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995B1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60995B1 KR100460995B1 KR10-2003-0006267A KR20030006267A KR100460995B1 KR 100460995 B1 KR100460995 B1 KR 100460995B1 KR 20030006267 A KR20030006267 A KR 20030006267A KR 100460995 B1 KR100460995 B1 KR 1004609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holding member
- foreign matter
- gap holding
- photosensitive dru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17—Details relat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lad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현상갭 유지부재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서,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의 축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와 탄성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현상갭 유지부재에 고착된 이물질이 현상갭 유지부재의 회전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어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 현상갭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양호한 화상품질이 얻어 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현상갭 유지부재 또는 이와 접촉되는 위치의 감광드럼상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롤러에 의하여 현상제로 현상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 후, 이 현상제에 의한 가시화상을 인쇄 용지에 전사하여 소망하는 화상을 출력한다.
이때, 감광드럼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대한 현상은, 현상롤러와 감광드럼 상호간 접촉하여 회전되면서 현상될 수 있으며, 또한 현상롤러와 감광드럼 사이에 일정한 간격, 즉 현상갭을 두고 비접촉으로 현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비접촉 방식 현상의 경우, 현상장치는 현상롤러와 감광드럼 사이에 현상갭을 유지하기 위해서 현상갭 유지부재, 즉 스페이서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감광드럼 또는 현상롤러에 장착될 수 있으나 주로 감광드럼에 비해 제작상 용이한 현상롤러에 장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현상롤러 또는 감광드럼의 축단에 삽입되어 장착된 현상갭 유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현상제 저장부(1)에 있는 현상제는 현상제 교반기(2)에 의해 현상제저장부(1)의 하부로 이동하여 공급 롤러(3)를 통하여 이와 접촉되어 있는 현상롤러(4)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현상롤러(4)측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규제 블레이드(5)에 의해 균일한 두께의 현상제층을 형성하게 된다.
비접촉 방식에 있어서, 감광드럼(6)과 현상롤러(4)간에는 통상 100 내지 400㎛의 미세한 간격, 즉 현상갭이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갭을 유지하기 위해 현상갭 유지부재(10), 즉 스페이서가 현상롤러(4) 또는 감광드럼(6)의 양단축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현상갭 유지부재(10)는 현상롤러(4) 또는 감광드럼(6)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그 단면이 원주형태의 원형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균일한 현상제층이 형성된 현상롤러(4)는 감광드럼(6)과 대향하여 회전되며, 현상제가 전위차에 의해 감광드럼(6)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현상된다. 상기와 같이 감광드럼(6)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전사 롤러(7)를 통하여 인쇄 용지로 이동된 후, 정착과정을 거쳐 인쇄 용지상에 고착된다.
그러나, 적절히 규제되지 않아 비산되는 현상제가 현상갭 유지부재(10)와 이와 접촉되는 위치의 현상롤러(4) 또는 감광드럼(6)에 달라붙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달라붙은 현상제는 현상갭 유지부재(10)와 현상롤러(4) 또는 감광드럼(6)간의 접촉압력에 의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후, 소정 두께의 이물질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현상롤러(4)와 감광드럼(6)간의 현상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불균일하게 되어, 현상롤러(4)로부터 감광드럼(6)으로 현상제가 적절하게 이동되지 못하여 화상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현상갭이 불규칙하게 변동함에 따라 현상갭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게 되어 현상제 비산에 의한 화상불량이 더 잘 발생될 수 있으며, 비산이 더 많을 수록 현상갭 유지부재(10)와 이와 접촉하는 다른 부재 사이에 비산된 현상제가 달라붙어 이물질이 고착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고착된 경우에 자동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므로 직접 그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상갭 유지부재와 감광드럼 또는 현상롤러에 현상제가 달라붙어 고착된 이물질이, 그 회전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갭 유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현상롤러 6 : 감광드럼
20 : 이물질 제거장치 21 : 블레이드
22 : 탄성지지부재 23 : 고정 프레임
24 : 힌지부 25 : 이물질 저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현상갭 유지부재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서,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의 축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와 탄성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마모가 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하부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물질 저장부는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저장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그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현상갭 유지부재와 접촉되는 위치의 감광드럼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서, 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광드럼의 축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감광드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블레이드와 탄성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감광드럼보다 상대적으로 마모가 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4)와 감광드럼(6 : 도 1 참조) 사이에 현상갭을 유지하기 위해서 현상갭 유지부재(10)를 구비하고 있으며, 현상갭 유지부재(10)는 현상롤러(4) 또는 감광드럼(6)의 어느 일측의 축단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그 제조공정이 간단한 현상롤러(4)측에 주로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현상갭 유지부재(10)가 현상롤러(4)측에 장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20)는, 현상갭 유지부재(10)에 설치되나 이와 같이 현상갭 유지부재(10)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현상갭 유지부재(10)와 접촉되는 위치의 감광드럼(6)에도 설치된다. 여기서, 현상갭 유지부재(10)와 감광드럼(6)의 각각에 적용되는 이물질 제거장치(2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현상갭 유지부재(10)에 적용되는 이물질 제거장치(2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20)는, 블레이드(21)와, 탄성지지부재(22)와, 고정 프레임(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레이드(21)는, 현상갭 유지부재(10)와 감광드럼(6)이 상호 회전되면서 접촉된 후, 비산된 현상제가 그 접촉압력에 의하여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감광드럼(6)과 접촉되는 현상갭 유지부재(10)의 접촉 원주면에 밀착되도록 그 현상갭 유지부재(10)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거된 이물질이 현상롤러(4)측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현상갭 유지부재(10)의 축방향에 있어서 그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현상롤러(4)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제거된 이물질에 의한 재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1)는 현상갭 유지부재(10)와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그 회전시 양 부재에 마모가 발생될 수 있다. 현상갭 유지부재(10)측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현상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화성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21)는 현상갭 유지부재(10)보다 상대적으로 마모가 잘되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블레이드(21)가 현상갭 유지부재(10)와 밀착하여 동작될 때, 현상갭 유지부재(10)에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스스로 마모되어 현상갭 유지부재(1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21)는, 그 하부 일측에 탄성지지부재(22)가 고정되며 하부 타측에는 힌지부(2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힌지부(24)를 선회축으로 하여 블레이드(21)가 선회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블레이드(21)를 현상갭 유지부재(10)측으로 밀착시킬수 있다.
탄성지지부재(22)는 블레이드(21)가 현상갭 유지부재(10)와 밀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현상갭 유지부재(10)측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재(22)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 또는 스폰지 등 현상갭 유지부재(10)측으로 블레이드(21)를 가압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23 : 도 3 참조)은 탄성지지부재(22)의 일단과 블레이드의 힌지부를 선회가능하게 고정지지하며, 블레이드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현상갭 유지부재(10)와 밀착되는 곳에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물질 제거장치(20)는, 제거된 이물질이 비산되어 인쇄 용지와 다른 현상장치의 부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거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2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물질 저장부(25)를 블레이드(2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이물질 저장부(25)는 블레이드(21)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그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현상갭 유지부재(10)의 측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블레이드(21)에 의하여, 이물질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제거된 후 그 자중에 의하여 이물질 저장부(25)로 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현상갭 유지부재(10)가 현상롤러(4)측에 설치되어 이물질 제거장치(20)가 감광드럼(6)과 현상갭 유지부재(10)에 밀착되는 경우에만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현상갭 유지부재(10)가 감광드럼(6)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장치(20)는 현상롤러(4)와 현상갭 유지부재(10)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내에서 비산 또는 유출된 현상제가 현상갭 유지부재와 이와 접촉되는 현상롤러 또는 감광부재와의 접촉면에 그 회전 접촉압력에 의하여 고착되더라도, 현상롤러 또는 감광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착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현상롤러와 감광드럼간 현상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양호한 화상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제거된 이물질에 의한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현상갭 유지부재에 고착된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서,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의 축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현상갭 유지부재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상기 블레이드와 탄성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상기 현상갭 유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마모가 잘 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하부 일측에 힌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비산되지 않도록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저장부는,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저장부는,상기 블레이드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이 그 자중에 의하여 떨어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현상갭 유지부재와 접촉되는 위치의 감광드럼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로서,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광드럼의 축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블레이드;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감광드럼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상기 블레이드와 탄성지지부재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상기 감광드럼보다 상대적으로 마모가 잘 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6267A KR100460995B1 (ko) | 2003-01-30 | 2003-01-30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6267A KR100460995B1 (ko) | 2003-01-30 | 2003-01-30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9737A KR20040069737A (ko) | 2004-08-06 |
KR100460995B1 true KR100460995B1 (ko) | 2004-12-09 |
Family
ID=3735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6267A KR100460995B1 (ko) | 2003-01-30 | 2003-01-30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609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3477A (ko) | 2007-02-06 | 2008-08-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기기 및 그 현상장치 |
-
2003
- 2003-01-30 KR KR10-2003-0006267A patent/KR1004609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9737A (ko) | 2004-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37076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069081B2 (ja) | トナークリーニング装置 | |
JP2008176307A (ja) | 感光体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7328341A (ja) |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4341257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460995B1 (ko) |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이물질 제거장치 | |
JP5375176B2 (ja) |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1356600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4317093A (ja) | 感光体表面の研磨装置 | |
JP291569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79172Y2 (ja) | クリーニング装置 | |
JP2002108090A (ja) | 供給ローラ、層厚規制部材及び現像装置 | |
JP4735140B2 (ja) | 画像形成装置 | |
WO2010032571A1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の材料選定方法 | |
JP4784231B2 (ja) | クリーニング装置 | |
JP4563742B2 (ja) | 液体現像剤の塗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7086321A (ja) | 潤滑剤塗布・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3021974A (ja) | 液体現像剤の塗布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4109655A (ja) | 塗布装置、中間塗布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 |
JP2004037963A (ja) | 塗布装置、中間塗布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 |
KR100423462B1 (ko) | 현상장치 | |
JPS61205971A (ja) | クリ−ニング装置 | |
JP2003307985A (ja) |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H0634225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6243050A (ja) | 液体現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