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4142B1 -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142B1
KR100604142B1 KR1020040039897A KR20040039897A KR100604142B1 KR 100604142 B1 KR100604142 B1 KR 100604142B1 KR 1020040039897 A KR1020040039897 A KR 1020040039897A KR 20040039897 A KR20040039897 A KR 20040039897A KR 100604142 B1 KR100604142 B1 KR 10060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kimchi
cabbage
weight
anti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834A (ko
Inventor
최영태
정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들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들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들샘
Priority to KR102004003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14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는 (a) 모자반 추출물 0.1 중량% 내지 10 중량%; (b) 절인 배추 60 중량% 내지 80 중량%; 및 (c) 멸치액젓, 새우젓, 고춧가루, 생강, 마늘,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무, 부추 및 쌀풀이 혼합된 양념 10 중량% 내지 39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는 암 환자의 상피 세포에서 얻은 종양 세포인 HeLa 세포에 대한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모자반 추출물, 항암 활성 김치, 에탄올 추출, HeLa 세포.

Description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KIMCHI WITH ANTICANCER ACTIVITY CONTAINING THE EXTRACT OF SARGASSUM FULVELLUM,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로서, (a) 모자반 추출물 0.1 중량% 내지 10 중량%; (b) 절인 배추 60 중량% 내지 80 중량%; 및 (c) 멸치액젓, 새우젓, 고춧가루, 생강, 마늘,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무, 부추 및 쌀풀이 혼합된 양념 10 중량% 내지 39.9 중량%를 포함하는 항암 활성 김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무, 배추, 오이 등과 같은 채소를 소금에 절여 씻은 다음 파, 마늘, 고추, 생강 등 여러가지 양념을 넣어 함께 버무려 담근 한국의 전통 식품으로서, 채소 본래의 영양가를 보존하면서 새로운 맛과 향을 지닌 필수음식이다. 김치는 정장 작용, 소화촉진 작용, 항균 작용, 식욕증진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암을 예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0375호에는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 파 2.0%, 고춧가루 7%, 마늘 2.8%, 생강 0.6%, 멸치액젓 2.2%, 설탕 1.0%, 최종염 2.5%, 초피 0.1%, 갓 5%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배추김치; 및 2)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 파 2.0%, 고춧가루 7%, 마늘 2.8%, 생강 0.6%, 멸치액젓 2.2%, 설탕 1.0%, 최종염 2.5%, 초피 0.1%, 갓 5%를 배합하고 15℃에서 1차 발효시키고 pH 4.3이 될 때까지 5℃의 저온에서 재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배추김치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0194호에는 갓 잎을 소금 농도가 1~3%가 되도록 절인 후, 마늘, 생강, 고춧가루 및 파 등의 통상적인 양념 재료와 배합하고 16~20℃에서 8~14일간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성 및 항암성 기능이 있는 갓 김치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1179호에는 쪽파를 5% 염수에 30분간 절였다가 물기를 털어낸 후 쪽파 100.0에 대한 상대비로 멸치액젓 10.0, 고춧가루 9.7, 마늘 5.2, 생강 2.7, 통깨 1.3, 설탕 1.5, 찹쌀풀 12.0을 혼합한 양념을 상기 염수에 절인 쪽파에 섞어 버무린 다음 5~8 가닥씩 파를 감아 묶거나 또는 그대로 포장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파김치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모자반은 해조류 갈조류 길조식물문 이형세대강 원포자강 모자반목 모자반과에 속하는 1년생 해조로서, 체색은 적색을 띤 황색이며 저조선 부근의 바위에 분포한다. 모자반은 키틴키토산 및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게 껍질과 함께 동물용 사료에 첨가되어 사용되어 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7973호에는 (a) 모자반을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12~25%가 되게 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b) 대게 껍질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는 단계; (c) 산란계용 일반 사료에 상기 (a) 단계에서 분쇄된 모자반 2~4 중량%와 상기 (b) 단계에서 분쇄된 대게 껍질 3~8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된 산란계용 사료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7972호에는 모자반을 함유한 산란계용 사료와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계란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7970호에는 모자반과 대게 껍질을 함유한 육계용 사료와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육계가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37969호에는 모자반과 대게 껍질을 이용한 오리사육용 사료와 그를 이용하여 생산된 오리육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52274호에는 짝잎 모자반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항산화 물질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항산화 물질을 용매 분획을 통하여 활성 물질층을 나누고,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한 항산화제 및 이의 추출 및 정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모자반 추출물에 항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 내고, 한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에 항암 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를 창출하였다.
본 발명은 HeLa 세포에 대한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로서, (a) 모자반 추출물 0.1 중량% 내지 10 중량%; (b) 절인 배추 60 중량% 내지 80 중량%; 및 (c) 멸치액젓, 새우젓, 고춧가루, 생강, 마늘,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무, 부추 및 쌀풀이 혼합된 양념 10 중량% 내지 39.9 중량%를 포함하는 항암 활성 김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에탄올 추출에 의해 모자반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ii) 배추를 세척하고 2절 내지 4절로 절단하고, 절임 용기에 절단된 배추를 넣고 소금 농도가 8~14%인 염수를 가득 채워 8~24시간 절인 후, 절인 배추를 15 ±3℃의 물로 3~4회 세척하고, 세척된 배추를 탈수실에서 4~6시간 탈수시키는 단계; (iii) 고추의 꼭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3~4회 세척한 후 10~12 메쉬의 입자 크기로 고추를 분쇄하고, 마늘과 생강을 세척한 후 16~18 메쉬의 입자 크기로 마늘과 생강을 분쇄하며, 100~150℃ 및 2 기압에서 멸치액젓과 새우젓을 끓인 후 여과기로 여과하고,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무 및 부추를 깨끗이 세척함으로써, 양념 원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iv) 전처리된 양념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v) 모자반 추출물, 절인 배추 및 양념을 2중량% 내지 4중량% : 60~80 중량% : 10 중량% 내지 39.9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항암 활성 김치에 있어서, 모자반 추출물의 함량은 김치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4 중량%이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은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 정제물을 사용한다.
에탄올 추출법
모자반을 증류수에 5회 세척하고 음건한 후, 이를 40~50℃에서 3일 동안 건조한다. 이것을 세절하고 80 메쉬로 마쇄한 후, 수분 함량이 3.5~5.0%인 분말 시료를 수득한다. 수득된 분말 시료를 75% 에탄올 100 ml을 사용하여 수조(水槽)에서 1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고 풍건하여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상품명: Folicon)에는 리날롤(linalool), 니트로민(nitromin), 이노시톨, 아스파르트산, 리보플라빈 뿐만 아니라, 포릭산, 메탄티올, 비오틴, 제토니올, 카이닉산, 알라닌, 글루타민산, 프롤린, 트레오닌, 발린, 시스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삭제
삭제
절인 배추는 수분 94.3%, 단백질 1.3%, 지방 0.2%, 탄수화물 3.1%, 회분(ash) 0.6%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인 배추는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의 미네랄과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아스코르브산 등의 비타민을 각각 미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 함유 항암 활성 김치에 사용되는 양념 원료는 멸치액젓, 새우젓, 고춧가루, 생강, 마늘,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무, 부추 및 쌀풀 등이다. 멸치액젓은 수분 70.14%, 단백질 6.5%, 탄수화물 0.3%, 회분 23.1%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의 미네랄과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등의 비타민을 각각 미량 함유한다. 새우젓은 수분 58.4%, 단백질 16.0%, 지방 0.3%, 탄수화물 15.4%, 회분 9.9%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칼슘, 인, 철 등의 미네랄과 니아신 등의 비타민을 각각 미량 함유한다. 고춧가루는 캡사이신 오일(capsaicin oil) 2%, 디하이드로캡사이신, 이소운데코일 바닐릴아미드, 캡산틴 0.4%, 카로틴 0.06%, 비타민 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강은 파메솔(famesol), α-펠란드렌(α-phellandrene), 캄펜(camphene), 에션셜 오일(essential oil) 2~3%, 진게론(zingerone), 진저론(gingerone), 쇼가올(shogaol), 오틴게롤(otingerol), 진기베렌(zingiberen), 진기베롤(zingiberol), d-보르네올(d-borneol), 쿠르쿠멘(curcumene), 파메센(famesen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늘은 알린(allin), 알리신(allicin), 에센셜 오일, 스코르디닌 알루미늄(scordinin Al)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백당은 수분 0.1%, 탄수화물 99.9%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칼슘, 철, 나트륨, 칼륨 등의 미네랄을 각각 미량 함유한다. 무는 가식부분 100g당 수분 90%, 단백질 2g, 지방 0.1g, 당류 5.6g, 섬유 0.9g, 회분 1.6g, 칼슘 62mg, 비타민B1 0.01mg, 비타민B2 0.03mg, 비타민C 44mg 등을 함유한다. 부추는 알린, 리코핀,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등을 함유한다. 쌀풀은 수분 8.2%, 단백질 7.4%, 지방 2.6%, 탄수화물 80.4%, 회분 1.2%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등의 미네랄과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등의 비타민을 각각 미량 함유한다.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물은 HeLa 세포에 대한 제암력이 84% 이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김치의 각종 양념 원료에 들어있는 성분들에 의한 항암 효과와 모자반 추출물의 항암 효과가 상승 작용을 한다.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므로,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하기 실시예의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의 제법
모자반을 증류수에 5회 세척하고 음건한 후, 이를 40~50℃에서 3일간 건조하였다. 이것을 세절하고 80 메쉬(mesh)로 마쇄한 후, 그 중 수분 함량이 3.5~5.0%인 분말 시료 5 g을 수득하였다. 이 분말 시료 5 g을 75% 에탄올 100 ml를 사용하여 수조(水槽)에서 1시간 추출한 후 여과 및 풍건하여 모자반 추출정제물 3 g을 수득하였다.
모자반 추출정제물의 항암 효과
삭제
삭제
모자반 추출정제물의 항암 효과 확인을 위한 검액의 투여 전일에, 24-웰 미량희석 평판에 혈청 10%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를 각 웰마다 1.0 ml씩 넣은 후, 배양 중의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여 수확한 후 세포수 측정기(cell counter)로 암세포 농도를 계산하였다. DMEM으로 농도별로 희석하여 암세포 수를 달리한 다음 각각의 웰에 도말하였다.
세포 도말 18시간 후, 배지를 제거한 후, 혈청이 없는 DMEM을 웰당 1.0 ml씩 넣고 검액을 혈청이 없는 DMEM으로 농도별 희석하여 각 웰에 투여하였다. 투여 4시간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다시 혈청 10% DMEM을 웰당 2.0 ml씩 넣었다.
검액 투여 6일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3분간 염색하여 건조시킨 후, 해부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암세포 수를 파악하고 도말한 세포수와 비교하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모자반 추출정제물의 항암 효과 확인을 위해 검액 투여 6일 후 암세포의 평균 생존율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측정 방법은 8회 측정하여 최고치와 치저치를 뺀 나머지의 평균을 구하였다.
HeLa 세포에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의 검액을 처리한 결과, 대조군의 생존율을 100%라고 할 때, 1,600 ㎕/ml의 검액 투여시 0.6%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의 HeLa 세포에 대한 제암력이 99.4%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HeLa 세포에 모자반의 열수 추출정제물의 검액을 처리한 결과, 대조군의 생존율을 100%라고 할 때, 1,600 ㎕/ml의 검액 투여시 16%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의 HeLa 세포에 대한 제암력이 84%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HeLa 세포에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과 모자반의 열수 추출정제물의 혼합물(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 50% + 모자반의 열수 추출정제물 50%)의 검액을 처리한 결과, 대조군의 생존율을 100%라고 할 때, 1,600 ㎕/ml의 검액 투여시 11%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모자반의 에탄올 추출정제물과 모자반의 열수 추출정제물의 혼합물의 HeLa 세포에 대한 제암력이 89%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제법
(1) 에탄올 추출 정제물의 제조
에탄올 추출에 의해 모자반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배추의 정선
가공에 적합한 배추를 선정하여 떡잎, 짚, 신문지, 병잎, 흙, 먼지 등을 제거하고, 배추의 뿌리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3) 배추의 세척, 절단 및 절임
배추를 깨끗한 물로 세척하고 2절 내지 4절로 절단하였다. 그 후, 절임 용기 에 절단된 배추를 넣고 소금 농도가 8~14%인 염수를 가득 채워 8~24시간 절였다.
(4) 절인 배추의 세척 및 탈수
절인 배추를 15 ±3℃의 물로 3~4회 세척하고, 세척된 배추를 탈수실에서 4~6시간 탈수시켰다.
(5) 양념 전처리
고추의 꼭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3~4회 세척한 후 10~12 메쉬의 입자 크기로 고추를 분쇄하고, 마늘과 생강을 세척한 후 16~18 메쉬의 입자 크기로 마늘과 생강을 분쇄하며, 100~150℃ 및 2 기압에서 멸치액젓과 새우젓을 끓인 후 여과기로 여과하고,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쌀풀을 준비하고 무 및 부추를 깨끗이 세척함으로써, 양념 원료를 전처리하였다.
(6) 양념 원료의 혼합
전처리된 양념 원료를 혼합하였다. 양념 원료의 배합비는 예컨대 다음과 같았다:
멸치액젓 12.6%; 새우젓 3.15%; 고춧가루 14.09%; 생강 1.58%; 마늘 6.31%; MSG 0.06%; 정백당 2.21%; 무 9.46%; 부추 3.15%; 쌀풀 47.29%.
(7) 모자반 추출물, 절인 배추 및 양념을 예컨대 3:66.23:30.77의 비율로 배합한 후 버무렸다.
모자반 추출물(Folicon)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안전성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Folicon) 함유 항암 활성 김치 추출액에 대한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검사 항목 검사 결과 비고
성상 적합 합격
0 mg/kg 합격
카드뮴 0 mg/kg 합격
보존료 불검출 합격
세균수 0 개/ml 합격
대장균군 음성 합격
상기 검사 결과,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 함유 항암 활성 김치가 인체에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모자반 추출물(Folicon)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항암 효과
모자반 추출물(Folicon) 함유 항암 활성 김치의 항암 효과 확인을 위한 검액의 투여 전일에, 24-웰 미량희석 평판에 혈청 10%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를 각 웰마다 1.0 ml씩 넣은 후, 배양 중의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여 수확한 후 세포수 측정기(cell counter)로 암세포 농도를 계산하였다. DMEM으로 농도별로 희석하여 암세포 수를 달리한 다음 각각의 웰에 도말하였다.
세포 도말 18시간 후, 배지를 제거한 후, 혈청이 없는 DMEM을 웰당 1.0 ml씩 넣고 검액을 혈청이 없는 DMEM으로 농도별 희석하여 각 웰에 투여하였다. 투여 4시간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다시 혈청 10% DMEM을 웰당 2.0 ml씩 넣었다.
검액 투여 6일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3분간 염색하여 건조시킨 후, 해부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암세포 수를 파악하고 도말한 세포수와 비교하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모자반 추출물(Folicon) 함유 항암 활성 김치의 항암 효과 확인을 위해 검액 투여 6일 후 암세포의 평균 생 존율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측정 방법은 7회 측정하여 최고치와 치저치를 뺀 나머지의 평균을 구하였다. 모자반 추출물(Folicon)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HeLa 세포에 대한 제암력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하기 표의 그래프는 억제 농도(IC)에 대한 HeLa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4023749643-pat0000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자반 추출물(Folicon)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HeLa 세포에 대한 제암력은 44% 이상이었다.
본 발명의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는 암 환자의 상피 세포에서 얻은 종양 세포인 HeLa 세포에 대한 우수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i) 에탄올 추출에 의해 모자반을 추출한 후 여과하여 모자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ii) 배추를 세척하고 2절 내지 4절로 절단하고, 절임 용기에 절단된 배추를 넣고 소금 농도가 8~14%인 염수를 가득 채워 8~24시간 절인 후, 절인 배추를 15 ±3℃의 물로 3~4회 세척하고, 세척된 배추를 탈수실에서 4~6시간 탈수시키는 단계;
    (iii) 고추의 꼭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고 3~4회 세척한 후 10~12 메쉬의 입자 크기로 고추를 분쇄하고, 마늘과 생강을 세척한 후 16~18 메쉬의 입자 크기로 마늘과 생강을 분쇄하며, 100~150℃ 및 2 기압에서 멸치액젓과 새우젓을 끓인 후 여과기로 여과하고, L-글루탐산나트륨(MSG), 정백당, 쌀풀을 준비하고, 무 및 부추를 깨끗이 세척함으로써, 양념 원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iv) 전처리된 양념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v) 모자반 추출물, 절인 배추 및 양념을 2 중량% 내지 4 중량% : 60~80 중량% : 16 중량% 내지 38 중량%의 비율로 배합한 후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40039897A 2004-06-02 2004-06-02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897A KR100604142B1 (ko) 2004-06-02 2004-06-02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897A KR100604142B1 (ko) 2004-06-02 2004-06-02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34A KR20050114834A (ko) 2005-12-07
KR100604142B1 true KR100604142B1 (ko) 2006-07-25

Family

ID=3728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897A KR100604142B1 (ko) 2004-06-02 2004-06-02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15B1 (ko) * 2005-06-01 2007-01-17 김태숙 항암기능성계란 제조방법과 계란
KR102414562B1 (ko) * 2021-09-06 2022-06-28 송현주 김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34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081B1 (ko) 동물성 원료 및 오신채 무첨가 채식주의자용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030069991A (ko) 항상성 유지제
KR101374617B1 (ko) 포도껍질과 포도씨로부터 포도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포도추출물
JPWO2004100969A1 (ja) 治療剤
CN101297683A (zh) 具有防病抗衰延寿功能的酥果
KR101068882B1 (ko) 자색고구마김치의 제조방법
KR2019014249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1981564B1 (ko) 고로쇠 과립을 이용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7347A (ko) 매운탕용 양념의 제조방법
KR100604142B1 (ko) 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활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7089B1 (ko)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기능성 만능 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KR20150136195A (ko) 당절임 복분자, 오디, 블루베리를 사용한 c3g 함유 백김치 또는 나박김치 제조방법
KR101348783B1 (ko) 뽕잎과 함초를 이용한 장김치의 제조방법
KR20010007847A (ko) 다슬기 엑기스의 제조방법 및 다슬기 엑기스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KR20110123905A (ko)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양념 조성물
KR101282368B1 (ko) 가식기간의 연장과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깻잎말이 고추김치
KR101153437B1 (ko)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20210140920A (ko) 당조 고추로 제조된 양념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 방법
KR101296435B1 (ko) 올리브 오일이 첨가된 마늘분말 조성물
KR101813496B1 (ko) 생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죽
KR20160080341A (ko) 흑마늘 김치소스 햄버그스테이크의 제조방법
KR102486327B1 (ko) 키토산 조미료 제조방법
KR101757221B1 (ko) 배추청잎 함유 김치양념 및 이를 포함한 항산화 기능성 김치
KR101395661B1 (ko) 기능성 물회소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