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에는 통상 공기가 들어있고 주사액을 튜브로 공급하면 그 공기가 튜브 끝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주사액이 튜브 끝에 도달한다. 가끔 처음 튜브 끝에 도달한 주사액 바로 다음에 공기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그 공기까지 유효하게 제거하는 말단용 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튜브 끝에 처음 도달한 액체 뒤에 공기가 있는 경우 처음 도달한 액체의 양이 많지 않다는 것에 착안하여 그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물질(흡수재)을 말단용 캡에 배치한 캡을 창안하였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튜브의 말단에 연결되는 말단 캡으로서,
튜브와 연결되며 외부로 통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에 위치하는 액체흡수부재와,
상기 액체흡수부재에 비하여 상기 튜브로부터 먼쪽(즉 하류측) 위치에서 상기 통로를 차단하는 기체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필터를 포함하는 튜브 말단 캡이 제공된다.
상기 액체흡수부재는 상기 통로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수부재는 스펀지 재료이거나 섬유재료일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다공질의 플라스틱 수지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 말단 캡은 외측벽과, 튜브에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벽의 반경방향 내측에 마련된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용 돌출부가 마련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는 개방되며, 내부에는 상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흡수부재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타단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에 의해 차단되는 배출구멍을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돌출부는 상기 외측벽의 단부 내외측으로 연장되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측벽과 상기 결합용 돌출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상기 흡수부재와 상기 필터 사이를 차단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주사액 주입장치(60)에는 튜브(90)가 달려 있다. 주사액 주입장치(60)는 통상 실린더(64)와 피스톤(66)을 구비한다. 피스톤에 고무 주머니의 탄력이나 가스의 압력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푸쉬로드 등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하면서 실린더 내의 주사액을 밀어낸다.
이러한 주입장치(60)의 실린더(64) 끝에는 튜브(90)가 연결된다. 이 튜브(90)로 이어지는 주사액의 경로에는 예를 들면, 사용하기 전에 주사액을 상기 실린더(94) 내로 공급하여 주는 공급밸브(70)가 설치된다. 튜브(90)를 따라 흐르는주사액의 흐름을 원하는 때에 차단하여 주는 클램프(72)도 마련된다. 위와 같은 주입장치와 연결된 튜브의 구성은 WO 02/11791 A1에 개시된 게시된 장치일 수 있으며, WO 02/11791 A1에 게시된 내용 중 해당부분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하여 일부로 삼는다. 튜브(90)의 끝단에는 말단연결부재(80)와 연결부재(80)의 개구를 막는 캡(10)이 연결된다. 약물을 주입할 때는 캡(10)을 제거한 후 연결부재(80)를 인체로 직접 삽입된 부재(예를 들면, 카데터)의 입구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2를 참조하면, 말단연결부재(80)의 끝부분에는 원통형 돌출부(84)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84)에는 연통구멍(86)이 마련된다. 이 구멍(86)을 통하여 주사액이 공급된다. 연결부재(80)에는 돌출부(84)를 둘러싸는 원통벽(82)이 마련된다. 원통벽(82)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캡(10)의 외측연장부(261)의 수나사와 결합하며, 캡(10)이 제거된 후에는 카데터 등의 접속구와 나사결합된다. 이 나사 결합부분은 기밀이 잘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캡(10)은 실질적으로 원기둥형으로서 일단부로는 튜브(90) 끝단의 연결부재(80)가 결합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캡(10)은 본체(20)와, 마개(30)를 구비한다. 본체(20)는 내부가 뚫려 있고 단이 진 원통형으로서, 원통형 외측벽(22)이 단부벽(24)까지 연장된다. 단부벽이 있는 쪽의 반대쪽 단부는 개방되어 후술하는 마개(30)에 의해 폐쇄된다.
단부벽(24)이 있는 쪽의 중심부에서는 단부벽(24) 양측으로 각각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관(26)이 마련된다. 결합관(26) 중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외측 연장부(261)의 끝 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연결부재(80)의원통벽(82)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된다. 결합관(26) 내부는 뚫리어 원형의 통로(263)가 형성된다. 통로(263) 안으로 연결부재(80)의 대응돌출부(84)가 삽입되어 돌출부(84) 내의 통로구멍(86)과 결합관(26) 내의 통로가 연통된다. 이 결합관(26)의 통로(263)는 안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이것은 연결부재(80)가 대응돌출부(84)가 끼워져 안으로 삽입될수록 더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합관(26) 중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내측 연장부(262)는 측벽(22)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내측 연장부(262)와 측벽(22) 사이공간으로 후술하는 흡수부재(40)가 꼭 맞게 끼워진다.
도3을 참조하면, 흡수부재(40)는 중앙을 관통하는 통로가 마련된 즉 고리모양 원통형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수부재(40)로서 액체를 잘 흡수하고 보유하고 있을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한데 발포체인 스펀지, 헝겊 등의 섬유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폴리콘덴세이트(Melamine Formaldehyde Polycondensate) 소재로 만든 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흡수부재의 소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를 잘 흡수하는 소재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흡수부재(40)는 측벽(22) 안쪽과 결합관(26)의 내측 연장부(262)의 외벽 사이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내경 및 외경을 갖는다. 흡수부재(40)의 외측면은 본체(20)의 측벽(22)과 접하며, 그 일단부가 결합관(26)의 내측 연장부(262)와 본체(20)의 측벽(22) 사이에 마련된 고리모양의 공간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반대편 단부는 후술하는 마개(30)에 의해 지지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마개(30)는 본체(20)의 개방부를 덮는 원형의덮개(32)와, 덮개(32)로부터 연장되어 본체(20) 내부로 수용되어 끼워지는 삽입보스(34)를 구비한다. 덮개(32)와 삽입보스(34)에는 축방향 통로(341)가 마련된다. 통로(341)의 덮개 쪽 끝에는 걸림턱(3431)이 마련된다. 통로(341)에는 삽입보스(34) 끝단으로부터 덮개(32) 쪽으로 대략 중간부분까지 그 직경이 조금씩 작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342)와, 경사부(342)로부터 약간 직경이 커져 공기배출구멍(321) 부분까지 대체로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된 필터수용부(343)가 형성된다. 필터수용부(343)와 경사부(342)의 끝과 직경의 차이로 인해 형성된 얕은 단턱(3432)이 존재한다. 필터수용부(343)에 후술하는 에어필터(air pass filter)(50)가 꼭 맞게 삽입되어 수용되는데, 필터수용부(343)에 수용된 에어필터(50)는 필터수용부(343)와 경사부(342) 사이에 마련되는 단턱(3432)에 걸려 경사부(342) 쪽으로 빠져 나가지 않는다. 외측으로는 걸림턱(3431)에 의해 필터가 빠지지 않는다.
도3을 참조하면, 삽입보스(34)는 끝단으로 가면서 차례로 작은 외경을 갖는 원형의 제1, 제2, 제3 연장부(35, 36, 37)를 구비한다. 제1 연장부(35)의 외경은 본체(20)의 측벽(22)의 내면과 밀착하도록 그 직경이 정해진다. 이것은, 마개(30)가 본체(20)의 개방부를 통해 끼워졌을 때, 꽉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는 다르게, 마개(30)와 본체(20)는 접착제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연장부(36)는 제1 연장부(3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연장된다. 제1 연장부(35)와 제2 연장부(36) 사이에는 단턱이 존재한다.
제2 연장부(3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3 연장부(37)의 외경은 액체흡수부재(40)의 내부로 꼭 맞게 끼워지도록 그 외경이 정해진다. 제2 연장부(36)와 제3 연장부(37) 사이에는 탄턱이 존재한다. 제3 연장부(37)는 액체흡수부재(40) 안쪽으로 길게 삽입된다. 제3 연장부(37)의 외면은 흡수부재(40)의 내면과 밀착하며, 흡수부재(40)의 끝단이 제2 연장부(36)와 제3 연장부(37) 사이의 단턱에 맞닿는다. 제3 연장부(37)의 끝단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는데, 이것은 흡수부재(40) 내부로 잘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 연장부(37)는 액체흡수부재(40)가 필터(50)에 닿거나 액체흡수부재(40)에 흡수된 액체가 다시 흘러나오는 등의 이유로 에어필터(50)와 닿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액체가 에어필터(50)나 공기배출구멍(50)과 닿으면 공기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거나 그 시간이 많이 걸린다.
에어필터(50)는 통로(321)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으로서 액체불투과성 및 기체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즉 액체를 투과하지 못하나 기체는 투과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에어필터(50)는 이러한 성질을 갖는 다공질의 플라스틱 수지재료를 통로에 맞는 형상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필터의 재료는 미국 조지아주 페어번(Fairburn, GA 30213) 소재의 포렉스코포레이션(Porex Corporation)(웹사이트:www.porex.com)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상기 포렉스코포레이션의 포렉스 하이드로포빅 벤트(Porex Hydrophobic Vents)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제품은 폴리에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ethyle polytetrafluoroethylene)의 재료로 만든 것이다. 상기 에어필터의 재료는 미국 미국 죠지아주 스톤마운틴(Stone Mountain, Georgia) 소재의 마이크로포어 플라스틱스 인크.(Micropore Plastics, Inc.)로부터입수할 수도 있다. 에어필터(50)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가져 마개(30)의 통로(321)에 끼우는 동안 약간 수축하였다가 복원하여 제자리에 있게 된다.
이제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캡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튜브(90)에는 튜브 끝에 가장 먼저 도달하는 약물 바로 뒤에 공기(91)가 존재하는데 이 약물이 연결부재(80)의 통로구멍(86)을 통해 캡(10) 안으로 유입된다. 먼저 유입된 약물은 에어필터(50)에 닿기 전에 액체 흡수력을 갖는 액체흡입부재(40)에 의해 모두 흡수된다. 일단 흡수부재(40)에 흡수된 약물은 마개(30)의 제3 연장부(37)에 의해 에어필터(50) 쪽으로 다시 유입되지 않는다. 먼저 유입된 약물이 액체흡입부재(40)에 모두 흡수되면 그 다음에 유입되는 공기(80)가 에어필터(50)에 도달하고 자연히 액체불투과성이고 기체투과성인 에어필터(50)를 거쳐 공기배출구멍(321)을 통해 밖으로 모두 빠져나가게 되고 캡(10) 내부에는 결국 약물만 남게 된다. 이제, 캡(10)을 회전시켜 말단연결부재(80)로부터 분리한 후 카데터 등에 결합하면 공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에서 약물만을 공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