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0623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231B1
KR100506231B1 KR10-2004-0002029A KR20040002029A KR100506231B1 KR 100506231 B1 KR100506231 B1 KR 100506231B1 KR 20040002029 A KR20040002029 A KR 20040002029A KR 100506231 B1 KR100506231 B1 KR 100506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gul
area
key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3910A (en
Inventor
유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231B1/en
Publication of KR2005007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23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구분되어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할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key regions displayed on a touch screen, and is divided into pairs of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nd assigned to the key regions, and the key regions are Hangul consonants and the Hangul consonants. A user interface divided into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into which a consonant and a Hangul vowel of a second character can be input, and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into which only Hangul consonants and a Hangul vowel can be input separately, and which is assigned by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and one of the characters allocated to the key region input to the touch pen input according to the touch pen input form, if there is a touch pen input through the key region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through a touch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기존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과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이란 단말기에서 일반 키보드와 마우스의 휴대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키보드 형태의 입력창을 띄워서 펜 클릭으로 입력을 받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수기 입력 방식은 사람의 수기(즉, 필기체)를 인식하여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예로는 전자수첩, 휴대폰, PDA 등을 들 수 있다. Character input methods in a terminal using a conventional touch screen include a soft keyboard input method and a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Among them, the soft keyboard input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receives a pen click by opening a keyboard-type input window on a touch screen to overcome the portability problem of a general keyboard and a mouse. In addition, the handwriting input method recognizes human handwriting (ie, handwriting) and converts it into a data code. Examples of a terminal having such a touch screen include an electronic notebook, a mobile phone, a PDA, and the like.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기들이 점점 소형화되고 경량화 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크기 또한 그만큼 소형화되고 경량화 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소형화된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 중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 화면에 소프트 키보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도 1a은 종래의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이다. 이러한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의 경우 키보드 상의 모든 키를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각 키버튼에 할당되는 영역 크기는 예를 들어 기존 3.5 인치(Inch) 화면을 가진 PDA의 경우 4 4 mm 정도로 작다. 그리고 현재의 단말기는 소형화된 터치 스크린에 한글 입력을 위한 모든 키를 소프트 키보드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Recently, these terminals have become smaller and lighter, and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has to be smaller and lighter. The soft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A in ord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in the soft keyboard input method. 1A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oft keyboard input method. In the case of the soft keyboard input method, an area size allocated to each key button to display all the keys on the keyboard on the terminal screen is, for example, 4 for a PDA having an existing 3.5 inch screen. Small as 4 mm. In addition, the current terminal displays all keys for Hangul input on a miniaturized touch screen with a soft keyboard.

이로 인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 커질 수밖에 없었고, 상대적으로 출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단말기 상에서 한글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일일이 키를 찾아가면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작아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보드의 작은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간혹 옆의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screen for displaying a keyboard for inputting text has to be enlarged, and the area for displaying relatively output text is reduc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not familiar with Hangul input on the terminal,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has to input the key while searching. In addition, since the user needs to press a small button of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ch has been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sometimes needs to re-enter the next button.

그리고, 필기체로서 문자를 입력하는 수기 입력 방식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종이에 펜으로 글씨를 쓰듯이 터치 스크린 입력 수단인 펜으로 터치 스크린상에 대고 쓰면 단말기가 그대로 입력된 글자를 문자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기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문자를 직접 써야하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사용자의 많은 움직임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기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인 도 1b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으면 유사한 문자가 입력되는 오류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handwriting input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as a handwriting is performed on a touch screen by a pen, which is a touch screen input means, as a user writes a pen on paper through a device that can be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s shown in FIG. 1B. If you write to, the terminal recognizes the input characters as characters. However, such a handwriting input method is not only slow input speed, but also requires a lot of movement of the user because the user has to write the characters manual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rror of frequently entering a similar character is frequently generated unless the character desired to be input is correctly input through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1B, which is a screen examp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의 모든 자모들에 따른 26개의 키를 구비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화면에 보여주기 때문에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공간이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기 상의 한글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알파벳 입력 시 26개의 키에 각각 할당된 한글 자음, 쌍자음, 모음 등을 일일이 찾아가면서 입력해야 함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기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문자를 직접 써야하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정확하게 쓰지 않는 경우에는 오타가 입력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inputting Hangul using the soft keyboard input method on the touch screen, a soft keyboard having 26 keys corresponding to all the letters of the Hangul is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space for displaying input characters is limited.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a user unfamiliar with Hangul input on a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he or she must input the Hangul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and vowels assigned to each of the 26 keys when entering alphabe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by handwriting input method, the user has to directly write a character directly, so that the input speed is slow, and in case of incorrect writing, a typo is frequently inputted.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키 문자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다 쉽게 키보드의 키를 기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more easily remember a key on a keyboard to quickly and conveniently improve character input speed when a character is input using a soft key character input method on a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키 문자 입력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크기를 줄여 키버튼의 크기를 크게 만듦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키버튼 입력오류를 최소화하여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soft keyboard displayed in the soft key character input metho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key button to minimize the key button input error by the user to input more accurately when entering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It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for.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할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ncludes a plurality of key regio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is assigned to the key regions in pairs of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The key areas are divided into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double consonants, and a Korean vowel, and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only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acter input by the user interface, and one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 region in which the touch pen is input when there is a touch pen input through the key regions.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ed to correspond to and display th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구분되어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racter input metho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key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ivided into a pair of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is assigned to the key areas, and the key areas may input a Hangul consonant, a double consonant of the Hangul consonant, and a Hangul vowel and a second character input for distinguishing and inputting only Hangul consonant and Hangul vowel. Selecting one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touch pen input key area according to the touch pen input form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re is a touch pen input through the key area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is ma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 키 문자 입력 시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은 하나의 키에 매핑되어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한글 쌍자음은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보드 크기를 줄인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키보드상에서 매핑되는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끼리 그룹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키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수기 입력 방식과 같이 문자의 형태를 모두 입력하지 않고, 한번의 드래그(drag)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method for quickly and conveniently entering a character when the soft key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gul consonant and a Hangul vowel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re mapped to one key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the Hangul consonants no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pen drag direction. To reduce the keyboard siz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roup of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which are usually mapped on a keyboard, so that a user can easily remember the keys, and does not input all of the character forms as in a handwriting input method, and one drag (drag) You can speed up text input by allowing you to enter text only with).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내부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제어부(200), 정보 표시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메모리(23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에 의해 펜 스트로크(stroke) 입력이 있으면 입력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터치 스크린이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통해 입력 형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펜 클릭(click)인지, 펜 드래그(drag) 인지를 확인한다. First, 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200, an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a user interface 220, and a memory 230. First, if there is a pen stroke input by the user, the user interface 220 outputs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220 is a touch screen. The controller 200 checks an input form through a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220.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 pen is clicked or a pen is dragged.

본 발명에서는 펜 클릭에 의해 한글 자음 및 스페이스를 입력할 수 있고, 펜 드래그에 의해 한글 쌍자음, 한글 모음 및 엔터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를 도시하고 있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한글 쌍자음,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스페이스, 엔터 등을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설명한다. 먼저, 소프트 키보드의 하나의 키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이 매핑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Korean consonant and a space may be input by a pen click, and a Korean consonant, a Korean vowel, and an enter may be input by a pen drag. Next, the soft keyboard displayed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Korean consonants, Korean vowels, spaces, enters, et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which shows a soft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irst,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mapped and displayed on one key of the soft keyboard.

본 발명에서 한글 자음에는 'ㅂ,ㅈ,ㄷ,ㄱ,ㅅ,ㅁ,ㄴ,ㅇ,ㄹ,ㅎ,ㅋ,ㅌ,ㅊ,ㅍ' 를 포함하며, 한글 쌍자음은 'ㅂ,ㅈ,ㄷ,ㄱ,ㅅ'과 같은 한글 자음에 하나의 한글 자음이 결합된 형태인 'ㅃ,ㅉ,ㄸ,ㄲ,ㅆ'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한글 자음 'ㅂ'의 한글 쌍자음은 'ㅃ'이 되고, 한글 자음 'ㅈ'의 한글 쌍자음은 'ㅉ'이 된다. 이와 같이 한글 자음에 각각 한글 쌍자음을 맵핑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수는 15 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에서의 각 키버튼의 영역 크기가 확대된다. 이러한 소프트 키보드상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은 각 하나씩 맵핑되어 하나의 키에 할당된다. 즉, 정보 표시부(210)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15개의 각 키버튼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consonants include 'ㅂ, ㅈ, ㄷ, ㄱ, ㅅ, ㅁ, ㄴ, ㅇ, ㄹ, ㅎ, ㅋ, ㅌ, ㅊ, ㄴ', and the Hangul consonants include 'ㅂ, ㅈ, ㄷ, It includes 'ㅃ, ㅉ ,, ㄲ, ㅆ', which is a combination of Hangul consonants such as a, ㅅ. For example, the Hangul consonant of the Hangul consonant 'ㅂ' becomes 'ㅃ', and the Hangul consonant of the Hangul consonant 'ㅈ' becomes 'ㅉ'. As such, the Hangul consonants are mapped to the Hangul consonants and stored in the memory 230. Referring to FIG. 3, the number of soft keyboard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15. Accordingly, the size of the area of each key button in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soft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is displayed is enlarged. On this soft keyboard,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mapped one by one and assigned to one key. That is, the soft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in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is divided into 15 key buttons and displayed.

그리고, 소프트 키보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500)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510), 글자 사이를 한칸 띄우는 기능의 스페이스와 문단을 한줄 띄우는 기능의 엔터를 입력할 수 있는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소프트 키보드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들을 디스플레이한다. As illustrated in FIG. 4, the soft keyboard may separately input a Korean character consonant,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capable of inputting a consonant and a Korean vowel, and a Korean consonant and a Korean vowel.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is divided into a third character input area 520 capable of inputting a space having a space between one letter and a function having a single line with a paragraph. As such, the soft keyboard displays keys to input Korean characters.

그러면, 이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과, 제 2문자 입력 영역(510),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을 각각 구분하여 해당 영역에 특징에 맞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 인식 방법을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그 한글 자음에 매핑되는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위쪽으로 펜 드래그 하여 제1문자입역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의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펜 드래그 하여 제1문자입역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영역에 할당된 그 한글 자음에 매핑되는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제1문자입역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영역내에서 펜 클릭하면 펜 클릭된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and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520 are respectively distinguished, and the Hangul input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provided. Th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First,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is an area in which a Hangul consonant, a double consonant of the Hangul consonant, and a Hangul vowel mapped to the Hangul consonant can be input.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en-drag upwards to input a pair of consonants of the Hangul consonants assigned to the key area displayed on the first character area. In addition, the user can pen-drag to the right to input a Hangul vowel mapped to the Hangul consonants assigned to the key region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area 500. Finally, when the user clicks on the pen within the key area displayed in the first character area, the Hangul consonant assigned to the pen clicked key area may be input.

그리고,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은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다. 여기서 한글 모음은 하나의 키에 한글 자음과 매핑되어 키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ㅁ'은 한글 모음'ㅗ'와 매핑되어 하나의 키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 할당된 키영역내에서 사용자로부터 펜 클릭 또는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그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 또는 한글 모음이 디스플레이된다.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is an area in which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can be input. Here, the Hangul vowel is mapped to the Hangul consonants on one key and displayed in the key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Hangul consonant 'ㅁ' is mapped to the Hangul vowel 'ㅗ' and displayed as one key region. In the key area assigned to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a Hangul consonant or a Hangul vowel according to the key area is displayed according to a pen click or pen drag direction from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펜 다운 후 바로 펜 업하는 즉, 펜 클릭하여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서 펜 다운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서 사용자가 펜 다운 후 오른쪽 방향으로 펜 드래그하여 펜 다운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en up immediately after pen down, that is, by clicking the pen, the Hangul consonant according to the pen down key region in the second character input region 510 can be input. In addition,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allows the user to input a Hangul vowel according to the pen-down key area by pen-draging in the right direction after pen down.

한편,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은 특수키인 스페이스(Space)와 엔터(Enter)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 'Sp'는 사용자에 의해 펜클릭이 입력되는 경우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엔터 'enter'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펜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520 is an area for inputting a special key, Space and Ent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pace 'Sp' is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when a pen click is input by the user, and the enter 'enter' indicates that the pen drag direction input by the user is right. If is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그러면 이제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한글 자음, 한글 쌍자음,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방향과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 입력 방향의 펜 드래그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600의 방항으로 펜 드레그 입력이 있으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서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입력 방향임을 인지하고 해당되는 한글 쌍자음을 정보표시부(21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610방향으로 펜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한글 모음을 출력하기 위한 입력임을 인지하고 정보 표시부(210)에 각 문자 입력 영역에 따라 해당되는 한글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Now, a process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through the soft keyboard displayed a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n drag direction of a consonant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a Korean consonant and a vowel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referring to FIG. 5, if there is a pen drag input in the direction of 600, the controller 200 recognizes that the first consonant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the Hangul consonant is input in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and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 It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The controller 200 recognizes that the pen drag input is input to output the Hangul vowel in the direction 610 and displays the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input area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이어, 이제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한글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펜 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Next, a process of recognizing a Hangul input through a soft keyboard displayed as shown in FIG. 4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ognizing Korean characters inputted according to a pen click and pen drag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200)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3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한글 입력 모드가 선택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00)가 (305)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이 되는지를 검사한다. 펜 다운됨이 감지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200)는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 내지 제 3문자 입력 영역중 어느 문자 입력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어부(200)는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인 경우 (315)단계로 진행하고,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인 경우 (340)단계로 진행하고,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3문자 입력 영역인 경우 (360)단계로 진행한다.First, while maintaining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 text input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in step 300. If the Hangul input mode is selected 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220,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5 to check whether the pen is dow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en is down,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0 and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ich one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to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is the pen down character input are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5 when the pen-down text input area is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and when the pen-down text input area is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 If the pen-down character input area is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60.

먼저,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인 경우 제어부(200)는 (315)단계에서 펜 업 되었는지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펜 다운 상태에서 바로 펜 업된 경우 즉, 한번 펜 클릭이 있는 경우에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과 펜 업이 동일한 키내에서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해당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한글 자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ㅂ/ㅛ"의 키영역에서 펜 클릭이 있으면 한글 자음 'ㅂ'을 정보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First, when the pen-down character input area is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 pen-up is performed after being pen-up or dragged in the pen-down state in step 315. In the case of a pen-up in the pen-down state, that is, once there is a pen clic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0 to check whether the pen-down and the pen-up occur within the same key and display the Hangul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area. For example, in FIG. 4, if there is a pen click in a key area of “ㅂ / ㅛ” displaying a Korean consonant and a Korean vowel, the Korean consonant “”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만약 (315)단계에서 제어부(200)가 펜 다운 상태에서 드래그 한 후 펜 업하였음이 인지되면 (325)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방향을 검사한다. 이 때 드래그 방향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들과 같이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600방향의 쌍자음 입력 방향과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610방향의 모음 입력 방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각 키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과 모음입력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방향에 따라 한글 쌍자음 또는 한글 모음의 입력임을 인지한다. If it is recognized in step 315 that the controller 200 drags in the pen down state and then pen up,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25 to check the drag direction. At this time, the drag direction has a 600 conjugation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a vowel input direction in 610 for inputting Korean vowels, as shown in the directions shown in FIG. 5.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rol unit 200 drags one of the two consonant input directions and the vowel input direction in each key area allocated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the Hangul consonant or Recognize that the input is a Korean vowel

만약 (325)단계에서 모음입력방향인 610방향으로 펜 드래그 되었으면 (330)단계로 진행하여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325)단계에서 쌍자음입력방향인 600방향으로 펜 드래그 되었으면 (335)단계로 진행하여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쌍자음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325)단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되는 쌍자음입력 방향의 소정 각도를 벗어나거나 또는 모음입력방향의 소정 각도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20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펜클릭 동작시와 동일하게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을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If the pen is dragged in the direction 610 which is the vowel input direction in step 325, the flow proceeds to step 330 to display the Hangul vowel according to the key area allocated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On the contrary, if the pen is dragged in the direction 600 of the double consonant input in step 32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35 and displays the Korean consonants according to the key area allocated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On the other hand, in step 325, if it is out of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allowed consonant input direction or the predetermined angle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20 to click the pen In the same manner as in operation, the Korean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allocated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500 ar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예를 들면, (315)단계에서 한글 자음 'ㅂ'에 해당되는 키영역에 펜 다운을 한 후 위쪽으로 드래그를 한 후 펜 업을 하게 되면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인 'ㅃ'이 입력됨을 감지하고, 'ㅃ'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315)단계에서 'ㅂ/ㅛ'에 해당되는 키영역에 펜 다운을 한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한 후 펜 업을 하게 되면 그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모음인 'ㅛ'가 입력됨을 감지하고, 'ㅛ'를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in step (315), when pen-down on the key area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onsonant 'ㅂ' and then dragging upward, the pen detects that 'ㅃ', the consonant of the Korean consonant, is input. And display 'ㅃ'. Also, in step (315), when the pen-down is applied to the key area corresponding to 'ㅛ / ㅛ' and then dragged to the right, the pen-up is detected as '한글' which is the Korean vowel assigned to the key area. And display 'ㅛ'.

한편,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인 경우 제어부(200)는 (340)단계에서 펜 업 되었는지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펜 다운 상태에서 바로 펜 업된 경우 즉, 한번 펜 클릭이 있는 경우에는 (345)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과 펜 업이 동일한 키내에서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서 해당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한글 자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의 'ㅁ/ㅗ'의 키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한번 펜 클릭되면 정보표시부(210)에는 'ㅁ'이 디스플레이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en-down character input area is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pen-up is performed after being pen-up or dragged in the pen-down state in operation 340. The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45 when the pen is in the pen down state, that is, once there is a pen click, and checks whether the pen down and the pen up occur within the same key, and then enters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 In operation 510, the Hangul consonant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key area are displayed. For example, once the pen is clicked by the user in the key area of 'ㅁ / ㅗ'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ㅁ'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그리고 (340)단계에서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된 경우 제어부(200)는 (350)단계로 진행하여 펜 드래그 방향이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입력방향인 610방향인지를 검사한다. 즉, 펜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인지를 검사하여 검사결과 모음입력방향의 소정 각도이내에 포함되는 드래그 방향이면 제어부(200)는 (355)단계로 진행하여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을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350)단계에서 펜 드래그 방향이 모음입력방향의 소정 각도를 벗어난 방향이면 제어부(200)는 (345)단계로 진행하여 펜 클릭과 동일하게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을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pen is dragged up in the pen-down state in step 34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50 to check whether the pen drag direction is 610, which is a vowel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Korean vowels. . In other wo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n drag direction is the right direction and the drag direction is includ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inspection result collection input directi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55 and the key area assigned to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Hangul vowel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is displayed. If the pen drag direction is out of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vowel input direction in operation 35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operation 345 in which the key assigned to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510 is the same as the pen click. The Korean consonants according to the area are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또한편,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인 경우 제어부(200)는 (360)단계에서 펜 업 되었는지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펜 다운 후 바로 펜 업된 경우 즉, 펜 클릭된 경우 제어부(200)는 (365)단계로 진행하여 제 3문자 입력 영역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스페이스를 입력하여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한칸 띄우는 공백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검사결과 펜 다운 후 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된 경우 제어부(200)는 (370)단계로 진행하여 펜 드래그 방향이 엔터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인 610방향과 같은 오른쪽 방향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펜 드래그방향이 오른쪽이면 제어부(200)는 (375)단계로 진행하여 제3문자 입력 영역(52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엔터를 입력하여 정보표시부(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when the pen-down character input area is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520,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pen-up is performed after the pen-up or drag-down in the pen-down state (360). If the test result is pen-up right after the pen is down, that is, if the pen is clicked,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65 to input a space according to the key area allocated to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Displays spaces with one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n is dragged up after the pen is dragged down and the pen is dragged up,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70 to determine whether the pen drag direction is the right direction such as the 610 direction for inputting the ent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pen drag direction is the right sid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75 and inputs an enter corresponding to the key area allocated to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520 and displays it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각 문자 입력 영역별로 할당된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한번의 펜 클릭으로 한글 자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쌍자음은 제 1문자 입력 영역에 할당된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쌍자음입력방향(600)으로 한번의 펜 드래그를 통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각 문자 입력 영역별로 할당된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모음입력방향(610)으로 한번 드래그 되면 해당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00 recognizes that a Korean consonant is input by one pen click in one key area allocated to each character input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twin consonants are input and displayed through a single pen drag in the twin consonant input direction 600 within one key region allocated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In addition, when dragging once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610 within one key area assigned to each character input area, it is recognized that a Korean vowe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area is input.

이와 같이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과 같이 각각의 키영역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펜 다운되는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인지를 판단하여 펜 다운된 제 1문자 입력 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으로 드래그되면 펜 다운 후 펜 드래그되는 키영역에 따른 해당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도록 하여 소프트 키보드의 디스플레이되는 키를 줄이도록 하였다. 또한, 한글 모음을 입력할 때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각 문자 입력 영역이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전체 소프트 키보드에서 모음입력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어디서든 제어부(200)는 이를 인식한다. In the case of inputting Hangul consonants as described above, the consonant input is performed in the pen-down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nput region to be penned down is the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without displaying the respective key regions like the Hangul consonants. When dragging in the direction, the corresponding Hangul consonant according to the key area to be dragged after pen down is input to reduce the displayed keys of the soft keyboard. In addition, when inputting the Korean vowel, each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the vowel is not separately separated, and the controller 200 recognizes it anywhere by dragging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on the entire soft keyboard.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 쌍자음 및 특수키는 각 문자 입력 영역에 따라 구분되어 입력되며, 각 문자 입력 영역에서는 펜 클릭 또는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한글 쌍자음, 한글 자음, 한글 모음이 구분되어 입력된다. 이와 같이 각 문자 입력 영역에 대한 펜 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의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펜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ㅃ'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 키보드의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ㅂ/ㅛ'의 키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600) 즉, 위쪽 방향으로 펜 드래그하면 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ㅒ'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의 'ㅍ/ㅒ'의 키영역에서 모음입력방향(610) 즉, 오른쪽 방향으로 펜 드래그 한 후 펜 업하면 'ㅒ'가 입력된다. As described above, Hangul twin consonants and special keys are input according to each character input area, and in each character input area, Hangul twin consonants,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re input according to a pen click or pen drag direction. Thus, an example of the Hangul characters inputted according to the pen click and pen drag directions for each character input are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diagram illustrating Korean characters inputted according to a pen click and a pen drag direction through a soft keyboar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ㅃ', the user may pen-drag in the consonant input direction 600, that is, in an upward direction, in the key area of 'ㅂ / ㅛ'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of the soft keyboard. For another example, in order to input 'ㅒ', when the pen is dragged up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610, ie,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key area of 'ㅍ / ㅒ'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ㅒ' is displayed. Is enter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키 수를 줄이고 한글 쌍자음을 포함하는 한글 자음을 하나의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으로 매핑시켜 펜 클릭을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고 쌍자음입력방향(600)으로 펜 드래그를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인 경우 즉,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키영역에 따라 한글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영역에 관계없이 즉, 제 1 및 제 2문자 입력 영역에서 모음입력방향(610)으로 펜 드래그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키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이 쌍으로 구분되어 소프트 키보드의 각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각 문자 입력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각각의 키영역들을 통하여 펜 입력 형태에 따라 각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keys of the soft keyboar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reduced, and the Hangul consonants including Hangul consonants are mapped to one Hangul consonant and Hangul vowels,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are input through a pen click. Hangul consonants can be input in the region, and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region through a pen drag in the consonant input direction 600, that is, the Korean consonants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key region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haracter input area, that is, the Korean vowel can be input by pen dragging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610 in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input areas. In this way,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are divided into pairs and assigned to each key area of the soft keyboard, and each key area is assigned to each key area according to the pen input type through the respective key areas assigned to each character input area. You can select and enter one of the assigned characters.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 1및 제2문자 입력 영역의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한번의 펜 클릭으로 한글 자음이 입력됨을 인지하고, 그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모음입력방향(610)으로 드래그하여 한글 모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쌍자음입력방향으로 드래그되면 한글 쌍자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또한, 스페이스와 엔터와 같은 특수키를 입력할 때는 별도로 구비된 제 3문자 입력 영역에서 펜 클릭 또는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미리 할당되어 있는 스페이스 또는 엔터임을 인식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cognized that a Korean consonant is input by one pen click in one key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 input areas, and the vowel input direction in the one key area. Drag to 610 to recognize that the Hangul vowel is input.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drags in a single consonant input direction within one key region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it recognizes that the Korean consonant is input. In addition, when inputting a special key, such as space and enter, it is recognized that the space or enter is pre-allocated according to the pen click or pen drag direction in the third character input area provided separate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매핑시켜 하나의 키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소프트 키보드의 키버튼의 수를 15개로 줄임과 동시에 각 키버튼의 크기가 확대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ps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nd displays them in one key area,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key buttons on the soft keyboard to 15 and increasing the size of each key button to input characters on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input errors can be minimized by allowing more accurate input and the size of the entire soft keyboard displayed can be reduced.

그리고 빠른 한글 입력을 위해 소프트 키보드를 문자 입력 영역을 구분하여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영역을 구비하여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의 펜 드래그를 통해 해당 키영역에서의 한글 쌍자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펜 클릭을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고 펜 드래그를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키보드의 키를 기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 soft keyboard has a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Korean twin consonants by separating the character input area for quick Hangul input, and Hangul consonants in the corresponding key area by dragging the pen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consonant i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put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user's character input speed by inputting. In addition,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input area can be input by clicking the pen, and Korean vowels in the character input area can be input by dragging the p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input Hangul.

도 1a는 종래의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1A illustrates a screen examp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oft keyboard input method;

도 1b는 종래의 수기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 Figure 1b is a screen exampl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input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내부 블록구성도,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ft keyboard scree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for inputting Hangu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각 문자 입력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문자 입력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area for recognizing Korean characters inputted for each character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방향과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 입력 방향의 펜 드래그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n drag direction of a consonant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a Korean consonant and a vowel input direction for inputting a Korean vow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펜 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6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ognizing Korean characters inputted according to a pen click and pen drag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펜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Korean characters input according to a pen click and a pen drag direction through a soft keyboard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할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It has a plurality of key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are assigned to the key areas in pairs of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nd the key areas can input Hangul consonants, paired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of the Hangul consonants. A user interface divided into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and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in which only Korean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can be inputted separately,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interface;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When there is a touch pen input through the key area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assigned to the key area input to the touch pen corresponding to the touch pen input form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Character inpu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가 펜 클릭이면 해당 키영역의 한글 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a Hangul consonant of a corresponding key area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pen input type is a pen cli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상기 터치 펜 입력이 모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모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 Hangul vowel assigned to a corresponding key area when the touch pen input is dragged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펜 입력이 쌍자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상기 터치 펜 입력된 키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에 속하면 상기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Korean character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ssign a Hangul assigned to a corresponding key region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if the touch pen input key region belongs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region if the touch pen input is dragged in the consonant input direction. And a consonant pair of consonants on th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페이스 기능 및 엔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키영역을 갖는 제 3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a third character input region having a key region for performing a space function and an enter func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구분되어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게 하는 과정과,It has a plurality of key area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re divided into pairs of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and assigned to the key areas, and the key areas input Hangul consonants and the double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of the Hangul consonants. Dividing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into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into which only the Korean consonants and the Hangul vowels can be input;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there is a touch pen input through the key areas,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assigned to the touch pen input key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pen input type and displaying the touch pen on the display unit is performed. Wa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ing is performed.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가 펜 클릭이면 해당 키영역의 한글 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the touch pen input type is a pen click, the Hangul consonant of the corresponding key are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ing is performed.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상기 터치 펜 입력이 모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모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Hangul vowel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area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pen input through the key areas is dragging in the vowel input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playing is performed. 상기 터치 펜 입력이 쌍자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상기 터치 펜 입력된 키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에 속하면 상기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the touch pen input is dragged in the consonant input direction, if the touch pen input key area belongs to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the consonant of the Korean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area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002029A 2004-01-12 2004-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5062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029A KR100506231B1 (en) 2004-01-12 2004-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029A KR100506231B1 (en) 2004-01-12 2004-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910A KR20050073910A (en) 2005-07-18
KR100506231B1 true KR100506231B1 (en) 2005-08-05

Family

ID=3726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029A KR100506231B1 (en) 2004-01-12 2004-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2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1701B2 (en) 2007-01-30 2012-07-25 三星電子株式会社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terminal
CN101840304A (en) * 2007-01-30 2010-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Be used for apparatus and method at the terminal inputing characters
KR100933398B1 (en) 2007-06-11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s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WO2009028889A2 (en) * 2007-08-28 2009-03-05 Mobience, Inc. Key input interface method
KR100939924B1 (en) * 2007-12-27 2010-02-04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for word input in touch screen device
KR101478550B1 (en) * 2008-01-09 2015-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inputting hangul
KR100918624B1 (en) * 2008-03-07 2009-09-25 김정중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910A (en)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9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
US20210406578A1 (en) Handwriting-based predictive population of partial virtual keyboards
JP4749468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n electronic devices
US10275152B2 (en)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KR100478020B1 (en) On-screen key input device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06503A (en) Improved text input
JPH10510639A (en) Multi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ten document recognition system
WO20071216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inputting speed of characters
EP15130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US11112965B2 (en)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KR100651396B1 (en) Alphabe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506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0380600B1 (en) Method for inputing a character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00024471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initial phoneme, a medial vowel or a final phoneme of hangul at a time using a touch screen
JP4030575B2 (en) Touch type key input device, touch type key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050043541A (en)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0356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tion Of Multiple Character In Handwriting Recognition
CN108733227B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Bhatti et al. Mistype resistant keyboard (NexKey)
KR20120001946A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40099937A (en) Device for inputting letter by using touch-screen and method therefor
KR20050096598A (en) Character recognizing control method using numeral key pad
KR20050097111A (en) Hangul cognition method for touch screen type mobile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