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4710B1 - Antibiotic treatment device - Google Patents

Antibiotic trea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710B1
KR100574710B1 KR20030071982A KR20030071982A KR100574710B1 KR 100574710 B1 KR100574710 B1 KR 100574710B1 KR 20030071982 A KR20030071982 A KR 20030071982A KR 20030071982 A KR20030071982 A KR 20030071982A KR 100574710 B1 KR100574710 B1 KR 10057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ion
water suppl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71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34482A (en
Inventor
다다노미노루
스미야마노리히꼬
오오에히로까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oducing oligodynamic substances to disinfect the wat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이온 용출 유닛(100)은 케이스(110) 안에 전극(113, 114)을 가진다. 케이스(110)에는 급수 호스(180)를 접속하는 유입구(111)와, 세탁기(1)의 급수 밸브(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출구(1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10) 안으로 물을 흘려 보내면서, 전극(113, 114)에 대해서 전원 유닛(101)에 의해 전압을 인가하면, 수중에 금속 이온이 용출 된다. 금속 이온을 함유한 물을 세탁조(30)에서 받아, 이 물로 세탁물을 헹궈서 세탁물에 항균처리를 행한다. 케이스(110)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113, 114)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전극(113, 114)의 감모 상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교환 타이밍을 판단한다. The ion eluting unit 100 has electrodes 113 and 114 in the case 110. The case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1 connecting the water supply hose 180 and an outlet 112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50 of the washing machine 1. When water is flowed into the case 110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113 and 114 by the power supply unit 101, metal ions are eluted out of the water. Water containing metal ions is received from the washing tank 30, the laundry is rinsed with this water, and the laundry is subjected to antibacterial treatment. At least a part of the case 110 is a see-through portion which can visually check the electrodes 113 and 114,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wear state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and the ion elution unit 100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이온 용출 유닛, 전원 유닛, 세탁기, 항균 처리 장치, 이온 발생부, 전압 발생부, 금속 이온, 케이스, 수조, 세탁조Ion elution unit, power supply unit, washing machin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ion generator, voltage generator, metal ion, case, water tank, washing tank

Description

항균 처리 장치 {ANTIBIOTIC TREATMENT DEVICE}Antibacterial Device {ANTIBIOTIC TREATMENT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급수구의 모형적 수직 단면도. 2 is a mode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inlet.

도3은 세탁 공정 전체의 플로우 챠트. 3 is a flowchart of the entire washing process.

도4는 세탁 공정의 플로우 챠트.4 is a flowchart of a washing process.

도5는 헹굼 공정의 플로우 챠트. 5 is a flowchart of a rinsing process.

도6은 탈수 공정의 플로우 챠트. 6 is a flowchart of a dehydration process.

도7은 이온 용출 유닛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on elution unit.

도8은 이온 용출 유닛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형적 수평 단면도. 8 is a model horizont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on elution unit.

도9는 이온 용출 유닛 구동회로의 회로구성도. 9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n elution unit driving circuit.

도10은 이온 용출 유닛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1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on elution unit.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항균 처리 장치를 세탁기에 적용했을 경우의 해당 항균 처리 장치의 접속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whe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도12는 상기 항균처치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과, 수도의 수도꼭지를 연통 접속하는 제1 호스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ion eluting unit constituting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nd a first hose communicating with a water tap.

도13은 상기 제1 호스의 제1 접속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hose.

도14는 수도의 수도꼭지와 접속한 상기 제1 접속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tap.

도15의 (a) 및 도15의 (b)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과 접속되는 상기 제1 호스의 제2 접속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15 (a) and 15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hose connected with the ion eluting unit.

도16은 상기 제1 호스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se.

도17은 상기 제1의 호스를 접속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the ion elut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hose.

도18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상기 제1 호스를 통해서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했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의 정면도.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ion eluting unit when the ion eluting unit is connected to a faucet of water via the first hose.

도19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Fig. 19 is a sectional view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ion eluting unit.

도20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Fig. 20 is a sectional view when seen from the side of the ion eluting unit.

도21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eluting unit when the ion eluting unit is viewed from the front.

도22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eluting unit when the ion eluting unit is viewed from the side.

도23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제1 접속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Fig.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first connection portion of the ion eluting unit.

도24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이 구비하는 검지부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tection unit included in the ion eluting unit.

도25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유닛 본체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Fig. 2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a unit body of the ion eluting unit.

도26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ion eluting unit.

도27의 (a) 내지 도27의 (d)는 상기 항균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유닛의 외관구성을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27 (a) to 27 (d)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drive unit constituting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도28은 상기 구동 유닛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Fig. 2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도29는 상기 구동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Fig. 2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drive uni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세탁기1: washing machine

10 : 외 하우징10: outer housing

11 : 상면판11: top plate

12 : 백 패널12: back panel

13 : 베이스13: base

14a, 14b : 다리부14a, 14b: leg

15 : 투입구15: inlet

16 : 뚜껑16: lid

17 : 힌지부17: hinge part

20 : 수조20: tank

본 발명은 세탁물을 금속 이온으로 항균 처리할 수 있는 항균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bacterial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antibacterial treatment of laundry with metal ions.

세탁기로 세탁을 행할 때, 물(특히 헹굼수)에 마무리 물질이 흔히 가해진다. 마무리 물질로서 일반적인 것은 유연제나 풀제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세탁물에 항균성을 갖게 하는 마무리 처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When washing in a washing machine, finishing materials are often added to water (especially rinsing water). Common finishing materials are softeners and glues.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necessity of the finishing treatment which gives antibacterial property to laundry is increasing.

세탁물은 위생상의 관점에서는 햇볕 말림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여성취업율의 향상이나 핵가족화의 진행에 의해, 낮 동안은 집에 아무도 없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는 실내 말림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다. 낮 동안에 누군가가 집에 있는 가정에 있어서도, 우천 시에는 실내 말림을 하게 된다. It is preferable to dry a laundry from a sanitary viewpoint. In recent years, however, the number of households where no one is home during the day is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and the progress of nuclear family. In these homes, they have to resort to indoor curling. Even during the day when someone is at home, indoors will dry indoors.

실내 말림의 경우, 햇볕 말림에 비해서 세탁물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워진다. 장마철과 같은 고습 시나 저온 시 등, 세탁물의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 이 경향은 현저하다. 번식상황에 따라서는 세탁물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는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상적으로 실내 말림을 할 수밖에 없는 가정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서, 옷감에 항균 처리를 실시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강하다. In the case of indoor drying, laundry and germs or mold are more likely to grow in the laundry than in the sun. This tendency is remarkable when it takes time to dry laundry, such as during high humidity or low temperature, such as during the rainy season. Depending on the breeding situation, the laundry may smell strange. For this reason,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households that are forced to dry indoors in order to suppress the growth of bacteria and fungi on the fabric.

최근에는 섬유에 항균방취가공이나 제균가공을 한 의류도 많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가정내의 섬유 제품을 모두 항균방취가공필의 것에서 갖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항균방취가공의 효과는 세탁을 거듭함에 따라 떨어지게 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garments with antibacterial and antibacterial treatment on textil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equip all the textile products in the home with the antibacterial and deodorant finish.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antibacterial deodorization process will fall with repeated washing.

그래서, 세탁시마다, 세탁물을 항균 처리하고자 하는 생각이 생겨났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74487호 공보』에는 은 이온, 구리 이 온 등 살균력을 가지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기기를 장비한 전기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93691호 공보』에는 전계의 발생에 의해 세정액을 살균하도록 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76484호 공보』에는 세정물에 은 이온을 첨가하는 은 이온 첨가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Thus, the idea of antibacterial treatment of laundry has arisen every time washing. For example, JP-A-5-74487 discloses an electric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n ion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metal ions having sterilizing power such as silver ions and copper ions.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0-93691 describes a washing machine which sterilizes a cleaning liquid by generation of an electric fiel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1-276484 discloses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silver ion addition unit for adding silver ions to a washing product.

그런데, 세탁 공정에 있어서 항균처리를 행하는 수법 중에서는 금속 이온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도 크고 실용적이다. 금속 이온은 한 쌍의 전극을 물에 담그고, 이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측의 전극으로 용출된다. 예를 들면 양극이 은인 경우, 전압인가 시에 Ag→Ag++e-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에 은 이온 Ag+가 용출된다. 탈수 후, 세탁물이 마를 때까지의 동안은 금속(예를 들면 은)은 이온으로서 존재하고, 살균작용을 발휘한다. 세탁물이 마른 후, 은은 이온이 아니라 은염으로서 존재하는데, 다시 물에 담그면 다시 이온화하여, 살균력을 회복한다. 즉, 이것은 세탁물의 표면에 항균 코팅을 한 것을 의미한다. By the way, in the method of performing antibacterial treatment in a washing process, using metal ion is also effective and practical. Metal ions are eluted to the electrode on the anode side by dipping a pair of electrodes in water and applying a voltage between the electrodes. For example, when the anode is silver, a reaction of Ag → Ag + + e occurs when a voltage is applied, and silver ions Ag + are eluted in water. After dehydration, the metal (for example, silver) is present as an ion and performs a sterilization action until the laundry dries. After the laundry dries, silver is present as a silver salt, not an ion, which is then ionized again when soaked in water to restore sterilization.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 surface of the laundry has an antimicrobial coating.

상기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항균처리(항균 코팅)를 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전극을 케이스 내에 넣은 이온 용출 유닛을 세탁기에 설치하면 좋다고 결론지어진다. 그렇지만, 세탁기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있고, 이온 용출 유닛을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세탁기의 대형화로 연결되지 않도록 궁리해 낸다고 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을 내장한 세탁기 이외에는 항균처리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소비자에 대해서 충분히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From the above, in order to perform the antibacterial treatment (antimicrobial coating) on laundry, it is concluded that the ion elution unit which put a pair of electrodes in the case may be installed in a washing machine. However, the various components are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and it is not easy to devise the space which installs an ion elution unit so that it may not lead to enlargement of a washing machine. In addition, the fact that antibacterial treatment cannot be performed except for a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an ion eluting unit cannot be said to provide a sufficient benefit to a consumer.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은 사용을 계속하는 중에 감소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한다. 사용이 장기에 걸치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안정해지거나, 소정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그 때문에, 장기간 사용한 이온 용출 유닛은 통째로, 또는 전극만이라도 교환할 필요가 생긴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decreases while continuing to use, so that the amount of eluted metal ions is reduced. In the long term, the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becomes unstable, or a predetermined elution amount cannot be secured. Therefore, the ion eluting unit used for a long time needs to be replaced entirely or even by an electrode.

그렇지만, 이온 용출 유닛이 세탁기 내에 갖추어져 있는 것에서는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으면 교환할 수 없어서, 사용자에 있어서는 대단히 부담이 큰 작업이 된다. 작업의 수고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세탁기에 이온 용출 유닛을 출납하기 위한 액세스 개구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세탁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ion eluting unit is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cannot be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the washing machine, which is a very burdensome work for the user. In order to reduce the labor of work, it is also conceivable to provide an access opening for discharging the ion elution unit in the washing machine. However, this structure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세탁물의 항균처리를 위해 물에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유닛을, 종래 구조의 세탁기에 간단히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온 용출 유닛의 교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 poin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use the ion eluting unit which elutes metal ion in water for the antibacterial treatment of laundry, by simply combining it with the washing machine of a conventional structure. Moreover, it aims at making it easy to replace | exchange an ion elution unit.

즉, 본 발명은 급수 장치(예를 들면 세탁기)가 원래,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급수 장치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realize that the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is equivalent to the water supply device having an ion generator even i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does not originally have an ion generator that generates metal ion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항균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following constitution.                         

(1)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의 전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는 급수 호스를 접속하는 유입구와, 세탁기의 급수 밸브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1) An ion elu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by applying a voltage between electrodes, and a power unit of the ion eluting unit, wherein the case of the ion eluting unit includes an inlet for connecting a water supply hose and a water supply valve of a washing machine. It was supposed to be provided with the outlet port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and detachably.

이 구성에 따르면, 세탁기의 급수부에 대해서 이온 용출 유닛을 외장하므로, 세탁기의 구조 그 자체는 종래대로도 좋다. 즉, 기존의 세탁기를 항균처리기능첨부의 세탁기로 전용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 후의 이온 용출 유닛 교환작업도 지극히 간단하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ion elution unit is external to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washing machine,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itself may be as conventional. That is, the existing washing machine can be converted into a washing machine with an antibacterial treatment function. In addition, the ion elution unit replacement work after long-term use is extremely simple.

(2)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이 이온 용출 유닛의 전원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수몰 가능한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는 상기 전극에 물을 유도하는 통수구를 상기 수몰 가능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2) An ion elu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by applying a voltage between electrodes, and a power unit of the ion eluting unit,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includes a cas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on eluting unit can be submerged. It was assumed that the water passage capable of inducing water to the electrode was provided in the submersible portion.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를 수몰시켜, 통수구로 케이스 내로 물을 도입해서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하므로, 이온 용출 유닛을 부착하거나 보유하거나 하는 특별한 구조를 세탁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이온 용출 유닛에 급수 호스를 접속할 필요도 없다. 또한, 세탁조에 모은 물 속에서 이온 용출작업을 행하므로, 균질한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금속 이온이 균일하게 부착되어, 얼룩이 없는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해서 이온 용출 유닛의 능력이 저하되었을 경우는 낡은 유닛을 버리고, 새로운 유닛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어, 유닛의 교환에 수고가 들지 않는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ase of the ion eluting unit is submerged an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ase through the water passage to elute the metal ion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pecial structure for attaching or retaining the ion eluting unit in the washing machine.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a water supply hose to an ion elution unit. In addition, since ion dissolution is performed in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shing tank, homogeneous ion-containing water can be generated. Therefore, the metal ions are uniformly attached to the laundry, thereby obtaining an antibacterial effect without staining. In addition, when the capacity of the ion eluting unit decreases after long-term use, the old unit is discarded and only a new unit is used to solve the problem.                         

또한, 이온 용출 유닛을 수몰시킬 수 있는 것은 세탁기의 세탁조만이 아니다. 이온 용출 유닛의 케이스를 수납할 수 있는 용기이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양동이, 세면기, 컵 등을 이용해서 금속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항균처리하고 싶은 것이 손수건 1장이라고 했을 경우, 손수건 1장을 담그기에 충분할 만큼의 소량의 금속 이온 함유수를 작은 용기 안에서 생성할 수 있어서 수자원을 낭비 할 일이 없다. In addition, it is not only the washing tank of a washing machine that can submerge the ion elution unit. What is necessary is just a container which can accommodate the case of an ion elution unit. Thus, for example, a metal ion-containing water can be produced using a bucket, a basin, a cup, or the like. Therefore, when one handkerchief is desired to be treated with antibacterial treatment, a small amount of metal ion-containing water can be produced in a small container sufficient to soak one handkerchief, and there is no waste of water resources.

(3) 상기와 같은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것으로 했다. (3)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assumes a battery as a power source.

이 구성에 따르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 또는 상용전원은 들어와 있지만, 콘센트 수가 충분치 않은 집이라도, 항균처리를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stitution,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performed even in a place where commercial power supply is not available or in a house where commercial power supply is supplied but the number of outlets is not sufficient.

(4) 상기와 같은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극에의 통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다. (4)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 timer for setting the energization time to the electrode.

이 구성에 따르면, 통전 시간의 제어에 의해, 세탁물을 담그는 수량에 맞는 양의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고, 필요한 금속 이온 농도를 확보하여, 항균처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controlling the energization time, the metal ions can be eluted in an amount suitable for the amount of laundry to be immersed, the required metal ion concentration can be ensur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improved.

(5) 상기와 같은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의 전극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5)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t least a part of the case is assumed to be a see-through portion which can visually identify the internal electrode.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의 내부의 전극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전극의 감모상황으로부터 이온 용출 유닛의 교환 타이밍을 판단하여, 심각한 기능 저하를 초래하기 전에 유닛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을 항상 충분한 항균처리능력을 발휘하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tate of the electrode inside an ion elution unit can be visually confirmed directly. As a result, the user can judg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ion elution unit from the wear condition of the electrode, and can perform the unit replacement before causing serious functional degradation. Therefore, the ion eluting unit can be used in a state of always exhibiting sufficient antibacterial treatment ability.

(6)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는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항균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에서,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로)상기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6)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ion generating portion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water supplied to a water supply object by a water supply apparatus, wherein the ion generating portion is provided outside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May be freely provid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여기서, 상기의 이온 발생부로서는 예를 들면, (a)한 쌍의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유닛이나, (b)카트리지 내에 금속 이온 용출재(은 용출재이면 유화 은 등)를 장전하고, 카트리지 내에 물을 통하게 함으로써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Here, as the ion generator, for example, (a) an ion eluting unit for eluting ions of an electrode constituent metal by applying a voltage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or (b) a metal ion eluting material in the cartridge (silver If it is an elution material, it can assume that metal ion is eluted by loading an emulsified silver etc.) and making water flow through a cartridge.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급수 장치(예를 들면 세탁기)의 외부에, 이온 발생부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급수 장치로서 이온 발생부를 최초부터 가지고 있지 않은 기존의 것이더라도,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급수 장치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장치의 쓸데없는 개비가 불필요하고, 기존의 급수 장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부는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제거가 자유롭기 때문에, 그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ion generating unit can be attached l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 washing machine), the wat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ion generating unit even if the water supply device is a conventional one which does not have the ion generating unit from the beginning. Can be easily realized. Therefore, unnecessary waste of water supply apparatus is unnecessary, and the existing water supply apparatus can be used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 ion generating unit can be freely removed from the supply passage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the exchange can be easily performed.

(7)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적어도2개의)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7) In the above antibacterial treatment apparatus, the ion generating unit may be constituted by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t least two) electrodes and having a unit body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한 쌍의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 구 성 금속의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이 용출되어, 유닛 본체 내를 흐르는 물에 그 금속 이온이 첨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금속 이온 첨가수가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급수 장치를 통해서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므로, 급수대상에 있어서 금속 이온에 의한 효과(예를 들면 항균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a pair of electrodes, ions (for example, silver ions) of the electrode component metal are eluted, and the metal ions are added to water flowing in the unit body. Therefore, since the metal ion-add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ion elution unit to the water supply object (for example, laundry) through the water supply device, the effect by the metal ions (for example, antibacterial effect) can be reliably obtained in the water supply object.

또한, 전극의 수는 한 쌍(2매)이상 있으면 좋다. 3매나 4매의 전극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이들 전극에의 전압인가에 의해, 금속 이온을 용출하고, 금속 이온에 의한 소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electrodes should just be a pair (two sheets) or more. Even in the case of having three or four electrodes, metal ions can be elu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se electrodes, thereby obtaining a desired effect by the metal ions.

(8)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a)상기 유닛 본체를, 수도의 수도꼭지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1 호스 또는 상기 수도꼭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부와, (b)상기 유닛 본체를, 상기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2의 호스 또는 상기 급수 장치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더 가지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8)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comprises: (a) a first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unit body with a first hos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a faucet of water flows or the faucet; The structure may further have a 2nd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s the said unit main body with the 2nd hos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said water supply apparatus flows, or the said water supply apparatus.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제1 접속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제1 호스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온 용출 유닛을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부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제2의 호스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온 용출 유닛을 급수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접속방법의 조합에 의해, 수도의 수도꼭지로 급수 장치에 이르는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이온 용출 유닛을 설치할 때의 접속의 배리에이션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이온 용출 유닛의 설치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an ion elution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tap of a tap by a 1st connection part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 1st hose. In addition, the ion elution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pparatus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the second hose b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Therefore, by the combination of these connection methods, the variation of the connection at the time of installing an ion elution unit can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water supply path from a tap of a water supply to a water supply device. Therefore,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ion elution unit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an be realized.

(9)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유닛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9)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nit body.

예를 들면, 전극과 유닛 본체를 따로따로 구성할 경우, 전극을 유닛 본체 내에 장전하기 위해서, 유닛 본체를 적어도2개의 바스켓으로 분리해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2개의 분리 바스켓의 접합 부분으로 누수가 생길 가능성이 있어, 밀봉성의 저하가 염려된다. For example, when the electrode and the unit main body are separately configured, in order to load the electrodes into the unit main body,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unit main body into at least two baskets.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ater leakage may occur at the joining portions of the two separation baskets,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ealing property is lowered.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전극과 유닛 본체를 일체로 성형하면, 상기의 접합 부분에 상당하는 개소가 없기 때문에, 누수의 문제가 생길 일도 없고, 유닛 본체에 있어서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electrode and the unit main body are integrally mold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point corresponding to the above joined portion, so there is no problem of water leakage and the sealability in the unit main body can be reliably maintained. .

(10)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물의 유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10)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unit body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in which water flows ou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ater.

이 구성에 따르면, 유닛 본체에의 물의 유입 방향이 예를 들면 수직방향이어도, 그 물의 유출방향을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급수 장치와 이온 용출 유닛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라도, 이온 용출 유닛과 급수 장치를 접속하는 제2의 호스를 무리하게 구부리지 않고, 용이하게 끌고 다닐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if the inflow direction of water into a unit main body is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water can be made into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Thereby, even if the distanc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and an ion elution unit is too close, the 2nd hose which connects an ion elution unit and a water supply apparatus can be pulled easily, without forcibly bending.

(11)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11)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and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voltage generator that generates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

상기의 전압 발생부로서는 예를 들면 내장되는 전지(배터리)나, 가정용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 접속 코드 및 AC어댑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의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해서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에서, 전극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킨다고 하는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As the voltage generator, for example, a built-in battery (battery), a plug inserted into a household outlet, a connection cord, an AC adapter,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By applying the voltage generated at the voltage generating unit of the drive unit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to drive the ion eluting unit, the function of eluting metal ions from the ion eluting unit to the electrode can be reliably exhibited.

(12)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12)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described above,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body and the flow rate thereof.

검지수단이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면, 예를 들면, 그러한 수류가 만났을 때에 비로소, 구동 유닛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금속 이온을 첨가하고 싶은 물이 흘렀을 때만, 필요한 만큼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고, 안정되게 소망되는 농도의 금속 이온을 첨가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When the detecting means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side the unit main body, it becomes possible to cause the drive unit to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de, for example, when such water flow meets. Thereby, only when the water which the metal ion wants to add flows, metal ion can be eluted as needed, and the water which added the metal ion of the desired concentration stably can be supplied.

한편, 수류가 없을 때, 즉, 금속 이온이 첨가되는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도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뿐이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동 유닛에서 그러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sence of water flow, i.e., in the absence of water to which metal ions are added, only useless power is consumed eve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Can be avoided.

또한, 검지수단이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량을 검지하면, 예를 들면, 구동 유닛이 그 유량에 따라서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급수 장치의 설치지역에 따라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변화되거나,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의도적으로 변화시켰을 경우라도, 구동 유닛이 상기 유량에 따라서 금속 이온 용출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어느 유량이 라도,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항균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량에 과부족이 생기지 않고, 소망의 항균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etecting means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 inside the unit main body, for example, the drive unit chang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and changes the elution amount of the metal ions. It becomes possible. As a result,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chang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water supply device, or if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for example, laundry) is intentionally changed, the drive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By changing the metal ion elution amount,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 addition water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at any flow rate. As a result, the excess amount of metal ions required for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oes not occur, and the desired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13)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에 내포되는 자석과,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기초하여,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13)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detecting means is based on a rotor rotating by passage of water, a magnet contained in the rotor, and a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by rotation of the rotor. And a magnetic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and the flow rate thereof.

유닛 본체 내부를 물이 통과함으로써 회전자가 회전하면, 그 회전자에 내포된 자석도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 자석의 발생하는 자기(자속, 자계)가 변화된다. 따라서, 이 자기변화의 유무를 자기검지부가 검지함으로써, 유닛 본체 내부에 있어서의 수류의 유무, 즉 유닛 본체 내부를 물이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자기변화가 단위시간당 몇 회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자기검지부가 검지함으로써, 회전자의 단위시간당의 회전수를 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유닛 본체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할 수 있다. When the rotor rotates by passing water inside the unit main body, the magnet embedded in the rotor also rotates, thereby changing the magnetic field (magnetic flux,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 Therefore, 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gnetic change, the magnetic detection unit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that is, whether water has passed through the unit main body. In addition, by detecting how many times the magnetic change is periodically changed per unit time, the magnetic detecting unit can detect the number of revolutions per unit time of the rotor and can also detect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side the unit body. .

따라서, 검지수단이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자, 자석, 자기검지부를 포함해서 구성됨으로써,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etecting means includes the rotor, the magnet, and the magnetic detecting unit as described abov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and the flow of the water flow inside the unit body can be reliably detected based on the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Can be.

(14)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수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14) The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drive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on unit to the electrod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water flow by the magnetic detection unit.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유닛 본체 내부를 물이 흐르기 시작했을 때에(즉, 금속 이온의 물에의 첨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닛 본체 내에 수류가 없을 때에(즉, 금속 이온의 물에의 첨가가 불필요할 때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같이, 구동 유닛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when water starts flowing inside the unit body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ddition of metal ions to water is necessary), metal ions can be elut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 Thereby, wasteful power consumption in the drive unit can be avoided, such a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when there is no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i.e., when addition of metal ions to water is unnecessary). .

(15)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유량을 검지했을 때, 그 검지한 유량에 따라,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상기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15) The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drive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on unit to the electrod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flow rate by the magnetic detection unit.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flow rate.

급수 장치의 설치지역이나 설치장소에 따라 수도의 수도꼭지로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다른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동 유닛이 유닛 본체 내의 물의 유량에 따라서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고, 금속 이온 용출량을 상기 유량에 따라서 변화시키므로, 급수 장치의 설치지역이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항균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량에 과부족이 생기지 않고, 소망의 항균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rea or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however, the drive unit chang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ter in the unit main body, and the metal ion elution amou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Regardless of the location,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added water can be made almost constant. As a result, the excess amount of metal ions required for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oes not occur, and the desired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16)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유닛 본체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16)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detection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유닛 본체내의 전극의 소모에 의해, 유닛 본체를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라도, 검지수단까지 교환하지 않아도 해결되어, 검지수단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검지수단이 고장 등에 의해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는 유닛 본체내의 전극까지 교환할 필요가 없어서, 전극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unit main body by the consumption of the electrodes in the unit main body, it is solved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detecting unit, and the detecting un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On the contrary, when the detection means needs to be replaced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electrodes in the unit body, and the electrod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17)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를 검지하는 진동 센서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센서가 상기 시기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17) The antimicrobial treatment device described above, wherein the drive unit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device, and on the basis of the vib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a time when elution of metal ions is required; A control un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unit to the electrode,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apply the voltage to the electrode when the vibration sensor detects the timing.

예를 들면, 급수 장치가 세탁기로 구성되는 경우, 세탁기에서는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공정의 각 세탁 공정이 실행된다. 그리고, 각 세탁 공정의 운전의 방법의 차이(예를 들면 세탁조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의해, 각 세탁 공정마다, 급수 장치의 진동상태가 다르다. For example, when a water supply apparatus is comprised with a washing machine, each washing process of a washing process, a rinse process, a dehydration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washing machine. And the vibration stat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differs for every washing process by the difference of the operation method of each washing process (for example,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 of a washing tank).

한편, 금속 이온의 용출은 상기의 세탁 공정으로 말하면, 적어도 헹굼 공정 이후에 행하여지면 좋다. 왜냐하면, 세탁 공정에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물에 공급해도, 다음의 헹굼 공정에서 금속 이온을 첨가하지 않은 물을 사용하면 금속 이온이 흘러 버려,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부착시킬 수 없고, 먼저 공급한 금속 이온이 쓸데없게 되어 버려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헹굼 공정이, 효율적으로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부착시킬 수 있는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가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ution of metal ions may be performed at least after the rinsing step in the washing step. This is because even if the metal ionized water is supplied to the laundry in the washing step, water that does not add the metal ion in the next rinsing step causes the metal ions to flow and the metal ions cannot adhere to the laundry. This is because the ions become useless and inefficient. Therefore, in this case, the rinsing step is a time when elution of the metal ions capable of efficiently attaching the metal ions to the laundry is required.

또한, 진동 센서는 이하의 방법으로,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해서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진동 센서는 급수 장치를 구성하는 세탁조, 교반 부재(펄세이터), 모터 등의 회전수의 차이로부터 생기는 진동주기의 차이에 의해,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예를 들면, 헹굼 공정)을 검지한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sensor can detect the time when the metal ion needs to be eluted based on the vib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by the following method. For example, in the vibration sensor, a washing process requiring elution of metal ions due to a difference in vibration periods resulting from a difference in rotational speeds of a washing tank, a stirring member (pulsator), a motor, etc. constitut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 Rinsing step) is detected.

제어부는 진동 센서가 급수 장치의 진동에 근거해서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상기의 예에서는 헹굼 공정의 운전기간)를 검지했을 때,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킴으로써,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에 자동적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 전극에의 전압인가를 ON/OFF 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수동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보다 유효한 공정으로만 금속 이온을 용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applies a voltage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to elute the metal ions when the vibration sensor detects the time when the metal ions need to be eluted based on the vib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in the above example, the operation period of the rinsing step). In this case, metal ions can be eluted automatically when the metal ions need to be elu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lute metal ions only in a more effective process without requiring manual input by a user for turning on / off the application of voltage to the electrode.

(18)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18) I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the drive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removal is freely arranged outside the water supply apparatus.

구동 유닛의 배치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급수 장치의 외면이나, 급수 장치 근방의 벽 등을 상정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이 급수 장치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과 함께 구동 유닛을 나중에 부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존의 급수 장치가 이온 용출 유닛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이온 용출 유닛 및 구동 유닛을 구비한 급수 장치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 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급수 장치의 쓸데없는 개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급수 장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은 급수 장치외부에 설치되므로, 고장이나 전지수명이 다 했을 때의 구동 유닛의 수리나 전지교환도 용이하다. As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drive unit, the outer surface of a water supply apparatus, the wall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vicinity, etc. can be assumed, for example. By removing the drive unit freely disposed outside the water supply device, the drive unit can be attached later together with the ion eluting unit. Thereby, even if the existing water supply apparatus does not have an ion elution unit, it can easily implement the thing equivalent to the water supply apparatus provided with an ion elution unit and a drive unit. Therefore, the existing water supply device can be effectively used without requiring unnecessary waste of the existing water supply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drive unit is provided outside the water supply device, it is easy to repair the drive unit or replace the battery when the failure or the battery life is over.

(19) 상기의 항균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대상으로서의 세탁물에 물을 급수하는 세탁기인 구성이어도 좋다. (19)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described above, wherein the water supply device may be a washing machine that supplies water to laundry as the water supply object.

급수 장치가 세탁기이면, 세탁기에 대해서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세탁기에서도, 금속 이온의 용출이 가능한 세탁기와 동등한 것을 실현할 수 있는 등, 세탁기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f the water supply device is a washing machine, the antimicrob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later to the washing machine, so that the existing washing machine can realize the equivalent of the washing machine capable of eluting metal ions. The effect can be obtained.

〔실시의 형태1〕[Embodiment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최초에, 도1 내지 도9에 근거해서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First,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to 9.

도1은 세탁기(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세탁기(1)는 전자동형의 것이고, 외하우징(10)을 구비하고 있다. 외하우징(10)은 직방체형상으로,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그 상면 및 저면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외하우징(10)의 상면 개구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상면판(11)이 포개져 있다. 상면판(11)은 이 외하우징(10)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washing machine 1. The washing machine 1 is a fully automatic type and has an outer housing 10. The outer housing 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formed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and its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ings. A top plate 11 made of synthetic resin is stacked on the top opening of the outer housing 10. The upper plate 11 is fixed to the outer housing 10 with screws.

도1에 있어서, 좌측을 세탁기(1)의 정면, 우측을 배면으로 한다. 배면측에 위치하는 상면판(11)의 상면에는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의 백 패널(12)이 포개져 있다. 백 패널(12)은 상면판(11)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외하우징(10)의 저면 개구부에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13)가 포개져 있다. 베이스(13)는 외하우징(10)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 기술해 온 나사의 도시는 모두 생략하고 있다. In Fig. 1, the left side is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right side is the back. The back panel 12 made of synthetic resin is similar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located on the back side. The back panel 12 is fixed to the top plate 11 with screws. The base 13 made of synthetic resin is stacked on the bottom opening of the outer housing 10. The base 13 is fixed to the outer housing 10 with screws. In addition, all the illustration of the screw described so far is abbreviate | omitted.

베이스(13)의 네 구석에는 외하우징(10)을 바닥 위에 떠받치기 위한 다리부(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측의 다리부(14b)는 베이스(13)에 일체로 성형한 고정다리이다. 정면측의 다리부(14a)는 높이 가변의 나사 다리이며, 이것을 돌려서 세탁기(1)의 높이 조절이 행하여진다. Four corners of the base 13 are provided with leg portions 14a and 14b for supporting the outer housing 10 on the floor. The leg part 14b on the back side is a fixed leg integrally molded with the base 13. The leg part 14a of the front side is a screw leg of variable height, and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washing machine 1 is performed by turning this.

상면판(11)에는 후술하는 세탁조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세탁물 투입구(15)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세탁물 투입구(15)를 위에서 덮도록, 뚜껑(16)이 설치되어 있다. 뚜껑(16)은 상면판(11)에 힌지부(17)로 결합되어, 수직면 내에서 회전 운동한다. The upper plate 11 is provided with a laundry inlet 15 for injecting laundry into a washing tank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d 16 is provided so that the laundry inlet 15 may be covered from above. The lid 16 is coupled to the top plate 11 by the hinge portion 17, and rotates in the vertical plane.

외하우징(10)의 내부에는 수조(20)와, 탈수조를 겸하는 세탁조(30)가 배치되어 있다. 수조(20)도 세탁조(30)도, 상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컵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각각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수조(20)를 바깥쪽, 세탁조(30)를 안쪽으로 하는 형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조(20)는 서스펜션부재(21)에 의해 매어 달려 있다. 서스펜션부재(21)는 수조(20)의 외면 하부와 외하우징(10)의 내면 코너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합계 4개소에 배치되어, 수조(20)를 수평면 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Inside the outer housing 10, a water tank 20 and a washing tank 30 serving as a dehydration tank are disposed. The water tank 20 and the washing tank 30 also show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cup with the upper surface opened, and are concentric in the form which makes the water tank 20 outside and the washing tank 30 inside with the axis | shaft upright, respectively. It is arranged as an enemy. The water tank 20 is suspended by the suspension member 21. The suspension member 21 is arrange | positioned in four places in the form which connects the low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and the inner surface corner part of the outer housing 10, and supports the water tank 20 so that it may oscillate in a horizontal plane.

세탁조(30)는 상방을 향하여 완만한 테이퍼로 넓어지는 주벽을 가지고 있다. 이 주벽에는 그 최상부에 환상으로 배치한 복수개의 탈수 구멍(31)을 제외하고,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는 없다. 즉 세탁조(30)는 이른바 「구멍 없음」타입이다. 세탁조(30)의 상부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세탁물의 탈수를 위해 세탁조(30)를 고속 회전시켰을 때에 진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환상의 밸런서(32)가 장착되어 있다. 세탁조(30)의 내부 저면에는 조내에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유동을 생기게 하기 위한 펄세이터(33)가 배치되어 있다. The washing tub 30 has a circumferential wall that widens with a gentle taper toward the upper side. There is no opening in the circumferential wall except for the plurality of dehydration holes 31 arranged annularly at the top thereof. That is, the washing tank 30 is a so-called "holeless" type. At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washing tub 30, an annular balancer 32, which serves to suppress vibrations when the washing tub 30 is rotated at high speed for dewatering the laundry,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washing tub 30, a pulsator 33 is arranged to generate a flow of washing water or rinsing water in the tank.

수조(20)의 하면에는 구동 유닛(40)이 장착되어 있다. 구동 유닛(40)은 모터(41), 클러치 기구(42), 및 브레이크 기구(43)를 포함하고, 그 중심부로부터 탈수축(44) 및 펄세이터 축(45)을 상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탈수축(44) 및 펄세이터 축(45)은 탈수축(44)을 바깥쪽, 펄세이터 축(45)을 안쪽으로 하는 2중 축 구조로 되어 있고, 수조(20) 안에 들어간 후, 탈수축(44)은 세탁조(30)에 연결되어서 이것을 떠받치고 있다. 펄세이터 축(45)은 다시 세탁조(30) 안으로 들어가고, 펄세이터(33)에 연결되서 이것을 떠받치고 있다. 탈수축(44)과 수조(20) 사이, 및 탈수축(44)과 펄세이터 축(45) 사이에는 누수를 막기 위한 밀봉부재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The drive unit 4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The drive unit 40 includes a motor 41, a clutch mechanism 42, and a brake mechanism 43, and protrudes the dehydration shaft 44 and the pulsator shaft 45 upward from the center thereof. The dehydration shaft 44 and the pulsator shaft 45 have a double shaft structure having the dehydration shaft 44 outward and the pulsator shaft 45 inward. 44 is connected to the washing tub 30 to hold it. The pulsator shaft 45 enters the washing tub 30 again and is connected to the pulsator 33 to support it. Sealing members for preventing leakage are disposed between the dehydration shaft 44 and the water tank 20 and between the dehydration shaft 44 and the pulsator shaft 45, respectively.

백 패널(12)의 아래의 공간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급수 밸브(50)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관(51) 및 급수관(52)은 급수 밸브(50)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접속관(51)은 백 패널(12)의 상면을 향해서 돌출하고, 여기에 이온 용출 유닛(1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 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급수관(52)은 백 패널(12) 밑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상의 급수구(53)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구(53)는 세탁조(30)의 내부에 면하는 위치에 있고, 도2에 도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The water supply valve 50 which opens and closes electronically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low the back panel 12. As shown in FIG. The connection pipe 51 and the water supply pipe 52 extend out from the water supply valve 50. The connection pipe 51 protrude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anel 12, and the ion eluting unit 100 is detachably connected there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ion elu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pipe 5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back panel 12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ort 53 on the container. The water supply port 53 is located at the posi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30, and has a structure shown in FIG.

도2는 급수구(53)의 모형적 수직 단면도이며, 정면측에서 본 형태로 되어 있다. 급수구(53)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내부는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좌측의 구획은 세제실(54)이며, 세제를 넣어 두는 준비공간이 된다. 우측의 구획은 마무리제실(55)이며, 세탁용의 마무리제를 넣어 두는 준비공간이 된다. 세제실(54)의 저부 정면측에는 세탁조(30)에 주수하는 가로로 긴 주수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마무리제실(55)에는 사이펀부(57)가 설치되어 있다. 2 is a model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port 53, and is in the form seen from the front side. The water supply port 53 has an upper surface open, and the inside thereof is partitioned left and right. The compartment on the left side is a detergent room 54, which is a preparation space for putting detergent. The compartment on the right side is the finishing agent room 55, and is a preparation space for putting the finishing agent for washing.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of the detergent chamber 54, a horizontally long water inlet 56 for pouring water to the washing tub 30 is provided. The siphon part 57 is provided in the finishing agent room 55.

사이펀부(57)는 마무리제실(55)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올라가는 내관(57a)과, 내관(57a)에 씌워지는 캡상의 외관(57b)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관(57a)과 외관(57b)의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틈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57a)의 저부는 세탁조(30)의 내부를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외관(57b)의 하단은 마무리제실(55)의 저면과 소정의 틈을 유지하고, 여기가 물의 입구가 된다. 내관(57a)의 상단을 초과하는 레벨까지 마무리제실(55)에 물이 쏟아 부어지면, 사이펀의 작용이 일어나고, 물은 사이펀부(57)를 통과해서 마무리제실(55)로부터 빨아내어져, 세탁조(30)로 낙하한다. The siphon part 57 is comprised from the inner tube 57a which rises perpendicularly from the bottom face of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and the cap-shaped outer surface 57b which covers the inner tube 57a. A gap through which water passe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tube 57a and the outer tube 57b. The bottom of the inner tube 57a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30. The lower end of the exterior 57b maintains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bottom face of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and the excitation becomes an inlet of water. When water is poured into the finishing chamber 55 to a level exceed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e 57a, the siphon action takes place, and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siphon portion 57 and is sucked out of the finishing chamber 55 to wash the tub. Drop to (30).

급수 밸브(50)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관(51)은 메인 급수 밸브(50a) 및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쪽에 공통이다. 급수관(52)은 메인 급수 밸브(50a)에 접속된 메인 급수관(52a)과 서브 급수 밸브(50b)에 접속된 서브 급수관(52b)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water supply valve 50 consists of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and the sub water supply valve 50b. The connection pipe 51 is common to both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and the sub water feed valve 50b. The water supply pipe 52 consists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52a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and the sub water supply pipe 52b connected to the sub water supply valve 50b.

메인 급수관(52a)은 세제실(54)에 접속되고, 서브 급수관(52b)은 마무리제실(55)에 접속되어 있다. 즉, 메인 급수관(52a)으로부터 세제실(54)을 통과하여 세탁조(30)에 쏟아지는 경로와, 서브 급수관(52b)으로부터 마무리제실(55)를 통과하여 세탁조(30)에 쏟아지는 경로는 다른 계통으로 되어 있다. The main water supply pipe 52a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chamber 54, and the sub water supply pipe 52b is connected to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That is, the path flowing through the detergent chamber 54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52a to the washing tank 30 and the path pouring from the sub water supply pipe 52b through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to the washing tank 30 are different systems. have.

도1로 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수조(20)의 저부에는 수조(20) 및 세탁조(30) 안의 물을 외하우징(10)의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호스(60)가 부착되어 있다. 배수 호스(60)에는 배수관(61) 및 배수관(62)으로부터 물이 흘러 들어간다. 배수관(61)은 수조(20)의 저면의 외주쪽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62)은 수조(20)의 저면의 중심쪽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Returning to Fig. 1, the explanation will continue.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0 is attached with a drain hose 60 for drain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0 and the washing tank 30 out of the outer housing 10. Water flows into the drain hose 60 from the drain pipe 61 and the drain pipe 62. The drain pipe 61 is connected to the loca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0. The drain pipe 62 is connected to the location near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0.

수조(20)의 내부 저면에는 배수관(62)의 접속개소를 안쪽으로 에워싸도록 환상의 격벽(63)이 고정되어 있다. 격벽(63)의 상부에는 환상의 밀봉부재(6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밀봉부재(64)가 세탁조(30)의 저부 외면에 고정한 디스크(65)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수조(20)와 세탁조(30) 사이에 독립된 배수공간(66)이 형성된다. 배수공간(66)은 세탁조(30)의 저부에 만든 배수구(67)를 통해서 세탁조(30)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The annular partition 63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water tank 20 so as to surrou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in pipe 62 inward. The annular sealing member 64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63. When the sealing member 64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65 fixed to the bottom out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30, an independent drainage space 66 is formed between the water tank 20 and the washing tank 30. The drainage space 66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washing tub 30 through a drain port 67 made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tub 30.

배수관(62)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배수밸브(68)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관(62)의 배수밸브(68)의 상류측에 닿는 개소에는 에어 트랩(69)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 트랩(69)으로부터는 도압관(70)이 연장되어 나와 있다. 도압관(70)의 상단에는 수위 스위치(71)가 접속되어 있다. The drain pipe 62 is provided with a drain valve 68 that opens and closes electronically. The air trap 69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reaches the upstream side of the drain valve 68 of the drain pipe 62. As shown in FIG. The pressure pipe 70 extends from the air trap 69. The water level switch 7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pipe 70.

외하우징(10)의 정면측에는 제어부(80)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80)는 상면판(11) 밑에 배치되어 있고, 상면판(11)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표시부(81)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지령을 받고, 구동 유닛(40), 급수 밸브(50), 및 배수밸브(68)에 동작지령을 발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조작/표시부(81)에 표시지령을 발한다. The control part 8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front side of the outer housing 10.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80 is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11,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 display unit 8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 and drives the drive unit 40 and the water supply valve 50. And an operation command to the drain valve 68. The control unit 80 also issues a display command to the operation / display unit 81.

세탁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뚜껑(16)을 열고, 세탁물 투입구(15)로 세탁조(30) 안에 세탁물을 투입한다.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는 세제를 넣는다. 필요하면, 급수구(53)의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를 넣는다. 또한, 마무리제는 세탁 공정의 도중에 넣어도 좋다.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will be described. The lid 16 is opened and the laundry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30 through the laundry inlet 15. Detergent is put into the detergent room 54 of the water supply port 53. As shown in FIG. If necessary, the finishing agent is added to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of the water supply port 53. In addition, you may put a finishing agent in the middle of a washing process.

세제의 투입준비를 갖춘 후, 뚜껑(16)을 닫고, 조작/표시부(81)의 조작 버튼 군을 조작해서 세탁조건을 고른다. 최후에 시작 버튼을 누르면, 도3 내지 도6의 플로우 챠트에 따라 세탁 공정이 수행된다. After the preparation for adding the detergent, the lid 16 is closed, and the washing / cleaning conditions are selected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group of the operation / display section 81.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last,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lowcharts of FIGS. 3 to 6.

도3은 세탁의 전체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스텝 S201에서는 설정한 시각에 세탁을 시작하는 이른바 예약운전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약운전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206으로 진행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2로 진행된다.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overall process of washing. In step S201, it is checked whether the so-called reservation operation which starts washing at the set time is selected. If the reservation operation is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6. If it is not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2.

스텝 S206으로 진행된 경우는 운전개시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의 확인이 행하여진다. 운전개시시각이 되면 스텝 S202로 진행된다. When it progresses to step S206, it is confirmed whether operation start time reached. When the operation start time com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2.

스텝 S202에서는 세탁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을 되어 있으면 스텝 S300으로 진행된다. 스텝 S300의 세탁 공정의 내용은 별도의 도4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세탁 공정 종료 후,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세탁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2에서 즉시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In step S202, whether the washing process is selected or not is checked. If a selection has been mad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0. The content of the washing process of step S300 is demonstrated by another flow chart of FIG. After the washing process end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3. If the washing process is not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directly to step S203 in step S202.

스텝 S203에서는 헹굼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00으로 진행된다. 스텝 S400의 헹굼 공정의 내용은 별도의 도5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헹굼 공정 종료 후, 스텝 S204로 진행된다. 헹굼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3에서 즉시 스텝 S204로 진행된다. In step S203, whether the rinsing process is selected or not is checked. If it is select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400. The contents of the rinsing step of step S400 will be described by another flow chart of FIG. 5. After completion of the rinsing step,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4. If no rinsing step is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directly to step S204 in step S203.

스텝 S204에서는 탈수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500으로 진행된다.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의 내용은 별도의 도6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탈수 공정 종료 후, 스텝 S205로 진행된다. 탈수 공정의 선택이 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4에서 즉시 스텝 S205로 진행된다. In step S204, it is checked whether the dehydration process is selected. If it is select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500. The content of the dehydration process of step S500 is demonstrated by another flowchart of FIG. After completion of the dehydration step,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5. If no dehydration step is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directly to step S205 in step S204.

스텝 S205에서는 제어부(80)(특히 그 중에 포함되는 연산장치(마이크로컴퓨터))의 종료처리가, 순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세탁 공정이 완료한 것을 종료음으로 보고한다. 전부 종료된 후, 세탁기(1)는 다음의 세탁 공정에 대비해서 전원 OFF상태로 대기한다. In step S205, the termination process of the control part 80 (especially the computing device (microcomputer) contained in it) advanc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order. In addition, the completion of the washing process is reported as the end sound. After all completion, the washing machine 1 waits in a power OFF state in preparation for the next washing process.

계속해서 도4 내지 도6에 근거해서 세탁, 헹굼, 탈수의 각 개별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Subsequently, each individual process of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4는 세탁 공정의 플로우 챠트이다. 스텝 S301에서는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고 있는 세탁조(30) 내의 수위 데이터의 인식이 행하여진다. 스텝 S302에서는 용량 센싱의 선택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302에서 즉시 스텝 S303으로 진행 된다. 4 is a flowchart of a washing process. In step S301, the water level data in the washing tank 30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witch 71 is recognized. In step S302,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capacity sensing is selected. If it is selected, it progresses to step S308. If not selected, the process proceeds directly to step S303 in step S302.

스텝 S308에서는 펄세이터(33)의 회전부하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한다. In step S308, the amount of laundry is measured by the rotational load of the pulsator 33.

용량 센싱 후, 스텝 S303으로 진행된다. After capacitive sensing, the flow proceeds to step S303.

스텝 S303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열리고, 메인 급수관(52a) 및 급수구를 통해서 세탁조(30)에 물이 쏟아진다.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 넣어진 세제도 물에 섞여서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배수밸브(68)는 닫혀 있다. 수위 스위치(71)가 설정수위를 검지하면, 메인 급수 밸브(50a)를 닫는다. 그리고 스텝 S304로 진행된다. In step S303,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is opened, and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ank 30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52a and the water supply port. The detergent put in the detergent chamber 54 of the water supply port 53 is also mixed with water and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30. The drain valve 68 is closed. When the water level switch 71 detects the set water level, the main water feed valve 50a is closed. The flow then advances to step S304.

스텝 S304에서는 친숙 운전을 행한다. 즉, 펄세이터(33)가 반전 회전하여, 세탁물을 물 속에서 동요시켜서, 세탁물을 물에 친숙해지게 한다. 이것에 의해,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또한, 세탁물의 각처에 붙어 있는 공기를 떼어 낸다. 친숙 운전의 결과,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는 수위가 당초보다 떨어졌을 때는 스텝 S305에서 메인 급수 밸브(50a)를 열어서 물을 보급하고, 설정수위를 회복시킨다. In step S304, familiar driving is performed. That is, the pulsator 33 reversely rotates to shake the laundry in the water, thereby making the laundry familiar with the water. This sufficiently absorbs water into the laundry. In addition, the air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laundry is removed. As a result of the familiar operation,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witch 71 is lower than the initial time, the water supply valve 50a is opened in step S305 to replenish water, and the set water level is restored.

또한, 「포질 센싱」을 행하는 세탁 코스를 골라 넣으면, 친숙 운전과 함께 포질 센싱이 실시된다. 친숙 운전을 행한 후, 설정수위로부터의 수위변화를 검출하고, 수위가 규정값 이상으로 저하되어 있으면, 흡수성이 높은 포질이라고 판단한다. In addition, if a washing course for performing "foam sensing" is selected, forensic sensing is performed along with familiar driving. After the familiar operation,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from the set water level is detected, and if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prescrib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absorbent material is highly absorbent.

스텝 S305에서 안정된 설정수위가 얻어진 후, 스텝 S306으로 옮겨간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모터(41)가 펄세이터(33)를 소정의 패턴으로 회전시켜, 세탁 조(30) 안에 세탁을 위한 주수류를 형성한다. 이 주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이 행하여진다. 탈수축(44)에는 브레이크 장치(43)에 의해 제동이 걸려 있어, 세탁물 및 세탁물이 움직여도 세탁조(30)는 회전하지 않는다. After a stable set water level is obtained in step S305, the routine advances to step S306.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motor 41 rotates the pulsator 33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main water flow for washing in the washing tub 30. Washing of laundry is performed by this main stream. Braking is applied to the dehydration shaft 44 by the brake device 43, and the washing tank 30 does not rotate even if the laundry and the laundry move.

주수류의 기간이 경과한 후, 스텝 S307로 진행된다. 스텝 S307에서는 펄세이터(33)가 조금씩 반전해서 세탁물을 풀어, 세탁조(30) 안에 세탁물이 균형 있게 배분되도록 한다. 이것은 세탁조(30)의 탈수회전에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After the period of main water flow has pass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7. In step S307, the pulsator 33 reverses little by little, loosens the laundry, and distributes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30 in a balanced manner. This is to prepare for the dehydration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30).

계속해서 도5의 플로우 챠트에 근거해서 헹굼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최초에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이 필요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도6의 플로우 챠트로 설명한다. 탈수 후, 스텝 S401로 진행된다. 스텝 S401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열리고,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행하여진다. Subsequently, the contents of the rinsing step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5. Although the dehydration process of step S500 is required initially, this is demonstrated by the flowchart of FIG. After dehydration, the flow proceeds to step S401. In step S401, the main water feed valve 50a is opened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set water level.

급수 후, 스텝 S402로 진행된다. 스텝 S402에서는 친숙 운전이 행하여진다. 친숙 운전은 세탁 공정의 스텝 S304에서 행하여진 것과 같은 것이다. After water supply, the flow proceeds to step S402. In step S402, familiar operation is performed. The familiar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performed in step S304 of the washing step.

친숙 운전 후, 스텝 S403으로 진행된다. 친숙 운전의 결과, 수위 스위치(71)가 검지하는 수위가 당초보다 떨어져 있을 때는 메인 급수 밸브(50a)를 열어서 물을 보급하고, 설정수위를 회복시킨다. After the familiar operati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3. As a result of the familiar operation,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witch 71 is farther than the original,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is opened to supply water to restore the set water level.

스텝 S403에서 설정수위를 회복한 후, 스텝 S404로 진행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모터(41)가 펄세이터(33)를 소정의 패턴으로 회전시켜, 세탁조(30) 안에 헹굼을 위한 주수류를 형성한다. 이 주수류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행하여진다. 탈수축(44)에는 브레이크 장치(43)에 의해 제동이 걸려 있어, 헹굼수 및 세탁물이 움직여도 세탁조(30)는 회전하지 않는다. After the set water level is restored in step S403, the flow proceeds to step S404.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motor 41 rotates the pulsator 33 in a predetermined pattern to form a main water stream for rinsing in the washing tank 30. This main stream of water washes the laundry. Braking is applied to the dehydration shaft 44 by the brake apparatus 43, and even if the rinsing water and the laundry move, the washing tank 30 does not rotate.

주수류의 기간이 경과한 후, 스텝 S405로 옮겨간다. 스텝 S405에서는 펄세이터(33)가 조금씩 반전해서 세탁물을 푼다. 이것에 의해, 세탁조(30) 안에 세탁물이 균형있게 배분되도록 하고, 탈수회전에 대비한다. After the period of main water flow has pass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405. In step S405, the pulsator 33 reverses little by little and loosens a laundry. In this way, the laundry is distributed in the washing tank 30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dehydration rotation is prepared.

상기 설명에서는 세탁조(30) 안에 헹굼수를 모아 두고 헹굼을 행하는 「저수 헹굼」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세탁조(30)를 저속회전시키면서 급수구(53)로 물을 쏟아 붓는 「샤워 주수」를 행하는 수도 있다. 어느 쪽을 채용할지, 또는 양쪽 모두 채용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water rinse" is performed by collecting rinsing water in the washing tank 30 and performing rinsing. have. Which one to employ, or both, is determined by the user's choice.

계속해서, 도6의 플로우 챠트에 근거해서 탈수 공정의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01에서 배수밸브(68)를 연다. 세탁조(30) 안의 세탁물은 배수공간(66)을 통해서 배수된다. 배수밸브(68)는 탈수 공정 중에는 열린 채로이다. Subsequently, the contents of the dehydration step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6. First, the drain valve 68 is opened in step S501. The laundry in the washing tub 30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space 66. The drain valve 68 remains open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세탁물에서 대부분의 세탁수가 빠진 상태에서, 클러치 장치(42) 및 브레이크 장치(43)가 전환된다. 클러치 장치(42) 및 브레이크 장치(43)의 전환 타이밍은 배수개시 전, 또는 배수와 동시라도 좋다. 그러면, 모터(41)가 이번에는 탈수축(44)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세탁조(30)가 탈수회전을 행한다. 펄세이터(33)도 세탁조(30)와 함께 회전한다. In the state where most wash water is removed from the laundry, the clutch device 42 and the brake device 43 are switched. The switching timing of the clutch device 42 and the brake device 43 may be before the start of drainage or at the same time as the drainage. Then, the motor 41 rotates the dehydration shaft 44 this time. Thereby, the washing tank 30 performs dehydration rotation. The pulsator 33 also rotates with the washing tank 30.

세탁조(3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은 원심력으로 세탁조(30)의 내주벽에 밀어붙여진다.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었던 세탁수도 세탁조(30)의 주벽내면에 모여들지만, 전술한 대로, 세탁조(30)는 테이퍼 상으로 위쪽으로 넓어져 있으므로, 원심력을 받은 세탁물은 세탁조(30)의 내면을 상승한다. 세탁수는 세탁조(30)의 상단에 겨우 도착해서 탈수 구멍(31)으로 방출된다. 탈수 구멍(31)을 벗어난 세탁 수는 수조(20)의 내면에 세게 내리쳐지고, 수조(20)의 내면을 타고 수조(20)의 저부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배수관(61)과, 거기에 이어지는 배수 호스(60)를 통과하여, 상기 세탁수는 외하우징(10) 밖으로 배출된다. When the washing tub 3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laundry is pus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washing tub 30 by centrifugal force.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is also gathered on the inner wall of the washing tank 30, bu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hing tank 30 is widened upward on the taper, the laundry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raises the inn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30. . The wash water barely arrives at the top of the washing tub 30 and is discharged to the dehydration hole 31. Washing water out of the dewatering hole 31 is hardly low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and flows down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nk 20. Then, the wash water is discharged out of the outer housing 10 through the drain pipe 61 and the drain hose 60 connected thereto.

도6의 플로우에서는 스텝 S502에서 비교적 저속의 탈수운전을 행한 후, 스텝 S503에서 고속의 탈수운전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텝 S503 후, 스텝 S504로 이행한다. 스텝 S504에서는 모터(41)에의 통전을 끊고, 정지처리를 행한다. In the flow of Fig. 6, the dewa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a relatively low speed in step S502, and the high speed dewa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step S503. After step S503, the routine advances to step S504. In step S504, power supply to the motor 41 is cut off and the stop processing is performed.

그런데, 급수 밸브(50)에는 접속관(51)을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100)이 연결된다. 이하, 도7 내지 도9에 근거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와 기능, 및 세탁기(1)에 부착되어 완수하는 역할에 대해서 설명한다. By the way, the ion elut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50 via the connection pipe 51. 7 to 9,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ion eluting unit 100 and the role of being attached to and completed the washing machine 1 will be described.

도7 및 도8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단면도이고, 도7은 수직 단면도, 도8은 모형적으로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합성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통형의 케이스(110)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10)는 통형상의 축선을 수평하게 해서 배치되는 것이며, 한 쪽에서는 통상의 유입구(111)가 상향으로 돌출하고, 다른 쪽에서는 통상의 유출구(112)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ion eluting unit 100,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nd FIG. 8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n. The ion eluting unit 100 has a cylindrical case 110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silicone, or rubber. The case 110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ylindrical axis line may be horizontal, and the normal inflow port 111 protrudes upwards on one side, and the normal outflow port 112 protrudes downwards on the other side.

유입구(111)는 외면에 수 나사부(111a)를 가지고, 유출구(112)는 내면에 암 나사부(112a)를 가지고 있다. 유출구(112)의 암 나사부(112a)를 접속관(51)의 외면에 설치한 수 나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케이스(110)는 접속관(51)에 접속되어, 급수 밸브(50)에 연통된다. 암 나사부(112a)의 가장 속 부분에는 오링(O링) (112b)이 배치되어 있다. 오링(112b)은 접속관(51)의 선단에 밀착해서 수밀부를 형성하고 있다. The inlet 111 has male threads 111a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let 112 has female threads 112a on the inner surface. By screwing the female screw portion 112a of the outlet port 112 into the male screw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51, the case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51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valve 50. . An O-ring 112b is disposed at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female screw 112a. The O-ring 112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of the connecting pipe 51 to form a watertight portion.

유입부(111)의 수 나사부(111a)에는 너트상의 접속구(111b)가 나사 결합한다(도1 참조). 접속구(111b)는 급수 호스(180)의 일단을 유입구(111)에 접속 고정한다. 급수 호스(180)의 타단은 수도의 수도꼭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A nut-shaped connecting port 111b is screwed into the male threaded portion 111a of the inflow portion 111 (see Fig. 1). The connection port 111b connects and fixes one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180 to the inlet port 111.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180 is connected to a water tap (not shown).

접속관(51)에 대한 유출구(112)의 접속양태나, 유입구(111)에 대한 급수 호스(180)의 접속양태는 상기와 같은 나사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체부 링이나 콜레트 척 방식의 접속도구 등,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 주변 관계의 접속의 기구이면 무엇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The connection mode of the outlet port 112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ipe 51, or the connection mode of the water supply hose 180 with respect to the inlet port 111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crew system. Any device for connection of water-relationships generally used in homes, such as sieve rings and collet chuck connection tools, is applicabl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탁기(1)의 백 패널(12)의 상면에 돌출한 접속관(51)에 유출구(112)를 접속하고 있지만, 유출구(112)의 접속대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급수 밸브(50)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어떠한 구성요소도 유출구(112)의 접속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세탁기(1)의 구조 여하에 따라서는 직접 급수 밸브(50)에 유출구(112)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는 급수 밸브(50)에 대해서 유출구(112)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고, 그 착탈은 세탁기(1)의 외부에서 행하여진다고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면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outlet port 11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1 which protru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panel 12 of the washing machine 1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object of the outlet port 112 is not limited to this. Any component interposed between the water supply valve 50 can be a connection target of the outlet 112.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1,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outlet 112 to the water supply valve 50 directly. In other words, the outlet 112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50 in a detachable manner so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ay be carried out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

케이스(110)는 유입구(111)가 있는 쪽의 단이 개구부가 되어 있고, 여기로 2매의 판상 전극(113, 114)이 삽입된다. 전극(113, 114)은 항균성을 가지는 금속 이온의 기초가 되는 금속, 즉 은 구리, 아연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극(113, 114) 의 크기는 예를 들면 2cm×5cm, 두께 1mm정도로 할 수 있다. As for the case 110, the stage in which the inflow port 111 is provided is an opening part, and two plate-shaped electrodes 113 and 114 are inserted here.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made of a metal that is the basis of metal ions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that is, silver copper, zinc, or the like. The sizes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can be, for example, about 2 cm x 5 cm and a thickness of about 1 mm.

전극(113, 114)은 각각 일단에 단자(115, 116)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조합되는 원판상의 캡(117)에 단자(115, 116)를 관통시킴으로써, 전극(113, 114)은 서로 간격을 두고 캡(117)에 고정된다. 케이스(110)의 개구부에 캡(117)으로 뚜껑을 덮으면, 전극(113, 114)은 케이스(110)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케이스(110)안에 고정된다. The electrodes 113 and 114 have terminals 115 and 116 at one end, respectively. By passing the terminals 115 and 116 through the disk-shaped cap 117 which is combined with the opening of the case 110,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fixed to the cap 117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When the lid is covered with the cap 117 in the opening of the case 110,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fixed in the case 110 in a form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e 110.

캡(117)에는 돔형의 방수 캡(118)이 고정되어 있다. 전원 유닛(101)(도1 참조)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급전 케이블(119)이 방수 캡(118) 안에 들어간다. 급전 케이블(119)은 그 내부에 절연 심선(119a, 119b)을 가지고 있다. 방수 캡(118) 안에서, 절연 심선(119a)은 단자(115)에 접속되어 있고, 절연 심선(119b)은 단자(116)에 접속되어 있다. The dome-shaped waterproof cap 118 is fixed to the cap 117. The feed cable 119 extending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1 (see Fig. 1) enters the waterproof cap 118. The feed cable 119 has insulated core wires 119a and 119b therein. In the waterproof cap 118, the insulated core wire 119a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15, and the insulated core wire 119b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16.

케이스(110)와 캡(117) 사이, 캡(117)과 전극(115, 116) 사이, 캡(117)과 방수 캡(118) 사이, 및 방수 캡(118)과 급전 케이블(119) 사이에는 적절히 방수 밀봉 처리가 되어, 방수 캡(118) 안으로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cap 117, between the cap 117 and the electrodes 115 and 116, between the cap 117 and the waterproof cap 118, and between the waterproof cap 118 and the feed cable 119. Watertight sealing is suitably performed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watertight cap 118.

전원 유닛(101)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회로를 내장하지만, 이 회로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원 유닛(101)으로부터는 급전 케이블(119) 외에, 상용전원에 접속하는 전원 코드(102)가 연장되어 나온다. The power supply unit 101 incorporates a drive circuit of the ion elution unit 100, but this circui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1, a power cord 102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extends in addition to the power supply cable 119.

케이스(110)의 내부에서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출구(112)를 향해서 전극(113, 11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물이 흐른다. 케이스(110) 안에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극(113, 114)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113, 114)의 양 극측에서 전극 구성 금속의 금속 이온이 용출된다. In the case 110, water flows from the inlet 111 to the outlet 112 in parallel with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When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113 and 114 in the state where water is present in the case 110, metal ions of the electrode constituent metal are eluted from both sides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도9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회로(120)의 회로구성도이다. 상용전원(121)에는 트랜스(122)가 전원 스위치(132)를 통해서 접속되어, 100V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된다. 전원 스위치(132)의 액츄에이터부는 전원 유닛(101)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어서, 밖에서 조작 가능하다. 트랜스(122)의 출력전압은 전파정류회로(123)에 의해 정류된 후, 정전압 회로(124)에서 정전압으로 한다. 정전압 회로(124)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류 회로(125)는 후술하는 전극구동회로(150)에 대해서, 전극구동회로(150) 내의 저항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9 is a circuit diagram of the drive circuit 120 of the ion eluting unit 100. The transformer 122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121 through the power switch 132, and the voltage of 100V is stepped down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e actuator portion of the power switch 132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and can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The output voltage of the transformer 122 is rectified by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123, and then the constant voltage is made constant i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24.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5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24.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5 operates to supply a constant current to the electrode drive circuit 150 described later,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in the electrode drive circuit 150.

상용전원(121)에는 트랜스(122)와 병렬로 정류 다이오드(126)가 접속된다. 정류 다이오드(126)의 출력전압은 콘덴서(127)에 의해 평활화 된 후, 정전압 회로(128)에 의해 정전압으로 되어, 마이크로컴퓨터(130)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0)는 트랜스(122)의 일차측 코일의 일단과 상용전원(121) 사이에 접속된 트라이액(129)을 기동 제어한다. The rectifier diode 126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121 in parallel with the transformer 122. The output voltage of the rectifying diode 126 is smoothed by the condenser 127, becomes a constant voltage by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28, and is supplied to the microcomputer 130. The microcomputer 130 controls the start-up of the triac 129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primary coil of the transformer 122 and the commercial power source 121.

전극구동회로(150)는 NPN형 트랜지스터 Q1 내지 Q4와 다이오드 D1, D2, 저항 R1 내지 R7을 도와 같이 접속해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1과 다이오드 D1은 포토커플러(151)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 Q2와 다이오드 D2는 포토커플러(152)를 구성한다. 즉, 다이오드 D1, D2는 포토다이오드이며, 트랜지스터 Q1, Q2는 포토 트랜지스터이다. The electrode drive circuit 150 is formed by connecting NPN transistors Q1 to Q4, diodes D1 and D2, and resistors R1 to R7 together. Transistor Q1 and diode D1 form photocoupler 151, and transistor Q2 and diode D2 form photocoupler 152. That is, diodes D1 and D2 are photodiodes, and transistors Q1 and Q2 are phototransistors.

지금, 마이크로컴퓨터(130)로부터 라인 L1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주어지고, 라인 L2에 로우 레벨의 전압 또는 OFF(제로 전압)가 주어지면, 다이오드 D2가 ON이되고, 거기에 부수해서 트랜지스터 Q2도 ON이 된다. 트랜지스터 Q2가 ON이 되면, 저항 R3, R4, R7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리고, 트랜지스터 Q3은 ON이 된다. Now, when the high level voltage is given to the line L1 from the microcomputer 130, and the low level voltage or OFF (zero voltage) is given to the line L2, the diode D2 is turned on, and the transistor Q2 is also attached thereto. ON. When the transistor Q2 is turned on, current flows through the resistors R3, R4, and R7 to bias the base of the transistor Q3, and the transistor Q3 is turned on.

한편, 다이오드 D1은 OFF므로, 트랜지스터 Q1은 OFF가 되고, 트랜지스터 Q4도 OFF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양극측의 전극(113)으로부터 음극측의 전극(114)을 향해서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양이온의 금속 이온과 음 이온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diode D1 is OFF, transistor Q1 is OFF and transistor Q4 is also OFF. In this state, a current flows from the electrode 113 on the anode side toward the electrode 114 on the cathode side. As a result, cation metal ions and negative ions are generated in the ion elution unit 100.

이온 용출 유닛(100)에 장시간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도9에서 양극측이 되어 있는 전극(113)이 감소하는 동시에, 음극측이 되어 있는 전극(114)에는 수중의 불순물이 스케일로서 고착된다. 이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성능저하를 초래하므로, 강제적 전극세정모드로 전극구동회로(150)를 운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강제적 전극세정모드에서는 라인 L1, L2의 전압을 반대로 하여, 전극(113, 114)을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마이크로컴퓨터(130)가 제어를 전환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Q1, Q4가 ON이 되고, 트랜지스터 Q2, Q3이 OFF가 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0)는 카운터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소정 카운트수에 달할 때마다 상술의 전환을 행한다. When current flows in one direction for a long time in the ion eluting unit 100, the electrode 113 on the anode side decreases while the impurities in water adhere to the electrode 114 on the cathode side as a scale. . Since this causes a de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ion eluting unit 100, the electrode driving circuit 150 can be operated in a forced electrode cleaning mode. In the forced electrode cleaning mode, the microcomputer 130 switches control so that the voltages of the lines L1 and L2 are reversed so that current flow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In this case, transistors Q1 and Q4 are turned on, and transistors Q2 and Q3 are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130 has a counter function, and performs the above-mentioned switching every time the predetermined count number is reached.

전극구동회로(150) 내의 저항의 변화, 특히 전극(113, 114)의 저항변화에 의해, 전극사이를 흐르는 전류값이 감소하는 등의 사태가 생겼을 경우는 정전류 회로(125)가 그 출력전압을 높여, 전류의 감소를 방지한다. 그렇지만, 누적사용시 간이 길어지면, 이온 용출 유닛(100)이 수명이 다하고, 강제적 전극세정모드로의 전환이나,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전압상승을 실시해도 전류감소를 막을 수 없게 된다. When a change occurs in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driving circuit 150, in particular,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decreases,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5 outputs the output voltage. Raise, preventing a decrease in current. However, if the cumulative use time becomes longer, the ion elution unit 100 will reach the end of its life, and current reduction will not be prevented even when the forced electrode cleaning mode is switched or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5 is increased.

그래서, 본 회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 114)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저항 R7에 생기는 전압에 의해 감시하고, 그 전류가 소정의 최소 전류값에 이르면, 그것을 전류 검지 회로(160)가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최소 전류값을 검출했다고 하는 정보는 포토커플러(163)를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 D3으로부터 포토 트랜지스터 Q5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13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컴퓨터(130)는 라인 L3을 통해서 경고보고수단(131)을 구동하고, 소정의 경고보고를 행하게 한다. 경고보고수단(131)은 LED나 액정 패널 등 적당한 표시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 외면에 배치되어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circuit,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electrodes 113 and 114 of the ion elution unit 100 is monitored by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resistor R7. When the current reaches a predetermined minimum current value,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160 ) Is detected. Information that the minimum current value has been detected is transmitted from the photodiode D3 constituting the photocoupler 163 to the microcomputer 130 through the photo transistor Q5. The microcomputer 130 drives the warning report means 131 through the line L3, and makes a predetermined warning report. The warning report means 131 is constituted by suitable display means such as an LED or a liquid crystal panel, and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또, 전극구동회로(150) 내에서의 쇼트 등의 사고에 대해서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 전류값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는 전류 검지 회로(161)가 준비되어 있고, 이 전류 검지 회로(161)의 출력에 근거해서 마이크로컴퓨터(130)는 경고표시수단(131)을 구동한다. 또한,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전압이 미리 정해진 최소값 이하가 되면, 전압검지회로(162)가 이것을 검지하고,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130)가 경고보고수단(131)을 구동한다. 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short in the electrode driving circuit 150, a current detection circuit 161 is provided for detecting that the curren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maximum current value or more, and the output of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161 is provided. Based on this, the microcomputer 130 drives the warning display means 131. In addition,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5 becomes below a predetermined minimum value, the voltage detection circuit 162 detects this, and the microcomputer 130 drives the warning report means 131 in the same manner.

마이크로컴퓨터(130)에는 타이머(133)가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133)는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 외면에 조작부를 가지고 있다. 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적당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The timer 133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130. The timer 133 has an operation uni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By operating this operation part, an appropriate time can be set.

이온 용출 유닛(100)과 전원 유닛(101)으로 이루어지는 항균 처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which consists of the ion elution unit 100 and the power supply unit 101 can be used as follows.

우선, 이온 용출 유닛(100)의 유출구(112)를 세탁기(1)의 접속관(51)에 부착한다. 유입구(111)에는 급수 호스(180)를 접속한다. 급수 호스(180)의 타단을 접속한 수도꼭지를 열고, 이온 용출 유닛(100)의 케이스(110)안을 물이 흐르도록 한다. 실제로 물이 흐르는 것은 급수 밸브(50)가 열렸을 때이다. 전원 유닛(101)의 전원 코드(102)를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접속한다. 전원 유닛(101)은 적당한 설치수단으로 세탁기(1)의 측면 또는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면 좋다. First, the outlet 112 of the ion elution unit 100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ipe 51 of the washing machine 1. The water supply hose 180 is connected to the inlet 111. The faucet which connected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180 is opened, and water flows in the case 110 of the ion elution unit 100. The water actually flows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0 is opened. The power cord 102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is connected to an outlet of commercial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01 may be fixed to the sid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by appropriate installation means.

금속 이온은 헹굼 공정으로 투입된다. 도5의 플로우 챠트에서 스텝 S401(급수)의 단계에 들어가면, 전원 스위치(132)를 ON으로 하여, 전극(113, 114)에 통전하고,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수중에 용출시킨다. 전극 구성 금속이 은인 경우, 양극측의 전극에 있어서 Ag→Ag++e-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에 은 이온 Ag+가 용출된다. 전극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직류이다. 금속 이온 함유수는 급수구(53)로부터 세탁조(30)에 투입된다. Metal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rinsing process. When the flow chart of Fig. 5 enters the step S401 (water supply), the power switch 132 is turned on,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energized, and ions of the electrode constituent metal are eluted in water. When the electrode constituent metal saver, in the electrode of the cathode-side Ag → Ag + + e - occurs in the reaction, water is in the Ag + ions are eluted.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electrodes is a direct current. The metal ion-contain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30 from the water supply port 53.

어느 정도의 시간을 통전 하느냐는 타이머(133)에 의해 설정된다. 헹굼수 중의 금속 이온 농도를 소정 레벨로 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헹굼수의 수량에 의해 결정된다. 그래서, 헹굼수의 양을 적당히 가늠해서 타이머(133)의 시간설정을 행 얻어. 이때, 헹굼수의 양과, 그 수량에 대해서 필요시 되는 통전 시간을 대비시킨 환산표를 준비해 두면 좋다. 환산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표면에 밀봉 첩부하 고, 인쇄, 각인 등 적당한 수단으로 표시해 두면 좋다. 전원 유닛(101)쪽에 환산표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The amount of time to energize is set by the timer 133. The time required to bring the metal ion concentration in the rinsing water to a predetermined level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the rinsing water. Thus, the timer 133 is set for time by appropriately measuring the amount of rinsing water. At this time, the conversion table which prepared the quantity of rinsing water and the energization time which is needed about the quantity may be prepared. The conversion table may be sealed and affixed on the surface of the ion elution unit 100 and displayed by appropriate means such as printing and engraving. A conversion table may be provided on the power supply unit 101 side.

스텝 S401(급수)에 있어서의 헹굼수의 주입은 메인 급수 밸브(50a)로 행하여진다. 헹굼수의 주입이 완료하기 전에 이온의 용출이 끝나 있도록 주수의 유량이 설정된다. 소정농도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소정량의 헹굼수가 세탁조(30)에 모여있는 상황에서, 메인 급수 밸브(50a)를 닫고, 급수를 종료시킨다. 이후, 스텝 S402 이하의 헹굼 공정이 실행되고, 그것에 계속해서 도6의 플로우 챠트를 따라 탈수 공정이 실행된다. Injection of the rinsing water in step S401 (water supply) is performed with the main water feed valve 50a. The flow rate of the main water is set so that the elution of the ions is finished before the rinsing water injection is completed. In a situation where a predetermined amount of rinsing water contain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s collected in the washing tank 30,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is closed to terminate the water supply. Thereafter, a rinsing step of step S402 or less is performed, followed by a dehydration step along the flow chart of FIG. 6.

헹굼 공정 중에 헹굼수가 교반되고 있는 동안, 세탁물과 금속 이온의 접촉이 촉진된다. 금속 이온은 점차 세탁물의 섬유에 부착되고, 세탁물의 표면에 항균 코팅이 형성된다. While the rinsing water is being stirred during the rinsing process, the contact between the laundry and the metal ions is promoted. Metal ions gradually adhere to the fibers of the laundry and an antimicrobial coating forms on the surface of the laundry.

마무리제를 투입하게 될 경우, 그 투입작업은 스텝 S404(주수류)의 최후 쪽에서 실행된다. 그 때는 서브 급수 밸브(50b)를 열고, 급수구(53)의 마무리제실(55)에 물을 흘린다.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가 넣어져 있으면, 그 마무리제는 사이펀부(57)로 물과 함께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마무리제실(55) 안의 수위가 소정높이에 달해서 비로소 사이펀 효과가 생기므로, 시기가 다가와서 물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될 때까지, 액체의 마무리제를 마무리제실(55)에 보유해 둘 수 있다. When the finishing agent is added, the load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end of step S404 (mainstream). In that case, the sub water feed valve 50b is opened and water flows into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of the water supply port 53. When the finishing agent is put in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the finish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washing tank 30 together with water by the siphon portion 57. Since the water level in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reaches a predetermined height, a siphon effect is generated, so that the liquid finishing agent can be held in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until the time comes and water is injected into the finishing agent chamber 55. have.

소정량(사이펀부(57)에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게 하기에 충분한 양이거나, 그 이상)의 물을 마무리제실(55)에 주입한 상황에서 서브 급수 밸브(50b)를 닫는다. 마무리제가 투입된 헹굼수는 소정시간 교반되어, 세탁물과 마무리제의 접촉이 촉진된다. 소정시간 경과 후, 스텝 S405(밸런스)로 진행된다. The sub water feed valve 50b is closed in a situ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r an amount sufficient to cause a siphon action in the siphon portion 57 or more) is injected into the finishing chamber 55. The rinsing water into which the finishing agent has been added is stirr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facilitating contact between the laundry and the finishing agent. After the elapse of the predetermined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5 (balance).

마무리제의 투입은 금속 이온을 함유한 헹굼수에 의한 헹굼의 개시 후, 소정시간의 경과를 기다려서 실행된다. 그 때문에,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유연제)를 동시에 헹굼수에 투입하면, 금속 이온이 유연제 성분과 반응해서 항균성이 감쇄된다. 그러나, 마무리제를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하면, 금속 이온이 세탁물에 충분히 부착된 후에 마무리제가 투입되게 되고,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 성분의 반응이 방해되어, 금속 이온의 항균효과를 세탁물에 남길 수 있다. The addition of the finishing agent is performed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rinsing with rinsing water containing metal ions. Therefore, when the metal ions and the finishing agent (softener) are added to the rinsing water at the same time, the metal ions react with the softening agent component to redu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However, when the finishing agent is added as described above, the finishing agent is added after the metal ions are sufficiently attached to the laundry, and the reaction between the metal ions and the finishing agent component is disturbed,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metal ions can be left on the laundry. .

전극(113, 114)을 구성하는 금속은 은 구리, 또는 은과 구리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은 이온은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구리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구리 이온은 방 곰팡이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은과 구리의 합금으로부터는 은 이온과 구리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다. The metal constituting the electrodes 113 and 114 is preferably silver copper or an alloy of silver and copper. Silver ions eluted from the silver electrode have an excellent bactericidal effect, and copper ions eluted from the copper electrode have an excellent antifungal effect. Moreover, silver ion and copper ion can be eluted simultaneously from the alloy of silver and copper.

은 이온은 양이온이며, 세탁물은 수중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있으므로, 은 이온은 세탁물에 전기적으로 흡착된다. 세탁물에 흡착된 상태에서는 은 이온은 전기적으로 중화된다. 그 때문에, 은 이온은 마무리제(유연제)의 성분인 염화물 이온(음 이온)과는 반응하기 어려워진다. 단, 은 이온은 시간을 두고서 세탁물에 흡착되어 가므로, 마무리제 투입까지 어느 정도 시간을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은 이온 투입 후의 교반시간으로서는 10분을 확보한다. 마무리제 투입 후의 교반시간은 3분 정도로 충분하다. Since silver ions are cations and laundry is negatively charged in water, silver ions are electrically adsorbed to the laundry. In the state of being adsorbed on laundry, silver ions are electrically neutralized. Therefore, silver ions become difficult to react with chloride ions (anion ion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inishing agent (softener). However, silver ions are adsorbed to the laundry over time, so a certain amount of time must be allowed to enter the finishing agent. Thus, 10 minutes is secured as the stirring time after the silver ions are introduced. The stirring time after addition of a finishing agent is enough about 3 minutes.

금속 이온은 메인 급수관(52a)으로부터 세제실(54)을 통과하여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마무리제는 마무리제실(55)로부터 세탁조(30)에 투입된다. 이렇게 금속 이온을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와, 마무리제를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가 다른 계통이기 때문에, 마무리제를 헹굼수에 투입하기 위한 경로를 금속 이온이 통과하고, 이 경로에 잔류하고 있던 마무리제에 금속 이온이 접촉해서 화합물이 되어, 항균력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Metal ions ar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30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52a through the detergent chamber 54. The finish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washing tank 30 from the finishing room 55. Since the path for introducing metal ions into the rinsing water and the path for adding the finishing agent to the rinsing water are different systems, the metal ions pass through the path for adding the finishing agent to the rinsing water and remain in this path. Metal ion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nishing agent, and the compound does not lose antimicrobial activity.

상기 구성에서는 세탁기(1)가 헹굼 공정에 들어가고 나서 전원 스위치(132)를 ON으로 하고, 타이머(133)를 시간 설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사용자에 있어서 불편하다.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washing machine 1 enters the rinsing step, the power switch 132 is turned ON and the timer 133 is set for a time,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In order to eliminate this inconvenienc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s follows.

즉, 케이스(110) 안에 유량 스위치를 설치해 둔다. 사용자는 최초에 전원 유닛(101)의 전원 스위치(132)를 ON으로 하고, 타이머(133)를 시간 설정한 후, 세탁기(1)의 스타트 키를 밀어서 세탁 공정을 시작한다. 급수 밸브(50)(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 2번째의 대량 주수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스텝 S305의 보급수의 주수는 제외한다), 즉, 스텝 S401의 헹굼수의 주수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유량 스위치가 검지하면, 마이크로컴퓨터(130)가 동작을 시작하고, 타이머(133)로 설정된 시간만큼 전극(133, 134)에 통전된다. That is, the flow switch is installed in the case 110. The user first turns on the power switch 132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sets the timer 133 for time, and then pushes the start key of the washing machine 1 to start the washing process. The second large amount of water is being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valve 50 (the main water supply valve 50a) (except the water supply of the supply water in step S305), that is, the rinsing water in the rinsing water in step S401 is performed. When the flow rate switch detects that, the microcomputer 130 starts to operate and energizes the electrodes 133 and 134 for a time set by the timer 133.

전극(113, 114)은 금속 이온의 용출을 계속하는 동안에 감모되고,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한다. 사용이 장기에 걸치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안정해지거나, 소정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그 때문에, 전극(113, 114)이 내용한계에 달한 시점에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새로운 유닛으로 교환 할 필요가 있다.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worn while continuing the elution of metal ions, and the elution amount of the metal ions decreases. In the long term, the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becomes unstable, or a predetermined elution amount cannot be secu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ion eluting unit 100 with a new unit when the electrodes 113 and 114 reach the limit of their contents.

전극(113, 114)이 내용한계에 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시행되어 있다.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des 113 and 114 have reached the content limit, the follow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on elution unit 100.

전극(113, 114)의 단자(115, 116)가 있는 쪽의 단을 「근원」, 그 반대측의 단을 「선단」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전극(113, 114)은 병렬이기는 하지만 평행하지 않고,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단일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치하면, 전극(113, 114)은 간격이 좁은 부분으로부터 금속 이온으로서 용출하므로, 전극(113, 114)은 선단으로부터 녹아 가게 된다. 따라서, 근원에서 선단까지의 길이에 착안하면, 전극(113, 114)의 체적이 어느 정도 감소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ends of the electrodes 115 and 116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referred to as "sources" and the ends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referred to as "tips". Although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parallel but not parallel, as shown in Fig. 8, the electrodes are arranged in a tapered shape so that the gap becomes narrower as the tip ends. In this arrangement,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eluted as metal ions from a narrow gap, and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melted from the tip. Therefore, by focusing on the length from the source to the tip, it is possible to grasp how much the volume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is reduced.

전극(113, 114)의 근원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를 알기 위해서, 케이스(110)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케이스(110)의 측면(정면) 또는 상면을 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투시부로 한다. 이 투시부를 통해서 전극(113, 114)의 상태를 직접 눈으로 보아서 확인하고, 이온 용출 유닛(100)이 교환의 시기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order to know the length from the source to the tip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the case 110 is configured as follows. That is, the side surface (front surface) or upper surface of the case 110 is formed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it is set as the see-through part. The state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is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is see-through part, and it is judged whether the ion eluting unit 100 has reached the time of replacement | exchange.

케이스(110)에 투시부를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케이스(110) 전체를 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하여, 전극(113, 114)의 전체를 바라볼 수 있게 해도 좋다. 또는 케이스(110)의 정면에 투명판을 끼워 넣은 슬릿을 설치하고, 이 슬릿을 통해서 전극(113, 114)을 들여다보도록 해도 좋다. In providing the see-through part in the case 110, the whole case 110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the whole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may be viewed. Alternatively, a slit in which a transparent plate is inserte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110 to look at the electrodes 113 and 114 through the slit.

투시부를 형성하는 재료는 완전히 투명일 필요는 없고, 반투명이라도 좋다. 요는 내부의 전극(113, 114)의 크기(길이)를 파악할 수 있으면 된다. The material forming the see-through portion does not need to be completely transparent, but may be translucent. The yaw needs only to know the size (length)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inside.

투시부에는 전극(113, 114)의 감소를 판정하는 눈금을 설치해 두면 좋다. 전극(113, 114)의 근원에서 선단까지의 길이가 감소를 측정하는 척도가 되므로, 전극의 선단에서 전극의 근원을 향해서 직선적으로 늘어서는 눈금을 만들어 두면 된다. 그 눈금 중,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교환의 목표가 되는 눈금은 특히 대형으로 하거나, 또는 형상을 바꾸어 두고, 교환시기를 한눈에 판정할 수 있게 해 두면 좋다. In the see-through part, a scale for determining the reduction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may be provided. Since the length from the source to the tip of the electrodes 113 and 114 is a measure of the decrease, it is sufficient to create a scale that is linearly aligned from the tip of the electrode toward the source of the electrode. Among the scales, the scale which is the target of the exchange of the ion elution unit 100 may be particularly large or the shape may be changed so that the replacement timing can be determined at a glance.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뿐이며, 전원 유닛(101)의 교환은 필요 없다. 그래서, 급전 케이블(119)의 도중에 착탈이 자유로운 커넥터부를 설치해 두고, 이온 용출 유닛(100)쪽만 신품으로 교환하고, 전원 유닛(101)은 종전의 것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 두면 좋다. Only the ion elution unit 100 requires replacement, and replacement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is not necessary. Therefore, the connector part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in the middle of the feed cable 119 may be provided, and only the ion elution unit 100 may be replaced with a new one, and the power supply unit 101 may be able to continue using the former.

전원 유닛(101)은 상용전원이 아니라 전지를 전원으로 할 수도 있다. 전지는 전원 유닛(101)의 케이스 내에 수납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 예를 들면 캠프지라든가, 상용전원은 들어와 있지만 콘센트의 개수가 부족한 집에 있어서도 항균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1 may use a battery as a power source instead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The battery may be stored in the case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performed even in places where commercial power is not available, such as campsites or houses where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but the number of outlets is insufficient.

〔실시의 형태2〕 [Embodiment 2]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10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10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수직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내지는 기능을 동일하게 하는 구성요소에는 제1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Then,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1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ion eluting unit 100. In addition, the code | symbol same as what was used for description of 1st Embodiment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which commons or functions common to 1st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2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의 케이스(110)에는 그 일단에 격자상의 통수구(110a)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1과 같이 「유입구」 「유출구」로 기능 분화한 개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통수구(110a)의 개개의 개구의 크기는 손가락 등이 전극(113, 114)에 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훅(110b)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과 마찬가지로, 방수 캡(118)의 내부에는 물이 침입하지 않게 되어 있고, 이온 용출 유닛(100)을 전부 수몰시킬 수 있다. The case 110 of the ion eluting unit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grid-like water passage 110a at one end thereof.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openings differentiated by the "inlet" and "outlet" are not provided. The size of each opening of the water passage 110a is set so that a finger or the like does not touch the electrodes 113 and 114. The hook 110b is integrally mo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10. As in the ion eluting uni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water does not enter the interior of the waterproof cap 118, and the ion eluting unit 100 can be completely submerged.

이온 용출 유닛(100)은 적어도 케이스(110)의 절반 이상을 세탁조(30)의 헹굼수 속에 수몰시켜서 이용한다. 이렇게 하면 통수구(110a)로 케이스(110)안에 물이 침입한다. 침입한 물은 전극(113, 114)에 인도되어 이것을 적신다. 여기에서, 전극(113, 114)에 전압을 인가하고,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한다. 금속 이온을 함유한 물은 통수구(110a)로 흘러 나간다. The ion eluting unit 100 submerses at least half of the case 110 in the rinsing water of the washing tub 30 to be used. This intrudes water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water outlet 110a. Invaded water is led to the electrodes 113 and 114 to wet it. He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113 and 114 to elute metal ions. Water containing metal ions flows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110a.

이온 용출 유닛(100)은 단순히 수중에 넣어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훅(110b)을 탈수 구멍(31)에 걸어서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훅(110b)에 끈 등을 걸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을 매어 달아도 좋다. 훅(110b)을 무엇인지에 걸고, 케이스(110)를 수직하게 해서 이용할 경우, 케이스(110) 안에서 공기가 빠져 나오지 않으면, 전극(113, 114)이 물에 잠기지 않으므로, 케이스(110)의 캡(117)에 가까운 쪽의 단에 공기 제거 구멍을 설치해 두면 좋다. The ion eluting unit 100 may be simply used in water or may be used by hooking the hook 110b to the dehydration hole 31. In addition, the ion eluting unit 100 may be hung by hanging a string or the like on the hook 110b. If the hook 110b is hooked on the case 110 and the case 110 is used vertically, the electrodes 113 and 114 are not submerged in water unless the air flows out of the case 110, and thus the cap of the case 110 is used. It is good to provide an air removal hole at the end near (117).

제2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은 케이스(110)를 수몰시켜, 통수구(110a)로 케이스(110)안에 물을 도입해서 전극(113, 114)을 물에 담그고,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온 용출 유닛(100)을 부착하거나 보유 하거나 하는 특별한 구조를 세탁기(1)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급수 호스(180)를 접속할 필요도 없다. The ion eluting unit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submerges the case 110, introduces water into the case 110 through the water passage 110a, soaks the electrodes 113 and 114 in water, and elutes metal ions. Since it is performed,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pecial structure in the washing machine 1 to attach or retain the ion eluting unit 100.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the water supply hose 180 to the ion elution unit 100.

또한, 세탁조(30)에 모은 물 속에서 이온 용출작업을 행하므로, 균질한 이온 함유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에 금속 이온이 균일하게 부착되고, 얼룩이 없는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on elution is performed in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shing tank 30, a homogeneous ion content can be produced. Therefore, metal ions are uniformly attached to the laundry and antibacterial effect without stains can be obtained.

또, 장기간 사용해서 이온 용출 유닛(100)의 능력이 저하했을 경우는 낡은 유닛을 버리고, 새로운 유닛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해결되고, 유닛의 교환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다. In addition, when the capacity of the ion eluting unit 100 decreas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solved by simply discarding the old unit and using a new unit.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수몰시킬 수 있는 것은 세탁기(1)의 세탁조(30) 뿐만이 아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의 케이스(110)를 담을 수 있는 용기이기만 하면 무엇이라도 좋으므로, 예를 들면 양동이, 세면기, 컵 등을 이용해서 금속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항균처리하고 싶은 것이 손수건 1장인 경우, 손수건 1장을 담그기에 충분할 만큼의 소량의 금속 이온 함유수를 작은 용기 안에 생성할 수 있어서 수자원을 낭비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washing tank 30 of the washing machine 1 is not only capable of submerging the ion eluting unit 100. As long as the container can contain the case 110 of the ion elution unit 100, any metal ion-containing water can be generated using, for example, a bucket, a washbasin, a cup, and the like. Therefore, in the case where only one handkerchief is desired to be treated with antibacterial treatment, a small amount of metal ion-containing water can be produced in a small container sufficient to soak one handkerchief, thereby not wasting water resources.

제2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원 유닛(101)을 전지로 구동하는 것으로 하면, 항균 처리 장치는 완전한 휴대성을 획득한다. 그 때문에, 야외활동의 장소에 지참해서 의류 그 외의 것을 항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 용도가 확대된다. If the power supply unit 101 of the ion elution unit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riven by a battery,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acquires complete portabil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ntibacterial treatment of clothing and others in the place of outdoor activity, and the use expands.

제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수량과 그 수량에 대해서 적량의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데 필요한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동시간을 대비시킨 환산표를 이온 용출 유닛(100) 또는 전원 유닛(101)의 표면에 형성해 두면 좋다. 사용자는 이 환산표에 근거해서 타이머를 설정하고, 적정농도의 금속 이온 함유수를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conversion table comparing the driving time of the ion eluting unit 100 required to elute an appropriate amount of metal ions with respect to the amount and the amount thereof is used for the ion eluting unit 100 or the power supply unit 101. I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e user can set a timer based on this conversion table, and generate the metal ion containing water of an appropriate density | concentration.

〔실시의 형태3〕[Embodiment 3]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11 내지 도29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1·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the same member number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 2,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항균 처리 장치(200)를 세탁기(1)에 적용했을 경우의 해당 항균 처리 장치(200)의 접속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항균 처리 장치(200)는 이온 용출 유닛(300)과, 구동 유닛(400)을 구비하고 있다. FIG. 11: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said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200 when the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20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As shown in FIG. The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200 of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drive unit 400.

이온 용출 유닛(300)은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에 의해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이다. The ion eluting unit 300 is an 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metal ions (eg, silver ions) to be added to water supplied to a water supply object (eg, laundry) by the washing machine 1 as a water supply device.

이온 용출 유닛(300)은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제1 호스(202)를 통해서 접속되고, 또한, 세탁기(1)와 제2의 호스(20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제1 호스(202), 이온 용출 유닛(300), 제2의 호스(203)를 순서대로 통해 세탁기(1)에 공급되게 된다. The ion eluting unit 300 is connected via the tap 201 of the tap water and the first hose 202, and is also connected through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second hose 203. Thereb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201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through the 1st hose 202,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the 2nd hose 203 in order.

이러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배치로부터, 이온 용출 유닛(300)은 세탁기(1)의 외부로서, 수도꼭지(201)로부터 세탁기(1)에의 물의 공급로에 배치되 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탁기(1)의 내부가 아니고, 세탁기(1)의 외부에 이온 용출 유닛(300)을 나중에 부착해서 배치할 수 있게 한 점에,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From such an arrangement of the ion eluting unit 300, it can be said that the ion eluting unit 300 is disposed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 in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faucet 201 to the washing machine 1. As described above, the great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attached and disposed later on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not inside the washing machine 1.

구동 유닛(400)은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세탁기(1)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유닛(400)은 세탁기(1) 근방의 벽이나 세탁기(1) 외면에 첩부된 훅에 의해, 걸어서 배치되어, 그 제거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The drive unit 400 is for driving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removal is freely arranged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 For example, the drive unit 400 is hanged by a hook affixed to the wall near the washing machine 1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removal thereof is freely possible.

또한, 구동 유닛(400)의 외주부는 밀봉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어, 방수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물을 다루는 기기(세탁기(1))의 옆에 구동 유닛(400)이 배치되는 외에, 누수가 생기는 장소, 물이 튀는 위험한 장소, 습도의 높은 장소 등에 구동 유닛(400)이 배치될 경우라도, 구동 유닛(400)의 내부회로에 물이나 습기 등에 의한 악영향을 주지 않고, 구동 유닛(400)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Moreover,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drive unit 400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and is waterproof. As a result, the drive unit 400 is disposed next to the apparatus (washing machine 1) that handles wat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rive unit is located at a place where water is leaked, a place where water splashes, or a place having high humidity. Even when 400 is disposed, the drive unit 400 can be reliably opera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internal circuit of the drive unit 400 by water, moisture, or the like.

또한, 구동 유닛(400)을 세탁기(1) 외면에 배치할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훅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즉, 구동 유닛(400)의 이면, 즉, 구동 유닛(400)에 있어서의 세탁기(1)와의 대향면측에, 내부회로에의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자력을 가지는 자석을 배치하고, 이 자석의 자력에 의해 구동 유닛(400)을 세탁기(1)의 외면에 제거가 자유롭게 접촉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물론 상관없다. In addition, when arrange | positioning the drive unit 40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it does not use a hook as mentioned above but may be as follows. That is, a magnet having a magnetic force that does not affect the internal circui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rive unit 400,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washing machine 1 in the drive unit 400, and th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rive unit 400 can be freely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by magnetic force.

또한, 구동 유닛(400)은 코드(500)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전기적 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구동 유닛(400)으로부터 코드(500)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rive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on eluting unit 300 through the cord 500. Thereby, the voltage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supplied from the drive unit 400 to the ion eluting unit 300 via the cord 500.

이하, 이온 용출 유닛(300), 구동 유닛(40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우선,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before demonstrating the detail of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the drive unit 400, the 1st hose 202 and the 2nd hose 203 are demonstrated first.

(1. 제1 호스)(1.the first hose)

도12는 제1 호스(202)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 호스(202)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하는 것이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본체(210)와, 제1 접속부(211)와, 제2 접속부(212)로 구성되어 있다.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se 202. The first hose 202 connects the faucet 201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of the water supply, and has a flexible hose body 210, a first connection part 21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12. It consists of).

(1-1. 제1 접속부) (1-1.First connection part)

제1 접속부(211)는 호스 본체(2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고,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연통 접속된다. 제1 접속부(211)는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1st connection part 211 is provided in the one end of the hose main body 210, and is connected and communicates with the tap 201 of water supply. As shown in FIG. 13, the 1st connection part 211 is comprised so that the fastening part 221 and the movable means 222 are separable.

우선, 체결부(221)에 대해서 설명한다. 체결부(221)는 금구(231)와, 나사 결합부(232)로 구성되어 있다. First, the fastening part 221 is demonstrated. The fastening part 221 is comprised from the metal fitting 231 and the screw coupling part 232. As shown in FIG.

금구(231)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의 선단에 부착되는 대략 원통상의 고정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금구(231)의 외면의 위쪽에는 4개의 비스가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고, 금구(231)를 수도꼭지(201)에 끼워서 이들 비스로 조여 붙임으로써, 금구(231)가 수도꼭지(201)에 고정된다. 따라서, 간단한 공구의 이용 으로 금구(231)를 수도꼭지(201)에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 금구(231)의 외면으로서, 비스 위치보다도 아래쪽에는 나사 홈이 새겨져 있다. 또한, 금구(231)의 내부에는 밀봉용의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가 내장되어 있다. The bracket 231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ixing member attached to the tip of the faucet 201 of the tap. Specifically, four screws are arranged equ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fittings 231, and the metal fittings 231 are attached to the faucets 201 by fastening them with these screws. 201). Therefore, the bracket 231 can be reliably fastened to the faucet 201 by using a simple tool. As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fitting 231, a screw groove is engraved below the screw position.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for example, rubber) for sealing is incorporated in the bracket 231.

나사 결합부(232)는 금구(231)의 외면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 홈이 내면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232a)와, 제1 원통부(232a)의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2 원통부(232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원통부(232a) 및 제2 원통부(232b)에 있어서의 호스 본체(210)측의 개구부를, 도넛상의 원반의 외주 및 내주를 따르도록 해당 원반 위에 접합함으로써, 나사 결합부(232)가 구성되어 있다. The screw engaging portion 232 has a predetermined cylindrical inner space between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32a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32a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with a screw groo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fitting 231. It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econd cylindrical portion 232b is formed with a. And the screw engaging part is joined by joining the opening part of the hose main body 210 side in these 1st cylindrical part 232a and the 2nd cylindrical part 232b on the said disk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of a donut-shaped disk. 232 is configured.

이러한 나사 결합부(232)의 저부에는 제2 원통부(232b)와 연통하는 접속관(23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접속관(233)은 가동수단(222)에 삽통되었을 때, 체결부(221)안을 지나는 물을, 접속관(233)을 통해서 가동수단(222)에 유도한다. 이 접속관(233)의 외면에는 가동수단(222)의 후술하는 강철공(241a)이 약간 빠지는 홈부(233a)(도1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결합부(232)의 제1 원통부(232a)의 외면에는 가동수단(222)의 후술하는 걸림부(244)에 의해 걸리는 날밑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on pipe 233 which communicates with the 2nd cylindrical part 232b is integrally formed by the bottom part of this screw engaging part 232. As shown in FIG. When the connection pipe 233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means 222,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221 is guided to the movable means 222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3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233, a groove portion 233a (see Fig. 14) is formed in which the steel ball 241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movable means 222 is slightly removed. In add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232a of the screw engaging portion 232, a blade portion 234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244 described later of the movable means 222 is formed.

한편, 가동수단(222)은 삽통부(241)와, 가동부(242)와, 접속부(243)와, 걸림부(244)로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means 222 is comprised by the insertion part 241, the movable part 242, the connection part 243, and the locking part 244. As shown in FIG.

삽통부(241)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안쪽에 상기의 접속관(233)이 삽통된다. 삽통부(241)의 내경은 접속관(233)의 외경과 거의 같다. 이 삽통부(241)의 벽부에는 삽통부(241)의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이하, 반경방향이라고 기재한다)으로 이동 가능한 소직경의 강철공(241a)이, 벽부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4개소 설치되어 있다. 이 강철공(241a)은 상기 벽부의 두께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The insertion part 241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said connection pipe 233 is inserted in the inside.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art 24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pipe 233. The small diameter steel ball 241a which can mov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of the insertion part 241 (henceforth a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wall part of the insertion part 241 equ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wall part. Four places are installed. This steel ball 241a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all portion.

가동부(242)는 삽통부(241)를 밖에서 약간의 틈을 통해서 덮는 동시에,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부분이며, 거의 원통상을 이루고 있다. 이 가동부(242)는 유수 방향의 상류측(호스 본체(210)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용수철 등의 압박 수단(245)(도 14 참조)에 의해 압박되어 있고, 하류측(호스 본체(210)측)에는 이것을 수동으로 밀어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movable part 242 covers the insertion part 241 through a some gap from the outside, and is the part which can move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which flows inside, and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This movable part 242 is pressed by the press means 245 (refer FIG. 14), such as a spring, toward the upstream side (opposite to the hose main body 210 side) of a flow direction, and is downstream (hose main body 210). It is possible to push this manually on the side).

접속부(243)는 호스 본체(210)와 연통 접속되는 부분이다. 걸림부(244)는 가동부(242)의 외면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고, 접속관(233)의 삽통부(241)에의 삽통을 완료시켰을 때, 체결부(221)의 날밑부(234)를 건다. The connection part 243 is a part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hose main body 210. The locking part 244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part 242, and when the insertion of the connection pipe 233 into the insertion part 241 is completed, it hangs the blade base 234 of the fastening part 221. .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1 호스(202)를 수도꼭지(201)에 고정할 때는 우선, 체결부(221)를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고정한다. 즉, 금구(231)를 비스 고정에 의해 수도꼭지(201)에 고정하는 동시에, 이 금구(231)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부(232)의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해서, 이것들을 고정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fixing the first hose 202 to the faucet 201, the fastening portion 221 is first fixed to the faucet 201 of the tap. That is, the bracket 231 is fixed to the faucet 201 by screw fixing, and the screw groove of the bracket 231 and the screw groove of the screw engaging portion 232 are screwed to fix them.

그 후, 가동수단(222)의 가동부(242)를 수동으로 유수 방향 하류측으로 밀어 내려서 유지하면서, 체결부(221)의 접속관(233)에 삽통부(241)를 집어넣는다. 이때, 강철공(241a)에는 삽통부(241)의 반경방향으로 조금도 누름력이 결려 있지 않으므로, 접속관(233)은 강철공(241a)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쫓아 보내면서, 삽통 부(241)의 안쪽으로 삽통된다. Thereafter, the insertion portion 24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233 of the fastening portion 221 while manually pushing the movable portion 242 of the movable means 222 downward. At this time, the steel ball 241a does not have any pressing for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41, so that the connecting pipe 233 drives the steel hole 241a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us the insertion portion 24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삽통이 완료된 시점에서 가동부(242)로부터 손을 떼면,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박 수단(245)의 압박력에 의해, 가동부(242)는 체결부(22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부(242)의 내면이 삽통부(241)의 강철공(241a)과 접촉하고, 강철공(241a)에 대해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누름력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강철공(241a)이, 삽통부(241)에 삽통된 접속관(233)의 홈부(233a)에 빠져서 눌러,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이 서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때 동시에, 체결부(221)의 날밑부(234)가, 가동수단(222)의 걸림부(244)에 의해 걸려, 체결부(221)로부터의 가동수단(222)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movable portion 242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4, the movable portion 24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221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ans 245.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portion 242 is in contact with the steel ball 241a of the insertion portion 241, and a pressing force is applied inwardly from the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teel ball 241a. Thereby, the steel ball 241a falls into the groove part 233a of the connection pipe 23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41, and is pressed, and the fastening part 221 and the movable means 222 are mutually fixed. At the same time, the bottom portion 234 of the fastening portion 221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244 of the movable means 222 to ensure that the movable means 222 is removed from the fastening portion 221. Is prevented.

한편,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을 분리할 때는 수동에 의해 걸림부(244)과 날밑부(234)의 걸림을 해제하면서, 가동부(242)를 수동으로 유수 방향 하류측으로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242)에 의한 강철공(241a)에의 누름이 해제되므로, 강철공(241a)에 의한 접속관(233)의 누름이 해제된다. 따라서, 삽통부(241)로부터 접속관(233)을 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체결부(221)와 가동수단(222)을 분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separating the fastening part 221 and the movable means 222, the movable part 242 is manually pushed down to the flow direction downstream,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part 244 and the blade | wing part 234 manually. . As a result, the pressing on the steel ball 241a by the movable portion 242 is released, so that the pressing of the connecting pipe 233 by the steel ball 241a is released. 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233 can be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part 241, and the fastening part 221 and the movable means 222 can be isolate | separated.

이와 같이, 제1 접속부(211)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부착되는 체결부(221)와, 이 체결부(221)의 접속관(233)에 대해서 삽탈 가능한 가동수단(222)을 가지고 있고, 가동수단(222)은 (a)접속관(233)이 삽통되는 삽통부(241)와, (b)호스 본체(210)와 연결되어 접속관(233)의 삽탈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접속관(233)의 삽통부(241)에의 삽통 시에 이동함으로써, 삽통부(241)에 설치된 누름부재(강철공(241a))를 접속관(233)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가동부(242)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Thus, the 1st connection part 211 has the fastening part 221 attached to the tap 201 of water supply, and the movable means 222 which can be re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ipe 233 of this fastening part 221, The movable means 222 is connected to (a) the insertion portion 241 into which the connection tube 233 is inserted, and (b) the hose main body 2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inserting / re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ube 233. By moving at the time of insertion into the insertion part 241 of the pipe 233, the movable part 242 which presses the pressing member (steel ball 241a) provided in the insertion part 241 in the direction which contacts a connection pipe 233 is pressed. It is a configuration.

이러한 가동수단(222)을 이용함으로써, 가동수단(222)의 원 터치로 체결부(221)와 호스 본체(210)를 연통 접속하거나, 분리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주부)이나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이들 양자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By using such movable means 222, the fastening part 221 and the hose main body 210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one touch of the movable means 222. FIG. Therefore, even a woman (housewife) and a person with weak strength can be easily detached from both of them.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유수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서 가동부(242)를 압박 하는 압박 수단(245)을 가동수단(222)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그 압박력에 의해 가동부(242)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부(242)의 유수 방향 상류측에의 이동에 의해, 강철공(241a)을 접속관(233)에 용이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그 결과, 접속관(233)과 가동수단(222)의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ing means 245 is provided on the movable means 222 to press the movable portion 242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flow direction, the movable portion 242 can be easily moved by the pressing force. Since it can move, the steel hole 241a can be easily pushed to the connection pipe 233 by the movement to the flow direction upstream of the movable part 242. FIG. As a result, fixing of the connection pipe 233 and the movable means 222 can be realized more easily.

또한, 가동수단(222)으로서는 나사식으로 가동부(242)를 이동시키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단쪽이 사용성이 좋고, 느슨해질 걱정도 없고 고정이 확실하다. Moreover,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moves the movable part 242 by a screw type can also be considered as the movable means 222, the means demonstrated by this embodiment is usable, and there is no worry of loosening, and fixing is ensured.

또, 이상에서는 체결부(221)에 있어서, 금구(231)와 나사 결합부(232)가 분리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말했지만, 이것들은 처음부터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는 금구(231)를 수도꼭지(201)의 선단에 삽입하고, 비스를 조여 붙이는 것만으로, 체결부(221)를 수도꼭지(201)에 부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metal fitting 231 and the screw engagement part 232 are separable in the fastening part 221 was mentioned above, these may be comprised integrally from the beginning. In this case, the fastening part 221 can be attached to the faucet 201 only by inserting the metal fitting 231 in the front-end | tip of the faucet 201, and fastening a screw.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는 원래, 금구(231)에 상당하는 것이 고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체결부(221)로서는 금구(231)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나사 결합부(232)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금구(231)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점수가 삭감되므로,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what corresponds to the metal fitting 231 may be stuck to the tap 201 of a water supply originally. In this case, the fastening part 221 does not need the bracket 231, and can be comprised only by the screw engaging part 232. In this case, since the bracket 231 becomes unnecessary and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의 제1 접속부(211)의 체결부(221)는 (a)금구(231)와 나사 결합부(232)가 분리 가능 또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b)수도의 수도꼭지(201)에 부착된 금구와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 결합부(232)만으로 구성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fastening part 221 of the 1st connection part 211 of this embodiment is (a) the metal fitting 231 and the screw coupling part 232 detachable or integrally comprised, or (b) It can be said that it can be configured only with a screw engaging portion 232 that can be screwed and the bracket attached to the faucet 201 of.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따라서는 상술한 나사 결합부(232)에 상당하는 것이 미리 형성된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접속부(211)를 가동수단(222)만으로 구성함으로써, 그러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도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체결부(221)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ap 201 of a water supply, what corresponded to the screw engagement part 232 mentioned above may be previously 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1 is constituted only by the movable means 222, so that the faucet 201 of the water supply can be coped with, and the cost of the product can be lowered as the fastening portion 221 is unnecessary.

(1-2. 제2 접속부) (1-2.2nd connection part)

제1 호스(202)의 제2 접속부(212)는 호스 본체(2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과 연통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접속부(212)는 상술한 제1 접속부(211)의 가동수단(222)과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다.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12 of the first hose 20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ose main body 210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on eluting unit 300. In this embodiment, the 2nd connection part 212 is the structure exactly the same as the movable means 222 of the 1st connection part 211 mentioned above.

따라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할 때는 이하와 같이 하면 좋다. 우선, 도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부(242)를 호스 본체(210)측(유수 방향 상류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서 유지한 채, 제1 호스(202)에 있어서의 제2 접속부(212)의 가동수단(222)의 삽통부(241)의 안쪽에,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1 접속부(302)를 삽통한다. Therefore, what is necessary is just as follows when connecting the 1st hose 202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to communicate. First, as shown in Fig. 15A, the movable part 242 is manually moved to the hose main body 210 side (flow direction in the upstream side), and is held in the first hose 202.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41 of the movable means 222 of the connecting portion 212.

그리고, 도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통이 완료한 시점에서, 가동부(242)로부터 손을 떼고, 압박 수단(245)의 압박력에 의해 가동부(242)를 이온 용출 유닛(30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동부(242)가 강철공(241a)을 삽통부(241)의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서 누르고, 강철공(241a)이 제1 접속부(302)의 접속관(302a)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302c)(도15의 (a) 참조)에 빠져서 제1 접속부(302)를 누르게 된다. 이 결과, 제2 접속부(212)와 제1 접속부(302)가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15B,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movable portion 242, and the movable portion 242 is moved to the ion eluting unit 30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ans 245. To the side. Thereby, the movable part 242 presses the steel ball 241a toward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art 241, and the steel ball 241a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302a of the 1st connection part 302. As shown in FI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02 is pushed down by entering the groove portion 302c (see Fig. 15A). As a resul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12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are fixed.

또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분리할 때는 가동부(242)를 호스 본체(210)측(유수 방향 상류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강철공(241a)에 의한 제1 접속부(302)의 누름을 해제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삽통부(241)로부터 제1 접속부(302)를 뺄 수 있고,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1st hose 202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are isolate | separated, the movable part 242 is moved to the hose main body 210 side (flow direction upstream side) manually, 1 It is good to release the press of the connection part 302. Thereby, the 1st connection part 302 can be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part 241, and the 1st hose 202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isolate | separated.

이와 같이, 제2 접속부(212)가 가동수단(222)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가동수단(222)의 원 터치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하거나, 분리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양자를 누구나 간단히 착탈할 수 있는 등, 제1 접속부(211)를 설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12 includes the movable means 222, the first hose 202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are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one touch of the movable means 222. can do.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the case where the 1st connection part 211 is provided, such that both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can be acquired.

(2. 제2의 호스)(Second hose)

도11에 도시한 제2의 호스(203)는 이온 용출 유닛(300)과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를 연통 접속하는 것이다. 제2의 호스(203)는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본체와, 이 호스 본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로 구성되어 있다. The second hose 203 shown in FIG. 11 connects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washing machine 1 as a water supply apparatus. The 2nd hose 203 is comprised from the flexible hose main body, and the 1st connection part and 2nd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both ends of this hose main body, respectively.

여기에서, 제2의 호스(203)의 호스 본체는 제1 호스(202)의 호스 본체(210)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제2의 호스(203)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제1 호스(202)의 제1 접속부(211) 또는 제2 접속부(212)를 구성하는 가동수단(222)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호스(202)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할 경우와 완전히 같은 방법에 의해, 가동수단(222)의 원 터치에 의해, 제2의 호스(203)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용이하게 접속 또는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제2의 호스(203)와 세탁기(1)를 용이하게 접속 또는 분리 및 할 수 있다. Here, the hose body of the second hose 203 corresponds to the hose body 210 of the first hose 202. In addition, the 1st connection part and the 2nd connection part of the 2nd hose 203 are comprised only the movable means 222 which comprises the 1st connection part 211 or the 2nd connection part 212 of the 1st hose 202. FIG. . Therefore, the second hose 203 and the ion eluting unit 300 are controlled by the one-touch of the movable means 222 by the same method as in the case where the first hose 202 and the ion eluting unit 300 are connected in communication. ) Can be easily connected or disconnected, and the second hose 203 and the washing machine 1 can be easily connected or disconnected.

이상에서 설명한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는 고무나 수지 등으로 플렉시블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와 연통 접속되어 있는 부분에 진동(충격파)이 가해지거나, 외력(고압)이 걸리거나 했을 경우라도, 제1 호스(202) 또는 제2의 호스(203)의 유연성에 의해, 그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와 접속되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고장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연통 접속부분에서의 누수의 걱정도 거의 없고, 이온 용출 유닛(3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1st hose 202 and the 2nd hose 203 demonstrated above can be comprised flexibly with rubber | gum, resin, etc. As a result, even when vibration (shock wave) is applied or an external force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portion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hose 202 and the second hose 203, the first hose 202 Alternatively, the impact and the like can be alleviated by the flexibility of the second hose 203. Therefore, the burden on the ion eluting unit 300 connected to the 1st hose 202 and the 2nd hose 203 can be reduced, the occurrence of a breakdown etc. can be suppressed, and the worry of leaking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is carried out. There is little, and the reliability of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improved.

또한, 이상에서는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가, 모두, 그 양단에 가동수단(222)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 본체(210)의 일단(예를 들면 제2 접속부(212))에, 호스 본체(210) 내부의 유수 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내면에 나사 홈을 자른 캡식의 접속부를 설치하고,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 스(203)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 캡식의 접속부는 호스 본체(210)의 양단 (제1 접속부(211) 및 제2 접속부(212))에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1st hose 202 and the 2nd hose 203 have the movable means 222 at both ends was demonstrat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one end of the hose main body 210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2) is rotatable about the flow direction in the hose main body 210 in the axis. The cap-shaped connection part cut off the screw groove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urface, and the 1st hose 202 and the 2nd hose 203 may be comprised. In addition, this cap-typ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both ends (the 1st connection part 211 and the 2nd connection part 212) of the hose main body 210. FIG.

예를 들면,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의 접속대상(수도꼭지(201), 이온 용출 유닛(300), 세탁기(1))에 있어서의 피접속부가, 외면에 나사 홈을 자른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의 제1 호스(202) 및 제2의 호스(203)를 이용하면, 상기 캡상의 접속부의 회전에 의해, 서로의 접속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12의 구성에 비교해서, 접속부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제품 비용을 낮출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to-be-connected part in the connection object (faucet 201, ion elution unit 300, washing machine 1) of the 1st hose 202 and the 2nd hose 203 is a screw groove on the outer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cylindrical shape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the first hose 202 and the second hose 203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easily connect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cap-shaped connecting portion. have.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in FIG. 12, the number of parts in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구성형태에 따라, 제1 호스(202)를 이온 용출 유닛(300)에 직접 접속하거나, 제1 호스(202)를 나사식이나 록식의 체결부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에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Further,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ion eluting unit 300, the first hose 20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on eluting unit 300, or the first hose 202 is screwed or locked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ion eluting unit 300. You may be connected to (300).

(3. 이온 용출 유닛) (3. Ion elution unit)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is demonstrated.

도17은 제1 호스(202)를 접속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18 내지 도20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1 호스(202)를 통해서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접속했을 때의, 해당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정면도, 이온 용출 유닛(300)의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 및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the ion eluting unit 300 to which the first hose 202 is connected. 18 to 20 are front views of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ion eluting unit when the ion elut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tap 201 of the water supply via the first hose 202. Sectional view when seen from the back of 300, and sectional view when seen from the side are shown, respectively.

이온 용출 유닛(300)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으로 이접 가능한 2개의 바스켓을 접합해서 이루어지는 케이스(300a)를 가지고 있다. 이 케이스(300a) 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제1 호스(202)의 접속부가 숨겨져, 외관상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The ion eluting unit 300 has a casing 300a formed by joining two baskets tha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low direction of water flowing therein. By this case 300a, the connection part of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the 1st hose 202 is hidden, and it does not spoil an external appearance.

또한, 도21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이온 용출 유닛(300)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22는 이온 용출 유닛(300)을 측방에서 보았을 때의, 이온 용출 유닛(300)의 내부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2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eluting unit 300 in detail when the ion eluting unit 300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22 is a side view of the ion eluting unit 300 when viewed from the side. ,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in detail.

이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300)은 유닛 본체(301)와, 제1 접속부(302)와, 제2 접속부(303)를 가지고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ion eluting unit 300 has a unit main body 301, a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303. Hereinafter, each structure is demonstrated.

(3-1. 제1 접속부) (3-1.First connection part)

제1 접속부(302)는 상술한 제1 호스(202)와 유닛 본체(301)를 연통 접속하는 것이며, 유닛 본체(30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접속부(302)는 접속관(302a)과, 날밑부(302b)로 구성되어 있다. The 1st connection part 302 connects the 1st hose 202 mentioned above and the unit main body 301,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nit main body 301. As shown in FIG. This 1st connection part 302 is comprised from the connection pipe 302a and the blade | wing part 302b.

접속관(302a)은 제1 호스(202)의 제2 접속부(212)의 삽통부(241)에 삽통되는 것이다. 날밑부(302b)는 접속관(302a)이 삽통부(241)에 삽통되었을 때, 제1 호스(202)의 걸림부(244)에 의해 걸리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제1 호스(202)의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The connecting pipe 302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41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12 of the first hose 202. The blade portion 302b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244 of the first hose 202 when the connecting pipe 302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41, whereby Leaving from the ion elution unit 300 is reliably prevented.

여기에서, 제1 접속부(302)는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도23은 제1 접속부(302)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제1 접속부(302)는 금구(304)와, 나사 결합부(305)로 구성되어 있다. 금구(304)는 제1 호스(202)의 제1 접속부(211)의 금구(231)와 완전히 같은 구성이다. Here, you may comprise the 1st connection part 302 as follows.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This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is composed of a metal fitting 304 and a screw engaging portion 305. The bracket 304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racket 231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1 of the first hose 202.

또한, 나사 결합부(305)는 상기 제1 접속부(211)의 나사 결합부(232)와 완전히 같은 구성이다. 즉, 나사 결합부(305)는 금구(304)의 외면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 홈이 내면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제1 원통부(305a)와, 제1 원통부(305a)의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2 원통부(30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원통부(305a) 및 제2 원통부(305b)에 있어서의 유닛 본체(301)측의 개구부를, 도넛상 원반의 외주 및 내주를 따르도록 해당 원반 위에 접합함으로써, 나사 결합부(305)가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crew coupling portion 30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crew coupling portion 232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1. That is, the screw engaging portion 305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05a and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05a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with a screw groove for scre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etal fitting 304. It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econd cylindrical portion 305b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crew engaging part is joined by joining the opening part of the unit main body 301 side in these 1st cylindrical part 305a and the 2nd cylindrical part 305b on the said disk so that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ner periphery of a donut-shaped disk may be followed. 305 is configured.

나사 결합부(305)의 저부에는 제2 원통부(305b)와 연통하는 유닛 본체(3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원통부(305b)는 제1 호스(202)의 가동수단(222)의 삽통부(241)에 삽통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unit main body 301 which communicates with the 2nd cylindrical part 305b is integrally form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crew engaging part 305. As shown in FIG.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05b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241 of the movable means 222 of the first hose 202.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원통부(305b)를 제1 호스(202)의 삽통부(241)에 삽통해서 고정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제1 호스(202)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1 호스(202)를 통해서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다. With this structure,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first hose 202 are connect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305b to the insertion portion 241 of the first hose 202. As a result,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connected to the faucet 201 of the water supply via the first hose 202.

한편, 수도꼭지(201)에 금구(304)를 나사 고정하고, 금구(304)의 나사 홈을 제1 원통부(305a)의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호스(202)를 이용하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직접, 수도꼭지(201)에 연통 접속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by screwing the bracket 304 to the faucet 201 and screwing the screw groove of the bracket 304 with the screw groov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305a, the first hose 202 is not used.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als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aucet 201.

따라서, 이러한 제1 접속부(302)의 구성에 따르면, 수도꼭지(201)와 이온 용출 유닛(300)을 연통 접속함에 있어서, 제1 호스(202)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 지 않을 경우의 양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such a 1st connection part 302, when connecting the faucet 201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it is easy to use both the case of using the 1st hose 202, and when not using. Can cope.

(3-2. 제2 접속부)(3-2.2nd connection part)

도21 및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접속부(303)는 상술한 제2의 호스(203)(도11 참조)와 유닛 본체(301)를 연통 접속하는 것으로, 유닛 본체(30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접속부(303)는 접속관(303a)과, 날밑부(303b)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1 and FIG. 22, the 2nd connection part 303 connects the 2nd hose 203 (refer FIG. 11) and the unit main body 301 mentioned above, and connects with the unit main body 301. FIG. It is formed integrally. This 2nd connection part 303 is comprised from the connection pipe 303a and the blade | wing part 303b.

접속관(303a)은 제2의 호스(203)의 제1 접속부의 삽통부에 삽통된다. 날밑부(303b)는 접속관(303a)이 상기 삽통부에 삽통되었을 때, 제2의 호스(203)의 걸림부에 의해 걸리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제2의 호스(203)의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빠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The connecting pipe 303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hose 203. The blade 303b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of the second hose 203 when the connecting pipe 303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reby the ion eluting unit of the second hose 203. Leaving from 300 is surely prevented.

또한, 접속관(303a)은 세탁기(1)의 접속관(51)(도1 참조)에 끼워 맞춤 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303a is also formed in the shape fitted to the connection pipe 51 (refer FIG. 1) of the washing machine 1.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관(303a)을 제2의 호스(203)의 삽통부(241)에 삽통해서 고정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과 제2의 호스(203)가 접속된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2의 호스(203)를 통해서 세탁기(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접속관(303a)을 세탁기(1)의 접속관(51)에 끼워 넣으면,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를 직접 연통 접속할 수도 있다. With this structure,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second hose 203 are connected by inserting and fixing the connection pipe 303a to the insertion portion 241 of the second hose 203. Therefore,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washing machine 1 via the second hose 203.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pipe 303a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51 of the washing machine 1,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washing machine 1 can also be directly connected.

따라서, 제2 접속부(303)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를 연통 접속함에 있어서, 제2의 호스(203)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용하지 않을 경우의 양쪽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of the 2nd connection part 303, in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the washing machine 1, both when using the 2nd hose 203 and when not using it, Can cope easily.

이상과 같이, 이온 용출 유닛(300)에 상술의 제1 접속부(302) 및 제2 접속부(303)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간단히,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1 호스(202) 또는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제2의 호스(203) 또는 세탁기(1)와 연통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by providing the above-mentioned 1st connection part 302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03 in the ion elution unit 300,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also be easily connected to the 1st hose 202 or water structure structurally.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faucet 201,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hose 203 or the washing machine 1. Therefore, the product cost of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lowered.

(3-3. 유닛 본체)(3-3.Unit body)

유닛 본체(301)는 절연재료(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그 내부를 흘러, 세탁기(1)에 공급된다. 유닛 본체(301)는 한 쌍의 전극(311, 312)을 내포하고 있는 동시에, 전극(311, 312)의 각각 대응하는 단자부(313, 314)와, 검지부(315)를 가지고 있다. The unit main body 301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resin), and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201 flows therein and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The unit main body 301 contains a pair of electrodes 311 and 312, and has corresponding terminal portions 313 and 314 and detection portions 315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respectively.

(3-3-1. 전극)(3-3-1.electrode)

전극(311, 312)은 예를 들면 1cm×3cm, 두께 O.5mm정도의 평판상의 은 플레이트로 각각 구성되어 있고, 유닛 본체(301) 내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 상류측(도21 및 도22에서는 위쪽)으로부터 하류측(도21 및 도22에서는 아래쪽)을 향해서 서로의 대향면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유닛 본체(301)안에 배치되어 있다.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each composed of, for example, a flat silver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 cm x 3 cm and a thickness of about 0.5 mm, and the upstream side of the water flowing in the unit main body 301 (Figs. 21 and 22).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nit main body 301 so that the space | interval of mutually opposing surfaces may narrow from the upper side to the downstream side (lower side in FIG. 21 and FIG. 22).

후술하는 구동 유닛(400)으로부터, 코드(500) 및 단자부(313, 314)를 통해서 한 쌍의 전극(311, 312)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이 용출된다. 그리고, 유닛 본체(301) 내부를 흐르는 물에 상기의 금속 이온이 첨가되어, 그 물이 금속 이온 첨가수로서 세탁기(1)에 공급되게 된다. Metal ions are eluted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by applying a voltage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311 and 312 through the cord 500 and the terminal portions 313 and 314 from the drive unit 400 described later. . The metal ions are added to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unit main body 301,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as the metal ion added water.

전극(311, 312)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은 구리, 아연 또는 그들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은 이온, 아연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아연 이온은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구리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구리 이온은 방 곰팡이성이 뛰어나다. 또한, 이들의 합금으로부터는 성분금속의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으므로, 뛰어난 살균효과 및 방 곰팡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극(311, 312)을 적당한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그 금속 이온 고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a metal which comprises the electrodes 311 and 312,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silver copper, zinc, or their alloys. Silver ions eluted from the silver electrode and zinc ions eluted from the zinc electrode have an excellent bactericidal effect, and copper ions eluted from the copper electrode have excellent antifungal properties. Further, from these alloys, ions of the component metals can be eluted at the same time, so that excellent sterilization and antifungal effects can be obtained. Therefore, by constructing the electrodes 311 and 312 from a suitable metal, the effects inherent in the metal ions can be obtained.

또한, 양쪽의 전극(311, 312)을 반드시 같은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또, 한 쪽의 전극을 불용성의 전극(예를 들면 티탄)이나 탄소전극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In addition,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both sides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mprised of the same metal, and one electrode may be comprised by an insoluble electrode (for example, titanium) or a carbon electrode.

여기에서, 전극(311, 312)을 은 전극으로 했을 경우의 항균 기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Here, if it demonstrates concretely about the antimicrobial mechanism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made into silver electrodes, it is as follows.

예를 들면, 땀을 흘렸을 때, 의류가 냄새나는 것은 균의 번식이 원인이다. 땀은 원래 무취이며,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글리세리드를 그 성분의 하나로서 포함하고 있지만, 균이 그 글리세리드를 분해함으로써, 글리세리드로부터 분해된 지방산이 냄새를 풍긴다. For example, the smell of clothing when sweating is caused by the growth of bacteria. Sweat is odorless in nature and contains glycerides composed of fatty acids and glycerin as one of its components. However, as the bacteria decompose the glycerides, fatty acids decomposed from glycerides smell.

그러나, 전극(311, 312)이 은 전극인 경우, 이들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측의 전극에 있어서 Ag→Ag++e-의 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에 은 이온이 용출된다. 이 은 이온이 냄새의 원인이 되는 균에게 작용함으로써, 균이 불활성화 되므로, 땀성분(글리세리드)이 분해되지 않고,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electrodes 311 and 312 when the electrode,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s, Ag → Ag + + e In the electrode of the cathode-side-reaction of the taking place, the water in the ion is eluted. Since silver ions act on the bacteria causing odor, the bacteria are inactivated, so that the sweat component (glyceride) is not decomposed and odor can be suppressed.

또한, 상기의 불활성화란, 살균, 제균, 멸균, 분해, 제거 등의 작용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In addition, said inactivation means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sterilization, disinfection, sterilization, decomposition, and removal.

상기의 전극(311, 312)은 유닛(301)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광 경화형 수지 안에 전극(311, 312)을 배치하고,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먼저 금형에 전극(311, 312)을 배치·보유하고, 거기에 수지를 따라 넣어서 냉각·경화시키는 방법(삽입 성형)에 의해, 전극(311, 312)과 일체화된 유닛 본체(301)가 형성된다. 또한, 이 일체로 성형에 의해, 전극(311, 312)은 유닛 본체(301)안에서는 그 내벽의 일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nit 301. That is, for example,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placed in the photocurable resin, and the resin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or the like. The unit main body 301 integrated with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formed by the method (insertion molding) which cools and hardens by pouring in resin. In addition, by integrally molding,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supported by a part of the inner wall in the unit main body 301.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를, 복수의 바스켓의 접합으로 구성했을 경우에는 그 접합 부분으로 내부의 물이 외부로 샐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유닛 본체(301)를, 전극(311, 312)을 내부에 포함한 채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접합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라고 하는 문제는 전무해서, 유닛 본체(301)의 밀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nit main body 301 is comprised by the joining of several basket, there exists a danger that the water inside may leak to the joining part. However, as in this embodiment, by integrally molding the unit main body 301 with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cluded therein, there is no problem of water leakage from the bonded portion, so that the unit main body 301 is sealed. The castle can be maintained well.

그런데, 금속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의 용출에 의해, 전극(311, 312)은 점차 소모되어 줄어들어 간다. 그러면, 전극(311, 312)사이의 거리가 넓어지고, 전극(311, 312)의 표면적도 좁아진다. 이 경우, 소정의 금속 이온 용출량을 확보하기 위해, 전극(311, 312)에 같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전압이 상승한다. 그러나, 공급할 수 있는 전압에도 상한이 있고, 전압이 상한까지 달하면, 이번에는 전극(311, 312)에 흐르게 하는 전류가 내려간다. 그렇게 하면, 용출하는 금속 이 온량이 감소하고, 소정농도의 금속 이온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효과를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된 단계에서, 전극(311, 312)을 새 것으로 교환 할 필요가 있다. By the elution of metal ions (for example, silver ions),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gradually consumed and reduced.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increased, and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also narrowed. In this case, in order to secure a predetermined metal ion elution amount, the voltage required to flow the same current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creases. However, the voltage that can be supplied also has an upper limit. When the voltage reaches the upper limi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falls this time. In this case, the amount of metal ions eluted decreases,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secure metal ions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Therefore, in order to reliably obtain the antibacterial effect by the metal ions,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electrodes 311 and 312 with new ones at the stage where the elution amount of the metal ions cannot be secur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 같이, 전극(311, 312)은 유닛 본체(301)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 본체(301)마다 새 것으로 교환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유닛 본체(301)는 1회용 타입의 것이다. 이렇게 유닛으로서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전극교환 시에 있어서의 전극의 오조립이나, 전극의 변형 등을 막고, 교환이 사용자에게도 안심하고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integrally molded with the unit main body 301, so that each unit main body 301 is replaced with a new one. That is, the unit main body 301 of this embodiment is a disposable type. In this way, the unit can be replaced as a unit, thereby preventing misassembly of the electrod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like at the time of electrode replacement by the user, and the replacement can be easily and safely for the user.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본체(301)가 한 쌍(2매)의 전극(311, 312)을 가지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전극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매 이상의 복수매의 전극을 유닛 본체(301)가 가지고 있어도, 이들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는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unit main body 301 demonstrated the example which has a pair (two sheets) of electrodes 311 and 312, the number of electrodes is not limited to this. Even if the unit main body 301 has two or more sheets of electrode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applying a voltage to these electrodes and eluting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3-2. 단자부)(3-3-2.Terminal part)

단자부(313, 314)는 전극(311, 312)과 구동 유닛(4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며, 유닛 본체(301)의 측벽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313, 314)의 일단은 전극(311, 312)과 예를 들면 은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구동 유닛(400)과 코드(50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은납땜이란, 예를 들면 은과 구리와 아연 등의 은합금을 땜납재로 하여, 모재의 금속을 녹이지 않고서, 모재보다도 저온에서 용융되는 땜납 재를 녹여서 금속을 모재에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The terminal portions 313 and 314 are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the drive unit 400 and are provided through the side wall of the unit main body 301. One end of these terminal portions 313 and 3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by, for example, silver soldering,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unit 400 through the cord 500. . In addition, said silver soldering uses silver alloys, such as silver, copper, and zinc as a soldering material, and melt | dissolves the solder material which melts at a lower temperature than a base material, and adheres a metal to a base material, without melting the metal of a base material. It is a way.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부(313, 314)는 적어도 유닛 본체(301)와의 관통부분의 단면이 원형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유닛 본체(301) 내의 내압(수압)이 상기 관통부분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하게 걸리고, 높은 수압에 대해서도 누수가 생기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그 결과, 안심하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채용해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생산 편차도 거의 없고, 생산의 여유도를 업시킬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portions 313 and 314 are configured in a shape such that at least the cross s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with the unit main body 301 becomes circular. In this configuration, the internal pressure (water pressure) in the unit main body 301 is uniformly appli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ortion, resulting in a structure in which leakage is unlikely to occur even with high water pressure. As a result,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used with confidence. Moreover, even if such a structure is adopted, there is almost no production variation of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the margin of production can be increased.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부(313, 314)는 축방향 전체에 걸쳐서 단면 원형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313, 314)에 있어서의 유닛 본체(301)와의 관통부분이, O링 등의 밀봉부재(313a, 314a)(도19 참조)에 의해 밀봉 되어 있다. 단자부(313, 314)가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밀봉부재(313a, 314a)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상기 관통부분에서의 밀봉성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parts 313 and 314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circular cross section over the whole axial direction. And the penetration part with the unit main body 301 in the terminal parts 313 and 314 is sealed by sealing members 313a and 314a (refer FIG. 19), such as an O-ring. Since the terminal portions 313 and 314 a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it is easy to insert the sealing members 313a and 314a, and the sealing property at the through portion can be reliably obtained.

(3-3-3. 검지부)(3-3-3.Detection)

검지부(315)는 유닛 본체(301)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닛 본체(301) 내의 유수 방향에 있어서 전극(311, 312)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검지부(315)는 회전자(316)(도24 참조)와, 자석(317)과, 자기 검지부(318)를 가지고 있다. The detecting unit 315 is a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unit main body 301 rather than the electrodes 311 and 312. It is installed upstream. This detector 315 has a rotor 316 (see FIG. 24), a magnet 317, and a magnetic detector 318.

여기에서, 도24는 회전자(316)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회전자(316)는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며, 물이 흐르 는 방향에 회전축부(321)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축부(321)는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물을 받는 2매의 날개(322)가,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회전축부(321)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유닛 본체(301) 안을 흐르는 물이, 각 날개(322)에 닿으면서 흐름으로써, 각 날개(322)가 회전축부(321)를 축으로 하는 회전방향의 힘을 받고, 이것에 의해 회전자(316) 전체가 회전축부(32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or 316 in an enlarged manner. The rotor 316 is rotated by the passage of water in the unit main body 301 and has the rotation shaft part 321 in the direction through which water flows. This rotating shaft part 321 is supported by the bearing not shown. And the two blade | wings 322 which receive water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part 321 in the position which becomes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s water flowing in the unit main body 301 flows while touching each blade 322, each blade 322 receives a force in a rotation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portion 321, thereby rotating the rotor 316. ) The whole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321.

또한, 회전자(316)는 컵상의 수용부(323)를 2개 가지고 있고, 각 수용부(323)에 있어서의 개구부(323a)와는 반대측의 저부가,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서 회전축부(321)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상기의 자석(317)은 2개의 수용부(323)의 적어도 한 쪽에 내포되어 있다. 자석(317)이 한 쪽의 수용부(323)에만 수용되어 있을 때는 다른 쪽의 수용부(323)에는 자석(317)과 동등한 무게의 추(319)가 내포되어, 회전자(316)의 회전 시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 수용부(323)의 개구부(323a)는 도시하지 않은 뚜껑에 의해 닫혀 있다. Moreover, the rotor 316 has two cup-shaped accommodating parts 323, and the rotating shaft part 321 is a position where the bottom part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pening part 323a in each accommodating part 323 becomes mutually symmetrical. Are fixed to each. The magnet 317 is con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two housing portions 323. When the magnet 317 is accommodated only in one accommodating part 323, the other accommodating part 323 contains a weight 319 equal in weight to the magnet 317, thereby rotating the rotor 316. The balance of time is maintained. The opening part 323a of each accommodating part 323 is closed by the lid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자기 검지부(318)(도22 참조)는 회전자(316)의 회전에 의한 자석(317)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유닛 본체(301) 안에서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것이며, 유닛 본체(301)측에 설치되어 있다. 자기 검지부(318)는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의 벽을 형성하는 수지를 통하여, 자석(317)의 자기변화를 비접촉으로 검지하는 홀IC로 형성되어 있다.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see Fig. 22) detects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and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based on the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317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316. It is provided in the unit main body 301 side.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is formed of, for example, a hole IC that detects the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317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resin forming a wall of the unit body 301.

상기의 구성에 의해, 유닛 본체(301)안을 물이 흐름으로써 회전자(316)가 회전하면, 자석(317)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자속, 자계)도 변화된다. 이 자기변화 를 자기 검지부(318)가 비접촉으로 검지함으로써,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By the above structure, when the rotor 316 rotates by flowing water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magnetic field (magnetic flux,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 317 also changes. This magnetic change is detected by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in a non-contact manner, so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can be detected.

또한, 상기의 자기변화가 단위시간당 몇 회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자기 검지부(318)가 검지함으로써, 회전자(316)의 단위시간당의 회전수를 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유닛 본체(301)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detects how many times the magnetic change is periodically changed per unit time, so that the rotation speed per unit time of the rotor 316 can be detected, and the inside of the unit main body 301 The flow rate of the flowing water can be detected.

즉, 검지부(315)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석(317)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유닛 본체(301)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That is, by configuring the detection unit 315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ct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and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based on the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317.

또한, 검지부(315)가,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316)(회전 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의 유량이 적은 경우라도, 물의 흐름의 유무를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회전자(316)의 회전수는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라서 변화되므로, 자기 검지부(318)는 그 유량에 따른 검지신호를 검지하고, 물의 유량을 정밀도 높게 검지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detection part 315 is comprised by the rotor 316 (rotating element) which rotates by the passage of the water in the unit main body 301, even if the flow volume of water is small,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low of water is made easy and reliable. It can be detected. Moreover, si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316 changes with the flow volume of the flowing water, the magnetic detection part 318 can detect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flow volume, and can detect the flow volume of water with high precision.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검지부(315)는 유닛 본체(30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유닛 본체 315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검지부(315)와 유닛 본체(301)를 별체로 구성해 두고, 이들을 조합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닛 본체(301) 내의 전극(311, 312)의 소모에 의해, 유닛 본체(301)를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라도, 검지부(315)까지도 교환하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검지부(315)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유닛 교환 시에 발생하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By the way,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detection part 315 mentioned above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unit main body 301, you may be provided detachably with respect to the unit main body 315. FIG. That is, the detection part 315 and the unit main body 301 may be comprised separately, and it may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combines these. In this case,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unit main body 301 by exhausting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detection part 315 is solved without replacing. As a result, the detection part 315 can be used effectively, and the cost incurred at the time of unit replacement can be suppressed.

또한, 검지부(315)의 설치위치는 유닛 본체(301)에 있어서의 전극(311, 312)의 상술한 유수 방향 상류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류측이어도 좋다. 또한, 검지부(315)는 후술하는 유출방향 가변부(306)(도26 참조)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검지부(315)는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세탁기(1)에 이르는 물의 공급로 상이면, 제1 접속부(302)에 설치되어도 좋고, 제2 접속부(303)에 설치되어도 좋고, 나아가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외부(예를 들면 제1 호스(202)나 제2의 호스(203))에 설치되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etection part 315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flow direction upstream of the electrode 311, 312 in the unit main body 301, and may be downstream. In addition, the detection part 315 may be provided in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refer FIG. 26) mentioned later. In addition, the detection part 315 may be provided in the 1st connection part 302, may be provided in the 2nd connection part 303, if it is o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from the tap 201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shing machine 1, and also ion It may be provided outside the elution unit 300 (for example, the first hose 202 or the second hose 203).

또, 회전자(316)의 회전축부(321)를, 물이 흐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하고, 회전자(316)를 수차와 같이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Moreover,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makes the rotating shaft part 321 of the rotor 316 intersect the direction which flows water, and rotates the rotor 316 like aberration.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지부(315)를, 회전자(316)를 이용한 회전검지식으로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플로우식에서 구성해도 물론 상관없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which comprised the detection part 315 by the rotation detection type using the rotor 316 was demonstrated, you may of course configure in a flow type.

플로우식이란, 용수철로 지지된 이동체가 유수 경로 중에 있어서, 물이 흐르면 그 흐름에 밀려서 이동체가 움직이고, 그 이동체의 움직임을 적당한 센서로 검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검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이동체내에 자석을 넣고, 물이 흘렀을 때에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에 자기검지부(홀IC)를 놓아두면, 자기검지에 의해, 물의 흐름을 검지할 수 있다. 이렇게 검지부(315)를 플로우식으로 구성하면, 자기검지는 회전자(316)의 회전속도에 따른 것이 아니고, 물의 흐름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자기변화의 검지로 좋으므로, 자기검지부(홀IC)를 응답속도가 느린 것으로 구성해도, 수류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The flow type is a method of detecting the flow of water by moving the moving object supported by the spring in the flow path, when the water flows, the moving object is moved by the flow,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is detected by a suitable sensor. For example, if a magnet is placed in the moving body and the magnetic detection unit (hole IC) is placed at the position where the moving body moves when water flows, the flow of water can be detected by the magnetic detection. When the detection unit 315 is configured in a flow manner, the magnetic detection unit does not depend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316, but is good for detection of magnetic change with and without water flow. ) Can be reliably detected even if the response speed is slow.

이상의 점에서, 검지부(315)는 물의 흐름에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내포되는 자석과,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석의 자기를 검지함으로써,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고 할 수 있다. In view of the above, the detector 315 is a magnetic detect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by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ovable body moving along the flow of water, the magnets contained in the movable body, and the magnet at the position where the movable body moves. It may be said that it may be comprised.

(3-4. 효과)(3-4.Effect)

상술한 본 실시형태의 항균 처리 장치는 급수 장치(예를 들면 세탁기(1))에 의해 급수대상(예를 들면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예를 들면 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예를 들면 이온 용출 유닛(300))를 구비한 항균 처리 장치(200)로서,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로부터, 또한,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상기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generates metal ions (for example, silver ions) added to water supplied to a water supply object (for example, laundry) by a water supply device (for example, the washing machine 1). An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200 hav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example, an ion eluting unit 300), wherein the ion generating unit is provided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and from the tap 201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device. The removal is freely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온 발생부가, 한 쌍의 전극(311, 312)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301)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 구성되고, 이온 용출 유닛(300)이, (a)유닛 본체(301)를, 수도의 수도꼭지(201), 또는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1 호스(202)와 접속하기 위한 제1 접속부(302)와, (b)유닛 본체(301)를, 상기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2의 호스, 또는 그 급수 장치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공급로에 대해서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on generating unit includes an ion eluting unit 300 containing a pair of electrodes 311 and 312 and having a unit body 301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and the ion eluting unit 300. (A) The first connection part 302 for connecting the unit main body 301 with the tap 201 of a tap, or the 1st hose 202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201 flows, b) The unit main body 301 has a second hos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flows, or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device so that removal is freely provided to the supply passage. It is realized.

그 때문에, 세탁기(1)의 외부에, 이온 발생부를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세탁기(1)로서 이온 발생부를 최초부터 가지고 있지 않은 기존의 것이라도, 이온 발생부를 구비한 세탁기(1)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온 발생부를 구비한 세탁기(1)로의 개비라고 하는 세탁기(1)의 쓸데없는 개비가 불필요하고, 기존의 세탁기(1)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부는 세탁기(1)에의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제거가 자유롭기 때문에, 그 교환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ion generating part can be attached later to th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1, even if it is the existing thing which does not have an ion generating part from the beginning as a washing machine 1, it is the thing equivalent to the washing machine 1 equipped with an ion generating part. It can be easily realized. Therefore, the wasteful opening of the washing machine 1 called the opening to the washing machine 1 provided with the ion generating unit is unnecessary, and the existing washing machine 1 can be effectively used. In addition, since the ion generating unit can be freely removed from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1, the ion generating unit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이, 상술의 제1 접속부(302) 및 제2 접속부(303)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을 세탁기(1)외부에서 이하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ion eluting unit 300 has the above-mentioned 1st connection part 302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03,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 as follows. .

첫번째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수도의 수도꼭지(201), 제1 호스(202), 이온 용출 유닛(300), 제2의 호스(203), 세탁기(1)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하는 방법(도11의 접속방법)이다. First, the ion elution unit (the elution unit) so that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passes becomes the faucet 201, the first hose 202, the ion eluting unit 300, the second hose 203, and the washing machine 1 of the tap water. 300 is a method of arranging (connection method in Fig. 11).

두번째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수도의 수도꼭지(201), 이온 용출 유닛(300), 제2의 호스(203), 세탁기(1)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Second, the ion elution unit 300 is disposed so that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passes is the tap 201, the ion elution unit 300, the second hose 203, and the washing machine 1 of the tap water. .

세번째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수도의 수도꼭지(201), 제1 호스(202), 이온 용출 유닛(300), 세탁기(1)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Third, the ion elution unit 300 is arranged so that the path through which water passes is the tap 201, the first hose 202,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the washing machine 1 of the tap water.

이온 용출 유닛(300)이 제1 접속부(302) 및 제2 접속부(303)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세탁기(1)에 이르는 물의 공급로에 대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을 설치할 때의 접속의 배리에이션이 증가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이온 용출 유닛(300)의 설치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Since the ion eluting unit 300 ha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3, as described above, ions ar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tap 201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shing machine 1. Since the variation of the connection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elution unit 300 increases,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ion elution unit 300 according to a user's needs can be implement | achieved.

(3-5. 이온 용출 유닛의 다른 구성) (3-5. Other configuration of ion elution unit)

(3-5-1. 유닛 본체의 형상)(3-5-1.Shape of the unit body)

이상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유닛 본체(300)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에 따라 수직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유닛 본체(30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301)는 전극(311, 312)으로부터 유수 방향 하류측의 부분을 예를 들면 90도 절곡함으로써,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수 방향을 변화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즉, 유닛 본체(301)는 유닛 본체(301)에 흘러들어 오는 물의 유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25는 이온 용출 유닛(300)을 수도의 수도꼭지(201)에 직접 접속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unit main body 300 of the ion elution unit 300 was formed in the shape extended vertically downward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which flows inside, the shape of the unit main body 301 is this.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the unit main body 301 changes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flowing in the inside by bending the part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direction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for example, by 90 degrees. It may be formed as. That is, the unit main body 301 may be formed in the shape which water flows out in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ater which flows into the unit main body 301. 2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on eluting unit 3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ap 201 of a tap.

이 구성의 경우,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수직방향에서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와 접속되는 제2의 호스(203)의 끌고 돌아다니기가 편해진다. 즉, 세탁기(1)의 접속관(51)과 이온 용출 유닛(300)의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라도, 제2의 호스(203)를 억지로 굽히지 않고, 우회시키도록 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를 접속할 수 있어서, 제2의 호스(203)에의 물리적인 부담이 적어진다.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water from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chang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 example,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3 of the ion elution unit 300. It is easy to drag and move around the hose 203. That is,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ipe 51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ion eluting unit 300 is too close, the second hose 203 is bypassed without forcibly bending the second hose 203 so as to bypass the ion eluting unit 300. Since the washing machine 1 can be connected, the physical burden on the 2nd hose 203 becomes small.

(3-5-2. 유출방향 가변부) (3-5-2.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또, 유닛 본체(301)를 굽히지 않고,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301)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변화시키는 유출방향 가변부(306)를, 유닛 본 체(301)에 대해서 접속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Moreover, as shown in FIG. 26,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which changes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water from the unit main body 301 is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unit main body 301, without bending the unit main body 301. FIG. The configuration may be.

이 유출방향 가변부(306)는 거의 90도에 구부러진 통상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출방향 가변부(306)의 일단은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단에는 제2의 호스(203)(도11 참조)가 끼워진다.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어, 유닛 본체(301) 내부를 수직 하향으로 흐르는 물은 유출방향 가변부(306)에서 거의 90도 방향 전환되어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제2의 호스(203)를 통해서 세탁기(1)에 공급되므로, 세탁기(1)의 주변 벽 등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2의 호스(203)를 자유롭게 끌고 돌아다닐 수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이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This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is comprised with the normal pipe bent at about 90 degree | times. One end of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3 of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second hose 203 (see FIG. 11) is fitted to the other end thereof.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201 of the tap water and flowing vertically downward in the unit body 301 is diverted by about 90 degrees in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to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hose 203 flows. Since it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through, the second hose 203 can be dragged around freely, so as to avoid the peripheral wall of the washing machine 1, etc.,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easily used. have.

또한, 유출방향 가변부(306)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그 설치장소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더욱 이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2nd connection part 303 of the ion elution unit 300,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water from the ion elution unit 300 depends on the installation place. It can be freely selected,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made easier to use.

또, 예를 들면, 유출방향 가변부(306)에 후술하는 구동 유닛(400)의 상태 표시부(402)(도27 참조)를 유닛화한 것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유출방향 가변부(306)를 회전시키면, 상태 표시부(402)를 사용자가 보기 쉬운 위치로 할 수 있고, 그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unit in which the state display unit 402 (see Fig. 27) of the drive unit 400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n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but in this case,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When the unit 306 is rotated, the status display unit 402 can be placed at a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see, and the visibility thereof can be improved.

또한,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출방향 가변부(306)의 외면에,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제2 접속부(303)의 날밑부(303b)를 거는 걸림부(306a)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유출방향 가변부(306)의 제2 접속부(303)로부터의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art 306, a locking part 306a for hanging the base 303b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3 of the ion elution unit 300 is provided.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escape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3 of the outflow direction variable portion 306.

(3-5-3. 유닛 본체의 경사배치)(3-5-3. Inclined arrangement of the unit body)

상술한 구성의 유닛 본체(301)는 그 내부를 물이 수직 하향으로 흐르는 배치가 되어 있지만, 이 배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를 경사지게 배치하는 구성, 즉, 내부를 흐르는 물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흐르도록, 유닛 본체(301)를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물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흐른다고 하는 개념에는 물이 수평방향(옆으로 향함)으로 흐르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Although the unit main body 301 of the structure mentioned above is arrange | positioned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vertically downward, it is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For example,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unit main body 301 inclination, ie, the structure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unit main body 301 so that the water which flows inside may incline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may be sufficient. In addition, the concept that water flows inclined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shall also include the case where water fl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facing sideward).

이 구성에 따르면, 전극(311, 312)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유닛 본체(301), 나아가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높이 방향(수직방향)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수 방향이 수직방향이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300)을 배치한 경우와 동등한 금속 이온의 용출능력을 확보한 채로, 수도의 수도꼭지(201)와 세탁기(1) 사이의 높이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경우라도, 주변의 기기나 벽에 닿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이온 용출 유닛(300)의 설치장소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imension of the height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unit main body 301 and also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suppressed, without changing the magnitude | siz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re is no room in the height space between the faucet 201 and the washing machine 1 of the water supply while the elution capacity of the metal ions equivalent to that of the case where the ion dissolution unit 300 is disposed so that the flow direction becomes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n this case,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easily attached without touching the peripheral devices or walls. As a result, the choice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expanded.

(3-5-4. 제1의 필터)(3-5-4.the first filter)

도21 및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300)의 유닛 본체(301) 내의 전극(311, 312)보다도 유수 방향의 상류측에,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의 필터(33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As shown in FIGS. 21 and 22, a first filter 331 which removes impurities in the water upstream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the unit body 301 of the ion elution unit 300. ) May be provided.

이 구성에 따르면, 수중의 쓰레기나 금속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제1의 필터(331)로 막을 수 있으므로, 그러한 불순물이 전극(311, 312)에 부착되거나, 전극(311, 312) 사이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순물의 부착에 의한 폐해(예를 들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mpurities such as garbage in the water and metal debris can be blocked by the first filter 331, so that such impurities are attach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r blocked between the electrodes 311 and 312. It can prevent. As a result, damage caused by adhesion of impurities (for example, reduction of the amount of elution of metal ions) can be prevented.

또, 제1의 필터(331)는 특히, 이온 용출 유닛(300)에의 물의 유입구, 즉, 제1 접속부(302)에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온 용출 유닛(300)을 공급로로부터 제거했을 때, 사용자가 제1의 필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관리가 쉽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에 제1의 필터(331)를 꺼내기 위한 취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해서, 그러한 취출부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부품점수를 억제할 수 있고, 그 취출부에 필요한 밀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누수의 쓸데없는 걱정도 없이 해결된다. Moreover, especially the 1st filter 331 is preferable in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inflow port of the water to the ion elution unit 300, ie, the 1st connection part 30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ion elution unit 300 is removed from the supply pa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first filter, and the management is easy.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extraction part for taking out the 1st filter 331 is provided in the ion elution unit 300, the number of parts can be suppressed so that such extraction part is unnecessary, and the sealing degree required in the extraction part is necessary. It is not needed and is solved without the unnecessary worry of leaks.

또, 제1의 필터(331)는 검지부(315)보다도 유수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중의 쓰레기나 금속 찌꺼기 등의 불순물이, 검지부(315)에 부착되거나, 끼이거나 해서, 검지부(315)에서의 검지에 폐해가 생기고, 작동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oreo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1st filter 331 is provided in the flow direction upstream rather than the detection part 315 is preferable. In this case, impurities such as garbage or metal debris in the water adhere to or are caught in the detection unit 315,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detection by the detection unit 315 and preventing malfunction.

또한, 제1의 필터(331)는 상술한 이온 용출 유닛(300) 내로 한정되지 않고, 이온 용출 유닛(300)과 수도꼭지(201) 사이의 물의 공급로상(예를 들면 제1 호스(202)안)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ilter 33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ion eluting unit 300, bu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th (for example, the first hose 202) between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faucet 201. It may be installed inside). Even in this case,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3-5-5. 제2의 필터)(3-5-5.2nd filter)

이온 용출 유닛(300)의 유닛 본체(301) 내의 전극(311, 312)보다도 유수 방 향의 하류측에,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2의 필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제2의 필터는 이온 용출 유닛(300)안에 설치되어도 좋고, 이온 용출 유닛(300)과 세탁기(1) 사이의 물의 공급로상(예를 들면 제2의 호스(203)안)에 설치되어도 좋다.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provides the 2nd filter which removes the impurity in water downstream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the unit main body 301 of the ion elution unit 300 in the flow direction. This second filter may be installed in the ion eluting unit 300 or may b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th (for example, in the second hose 203) between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the washing machine 1. good.

이 구성에 따르면,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의 금속파편이 하류측으로 흐르더라도, 그것을 제2의 필터로 막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파편이 하류의 기기(세탁기(1))나 물품(세탁물)에 닿아서, 폐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metal fragments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on unit 300 flow to the downstream side, it can be prevented by the second filter. As a result, the metal debris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ownstream equipment (washing machine 1) or the article (laundr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armful effects.

또한, 제2의 필터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의 물의 유출구, 즉, 제2 접속부(303)에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온 용출 유닛(300)을 공급로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의 필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관리가 하기 쉽다. 또, 이온 용출 유닛(300)에 제2의 필터를 꺼내기 위한 취출부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그러한 취출부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부품점수를 억제할 수 있고, 그 취출부에 필요한 밀봉도 필요로 하지 않고, 누수의 쓸데없는 걱정도 없이 해결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ilter is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water to the ion eluting unit 300, that is, a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3. In this case, by removing the ion eluting unit 300 from the supply path,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second filter and manage it easily. Moreover, compared with the structure which installs the extraction part for taking out a 2nd filter in the ion eluting unit 300, a component number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that extraction part is unnecessary, and the sealing required for the extraction part is not required, either. It is solved without the unnecessary worry of leakage.

또한, 제2의 필터는 전극(311, 312)보다도 유수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검지부(315)보다도 유수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제2의 필터는 전극(311, 312)과 그 유수 방향 하류측의 검지부(315)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제2의 필터에 의해, 전극(311, 312)의 금속파편이 하류측으로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상기 금속파편이 검지부(315)에 닿아서 검지부(315)가 동작불량이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may be configured to be downstream from the flow direction in the flow direction than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may be provided in the flow direction in the flow direction upstream from the detection unit 315. That is, the 2nd filter may be comprised between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the detection part 315 downstream of the flow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metal fragments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stream by the second filter, the metal debris touches the detection unit 315 so that the detection unit 315 malfunctions. You can prevent it.

(3-5-6.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유닛 본체로부터의 분리)(3-5-6. Separation from the Unit Body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상술한 제1 접속부(302)는 전극(311, 312)을 내포하는 유닛 본체(301)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2 접속부(303)는 마찬가지로 유닛 본체(301)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극(311, 312)의 소모에 의해, 유닛 본체(301)를 교환할 필요가 생겼을 경우라도, 제1 접속부(302)나 제2 접속부(303)까지도 교환하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제1 접속부(302)나 제2 접속부(303)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유닛 교환 시에 발생하는 비용을 낮출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02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301 containing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necting portion 303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unit main body 301. In this case, even when the unit main body 301 needs to be replaced due to exhaustion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the first connection part 30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3 are solved without being replaced. do. As a result, the 1st connection part 302 and the 2nd connection part 303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nd the cost incurred at the time of unit replacement can be reduced.

(3-5-7. 발전기)(3-5-7.Generator)

본 실시형태의 이온 용출 유닛(300)은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에 의한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를 내장하고 있어도 좋다. 이때, 상기 회전자는 검지부(315)의 회전자(316)여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유닛 본체(301)안을 물이 흘렀을 때만, 자가발전에 의해, 전극(311, 312)에 자동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금속 이온을 자동적으로 용출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The ion eluting unit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orporate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rotation of the rotor due to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At this time, the rotor may be a rotor 316 of the detection unit 315. In this configuration, only when water flows through the unit main body 301, a voltage is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by self-generation, and the metal ions can be automatically eluted.

(3-5-8. 이온 발생부의 그 밖의 구성)(3-5-8. Other configurations of the ion generating unit)

이상에서는 이온 발생부로서,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전극(311, 312)을 구비한 이온 용출 유닛(300)을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용출부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 내에 금속 이온 용출재(은 용출재이면 유화 은 등)를 장전하고, 카트리지 내에 물을 통하게 하는 것만으로(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which used the ion eluting unit 300 provided with the electrodes 311 and 312 which elutes metal ion as an ion generating part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ion eluting unit may be, for example, a metal ion eluting material (such as silver emulsified silver or the like if the silver eluting material is loaded) in the cartridge, and eluted metal ions simply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cartridge (without applying voltage). .

(4. 구동 유닛) (4.drive unit)

다음에, 구동 유닛(400)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detail of the drive unit 400 is demonstrated.

도27의 (a) 내지 도27의 (d)는 구동 유닛(400)의 외관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8은 구동 유닛(400)의 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내부의 기본적인 회로구성은 실시의 형태1의 도9로 도시한 전원 유닛(101)의 구동회로(120)와 거의 같다. 27A to 27D show a plan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rear view, respectively, which illustrate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400. 2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drive unit 400. In addition, the basic circuit structure inside the drive unit 4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rive circuit 120 of the power supply unit 101 shown in Fig. 9 of the first embodiment.

구동 유닛(400)은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하는 것이며, 조작부(401)와, 상태 표시부(402)와, 전압 발생부(403)와, 변압 회로(404)와, 전원전압 검지부(405)와, 전류 검지 회로(406)와, 제어부(407)를 가지고 있다. 제어부(407)는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배면에는 벽이나 세탁기(1)에 첩부된 훅이 삽입되는 구멍(400a)(도27의 (c) 및 도27의 (d)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drive unit 400 drives the ion eluting unit 300, and includes an operation unit 401, a state display unit 402, a voltage generator 403, a transformer circuit 404, and a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405. ), A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and a control unit 407. The control unit 407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units. Further, the back of the drive unit 400 is provided with a hole 400a (see Figs. 27 (c) and 27 (d)) into which a hook attached to the wall or the washing machine 1 is inserted. Hereinafter, the detail of each structure is demonstrated.

(4-1. 조작부)(4-1.Control panel)

조작부(401)는 구동 유닛(400)의 운전의 ON/OFF를 전환하는 조작을 사용자가 행하기 위한 것이고, 손잡이나 레버,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부(401)를 구동 유닛(400)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구동 유닛(400)을 조작하기 쉬운 좋아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구동 유닛(400)의 운전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401 is for the user to perform an operat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N / OFF of the drive unit 400, and is composed of a handle, a lever, a button, and the like. By providing such an operation part 401 in the drive unit 400, a user can install the drive unit 400 in a favorite place which is easy to operate, and can switch operation of the drive unit 400 freely.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2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식의 손잡이에 의해 조작부(401)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과 같은 조작부(401)의 물리적인 상태변화로 구동 유닛(400)의 동작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의 ON/OFF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러한 표시에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지 않는다. 특히, 배터리 구동의 경우에는 그렇게 쓸데없이 소비되는 전력을 배터리 구동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7B, the operation portion 401 is configured by a rotary knob. Thereby,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ive unit 400 can be confirmed simply by the physical state change of the operation part 401 like rotation.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n LED or the like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operation ON / OFF, and no unnecessary power is consumed for such displa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attery driving, such wasteful power consumption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riving the battery.

한편, 조작부(401)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 유닛(400)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태변화가 물리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면 좋다. 이러한 물리적인 상태변화로서는 상기한 손잡이의 회전 외에, 버튼의 요철, 레버의 넘어짐, 버튼의 색이나 문자의 변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401 may be such that the state change is physically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ive unit 400 can be easily visually checked without using power. As the physical state chang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otation of the knob, the unevenness of the button, the fall of the lever, the change of the color and the character of the button,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4-2. 상태 표시부)(4-2.Status display part)

상태 표시부(402)는 구동 유닛(400)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표시부(402)는 배터리 수명표시 램프(402a) 및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램프의 점등 및 소등은 후술하는 제어부(407)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The state display part 402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drive unit 400, and is comprised, for example with LED. Specifically, the status display unit 402 is composed of a battery life indicator lamp 402a and a silver ion elution lamp 402b. The lighting and extinguishing of these lamp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part 407 mentioned later.

배터리 수명 램프(402a)는 후술하는 전원전압 검지부(405)에서 전압 발생부(403)의 배터리 수명이 검지되었을 때에 점멸하는 램프이다. 또한, 구동 유닛(400)의 운전 ON상태 및 OFF상태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이 있는 경우, 배터리의 소비를 제압하기 위해서, 배터리 수명 램프(402a)는 소등한 채이다. The battery life lamp 402a is a lamp that blinks when the battery life of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detected in the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405 described later.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N state and the OFF state of the drive unit 400, in order to suppress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when there is remaining battery power, the battery life lamp 402a remains off.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는 후술하는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되어, 금속 이온인 은 이온이 용출되어 있는 때에 점멸하는 램프다. 은 이온의 용출은 통상,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설치해서 은 이온의 용출을 사용자에게 알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은 이온의 용출이 확실하게 행하여져 있는 것, 및 그 용출시기를 간단히 인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200)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to generate a voltage when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luted. It's a lamp. Since elution of silver ions is usually invisible to the human eye, the user is surely eluted of silver ions by providing such a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to the user to know the elution of silver ions. The elution time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 confidence.

여기에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이 은 이온의 용출에 의해 소모되고, 상술한 이유에 의해, 전극(311, 312)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해 오면, 전극(311, 312)의 수명(교환시기)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후술하는 전류 검지 회로(406)가 전극(311, 312)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진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407)는 전극(311, 312)이 소모되어 교환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 점멸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유닛 본체(301))의 교환이 필요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서, 그 교환작업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Here, when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are consumed by the elution of silver ions,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decreases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s 311 and 312), it can be judged as the life (exchange time). Therefore, when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described later detects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407 determines that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consumed and need to be replaced. ,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flashes rapidly. Thereby, a user can be recognized that the ion elution unit 300 (unit body 301) needs to be replaced, and the replacement work can be urged to the user.

또한, 전극(311, 312)의 소모 시는 사용자가 소망의 항균처리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없어지는 것보다도, 이온 용출 유닛(300)의 교환을 사용자에게 촉구하는 것을 우선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407)는 조작부(401)의 조작에 의해 구동 유닛(400)의 운전이 OFF가 될 때까지, 또는 배터리가 없어질 때까지, 은 이온 표시 램프(402b)의 점멸표시를 계속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consumed, in order to avoid the user not knowing that the desired antibacterial treatment cannot be performed, the exchang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is made to the user rather than being exhausted. It is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urging. For this reason, the control part 407 continues to display the blinking of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until operation of the drive unit 400 is turned off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401, or until a battery runs out. Let's do it.

또, 구동 유닛(400)과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접속하는 코드(500)가, 어떠한 원인으로 빠진 경우, 구동 유닛(400)의 운전이 ON인데 불구하고, 코드(500)를 통해서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전극(311, 312)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전류 검지 회로(406)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07)는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 점멸시켜서, 이상 상태인 취지를 사용자에게 보고하게 된다. Moreover, when the cord 500 which connects the drive unit 400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falls for some reason, although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drive unit 400 is ON, although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drive unit 400 is ON, through the cord 500 Since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elution unit 300,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Therefore, also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the control unit 407 rapidly flashes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to report to the user that there is an abnormal state. .

이와 같이, 제어부(407)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이상 사태(배터리 수명, 전극(311, 312)의 소모, 코드(500)의 빠짐 등)이 생겼을 때, 메인 전원(배터리)이 끊어질 때까지, 배터리 수명표시 램프(402a) 및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를 계속해서 표시(점멸 또는 급속 점멸)시키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이상 사태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알릴 수 있고, 적절한 대응(배터리 교환, 유닛 본체(301)의 교환, 코드(500)의 재접속)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407 may have an abnormal situation (battery life, exhaustion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missing the cord 500, etc.) that causes the elution of the metal ions from the ion eluting unit 300 to occur. At this time, the battery life display lamp 402a and the silver ion elution lamp 402b are continuously displayed (flashing or rapidly blinking) until the main power supply (battery) is cut off.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notify the user of the abnormal situation, and prompt the user for an appropriate response (replacement of the battery, replacement of the unit body 301, reconnection of the cord 500).

또한, 경고음을 발하는 경고수단(예를 들면 부저)을 구동 유닛(400)에 설치하고, 전원전압 검지부(405)로부터의 이상검지신호(배터리 수명검지신호)나, 전류 검지 회로(406)로부터의 이상검지신호(전극(311, 312)의 전류저하신호)에 근거하여, 상술의 금속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사태가 생겼을 때, 제어부(407)가 경고수단으로 경고소리를 발생시켜, 그 이상 사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해도 물론 상관없다. In addition, a warning means (e.g., a buzzer) that emits a warning sound is provided in the drive unit 400, and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battery lif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detection unit 405 or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abnormality detection signal (current reduction signal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when a situation that causes the elution of the above-described metal ions occurs, the control unit 407 generates a warning sound as a warning means. Of course, it does not matter even if it is a structure which informs a user of the abnormal situation.

이상과 같이, 구동 유닛(400)이 상태 표시부(402)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사 용자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상태 표시부(402)의 표시에 의해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ive unit 400 includes the state display unit 402, the user can easily suppress the operation stat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by the display of the state display unit 402.

또한, 상기한 상태 표시부(402)는 구동 유닛(400)으로부터 분리되는 표시 유닛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구동 유닛(400)은 세탁기(1)의 측면에 설치하고, 표시 유닛은 세탁기(1)의 정면에 설치하도록 하여, 표시 유닛만을 시인성의 좋은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The above state display unit 402 may be configured as a display unit that is separated from the drive unit 400.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drive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so that only the display unit can be located at a good place of visibility. Therefore, the user can immediately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또, 상기의 표시 유닛은 이온 용출 유닛(300)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온 용출 유닛(300)이라고 하는 동작 상태를 감시해야 할 대상에 상기의 표시 유닛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동작 상태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in the ion elution unit 300.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object to which the operation state called the ion elution unit 300 should be monitored,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ion elution unit 300.

그런데, 상태 표시부(4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명표시 램프(402a) 및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라고 하는 각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램프를 복수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태 표시부(402)는 1개의 표시부(표시 램프)로, 표시의 방법을 각 동작 상태에 따라서 변화시킴으로써, 복수의 상태표시를 겸용하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By the way, as mentioned above, the state display part 402 has the display lamp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state called the battery life display lamp 402a and the silver ion elution lamp 402b. However, the state display unit 402 is a single display unit (display lamp), and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a plurality of state displays by changing 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state.

즉, 상태 표시부(402)는 각 동작 상태에 따라서 1개의 표시 램프를 점등, 점멸, 급속 점멸 등 시키는 등 하여, 표시의 방법을 변화시키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은 이온 용출 램프(402b)가, 전원 ON상태에서는 점등, 은 이온 용출 중에는 점멸, 은 이온 이상 상태에서는 급속 점멸이 되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단수의 부품으로 복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부품점수(예를 들면 표시 램프에 이용할 수 있는 LED의 수)를 억제하고, 구동 유닛(400)으로서의 비용 및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많은 표시부를 확인할 필요도 없고, 동작 상태의 확인을 하기 쉽다. 또한, 단수의 표시부이면, 구동 유닛(400)에서 표시 스페이스를 취하지 않으므로, 구동 유닛(400)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state display unit 402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display method by turning on, flashing, or rapidly flashing one display lamp in accordance with each operation state. For example, the silver ion elution lamp 402b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in the power ON state, to blink during silver ion elution, and to rapidly blink in a silver ion abnormal state. In this case, since a plurality of operation states can be displayed with a single component, the number of components (for example, the number of LEDs available for the display lamp) can be suppressed, and the cost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drive unit 400 can be suppressed. Can be. Moreover, the user does not need to confirm many display parts, and it is easy to confirm an operation sta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ingle display part, since the display space is not taken by the drive unit 400, the drive unit 400 can be comprised compactly.

또, 1개의 표시 램프로 상태표시를 지나치게 겸용하면, 도리어 사용자가 동작 상태를 인식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어서, 표시 램프의 수는 예를 들면, 표시해야 할 동작 상태의 수와, 사용자의 시인성을 고려해서 설정되면 좋다. 이점에서는 표시 램프를 2개 설치하는 도27의 (b)의 구성은 표시해야 할 동작 상태의 수와, 사용자의 시인성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ate display is too combined with one display lamp,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and the number of display lamps is, for example, the number of operation states to be displayed and the visibility of the user. It may be set in consideration. Advantageously, the configuration of Fig. 27B in which two display lamps are provided maintains a balance between the number of operating states to be displayed and the visibility of the user.

또한, 상태 표시부(402)의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는 점등 또는 점멸하고 나서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경과 후에 소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후술하는 전압 발생부(403)를 건전지(배터리)(403a)로 구성했을 경우에, 건전지(403a)의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하고, 건전지(403a)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lver ion elution lamp 402b of the state display part 402 may be set to turn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after the lighting or flashing. Thereby, when the voltage generation part 403 mentioned later is comprised with the dry cell (battery) 403a,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dry cell 403a can be suppressed and the dry cell 403a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예를 들면, 전극(311, 312)으로부터 소망량의 은 이온을 용출하기 위해서는 전극(311, 312)에 약 20mA의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LED를 점등시키기 위해서는 LED 1개라도 약 3mA라고 하는 상당한 전류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LED를 장시간 점등시키면, 순식간에 전지가 없어질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본래, 이온 용출 유닛(300)에서의 은 이온의 용출에 사용되어야 할 건전지(403a)를, 그 이외의 용도(LED의 표시)에도 병용함으로써, 건전지(403a)가 빨리 소모되어, 은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한다. For example, in order to elute a desired amount of silver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a current of about 20 mA needs to flow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light an LED, even one LED requires a considerable electric current of about 3 mA. Therefore, when LED is lighted for a long tim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battery may run out in an instant. As a result, the battery 403a is quickly consumed by using the battery 403a, which should originally be used for elution of silver ions in the ion eluting unit 300, for other purposes (indication of LEDs). It causes the dissolution of ions.

그러나, 상태 표시부(402)의 은 이온 용출 램프(402b)를 소정시간 경과 후에 소등함으로써, 건전지(403a)와 같은 한계가 있는 에너지를, 금속 이온의 용출에만 유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런닝코스트의 삭감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However, by turning off the silver ion elution lamp 402b of the status display part 402 after a predetermined time, energy having the same limitation as that of the battery 403a can be effectively used only for the elution of the metal ions, thereby reducing the running cost. You can connect by cutting.

특히, 전원을 넣은 직후에, 정상적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 회로 체크에 의해 확인되었을 때에 이러한 점등·소등을 하도록 구성해 두면, 사용자가 전원을 넣었을 때에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후의 소등에 의해 쓸데없는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에 이상이 발견되면, 급속 점멸 등에 의해 즉석에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게 하는 구성으로 하면, 사용자는 확실하게 이상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if the circuit is checked to turn on / off when the circuit check confirms that the metal ions can be eluted normally immediately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can normally use the power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suppressed by the subsequent light off. If an abnormality is found at this time, the user can be surely aware of the abnormality if a configuration is provided to promptly notify the user of the abnormality by rapid flashing or the like.

(4-3. 전압 발생부)(4-3.Voltage Generation Unit)

전압 발생부(403)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해야 할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압 발생부(403)로서는 건전지(403a)나, 가정용 콘센트(상용전원)에 끼워 넣어지는 플러그(전원 커넥터) 및 접속 코드(403b)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AC어댑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는 제어부(407)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The voltage generator 403 generates a voltage to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on unit 300. More specifically, the voltage generator 403 includes a battery 403a, a plug (power connector) and a connection cord 403b inserted into a household outlet (commercial power source), an AC adapter for converting AC into direct current, and the like. I can think of it.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7.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후술하는 변압 회로(404) 및 코드(500)를 통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에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By applying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via the transformer circuit 404 and the cord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on eluting unit 300 Metal ions can be eluted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또한, 전압 발생부(403)를 건전지(403a)로 구성해서 전지구동으로 함으로써, 사용장소를 고르지 않고, 구동 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장소나, 상용전원은 이용할 수 있어도 콘센트의 개수가 모자라는 장소여도, 구동 유닛(40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용전원의 유무를 걱정하지 않고,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구동 유닛(400)을 사용하여,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voltage generator 403 with the dry battery 403a and driving the battery, the drive unit 400 can be provided without selecting a place of use. For example, the drive unit 400 can be used even in a place where commercial power is not available, or in a place where the number of outlets is short even though commercial power is available. That is, the user can drive the ion elution unit 300 using the driving unit 400 at a desired place without worrying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mmercial power source.

또한, 전압 발생부(403)는 건전지(403a)나, 상기의 플러그 및 접속 코드(403b)나, AC어댑터를 모두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지구동과 상용전원에 의한 구동의 양자로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없는 환경 하에서는 건전지(403a)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는 한편,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는 상기의 플러그 및 접속 코드(403b)나 AC어댑터에 의해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환경에 따라서 최적의 전원을 선택하여,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다. The voltage generator 403 may include a battery 403a, a plug and a connection cord 403b, and an AC adapter. Thereby,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driven by both battery drive and commercial power drive. That is, for example,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driven by the battery 403a in an environment where commercial power is not available, while the above plug and connection cord 403b or A commercial power supply can be used by the AC adapter.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n optimal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power environment, and drive the ion eluting unit 300.

또, 전지구동뿐만 아니라, 상용전원이라도 이온 용출 유닛(300)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런닝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전지 떨어짐에 의해 구동 유닛(400)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일이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ion eluting unit 300 can be driven not only by driving the battery but also by a commercial power source, the running cost can be suppressed, and the driving unit 400 does not become inoperable due to the battery falling. .

또한, 전압 발생부(403)를 충전지로 구성하고, 상기의 플러그 및 접속 코드(403b)와 AC어댑터에 의해, 상기 충전지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는 구성이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충전기를 별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may be configured 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may be automatically charged by the plug, the connection cord 403b, and the AC adapter.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charger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 전압 발생부(403)로서의 상기의 플러그는 구동 유닛(400)과 접속 코드(403b)를 통해서 접속되어도 좋지만, 구동 유닛(400)의 본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속 코드(403b)를 불필요로 하는 만큼, 구동 유닛(400)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 유닛(400)전체로서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aid plug as the voltage generator 403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drive unit 400 and the connection cord 403b, it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of the drive unit 400. In this case, since the whole drive unit 400 can be made compact as much as the connection cord 403b is unnecessary, the installation space as the whole drive unit 400 can be made small.

(4-4. 변압 회로)(4-4.Transformer Circuit)

변압 회로(404)는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압(승압 또는 강압)해서 이온 용출 유닛(300)에 공급하는 회로이다. 구동 유닛(400)이 이러한 변압 회로(404)를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1.5V의 전압을 출력하는 일반적인 건전지(403a)로 전압 발생부(403)를 구성한 경우라도,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데 충분한 전압(예를 들면 20V정도)을 얻을 수 있다. The transformer circuit 404 is a circuit which transforms (steps up or steps down)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and supplies it to the ion eluting unit 300. Since the drive unit 400 includes such a transformer circuit 404, even when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is formed of a general battery 403a that outputs a voltage of 1.5V, the ion eluting unit 300 is made of metal. Sufficient voltage (for example, about 20V) can be obtained to elute ions.

즉, 예를 들면, 출력 9V나 12V의 건전지(403a)로 전압 발생부(403)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출력 1.5V의 건전지에 비교해서 가격이 높은 데다가, 런닝코스트가 높아서, 계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0)에 변압 회로(404)를 설치함으로써, 그러한 부적합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although the voltage generation part 403 can also be comprised with the battery 403a of the output 9V or 12V, these are expensive compared with the battery of the output 1.5V generally used, and a running cost It is high and is hard to use continuously. However, by providing the transformer circuit 404 in the drive unit 400 as described above, such a failure can be avoided and a higher voltage can be output as necessary.

또한, 전압 발생부(403)로서 상용전원을 이용한 경우 등은 변압 회로(404)가 AC 1OOV를 예를 들면 20V정도로 강압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데 적합한 전압을 얻을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a commercial power source is used as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the voltage reducing circuit 404 steps AC 100 V to, for example, about 20 V, thereby obtaining a voltage suitable for eluting metal ions to the ion eluting unit 300. have.

또한, 변압 회로(404)는 부하(전극(311, 312)의 저항)에 따라서 인가전압을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전극(311, 312)은 정전류 구동이므로, 항상 높은 전압이 출력되고 있으면, 전극(311, 312)에 인가된 전압 중,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데 필요한 전압분을 제외한 나머지의 전압은 정전류 회로의 열 등에 의해 에너지 소비되어, 쓸데없는 전력을 소비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에 따라서 인가전압을 변화시키면, 그러한 전력 로스를 억제할 수 있고, 전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transformer circuit 404 may be configured to change the applied voltage in accordance with the load (resistanc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Since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constant current driving, when a high voltage is always output, the remaining voltages other than the voltage required to elute the metal ions among the voltage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used in a column of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or the like. It consumes energy and consumes unnecessary power. However, if the applied voltag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s described above, such a power loss can be suppressed and the battery energy can be efficiently used.

(4-5. 전원전압 검지부) (4-5.Power voltage detector)

전원전압 검지부(405)는 전압 발생부(403)의 출력전압을 감시함으로써, 배터리 수명 또는 전원이상을 검지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전압 검지부(405)는 전압 발생부(403)의 출력전압이 소정 전압보다 낮아진 경우, 배터리 수명 또는 전원이상이라고 판단하고, 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상태 표시부(402)의 배터리 수명 램프(402a)를 점멸표시시켜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사용자에게 보고한다. The power supply voltage detector 405 detects battery life or power supply abnormality by monito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generator 403. 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voltage, the power supply voltage detection unit 405 determines that the battery life or power supply is abnormal, and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7.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07 flashes the battery life lamp 402a of the status display unit 402 to report to the user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이것에 의해, 전압 발생부(403)가 건전지(403a)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전지수명이 오고, 현재, 교환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403a)를 그대로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에 의한 액 누출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voltage generation unit 403 is constituted by the battery 403a, the battery life comes and the user can be urged to be repla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such as liquid leakage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the battery 403a.

또한, 전압 발생부(403)의 전압 발생원이 건전지(403a)이든 상용전원이든, 전압 발생부(403)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어떠한 원인으로 저하하면, 예를 들면 금속 이온의 용출량 저하가 일어나는 등, 이온 용출 유닛(300)이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전원전압 검지부(405)에서 전압 발생부(403)의 출력전압이 항상 감시되고 있으므로, 그러한 부적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온 용출 유닛(300)을 적절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ther the voltage generation source of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a battery 403a or a commercial power source, or when the output voltage from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lowered for some reason, elution amount of metal ions is lowered, for example, The ion eluting unit 300 does not operate properly. However, since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always monitored in the power supply voltage detection unit 405, such a fail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ion elution unit 300 can be properly operated.

(4-6.전류 검지 회로)(4-6.Current detection circuit)

전류 검지 회로(406)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고, 해당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졌을 때, 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해당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작아졌을 때는 금속 이온의 용출에 의해, 전극(311, 312)이 소모하고, 수명이 가까이 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7)는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점멸시켜서, 전극(311, 312)의 수명을 사용자에게 보고함으로써, 이온 용출 유닛(300)(유닛 본체(301))의 교환을 사용자에게 촉구하게 된다.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detect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on unit 300, and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407 when the curren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current become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consumed by the elution of metal ions, and the life is nea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7 flashes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and reports the lif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to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xchange the ion elution unit 300 (unit body 301). Is urged.

따라서, 전극(311, 312)의 소모에 의해, 전극(311, 312)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줄어들고, 금속 이온에 의한 소망의 효과(예를 들면 항균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혹은 그 효과가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mount of metal ions eluted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reduced by the consumption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the desired effect (for example, antibacterial effect) by the metal ions cannot be obtained or the effect thereof. Can be avoided.

또한, 전류 검지 회로(406)에서 검지한 전류가 임계값보다도 커졌을 때는 회로나 전극(311, 312)이 쇼트하는 등의 이상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 라서, 이 경우에는 전류 검지 회로(406)가 그 취지의 신호를 제어부(407)에 출력하고, 제어부(407)의 제어에 의해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고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Whe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ircuit or the electrodes 311 and 312 have an abnormal state such as shorting. Therefore, in this case,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406 may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7 so as to report the abnormal state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7.

(4-7. 제어부) (4-7.Control part)

(4-7-1. 제1의 제어)(4-7-1.First control)

제어부(40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40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이온 용출 유닛(300)의 자기 검지부(318)에 의한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의 유무에 따라,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를 제어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407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drive unit 400.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07 further controls the inside of the unit main body 301 by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of the ion eluting unit 300.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is controll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water flow.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7)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자기 검지부(318)가 유닛 본체(301) 내의 수류를 검지했을 때,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키는 한편, 자기 검지부(318)가 상기 수류를 검지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상기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하고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7 detects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on unit 403 whe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of the ion elution unit 300 detects the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Whe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does not detect the water flow,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stopped.

유닛 본체(301)안에 수류가 없을 때는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물을 사용자 또는 기기가 필요로 하고 있지 않고, 물을 흐르게 하고 있는 상태가 아닌, 또는 유닛 본체(301)안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전압인가에 의해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은 이온)을 용출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에는 구동 유닛(400)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된다. When there is no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user or the apparatus does not need water to which metal ions are added, and is not in a state in which water flows, or because no water exists in the unit main body 301. It is not necessary to elute metal ions (silver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by applying a voltage. Therefore, nevertheles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useless power is consumed in the drive unit 400.

그러나, 제어부(407)가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유닛 본체(301) 내부를 물이 흐르기 시작했을 때, 즉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물을 필요하게 되고, 유닛 본체(301)안에 물이 존재하여 흐르고 있는 때에만,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정말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만,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므로, 구동 유닛(400)에서 쓸데없는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control unit 407 performs the above control, when water starts to flow inside the unit main body 301, that is, water to which metal ions are added, water is present in the unit main body 301. Only when flowing,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to elute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Only when it is really necessary to elute the metal ions so as to elute the metal ions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it is possible to avoid wasteful power consumption in the drive unit 400.

또한,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311, 312)의 주변이, 용출된 금속 이온으로 고농도가 되고, 다음 금속 이온의 용출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 쓸데없이 많은 금속 이온이 첨가된 물이 생성되어, 전극(311, 312)의 고가인 금속이 필요 없어질 우려나, 불필요하게 고농도의 금속 이온의 첨가된 물이 생성되어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flow of water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periphery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becomes high concentration with the eluted metal ions, and the next metal ion is eluted. This may be inhibited. 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unnecessary metals added with excessive amounts of metal ions are generated, and expensive metals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not needed, or water added with undesirably high concentrations of metal ions may be generated and adversely affect them. have.

그러나, 상기의 제어에 따르면, 상기 물의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극(311, 3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걱정도 없다. 또한, 세탁기(1)와 같은 자동적으로 급수를 실행하는 기기에 있어서는 기기의 급수에 맞춘 금속 이온의 자동용출도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기기의 급수에 맞춰서 금속의 용출을 제어할 수고를 줄일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control, since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the absence of the water flow, there is no such concern. In addition, i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such as the washing machine 1,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dissolve metal ions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pply of the device, thereby reducing the effort of the user to control the dissolution of metal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pply of the device. .

(4-7-2. 제2의 제어)(4-7-2.Second Control)

제어부(407)는 자기 검지부(318)가 유닛 본체(301)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했을 때, 그 검지한 유량에 따라, 전극(311, 312)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극(311, 312)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Whe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318 detects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control unit 407 applies the voltage or the electrodes 311 and 312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ccording to the detected flow rate. You may perform control which changes the electric current which flows.

수도의 수도꼭지(201)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세탁기(1)의 설치되는 지역이나 장소 등에 따라 다르다. 상기 유량이 많은 곳과 적은 곳에서, 같은 양의 금속 이온을 용출하도록 전압을 전극(311, 312)에 인가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같은 시간에서의 수량이 다르고, 물의 유량에 의해 금속 이온 농도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양 및 세탁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한 경우, 같은 양의 세탁물에 부착되는 금속 이온량이 다르기 때문에, 세탁기(1)의 설치장소에 따라서는 금속 이온량이 적기 때문에 세탁물에 대한 효과(예를 들면 항균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거나, 금속 이온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금속화합물의 세탁물에의 부착에 의해, 세탁물이 더럽혀지거나 할 경우가 있다.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p 201 of a tap water changes with the area | region, a place, etc. which the washing machine 1 is installed. Where the flow rate is high and low, even if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to elute the same amount of metal ions, the amount of water at the same time is different and the metal ion concentr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water flow rate. . Therefore, when the amount of laundry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laundry are made constant, the amount of metal ions attached to the same amount of laundry is different, so the amount of metal ions is small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thus the effect on the laundry. (For example, antibacterial effect) may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or the amount of metal ions may be excessively large, and the laundry may be soiled by adhesion of the metal compound to the laundry.

그러나, 제어부(407)가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유닛 본체(301)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에 따른 양의 금속 이온을, 전극(311, 312)으로부터 용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세탁기(1)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용출시키는 금속 이온의 양에 과부족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결과, 세탁기(1)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세탁물의 양에 따른, 금속 이온에 의한 소망의 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금속 이온의 용출과다에 의한 세탁물의 더러움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ntrol, the control unit 407 can elute the positive metal ions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in the unit main body 301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Thereby,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metal ion addition water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it does not cause an excess or deficiency in the quantity of the metal ion to elute. As a result, irrespective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washing machine 1, the desired treatment with the metal ions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and the dirt of the laundry due to the excessive dissolution of the metal ions can be prevented. .

또한, 유닛 본체(301) 내의 물의 유량에 따라, 금속 이온의 단위시간당의 용출량을 변경함으로써, 유량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소정의 금속 이온 농도의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자는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금속 이 온이 은 이온이면, 안정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by changing the elution amount per unit time of metal ions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ter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user can receive the metal ion addition water of predetermined metal ion concentration, without affecting the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As a result, the user can obtain a stable antibacterial effect if the metal ion is silver ions.

(4-7-3. 제3의 제어)(4-7-3.Third Control)

제어부(407)는 전압 발생부(403)로부터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The control unit 407 may control to stop applying the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since the voltage generation unit 403 began to apply the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예를 들면, 유닛 본체(301)안을 흐르는 물의 유량이 적은 경우,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계속해서 용출시키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가 대단히 고농도가 되고, 전극(311, 312)이 빨리 소모하거나, 금속화합물이 부착됨으로써 세탁물이 더럽혀질 경우가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e unit main body 301 is small, if metal ions are continuously eluted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added water becomes very high and the electrodes 311, 312) may be quickly consumed or the laundry may be soiled by the attachment of metal compounds.

그러나,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따르면, 가령 유량이 적어도 적당한 상황에서 금속 이온의 용출이 정지되므로,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전극(311, 312)의 수명이 극단적으로 빨라지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7, for example, the elution of the metal ions is stopped in a situation where the flow rate is at least appropriate, and the elution amount of the metal ions is excessively high, so that the concentration is too high, or the lifetim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is extended. You can avoid getting extremely fast.

또한, 소정시간 경과의 카운트는 소정시간 이상 전압인가를 정지했을 경우에 제로로 리셋 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세탁조(30)의 수량을 소정수량으로 하는데 복수회로 나누어서 급수하거나, 사용자가 급수의 도중에 일시 정지한 경우라도, 무턱대고 시간이 리셋 되지 않으므로, 소정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금속 이온이 필요이상으로 용출되어, 지나치게 고농도가 되는 등의 불량의 걱정이 없다. In addition, the count afte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reset to zero when the voltage application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is case, even if the water supply of the washing tank 30 is a predetermined quantity, the wat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s, or even if the user pauses in the middle of water supply. There is no worry of defects such as elution and excessively high concentration.

(4-8. 기타의 구성)(4-8. Other Configurations)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200)는 도28에 도시한 구동 유닛(400) 대신에, 도29에 도시하는 구동 유닛(400')을 이용해도 좋다. 이 구동 유닛(400')은 구동 유닛(400)의 구성에 부가해서, 농도 설정부(408)와, 급수 수량 설정부(409)와, 용출 횟수 카운트부(410)와,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 기억부(413)와, 진동 센서(414) 중, 적어도 어느 것인가를 가지고 있다. The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drive unit 400 'shown in FIG. 29 instead of the drive unit 400 shown in FIG.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400, the drive unit 400 ′ includes a concentration setting unit 408, a water supply water setting unit 409, an elution count counting unit 410, and a water supply count counting unit ( At least one of 411,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frequency setting unit 412, the storage unit 413, and the vibration sensor 414 is included.

(4-8-1. 농도 설정부)(4-8-1.Density setting part)

농도 설정부(408)는 사용자가 금속 이온(은 이온)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농도 설정부(408)에서 설정된 농도에 따라,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경하고, 그것을 전극(311, 312)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407)는 농도 설정부(408)에서 설정된 농도에 따라, 전극(311, 312)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경하거나,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 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The concentration setting unit 408 is for the user to set the metal ion (silver ion) concentr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7 changes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set by the concentration setting unit 408 and performs control to apply it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7 chang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set by the concentration setting unit 408, or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application time to the.

이 구성의 경우, 농도 설정부(408)에서의 농도설정에 의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금속 이온 첨가물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소망의 항균능력에 맞춘 금속 이온 농도를 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200)의 사용성 및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by setting the concentration in the concentration setting section 408,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 additive, for example, to produce a metal ion concentration that meets the user's desired antibacterial ability. Can be. Thereby, the usability and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200 of this invention can be expanded.

(4-8-2. 급수 수량 설정부)(4-8-2.Water supply quantity setting part)

급수 수량 설정부(409)는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에의 급수 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수량 설정부(409)에 의해 설정된 급수 수량에 따라,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시간, 즉,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 생한 전압의 전극(311, 312)에의 인가 시간(전극(311, 312))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한다. The water supply quantity setting unit 409 is for setting the water supply quantity to the washing machine 1 as the water supply apparatu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07 determines the elution time of the metal ions (silver ions), that is, the voltages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set by the water supply quantity setting unit 409. Control is performed to change the time of application to 312 (the time for the current to flow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세탁기(1)에 급수하는 수량에 의해, 세탁물의 항균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 농도로서 소정농도를 얻기 위한 금속 이온 용출량도 결정된다. 금속 이온의 용출량은 기본적으로 패러데이의 법칙을 따르므로, 전압인가에 의해 전극(311, 312)에 소정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을 상기 급수 수량에 맞춰서 변경하면, 유량검지수단(검지부(315)) 등의 비용이 드는 것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소망농도의 금속 이온 첨가수를 안정되게 세탁기(1)에 공급할 수 있다. By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the amount of metal ion elution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as the metal ion concentration required for the antibacterial treatment of laundry is also determined. Since the amount of elution of metal ions basically follows Faraday's law, if the time for letting a predetermined current flow through the electrodes 311 and 312 by applying voltage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pply amount, the flow rate detecting means (detecting unit 315) and the like. Even if it is not equipped with the cost of, the metal ion addition water of desired concentration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stably.

또한, 금속 이온의 용출시간의 변경은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 할 때의 토털 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고,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교대로 ON/OFF 할 경우에는 그 ON시간과 OFF시간의 비율(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The elution time of the metal ions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total time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When the voltages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alternately turned ON / OFF, The ratio (time) of the ON time and the OFF time may be changed.

(4-8-3. 용출 횟수 카운트부)(4-8-3.Elution count counting unit)

용출 횟수 카운트부(410)는 이온 용출 유닛(300)에 있어서의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로서는 (a)전압 발생부(403)로부터 전극(311, 312)에 교대로 전압을 인가 할 경우에는 그 어느 쪽인가가 ON이 되는 횟수여도 좋고, (b)전극(311, 312)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을 시작하고 나서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의 전체를 1회로 한 횟수여도 좋다. The dissolution number counting unit 410 counts the dissolution number of the metal ions (silver ions) in the ion dissolution unit 300. Here, as the number of metal ions eluted, (a) When the voltage is alternately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from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the number of times of turning on either may be used, and (b) the electrode The number of times the whole from the start of elution of the metal ions from (311, 312) to the end of it may be one.

이 경우, 제어부(407)는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가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 상태 표시부(402)의 은 이온 표시 램프(402b)를 급속점멸시킨다.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전극(311, 312)이 점차 소모하므로, 카운터부(408)가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전극(311, 312)의 수명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407 causes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of the status display unit 402 to flash rapidly when the number of dissolution of the metal ions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s the number of elution of metal ions increases, the electrodes 311 and 312 are gradually consumed, so that the counter 408 counts the number of elution of metal ions, thereby predicting the lif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to some extent. Can be.

따라서, 제어부(407)에 의한 은 이온 표시 램프(402b)의 급속점멸에 의해, 전극(311, 312)의 수명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서, 유닛 본체(301)의 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용출 횟수 카운트부(410)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그러한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Therefore, by the flashing of the silver ion display lamp 402b by the control part 407, the lifetim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can be recognized by a user, and the replacement of the unit main body 301 can be promoted. Moreover, such an effect can be easily obtained by the simple structure of providing the dissolution number counting unit 410.

(4-8-4. 급수 횟수 카운트부)(4-8-4. Water supply count counter)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검지부(315)에서의 수류유무의 검지에 근거하여, 이온 용출 유닛(300)으로부터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에의 급수 횟수를 카운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검지부(315)가 최초에 유닛 본체(301)안에서의 수류를 검지했을 때,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는 이것을 1회째의 급수 횟수로서 카운트하고, 검지부(315)가 한번 수류 없음을 검지하고 나서 다시 수류 있음을 검지했을 경우에, 이것을 2회째의 급수 횟수로서 카운트한다.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411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from the ion elution unit 300 to the washing machine 1 as the water supply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detection unit 315 of the ion elution unit 300. . For example, when the detection unit 315 first detects water flow in the unit main body 301, the water supply count counting unit 411 counts this as the first water supply count, and the detection unit 315 has no water flow once. When it detects that there is water flow again, this is counted as the 2nd water supply frequency.

이러한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을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에서 카운트한 급수 횟수가,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에 대응하는 횟수(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에 대응하는 횟수)가 된 이후(예를 들면 급수 횟수가 3회째 이후)에,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한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킨다. When such a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411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407 determines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water supply counted by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411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elution of the metal ions is required (elution of the metal ions is required. After the number of time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washing process) (for example, after the third time of water supply),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transferr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on unit 300. The metal ions are eluted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by applying.

세탁기(1)에서는 보통으로 세탁 공정을 운전하면, 처음에는 세탁 공정이 실 행되고, 그 후, 헹굼 공정이 실행된다. 세탁기(1)에의 급수는 각 세탁 공정마다, 각 공정의 소정수량을 급수하는 메인 급수와, 천에 물이 배어드는 것에 의한 수위저하를 보충하기 위해서 각 공정의 도중에 보급수를 추가하는 추가급수가 행하여지는데, 예를 들면 세탁 공정에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공급해도, 그 금속 이온은 의류의 더러움이나 세제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한 물과 함께 씻겨 흘러서, 금속 이온을 의류에 대해서 충분히 작용시킬 수 없고 낭비가 된다. In the washing machine 1, when a washing process is normally operated, a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initially, and a rins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washing machine 1 is, for each washing process, the main water supply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each process, and the additional water supply for adding supplemental water in the middle of each process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water level caused by the water soaking in the cloth. For example, even if the metal ion-added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in the washing step, the metal ions are washed off with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lothes dirt and detergent components, and the metal ions are sufficiently applied to the clothes. It can't be done and it's a waste.

그러나, 급수 횟수가 1회째(메인 급수) 및 2회째(추가급수)가 되는 세탁 공정에서는 전극(311, 312)에 전압을 하지 않고, 급수 횟수가 3회째 이후일 때, 즉, 다음 헹굼 공정 이후로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하고,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킴으로써, 용출된 금속 이온이 낭비가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금속 이온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의 더러움도 세탁 공정에서 거의 제거되어 있으므로, 그 후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에 의해,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대해서 작용시키기 쉽게 할 수도 있다. However, in the washing process in which the water supply frequency is the first (main water supply) and the second (additional water supply), th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when the water supply frequency is after the third time, that is, after the next rinsing process. By applying a voltage to the furnace electrodes 311 and 312 and eluting the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it is possible to avoid the waste of the eluted metal ions and to effectively use the metal ions. In addition, since the dirt of the laundry is almost removed in the washing step, the metal ions can be easily acted on the laundry by the subsequent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4-8-5.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8-5. Water Dispensing Time Setting Part)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는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개시가 되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frequency setting unit 412 is for setting the number of water supply times at which the metal ions start elution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on unit 300.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를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했을 때,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한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 출시킨다. When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407 when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ed by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411 reaches the water supply number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to elute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예를 들면, 세탁 공정 후의 헹굼 공정이, 복수의 헹굼 공정(예를 들면 저수 헹굼 공정 3회)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헹굼 공정마다 세탁기(1)에의 급수가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항균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금속 이온을 의류에 부착되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최종 헹굼 공정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급수하면 좋으므로, 최종 헹굼 공정 이전의 헹굼 공정에서는 반드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급수할 필요는 없다. 최종 헹굼 공정 이전에서의 헹굼에 의한 금속 이온은 그 후의 공정에서의 헹굼에 의해, 씻겨 흘러버려, 충분히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고, 금속 이온이 낭비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For example, when the rinsing step after the washing step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rinsing steps (for example, three times of low water rinsing steps),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for each rinsing step. Here, in order to give the antimicrobial effect, in order to make the metal ions adhere to the clothes, the metal ion-add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at least in the final rinsing step, and therefore, in the rinsing step before the final rinsing step, the metal ions must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the additional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1. This is because the metal ions by rinsing before the final rinsing step are washed away by the rinsing in the subsequent step and are not sufficiently utilized effectively, and the metal ions will be wasted.

그러나,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따르면,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 시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급수되므로, 헹굼 공정이 복수의 헹굼 공정으로 이루어질 경우라도, 예를 들면 최종 헹굼 공정에 대응하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최종 헹굼 공정 때만, 세탁기(1)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가 불필요한 다른 공정(세탁 공정이나, 최종 헹굼 공정이외의 헹굼 공정)에서는 금속 이온을 용출하지 않으므로, 금속 이온의 쓸데없는 용출을 막고, 금속 이온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7, since the metal ion addition water is supplied at the time of the water supply set in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even if the rinsing step is made of a plurality of rinsing steps, for example, Only by setting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corresponding to the final rinsing step, the metal ion-add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only during the final rinsing step. Therefore, the metal ions are not eluted at other processes (washing process or rinsing process other than the final rinsing process) where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is unnecessary, so that useless metal elution can be prevented and metal ions can be effectively used. .

또한,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를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한 이후, 계속해서,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한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In addition, when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407 causes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ed by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411 to reach the water supply number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Subsequently,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403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to elute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도5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헹굼 공정의 최초에서는 탈수 공정이 실행되지만, 이 탈수 공정 시에 세탁조(30)에서 언밸런스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또한, 언밸런스란, 세탁물이 세탁조(30)안에서 치우쳐서 배치됨으로써, 탈수 시작 시에 회전 밸런스를 잘 맞출 수 없어, 세탁조(30)이나 세탁기(1) 자체가 크게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As shown in Fig. 5, the dehydration step is per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rinsing step, but unbalance may occur in the washing tank 30 during this dewatering step. In addition, unbalance mean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laundry is arranged in the washing tank 30 so that the rotational balance cannot be well balanced at the start of dehydration, and the washing tank 30 and the washing machine 1 vibrate greatly.

그래서, 이러한 언밸런스를 세탁기(1)의 검지수단(도시하지 않고)이 검지했을 경우에는 세탁기(1)의 제어수단은 세탁조(30)에의 급수를 행해서 세탁물을 풀고,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Therefore, when the detection means (not shown) of the washing machine 1 detects such an unbalance, the control means of the washing machine 1 supplies water to the washing tank 30 to unload the laundry and control to correct the unbalance. .

따라서, 이러한 언밸런스를 수정하기 위한 급수가 실행되면, 급수 횟수 카운트부(411)는 이것도1회의 급수 횟수로서 카운트하기 때문에, 최초에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용출을 개시시키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고 있어도, 도중에 언밸런스 수정이 실행되었을 때에는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가, 최종 헹굼 공정에 대응하는 급수 횟수와 어긋날 경우도 생기게 된다. 즉, 최종 헹굼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실제의 급수 횟수가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도달해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가 개시될 경우도 생기게 된다. Therefore, when water supply for correcting such an unbalance is executed,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411 also counts this as the number of water supply times, so that the water supply number at which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starts elution first is determined. Even if it is set, when the unbalance correction is performed on the way,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may be out of phase with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corresponding to the final rinsing step. In other words, before the final rinsing step, the actual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reaches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so that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may be started.

그러나,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의해,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 이후도 계속해서, 세탁기(1)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급수되 므로, 언밸런스의 발생에 의해, 급수 횟수가 증가한 등, 도중에 예측불허의 사태가 생겼을 경우라도, 최종의 헹굼 공정에서 반드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급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최종 헹굼 공정에서 소망의 항균처리를 행할 수 있다. 즉, 최종 헹굼 공정에서 금속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 급수됨으로써, 그것보다 전에 공급된 금속 이온의 의류에의 부착량이 감소하고, 사용자가 소망의 항균능력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However,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7, the water of the metal ion addition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after the water supply number set in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Even when an unpredictable situation occurs on the way,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imes, the metal ion-added water can always be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in the final rinsing step. As a result, the desired antibacterial treatment can be performed in the final rinsing step. That is, the water that does not contain metal ions in the final rinsing process is supplied with wat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adhesion of metal ions supplied before the clothes to the garment, and reliably avoiding the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obtain the desired antibacterial ability. Can be.

또한, 헹굼 공정 후, 즉 최종 헹굼 공정 후의 탈수 공정으로 언밸런스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도,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공정이 실행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제어부(407)의 상기 제어에 의해,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 이후도 계속해서, 세탁기(1)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급수되므로, 최종 헹굼 공정 이후에 금속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 급수되는 것에 의한 상기와 동일한 불량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unbalance may arise in the dehydration process after a rinsing process, ie, after a final rinsing process, and also in this case, the process of correcting an unbalance is performed. Even in such a case, the metal ion-added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after the water supply number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412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7, so that the metal after the final rinsing step The same defect as described above due to water supply of water not containing ions can be reliably avoided.

(4-8-6. 기억부)(4-8-6.Memory)

기억부(413)는 세탁기(1)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은 이온 수)의 공급이 필요해지는 급수 타이밍을 미리 기억해 두는 기억수단이다. 또한, 도29에서는 기억부(413)는 제어부(407)와는 별도로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지만, 제어부(407) 내의 메모리에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storage unit 413 is a storage means for storing in advance the water supply timing in which the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silver ion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1 is required. In FIG. 29, the storage unit 413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unit 407, but may be configured in a memory in the control unit 407. In FIG.

상기 급수 타이밍은 디폴트로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고, 도시하지 않은 급수 타이밍 설정부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설정된 급수 타이밍이 기억부(413)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29에 도시한 급수 수량 설정부(409)나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412)는 상기의 급수 타이밍 설정부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timing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by default, or a water supply timing setting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and the water supply timing set by thi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The water supply water quantity setting unit 409 and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frequency setting unit 412 shown in FIG. 29 can also be used as the water supply timing setting unit.

이러한 기억부(413)를 설치했을 경우, 제어부(407)는 기억부(413)에 기억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 타이밍에 맞춰서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When such a storage unit 413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407 drives the voltage generation unit 403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pply timing of the metal ion-add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so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예를 들면, 상기 급수 타이밍으로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까지의 시간』이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부(407)는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이 ON이 되고 나서의 상기 시간경과 후에,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For example, suppose that "time until water supply of metal ion addition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as the water supply timing, the control unit 407 turns on the drive unit 400 by the operation unit 401. After the time elapses after this,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driven to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또한, 상기 급수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소정의 급수유량』이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부(407)는 검지부(315)에서 검지된 유량이 상기 급수유량에 달했을 경우에,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In addition, suppose that "predetermined water supply flow rat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as the water supply timing, for example, when the flow rat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315 reaches the water supply flow rate,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driven to apply a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또한, 상기 급수 타이밍으로서, 예를 들면 『헹굼 공정까지의 급수 횟수』가 기억부(4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부(407)는 현재의 급수 횟수가 기억부(413)에 기억 된 급수 횟수에 달한 상황에서, 전압 발생부(403)를 구동하고,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시킨다. As the water supply timing, for example,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up to the rinsing proces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and the control unit 407 determines that the current water supply numb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3. In this situation, the voltage generator 403 is driven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이와 같이, 기억부(413)가 세탁기(1)에의 급수 타이밍을 기억하고, 그 급수 타이밍으로 전극(311, 312)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가 정말로 필요해질 때에만,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를 행할 수 있 다. In this way, since the storage unit 413 stores the water supply timing to the washing machine 1 and can elute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at the water supply timing, when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 addition water is really needed. However,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can be performed.

예를 들면, 세탁기(1)에서는 세탁 공정으로서,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공정 등이 실행되지만, 세탁 공정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하더라도, 금속 이온은 세탁물에는 부착되지 않고, 세제와 함께 씻겨 버려질 뿐이고, 공급되는 금속 이온이 낭비가 된다. For example, in the washing machine 1, a washing step, a rinsing step, a dehydration step, a drying step, and the like are performed as the washing step. However, even if the metal ion-added water is supplied in the washing step, the metal ions do not adhere to the laundry and the detergent It is only washed away, and the metal ions supplied are wasteful.

그러나, 상기 급수 타이밍에 근거해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를 행하면,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이 ON 되어도, 즉시 금속 이온이 용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헹굼 공정이 다가왔을 때에 비로소 금속 이온의 용출을 개시시키고,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구동 유닛(400)이 일찌감치, 예를 들면 세탁을 시작할 때에 ON 되어도, 전극(311, 312)으로부터 쓸데없는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전극(311, 312)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그 쓸데없는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용출되는 금속 이온도 유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세탁물에 유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However, when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i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water supply timing, even when the driving unit 400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unit 401, the metal ions are not immediately eluted, for example, when the rinsing step approaches. It is finally possible to start elution of the metal ions and to supply the metal ion-added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1. Therefore, even if the drive unit 400 is turned on early, for example, when washing is started, it is solved without eluting useless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use the electrodes 311 and 312 to reduce its useless consumption. In addition, the eluted metal ions can be effectively used, and can effectively act on laundry.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어부(407)가 소정의 급수 타이밍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세탁기(1)에 공급함으로써,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 필요가 될 때에 자동적으로 금속 이온이 용출되어서 세탁기(1)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 필요해지는 타이밍으로 수동으로 조작부(401)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세탁을 시작할 때에 구동 유닛(400)을 ON만 해 두면, 그 후, 사용자는 구동 유닛(400)의 곁에 계속 붙어 있지 않아도 되게 되어, 그 동안에 다른 볼일을 끝마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리성이 좋아진 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control unit 407 supplies the metal ion-added water to the washing machine 1 at a predetermined water supply timing, the metal ions are automatically eluted when the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is needed, and the washing machine ( Supplied to 1). Thereby,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operation part 401 manually at the timing which needs supply of metal ion addition water.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drive unit 400 is only turned ON when washing is started, then the user does not have to be stuck next to the drive unit 400 thereafter, so that other work can be finished in the meantim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또, 조작부(401)의 수동 입력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를 행할 경우는 조작부(401)의 조작의 잊어버림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 타이밍을 놓쳐버릴 위험성도 있지만, 상기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타이밍으로 필요한 때에 금속 이온 첨가수가 자동적으로 급수되므로, 그러한 걱정은 일절 없다. Moreover, when water supply of the metal ion addition water is performed by the manual input of the operation part 401, there exists a danger that the water supply timing of metal ion addition water may be missed by forgett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401, According to this, since the metal ion-added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when necessary at a predetermined timing, no such worry is at all.

또한, 기억부(413)에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필요한 급수시간이나 필요한 급수유량을 미리 기억 시켜 놓고, 제어부(407)는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하기 시작하고 나서 상기 급수시간이 경과한 후, 또는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상기 급수유량만 급수한 후에, 전압 발생부(403)로부터의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를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만일,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의 구동을 OFF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라도, 쓸데없는 전력소비나 쓸데없는 금속 이온의 용출을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13 memorizes the required water supply time and the required water supply flow rate of the metal ion-added water in advance, and the control unit 407 starts to supply the metal ion-added water after the water supply time has elapsed, or After supplying only the said water supply flow volume of metal ion addition water, you may control to stop the voltage application from the voltage generation part 403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utomatically. Thereby, even if a user forgets to turn off the drive of the drive unit 400 by the operation part 401, useless power consumption and useless elution of a metal ion can be avoided.

(4-8-7. 진동 센서)(4-8-7.vibration sensor)

진동 센서(414)는 급수 장치인 세탁기(1)의 진동에 근거하여,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예를 들면 헹굼 공정)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이다. 제어부(407)는 진동 센서(414)가 상기 시기를 검지했을 때, 전압 발생부(403)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이온 용출 유닛(300)의 전극(311, 312)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The vibration sensor 414 is a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timing (for example, a rinsing process) when metal ions need to be eluted based on the vib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which is a water supply device. When the vibration sensor 414 detects the timing, the control unit 407 controls to apply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of the ion eluting unit 300.

예를 들면,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에서는 세탁조(30)의 회전속도, 세탁조(30) 내의 물의 양, 펄세이터(33)의 회전속도 등의 요인에 의해, 세탁기(1) 의 진동상태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 공정이나 헹굼 공정의 교반공정에서는 펄세이터(33)가 100rpm정도(모터도100rpm정도)로 회전하고, 그 사이에 있는 중간 탈수 공정에서는 세탁조(30)가 900rpm정도(모터도900rpm정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이들 공정간에서는 진동주기(주파수)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진동 센서(414)는 예를 들면, 세탁조(30), 펄세이터(33), 모터 등의 회전수의 차이로부터 생기는 진동주기의 차이에 의해,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예를 들면, 헹굼 공정)을 거의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washing process and the rinsing process, the vibration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1 varie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shing tank 30,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shing tank 3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lsator 33,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pulsator 33 rotates at about 100 rpm (about 100 rpm) in the stirring process of the washing or rinsing process, and the washing tank 30 is about 900 rpm (about 900 rpm) in the intermediate dehydration process therebetween. Rotate). Therefore, a remarkable difference appears in the vibration period (frequency) between these processes. Accordingly, in the vibration sensor 414, for example, a washing process requiring elution of metal ions due to a difference in vibration periods resulting from a difference in rotation speeds of the washing tank 30, the pulsator 33, the motor, and the like (eg, For example, the rinse step can be almost reliably detected.

이것에 의해, 제어부(407)가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세탁 공정이 헹굼 공정에 들어갔을 때에 비로소, 전극(311, 312)에 전압을 인가해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닛(400)이 일찌감치 ON 되더라도, 전극(311, 312)으로부터 쓸데없는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지 않고 해결된다. 그 결과, 전극(311, 312)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그 쓸데없는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등, 기억부(413)를 설치해서 소정의 급수 타이밍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하는 구성의 경우와 완전히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by, the control part 407 performs said control, and when a washing | cleaning process enters a rinsing process, a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metal ions can be eluted. Therefore, even if the drive unit 400 is turned on early, it is solved without eluting useless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s 311 and 312. As a result, the use of the electrodes 311 and 312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duce the wasteful consumption, and the storage unit 413 is provided to supply the metal ion-added water at a predetermined water supply timing.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한 시기의 검지는 이하와 같이 해도 좋다. 즉,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세탁 공정(예를 들면,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기(1)의 진동진폭의 범위를 미리 기억부(413)에 기억시켜 두고, 제어부(407)가, 세탁기(1)의 진동진폭이 상기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진동진폭의 범위를 미리 기억부(413)에 기억시켜 두고, 제어부(407)가, 세탁기(1)의 진동진폭이 상기 범위 외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도 좋다. In addition, detection of the time at which the metal ion needs to be eluted may be as follows. That is, the range of the vibration amplitude of the washing machine 1 in the washing process (for example, the rinsing process) where the elution of the metal ions is required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13, and the control unit 407 stores the washing machine. You may make it judge whether the vibration amplitude of (1) exists in the said range. For example, the range of the vibration amplitude in the washing process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13, and the control unit 407 determines whether the vibration amplitude of the washing machine 1 is outside the above range. You may also

또, 진동 센서(414)는 급수 밸브(50)의 진동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진동 센서(414)는 급수 밸브(50)가 구동되어 있을 때, 즉 급수하고 있을 때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검지에 근거하는 제어부(407)의 제어에 의해, 급수 시에 금속 이온을 용출하고, 금속 이온 첨가수를 급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sensor 414 may detect the vibra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50. As a result, the vibration sensor 414 can detect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0 is driven, that is, when the water supply is being supplied.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0 is driven, the vibration sensor 414 controls the metal at the time of water supp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7 based on such detection. Ions can be eluted and the metal ion-added water can be supplied.

또한, 제어부(407)는 진동 센서(414)가 탈수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기(1)의 진동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전압 발생부(403)로부터의 전극(311, 312)에의 전압인가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만일, 조작부(401)에 의해 구동 유닛(400)의 구동을 OFF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라도, 쓸데없는 전력소비나 쓸데없는 금속 이온의 용출을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sensor 414 detects the vib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in the dehydration step, the control unit 407 automatically stops applying voltag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from the voltage generating unit 403.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forgets to turn off the drive of the drive unit 400 by the operation unit 401, it is possible to avoid useless power consumption and useless elution of metal ions.

(4-9. 효과)(4-9.Effect)

상기한 구성의 구동 유닛(400)은 급수 장치로서의 세탁기(1)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300)과 함께 구동 유닛(400)을 나중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세탁기(1)가 이온 용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존의 것이어도, 이온 용출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1)와 동등한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존의 세탁기(1)의 쓸데없는 개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세탁기(1)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400)은 세탁기(1) 외부에 설치되므로, 고장이나 전지수명 시의 구동 유닛(400)의 수리나 전지교환도 용이하다. The drive unit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freely disposed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 as a water supply device. Thereby, since the drive unit 400 can be attached later with the ion eluting unit 300, even if the washing machine 1 is a conventional thing which does not have an ion eluting unit, the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ion eluting unit ( Equivalent to 1) can be easily realized. As a result, the existing washing machine 1 can be used effectively without the unnecessary waste of the existing washing machine 1. In addition, since the drive unit 400 is installed outside the washing machine 1, the drive unit 400 can be easily repaired or the battery is replaced at the time of failure or battery life.

(5. 기타)(5. Others)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부가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 채택한 형식의 전자동세탁기로 사용대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가로형 드럼(텀블러 방식), 경사 드럼, 건조기 겸용의 것, 또는 2조식 등, 모든 형식의 세탁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ac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various change can be added and implement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ain point of invention. In additio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bject with 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of the type adopted by said eac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ll types of washing machines, such as horizontal drums (tumblers), inclined drums, dryers, or two tanks.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는 스탠드 얼론으로 기능시킬 수 있고, 설치가 간단하고, 게다가 운전에 특수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 특질을 살려서 세탁뿐만 아니라 광범한 용도에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탁기 이외에 물을 사용하는 가전기기(식기세정기, 정수기 등)의 급수경로에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 경우, 기기의 사양이나 기종은 문제되지 않는다.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 stand-alone, and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furthermore, since it does not require a special function for operation, it can be used not only for washing but also for a wide range of uses. For example, it is also easy to arrange | position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n the water supply path | route of household appliances (a dishwasher, a water purifier, etc.) using water other than a washing machine. In this case, the specification and model of the device do not matter.

부가해서, 사용하는 물을 본 발명의 항균처리 장치로 살균하고, 그 물에 피세정물을 적심으로써, 의류뿐만 아니라, 식기, 도마, 주걱, 설거지 스폰지, 수세미라고 하는 부엌용품이나, 목욕·화장용품까지 금속 이온 함유수로 항균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금속 이온 함유수를 피세정물에 쏟아 붓는 것이 아니라, 용기에 금속 이온 함유수를 담아두고 그 안에 피세정물을 담근다고 하는 사용법을 쓰면, 다종 다양한 피세정물을 적은 수량으로 효과적으로 항균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o be used is sterilized by the antimicrob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ater to be cleaned is soaked in the water, so that not only clothes but also kitchen utensils such as tableware, cutting board, spatula, dishwashing sponge and loofah, and bath and toilet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antibacterial treatment with metal ion-containing water to articles. Rather than pouring the metal-ion-containing water into the object to be cleaned, the method of storing the metal-ion-containing water in a container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in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antibacterial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objects to be cleaned in small quantities. have.

욕조 중의 물이나 천수조에 모은 빗물의 살균, 입욕시의 감염방지, 또는 어류용 수조 내부의 살균도,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항균 처리 장치의 사용장소는 일반가정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의료기관이 나 공공 시설에서 각종 물품의 살균 또는 항균처리를 하여 인체에의 병원균의 감염을 막는데도 이용할 수 있다. Sterilization of rainwater collected in a bath or a water bath, prevention of infection during bathing, or sterilization inside a fish tank can also be performed by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lace of use of the antimicrob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ay only in a general home. It can also be used to prevent infection of pathogens by sterilization or antibacterial treatment of various items in medical institutions or public facilities.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는 야외로 반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데다가, 사용에 특별한 훈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수도시설이 가까이 없거나, 있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한 장소(예를 들면 캠프 사이트, 재해 현장, 난민 캠프 등)에서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현지에서 입수한 물을 그 자리에서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물의 살균뿐만 아니라, 그 물을 사용해서 각종 용품을 항균 처리할 수 있으므로, 레저 장소에서도 재해 장소에서도, 일반인이 널리 활용하여, 주어진 환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생 수준을 지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and used outdoors, and does not require special training for use. Therefore, using the antimicrob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ce where water facilities are not nearby or even where it is impossible to use (for example, a camp site, a disaster site, a refugee camp, etc.), locally obtained water is sterilized on the spot. can do. As well as sterilization of water, the water can be used for antibacterial treatment,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use it widely in leisure and disaster places,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hygiene level regardless of a given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항균처리 장치로 살균처리한 물은 하천이나 연못과 늪으로 흘려보낸다고 하더라도 염소 소독한 물정도로는 수중 생태계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water sterilized by the antimicrob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amage the aquatic ecosystem to the extent of chlorine sterilized water even if it flows to a river or a pond and a swamp.

이렇게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를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의 종류도 건전지로 한정하지 않고, 2차 전지나 태양 전지,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형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utdoor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battery as a power source 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battery is also not limited to a dry battery, a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econdary battery, the solar cell,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실시의 형태1·2에서 설명한 구성은 물론, 실시의 형태3의 항균 처리 장치(200)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동 유닛(400)이 전극(311, 312)에의 통전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나, 유닛 본체(301)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의 전극(311, 312)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 부가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Embodiment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200 of Embodiment 3 as well. Therefore, for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ve unit 400 is provided with the timer which sets the energization time to the electrodes 311 and 312, and at least one part of the unit main body 301 is the internal electrode 311 and 312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erspective view can be visually added.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는 세탁기나 세탁기 이외에서 물을 사용하는 가전기기(식기 세정기, 정수기)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처리 장치는 부엌용품, 목욕·화장용품 등의 항균처리나, 의료기관이나 공공 시설, 야외에서 각종 물품의 살균 또는 항균처리를 행할 때에도 이용 가능하다. The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home appliances (table washing machines, water purifiers) using water other than a wash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Moreover, the antibacterial treatment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an be utilized also when performing antibacterial treatment of kitchen articles, baths, cosmetics, etc., sterilization or antibacterial treatment of various articles in a medical institution, a public facility, and the outdoors.

Claims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 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하고,The ion eluting unit include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body and its flow rate, 상기 검지수단은,The detection means, 상기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와,A rotor rotating by the passage of water, 상기 회전자에 내포되는 자석과,A magnet embedded in the rotor,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를 포함하고,A magnetic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and its flow rate based on the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or to the electr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수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voltage to the electrode whe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detects the water flow.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 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하고,The ion eluting unit include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body and its flow rate, 상기 검지수단은,The detection means, 상기 물의 통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와,A rotor rotating by the passage of water, 상기 회전자에 내포되는 자석과,A magnet embedded in the rotor,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상기 자석의 자기변화에 근거하여,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자기검지부를 포함하고,A magnetic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and its flow rate based on the magnetic change of the magnet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or to the electr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검지부가 상기 유량을 검지했을 때, 그 검지한 유량에 따라,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상기 전극에 흐르게 하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detected flow rate whe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detects the flow 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The drive unit, 금속 이온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농도 설정부와,A concentr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metal ion concentration, 상기 농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농도에 따라,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경하고 그것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change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ion unit and apply it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set in the concentration setting unit.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The drive unit, 급수 장치에의 급수 수량을 설정하기 위한 급수 수량 설정부와,Water supply quantity setting part for setting water supply quantity to water supply equipment, 상기 급수 수량 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 수량에 따라,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압의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의 인가 시간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change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on unit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pply quantity set by the water supply quantity setting unit.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The drive unit, 그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와,A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상기 이온 용출 유닛에 있어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를 카운트하는 용출 횟수 카운트부와,An elution number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elution times of metal ions in the ion eluting unit; 금속 이온의 용출 횟수가 소정값을 초과했을 때, 상기 상태 표시부를 점멸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flash the state display unit when the number of elution times of the metal ions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삭제delete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하고,The ion eluting unit include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body and its flow rate, 상기 구동 유닛은, The drive unit, 상기 검지수단에서의 수량유무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급수 장치에의 급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와,A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from the ion elution unit to the water supply device based on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detection means; 상기 급수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한 급수 횟수가, 금속 이온의 용출이 필요해지는 시기에 대응하는 횟수가 된 이후에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apply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unit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after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ed by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i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metal ions need to be eluted.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cluding.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수류의 유무와 그 유량 중의 적어도 한 쪽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포함하고,The ion eluting unit include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body and its flow rate, 상기 구동 유닛은,The drive unit, 상기 검지수단에서의 수량유무의 검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급수 장치에의 급수 횟수를 카운트하는 급수 횟수 카운트부와,A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water supply from the ion elution unit to the water supply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detection means;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을 개시시키는 급수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와, An elution start water supply frequency setting unit for setting a water supply frequency for initiating elution of metal ions from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on unit; 상기 급수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상기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했을 때,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apply a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unit to an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when the number of water supply counted by the water supply number counting unit reaches a water supply number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횟수 카운트부에서 카운트 된 급수 횟수가 상기 용출개시 급수 횟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급수 횟수에 달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electrode of the ion dissolution unit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generates a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even after the water supply count counted by the water supply count counter reaches the water supply number set by the elution start water supply number setting unit.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to.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 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metal ions to be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object by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의 상기 급수 장치로의 물의 공급로에 제거가 자유롭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freely installed in the supply path of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고,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가지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an ion eluting unit containing an electrode and having a unit body in which the water flows; 상기 항균 처리 장치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구동 유닛은,The drive unit, 급수 장치에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이 필요해지는 급수 타이밍을 미리 기억하는 기억수단과,Storage means for storing in advance the water supply timing at which the supply of the metal ion-added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is required;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급수 타이밍에 맞춰서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인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apply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unit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supply timing stored in the storage means. 급수 장치에 의해 급수 대상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하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포함하는 항균 처리 장치이며,It is an antibacteri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ion generation part which produces | generates the metal ion added to the water supplied to a water supply object by a water supply device, 상기 이온 발생부는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이며, 상기 급수 장치에의 물의 공급로에, 상기 공급로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external to the water supply device, and is installed in a supply path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device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supply path, 상기 이온 발생부는 전극을 내포하여 상기 물이 내부를 흐르는 유닛 본체를 갖는 이온 용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The ion generating unit is composed of an ion eluting unit having an unit body containing an electrode and flowing the water therein,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을 더욱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ion elution unit,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상기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고,The driving unit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부의 물흐름의 유무와 그 유량 중 적어도 한쪽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있고,The ion eluting unit further include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flow in the unit body and its flow rate, 상기 검지 수단은,The detection means, 물의 흐름에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체와,A moving body moving along the flow of water, 상기 이동체에 내포되는 자석과,A magnet embedded in the movable body,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위치에서 상기 자석의 자기를 검지함으로써, 수류의 유무를 검지하는 자기 검지부를 포함하고 있고,It includes a magnetic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water flow by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agnet at the position to which the moving body moves,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의 상기 전극에의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욱 포함하고,The driving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generated in the voltage generator to the electr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검지부가 상기 수류를 검지하였을 때에 상기 전압을 상기 전극에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voltage to the electrode when the magnetic detection unit detects the water flow.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를 수도의 수도꼭지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1 호스 또는 상기 수도꼭지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1 접속부와,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unit body to a first hos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a faucet of water flows or to the faucet; 상기 유닛 본체를 상기 급수 장치에 공급되는 물이 흐르는 제2의 호스 또는 상기 급수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2 접속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unit body to a second hos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flows or to the water supply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전극을 내부에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unit main body is formed in such a state that the electrode is included therei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물의 유입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물이 유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unit body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water flows ou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은 상기 유닛 본체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etection means is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급수 장치의 외부에 제거가 자유롭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drive unit is freely disposed outside of said water supply apparatu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 대상으로서의 세탁물에 물을 급수하는 세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water supply device is a washing machine for supplying water to laundry as the water supply objec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내부를 흐르는 물이 수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unit main body is arranged such that water flowing therei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로부터의 물의 유출방향을 변화시키는 유출방향 가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further includes an outflow direction variable portion that changes the outflow direction of water from the unit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의 전극보다도 유수 방향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filter which is provided upstream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electrode in the unit main body and removes impurities in the w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은 상기 유닛 본체 내의 전극보다도 유수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수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2의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ion elu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filter which is provided downstream from the electrode in the unit main body in the flow direction and removes impurities in the wat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그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에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에 지장을 초래하는 이상 사태가 생겼을 때, 전원이 끊어질 때까지 상기 상태 표시부를 계속해서 점멸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state display unit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rive unit displays a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thereof, and the state display unit until the power is cut off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at causes the elution of metal ions from the ion elution unit. An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ontrol to continuously display and blink.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유닛 본체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detachably with respect to the unit bod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극에의 전압인가를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rive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top applying the voltage to the electrode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voltage generation unit starts to apply the voltage to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Antimicrobi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전극의 저항에 따라, 상기 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변압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처리 장치.The antimicrobial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drive unit further includes a transformer circuit for changing a voltage generated at the voltage generator in accordance with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of the ion eluting unit.
KR20030071982A 2002-10-17 2003-10-16 Antibiotic treatment device KR1005747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3318 2002-10-17
JP2002303318 2002-10-17
JP2003205417A JP2004188174A (en) 2002-10-17 2003-08-01 Antibacterial treatment apparatus
JPJP-P-2003-00205417 2003-08-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28U Division KR200340012Y1 (en) 2002-10-17 2003-10-16 Antibiotic treat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82A KR20040034482A (en) 2004-04-28
KR100574710B1 true KR100574710B1 (en) 2006-05-03

Family

ID=32109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71982A KR100574710B1 (en) 2002-10-17 2003-10-16 Antibiotic treatment device
KR20-2003-0032428U KR200340012Y1 (en) 2002-10-17 2003-10-16 Antibiotic treatment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28U KR200340012Y1 (en) 2002-10-17 2003-10-16 Antibiotic treatment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4188174A (en)
KR (2) KR100574710B1 (en)
AU (1) AU2003273592B2 (en)
MY (1) MY157896A (en)
TW (1) TWI252268B (en)
WO (1) WO200403590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018B1 (en) 2003-11-10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Washing machine
US8091253B2 (en) * 2004-08-26 201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article treating device and system
KR100715536B1 (en) * 2005-06-30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Ion generator, controlling method the same and washing machine comprising an ion generating apparatus
JP2007301258A (en) * 2006-05-15 2007-11-2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Industrial Machinery Co Ltd Continuous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US10640403B2 (en) 2013-08-15 2020-05-05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batch dilution system
US11618696B2 (en) 2013-08-15 2023-04-04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batch dilution system
US9689106B2 (en) 2013-12-06 2017-06-27 Applied Silver, Inc. Antimicrobial fabric application system
US20170050870A1 (en) 2015-08-21 2017-02-23 Applied Silver,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ing Textile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CN106480631B (en) * 2015-08-31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of water-conservation washing machine
CN109414020A (en) 2016-05-12 2019-03-01 应用银股份有限公司 The product and method metal ion being assigned in washing system
CN110113946A (en) 2016-10-31 2019-08-09 应用银股份有限公司 Metal ion is distributed into batch-type washing machine and dryer
WO2018160708A1 (en) 2017-03-01 2018-09-07 Applied Silver,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ing textile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JP2018175039A (en) * 2017-04-05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ashing machine
JP7123783B2 (en) * 2018-12-19 2022-08-23 株式会社コロナ ion elution unit
JP7211929B2 (en) * 2018-12-27 2023-01-24 株式会社コロナ ion elution unit
EP4107523A4 (en) * 2020-02-20 2023-12-27 Applied Silver Inc. Portable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aterials with an antimicrobial ag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19Y2 (en) * 1988-05-17 1993-03-05
JP2711552B2 (en) * 1988-10-24 1998-02-10 品川燃料株式会社 Water sterilization method
JPH0584393A (en) * 1991-09-30 1993-04-06 Sharp Corp Laundry capacity detecting method
JPH05216376A (en) * 1992-02-04 1993-08-27 Hitachi Metals Ltd Method for forming and erasing image
JPH0751337A (en) * 1993-08-09 1995-02-28 Inax Corp Method for controlling pump which circulates bath water
JPH08192161A (en) * 1995-01-19 1996-07-30 Seiwa Electron Kk Silver ion water generator
JP3890801B2 (en) * 1999-03-30 2007-03-07 東陶機器株式会社 Sterilizer
JP2000291099A (en) * 1999-04-08 2000-10-17 Toto Ltd Sterilizing device for toilet stool
JP2001276484A (en) * 2000-03-30 2001-10-09 Tot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3592B2 (en) 2008-04-17
WO2004035904A1 (en) 2004-04-29
KR20040034482A (en) 2004-04-28
MY157896A (en) 2016-08-15
JP2004188174A (en) 2004-07-08
TWI252268B (en) 2006-04-01
KR200340012Y1 (en) 2004-01-28
TW200413595A (en) 2004-08-01
AU2003273592A1 (en) 200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710B1 (en) Antibiotic treatment device
AU2003277648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loaded with same
CN101481862B (en) Washing machine
US7708896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loaded with same
JP2007090095A (en)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JP2004105692A (en) Washer
WO2005021857A1 (en) Washing machine
JP2004024597A (en) Washing machine
JP3953381B2 (en) Ion elution unit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JP2007069049A (en)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JP3953380B2 (en) Ion elution unit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US7493784B2 (en) Washing machine with water treatment unit
JP2004321306A (en) Washing machine
CN101429720B (en) Antibacterial treatment device
JP4417404B2 (en) Washing machine
JP3963793B2 (en) Ion elution unit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JP2004275425A (en) Washing machine
KR200395275Y1 (en) Washing machine
KR200407214Y1 (en) Water treatment unit and appliance provided therewith
WO2004046044A1 (en) Ion generation unit, apparatus having ion generation unit, and washing machine having ion generation unit
AU2007231905B2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provid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