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A) 45∼95 중량부의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하기 (B-1) 5∼95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이 (B-2) 5∼95 중량부의 중합체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1∼50 중량부의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1) 하기 (B-1.1) 50∼95 중량부와 (B-1.2) 5∼50 중량부의 혼합물
(B-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B-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B-2)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C) 하기 (C-1) 50∼95 중량부와 (C-2) 5∼5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은 0.5∼50 중량부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C-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C-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D) 0.5 내지 30 중량부의 상용화제,
(E) 구성성분 (A)+(B)+(C)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0 중량부인 하기의 일반식(Ⅰ)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식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C6∼20 아릴 또는 알킬치환된 C6∼20 아릴기이고, R3 는 C6∼30 아릴 또는 알킬치환된 C6∼30 아릴기 유도체이며, 그리고 M은 수평균 중합도로서 0 내지 5의 값을 나타냄.)
및,
(F) 구성성분 (A)+(B)+(C)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인 평균 입자 크기가 0.05∼1000 ㎛이고, 밀도가 2.0∼2.3 g/cm3인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각 성분인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C) 비닐계 공중합체, (D) 상용화제, (E)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및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구성성분(A)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하기 일반식(Ⅱ)으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또는 탄산 디에스테르와 반응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5의 알킬렌, C1∼5의 알킬리덴, C5∼6의 시클로알킬리덴, -S-또는 -SO2-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Ⅱ)의 디페놀의 구체예로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등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면서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라고도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페인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200,000인 것을 들 수 있으며, 15,000∼8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로는 분지쇄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 전량에 대하여 0.05∼2 몰%의 트리-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예를 들면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로는 호모폴리카보네이트,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으며, 또한 코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 존재하에 중합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B) 고무 변성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는 (B-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부와, (B-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C1-C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부로 구성된 5∼95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B-1)을,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B-2) 5∼9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것이다.
상기의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또는 C1∼8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는 각각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류로서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모노히드릴 알코올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및 선택적으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B)는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상기 고무(B.2)의 입경은 충격강도 및 성형 표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05∼4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전술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 또는 괴상중합시키는 것이다.
(C) 스티렌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C)로는 (C-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부와 (C-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류, C1-C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핵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은 스티렌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의 C1-C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또는 C1∼8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는 각각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류로서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모노히드릴 알코올이다.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틸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프로필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스티렌계 공중합체 (C)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B)의 제조시에 부산물로서 생성될 수가 있으며, 특히 적은 양의 고무질 중합체에 과량의 단량체 혼합물을 그라프트시키는 경우, 더욱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C)의 함량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B)의 부산물을 포함하여 나타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중합체 (C)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스티렌계 공중합체 (C)로서는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의 단량체 혼합물, α-메틸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의 단량체 혼합물 또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그리고 선택적으로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의 단 량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구성성분 (C)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2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바람직한 공중합체 (C)는 스티렌과 무수말레인산의 공중합체로서, 연속 괴상 중합법 및 용액 중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두 단량체 성분의 조성비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5∼5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C)인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분자량 역시 넓은 범위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중량평균 분자량 60,000∼200,000 및 고유점도 0.3∼0.9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닐계 공중합체 (C)의 제조에 사용되는 스티렌 단량체는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2,4-디메틸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과 같은 다른 치환된 스티렌계 단량체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C)는 단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된다.
(D) 상용화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구성성분 (A)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구성성분 (B)인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구성성분 (C)인 스티렌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용화제의 종류로는 하기의 (D-1)∼(D-5)이 단독 또는 병 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D-1) (D-1.1)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70∼100 중량부와 (D-1.2) C1∼8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0~3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체,
(D-2) (D-2.1)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C1∼8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5-95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을 (D-2.2)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5∼95 중량부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D-3) (D-3.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메틸 링-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부와, (D-3.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부로 구성된 5∼95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을 분지로서, (D-3.2) 5∼95 중량부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된 주쇄에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D-4) (D-4.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메틸 링-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부와, (D-4.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C1-C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무수말레인산, C1-C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5∼50 중량부로 구성된 5∼95 중량부의 공중합체 주쇄(D-4.1)에 (D-4.2) 5∼95 중량부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분지로서 그라프트시킨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D-5) (D-5.1.1)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메틸 링-치환 스티렌, C1∼8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 중량부와, (D-5.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C1∼8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C1∼8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무수말레인산, C1∼4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D-5.1)을, (D-5.2) 0.05내지 5 중량부의 2차 아민,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에스테르, 알코올 또는 에폭시기로 부분 변성시킨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E)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본 발명의 구성성분 (E)는 하기 일반식 (Ⅰ)로 표시되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로서, 일본특허공보 59-202,240호에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식 (Ⅰ)에서 R1, R2, R4 및 R5는 각각 C6∼2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20 아릴기이고, R3 는 C6∼3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30 아릴기 유도체이다. 또한 상기 식에서 M은 수평균중합도(number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를 나타내며, M의 평균값은 0에서 5이다.
바람직한 R1, R2, R4 및 R5는 페닐기 또는 t-부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이소아밀, t-아밀 등의 알킬기가 치환된 페닐기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C6∼3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30 아릴기로부터 유도된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C6∼30 아릴 또는 알킬 치환된 C6∼30 아릴기로는 레조시놀, 히드로퀴논 또는 비스페놀-A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난연제 구성성분 (D)는 M의 평균값이 0∼5인 아릴 유도 올리고머형 인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서는 M의 값이 0, 1, 2, 3, 4 및 5 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이 단독 또는 혼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중합공정에서 제조될 때에 각각의 성분들이 이미 혼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각각 별도로 제조된 M 값이 다른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 에스테르 중에서 M 값이 0인 인산 에스테르로서는, 트리(알킬페닐)포스페이트, 디(알킬페닐)모노페닐포스페이트, 디페닐모노(알킬페닐)포스페이트 또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중의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E)는 종래의 이용가능한 수지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성분 수지와 함께 혼합하여 압출시킬 때, 수지내에서 섬유상 망상(fibrillar network)을 형성하여 연소시에 수지의 흐름점도를 저하시키고 수축율을 증가시켜서 수지의 적하 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불소화 수지는 공지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7∼71 kg/cm2의 압력과 0∼200℃의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20∼100℃의 조건에서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늄 퍼옥시디설페이트 등의 자유 라디칼 형성 촉매가 들어있는 수성 매질 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멀젼 상태 또는 분말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에멀전 상태의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면 전체 수지조성물 내에서의 분산성이 양호하나,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상태라 하더라도 전체 수지조성물내에 적절히 분산되어 섬유상 망상을 형성할 수 있으면, 분말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입자 크기가 0.05∼1,000 ㎛이고, 밀도가 2.0∼2.3 g/cm3 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기초수지 구성성분 (A)+(B)+(C)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5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상기의 구성성분 외에도 각각의 용도에 따라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일반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되는 무기물 첨가제는 기초수지 구성성분 (A)+(B)+(C)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품의 성형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높은 충격강도와 스트레스 크랙 저항성이 요구되는 컴퓨터 하우징과 같은 전기, 전자 제 품의 하우징의 제조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분자량(Mw) 20,000인 비스페놀-A형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B) 고무 변성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단량체 전량에 대하여 부타디엔 함량이 45중량부가 되도록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투입하고, 스티렌 36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4 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 큐멘히드로퍼옥시드 0.4 중량부, 메르캅탄계 연쇄이동제 0.3 중량부를 부가시켜 5시간 동안 75℃로 유지하면서 반응시켜 ABS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생성 중합체 라텍스에 1% 황산용액을 첨가하고, 응고시킨 후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C)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와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현탁중합하여 SAN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 상태의 SAN 공중합체 수지를 얻었다.
(D) 상용화제
(D-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주쇄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얻은 PC-g-SAN 공중합체로서 일본유지사의 Modiper C H430을 사용하였다.
(D-2) 부타디엔 고무에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된 아크릴레이트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Kureha사의 EXL-2602 수지를 사용하였다.
(D-3) 스티렌 7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부, 무수말레인산 1중량부 및 500 중량부의 벤젠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2 중량부를 넣고 용액중합하고, 이 공중합체를 n-핵산에서 침전시킨 후 건조시켜 분말상태의 SANMA 삼원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삼원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의 1-(2-아미노에틸)피페라진을 첨가하여 용융 상태에서 그라프트 중합하여 2차 아민 변성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E)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E-1) 상기의 일반식 (Ⅰ)에서의 M 값이 0인 것이 1.8 중량 %, M 값이 1인 것이 82.3 중량 %, M 값이 2인 것이 13.1 중량 %, M 값이 3인 것이 2.3 중량 %, M 값이 4인 것이 0.4 중량 % 함유되어있는, 평균 M값이 1.08인 비스페놀-A 유도 인산 에스테르 올리고머로서 FMC사의 DVP-506을 사용하였다.
(E-2) 상기의 일반식 (Ⅰ)에서의 M 값이 0인 것이 2.5 중량 %, M 값이 1인 것이 67.7 중량 %, M 값이 2인 것이 21.6 중량 %, M 값이 3인 것이 5.6 중량 %, M 값이 4인 것이 1.5 중량 % 함유되어있는, 평균 M값이 1.21인 레조시놀 유도 인산 에스테르 올리고머로서 Daihachi사의 CR-733S를 사용하였다.
(E-3) 단량체형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를 사용하였다.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미국 듀퐁사의 테프론(상품명) 7AJ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A, B
상기에서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이용하여 표 1의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A와 B에 나타낸 조성과 같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성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그라프트 공중합체/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를 80/10/10 이 되도록하여 압출하였으며, 실시예 5에서는 이들의 비가 70/15/15가 되도록하였다. 비교실시예 A는, 실시예 1-4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그라프트 공중합체/스티렌계 중합체 조성비(80/10/10)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것이고, 비교실시예 B는 실시에 5와 같은 조성비에서 상용화제를 제외한 경우이다.
각 구성성분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를 첨가하여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L/D=35, Φ=45 ㎜인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고온 사출시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은 사출온도 270℃에서 냉각 시간을 5분으로 한 상태로 10 온스 사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은 23℃, 상대습도 50%에서 40시간 방치한 후 ASTM 규격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였다.
난연성 평가를 위한 시편은 10 온스 사출기를 이용하여 250℃에서 제조하였다.
표 1의 결과로부터 상용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많거나(80 중량부) 적은(70 중량부) 경우에 모두 V-0 난연 등급을 얻을 수 있으나,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적으면 V-0 난연 등급을 얻을 수 없으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많은 경우에도 비록 난연 등급은 V-0로 나타날 수 있지만, 연소시간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단일 연소시간이 큰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고온 사출시의 충격강도에 있어서도, 상용화제를 사용하면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지만,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온 사출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
실 시 예 |
비교실시예 |
1 |
2 |
3 |
4 |
5 |
A |
B |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
73 |
80 |
80 |
73 |
63 |
80 |
70 |
(B) 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
10 |
5 |
10 |
10 |
15 |
10 |
15 |
(C) 스티렌계 공중합체 |
7 |
10 |
5 |
7 |
12 |
10 |
15 |
(D-1) PC-g-SAN 공중합체 |
10 |
- |
- |
10 |
10 |
- |
- |
(D-2) 아크릴레이트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
- |
5 |
- |
- |
- |
- |
- |
(D-3) 아민 변성 스티렌계 공중 합체 |
- |
- |
5 |
- |
- |
- |
- |
(E)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
(E-1) |
10 |
10 |
10 |
- |
10 |
10 |
10 |
(E-2) |
- |
- |
- |
10 |
- |
- |
- |
(E-3) |
2 |
2 |
2 |
2 |
3 |
2 |
3 |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
0.4 |
0.4 |
0.4 |
0.4 |
0.4 |
0.4 |
0.4 |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평균 M 값 |
0.75 |
0.75 |
0.75 |
0.87 |
0.65 |
0.75 |
0.65 |
UL 94 난연도(1/16")(1)
|
V-0 |
V-0 |
V-0 |
V-0 |
V-0 |
V-0 |
V-2 |
평균연소시간(초) |
2.0 |
2.2 |
2.1 |
1.9 |
2.7 |
3.2 |
6.9 |
최대단일 연소시간(초) |
4 |
5 |
5 |
4 |
6 |
10 |
21 |
적하 발생수 |
0/5 |
0/5 |
0/5 |
0/5 |
0/5 |
0/5 |
2/5 |
고온사출 노치충격강도(2)
(1/8", kg·㎝/㎝) |
43 |
45 |
43 |
38 |
40 |
12 |
14 |
내열온도(VST, ℃)(3)
|
92 |
91 |
92 |
90 |
85 |
92 |
84 |
(1) UL 94 (1/16")는 UL 94 VB에 이하여 평가함.
(2)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ASTM D256에 의하여 평가함.
(3) 내열도는 ASTM D306에 의하여 평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