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774B1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2774B1 KR100572774B1 KR1020040018531A KR20040018531A KR100572774B1 KR 100572774 B1 KR100572774 B1 KR 100572774B1 KR 1020040018531 A KR1020040018531 A KR 1020040018531A KR 20040018531 A KR20040018531 A KR 20040018531A KR 100572774 B1 KR100572774 B1 KR 1005727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machine
- condensation duct
- adsorbent
- drying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조의 배면 상부 및 도어의 내측 상부를 연결시킨 덕트의 일측에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도어의 내측 상부와 연결된 토출구 및 상기 송풍팬 사이의 내부공간으로는 전열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과 저수조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중의 수증기를 응축 덕트를 통해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이루어진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의 내주면에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착제가 부착되고, 응축 덕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착제를 가열시키는 가열판이 설치된 구성으로,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응축 덕트의 내주면에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제를 부착하고, 응축 덕트의 외주면에는 흡착제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판을 설치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는 한편, 이에 따라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불필요한 전력과 응축수의 사용을 방지한다. 또한, 가열판에 의해 수분이 증발시킴으로써 건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드럼 세탁기, 응축기, 응축 덕트, 건조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응축기의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결합된 드럼 세탁기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드럼 세탁기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장치에 결합된 응축기의 개략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 세탁기 30 : 저수조
50 : 건조장치 51 : 덕트
52 : 토출구 53 : 송풍팬
60 : 응축기 61 : 응축 덕트
63 : 흡착제 65 : 가열판
67 : 습도센서 70 : 도어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응축기의 응 축 덕트 내부에 흡착제를 부착하고, 외주면에는 가열부재를 설치하여 세탁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고,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원통형상의 드럼을 세탁조 내부로부터 회전시키는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세탁물을 드럼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드럼방식의 세탁기는 세탁물의 꼬임에 의한 손상이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나 에지테이터 방식의 세탁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으며, 이와 함께 세탁수의 사용량이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나 에지테이터 방식의 세탁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드럼방식의 세탁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도시한 외상(110)의 내부로부터 수평으로 저수조(111)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세탁조의 기능을 갖는 드럼(11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저수조(111)의 하부에는 상기한 드럼(11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13)등이 설치된다.
이와 함께 저수조(111)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구(114)가 구비되며, 상기한 급수구(114)의 일부는 세제통(115)을 경유하여 저수조(11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저수조(111)의 하단으로는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여과기(116) 및 배수펌프(117)와 배수호스(118)가 각각 연결되며, 드럼(112)의 정면으로는 도어(1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드럼 세탁기(100)는 통상적으로 건조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세탁 및 탈수행정의 반복에 따른 세탁의 종료후 히터와 송풍팬의 동작에 따라 드럼(112)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한다.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드럼 세탁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세탁의 종료후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160) 및 상기한 건조장치(160)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기중의 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5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건조장치(160)는 저수조의 배면 상부 및 도어의 내측 상부를 연결시킨 덕트(151)의 일측에 송풍팬(153)을 결합시키고, 도어의 내측 상부와 연결된 토출구(152) 및 상기 송풍팬(153) 사이의 내부공간으로는 전열히터(154)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건조장치(160)는 세탁종료후 전열히터(154)의 발열과 함께 송풍팬(153)의 동작에 따라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분사시키는 한편, 드럼의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한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는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해야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므로 통상적으로 건조장치(160)의 송풍팬(153)과 저수조 사이에 응축기(150)를 개재시킨다.
상기한 응축기(150)는 상부에 연결된 급수관(120)을 통해 공급받은 상온의 세탁수를 응축 덕트(170)의 벽면으로 흘려 보내 응축 덕트(170)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세탁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드럼 내부의 수증기를 제거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건조장치(160)는 내부의 공기를 반복 순환시키는 과 정에서 습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의 건조장치(160)는 응축효율이 제한된 관계로 건조과정에서 많은 건조시간을 필요로 하며, 특히 다량의 응축수가 사용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건조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고,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저수조의 배면 상부 및 도어의 내측 상부를 연결시킨 덕트의 일측에 송풍팬을 결합시키고, 도어의 내측 상부와 연결된 토출구 및 상기 송풍팬 사이의 내부공간으로는 전열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과 저수조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중의 수증기를 응축 덕트를 통해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이루어진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의 내주면에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착제가 부착되고, 응축 덕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착제를 가열시키는 가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응축기의 개략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결합된 드럼 세탁기의 단면 구조도로서, 본 발명에 위한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는 세탁종료후 드럼 내부에 함유된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응축기(60)의 응축 덕트(61) 내부에 부착되는 흡착제(63)와, 응축 덕트(6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흡착제(63)를 가열시키는 가열판(65)으로 이루어진다.
드럼 세탁기(10)는 외상(20)의 내부로부터 수평으로 저수조(30)가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세탁조의 기능을 갖는 드럼(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저수조(30)의 하부에는 상기한 드럼(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도시안됨)등이 설치된다.
이와 함께 저수조(3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구가 구비되며, 상기한 급수구의 일부는 세제통을 경유하여 저수조(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저수조(30)의 하단으로는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여과기 및 배수펌프와 배수호스가 각각 연결되며, 드럼(40)의 정면으로는 도어(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드럼 세탁기(10)는 통상적으로 건조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세탁 및 탈수행정의 반복에 따른 세탁의 종료후 전열히터(54)와 송풍팬(53)의 동작에 따라 드럼(40)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한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드럼 세탁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세탁의 종료후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50) 및 상기한 건조장치(50)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 기중의 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건조장치(50)는 저수조의 배면 상부 및 도어의 내측 상부를 연결시킨 덕트(51)의 일측에 송풍팬(53)을 결합시키고, 도어의 내측 상부와 연결된 토출구(52) 및 상기 송풍팬(53) 사이의 내부공간으로는 전열히터(54)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건조장치(50)는 세탁종료후 전열히터(54)의 발열과 함께 송풍팬(53)의 동작에 따라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분사시키는 한편, 드럼(40)의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계속해서, 상기한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는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해야 원활한 건조가 가능하므로 통상적으로 건조장치(50)의 송풍팬(53)과 저수조 사이에 응축기(60)를 개재시킨다.
상기한 응축기(60)는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한편 드럼 내부의 수증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건조장치(50)의 하부에 결합되는 응축 덕트(61)와, 응축 덕트(61)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드럼(40) 내부의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착제(63)와, 흡착제(63)를 가열시켜 흡착제(63)에 의해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킬수 있게 응축 덕트(61)의 외주면에 설치된 가열판(6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착제(63)는 실리카겔이다. 이 실리카켈은 무색의 투명한 굵은 알갱이나 동그란 구슬 모양으로 몇 개는 염화코발트라는 화합물을 섞어 푸른색을 띄게 만들어 놓았다. 실리카겔이 수분을 흡수하면 이 염화코발트는 수분과 반응해 분홍색으로 색깔이 변화한다. 따라서 푸른색 실리카겔이 완전히 분홍색으로 바뀌면 실리카겔이 수분 흡수력을 잃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분홍색으로 변한 실리카겔을 뜨겁게 하면 수분이 증발하여 푸른색으로 다시 변하여 재차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응축 덕트(61)에는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센서(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50)는 저수조(30)와 외상(20) 사이에 설치되어 세탁종료후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세탁종료후 건조행정에서 도시안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열히터(54)의 발열과 함께 송풍팬(53)의 동작에 따라 고온의 공기를 드럼(40) 내부로 분사시칸다.
상기와 같이 드럼(40)으로 공급된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세탁물과의 접촉에 따라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계속해서 세탁물로부터 배출된 수분에 의해 다량의 습기가 함유된 드럼(40) 내부의 공기는 응축 덕트(61)로 공급되며, 응축 덕트(61)로 공급된 습기는 응축 덕트(61)를 통과하게 되는데, 응축 덕트(61)를 통과하는 수분은 응축 덕트(61)의 내주면에 부착된 흡착제(63)에 흡수되면서 흡착제(63)의 색깔이 분홍색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한 흡착제(63)의 색깔이 변화여 수분 흡수력을 잃으면 이를 습도센서(67)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가열판(65)을 가열시킨다. 그러면 가열판(65)의 가열에 의해 흡착제(63)에 흡수된 수분은 증발되면서 흡착제(63)는 다시 원래 상태 즉 푸른색 색깔로 변화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에 따라 세탁물을 신속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응축 덕트의 내주면에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제를 부착하고, 응축 덕트의 외주면에는 흡착제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판을 설치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건조효율을 높이는 한편, 이에 따라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불필요한 전력과 응축수의 사용을 방지한다. 또한, 가열판에 의해 수분이 증발시킴으로써 건조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저수조(30)의 배면 상부 및 도어(70)의 내측 상부를 연결시킨 덕트(51)의 일측에 송풍팬(53)을 결합시키고, 도어의 내측 상부와 연결된 토출구(52) 및 상기 송풍팬(53) 사이의 내부공간으로는 전열히터(54)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53)과 저수조(30)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중의 수증기를 응축 덕트(61)를 통해 응축시키는 응축기(60)로 이루어진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에 있어서,상기 응축 덕트(61)의 내주면에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착제(63)가 부착되고, 응축 덕트(61)의 외주면에는 상기 흡착제(63)를 가열시키는 가열판(6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61)에는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습도센서(6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8531A KR100572774B1 (ko) | 2004-03-18 | 2004-03-18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8531A KR100572774B1 (ko) | 2004-03-18 | 2004-03-18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3262A KR20050093262A (ko) | 2005-09-23 |
KR100572774B1 true KR100572774B1 (ko) | 2006-04-24 |
Family
ID=3727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8531A KR100572774B1 (ko) | 2004-03-18 | 2004-03-18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27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873B1 (ko) * | 2004-07-09 | 2011-02-2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드럼 세탁기용 응축기 |
CN114000328A (zh) * | 2021-11-10 | 2022-02-01 |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 一种洗烘一体滚筒的烘干控制方法 |
-
2004
- 2004-03-18 KR KR1020040018531A patent/KR1005727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3262A (ko) | 2005-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0259490A (ja) |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 |
KR100572774B1 (ko)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
CN111350064B (zh) | 一种衣物处理机 | |
JP2678523B2 (ja)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
KR100542075B1 (ko) | 드럼 세탁기용 건조 방법 | |
JP2014113190A (ja) | 洗濯乾燥機 | |
KR20050115955A (ko) | 드럼 세탁기의 건조시스템 | |
KR100538450B1 (ko)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
WO2012089715A1 (en) | A washer/dryer | |
JP3066335B2 (ja) | ドラム式洗濯・乾燥機 | |
KR100400749B1 (ko) |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 |
KR101015873B1 (ko) | 드럼 세탁기용 응축기 | |
KR100635635B1 (ko)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의 챔버 | |
KR101074701B1 (ko) |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 |
KR20050050316A (ko) | 드럼 세탁기용 응축기 | |
KR20060013837A (ko) | 드럼 세탁기의 건조 시스템 | |
KR20050093263A (ko) | 드럼 세탁기 | |
KR100647893B1 (ko) | 드럼 세탁기의 응축수 공급 장치 | |
KR20050099179A (ko) | 드럼 세탁기의 거품 제거 장치 | |
KR100382524B1 (ko) |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 |
KR100413454B1 (ko) |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 |
KR100400750B1 (ko) | 애지테이터방식 건조세탁기 | |
KR20050050283A (ko) | 드럼 세탁기용 응축기 | |
KR100413451B1 (ko) |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 |
JP2017217046A (ja) | 洗濯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