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5306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306B1
KR100575306B1 KR1020040006703A KR20040006703A KR100575306B1 KR 100575306 B1 KR100575306 B1 KR 100575306B1 KR 1020040006703 A KR1020040006703 A KR 1020040006703A KR 20040006703 A KR20040006703 A KR 20040006703A KR 100575306 B1 KR100575306 B1 KR 10057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front panel
air
air conditioner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8536A (en
Inventor
손상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306B1/en
Publication of KR2005007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5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0Electrically-operated 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32Jacquard 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하방과 측방으로 토출되며, 에어필터의 착탈이 용이한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fram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ir is sucked from the front and discharged downward and sidewards, and the air filt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52)와; 상기 외부케이스(52)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프레임(54)과; 상기 전면프레임(5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여과하는 에어필터(60)와;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5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면패널(56)과 전면프레임(54)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외부케이스(52)의 하면과 측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56)의 일측에는, 상기 전면프레임(54)에 일단이 연결되는 숏링크(82)와, 상기 전면패널(56)에 일단이 연결되는 롱링크(84)와, 상기 숏링크(82)와 롱링크(84)가 이루는 각이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링크기구(85)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방유지수단(80)이 구비되어, 전면패널(56)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필터의 교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52 forming an appearance; A front frame 54 formed in front of the outer case 52; An air filter (60) detachably mounted to the front frame (54)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54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ront panel 56 to form a front appearance;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56 and the front frame 54,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outer case 52. And one side of the front panel 56, a short link 82,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54, a long link 84,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56, and the short link An opening and holding means 80 made of a link mechanism 85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angle between the 82 and the long link 84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provided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5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placement of the air filter is easy.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패널, 필터, 장착Air conditioner, indoor unit, front panel, filter, mounting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of a typical frame-type air conditioner.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의 공기유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flow state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로부터 에어필터를 교환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use state showing the state of replacing the air filter from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삽입부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삽입부에 걸이부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장착상태도.Figure 7 is a moun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 개방유지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anel opening and holding mea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로부터 에어필터를 착탈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10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filter detachable from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실내기 52. 외부케이스50. Indoor unit 52. Outer case

54. 전면프레임 54a. 삽입부54. Front frame 54a. Insert

56. 전면패널 56a. 걸이부56. Front Panel 56a. Hanger

60. 에어필터 62. 열교환기60. Air filter 62. Heat exchanger

64. 오리피스 66. 실내팬64. Orifice 66. Indoor fan

68. 팬모터 70. 토출구68. Fan motor 70. Discharge port

72. 토출베인 80. 개방유지수단72. Discharge vanes 80. Opening means

82. 숏링크 84. 롱링크82. Short Link 84. Long Link

85. 링크기구 86. 힌지축85. Linkage 86. Hinge Shaft

87. 제어핀 88. 핀안내홈87.Control Pin 88.Pin Guide Groove

89. 압축스프링89. Compression Spring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하방과 측방으로 토출되며, 에어필터의 착탈이 용이한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unit of a fram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ir is sucked from the front and discharged downward and sidewards, and the air filt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도 1에는 일반적인 액자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작동시 공기유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로부터 에어필터를 교환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 conventional frame type air conditioner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FIG. 2 is an air flow state during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air filter from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The state of exchanging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내기의 외관을 케이싱(10)이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0)은 납작한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전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전방에는 전면패널(12)이 설치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asing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The casing 10 has a flat rectangular shape, and the length of the casing 10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front panel 12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asing 10.

상기 전면패널(12)의 후면 하단에는 걸이부(도시되지 않음)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에는 이러한 걸이부가 걸어지는 걸이홈(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가 작동되면 상기 전면패널(12)의 후단부가 상기 케이싱(10)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A hook portion (not shown)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a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12, and a hook groove 14 to which the hook portion is hooked is formed in the casing 10.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a rear end of the front panel 12 is spaced apart from the casing 10 so that air from the outside (indoor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에어필터(2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필터(20)는 상기 케이싱(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에어필터(20)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패널(12)의 하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린 다음 교환하게 된다.The front of the casing 10 is provided with an air filter 20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The air filter 2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asing 10.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air filter 20,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anel 12 is lifted upwards and then replaced.

상기 케이싱(10)의 양측면과 하면에는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30)에는 토출구(3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베인(32)이 각각 구비된다.Discharge openings 30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is discharged ar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and a lower surface of the casing 10, respectively. The discharge port 30 is provided with discharge vanes 32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discharge port 30.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가 열 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 실내팬, 팬모터 등의 다수 부품이 내장되며, 이러한 실내기의 다른 일측에는 서로 실외기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조화 사이클이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components such as a heat exchanger, an indoor fan, and a fan motor are installed in the casing 10 so that the air sucked is exchanged. The other side of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 units. An air conditioning cycle is formed.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실내기에서 냉방사이클이 동작하면, 상기 실내기의 내부에 있는 열교환기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매가 유입되고,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실내팬이 회전하게 되면 케이싱(10)과 전면패널(12) 상단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공기가 유입된다. When the cooling cycle is operated in the indoor uni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refrigerant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inside the indoor unit, and when the indoor fan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the casing 10 and the front panel are rotated. (12) Indoor air enter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ops.

즉 상기 전면패널(12)이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하단부를 축으로 상단이 전방으로 일정부분 개방되어, 전면패널(12)과 케이싱(10) 사이의 틈새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That is, the front panel 12 is partially opened at the upper end by the drive of the motor (not shown) to the lower part of the shaft, and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12 and the casing 10. will be.

상기와 같이 실내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낮은 온도의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온도가 냉각된 다음, 상기 토출구(3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a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0.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with indoor air in the heat exchanger is supplied to an outdoor unit (not show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실내기에서는 실내공기가 전면패널(12)의 상단과 케이싱(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되므로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지 못하며, 상기 전면패널(12)의 상단을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indoor unit as described above, since in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 and the casing 10, it is not easy to circulate air, and to op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 forward. There is a problem to install a separate motor (not shown).

그리고 상기 에어필터(20)의 교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즉 에어필터(20)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손(왼손)으로 상기 전면패널(12)의 하단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른손(오른손)으로 상기 에어필터(20)의 하단을 잡고 탈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placement work of the air filter 20 is cumbersome. That is, in order to replace the air filter 20, as shown in Figure 3, the user lifts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12 with one hand (left hand) with the other hand (right hand) the air filter 20 The work is cumbersome because it has to be removed by holding the bottom.

또한 상기 에어필터(20)를 청소한 다음, 에어필터(20)를 끼우는 과정에서도 사용자의 양손을 다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게 된다.In addition, after cleaning the air filter 20, eve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air filter 20, both hands of the user must be used, so the operation become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패널이 케이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ront panel is separated from the ca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acilitate the intake of 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패널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에어필터의 착탈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to facilitate the removable operation of the air fil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여과하는 에어필터와;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면패널과 전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면과 측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uter case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A front frame formed at the front of the outer case; An air filte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spaced apart,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front panel to form a front appearance;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fram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and side of the outer case.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는 전면패널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유지수단이 구비된다.And one side of the front panel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상기 개방유지수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는 숏링크와, 상기 전면패널에 일단이 연결되는 롱링크와, 상기 숏링크와 롱링크가 이루는 각이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opening and holding means may include a short lin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ont frame, a long lin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ont panel, and a link mechanism configured to control an angle between the short link and the long link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as a configuration to include.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숏링크와 롱링크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일측에 이격 설치되는 제어핀과, 상기 제어핀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핀안내홈과, 상기 제어핀의 일단이 상기 핀안내홈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 mechanism includes a hinge shaft for hinge coupling of one end of the short link and the long link, a control pin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hinge shaft, a pin guide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control pin slides, and the control pin. One end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mpression spr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in guide groove.

한편 상기 핀안내홈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in guid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epth toward one side.

상기 전면패널은, 상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The front panel, the upper end is hinged to the front frame, the lower e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ront frame.

또한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하단에는 걸이부 구비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상기 걸이부가 체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the front fram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s fastened to the hook por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필터의 교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placement of the air filter is easy.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 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삽입부와 삽입부에 걸이부가 삽입되는 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nd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 개방유지수단의 구성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로부터 에어필터를 착탈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front panel opening and holding mean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stat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air filter from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실내기(50)의 측면외관을 외부케이스(52)가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52)는 납작한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길이가 전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outer case 52 forms the sid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50. The outer case 52 is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the length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상기 외부케이스(52)의 선단에는 전면프레임(54)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54)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 사각형의 흡입통공부(54')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통공부(54')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외부케이스(52)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The front frame 5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case 52. The front frame 5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rectangular suction through-hole 54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suction through portion 54 ′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a space (indoor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outer case 52.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전면패널(56)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56)은 실내기(50)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54)에 힌지결합되어 있다.The front panel 56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54. The front panel 56 forms a front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50, and an upper end is hinged to the front frame 54.

상기 흡입통공부(54') 전면에는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필터(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56)과 전면프레임(54)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통공부(54')를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52) 내부로 유 입되는 것이다.An air filter 60 for purify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through hole 54 'is provided. Therefore, the air suck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56 and the front frame 54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case 52 through the suction hole 54 '.

상기 전면프레임(54)의 후방에는 열교환기(62)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62)는 열교환사이클의 냉매와 상기 흡입통공부(54')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62)는 상기 전면패널(56)과 그 면적이 대응되게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62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frame 54. The heat exchanger 62 is a portion in which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of the heat exchange cycle and the air sucked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suction through part 54 ′ is performed. The heat exchanger 62 is more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to correspond to the front panel 56 and its area.

한편 상기 열교환기(62)는 상기 외부케이스(52)의 내부에 설치된 오리피스(64)에 장착된다. 상기 오리피스(64)의 중앙에는 상기 열교환기(62)를 통과한 공기를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66)으로 안내하는 오리피스공(64')이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the heat exchanger 62 is mounted to an orifice 64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52. An orifice hole 6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rifice 64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2 to the indoor fan 6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오리피스(64)의 하단에는 상기 열교환기(6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모여지는 드레인팬(6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레인팬(64")은 상기 열교환기(62)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모아 배수하는 것이다.The lower end of the orifice 6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drain pan 64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r 62 is collected. Such a drain pan 64" is formed by the heat exchanger 62. It is to collect and drain the falling condensate.

상기 오리피스(64)의 후방에는 실내팬(66)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66)은 실내기 내외부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내팬(66)은 그 회전중심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회전중심에 대해 원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상기 실내팬(66)은 상기 외부케이스(52)에 장착된 팬모터(68)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팬모터(68)는 상기 외부케이스(52)에 모터브라켓(68')에 의해 장착된다.An indoor fan 66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orifice 64. The indoor fan 66 is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flow of air throug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indoor unit. The indoor fan 66 sucks air in the rotation center direction and discharges ai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The indoor fan 66 is driven by a fan motor 68 mounted to the outer case 52. The fan motor 68 is mounted to the outer case 52 by a motor bracket 68 '.

상기 외부케이스(52)의 측면과 하면에는 상기 실내팬(66)에서 토출된 공기를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구(70)에는 선택적으로 토출구(70)를 차폐하는 토출베인(72)이 각각 구비된다.Discharge openings 70 for dischar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fan 66 to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are formed on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52. The discharge holes 70 are provided with discharge vanes 72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discharge holes 70.

상기 외부케이스(52)의 하단 양측에는 실내기(50)와 실외기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실내기(50)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차폐하는 배관패널(74)이 설치된다. 상기 배관패널(74)은 실내기가 설치되는 현장의 조건에 따라 어느 일측의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The lower side of the outer case 52 is provided with a piping panel 74 for shielding a portion of the pipe (not shown) connecting between the indoor unit 50 and the outdoor unit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50. The piping panel 74 is selectively used on either sid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wher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한편 상기 전면패널(56)과 전면프레임(54) 사이에는 상기 전면패널(56)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개방유지수단(8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개방유지수단(80)은 상기 전면프레임(54)에 일단이 연결되는 숏링크(82)와, 상기 전면패널(56)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숏링크(82)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가지는 롱링크(84)와, 상기 숏링크(82)와 롱링크(84) 사이에 형성되어 숏링크(82)와 롱링크(84)가 이루는 각이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링크기구(85)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ront panel 56 and the front frame 54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holding means 80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56, the opening and holding means 80 is the front frame 54 A short link 8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ng link, a long link 84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56,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r length than the short link 82, and the short link 82. And a link mechanism 85 formed between the long link 84 and controlling the angle formed by the short link 82 and the long link 84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링크기구(85)는 상기 숏링크(82)와 롱링크(84)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86)과, 상기 힌지축(86)의 일측에 이격 설치되는 제어핀(87)과, 상기 제어핀(87)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핀안내홈(88)과, 상기 제어핀(87)의 일단이 상기 핀안내홈(88)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89)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link mechanism 85 includes a hinge shaft 86 for allowing one end of the short link 82 and the long link 84 to be hinged, and a control pin 87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hinge shaft 86. And a pin guide groove 88 in which one end of the control pin 87 slides, and a compression spring 89 in which one end of the control pin 87 slide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n guide groove 88. Has a configuration.

즉 상기 롱링크(84)의 일단에는 힌지축(86)이 형성되어 상기 숏링크(82)와 힌지결합되며, 이러한 힌지축(86)의 외측에 상기 숏링크(82)의 일단에 형성되는 원 형의 힌지부(8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86)을 중심으로 상기 힌지부(82')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숏링크(82)와 롱링크(84)가 서로 일정한 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hinge shaft 8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ng link 84 to be hinged to the short link 82, and a circle formed at one end of the short link 82 outside the hinge axis 86. The hinge portion 82 'of the die is slidably coupled. Therefore, the hinge portion 82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86 so that the short link 82 and the long link 84 maintain a constant angle with each other.

상기 숏링크(82)의 힌지부(8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핀안내홈(8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안내홈(88)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데, 적어도 상기 힌지축(86)을 중심으로 180도 이내의 원호로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숏링크(82)와 롱링크(84)가 이루는 각은 180보다 작게 된다.The hinge portion 82 'of the short link 8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in guide groove 88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he pin guide groove 88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of an arc within 180 degrees of at least the hinge axis 86. 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y the short link 82 and the long link 84 is smaller than 180.

한편 상기 핀안내홈(88)은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56)이 개방될 때에는 상기 제어핀(87)이 상기 핀안내홈(88)의 깊이가 낮은쪽으로 점차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전면패널(56)의 개방이 쉬워진다.On the other hand, the pin guide groove 88 is configured to increase in depth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Therefore, when the front panel 56 is opened, the control pin 87 gradually slid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pin guide groove 88 so that the front panel 56 is easily opened.

상기 전면패널(56)의 상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프레임(54)에 힌지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전면프레임(5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패널(56)의 후면 하단부 양측에는 걸이부(56a)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전면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걸이부(56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부(54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전면패널(56) 하단이 전면프레임(54)에 장착되도록 한다.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56 is hinged to the front frame 54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front frame 54. Therefore, the hook portion 56a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front panel 56, and the hook portion 56a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4. 54a)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so th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56 is mounted to the front frame 54.

즉 상기 삽입부(54a)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양측의 삽입부(54a) 내측에 상기 걸이부(56a)가 삽입되어 체결된다.That is, the insertion part 54a is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as shown in detail in FIG. 6, and the hook part 56a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insertion part 54a of both sides.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상기 토출베인(72)이 상기 토출구(70)를 각각 개방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68)의 구동에 의해 실내팬(66)이 회전되면서 상기 흡입통공부(54')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실내기(50) 내부로 흡입된다.When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the discharge vanes 72 open the discharge ports 70, respectively, and the indoor fan 66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68 while the suction through hole ( The air in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50 through 54 ').

상기 실내기(5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에어필터(60)에 의해 이물이 여과되고, 상기 열교환기(6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기(6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64)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팬(66)으로 들어가고 상기 실내팬(66)의 원심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실내팬(66)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7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50 is filtered by the air filter 60, the heat is 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62 is guided by the orifice 64 to enter the indoor fan 66 and discharg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indoor fan 66.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fan 6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70.

한편 공기조화기의 동작중에 상기 열교환기(62)에서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상기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64")에 모아져서 실내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는 일측 배관패널(74)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배수호스뿐 만아니라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작동유체의 전달을 위한 배관과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원선 등도 상기 배관패널(74)을 관통하여 지나게 된다.Meanwhile, condensate is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62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 condensate is collected in the drain pan 64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The drain hose for draining the condensate extends through the one side pipe panel 74. At this time, not only the drain hose but also the indoor unit And a power lin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 pipe for transmitting the working fluid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lso pass through the pipe panel 74.

그리고 이러한 실내기(50)를 장시간 사용한 다음에는 상기 에어필터(60)에 걸러지는 이물을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여기서는 이러한 에어필터(60)의 착탈과정을 설명한다.Then, after using the indoor unit 50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air filter 60. Here, the detachment process of the air filter 60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에어필터(60)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패널(56)의 하단을 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전면패널(56)의 걸이부(56a)가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삽입부(54a)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56)은 상단부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전면프레임(54)의 하부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First, in order to remove the air filter 60, by holding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56 by hand and pulling forward, the hook portion 56a of the front panel 56 is inserted portion 54a of the front frame 54. ).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56 is rotated forward with the upper end to the shaft to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54 as shown in Figs.

이때 상기 제어핀(87)이 상기 핀안내홈(88)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며, 상기 제어핀(87)이 상기 핀안내홈(88)의 일측단(깊이가 제일 깊은 측의 단부)에 이르면 상기 전면패널(56)의 개방이 정지되고, 상기 전면패널(56)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 pin 87 is slid along the pin guide groove 88, and when the control pin 87 reaches one end (end of the deepest side) of the pin guide groove 88 Opening of the front panel 56 is stopped, and the front panel 56 is kept open.

상기 전면패널(56)의 하부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60)를 전방으로 당겨 상기 전면프레임(54)으로부터 에어필터(60)를 탈거하여 물로 씻거나 진공청소기 등을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nel 56 is opened, the user may pull the air filter 60 forward to remove the air filter 60 from the front frame 54 and wash it with water or clean it using a vacuum cleaner or the like. There will be.

다음으로 상기 에어필터(6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탈거와는 역순으로 아래와 같이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Next, when the air filter 60 is to be mounted, the following operation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removal described above.

먼저 청소가 끝난 상기 에어필터(60)를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전면에 장착한 다음, 상기 전면패널(56)의 하단을 아래로 내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패널(56)은 상단부를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면프레임(54)에 고정된다.First, the cleaned air filter 6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54, and then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56 is lowered.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56 is fixed to the front frame 54 by rotating the upper end with the shaft.

이때 상기 전면패널(56) 하단부의 걸이부(56a)가 상기 전면프레임(54)의 삽입부(54a)에 끼워져 고정된다. 즉 한 쌍으로 구성되는 상기 삽입부(54a)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므로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삽입부(54a) 사이에 상기 걸 이부(56a)가 끼워지면 상기 한 한쌍의 삽입부(54a)는 양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걸이부(56a)가 완전히 끼워지면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54a)가 상기 걸이부(56a)가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hook portion 56a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56 is fit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portion 54a of the front frame 54.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54a constituted by a pair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thus has some elasticity. When the hook portion 56a is fitt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s 54a, the pair of insertion portions (a) 54a is bent to both sides, and when the hook portion 56a is fully fitted, the insertion portion 54a is fixed so that the hook portion 56a is not removed by the elastic forc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전면패널(56)의 하단을 전방으로 당기는 힘이 상기 삽입부(54a)의 탄성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걸이부(56a)가 상기 삽입부(54a)를 벗어나게 되어 상기 전면패널(56)이 전방으로 개방된다. And when the user pulls forward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56 exceeds the elastic force of the insertion portion (54a), the hook portion (56a) is out of the insertion portion (54a) to the front panel ( 56 is opened forwar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패널이 전면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front panel i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front frame.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공기의 흡입을 위해 별도의 흡입구 개방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면패널의 상하단부 및 양측단부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므로 공기순환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a separate inlet opening is not required for intake of air, and the air circulation can be smoothed because the ai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면패널의 개방을 위해 별도의 개방유지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개방유지수단에 의해 전면패널의 개방상태가 저절로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전면패널을 손으로 잡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opening and holding means is provided for opening the front panel. The opening state of the front panel is maintained by the opening and holding means so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the front panel by hand.

따라서 사용자는 에어필터의 교체시 양손을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work with both hands when replacing the air filter, the operation is convenient.

Claims (7)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와;An outer case forming an exterior of the indoor unit;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A front frame formed at the front of the outer case; 상기 전면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여과하는 에어필터와;An air filter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전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The front frame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ront appearance, the upper end is hinged to the front frame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ront panel detachably mounted to the front frame;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하단에는 걸이부 구비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상기 걸이부가 체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A hook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and an insert portion to which the hook portion is fastened is formed at the front frame; 상기 전면패널과 전면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실내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면과 측면을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through a gap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front fram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and side of the out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는 전면패널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개방유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olding means for maintain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pane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지수단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ning and holding means, 상기 전면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는 숏링크와,A short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상기 전면패널에 일단이 연결되는 롱링크와,A long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panel; 상기 숏링크와 롱링크가 이루는 각이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link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angle formed by the short link and the long link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nk mechanism, 상기 숏링크와 롱링크의 일단이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과,A hinge shaft for hinge coupling of one end of the short link and the long link, 상기 힌지축의 일측에 이격 설치되는 제어핀과,A control pin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hinge shaft, 상기 제어핀의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핀안내홈과,A pin guide groove in which one end of the control pin slides; 상기 제어핀의 일단이 상기 핀안내홈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compression spring that one end of the control pi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n guide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안내홈은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in guide groove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epth toward one sid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안내홈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in guide groove,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180도 이내의 원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n arc within 180 degrees around the hinge axi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핀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pin, 상기 전면패널이 개방될 때 상기 핀안내홈의 깊이가 낮은 쪽으로 점차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adually toward the lower depth of the pin guide groove when the front panel is opened.
KR1020040006703A 2004-02-02 2004-02-02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75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03A KR100575306B1 (en) 2004-02-02 2004-02-02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703A KR100575306B1 (en) 2004-02-02 2004-02-02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36A KR20050078536A (en) 2005-08-05
KR100575306B1 true KR100575306B1 (en) 2006-05-02

Family

ID=3726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03A KR100575306B1 (en) 2004-02-02 2004-02-02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3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773B1 (en) * 2008-10-29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21B1 (en) * 2006-02-07 2013-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U2006337756B2 (en) 2006-02-07 2009-12-24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59805B1 (en) * 2006-02-07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773B1 (en) * 2008-10-29 201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36A (en) 200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0468A (en) Air conditioner
KR10043614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753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50103581A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KR100733294B1 (en) Filter mount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100530550B1 (en) Air conditioner
KR100436933B1 (en) The assembling structure for cover of room air-conditioner
KR100821653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58124B1 (en) Air-conditioner
KR101105753B1 (en)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KR100557382B1 (en)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KR100509018B1 (en) Dust collector unit mounting structure for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40026076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40053942A (en) Air conditioner
KR101133612B1 (en) Indoor unit of spilt type air conditioner
KR100664503B1 (en) Air Conditioner with Air Cleaner
KR100613503B1 (en) Front panel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JP3852507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9990036355U (en) Auxiliary suction grill device of air conditioner
KR200154579Y1 (en) Establishing structure of front grill of in door machine for airconditioner
KR100925718B1 (en)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KR100509049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KR200146167Y1 (en) Grill anchoring apparatus of airconditioner
KR19990019703A (en) Suction grill detachable device of air conditioner
KR200171920Y1 (en)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60929

Decision date: 20070221

Appeal identifier: 200610000255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1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6100002554

Request date: 200609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7022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