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9929B1 -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929B1
KR100439929B1 KR10-2001-0077996A KR20010077996A KR100439929B1 KR 100439929 B1 KR100439929 B1 KR 100439929B1 KR 20010077996 A KR20010077996 A KR 20010077996A KR 100439929 B1 KR100439929 B1 KR 10043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aundry
detergen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944A (ko
Inventor
이시까와도시이찌
시까모리다모쯔
데루야마도모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4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 과정 중에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이 감소된다.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 내지 30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은 소량의 세제 용해수에 분말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생성되고, 세탁물은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침액(침투)되며 세탁물은 세탁물에 부착된 때에 작용하는 세제의 화학적 세척력을 이용하여 세척 효율을 높이도록 침액 상태로 방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은 이후에 수행되는 세탁에서 감소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WASHING MACHINE AND WASHING-AND-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겸 탈수조 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와,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는 세제량을 투입하는 단계와, 세탁 과정에서, 세탁물의 양에 대응하는 수도물(세탁수)의 양을 공급한 후에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교반 임펠러를 회전시키거나 세탁겸 탈수조를 일방향 또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에 기계적인 힘을 작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단계와, 수도물(헹굼물)을 공급하여 마찬가지로 세탁물에 기계적인 힘을 작용하는 헹굼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 내에 포함된 헹굼물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하는 탈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 건조기는 전술한 단계들 이후에 고온의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헹궈진 세탁물을 건조하는 고온 공기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자동 세탁기 또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 과정 중에 세탁수 내에 용해되는 분말 합성 세제의 양은 약 40g/60L(세제의 양/세탁수의 양) 정도로 적으며, 세탁수 내의 세제 농도는 약 0.07%이다.
이와 같이 낮은 세제 농도의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세탁물에 작용되는 기계적인 힘은 교반 임펠러 또는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력을 강화시키거나 세탁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강화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세탁된 세탁물이 심하게 닳거나 찢어지거나 세탁물들이 심하게 엉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세탁물이 심하게 엉키게 되면, 세탁 불균일성은 증가되며 세탁된 세탁물들을 세탁조로부터 꺼내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세탁 건조기의 경우에,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은 고온 공기 건조를 수행하기 위해서 약해질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세탁된 세탁물들이 심하게 엉켜 있으면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의 고온 공기 건조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때가 쉽게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개평7-80182호는 세탁 과정 중에 세탁물에 작용되는 기계적인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세탁 과정 전에 고농도의 세제 용액에 세탁물을 적시는 예비 침액 과정을 추가함으로써 고농도 세제 용액의 화학적 세척력을 활용하는 전자동 세탁기를 개시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개소8-47594호는 세탁물들을 높은 세제 농도의 세탁수 내에 담궈두거나 높은 세제 농도의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세탁기에 있어서, 세제의 화학적 세척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이 기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 세제를 이용하여 분말 세제의 화학적 세척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함으로써 세탁 과정 중에 세탁물에 작용되는 기계적인 힘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 세제의 화학적 세척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세탁물의 변색(탈색)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때 제거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된 세탁물의 엉킴을 감소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을 높여서 건조의 불균일을 줄일 수 있으며, 세탁겸 탈수조 내에 고온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에 의해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말 세제를 이용하여 적절한 고농도 세제 용액을 효율적으로 생성함으로써 분말 세제의 과도한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 내지 30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은 소량의 세제 용해수에 분말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생성되고, 세탁물은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침액(침투)되며 세탁물은 세탁물에 부착된 때에 작용하는 세제의 화학적 세척력을 이용하여 세척 효율을 높이기 위해 침액 상태로 방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은 이후에 수행되는 세탁 중에 감소된다.
또한, 바람직한 화학적 세척력은 세탁물의 성질(옷감 성질, 색상 및 패턴, 염색 내구성)에 따라서 세탁물을 적시는 고농도 세제 용액의 농도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세탁물에 작용하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바람직한 세척력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분말 세제를 용해시키기 위한 세제 용해수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세탁물을 적시기 위한 고농도 세제 용액 내에서 효율적으로 생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서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에 대하여 기계력을 작용시켜 세탁수에 의한 세탁과 헹굼수에 의한 헹굼의 각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시켜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를 원심 탈수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여 타성 회전에 있어서의 감속 특성을 검출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겸 탈수조 내의 상기 세탁 의류에 침투시켜서 소정 시간 거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후에 급수하여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고, 타성 회전에 있어서의 감쇠 특성을 검출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 후에 급수하여 세제액을 희석한 세탁수 속에서 세탁 의류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및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세탁기에,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실행하도록 한 세탁 건조기를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 세탁물에 세탁수를 이용한 세탁 과정과, 헹굼물을 이용한 헹굼 과정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하는 과정, 고온 공기 건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세탁물을 적시고 소정 시간 동안 세탁물을 침액 상태로 방치하는 침액 과정과, 침액 과정 후에 공급수에 의해 세제 용액을 희석함으로써 세탁수 내에서 세탁물에 기계적인 힘을 작용하는 세척 과정과, 세탁된 세탁물을 헹굼 및 탈수하는 과정과, 세탁겸 탈수조 내에 고온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 과정을 더 수행하는 세탁 건조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농도 세제 용액은 또한 세탁 과정 중에 세탁수에 혼합되는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보다 높게 생성되고, 세제 용액은 분말 세제를 세제 용해수에 용해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농도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는 세탁 과정 중의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 내지 3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적시는 시간이 세탁물의 성질 및/또는 세탁 내구성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적시는 시간이 4 내지 7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가 침액 과정 중에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적셔진 후에 원심력에 의해 탈수됨으로써 세탁겸 탈수조의 측벽에 대하여 압박된 것처럼 펼쳐지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농도 세제 용액은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세탁물을 적시도록 세탁겸 탈수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 및 분말 세제의 양이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설정되며, 분말 세제를 용해함으로써 고농도 세제 용액을 생성하기 위한 세제 용해수의 양이 세탁물의 성질 및/또는 세탁 내구성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이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셔진 후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탁 및 헹굼 과정을 수행하고, 탈수 과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이 세탁 과정 중의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 내지 30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셔지고 세탁물은 소정 시간 동안 적셔진 채로 두며, 그후 세탁수를 공급함으로써 세탁 과정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농도 세제 용액은 세제 용해수가 수용된 세제 용해 용기에 투입된 분말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고농도 세제 용액이 세탁물 상에 살포되도록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겸 탈수조 내로 유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농도 세제 용액을 살포하기 전에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은 세탁겸 탈수조가 회전되는 동안에 살포된 물로 적셔지고, 세탁겸 탈수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탈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젖은 상태로 방치하는 시간 동안에는 세탁물 내로 흡수된 고농도 세제 용액이 세탁물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탈수되지 않도록 세탁겸 탈수조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겸 탈수조가 침액 과정 중에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젖은 상태로 방치하는 시간은 4 내지 7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젖은 상태로 방치하는 시간은 세탁물의 성질 및/또는 세탁 내구성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겸 탈수조 내에서 적시고 원심력에 의해 탈수함으로써 세탁물이 세탁겸 탈수조의 측벽에 대하여 압박된 것처럼 세탁물이 펼쳐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세탁겸 탈수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세탁물이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셔지도록 고농도 세제 용액이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 및 분말 세제의 양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설정되며, 분말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고농도 세제 용액을 생성하기 위한 세제 용해수의 양은 세탁물의 성질 및/또는 세탁 내구성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전자동 세탁기의 제어 유닛 내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세탁, 탈수 및 건조 과정을 제어 처리하는 흐름도.
도4a, 도4b, 도4c, 도4d, 도4e, 도4f는 도3에 도시된 제어 처리 시에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상태를 보여주는 세탁겸 탈수조의 수직 단면도.
도5는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와 알칼리성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6은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와 계면 활성제의 양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7은 세제 농도를 변화시켰을 때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세탁물에 부착된 때의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8은 세탁물이 고농도 세제 용액 중에 담궈졌을 때 고농도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물리적으로 평가한 변색 정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9는 세탁 시간과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10은 세탁 시간과 세탁물의 엉킴율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세탁겸 탈수조
6 : 구동 유닛
8 : 진동 차단 장치
13 : 전원 스위치
14 : 작동 패널
16 : 제어 유닛
19 : 주입 포트
20 :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
21 : 세제 용해 용기
22 : 흡입 포트
23 : 송풍기
24 : 히터
25 : 공기 분사 덕트
세탁물을 고농도 세제 용액에 의해 침액(침투)시키므로, 분말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은 세탁물에 부착된 때에 작용하여 세정 작용을 하며,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은 이후에 수행되는 세탁에서 감소될 수 있다. 화학적 세정력은 세탁물에 흡수된 고농도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세탁에 사용되는 분말 세제의 양은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조정되므로, 세제 용해수의 양의 공급은 바람직한 화학적 세정력을 발생시키기에 적절한 고농도 세제 용액을 생성하기 위해서 분말 세제의 양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부 세탁물은 고농도 세제 용액에 담궈지면 변색(탈색)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변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이와 같은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에는, 세탁물을 적셔두는 고농도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를 낮추거나,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을 단축하거나 세탁물을 적셔두는 단계를 없애거나,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셔두는 단계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농도 세제 용액에 기인한 세탁물의 변색은 세탁물이 고농도 세제 용액에 불균일하게 담궈지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므로, 세탁물이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균일하게 적셔지도록 젖고 펼쳐진 상태의 세탁물 상에 고농도 세제 용액이 살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요지를 구성에 포함하고 있는 전자동 세탁 건조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은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프레임 본체이다. 도면 부호 2는 외주벽 상에 수로 구멍(2a)과, 상부 외주부 내에 유압 평형기(3)를 포함하며, 교반 임펠러(4)가 바닥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세탁겸 탈수조이다. 도면 부호 5는 세탁겸 탈수조(2)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외부 드럼이며, 외부 드럼(2)은 강철로 제조된 장착 기부(7)를 통해 바닥 외부 상에 구동 유닛(6)을 장착하며 외부 프레임(1)의 상단부의 4개의 코너로부터 진동 차단 장치(8)에 의해 현수되어 지지된다. 구동 유닛(6)은 모터, 클러치 기구 및 감속 기어 기구를 포함한다. 모터, 클러치 기구 및 감속 기어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인 힘은 교반 임펠러(4)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 과정 및 헹굼 과정 중에 세탁물에 작용되며, 세탁 건조 드럼(2) 내의 세탁물은 탈수 과정 중에 드럼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통해 탈수된다.
세탁물 투입 개구부(9a)를 갖는 상부 커버(9)는 상부 개구부를 덮도록 프레임 본체(1)의 상부 개구부의 에지 부분에 끼워지며 부착 나사에 의해 전방 패널(10) 및 후방 패널(11)과 함께 프레임 본체(1)에 부착된다.
상부 커버(9)와 전방 패널(10) 사이에 전방 패널 박스(12)는 전원 스위치(13)와, 일군의 입력 스위치와 일군의 표시 소자를 갖는 작동 패널(14)과, 외부 드럼(5) 내의 수위에 대응하는 수위 신호를 발생하는 수위 센서(15)와, 제어 유닛(16)을 수용한다. 이것들은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상부 커버(9)와 후방 패널(11) 사이에 형성된 후방 패널 박스(17) 내에는, 세탁수 공급 수단, 고농도 세제 용액 생성 수단 및 건조 고온 공기 공급 수단이 일렬로 설치되어 수용된다.
세탁수 공급 수단은 세탁수 유입측이 꼭지(18)에 연결되고 세탁수 유출측이 세탁수 주입 포트(19)에 연결된 세탁수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20)로 구성된다.
고농도 세제 용액 생성 수단은 전술한 세탁수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20)로부터 세제 용해 용기(21)에 세제 용해수를 공급하고, 교반되면서 세제 용해수와 함께 세제 용해 용기(21)에 투입된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고농도 세제 용액을 생성하여, 전술한 세탁수 주입 포트(19)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건조 고온 공기 공급 수단은 송풍기(23)에 의해 흡입 포트(22)로부터 흡입된 대기를 가열한 후 공기 분사 덕트(25)를 통해 세탁겸 탈수조(2) 내로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세탁수 주입 포트(19)는 세탁겸 탈수조(2)의 개구부의 내측의 모서리 부근의 위치를 향해 세탁수를 주입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커버(9)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 개구부(9a)는 개폐되도록 커버(26)로 덮여 있다. 외부 드럼(5)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 포트(5a)는 배수 밸브(27)를 통해 배수 호스(28)에 연결되고, 공기 트랩(5b)은 공기 튜브(29)를 통해 수위 센서(15)에 연결된다. 4개의 코너에 레그(30)를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기부(31)는 프레임 본체(1)의 바닥 단부 모서리에 부착된다.
도면 부호 32는 세탁겸 탈수조(2)에 투입되는 세탁물을 표시한다.
도2는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 구조를 보여주는 회로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16)은 중심에 마이크로컴퓨터(16a)를 위치시킴으로써 구성되며 전원 회로(16b)와; 전원 릴레이(16c)와; 구동 유닛,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 배수 솔레노이드 밸브(27), 세제 교반 모터(21a), 송풍기(23) 및 히터(24)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일군의 제어 반도체 교류 스위칭 요소(FLS)를 갖는 구동 회로(16d)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6) 내의 모터(6a)의 고정자 권선(winding)으로의 전원 제어에 있어서, 구동 회로(16d)는 역회전 제어 및 역회전 전자기 제동기를 위해 2개의 반도체 교류 스위칭 요소(FLS)(16d1, 16d2)를 포함한다. 도면 부호 16d1은 정회전 전원 제어를 위한 반도체 교류 스위칭 요소이며, 도면 부호 16d2는 역회전 전원 제어 및 역회전 전자기 제동기를 위한 반도체 교류 스위칭 요소이다. 또한, 구동 유닛(6) 내의 클러치 기구의 솔레노이드 코일(6b)로의 전원 제어에 있어서, 큰 전자기력을 발생하기에 적절한 직류 구동 전류를 유도하기 위해, 구동 회로(16)는 정류 다이오드 브리지(16d3)와, 구동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위상 제어부(FLS; 16d4)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 부호 6c는 모터(6a)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이고, 도면 부호 33은 모터(6a)의 스플릿 페이스 캐패시터(split-phase capacitor)이다.
또한, 구동 회로(16d)는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 배수 솔레노이드 밸브(27), 세제 교반 모터(21a), 송풍기(23) 및 히터(24)에 공급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FLS의 16d5 내지 16d9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16)는 마이크로컴퓨터(16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FLS의 16d1 내지 16d9의 전류 유도를 제어함으로써 부하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를 수행한다.
스위치(13)가 전원 릴레이(16c)를 폐쇄하도록 켜지면, 마이크로컴퓨터(16a)는 미리 설치된 제어 처리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6a)는 작동 패널(14)의 입력 스위치(14a) 군(group)과 수위 센서(15)와 회전 센서(6c)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포착하여 표시 소자(14b) 군과 구동 회로(16d)를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 고온 공기 건조를 각각 수행한다.
작동 패널(14)의 입력 스위치(14a) 군은 세탁물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심으로써 화학적 세정력을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들인 옷감 성질 설정 스위치; 세탁 내구성(염색 내구성) 설정 스위치, 옷감의 종류(형태, 색상, 및 패턴) 설정 스위치; 및 세탁 모드 설정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 모드 설정 스위치는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세탁물을 적시는 과정 및 세탁물 거치 과정을 없애는 세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하, 세탁물을 고농도 세제 용액에 적시고 세탁물을 담궈둠으로써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이 효율적으로 생성되는 경우의 예를 참조하여,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 고온 공기 건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제어 유닛(16)의 마이크로컴퓨터(16a)에 의해 수행되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과정의 흐름도이다.
마이크로컴퓨터(16a)는 스위치(14a) 군 중의 세탁 시작 버튼이 눌리면 다음의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301
세탁물(32)이 세탁겸 탈수조(2) 내에 투입되고 작동 패널(14)의 입력 스위치(14a) 군을 작동함으로써 초기 설정이 수행되고 세탁 시작 버튼이 눌리면,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과정의 자동 제어 처리가 개시된다.
초기 설정에서, 세탁물(32)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시고 세탁물을 젖은 상태로 두는 것에 기인한 변색을 피하는 것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특히, 옷감 성질, 세탁 내구성(염색 내구성), 옷감의 종류(형태, 색상 및 패턴), 세탁 모드 등은 필요에 따라 설정된다.
단계 302
세탁물(32)의 양의 검출 제어 처리가 수행된다. 세탁물의 양의 검출은 급수하기 전에 건조된 세탁물 상태에서 구동 유닛(6)의 모터(6a)를 짧은 시간 동안 작동시킴으로써 교반 임펠러(4)가 구동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세탁물의 양은 전원 차단 시의 타성(coasting) 회전 중에 교반 임펠러의 감속 특성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바람직한 세제 농도를 갖는 세탁수를 생성하기 위한 세탁수의 양과 분말 세제의 양은 검출된 결과(세탁물의 양)에 기초한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고, 분말 세제의 양은 표시 소자(14b) 군에 의해 표시되고 결정된 양의 분말 합성 세제는 세제 용해 용기(21) 내에 투입된다.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세탁겸 탈수조(20) 내의 세탁물(32)의 형태는 도4a에 도시된 상태로 있다.
단계 303
수도물은 세탁겸 탈수조(2)가 수도물을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2)에 살포하도록 회전되는 동안에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를 개방함으로써 세탁수 주입 포트에 직접 공급된다. 살포된 수도물을 흡수함으로써 젖은 세탁물(32)의 체적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된다. 이 때 살포된 수도물의 양은 세탁물(32)의 양이 적으면 소량으로 설정되고 세탁물(32)의 양이 늘수록 증가되도록 세탁물 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세탁물(32) 양에 따라서 제어된다. 예를 들어, 세탁물(32)의 양이 4㎏이면, 세탁물(32)에 살포되는 수도물의 양은 약 3L로 설정되지만, 세탁 과정 중에 필요한 세탁수의 양(표준 세탁수 양)은 60 L이다. 이 양은 세탁물(32)의 양의 약 80중량 %에 해당한다.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의 급수 유량이 20L/분이면, 이러한 양(3L)의 급수는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의 약 10초간의 밸브 개방 시간에 해당한다.
그런 후에, 세탁물(32)은 수도물이 세탁물 내에 충분히 침투되도록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젖은 상태로 담궈진다. 이러한 거치 시간은 세탁물(32)의 양과 살포된 수도물의 양에 따라서 제어된다. 살포된 수도물이 세탁물(32) 속으로 충분히 침투하기 위한 시간 중에, 세탁겸 탈수조(2)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지만, 침투를 가속시키기 위해, 세탁겸 탈수조(2)를 약 1분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04
수도물을 세탁물에 더욱 충분히 침투시키고 과량의 물을 배출하고, 다음 과정에서 세탁물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균일하게 적시기 위해서는, 세탁겸 탈수조(2)는 원심력에 의한 탈수를 수행하도록 고속으로 회전된다. 원심력에 의한 탈수에 의해, 잘 젖은 세탁물(32)은, 마치 세탁물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3)의 측벽에 대하여 압박된 것처럼, 펼쳐진 상태로 된다.
단계 305
바람직한 세제 농도의 세탁수를 만들기 위해서 세제 용해 용기(21)에 투입된 분말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고농도의 세제 용액을 만들도록 세탁겸 탈수조(2)가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소량의 수도물(세제 용해수)은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가 개방됨으로써 세제 용해 용기(21)에 공급된다. 생성된 고농도 세제 용액은 세탁물(32)을 적시도록 세탁수 주입 포트(19)를 통해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2)에 살포된다. 이 때의 고농도 세제 용액의 바람직한 세제 농도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2)은 마치 세탁물(32)이 세탁겸 탈수조(2)의 측벽에 대하여 압박된 것처럼 펼쳐지므로, 세탁물(32)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 주입 포트(19)로부터 주입된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균일하게 살포되어 적셔진다.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살포되고 적셔진 세탁물(32)은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방치된다. 세탁물을 젖은 상태로 방치하는 적절한 시간은 일반적으로 4 내지 7분이지만, 시간 조정 제어가 필요에 따라서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 세부적인 사항은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세탁물(32)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셔서 적셔진 상태로 방치하는 시간 중에,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은 세탁물(32)의 때에 작용하여 청결도를 증진시킨다.
여기서, 고농도 세제 용액에 의한 청결도의 증진 및 변색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세제 농도 및 신선한 물(수도물)에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만들어지는 세제 용액의 알칼리성(pH 값)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 과정에 적절한 분말 세제의 세제 제조사의 정량을 포함하는 세탁수의 표준 세제 농도를 표준값(1배)으로 정의하였을 때, 알칼리성(pH 값)은 세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표준 세제 농도의 알칼리성(pH 값)은 약 8.8이지만, 20배인 고농도 세제의 알칼리성(pH 값)은 11.8인데, 이는 표준 세제 농도보다 약 1.34배 높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의 때에 작용함으로써 화학적 세정력을 발휘하는 계면 활성제의 양은 세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한다.
도7은 분말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된 때를 제거하는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더러워진 세탁물이 기계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 수도물(신선한 물)에 적셔진 경우에 그리고 세탁물이 분말 합성 세제를 수도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세제 용액에 적셔진 각각의 경우에 침액 시간(세탁물을 적셔진 상태로 방치하는 시간)과 때 제거 정도(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여기서, 세탁물의 청결도(청결 지수)는 일본 공업 표준(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JIS)에 의해 규정된 방법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JIS에서, 세정력은 특정 표준 세탁기를 사용하여 1㎏의 세탁물에 필요한 세탁수의 양을 20L로 설정하고, JIS 세제를 사용하여 세제 농도가 0.2%가 되도록 세탁수를 급수하고, 20분간의 세탁에 의한 때 제거를 1.0으로 정의함으로써 평가된다. 0.8 이상의 세정력을 얻을 수 있다면 보통의 세탁기는 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
특성 곡선(701)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더러워진 세탁물을 세제를 넣지 않고 수도물에 적셨을 때의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며, 특성 곡선(702)은 세탁물을 젖은 상태로 방치하는 시간과 더러워진 세탁물을 20g의 분말 세제를 30L의 수도물에 용해시킴으로써(세제 농도가 1배가 되게 함) 생성되는 세제 용액에 적셨을 때의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특성 곡선(703)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더러워진 세탁물이 16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세제 용액에 적셨을 때의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특성 곡선(704)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더러워진 세탁물이 22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세제 용액에 적셨을 때의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특성 곡선(705)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더러워진 세탁물이 28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세제 용액에 적셨을 때의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들 특성 곡선들로부터, 세탁물에 부착된 때가 기계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적 세정력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에, 세탁물에 부착된 때의 제거 정도(청결도)는 세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나아짐을 알 수 있다.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청결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세탁겸 탈수조(2) 내에서 세탁물(32)을 적시도록 균일하게 살포되는 고농도 세제 용액의 바람직한 세제 농도는 약 5 내지 30배이다. 이와 같은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은 세탁물의 양 및 세탁수의 양에 따라서 설정된 분말 합성 세제의 양을 세탁수의 1/5 내지 1/30 정도의 소량의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을 4분 이상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세제의 세정력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청결도는 증진될 수 있지만, 청결도는 포화 특성을 가지며 세탁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교반 임펠러(4)를 이용한 이후의 기계적인 세탁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은 7분 이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세탁물을 적셔두는 것은 세탁물의 변색을 초래할 수 있다. 변색은 분말 합성 세제를 용해한 세제 용액 중에 포함된 계면 활성제, 형광제, 표백제 등의 효과에 기인한다. 변색 정도는 옷감 성질 및 세탁 내구성(염색 내구성)에 좌우하며, 물리적 평가 테스트(시각에 의한 평가)에 따라서, 변색은 종종 면, 헴프 및 실크와 갖은 천연 재료로 된 염색 및 패턴이 있는 옷감에서발견된다.
도8은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와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과 물리적으로 평가한 변색 정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며, 3 정도의 변색 정도는 변색이 많이 된 것으로 느끼는 정도이다. 이 예에서, 변색을 줄이기 위해서,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는 3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변색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옷감의 경우, 세제 용액의 세제 농도가 5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청결도를 증진시키는 포화 특성을 고려하여, 세탁물을 적셔두는 시간은 5 내지 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4 내지 7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변색을 피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한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에는, 변색을 일으킬 수 있는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세탁물을 적시는 것을 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는 단계(304) 및 단계(306)를 생략하고 단계(303), 단계(305) 및 단계(307)가 연속으로 수행된다.
단계 307
수도물(세탁수)은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를 개방함으로써 공급되기 시작한다. 세탁수의 공급량은 단계(302)에서 결정되는 양이다. 세탁수의 공급은 세탁물의 옷감 성질을 검출하기 위해서 중도에서 일시 정지된다. 이러한 일시 정지된 수위는 마이크로컴퓨터(17a)에 사전 설정된 옷감 성질 검출에 적절한 수위이다.
단계 308
옷감 성질은 세탁 과정(세탁 과정 및 헹굼 과정)을 결정하도록 검출된다. 옷감 성질의 검출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즉, 급수는 소정 수위에서 중지되고, 교반 임펠러(4)는 구동 유닛(6)의 모터(6a)에 단시간 동안 전압을 가함으로써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전원 차단 시의 타성 회전 중에 교반 임펠러의 제1 감속 특성이 검출된다. 그후, 급수가 재개되어 세탁수가 공급된다. 수위가 소정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는 다시 중지되고, 교반 임펠러(4)는 단시간 동안 구동 유닛(6)의 모터(6a)에 전압을 가함으로써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전원 차단 시의 타성 회전 중에 교반 임펠러의 제2 감속 특성이 검출된다. 세탁물(32)의 옷감 성질은 제1 감속 특성과 제2 감속 특성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옷감 검출 제어가 불필요하다고 초기 설정에 설정되어 있다면, 옷감 검출 제어는 생략된다. 세탁 및 헹굼 과정 중의 시간 및 세탁수 유동(기계적 요동의 세기)은 검출된 옷감 성질에 따라서 결정된다.
단계 309
수도물은 단계(302)에서 결정된 세탁수 양까지 공급된다. 고농도 세탁수 용액은 급수에 의해 세탁에 적절한 세제 농도로 희석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탁물(32)은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겸 탈수조(2)의 내부의 세탁수 내에 잠긴 상태가 된다.
단계 310
구동 유닛(6)은 단계 308에서 설정된 세탁수 유동 및 세탁 시간에 의해 세탁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이하 세탁 과정의 시간, 청결도 및 세탁물의 엉킴율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9는 세탁 시간과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세탁 과정에서, 세탁물에 부착된 때를 제거하기 위해서, 교반 임펠러(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인 힘이 세탁물(32)에 작용된다. 또한,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이 세탁물(32)의 때에 작용한다. 특성 곡선(901)은 세탁 과정이 세탁물(32)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시고 세탁물을 적셔두는 과정 없이 수행된 경우에서의 세탁 시간과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특성 곡선(902)은 세탁 과정이 세탁물(32)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시고 세탁물을 적셔두는 과정 후에 수행되는 경우에 세탁 시간과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탁 과정이 세탁물(32)을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시고 세탁물을 적셔두는 과정 후에 수행되므로, 특성 곡선(902)에 의해 도시되는 세탁 시간과 청결도 사이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작은 기계적인 힘을 사용하여 소정 시간 내에 요구되는 청결도를 얻을 수 있다.
도10은 세탁 시간과 세탁물의 엉킴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특성 곡선(1001)은 세탁 과정이 보다 작은 기계적인 힘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의 세탁 시간과 세탁물의 엉킴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특성 곡선(1002)은 세탁 과정이 보다 큰 기계적인 힘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의 세탁 시간과 세탁물의 엉킴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세탁 과정 중의 기계적인 힘은 교반 임펠러(4)의 교반력(정회전 및 역회전의 각도)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교반 임펠러(4)의 회전 각도는 큰 기계적인 힘을 발생시키도록 커지며, 그 결과, 세탁물의 엉킴율도 커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요한 청결도는 작은 기계적인 힘으로 달성되므로, 세탁 과정은 특성 곡선(1001)에 의해 도시된 세탁물의 엉킴율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10% 이하의 엉킴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단계 311
세탁수는 배수 솔레노이드 밸브(27)를 개방함으로써 세탁기 외부로 배수된다.
단계 312
사전 설정된 양의 헹굼물(수도물)은 급수 솔레노이드 밸브(20)를 개방함으로써 세탁기에 공급된다.
단계 313
헹굼 과정은 구동 유닛(6)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단계 314
헹굼물은 배수 솔레노이드 밸브(27)를 개방함으로써 세탁기 외부로 배수된다.
단계 315
세탁물(32) 내에 수용된 물은 세탁겸 탈수조(2)를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탈수되지만 배수 솔레노이드 밸브(27)는 개방된 채로 방치된다. 원심력에 의한 탈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세탁물(32)은 세탁겸 탈수조(2)의 측벽에 압박되어 부착된 상태이다.
단계 316
세탁겸 탈수조(2)는 저속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송풍기(23)는 히터(24)를 이용하여 흡입 포트(22)를 통해 흡입된 대기를 가열하고 그런 후에 공기 분사 덕트(25)를 통해 고온 공기를 세탁겸 탈수조(2) 내로 송풍하도록 작동된다. 세탁겸 탈수조(2) 내로 송풍된 고온 공기는 세탁겸 탈수조(2) 내의 세탁물(32)로부터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세탁물(32)을 건조시키며 제거된 수분을 세탁기 밖으로 배출한다. 세탁물(32)이 세탁겸 탈수조(2)의 측벽에 대하여 압박되어 부착되어 있는, 원심력에 의해 탈수된 상태로 유지되어 건조된다면, 세탁물(32)에 구김이 생기게 되는데, 그 이유는 고온 공기 건조에서는 100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세탁물(32)은 고온 공기 건조 중에 교반 임펠러(4)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하여 건조된다.
건조 중에 습한 공기(34)가 세탁겸 탈수조(2)의 측벽에 구비된 탈수 구멍(2a)과, 외부 드럼(5)과 세탁겸 탈수조(2)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동하며, 그런 후에 세탁기 외부로 배기된다.
세탁물의 엉킴율이 10% 이하이면, 고온 공기 건조가 최종 탈수의 완료 바로 후에 수행되는 경우에도 불균일한 건조 및 구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가 전자동 세탁 탈수기의 경우이지만, 건조 기능이 없는 세탁기의 경우에, 세탁기의 제어는 고온 공기 건조 기구 및 고온 공기 건조 제어 과정을 없앰으로써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세탁 및 헹굼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모드와 상이한 모드가 각각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농도를 갖는 사전에 마련된(사전에 생성된) 고농도 세제 용액이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은 세탁수 농도의 5 내지 30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세탁물을 적셔 거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공기를 세탁겸 탈수조 내에 송풍시킴으로써 세탁겸 탈수조 내의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을 세탁수의 농도의 5 내지 30배의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으로 적셔서 세제의 화학적 세정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세탁 과정 중에 세탁물에 작용하는 기계적인 힘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엉킴이 때 제거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불균일한 건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된 세탁물 양에 따라서 설정된 양의 분말 세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소정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이 생성되고, 그 결과, 바람직한 세제 농도를 갖는 고농도 세제 용액 및 세탁수 모두를 생성하는 데 분말 세제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서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에 대하여 기계력을 작용시켜 세탁수에 의한 세탁과 헹굼수에 의한 헹굼의 각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회전시켜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를 원심 탈수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여 타성 회전에 있어서의 감속 특성을 검출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겸 탈수조 내의 상기 세탁 의류에 침투시켜서 소정 시간 거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후에 급수하여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고, 타성 회전에 있어서의 감쇠 특성을 검출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 후에 급수하여 세제액을 희석한 세탁수 속에서 세탁 의류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및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최초의 급수 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2단계로 급수를 행하는 각 수위에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고 타성 회전에 있어서의 감쇠 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세제액의 세제 농도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배 내지 30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를 습윤 및 원심 탈수함으로써 세탁 의류를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측벽에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저속도 회전시키면서 고농도 세제액을 뿌려서 세탁 의류에 침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탁기에,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7.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에 고농도 세제액을 침투시킨 후에 급수하여 세탁 및 헹굼 공정을 실행하고, 그 후에 탈수 공정을 실행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의 양을 검출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공정 후에 고농도 세제액을 세탁겸 탈수조 내의 상기 세탁 의류에 침투시켜서 소정 시간 거치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공정 후에 급수하여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의 질을 검출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제3 공정 후에 급수하여 세제액을 희석한 세탁수 속에서 세탁 의류에 기계력을 작용시키는 세탁 및 헹굼 공정과 탈수 공정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최초의 급수 전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세탁수 및 세제의 양을 결정하는 공정이며, 결정된 세제량을 표시 소자에 표시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2단계로 급수를 행하는 각 수위에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회전 구동하여 타성 회전에 있어서의 감쇠 특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은 세탁 및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시간과 세탁수 유동을 결정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세제액의 세제 농도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수의 세제 농도의 5배 내지 30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의 세탁 의류를 습윤 및 원심 탈수함으로써 세탁 의류를 상기 세탁겸 탈수조의 측벽에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세탁겸 탈수조를 저속도 회전시키면서 고농도 세제액을 뿌려서 세탁 의류에 침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탁기에, 상기 세탁겸 탈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1-0077996A 2000-12-12 2001-12-11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0439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77264 2000-12-12
JP2000377264A JP2002177687A (ja) 2000-12-12 2000-12-12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44A KR20020046944A (ko) 2002-06-21
KR100439929B1 true KR100439929B1 (ko) 2004-07-12

Family

ID=1884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96A KR100439929B1 (ko) 2000-12-12 2001-12-11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177687A (ko)
KR (1) KR100439929B1 (ko)
CN (1) CN1200165C (ko)
TW (1) TW589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9845B2 (ja) * 2004-02-06 2008-01-0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JP6259995B2 (ja) * 2013-11-18 2018-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N108221271A (zh) * 2018-03-06 2018-06-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洗涤控制方法及洗衣机
CN109402945A (zh) * 2018-09-19 2019-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消毒洗涤控制方法及洗衣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77A (ja) * 1993-07-15 199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780182A (ja) * 1993-09-09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7185185A (ja) * 1993-12-28 1995-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9253383A (ja) * 1996-03-21 1997-09-30 Nagashima:Kk ウェット・クリーニング洗濯方法とそれを行う洗濯機、並びに、かかる洗濯物の乾燥機
JPH09285681A (ja) * 1996-04-25 1997-11-04 Hitachi Ltd 洗濯機及び洗濯方法
KR19980017290A (ko) * 1996-08-30 1998-06-05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방법
JP2000342887A (ja) * 1999-06-04 2000-12-1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KR20010096790A (ko) * 2000-04-14 2001-11-08 구자홍 교반식 세탁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177A (ja) * 1993-07-15 199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780182A (ja) * 1993-09-09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機
JPH07185185A (ja) * 1993-12-28 1995-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9253383A (ja) * 1996-03-21 1997-09-30 Nagashima:Kk ウェット・クリーニング洗濯方法とそれを行う洗濯機、並びに、かかる洗濯物の乾燥機
JPH09285681A (ja) * 1996-04-25 1997-11-04 Hitachi Ltd 洗濯機及び洗濯方法
KR19980017290A (ko) * 1996-08-30 1998-06-05 배순훈 세탁기의 세탁방법
JP2000342887A (ja) * 1999-06-04 2000-12-12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および洗濯方法
KR20010096790A (ko) * 2000-04-14 2001-11-08 구자홍 교반식 세탁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944A (ko) 2002-06-21
TW589426B (en) 2004-06-01
CN1200165C (zh) 2005-05-04
CN1358898A (zh) 2002-07-17
JP2002177687A (ja) 200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786B2 (ja) 洗濯乾燥機
JP2003093775A (ja) 洗濯機
KR101448624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3311653B2 (ja) ドラム式乾燥洗濯機
JP2011015714A (ja) 洗濯機
JPH10127979A (ja) ドラム式乾燥洗濯機
KR100439929B1 (ko) 세탁기 및 세탁 건조기
KR100544247B1 (ko) 세탁기
JP2003111998A (ja) 乾燥機
JP3669319B2 (ja) 衣類処理装置
JP2004358087A (ja) 洗濯機
JPH11276766A (ja) 洗濯機
JP3757819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2002282577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825280B2 (ja) 洗濯乾燥機
JP2004121883A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588807B2 (ja) 全自動洗濯機
JP3820117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2007151984A (ja) 洗濯機
JP3823835B2 (ja) 洗濯乾燥機
JP7532320B2 (ja) 洗濯機
JP2004305786A (ja) 洗濯機
JP3385772B2 (ja) 洗濯機
JP2003053090A (ja) 洗濯乾燥機
JPH09182887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