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723B1 - 영상 처리 회로, 영상 처리 방법,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회로, 영상 처리 방법,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9723B1 KR100599723B1 KR1020030045198A KR20030045198A KR100599723B1 KR 100599723 B1 KR100599723 B1 KR 100599723B1 KR 1020030045198 A KR1020030045198 A KR 1020030045198A KR 20030045198 A KR20030045198 A KR 20030045198A KR 100599723 B1 KR100599723 B1 KR 1005997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video signal
- dot
- block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움직임 검출 처리를 이용하지 않고도, 의사윤곽의 발생을 필드내 처리만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처리 회로 및 상기 영상 처리 회로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 회로(1)가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한다. 블록 분할 회로(2)가 영상 신호와 지연 회로(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판단 회로(3)가 블록 분할 회로(2)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블록 분할 회로(2)가 출력하는 지연 회로(1)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비교한다. 전환 회로(4)가 판단 회로(3)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한다.
PDP, 의사윤곽, 영상, 움직임, 블록, 분할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 및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 및 표시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3×3의 표시 도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256 계조를 표시할 때 실제로 표시되는 계조와 점등되는 서브필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점등 패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각 화소의 계조도에 대응하는 점등 패턴의 테이블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의 점등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8 서브필드로 256 계조를 표시할 때의 서브필드 시퀀스이다.
도 8은 종래의 유사 윤곽의 발생방지를 위한 움직임 검출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 지연 회로 2 : 블록 분할 회로 3 : 판단 회로
4 : 전환 회로 5 : 표시부 10-1, 2 : 1라인 지연 회로
11-1∼3, 12-1∼3 : 1도트 지연 회로
20 : 지연 회로 21 : 다계조화 처리 회로 22 : 전환 회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의 영상 처리 회로 및 상기 영상 처리 회로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그리고 영상 처리 방법 및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PDP는 휘도나 콘트라스트 향상 등의 화질 개선이 이루어져서 대화면 평면 표시 장치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AC형 PDP에서는 일반적으로 계조 표현을 행하기 위해 화소의 점등 제어에 서브필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도 7은 8개의 서브필드로 256 계조를 표시할 때의 서브필드 시퀀스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브필드는 어드레스 기간과 서스테인 기간을 가진다. 어드레스 기간은 모든 서브필드에서 동일하지만, 서스테인 기간은 서브필드마다 상이하다. 도 7에 나타낸 각 서브필드의 아래의 숫자는 그 서브필드의 웨이트이며, 웨이트의 비율로 서브필드에 부여되는 서스테인 펄스의 수가 증가하며, 서스테인 기간도 이에 따라 길어진다.
PDP는 이러한 각 서브필드의 점등/비점등의 조합으로 계조 표현을 행한다.
또한, 도 4는 256 계조를 표시할 때 실제로 표시되는 계조와 점등되는 서브필드의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고, ○ 표시의 서브필드가 점등되는 서브필드이다. 이러한 점등 패턴에 따라 AC형 PDP는 계조 표현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조 표현 방식에서는 동화상 표시를 행할 때 서브필드 방식 고유의 의사윤곽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의사윤곽은, 발광 스킴이 크게 변하는 곳에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각 블록의 경계에서 발생한다.
PDP의 동화 의사윤곽을 해소하기 위해 몇 개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움직임 검출을 이용하여 검출 결과에 대응시켜, 부호화 방법을 적응적으로 전환하여 동화 부분의 계조를 보상하는 구성이 있다(비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1>
카와하라 이사오(Kawahara Isao), 세키모토 쿠니오(Sekimoto Kunio), "고정세 PDP를 위한 동화 의사윤곽 억제 방식의 개발", 2000년 영상 정보 미디어 학회 연차 대회, 강연 원고집, pp.369-370
이때, 움직임 검출을 위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필드 메모리를 이용하여 필드 사이의 신호 레벨 차이를 검출하고, 그 차이가 일정 레벨 정도이상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1 필드의 사이 영상 신호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드 메모리가 필요하게 되어, 회로 규모 및 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움직임 검출 처리를 이용하지 않고, 의사윤곽의 발생을 필드내 처리만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 처리 회로 및 상기 영상 처리 회로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그리고 영상 처리 방법 및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하는 지연 회로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회로와, 상기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상기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비교하는 판단 회로와, 상기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전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1표시 도트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소정의 라인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 아 상기 영상 신호를 소정의 수평 라인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1수평 라인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연 회로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3표시 도트, 수직 방향으로 3수평 라인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회로는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축적하는 지연회로와,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발광 스킴의 연속하는 계조로 계조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후의 영상 신호를 다계조화하는 다계조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회로와 상기 다계조화 처리 회로를 전환하여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도트 축적하는 지연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처리부의 출력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처리부와, 상기 분할 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상기 분할 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비교하는 판단 처리부와, 상기 판단 처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전환 처리부와, 상기 전환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에 의하면, 지연 회로가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하고, 분할 회로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판단 회로가 상기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상기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비교하고, 전환 회로가 상기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지연 처리부가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하고, 분할 처리부가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와 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판단 처리부가 상기 분할 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상기 분할 처리부가 출력하는 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비교하고, 전환 처리부가 상기 판단 처리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고, 표시부가 상기 전환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회로는 지연 회로(1), 블록 분할 회로(2), 판단 회로(3) 및 전환 회로(4)를 포함한다.
지연 회로(1)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하여, 각각의 축적 도트를 블록 분할 회로(2)에 출력한다.
여기서, 지연 회로(1)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RGB(레드/그린/블루의 3원색 이용) 방식의 디지털 데이터이다.
지연 회로(1)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라인 지연 회로(10-1, 2), 1도트 지연 회로(11-1, 2, 3) 및 1도트 지연 회로(12-1, 2, 3)를 포함한다.
1라인 지연 회로(10-1, 2)는 영상 신호를 소정의 수평 라인, 예를 들면 1 수평 라인만큼 축적한다. 즉, 1라인 지연 회로(10-2)는 지연이 없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 수평 라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여, 이것을 블록 분할 회로(2), 1라인 지연 회로(10-1) 및 1도트 지연 회로(11-2)로 출력한다.
그리고 1라인 지연 회로(10-1)는 1라인 지연 회로(10-2)로부터 영상 신호에 대하여 1라인만큼 지연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으며, 또한 1수평 라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여, 이를 블록 분할 회로(2)와 1도트 지연 회로(11-1)로 출력한다.
1도트 지연 회로(11-1, 2, 3) 및 1도트 지연 회로(12-1, 2, 3)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표시 도트,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1표시 도트 축적한다.
즉, 1도트 지연 회로(11-1)는 1라인 지연 회로(10-1)보다 영상 신호에 대하 여 2라인만큼 지연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수평 도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고, 이를 블록 분할 회로(2)와 1도트 지연 회로(12-1)로 출력한다.
1도트 지연 회로(12-1)는 1도트 지연 회로(11-1)로부터 영상 신호에 대하여 2라인,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1표시 도트만큼 지연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수평 도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고, 이것을 블록 분할 회로(2)로 출력한다.
1도트 지연 회로(11-2)는 1라인 지연 회로(10-2)로부터 영상 신호에 대하여 1라인만큼 지연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수평 도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고, 이것을 블록 분할 회로(2), 1도트 지연 회로(12-2) 및 전환 회로(4)(구체적으로는 지연 회로(20)와,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로 출력한다.
1도트 지연 회로(12-2)는 1도트 지연 회로(11-2)로부터 영상 신호에 대하여 1라인,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1표시 도트만큼 지연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수평 도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고, 이것을 블록 분할 회로(2)로 출력한다.
1도트 지연 회로(11-3)는 지연이 없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수평 도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고, 이것을 블록 분할 회로(2)와 1도트 지연 회로(12-3)로 출력한다.
1도트 지연 회로(12-3)는 1도트 지연 회로(11-3)로부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1표시 도트만큼 지연되어 있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1수평 도트만큼 영상 신호를 축적하고, 이것을 블록 분할 회로(2)에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연 회로(1)는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3표시 도트, 수직 방향으로 3수평 라인 축적한다.
블록 분할 회로(2)는 지연이 없는 영상 신호, 1도트 지연 회로(12-1, 2, 3) 및 1도트 지연 회로(11-1, 2, 3)의 출력 신호, 그리고 1라인 지연 회로(10-1, 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블록 분할 회로(2)는 영상 신호와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입력 신호의 번호(1∼9)는, 도 3에 나타낸, 실제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상정한 9개의 표시 도트(1:좌측 상단, 2:상단, 3:우측 상단, 4:왼쪽, 5:중앙, 6:오른쪽, 7: 좌측 하단, 8:하단, 9:우측 하단)의 번호(1∼9)에 대응한다.
즉, 1도트 지연 회로(12-1)로부터의 입력 신호(1)는 도 3의 3×3 행렬의 좌측 상단의 표시 도트(1)(= 화소 1)에서 표시된다. 1도트 지연 회로(11-1)로부터의 입력 신호(2)는 도 3의 3×3 행렬의 상단의 표시 도트(2)(= 화소 2)에서 표시된다. 1라인 지연 회로(10-1)로부터의 입력 신호(3)는 도 3의 3×3 행렬의 우측 상단의 표시 도트(3)(= 화소 3)에서 표시된다.
1도트 지연 회로(12-2)로부터의 입력 신호(4)는 도 3의 3×3 행렬의 왼쪽의 표시 도트(4)(= 화소 4)에서 표시된다. 1도트 지연 회로(11-2)로부터의 입력 신호(5)는 도 3의 3×3 행렬의 중앙의 표시 도트(5)(= 화소 5)에서 표시된다. 1라인 지연 회로(10-2)로부터의 입력 신호(6)는 도 3의 3×3 행렬의 오른쪽의 표시 도트(6)(= 화소 6)에서 표시된다.
1도트 지연 회로(12-3)로부터의 입력 신호(7)는 도 3의 3×3 행렬의 좌측 하단의 표시 도트(7)(= 화소 7)에서 표시된다. 1도트 지연 회로(11-3)로부터의 입력 신호(8)는 도 3의 3×3 행렬의 하단의 표시 도트(8)(= 화소 8)에서 표시된다. 영상 신호 출력(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입력 신호(9)는 도 3의 3×3 행렬의 우측 하단의 표시 도트(9)(= 화소 9)에서 표시된다.
그리고 블록 분할 회로(2)는 입력 신호(1∼9)의 각 화소의 표시 계조를 그 크기(계조도 0∼255)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블록 1∼8)으로 분할한다. 도 4는 256 계조 표시 때 실제로 표시되는 계조와 점등되는 서브필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점등 패턴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서브필드의 번호가 클 수록 계조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블록 분할 회로(2)는 우선 1표시 도트 단위(표시 화면 단위)에 각 화소마다의 계조도에 대응하여 점등 패턴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한다. 그리고 블록 분할 회로(2)는 변환된 점등 패턴을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하고, 각 점등 패턴마다 이 점등 패턴이 분류되어 속하는 블록의 블록 번호를 출력하고, 이 블록 번호를 각 화소에 대응시켜 판단 회로(3)에 출력한다.
이로 인하여, 블록 분할 회로(2)에는 상기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등 패턴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서는 256 계조를 나타내는 점등 패턴에 있어서 계조도가 높은 서브필드의 변화점을 각 블록의 구분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도 4에서는 계조도를 표현하는 점등 패턴에서 점등 상태로 되어 있는 각 서브필드에 있어서, 가장 점등 기간이 긴 서브필드(계조도가 높은 서브필드)에 의 해 각 점등 패턴을 분류하는 블록 구성이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도 4의 각 점등 패턴에 있어서, 블록 0은 서브필드 번호 1까지 점등되는 계조도 0, 1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 1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2가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2, 3)이다.
블록 2는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3이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4부터 7까지)이다.
블록 3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4가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8부터 15까지)이다.
블록 4는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5가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16부터 31까지)이다.
블록 5는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6이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32부터 63까지)이다.
블록 6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7이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64부터 127까지)이다.
블록 7은 가장 높은 계조도의 서브필드로서 서브필드 번호 8이 점등되어 있는 것(계조도 128부터 255까지)이다.
도 4의 분류는 일 예이며, 각 블록의 단락을 어느 점등 패턴으로 할지, 각각의 블록에 포함하는 점등 패턴의 범위를 어느 정도로 할지, 및 점등 패턴을 분류하는 블록의 수(분류수)를 몇 개로 할지는, 의사윤곽의 억제 처리의 정도 및 해상도/ 계조도 등의 조건에 의해서 임의로 결정된다.
판단 회로(3)는 블록 분할 회로(2)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블록 분할 회로(2)의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전환 회로(4)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판단 회로(3)는 화소 5의 영상 신호의 블록치를 인접하는 화소, 즉 화소 1∼4 및 화소 6∼9의 블록치(= 점등 패턴, 블록 번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와 비교하고, 서로 다른 경우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한다.
또는 판단 회로(3)는 화소 5의 영상 신호의 블록치를 인접하는 화소, 즉 화소 1∼4 및 화소 6∼9의 블록치와 비교하고, 어느 하나의 화소와도 블록치가 다른 경우에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된 화소는 의사윤곽이 발생하는 화소이다. 여기서, 움직임이라고 부르는 것은 종래와 같이 1필드 앞의 신호와 비교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확하게는 움직임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이와 같이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전환 회로(4)는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전환 회로(4)는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연 회로(20), 다계조화 처리 회로(21) 및 전환 회로(22)로 이루어진다.
지연 회로(20)는, 다계조화 처리 회로(21)가 다계조화 처리에 요구하는 것과 동일한 시간만큼, 1도트 지연 회로(1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축적하여, 다계조화 처리 회로(21)와 같은 타이밍에서 전환 회로(22)에 출력한다.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는, 1도트 지연 회로(1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발광 스킴의 연속하는 계조로 계조 변환하고, 변환한 후의 영상 신호를 다계조화하여 지연 회로(20)와 같은 타이밍에서 전환 회로(22)에 출력한다.
즉,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는 중심 화소(5)의 영상 신호(256 계조)를 계조도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9 계조)로 변환한다. 또, 인접하는 화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심 화소(5)의 영상 신호와 동일한 계조도로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로 변환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계조 변환한 3×3 행렬에 대해, 오차 확산 등의 다계조화 처리를 하여 원 영상 신호의 계조(본 실시예에서는 256 계조)를 표시한다.
여기서,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는 도 5에 나타낸 표시 계조 0, 1, 3, 7, 15, 31, 63, 127, 255와 같이, 연속하는 서브필드 번호(1, 1∼2, 1∼3, 1∼4, 1∼5, 1∼6, 1∼7, 1∼8)가 모두 점등되어 있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계조이다.
전환 회로(22)는 판단 회로(3), 지연 회로(20) 및 다계조화 처리 회로(2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고, 판단 회로(3)의 출력 신호에 따라 지연 회로(20)와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를 전환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환 회로(22)는 판단 회로(3)가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를 선택하여,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판단 회로(3)가 움직임 없다고 판정한 경우, 전환 회로(22)는 지연 회로(20)를 선택하여 지연 회로(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영상 신호가 지연 회로(1)에 입력되면, 지연 회로(1)는 시계열적으로 연속하는 영상 신호를 수평 방향으로 3표시 도트, 수직 방향으로 3수평 라인 축적하여 신호(1∼9) 각각을 블록 회로(2)에 출력한다.
블록 분할 회로(2)는 입력 신호(1∼9)를 입력받아, 각 화소(1∼9)에 대해 각각 블록(1∼8)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4∼6)가 256계조로 14, 15, 16인 경우, 블록 분할 회로(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4, 5를 블록 4로 분할하고, 화소 6을 블록 5로 분할한다. 따라서, 화소 4, 5의 블록치는 4, 화소 6의 블록치는 6으로 된다.
판단 회로(3)는 화소 1∼9의 각 화소의 블록치(1∼8)를 각각 입력받아, 화소 5의 영상 신호의 블록치를 화소 1∼4 및 화소 6∼9의 블록치와 비교하고, 어느 하나의 화소와도 블록치가 다른 경우에는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한다. 입력 신호 4∼6이 256계조로 14, 15, 16인 경우, 화소 5의 블록치는 화소 4의 블록치와는 일치하지만, 화소 6의 블록치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판단 회로(3)는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하여, 전환 회로(4)(구체적으로는, 전환 회로(22))에 움직임이 있다는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전환 회로(4)는, 지연 회로(20) 및 다계조 처리 회로(21)에서 블록 분할 회로(2)의 1도트 지연 회로(11-2)가 출력하는 지연 신호(= 신호 5)를 입력받는 동시에, 전환 회로(22)에서 움직임 있음 또는 움직임 없음의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지연 회로(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계조화 처리 회로(21)가 다계조화 처리에 요하는 것과 같은 시간만큼 1도트 지연 회로(1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축적하여, 다계조화 처리 회로(21)와 같은 타이밍에서 전환 회로(22)에 출력한다.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는 1도트 지연 회로(11-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발광 스킴의 연속하는 계조로 계조 변환하고, 변환한 후의 영상 신호를 다계조화하여 지연 회로(20)와 같은 타이밍에서 전환 회로(22)에 출력한다.
즉,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는 우선 중심 화소(5)의 영상 신호를 계조도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로 변환한다.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는 인접하는 화소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심 화소(5)와 동일한 계조도에 따라 발광 스킴이 연속하는 계조로 변환한다. 그리고 계조 변환한 3×3 행렬에 대해 오차 확산 등의 다계조화 처리를 하여 원 영상 신호의 계조를 표시한다.
전환 회로(22)는 판단 회로(3), 지연 회로(20) 및 다계조화 처리 회로(2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판단 회로(3)의 출력 신호에 따라 지연 회로(20)와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를 전환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전환 회로(22)는 판단 회로(3)가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를 선택하여, 다계조화 처리 회로(2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부(5)에 출력한다. 한편, 판단 회로(3)가 움직임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 전환 회로(22)는 지연 회로(20)를 선택하여, 지연 회로(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 호를 표시부(5)에 출력한다.
표시부(5)는 전환 회로(4)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회로에 의하면, 의사윤곽이 발생하는 화소를 사전에 검지하여, 그 화소에 대하여, 발광 스킴의 연속하는 계조로 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의사윤곽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필드 메모리를 이용하지 않고서, 필드내의 처리만으로, 필드메모리를 이용한 경우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영상 표시 장치는 내부에 컴퓨터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영상 표시 처리에 관한 일련의 과정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억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 처리 수단, 처리부는 CPU 등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가 ROM이나 RAM 등의 주기억 장치에서 상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정보의 가공·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DVD-ROM, 반도체 메모리 등을 말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신 회선에 의해서 컴퓨터에 배급하여 이 배급을 받은 컴퓨터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연 회로가 영상 신호를 입력받 아 영상 신호를 소정의 표시 도트 축적하고, 분할 회로가 영상 신호와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 신호와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의 블록치와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의 블록치를 판단 회로가 비교하고,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 회로가 전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필드 메모리를 이용한 움직임 검출 처리를 이용하지 않고도 의사윤곽의 발생을 필드내 처리만으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3×3 매트릭스의 도트 형태로 축적되도록 수평 및 수직 지연을 수행하는 제1 지연 회로,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회로,상기 블록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3×3 매트릭스 형태의 각 도트별 블록치에서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이웃하는 블록치를 각각 비교하는 판단회로, 그리고상기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서 상기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적어도 하나의 이웃하는 도트의 블록치가 다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의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전환 회로를 포함하며,상기 전환 회로는,상기 중심 도트의 영상 신호를 축적하는 제2 지연 회로와,상기 중심 도트의 영상 신호를 발광스킴의 연속하는 계조로 계조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후의 영상 신호를 다계조화하여 출력하는 다계조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회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영상 신호를 3×3 매트릭스의 도트 형태로 축적되도록 수평 및 수직 지연을 수행하는 지연 처리부,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연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블록 분할 처리부,상기 블록 분할 처리부가 출력하는 3×3 매트릭스 형태의 각 도트별 블록치에서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이웃하는 블록치를 각각 비교하는 판단 처리부,상기 판단 처리부의 비교 결과에서 상기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적어도 하나의 이웃하는 도트의 블록치가 다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다계조 처리를 통해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전환 처리부, 그리고상기 전환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 회로가 상기 영상 신호를 3×3 매트릭스의 도트 형태로 축적되도록 수평 및 수직 지연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분할 회로가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상기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3×3 매트릭스 형태의 각 도트별 블록치에서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이웃하는 블록치를 판단 회로가 각각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서 상기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적어도 하나의 이웃하는 도트의 블록치가 다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다계조 처리를 통해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지연 회로가 상기 영상 신호를 3×3 매트릭스의 도트 형태로 축적되도록 수평 및 수직 지연을 수행하는 단계,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분할 회로가 상기 지연 회로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신호의 표시 계조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상기 분할 회로가 출력하는 3×3 매트릭스 형태의 각 도트별 블록치에서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이웃하는 블록치를 판단 회로가 각각 비교하는 단계,상기 판단 회로의 비교 결과에서 상기 중심 도트의 블록치와 적어도 하나의 이웃하는 도트의 블록치가 다른 경우,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다계조 처리를 통해 점등 패턴을 전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표시부가 상기 전환 처리부가 출력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038407 | 2003-02-17 | ||
JP2003038407A JP4077738B2 (ja) | 2003-02-17 | 2003-02-17 | 映像処理回路、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並びに映像表示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4892A KR20040074892A (ko) | 2004-08-26 |
KR100599723B1 true KR100599723B1 (ko) | 2006-07-12 |
Family
ID=3302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45198A KR100599723B1 (ko) | 2003-02-17 | 2003-07-04 | 영상 처리 회로, 영상 처리 방법,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4077738B2 (ko) |
KR (1) | KR10059972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63223A (ja) | 1996-08-20 | 1998-03-06 | Fujitsu General Ltd | 擬似中間調処理制御装置 |
WO1998039764A1 (fr) | 1997-03-06 | 1998-09-11 | Fujitsu General Limited | Circuit de correction d'images animees pour afficheur |
-
2003
- 2003-02-17 JP JP2003038407A patent/JP407773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7-04 KR KR1020030045198A patent/KR1005997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63223A (ja) | 1996-08-20 | 1998-03-06 | Fujitsu General Ltd | 擬似中間調処理制御装置 |
WO1998039764A1 (fr) | 1997-03-06 | 1998-09-11 | Fujitsu General Limited | Circuit de correction d'images animees pour affiche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4892A (ko) | 2004-08-26 |
JP4077738B2 (ja) | 2008-04-23 |
JP2004246262A (ja) | 2004-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6715B1 (ko) | 펄스수 변조방식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의사 윤곽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6201612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block error diffusion | |
US584141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xel distortion removal for a plasma display panel using minimum MPD distance code | |
US6310588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evaluation apparatus | |
EP0608053B1 (en) | Colour display system | |
KR10066057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
US7221335B2 (en) |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plasma display panel | |
KR20130002960A (ko)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회로 | |
KR100472483B1 (ko) | 의사 윤곽 제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 |
JP3457251B2 (ja) | 画像表示装置 | |
US7209152B2 (en) | Signal processor for multiple gradations | |
KR100444714B1 (ko)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 |
EP1583064B1 (en) |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 |
JP2013207677A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2004138783A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0599723B1 (ko) | 영상 처리 회로, 영상 처리 방법,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표시 방법 | |
US733955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plasma display panel | |
KR100760608B1 (ko) | 거짓윤곽경감장치, 표시장치, 거짓윤곽경감방법, 및거짓윤곽경감 프로그램 | |
US7443365B2 (en) | Display unit and display method | |
JP2001209353A (ja) |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アドレス方法 | |
US20040113901A1 (en) | Signal processor | |
WO2005066925A1 (ja) | 画像表示装置 | |
JP3113569B2 (ja) | 中間調表示制御方法および装置 | |
KR100421479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 |
JP2003069922A (ja) | 画像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