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용융지수(ASTM 1238, g/10min)가 0.1~10.0의 파우더 형태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A)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90중량%, 용융지수 2.0~50.0g/10min의 펠렛 형태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B)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90중량% 및 유기 과산화물 (C)성분을 사용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성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A)는 입경이 5㎜이하, 바람직하게는 2㎜이하의 파우더 형태로써, 0.1~10g/10min의 용융지수, 바람직하게는 0.5~5g/10min의 용융지수를 나타낸다. 상기의 용융지수가 0.1g/10min미만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경우는 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피쉬아이 발생과 같은 표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용융지수가 10g/10min초과의 폴리프렌을 사용할 경우는 반응 후의 용융장력 및 연신 후화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B)는 펠렛 형태로써, 2.0~50.0 g/10min의 용융지수를 나타낸다.
상기의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알파 올레핀 단량체 10몰% 이하의 이원 공중합체이다. 또한, 사용되는 알파 올레핀으로는 2~10개의 탄소수를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1-부텐, 1-펜텐, 1-핵센, 1-옥텐 등을 포함한다.
개시제인 유기 과산화물(C)은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인 유기 과산화물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구체적인 종류는 디이소부틸 퍼옥사이드(Diisobutyl peroxide), t-아밀퍼옥시네오데카보네이트(t-Amyl peroxydecabonate),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Di(4-tert-butylcyclohexyl)peroxy dicarbonate], 디에틸헥실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세틸 퍼옥시디카보네이트(Dicetyl peroxydicarbonate), 디미리스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Dimyristyl peroxy dicarbonate), t-부틸 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t-butyl peroxy neoheptanoate), t-아밀 퍼옥시파레이트(t-Amyl peroxy pivalate), t-부틸 퍼옥시피바레이트,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기에틸 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 이소부틸레이트, 1,4-디(t-부틸퍼옥시카보)시클로헥산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A)~(C) 성분 이외에 용융지수 0.1~50g/10min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10의 알파 올레핀 단량체 10몰% 이하의 이원 공중합체 (D)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성분 (D)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9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파우더 또는 펠렛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파우더 형태로 유입되는 폴리프로필렌 (A)는 압출기 전단에서 유기과산화물과 우선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반면,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B)는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A)에 비해 반응성이 낮게 된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A)는 반응 압출기 전단에서 유기 과산화물과 반응하여 폴리프로필렌 라디칼을 형성하고 재결합하여 장쇄를 갖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이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A),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B) 또는 제 3의 형태의 폴리프로필렌(D) 및 반응 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 (C)을 상온 질소 분위기의 헨셀 믹서에서 500rpm에서 1분~4분, 1,500rpm에서 1분~4분 등 총 2~8분동안 충분히 혼합한후, L/D 가 20이상인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반응시켜 제조한다. 상기에서 혼합시 혼합기내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발생된 열을 제거해 주기 위해 냉각수를 사용한다.
또한, 용융 반응을 위해 사용되는 이축 압출기 외에 니더(Kneader), 벤버리 믹서(Banbury Mixer), 일축 압축기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우수한 반응성 및 높은 생산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므로 이중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압출기 사용시 용융 반응온도는 160~240℃, 바람직하게는 180~220℃이다. 이는 상기 온도 범위에서 폴리프로필렌 혼합물은 충분한 반응 및 혼련이 수행되고, 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이 폴리프로필렌 혼합물과 완전히 반응하여 잔류량이 없는 개질 폴리프로필렌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이축 압출기사용시 압출기 전단에서는 유입구(Feeding Zone Entrance)로부터 토출구까지의 각 온도조절기를 적당히 조절하여 적당한 온도 구배가 생기게 한다. 따라서, 유입되는 폴리프로필렌 혼합물 중 표면적이 가장 크고 용융열(ΔHf)이 낮은 파우더가 선택적으로 유기과산화물과 반응한다.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A)는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B)보다 표면적이 현저하게 넓기 때문에 헨셀믹서에서 개시제인 유기과산화물 대부분을 함침시킨다. 이로 인해 용융 반응시 대부분의 반응이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A)에서 일어나게 되게 되고,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B)는 소량이 반응에 관여하지만, 대부분이 반응하지 않고 혼련에만 참가하여 전체 융용지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하여 단일 PP만으로 압출한 경우보다 고분자량 PP와 저분자량 PP을 적절히 혼합하여 압출한 경우 분자량 분포가 넓어져 연신 후화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연신 후화 현상은 HMS-PP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고분자량의 폴리프로필렌과 상대적으로 저분자량의 폴리머가 적절히 혼합되어 연신시 적당한 힘을 가지며 연신되는 것이다. 만약 고분자 부분만이 존재하면 용융인장 강도는 우수하나 신율이 저하되게 되고, 저분자 부분이 필요이상 존재하면 신율은 우수하지만 용융강도가 낮아 발포, 고속coating 및 진압공 성형 시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분자 부분의 폴리프로필렌과 이축 압출기내에서 in-situ 반응을 통해 얻은 고분자 부분의 적절한 분배로 인해 높은 용융장력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각종 조성물의 특성 평가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용융지수:
230℃, 2.16kgf에서 ASTM D-1238 법으로 측정하였다.
(2) 용융장력 값:
독일 게페르트(Goeffert)사의 레오텐스(Rheotens) 71.97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독일 브라밴더사의 브라밴더 일축압출기에 수지를 넣고 200℃, 50rpm으로 압출하고 다이 아래에 레오텐스를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레오텐스에는 수지의 연신을 위해 4개의 바퀴(Wheel)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신속도는 동일한 비율로 등가속된다. 측정된 값은 센티뉴톤(cN)으로 나타내었다.
(3) 연신점도
일본 도요세이키(Toyoseiki)사의 멜텐 레오미터(Melten Rh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방법은 먼저 시료를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길이 20cm의 시편을 5개 채취하여 200℃의 실리콘 오일이 담긴 오일 bath에 10분정도 정치시킨 후, 연신 속도를 0.05~2sec-1로 하여 연신 점도를 측정하였다. 연신 후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SHI(Strain Hardening Index)를 설정하였다. SHI는 시간에 따른 인장 점도 변화 거동에서 초기 연신점도가 일정한 부분(Plate State)의 연신점도 값 대비 최대 연신점도 값의 비로, Basell사의 HMS-PP인 PF-814의 SHI를 100으로 하여 상대적인 수치로 나타내었다.
(4) Z-평균 분자량(Mz)
영국 Polymer Laboratories사의 겔크로마토그래피(GPC), 150℃에서 Z-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A)성분으로 용융지수 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5㎏과 (B)성분으로 용융지수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5㎏을 40L 헨셀 믹서에 넣고, 유기 과산화물로 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C)성분 10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1.0wt%)을 첨가하였다. 다음, 상온 조건에서 헨셀 믹서 내부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시킨 후, 500rpm에서 2분 및 1,500rpm에서 2분, 총 4분 동안 충분히 섞어주었다. 충분히 섞은 후, 준비된 2축 압출기(L/D=35)로 180~220℃의 온도범위에서 100rpm으로 반응 압출시켰다. 압출 후 얻어진 펠렛은 80℃에서 24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레오텐스, 멜텐 레오미터 등을 사용하여 용융장력 및 연신 후화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분자량분포는 겔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였다. 겔 발생유무는 폴리프로필렌 시트 성형기를 사용하여 시트를 제조한 후, 표면 및 시트 내부의 겔 유무로 확인하였으며, 정도에 따라 아주 심함, 심함, 가끔 발생, 양호, 우수 등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A)성분으로 용융지수 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4㎏과 (B)성분으로용융지수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6㎏을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 (C)의 양을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기과산화물(C)의 양을 7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7wt%)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A)성분으로 용융지수가 0.2g/10분인 폴리프로필렌 3㎏, (B)성분으로 용융지수가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을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C)을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A)성분으로 용융지수가 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5㎏, (B)성분으로 용융지수가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5㎏을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C)을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6]
(A)성분으로 용융지수가 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6㎏, (B)성분으로 용융지수가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4㎏을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C)을 7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7wt%)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A)성분으로 용융지수가 0.5g/10분인 폴리프로필렌 3㎏, (B)성분으로 용융지수 2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을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C)을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의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A)성분으로 용융지수가 0.2g/10분인 폴리프로필렌 2㎏, (B)성분으로 용융지수 10인 폴리프로필렌 8㎏을 사용하였으며, 유기 과산화물(C)을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의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9]
(A)성분으로 용융지수가 0.2g/10분인 폴리프로필렌 3㎏, (B)성분으로 용융지수 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을 사용하였으며, 유기 과산화물(C)을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의 양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A)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0.5g/10분) 3㎏과 (B)성분으로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2.0g/10분) 2㎏ 및 (D)성분으로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10g/10분) 5.0㎏을 40L 헨셀 믹서에 넣고 유기과산화물(C)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을 첨가하였다. 다음, 상온조건에서 헨셀 믹서 내부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시킨 후, 500rpm에서 2분, 1500rpm에서 2분, 총 4분 동안 섞어주었다.
다음, 충분히 섞은 후 준비된 2축 압출기(L/D=35)로 180~220℃의 온도범위에서 100rpm으로 반응 압출시켰다. 압출 후 얻어진 펠렛은 80℃에서 24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레오텐스, 멜텐 레오미터 등을 사용하여 용융장력 및 연신 후화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A)성분으로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0.5g/10분) 2㎏과 (B)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2.0g/10분) 3㎏, 유기과산화물(C)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 및 (D)성분으로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10g/10분) 5.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A)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0.5g/10분) 2㎏과 (B)성분으로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2.0g/10분) 6㎏, 유기과산화물(C)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 및 (D)성분으로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10g/10분) 2.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A)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0.5g/10분) 10㎏을 준비된 2축 압출기(L/D=35)로 180~220℃의 온도범위에서 100rpm으로 반응 압출시켰다. 압출 후 얻어진 펠렛은 80℃에서 24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레오텐스, 멜텐 레오미터 등을 사용하여 용융장력 및 연신 후화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A)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0.5g/10분) 10㎏을 40L 헨셀 믹서에 넣고 유기과산화물(C)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을 첨가하였다. 다음, 상온조건에서 헨셀 믹서 내부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시킨 후, 500rpm에서 2분, 1500rpm에서 2분, 총 4분 동안 섞어주었다.
충분히 섞은 후, 준비된 2축 압출기(L/D=35)로 180~220℃의 온도범위에서 100rpm으로 반응 압출시켰다. 압출 후 얻어진 펠렛은 80℃에서 24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레오텐스, 멜텐 레오미터 등을 사용하여 용융장력 및 연신 후화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Basell사의 HMS-PP Grade인 PF-814(용융지수 3.0g/10분) 2.0㎏과 (B)성분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 0.5g/10분) 8.0㎏을 40L 헨셀 믹서에 넣고 상온조건에서 헨셀 믹서 내부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시킨 후, 500rpm에서 2분, 1,500rpm에서 2분, 총 4분 동안 섞어주었다. 충분히 섞은 후, 준비된 2축 압출기(L/D=35)로 180~220℃의 온도범위에서 100rpm으로 반응 압출시켰다. 다음, 압출 후 얻어진 펠렛은 80℃에서 24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레오텐스, 멜텐 레오미터 등을 사용하여 용융장력 및 연신 후화 정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A)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용융지수가 0.5g/10min인 폴리프로필렌 3㎏과 (B)성분으로 파우더 형태의 용융지수 10인 폴리프로필렌 7㎏을 사용하였으며, 유기과산화물(C) 40g(사용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대비 0.4wt%)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성분(A)(MI/㎏) |
성분(B)(MI/㎏) |
유기과산화물(C)(g) |
용융지수(g/10min) |
Mz/Mw |
SHI |
표면상태 |
실시예1 |
1/5 |
10/5 |
100 |
1.2 |
2.78 |
100 |
양호 |
실시예2 |
1/4 |
10/6 |
40 |
3.3 |
2.55 |
36 |
양호 |
실시예3 |
1/5 |
10/5 |
70 |
1.96 |
2.65 |
67 |
양호 |
실시예4 |
0.2/3 |
10/7 |
40 |
0.85 |
3.24 |
84 |
불량 |
실시예5 |
1/5 |
10/5 |
40 |
2.6 |
2.56 |
53 |
양호 |
실시예6 |
1/6 |
10/4 |
70 |
2.0 |
2.5 |
74 |
양호 |
실시예7 |
0.5/3 |
2.0/7 |
40 |
0.37 |
- |
63 |
보통 |
실시예8 |
0.2/2 |
10/8 |
40 |
2.11 |
3.61 |
77 |
불량 |
실시예9 |
0.2/3 |
10/7 |
40 |
1.52 |
3.36 |
61 |
불량 |
비교예1 |
0.5/10 |
- |
- |
0.5 |
2.73 |
0 |
양호 |
비교예2 |
0.5/10 |
- |
40 |
0.2 |
2.12 |
39 |
불량 |
비교예3 |
3.0/2PF-814* |
0.5/8 |
- |
0.5 |
2.15 |
66 |
양호 |
비교예4 |
0.5/3(Powder) |
10/7(Powder) |
40 |
0.48 |
- |
42 |
- |
|
성분(A)(MI/㎏) |
성분(B)(MI/㎏) |
유기과산화물(C)(g) |
성분(D)(MI/㎏) |
용융지수(g/10min) |
Mz/Mw |
SHI |
표면상태 |
실시예10 |
0.5/3(powder) |
2.0/2(pellet) |
40 |
10/5(pellet) |
0.76 |
2.79 |
70 |
보통 |
실시예11 |
0.5/2(pellet) |
2.0/3(powder) |
40 |
10/5(pellet) |
2.45 |
2.73 |
49 |
보통 |
실시예12 |
0.5/2(powder) |
2.0/6(pellet) |
40 |
10/2(pellet) |
0.65 |
2.68 |
60 |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