서브프레임(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그 상단이 하부 압축부(P2)의 하부 실린더(4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테이터(2)와 로터(3)로 구성되는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상부 압축부(P1) 및 하부 압축부(P2)는 크랭크축(8)이 지지되는 하부 실린더(4a)의 상면에 상부 실린더(4)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4a)와 상부 실린더(4)의 사이에 그 내측으로 선회베인(5)이 상기 크랭크축(8)의 상단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압축부(P1) 및 하부 압축부(P2)는 크랭크축(8)의 회전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베인(5)에 의해 상기 선회베인(5)의 경판(50) 상하로 각각 2개 즉 4개의 압축실을 형성함으로써, 압축기의 압축용량을 현저히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압축부(P1)에 포함되는 상부 실린더(4)는 일측으로 흡입구(43)가 형성되고, 그 내부로 상부 내측링(41)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내측링(41)과 내주면 의 사이에 상부 환형공간(4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환형공간(42)에 선회베인(5)의 경판(50) 상면에 형성된 상부 원형베인(51)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실린더(4)는 크랭크축(8)의 회전에 의해 선회베인(5)의 상부 원형베인(51)이 상부 환형공간(42)의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튜브(11)에서 흡입구(43)를 통해 상기 상부 환형공간(42)으로 유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한 쌍의 토출구(44)를 통해 상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압축부(P2)에 포함되는 하부 실린더(4a)는 일측으로 흡입구(43a)가 형성되고, 그 내부로 하부 내측링(41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내측링(41a)과 내주면의 사이에 하부 환형공간(42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환형공간(42a)에 선회베인(5)의 경판(50) 하면에 형성된 하부 원형베인(51a)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 실린더(4a)는 크랭크축(8)의 회전에 의해 선회베인(5)의 하부 원형베인(51a)이 하부 환형공간(42a)의 내부에서 선회운동을 하면서 흡입튜브(11)에서 흡입구(43a)를 통해 상기 하부 환형공간(42a)으로 유입된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한 쌍의 토출구(44a)를 통해 하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압축기는 쉘(1)의 내부가 저압식 구조를 이루도록 상부 실린더(4)의 외측 둘레와 상기 쉘(1)의 내부면 사이에 고저압 분리판(45)이 장착되고, 하부 실린더(4a)의 토출구(44a)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실린더(4a)의 하면에 하부 분리판(45a)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 실린더(4a)의 토출구(44a)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를 토출튜브(13)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통로(46a)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저압 분리판(45)은 상부 실린더(4)의 외측 둘레와 쉘(1)의 내부면 사이에 기밀되게 장착됨으로써, 흡입튜브(11)를 통해 유입되는 저압의 흡입가스와 상기 상부 실린더(4)의 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되는 고압의 토출가스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분리판(45a)은 하부 실린더(4a)의 토출구(44a)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실린더(4a)의 하면에 기밀되게 부착됨으로써, 흡입튜브(11)와 연통되어 저압의 흡입가스가 채워진 쉘(1)의 내부와 상기 토출구(44a)를 통해 토출되는 고압의 토출가스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도통로(46a)는 하부 분리판(45a)의 상부로 하부 실린더(4a)의 토출구(44a)를 통해 토출된 고압의 토출가스를 쉘(1)의 내측 상부로 토출튜브(13)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분리판(45a)의 상부로 하부 실린더(4a) 및 상부 실린더(4)와 고저압 분리판(45)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관(461a)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관(461a)은 쉘(1)의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안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압축기는 흡입튜브(11)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스가 쉘(1)의 내부에 채워진 후에 상부 실린더(4)와 하부 실린더(4a)의 흡입구(43)(43a)를 통해 각각 환형공간(42)(42a)으로 유입되어 원형베인(51)(51a)에 의해 압축된 후에 각각의 토출구(44)(44a)를 통해 토출되고, 상기 토출구(44)(44a)를 통해 토출된 냉매가스는 상기 쉘(1)의 내측 상부로 유도되어 토출튜브(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입튜브(11)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가 쉘(1)의 내부에 채워지는 저압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쉘(1)의 내부에 채워진 흡입된 냉매가스에 의해 구동부(D)의 열이 원활히 냉각되어 안정적인 운전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는 선회베인(5)의 상하면으로 상부 압축부(P1)와 하부 압축부(P2)가 구비되고, 상기 선회베인(5)이 선회운동을 하도록 크랭크축(8)이 구동부(D)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압축부(P1) 및 하부 압축부(P2)를 구성하는 상부 실린더(4)와 하부 실린더(4a)의 상면과 하면으로 구비되는 고저압 분리판(45)과 하부 분리판(45a)은 고압의 토출가스와 저압의 흡입가스가 분리시킴으로써, 쉘(1)의 내부에 흡입튜브(11)를 통해 유입된 흡입가스가 채워져 본 압축기가 저압식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하부 실린더(4a)의 토출구(44a)를 통해 하부 분리판(45a)으로 토출되는 토출가스는 유도통로(46a)를 통해 쉘(1)의 내측 상부로 유도되어 토출튜브(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유도통로(46a)는 일단이 외부에서 쉘(1)을 관통하여 하부 분리판(45a)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쉘(1)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외부유도관(462a)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유도관(462a)은 쉘(1)의 외부에 구비됨으로써, 상부 실린더(4)와 하부 실린더(4a)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할 필요가 없어져 그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는 상부 일측으로 한 쌍의 흡입튜브(11)와 토출튜브(13)를 갖는 밀폐된 쉘(1)이 구비되고, 상기 쉘(1)의 내부로 크랭크축(8)을 회전시키는 구동부(D)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D)에 의한 상기 크랭크축(8)의 회전으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상하로 압축하는 상부 압축부(P1) 및 하부 압축부(P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압축부(P1) 및 하부 압축부(P2)는 크랭크축(8)의 회전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베인(5)에 의해 상기 선회베인(5)의 경판(50) 상하로 각각 2개 즉 4개의 압축실을 형성함으로써, 압축기의 압축용량을 현저히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압축기는 쉘(1)의 내부가 고압식 구조를 이루도록 한 쌍의 흡입튜브(11)가 상부 실린더(4)의 흡입구(43)와 하부 실린더(4a)의 흡입구(43a)에 각각 기밀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압축기는 각각의 흡입튜브(11)에서 상부 실린더(4)와 하부 실린더(4a)의 흡입구(43)(43a)를 통해 각각 환형공간(42)(42a)으로 유입된 흡입가스가 상기 환형공간(42)(42a)의 내부에서 원형베인(51)(51a)에 의해 압축된 후에 각각의 토출구(44)(44a)를 통해 쉘(1)의 내부로 배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쉘(1)의 내부가 고압의 토출가스로 채워진 후에 토출튜브(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입튜브(11)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가 곧바로 흡입구(43)(43a)로 유입되어 압축되고, 고압의 압축된 냉매가스가 쉘(1)의 내부에 채워진 후에 배출됨으로써, 냉매가스의 흡입시에 구동부(D)의 열에 의한 손실이 방지되어 압축효율 및 압축성능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의 구조적인 변화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압축용량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압축기의 성능 및 압축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회베인의 상하면에 각각 원형베인을 형성하여 하나의 선회베인으로 한 쌍의 압축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간단하게 압축용량의 증대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쉘의 내부가 흡입가스로 채워진 저압식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쉘의 내부로 채워진 흡입가스에 의해 구동부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쉘의 내부가 토출가스로 채워진 고압식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구동부의 냉각을 위한 손실이 미연에 방지되어 압축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한 쌍의 압축부에서 토출되는 토출가스가 토출튜브측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압축된 냉매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7)
-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축의 상단이 지지되는 하부 실린더와 상기 하부실린더의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실린더의 내부로 경판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부 원형베인이 형성된 선회베인이 상기 크랭크축의 상단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고, 이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가 한 쌍으로 압축되어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상,하부 압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압축부는, 상기 상부 원형베인과 상기 상부 원형베인이 삽입되어 선회하는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상부 내측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환형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압축부는, 상기 하부 원형베인과 상기 하부 원형베인이 삽입되어 선회하는 상기 하부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하부 내측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환형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실린더의 외측 둘레와 상기 쉘의 내부면 사이에 고저압 분리판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 실린더의 토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실린더의 하면에 하부 분리판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 실린더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가스를 상기 토출튜브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통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흡입튜브는 상기 상,하부 실린더의 일측으로 형성된 한 쌍의 상기 흡입구에 각각 기밀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유도통로는, 상기 하부 분리판의 상부로 상기 상,하부 실린더와 고저압 분리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유도통로는, 일단이 외부에서 상기 쉘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분리판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쉘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외부유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9630A KR100624378B1 (ko) | 2004-10-06 | 2004-10-06 |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US11/111,849 US7367790B2 (en) | 2004-10-06 | 2005-04-22 | Double-acting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
CNA2005100699106A CN1757922A (zh) | 2004-10-06 | 2005-05-08 | 双作用型轨道运动叶片式压缩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9630A KR100624378B1 (ko) | 2004-10-06 | 2004-10-06 |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0767A KR20060030767A (ko) | 2006-04-11 |
KR100624378B1 true KR100624378B1 (ko) | 2006-09-18 |
Family
ID=3612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9630A KR100624378B1 (ko) | 2004-10-06 | 2004-10-06 |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7367790B2 (ko) |
KR (1) | KR100624378B1 (ko) |
CN (1) | CN175792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9885B1 (ko) * | 2004-10-06 | 2007-0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측방향 흡입구조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
CN1963229B (zh) * | 2005-11-10 | 2010-06-02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旋转叶片式压缩机的输出口结构 |
WO2018084868A1 (en) | 2016-11-07 | 2018-05-11 | Wood Mark W | Scroll compressor with circular surface terminations |
US10030658B2 (en) | 2016-04-27 | 2018-07-24 | Mark W. Wood | Concentric vane compressor |
US11480178B2 (en) | 2016-04-27 | 2022-10-25 | Mark W. Wood | Multistage compressor system with intercooler |
US11686309B2 (en) | 2016-11-07 | 2023-06-27 | Mark W. Wood | Scroll compressor with circular surface termination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3984A (ja) * | 1992-07-20 | 1994-04-05 | Ford Motor Co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JPH07109984A (ja) * | 1993-10-13 | 1995-04-25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KR960023807A (ko) * | 1994-12-27 | 1996-07-20 | 구자홍 |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식 바란스장치 |
KR960031881A (ko) * | 1995-02-15 | 1996-09-17 | 손영목 | 예혼합방식의 고부하ㆍ저공해 가정용 가스버너 |
KR20040007984A (ko) * | 2002-07-15 | 2004-01-28 | 김현진 | 베인 압축기 |
KR20050083476A (ko) * | 2004-02-23 | 2005-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25031A (en) * | 1964-03-17 | Multi-chamber rotary pump | ||
US2758546A (en) * | 1956-08-14 | A gillette | ||
US2966898A (en) * | 1957-08-26 | 1961-01-03 | Jacobs Albert Joseph | Rotary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US3782865A (en) * | 1971-03-05 | 1974-01-01 | A Braun | Sealing sleeve |
JPS61152984A (ja) * | 1984-12-26 | 1986-07-11 | Nippon Soken Inc | スクロ−ル型圧縮機 |
JPS6270686A (ja) * | 1985-09-20 | 1987-04-01 | Sanyo Electric Co Ltd | 多気筒回転圧縮機 |
JPH0826853B2 (ja) * | 1988-10-31 | 1996-03-21 | 株式会社東芝 |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の構造および製造方法 |
JPH078864Y2 (ja) * | 1988-10-31 | 1995-03-06 | 株式会社東芝 | 圧縮機 |
KR960003188Y1 (ko) | 1991-12-30 | 1996-04-1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 도어의 완충비임 |
JP3335656B2 (ja) * | 1992-02-18 | 2002-10-2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横置形圧縮機 |
CN1324240C (zh) * | 1998-02-13 | 2007-07-04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气密压缩机 |
US6171076B1 (en) * | 1998-06-10 | 2001-01-09 | Tecumseh Products Company | Hermetic compressor assembly having a suction chamber and twin axially disposed discharge chambers |
JP3778730B2 (ja) * | 1999-07-01 | 2006-05-24 | 三洋電機株式会社 | 多気筒回転圧縮機の製造方法 |
KR20040100078A (ko) * | 2003-05-21 | 2004-1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
-
2004
- 2004-10-06 KR KR1020040079630A patent/KR1006243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4-22 US US11/111,849 patent/US736779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5-08 CN CNA2005100699106A patent/CN175792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3984A (ja) * | 1992-07-20 | 1994-04-05 | Ford Motor Co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JPH07109984A (ja) * | 1993-10-13 | 1995-04-25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スクロール型圧縮機 |
KR960023807A (ko) * | 1994-12-27 | 1996-07-20 | 구자홍 | 스크롤 압축기의 슬라이드식 바란스장치 |
KR960031881A (ko) * | 1995-02-15 | 1996-09-17 | 손영목 | 예혼합방식의 고부하ㆍ저공해 가정용 가스버너 |
KR20040007984A (ko) * | 2002-07-15 | 2004-01-28 | 김현진 | 베인 압축기 |
KR20050083476A (ko) * | 2004-02-23 | 2005-08-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40007984 |
20199600318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0767A (ko) | 2006-04-11 |
US7367790B2 (en) | 2008-05-06 |
CN1757922A (zh) | 2006-04-12 |
US20060073055A1 (en) | 2006-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1567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방법 | |
KR100602228B1 (ko) | 저압식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715772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 |
KR100624378B1 (ko) | 복동식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590494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 |
KR100624374B1 (ko) |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581558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슬라이더 순응장치 | |
KR100679883B1 (ko) | 밀폐형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679885B1 (ko) | 측방향 흡입구조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 |
KR100581570B1 (ko) | 리니어 슬라이더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772218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0635821B1 (ko) | 인버터 압축기의 급유량 제어장치 | |
KR100581561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흡입장치 | |
KR100669890B1 (ko) | 횡형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581571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토출구 구조 | |
KR100581560B1 (ko) | 확장 흡입유로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 |
KR100624377B1 (ko) | 슬라이더 체결구조를 갖는 선회베인 압축기의 실린더 | |
KR100590493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압축장치 | |
KR100343727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구조 | |
US7300266B2 (en) | Orbiting vane compressor incorporating orbiting vane with oil supply function | |
KR100360857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 |
KR100631725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유체저항 방지 장치 | |
KR100548449B1 (ko) | 압축가스의 누설이 방지되는 스크롤 압축기 | |
KR100624373B1 (ko) | 선회베인 압축기의 선회 반경 가변 장치 | |
KR20010076882A (ko) |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