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399B1 -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6399B1 KR100496399B1 KR10-2003-7005974A KR20037005974A KR100496399B1 KR 100496399 B1 KR100496399 B1 KR 100496399B1 KR 20037005974 A KR20037005974 A KR 20037005974A KR 100496399 B1 KR100496399 B1 KR 100496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poles
- voltage
- processing
- pulse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 B23H1/02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for shaping the discharge pulse tr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4—Apparatus for supplying current to working gap; 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와이어 전극(E)과 피가공물(W)과의 극간에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을 인가하고, 이 펄스전압에 의해 상기 극간의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이 유기된 후에 상기 극간에 가공용 펄스전압을 인가해서 피가공물(W)의 가공을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를 판별하는 방전상태 판별수단(1a)과, 방전상태 판별수단(1a)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이상(Y1) 또는 오픈(Y3)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용 펄스전압과 반전하고,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Y2)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용 펄스전압과 같게 하는 인가전압 선택수단(1b)을 구비하였으므로 가공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 전극과 피가공물간의 방전에 의해 피가공물의 가공을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사용하는 가공전원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방전가공은 와이어 전극과 피가공물과의 극간에 절연성의 가공액을 개재시켜, 상기 와이어 전극 및 피가공물을 상대이동시키면서, 가공전원장치로부터 상기 극간에 가공전력을 공급하고, 방전에너지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 방전가공에 사용하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의 가공전원장치로 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1438호 공보, 동 특개평8-300222호 공보, 동 특개평9-183019호 공보 및 동 특개평7-290317호 공보에 개시된 가공전원장치가 있다. 이들 가공전원장치는 양극성의 유기전압을 상기 극간에 인가해서 방전을 발생시킨 후에 가공용의 주방전전류를 중첩해서 실시하는 방전가공에 있어서, 피가공물의 전촉을 방지하는 목적에만 착목해 상기 방전유기전압의 극성의 편중을 개선하기 위해 극성의 전환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서는 극성의 편중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양극성 전압의 극성전환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집중방전 등의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가공이송의 감속, 정지 또는 후퇴, 또는 인가전압펄스의 휴지시간의 증대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가공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의 정상시에 방전을 계속시키는 수단이 없으므로 효율적인 가공을 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3-119012호 공보에는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피가공물을 부극으로 하고, 와이어 전극을 정극으로 하는 역극성 방전가공을 하고,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피가공물을 정극으로 하고 와이어 전극을 부극으로 하는 정극성 방전가공을 하는 가공전원장치의 개시가 있다. 이상방전시는 항상 역극성 방전가공으로 함으로서, 가공액의 전해작용을 이용해서 가공속도를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의 가공장치에서는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역극성 방전가공이 되나, 이와 같은 방전상태의 이상시에는 와이어 전극과 피가공물의 단락이 발생해 있는 경우 또는 집중 방전상태의 경우이다. 단락이 발생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 전극과 피가공물과의 극간에 전압인가를 해도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가공액의 전해작용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집중 방전상태인 경우는 극간에 전압인가를 해도 전위차가 작으므로 전해작용도 작아진다. 따라서, 가공액의 전해작용을 이용해도 가공속도의 향상이 충분히 도모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방전상태의 이상으로부터의 조기회복은 어렵고, 가공이송의 감속, 정지 또는 후퇴 또는 인가전압 펄스의 휴지시간의 증대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가공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가공효율을 향상할 수가 있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는 와이어 전극과 피가공물과의 극간에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을 인가하고, 이 펄스전압에 의해 상기 극간의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이 유기된 후에 상기 극간에 가공용 펄스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을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의 가공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를 판별하는 방전상태 판별수단과,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이상 또는 오픈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용 펄스전압과 반전해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 정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용 펄스전압과 같게 하는 인가전압 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는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 및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가공용 펄스전압을 상기 극간에 인가하고,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는 가공전원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는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가공용 펄스전압을 상기 극간에 공급하고,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는 가공전원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는 상기 극간의 평균전압을 검출하는 평균전압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평균전압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극간 평균전압의 편중을 억제하도록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인가 최대시간을 제어하는 가공전원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공효율이 향상되고, 가공속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피가공물의 전촉을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의 가공전원 제어회로 1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 의한 극간전압 파형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방전상태 판별회로(1a)의 회로도.
도 5는 방전가공의 사이클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서의 극간전압 및 극간전류의 예를 표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를 비교하는 실험결과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와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를 비교하는 실험결과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의 가공전원 제어회로 1의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고, 도면에서, 1은 가공전원 제어회로, 2는 가공전원회로, 2a는 주방전회로, 2b는 방전유기회로, Tr1, Tr1'는 가공전원 제어회로(1)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 OUT1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Tr2, Tr2'는 가공전원 제어회로(1)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 OUT2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Tr3은 가공전원 제어회로(1)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 OUT3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Tr4는 가공전원 제어회로(1)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 OUT4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V1 및 V2는 직류전원, R0 및 R1 내지 R6은 저항기, D1 내지 D12는 다이오드, S1 및 S2는 검출입력단자, E는 와이어 전극, W는 피가공물이다.
방전유기회로(2b)는 극간에 방전을 유기시키기 위한 회로이고, 주방전회로 (2a)는 방전가공을 하기 위한 주방전전류를 공급하는 회로이다. 방전유기회로(2b)에 의한 방전유기전압의 인가후에 방전유기가 검출되면, 방전유기회로(2b)에 의한 방전유기전압의 인가를 정지하고, 주방전회로(2a)에 의해 극간에 주방전전류를 흘려서 피가공물의 제거가공을 한다. 주방전회로(2a) 및 방전유기회로(2b)의 구동은 가공전원 제어회로(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실시된다.
도 1의 구성에서는 주방전전원의 극성은 정극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공에 의해 역극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의 가공전원 제어회로(1)의 구성도이고,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2에서, 1a는 방전상태 판별회로, 1b는 인가전압 선택회로이다. 가공전원 제어회로(1)는 피가공물(W)과 와이어 전극(E)과의 사이의 극간전압을 검출입력단자(S1 및 S2)에 의해 입력해서 방전검출을 한다. 방전상태 판별회로(1a)는 방전검출신호에 따라 주방전회로(2a)에 구동신호 OUT3 및 OUT4의 출력을 하고, 인가전압 선택회로(1b)는 OUT1 또는 OUT2의 어느 것인가의 구동신호를 방전유기회로(2b)에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 의한 극간전압 파형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 및 도 2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3에서, VEW는 극간전압, Vr는 기준전압, T1은 정상방전시에는 전압인가를 개시한 후 극간전압(VEW)이 기준전압(Vr)보다도 높게 상승해 있는 소정시간, PK는 펄스신호, t는 시간이다.
도 4는 도 2의 방전상태 판별회로(1a)의 구성도이고, 도 1 내지 도 3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4에서, 3은 카운터, 4는 검출입력단자(S1 및 S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증폭기, 5는 증폭기(4)의 출력과 기준전압(Vr)을 비교하는 비교기, 6은 D플립플롭, 7은 논리연산회로, OSC는 발진기, CLK는 기준클록, EN은 펄스종료신호이다. 펄스종료신호 EN은 펄스종료시점 즉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경과한 시점에서 출력된다.
다음,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스위칭 소자(Tr1 및 Tr1' 또는 Tr2 및 Tr2')가 가공전원 제어회로(1)의 구동신호 OUT1 또는 OUT2에 의해 온하면, 직류전원(V2)의 전압이 저항기(R0)를 통해서 와이어 전극(E)과 피가공물(W)과의 극간에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은 극간전압 파형이 출력된다. 이때, 도 4의 방전상태 판별회로(1a)에서 증폭기(4)는 극간전압(VEW)을 검출입력단자(S1 및 S2)에 의해 검출되어 있고, 그 결과를 비교기(5)는 기준전압(Vr)과 비교해서 펄스신호(PK)를 출력하므로 이 펄스신호(PK)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신호 파형이 된다.
도 4에서, 카운터(3)는 예를 들면 10MHz의 클록 주파수로 계수동작하는 것으로, 발진기(OSC)가 도 1의 스위칭 소자(Tr1 및 Tr1' 또는 Tr2 및 Tr2')로의 온신호를 출력하고서부터 소정시간(T1) 경과 후에 트리거신호를 출력한다. D플립플롭(6)은 소정시간(T1)의 시점에서의 비교기(5)의 출력인 펄스신호(PK)의 상태를 신호 Q1으로 출력한다. 논리연산회로(7)에서는 소정시간(T1)의 시점에서 극간전압(VEW)이 기준전압(Vr)까지 상승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와이어 전극(E)과 피가공물(W)과의 극간의 방전상태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소정시간(T1)의 시점에서 극간전압(VEW)이 기준전압(Vr)까지 상승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이상이라고 판단한다(Y1). 소정시간 (T1)의 시점에서 극간전압(VEW)이 기준전압(Vr)까지 상승해 있고, 그후에 기준전압 (Vr) 이하까지 하강한 경우는 충분한 시간을 거쳐서 안정하게 방전한 것으로 보고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한다(Y2).
이상방전(Y1) 또는 정상방전(Y2)이 검출되면, 구동신호 OUT3 및 OUT4를 "하이"로 해서 주방전회로(2a)의 스위칭 소자(Tr3 및 Tr4)를 온하는 동시에 구동신호 OUT1 및 OUT2를 "로우"로 해서 스위칭 소자(Tr1, Tr1', Tr2 및 Tr2')를 오프한다. 또, 가공전원 제어회로(1)는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만큼 스위칭 소자(Tr1 및 Tr1' 또는 Tr2 및 Tr2')를 온시켜,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 경과 후에 펄스종료신호(EN)가 출력되고, 이 경우 상기 극간이 오픈이라고 판단한다(Y3).
이상에서, 이상방전 검출시(Y1) 또는 정상방전 검출시(Y2)에 구동신호 OUT3 및 OUT4를 "하이"로 해서 주방전회로(2a)의 스위칭 소자(Tr3 및 Tr4)를 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가공에 따라서는 정상방전 검출시에만 구동신호 OUT3 및 OUT4를 "하이"로 해서 스위칭 소자(Tr3 및 Tr4)를 온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도 구동신호 OUT1 및 OUT2는 모두 "로우"로 한다.
이와 같이 해서 방전상태 판별회로(1a)에서는 상기 극간의 이상방전(Y1), 정상방전(Y2) 및 오픈(Y3)을 판별할 수가 있고, 이 판별결과에 따라 인가전압 선택회로(1b)에서 다음의 인가전압의 극성을 선택한다.
상기 극간의 상태가 이상방전(Y1) 또는 오픈(Y3)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방전유기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전압과 반전한 방전유기전압의 인가를 하고, 상기 극간의 상태가 정상방전(Y2)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전번의 방전유기전압과 같은 극성의 방전유기전압의 인가를 한다.
방전가공의 사이클은 극간의 절연파괴 → 방전발생 → 방전부분의 용융·제거·냉각 → 극간의 절연회복을 반복함으로서 가공이 진행된다. 도 5는 방전가공의 사이클을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5의 (a)는 이상방전의 경우를, 도 5의 (b)는 정상방전의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서의 극간전압 및 극간전류의 예를 표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1 내지 도 4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6에서, IEW는 극간전류, Tmax는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이다.
도 5(a)의 이상방전의 경우는 상태 ①과 같이 극간의 전계강도가 불균일한 경우에 방전유기저압이 인가되면, 상태 ②와 같이 전계강도가 가장 낮은 장소에 방전이 유발되고, 상태 ③과 같이 휴지시간중에 서서히 극간의 절연회복이 도모된다. 그러나, 삽입되는 휴지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상태 ③과 같이 절연회복이 완전하지 않고, 전계강도가 불균일한 대로이고, 다음의 방전유기 전압인가와 동시에 동일 개소에서 방전이 발생해버려 상태 ② 및 ③을 반복해 버린다. 이와 같은 반복이 생기는 경우에는 전계강도는 더욱 불균일해지고, 단락상태와 같은 상태가 되고 가공에 기여하지 않는 방전상태가 되는 동시에 와이어 전극(E)의 단선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상태 ④와 같이 전번의 이상방전시와의 역의 극성의 방전유기전압을 인가하면(도 6의 극간전압(VEW)의 A), 극간의 전리상태가 일단 리세트되므로 극간의 전계강도의 불균일을 조기에 해소할 수가 있고, 집중방전을 억제하고 정상방전에 조기복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공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와이어 전극의 단선도 억제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 종래 기술인 일본국 특공평3-11901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이상방전시에는 항상 역극성 방전가공이 되고, 조기에 절연회복을 도모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상방전의 연속에 의해 정상방전이 감소하고 효율적인 제거가공이 불가능해지므로 본원 발명에 비해 가공효율이 저하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의 가공전원장치와 종래 기술인 일본국 특공평3-119012호 공보에 개시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를 비교하는 실험결과의 예를 표시한 것이고, 도 7은 극간서보의 기준전압에 의한 방전주파수의 변화를, 도 8은 극간서보의 기준전압에 의한 가공속도의 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극간서보의 기준전압이 높은 경우에는 극간이 오픈상태에 가까우므로 정상방전이 많고 이상방전은 적고,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방전주파수의 차 및 가공속도의 차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극간서보의 기준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극간간격이 좁아지므로 극간의 방전상태가 이상상태가 되기 쉽고,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방전주파수의 차 및 가공속도의 차가 커지고, 본 발명쪽이 이상방전이 적고 가공효율이 높으므로 가공속도가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b)의 정상방전의 경우에는 상태 ①과 같이 전계강도가 균일하므로 상태 ②와 같이 극간간격이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방전이 발생한다. 이 경우 이상방전(단락 또는 집중방전)시와는 다르고, 방전점에는 방전에너지가 충분히 투입되기 위해 피가공물(W)의 제거가 충분히 실시되고(상태 ②), 피가공물(W)과 와이어 전극(E)과의 최근 접점이 다른 장소로 이동한다(상태 ④). 이런 경우에도 휴지시간중에 극간의 절연회복이 도모되나(상태 ③), 최근 접점이 다른 점이 됨으로서 이상방전시와 같이 방전유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지 않아도 동일점에 다음의 방전이 발생하는 확률이 저하하므로 방전유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킬 필요는 없다. 방전유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 버리면, 이 반전된 전압에 의해 극간의 상태가 한번 리세트되기 위해 방전유기전압에 의해 방전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되어 방전의 주기가 길어져 가공효율이 저하해버린다. 따라서, 전압펄스의 출력극성을 전환하지 않도록 함으로서(도 6의 극간전압(VEW)의 B,C,D), 방전유발상태를 최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피가공물의 효율적인 제거가공이 가능해진다.
방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극간의 방전상태의 판별결과에 따라 가공을 효율화 시키도록 극성을 선택하므로 방전유기전압을 인가하고서부터 방전이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극간의 방전상태에 의해 다르고, 개개의 방전에서 비교하면 방전유기전압의 인가시간에 차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방전유기전압은 그 절대치가 같고, 인가시간의 흐트러짐을 평균하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므로 평균한 극간전압은 대략 OV로 볼 수가 있고, 방전유기전압의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전촉의 문제는 없다.
방전유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즉 극간 오픈상태라고 판별된 경우(도 6의 극간전압(VEW)의 E,F)에는 동일 극성의 방전유기전압을 계속 인가하면, 가공액의 전해작용에 의해 피가공물이 전촉해버린다. 그러나, 방전유기전압의 인가극성을 반전함으로서, 비방전중이라도 피가공물의 전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의 가공전원 제어회로(1)의 구성도이고, 실시의 형태 1의 도 2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9에서, 1c는 극간 평균전압 검출회로이다.
가공전원 제어회로(1)에 극간 평균전압 검출회로(1c)를 구비하고, 한쪽의 극성의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극간 평균전압 검출회로(1c)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한다. 예를 들면, 극간 평균전압 검출회로(1c)는 극간 평균전압이 정측으로 편중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이"를 출력하고, 부측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우"를 출력한다. 극간 평균전압 검출장치(1c)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에는 정측의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작게 하거나 부측의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크게 하고, 극간 평균전압 검출장치(1c)의 출력이 "로우"인 경우에는 정측의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크게 하거나 부측의 방전유기 전압시간 최대시간을 작게 한다.
이와 같은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의 제어에 의해, 피가공물(W)과 와이어 전극(E)의 조합에 의해 방전유기전압의 극성의 어느 것에서인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라도 극간 평균전압이 어느 쪽인가의 극성에 편중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전촉을 억제할 수가 있다.
어느 쪽의 극성의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제어하는 가는 임의로 결정해도 되고, 오픈상태의 검출회수가 많은 쪽의 극성을 검출해서, 이 검출회수가 많은 극성측을 자동적으로 인식해서, 이 극성측의 방전유기 전압인가 최대시간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는 특히 생산성이 높은 와이어 방전가공에 사용되는데 적합하다.
Claims (4)
- 와이어 전극과 피가공물과의 극간에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을 인가하고, 이 펄스전압에 의해 상기 극간의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이 유기된 후에 상기 극간에 가공용 펄스전압을 인가해서 상기 피가공물의 가공을 실시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를 판별하는 방전상태 판별수단과,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이상 또는 오픈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용 펄스전압과 반전하고,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극성을 전번의 방전유기용 펄스전압과 같은 인가전압 선택수단을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 및 이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가공용 펄스전압을 상기 극간에 인가하고,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는 가공전원 제어수단을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극간의 방전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가공용 펄스전압을 극간에 공급하고,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는 가공전원 제어수단을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간의 평균전압을 검출하는 평균전압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평균전압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극간 평균전압의 편중을 억제하도록 상기 방전유기용 펄스전압의 인가 최대시간을 제어하는 가공전원 제어수단을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2/005848 WO2003106088A1 (ja) | 2002-06-12 | 2002-06-12 |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電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8673A KR20040028673A (ko) | 2004-04-03 |
KR100496399B1 true KR100496399B1 (ko) | 2005-06-17 |
Family
ID=2972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05974A KR100496399B1 (ko) | 2002-06-12 | 2002-06-12 |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109432B2 (ko) |
JP (1) | JP3835452B2 (ko) |
KR (1) | KR100496399B1 (ko) |
CN (1) | CN1272132C (ko) |
DE (1) | DE10297065T5 (ko) |
WO (1) | WO200310608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93467C (zh) * | 2006-02-28 | 2008-06-11 | 苏州普光机电有限公司 | 多头数控电火花线切割机 |
CN101932404B (zh) * | 2008-01-31 | 2013-02-13 | 三菱电机株式会社 | 放电加工装置及放电加工方法 |
US8350177B2 (en) * | 2008-01-31 | 2013-01-0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evice that applies a voltage pulse between a processing electrode and a workpiece |
JP4648468B2 (ja) * | 2009-06-05 | 2011-03-09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加工状態判定機能を備えた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
JP5062368B2 (ja) * | 2009-07-07 | 2012-10-3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ワイヤ放電加工装置 |
JP5073797B2 (ja) * | 2010-08-26 | 2012-11-14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加工状態を検出するワイヤ放電加工機 |
CN103958103B (zh) * | 2011-11-30 | 2016-12-28 | 三菱电机株式会社 | 放电加工机用电源装置 |
JP5197886B1 (ja) * | 2012-01-11 | 2013-05-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ワイヤ放電加工装置 |
TWI500466B (zh) | 2012-09-25 | 2015-09-21 | Ind Tech Res Inst | 調變式放電加工控制裝置與方法 |
JP5800923B2 (ja) | 2014-01-15 | 2015-10-28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用電源装置 |
JP6514163B2 (ja) * | 2016-09-01 | 2019-05-15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ワイヤ放電加工機 |
CN106825797B (zh) * | 2017-04-01 | 2019-02-12 | 广东商鼎智能设备有限公司 | 电火花机床及其控制系统 |
CN110270724B (zh) * | 2018-03-15 | 2021-01-08 | 上海交通大学 | 一种基于场致射流表面感应放电的火花加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6414B2 (ja) * | 1975-03-20 | 1984-06-27 | カブシキガイシヤ イノウエジヤパツクスケンキユウジヨ | 放電加工装置 |
JPH0219012A (ja) | 1988-07-07 | 1990-01-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水晶振動子の製造方法 |
US5416290A (en) * | 1992-10-08 | 1995-05-16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ctric discharge machine power supply circuit |
JP2914102B2 (ja) * | 1993-06-30 | 1999-06-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放電加工機 |
JPH081438A (ja) | 1994-06-27 | 1996-01-09 | Fanuc Ltd | 放電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
JP3574503B2 (ja) * | 1995-05-10 | 2004-10-06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放電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
JP3645957B2 (ja) | 1995-12-28 | 2005-05-11 | 株式会社ソディック | 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
JP3390652B2 (ja) * | 1998-02-10 | 2003-03-24 | 株式会社ソディック | 放電加工装置 |
CH694907A5 (de) * | 2000-06-06 | 2005-09-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Stromerzeugungsanlage fuer Elektroerosionsmaschine. |
-
2002
- 2002-06-12 KR KR10-2003-7005974A patent/KR1004963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6-12 WO PCT/JP2002/005848 patent/WO2003106088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2-06-12 JP JP2003523883A patent/JP383545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12 CN CNB028027779A patent/CN127213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12 US US10/415,749 patent/US710943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12 DE DE10297065T patent/DE10297065T5/de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97065T5 (de) | 2004-11-18 |
US7109432B2 (en) | 2006-09-19 |
CN1524024A (zh) | 2004-08-25 |
JPWO2003106088A1 (ja) | 2005-10-27 |
US20050127041A1 (en) | 2005-06-16 |
JP3835452B2 (ja) | 2006-10-18 |
CN1272132C (zh) | 2006-08-30 |
KR20040028673A (ko) | 2004-04-03 |
WO2003106088A1 (ja) | 2003-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96399B1 (ko) |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전원장치 | |
JP5264788B2 (ja) | 放電加工装置 | |
US20070289949A1 (en) | Electric-Discharge-Machin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Method | |
US785083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machining | |
JP2692510B2 (ja) | 放電加工装置 | |
JP3645957B2 (ja) | 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 |
JP4089618B2 (ja) |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電源装置 | |
JPH0160376B2 (ko) | ||
JPS58206312A (ja) |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用電源 | |
JP3773696B2 (ja) | 放電加工機の電力供給装置 | |
JPS6368317A (ja) | 放電加工機 | |
JP3938044B2 (ja) | 放電加工用電源装置 | |
JPH0899222A (ja) | 被加工体を電食加工するための方法及びパルス発生器 | |
JP6165210B2 (ja) |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加工電源装置 | |
JPH0564032B2 (ko) | ||
JP3252622B2 (ja) | ワイヤ放電加工機の加工電源制御装置 | |
JP2001162444A (ja) | 放電加工用のプロセス及び装置 | |
JP3638062B2 (ja) | 放電加工用電源装置 | |
JP2626666B2 (ja) | 放電加工方法 | |
JP4224556B2 (ja) | 放電加工方法および放電加工装置 | |
JP2004050298A (ja) | 放電加工方法及び放電加工装置 | |
JPH058121A (ja) | 放電加工装置 | |
JP4381223B2 (ja) | 放電加工電源装置 | |
JPS61111813A (ja) | 放電加工装置 | |
JPS61168423A (ja) | ワイヤ放電加工機用電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