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3966B1 -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966B1
KR100573966B1 KR1020050095939A KR20050095939A KR100573966B1 KR 100573966 B1 KR100573966 B1 KR 100573966B1 KR 1020050095939 A KR1020050095939 A KR 1020050095939A KR 20050095939 A KR20050095939 A KR 20050095939A KR 100573966 B1 KR100573966 B1 KR 10057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gps
coordinate values
reference point
surv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연
권점자
최홍기
이경섭
오지용
김영춘
길용민
양창근
추기환
황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05009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9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0Integrity monitoring, fault detection or fault isolation of space seg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량하고자 하는 지점과 환경 조건이 유사한 특정 기준점을 선정한 후, 선정된 특정 기준점의 좌표값과 GPS 측정 좌표값을 사용해 오차값을 구하고, 이 오차값을 이용하여 측량하고자 하는 지점의 GPS 좌표값을 보정하는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GIS, GPS, 수치지도, 기준점, 보정

Description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Method for Correcting GPS Loca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차량 11: GPS 수신부
12 : 고도검출부 13 : 연산부
14 : 제어부 15 : 송신부
16 : 표시부 20 : GPS 위성
30 : 중앙통제부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정보를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수신기를 통해 얻어진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해 측량 지점과 환경 조건이 유사한 기준점을 선정하여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란 미 국방성에서 자국의 군사목적을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지구상 어디에서나 표준좌표계에서의 위치, 속도, 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첨단 항법 체계이다.
이러한 GPS중 차량에 장착되는 GPS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함께 사용되어 도로상황 등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출발시점부터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 소요 시간, 도로 상황 등을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목표지점까지 도달하도록 도와주고 있다.
여기서, GIS란 모든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립, 저장, 갱신, 처리, 분석, 표시하기 위해 구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 자료와 인적 자원의 조직체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필요한 여러 가지 수치 및 공간자료를 중첩해서 실세계(Real World)로 구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GIS는 차량에 장착된 GPS 수신기로부터 얻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GPS 수신기의 이동경로를 GIS의 수치지도를 통해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현대와 같이 복잡한 시대에는 하루가 다르게 주변 환경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이나 부대시설들(예컨데, 교차로, 교통신호망, 횡단보도 등)이 수시로 사라지거나 신설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 탑재되는 수치지도도 잦은 업데이트가 요구되지만, 그 제 작과정과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06189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GPS를 탑재한 차량을 구비하고, 차량에는 GPS의 좌표정보를 송신하는 송신장치를 탑재한다. 송신장치의 좌표를 수신하는 중앙통제부는 GPS에서 송신되는 좌표를 통해 차량의 위치와 도로의 부대시설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차량의 좌표와 도로 부대시설물을 수치지도의 도로데이터를 비교하여 좌표의 수치지도에 해당 부대시설물이 반영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만약 반영되지 않은 부대시설물인 것으로 판정되면 좌표에 해당 부대시설물을 수치지도에 적용함으로써 수치지도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게 된다.
이 경우 좌표를 수치지도에 업데이트 하기에 앞서 좌표를 보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보정 과정은 기준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오차값을 추출해 내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런데, 종래의 보정 과정은 기준점에 대한 구체적인 선정 과정이 없고 단지 인접한 기준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GPS 수신기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획득한 후, 측량 지점과 환경 조건이 가장 유사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측량 지점의 좌표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은 GPS 수신기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한 측량 지점의 좌표값을 보정하는 위치정보 보정 방법으로, a) 기준점들의 정보를 얻는 단계, b) GPS 수신기를 측량 지점으로 이동시켜 좌표값(GX, GY, GZ)을 얻는 단계, c) 기준점들 중, 상기 측량 지점과 환경 조건이 가장 유사한 특정 기준점의 좌표값(SX, SY, SZ)을 구하는 단계, d) GPS 수신기를 특정 기준점으로 이동시켜 특정 기준점의 측정좌표값(MX, MY, MZ)을 얻는 단계, e) c) 단계의 기준점의 좌표값(SX, SY, SZ)과 d) 단계의 특정 기준점의 측정좌표값(MX, MY, MZ)을 이용하여 오차값(EX, EY, EZ)을 얻는 단계, f) e) 단계에서 획득한 오차값(EX, EY, EZ)을 이용하여 b) 단계에서 획득한 측량 지점의 좌표값(GX, GY, GZ)을 보정하여 보정좌표(X, Y, Z)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a) 단계는 a1) 측량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a2)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준점들의 위치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는 측량지점이 고층건물로 둘러싸인 지역에 있는 경우, 고층 건물이 다수 배치된 지역의 기준점을 선별하고, 측량지점이 평지 에 있는 경우, 평지의 기준점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e) 단계의 오차값(EX, EY, EZ)은 EX=MX-SX, EY=MY-SY, EZ=MZ-SZ 이고, f) 단계의 보정좌표(X, Y, Z)는 X=GX-EX, Y=GY-EY, Z=GZ-EZ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GPS 위치정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 차량(10)은 GPS 위성(20)으로부터 좌표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1), 이동 차량(10)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고도를 측정하는 고도검출부(12), GPS 수신부(11)와 고도검출부(12)로부터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전송받아 차량의 위치를 연산하는 연산부(13), 이와 같은 획득된 좌표값과 고도 데이터를 중앙통제부(30)로 전송하는 송신부(15), 각종 결과들을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6), 및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제어부(14)는 수치지도로부터 산출되는 도로 데이터와 건물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지도를 표시부(16)에 도시하며, GPS 위성(20)으로부터 얻은 좌표값을 이용하여 이동 차량(10)이 수치지도의 어느 위치를 진행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차량(10)을 이용하여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먼 저 측량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작업자는 이동하기에 앞서, 이동 차량(10 이하, 차량이라 칭함)으로 이동하게 될 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그 주변의 기준점들을 포함하는 일정한 영역을 설정한다.(S100) 영역이 설정되면, 제어부(14)는 선택된 영역 내에 있는 도로 및 건물 등에 대한 최신의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더불어 선택된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든 기준점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110)
이러한 최신의 정보들은 중앙통제부(30)로부터 전송받게 되는데, 측량 도중에 전송받을 수도 있지만 측량 지점에 따라 전송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전에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GPS 수신기(11)가 장착된 차량(10)을 측량 지점으로 이동시켜 좌표값(GX, GY, GZ)을 얻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 여기서 측량 지점은 측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지점일 수 있고, 차량(10)의 이동 중에 선택된 임의의 지점일 수도 있다. 측량 지점에 도착한 차량(10)은 GPS 수신기(11)를 통해 현재 위치의 좌표값(GX, GY, GZ)를 획득한다.
GPS 수신기(11)를 획득된 측량 지점의 좌표값(GX, GY, GZ)은 일반적으로 오차가 많이 포함되어 있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GPS 수신기(11)에서 획득한 좌표값을 바로 수치지도에 적용할 데이터로 사용한다면 수치지도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수치지도에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GPS 수신기(11)에서 얻은 데이터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GPS 수신기(11)에서 획득한 좌표값를 보정하기 위해 정확한 좌표를 포함하는 기준점을 도입하고, 그 기준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획득한 좌표값을 보정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보정 방법은 측량 지점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기준점들 중, 측량 지점과 가장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갖춘 특정 기준점을 찾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30) 작업자는 이동 전에 획득한 기준점들에 대한 위치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기준점들 중 측량 지점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기준점들을 선정한다. 이때 선정되는 기준점들은 측량 지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준점들을 선정하거나, 일정한 개수를 설정하고 측량 지점과 가장 근접해 있는 순서로 설정된 개수만큼 기준점들을 선별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기준점들이 선별되면, 선별된 기준점들 중, 측량 지점과 가장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갖춘 기준점을 선정한다.(S140) 예를 들면, 고층 건물로 둘러싸여있는 위치를 측량한 경우, 작업자는 이와 유사하게 다수의 고층 건물들이 배치된 곳에 위치하고 있는 기준점을 선별한다. 다른 예로, 넓게 펼쳐진 들판에 측량 지점이 위치한 경우, 이와 유사하게 나무나 건물이 형성되지 않은 들판에 위치하고 있는 기준점을 선정한다.
이와 같은 기준점 선별 방법은 측량 지점의 좌표값을 보정하기 위한 오차값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GPS 수신기(11)를 통해 얻게 되는 좌표값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오차는 일반적으로 인공위성 시간 오차, 인공위성 위치 오차,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 path) 등을 통해 발생된다. 이중 다중 경로에 의한 오차는 GPS위성(2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GPS 수신기(11)에 아주 근접하여 국지적인 신호반사에 의해서 신호지연이 발생됨으로 인해 나타난다.
따라서, 건물이 많은 주변 환경과 건물이 전혀 없는 주변 환경은 오차의 정도가 많은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측량 지점과 가장 인접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의 기준점을 선별하고 그 중 측량 지점과 가장 유사한 환경 조건을 구비한 기준점을 선정하여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기준점이 선정되면, 선정된 기준점(이하, 특정 기준점이라 한다)의 좌표값(SX, SY, SZ)을 구한다.(S150) 이 좌표값은 정확히 교정된 좌표값이며, 이러한 기준점의 좌표는 측량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차량(10)이 도로를 진행하면서 얻는 좌표를 보정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GPS 수신기(11)가 장착된 차량(10)을 특정 기준점으로 이동시켜 특정 기준점의 측정좌표값(MX, MY, MZ)을 획득한다.(S160) 측정좌표값(MX, MY, MZ)을 획득하면, 특정 기준점의 좌표값(SX, SY, SZ)과 특정 기준점의 측정좌표값(MX, MY, MZ)을 이용하여 오차값(EX, EY, EZ)을 계산하게 된다.(S170)
오차값(EX, EY, EZ)은 각 성분별로 구하게 되며,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EX = MX - SX
EY = MY - SY
EZ = MZ - SZ
오차값(EX, EY, EZ)이 산출되면, 산출된 오차값(EX, EY, EZ)을 이용하여 측 량 지점의 좌표값(GX, GY, GZ)을 보정하여 보정 좌표를 구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80) 여기서 보정좌표(X, Y, Z)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X = GX - EX
Y = GY - EY
Z = GZ - EZ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의 기준점 선별 과정은 GPS 위치정보 보정방법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수치지도 제작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GPS 위치정보를 보정하기 위하여 GPS 수신기를 이용해 측량 지점의 좌표값을 획득한 후, 이를 보정하기 위해 측량 지점과 가장 환경 조건이 유사한 기준점을 산출한 후, 선정된 기준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측량 지점의 좌표값을 보다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Claims (4)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GPS 수신기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한 측량 지점의 좌표값을 보정하는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a) 다음의 단계를 거쳐 기준점들의 정보를 얻는 단계;
    a1) 상기 측량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a2) 상기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기준점들의 위치 정보를 얻는 단계;
    b) 상기 GPS 수신기를 상기 측량 지점으로 이동시켜 좌표값(GX, GY, GZ)을 얻는 단계;
    c) 상기 기준점들 중 측량지점이 고층건물로 둘러싸인 지역에 있는 경우, 고층 건물이 다수 배치된 지역의 기준점을 선별하고, 측량지점이 평지에 있는 경우, 평지의 기준점을 선별하고, 상기 측량 지점과 환경 조건이 가장 유사한 특정 기준점의 좌표값(SX, SY, SZ)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GPS 수신기를 상기 특정 기준점으로 이동시켜 상기 특정 기준점의 GPS 측정좌표값(MX, MY, MZ)을 얻는 단계;
    e) 상기 c) 단계의 상기 기준점의 좌표값(SX, SY, SZ)과 d) 단계의 상기 특정 기준점의 GPS 측정 좌표값(MX, MY, MZ)을 이용하여 오차값(EX, EY, EZ 여기서, EX=MX-SX, EY=MY-SY, EZ=MZ-SZ임.)을 얻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오차값(EX, EY, EZ)을 이용하여 상기 b)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측량 지점의 좌표값(GX, GY, GZ)을 보정하여 보정좌표(X, Y, Z 여기서, X=GX-EX, Y=GY-EY, Z=GZ-EZ임.)를 얻는 단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50095939A 2005-10-12 2005-10-12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Active KR10057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939A KR100573966B1 (ko) 2005-10-12 2005-10-12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939A KR100573966B1 (ko) 2005-10-12 2005-10-12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966B1 true KR100573966B1 (ko) 2006-04-26

Family

ID=37180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939A Active KR100573966B1 (ko) 2005-10-12 2005-10-12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47B1 (ko) 2011-07-20 2011-12-01 주식회사 차후 지피에스의 오차 특성을 이용한 정밀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77B1 (ko) * 2004-08-06 2004-11-10 (주)하이컴 지피에스 좌표를 통해 도로 부대시설 정보를 수치지도에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0510835B1 (ko) * 2005-01-27 2005-08-30 새한항업(주) 실시간 측량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적용하는 gis의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377B1 (ko) * 2004-08-06 2004-11-10 (주)하이컴 지피에스 좌표를 통해 도로 부대시설 정보를 수치지도에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0510835B1 (ko) * 2005-01-27 2005-08-30 새한항업(주) 실시간 측량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를적용하는 gis의 구축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563770000 *
10051083500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747B1 (ko) 2011-07-20 2011-12-01 주식회사 차후 지피에스의 오차 특성을 이용한 정밀 위치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36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initial position in a navigation system
RU238072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наземного положе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объекта, в частност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в аэропорту
US10620320B2 (en) Position estimation system and estimation method
US72338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lanning a trajectory
IL298797A (en) Generating a geomagnetic map
JP2004163424A (ja) 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用いて、所定の道程に沿った現実の走行実験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に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生成する方法及び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用いて、所定の道程に沿った現実の走行実験をシミュレーションするために、gpsシミュレーションシナリオを生成する方法を実施する装置
RU2431803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навигационно-топогеодез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CN113295174B (zh) 一种车道级定位的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003152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te Calibration of a Surveying Device
US89774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displayed terrain information
JPWO2020202522A1 (ja) 車両測位装置
US9423506B2 (en) Tactical differential GPS
US20180328733A1 (en) Position determining unit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land or sea based object
KR100587405B1 (ko) Gps수신기, 레이저 계측기 및 사진기 장착 차량을이용한 도로 주변 시설물 측량정보의 gis 수치지도업데이트 방법
KR100448543B1 (ko) 지리정보시스템의 제작방법
US20210156712A1 (en) Mobile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updating and providing a highly precise map
KR100557745B1 (ko) Gps 위치정보 보정을 이용한 실시간 gis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
KR100573966B1 (ko)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KR100448054B1 (ko) 보정좌표값을 수치도로 데이터로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의제작방법
KR100596629B1 (ko) 기준점들의 가중치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KR100456377B1 (ko) 지피에스 좌표를 통해 도로 부대시설 정보를 수치지도에업데이트하는 방법
KR100579654B1 (ko) 환경 및 거리 가중치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의 보정방법
KR100596637B1 (ko) 기준점들의 가중치를 이용한 실시간 gis 업데이트 방법
KR100596623B1 (ko) 다중 기준점들의 가중치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보정에의해 gis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
KR2013002603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패스 지역 내 위치정보 보정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20

End annual number: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