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756B1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8756B1 KR100438756B1 KR10-2001-0056469A KR20010056469A KR100438756B1 KR 100438756 B1 KR100438756 B1 KR 100438756B1 KR 20010056469 A KR20010056469 A KR 20010056469A KR 100438756 B1 KR100438756 B1 KR 1004387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panel
- building
- panel
- heat insulating
- attach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패널을 부착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에서 돌출되고 단열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며 선단에 서로 대향되게 2갈래로 이격된 탄성의 후크부가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단열부재가 끼워진 고정핀과 끼움 결합되어 단열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공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축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부의 갈라진 부분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의 상단부가 과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T'형상의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과 다른 하부패널들을 연결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개의 하부패널을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고정구를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는 보온이나 열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가 시공되고, 이러한 단열재로는 주로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과 석고보드가 사용된다.
여기서, 스티로폴과 유리면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면에 직접 시공되어 단열부재로 사용되고, 석고보드는 표면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의 시공부위에 대한 마감부재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단열재를 벽면 전반에 걸쳐 견고하게 시공한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롭고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공사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가 널리 보급되었다.
도 1은 상기한 고정구가 건축물에 시공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패널이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표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는 건축물의 벽면(W)에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패널(2)과, 상기 하부패널(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단열부재(S)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4)과,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핀(4)이 삽입되는 중공축(6a)이 돌출되고 타측면에는 마감부재(G)가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는 상부패널(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4)은 중공축(6a)에 과삽입됨을 방지하기 위해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중공축(6a)의 내경은 고정핀(4) 선단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고정구는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
먼저, 단열부재(S)가 시공될 건축물 벽면(W)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벽면(W)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면(W)을 상, 하부로 구분하기 위해 벽면(W)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설계에 따라 하부패널(2)을 부착할 위치에 격자 형상으로 먹줄(L)을 메긴다. 그리고, 접착제(B)를 사용하여 먹줄(L)이 교차되는 위치마다 하부패널(2)을 부착하고 하부패널(2)의 고정핀(4)에 단열부재(S)를 밀어 끼운다. 그리고, 단열부재(S)를 관통한 고정핀(4)에 상부패널(6)의 중공축(6a)을 끼워 단열부재(S)를 지지시킨 후, 상부패널(6)에 접착제(B)로써 마감부재(G)를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G)는 통상 900mm ×2400mm의 규격품을 사용하는 바, 최소한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마감부재(G) 전체를 균등한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될 벽면(W)의 면적 당 수직으로 3줄, 수평으로 8줄을 이루도록 먹줄이 메겨진다. 따라서,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되는 벽면(W)의 면적 당 24개의 하부패널(2)이 부착된다.(도 2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는 마감부재(G)가 부착되는 벽면(W)의 면적 당 24개의 하부패널(2)이 부착되기 때문에 24개의 먹줄을 메겨야함과 아울러 먹줄이 교차되는 지점마다 일일이 하부패널(2)을 부착시켜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자가 먹줄을 어림짐작으로 메기거나 먹줄의 교차지점에서 벗어난 위치에 하부패널(2)을 부착시키게 되어 마감부재(G)를 지지하는 고정구의 지지력이 균등하지 못한 문제점이 수반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고정핀(4)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그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중공축(6a)에 과삽입됨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고정핀(4)과 중공축(6a)이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분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고정축과 중공축이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상기한 고정핀과 중공축간의 다른 결합구조가 표현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의 선단에는 서로 대향되게 2갈래로 이격된 탄성의 후크부(8)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8)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패널(6')에는 상부패널(6')을 관통하는 중공축(6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8)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축(6a')의 내경은 상기 후크부(8) 끝단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8)와 중공축(6a')이 상호 끼움 결합되면 후크부(8)의점차 작아지는 외경에 의해 과삽입됨이 방지됨과 아울러 중공축(6a')을 관통하여 상부패널(6')에 걸림된 후크부(8)에 의해 분리됨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후크부(8)의 형상이 2갈래로 이격됨과 아울러 외경이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성형하기가 까다롭고, 상기한 형상으로 후크부(8)를 성형하기 위한 고가의 특수 금형 장치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좌측 및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성형물을 제작하는 슬라이더가 설치된 금형 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건축물의 벽면에 하부패널을 부착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핀과 중공축을 견실하게 결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핀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고정구가 건축물에 시공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부패널이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표현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고정핀과 중공축간의 다른 결합구조가 표현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가 표현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패널 및 연결부재의 일부가 표현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패널이 표현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하부패널 적층 구조가 표현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표현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패널이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표현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구가 벽면에 시공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하부패널 55 : 고정핀
56 : 후크부 60 : 상부패널
65 : 중공축 66 : 스토퍼
70, 80 : 연결부재 72, 82 : 노치
73 : 적층용 홀 G : 마감부재
S : 단열부재 W : 벽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에서 돌출되고 단열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며 선단에 서로 대향되게 2갈래로 이격된 탄성의 후크부가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단열부재가 끼워진 고정핀과 끼움 결합되어 단열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공축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축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부의 갈라진 부분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의 상단부가 과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T'형상의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과 다른 하부패널들을 연결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개의 하부패널을 벽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가 표현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부패널 및 연결부재의 일부가 표현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패널이 표현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는 하부패널(50)과, 상기 하부패널(50)과 결합되는 상부패널(60)과, 상기 하부패널(50)과 다른 하부패널(5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패널(50)은 건축물의 벽면(W)에 접착제(B)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요소인 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W)에 부착되는 접촉면에는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 형상의 구멍(51)이 형성되어 접착제(B)로써 벽면(W)에 부착될 때 접착제(B)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함과 아울러 상기 구멍(51)에 접착제(B)가 충전되어 하부패널(50)과 접착제(B)간의 기계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패널(50)은 벽면(W)에 콘크리트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패널(50)의 접촉면과 대향되는 면의 중앙에는 소정의 길이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유리면 등의 단열부재(S)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55)이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55)의 선단에는 후크부(56)가 형성되는 바, 상기 후크부(56)는 일정 탄성력을 지닐 수 있도록 2갈래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서로 대향되게 바깥쪽을 향하는 후크(5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패널(60)은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게 구멍(61)이 형성되고 하부패널(50)보다 조금 더 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일측면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핀(5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된 중공축(65)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가장자리에는 석고보드 등의 마감부재(G)를 접착제(B)를 사용하여 견실하게 부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강화용 부재(68)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축(65)은 상부패널(60)의 타측면까지 그 중공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중공축(65)의 중공부에는 단면이 'T'형상이고 수평하게 형성된 상단부가 상부패널(60)의 타측면측으로 노출되도록 스토퍼(6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중공축(65)과 고정핀(55)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정핀(55)을 중공축(65)에 삽입하되, 중공축(65)의 스토퍼(66) 중 수직하게 형성된 하단부가 고정핀(55)의 후크부(56) 갈라진 부분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후크부(56)는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중공축(65)에 진입되다가 후크부(56)의 후크(57)가 중공축(65)을 빠져나오면 스토퍼(66)의 상단부에 접촉됨과 동시에 후크부(56)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중공축(65)에 견실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스토퍼(66)의 상단부에 의해 고정핀(55)이 중공축(65)에 과삽입됨이방지되고, 후크(57)에 의해 중공축(65)으로부터 고정핀(55)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스토퍼(66)의 하단부가 후크부(56)에 끼워지기 때문에 하부패널(50)의 회동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결합강화용 부재(68)는 'T'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60)과 마감부재(G)를 견실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상 상부패널(6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마감부재(G)는 석고보드를 사용하며, 양자를 부착시키기 위해 석고용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석고용 접착제가 마감부재(G)와는 견고히 접착되나 상부패널(60)과는 견고하게 접착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마감부재(G)와 견고히 접착되는 석고용 접착제층에 'T'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강화용 부재(68)를 매몰시켜 석고용 접착제층 내에 매몰된 결합강화용 부재(68)의 상단부가 갈고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부패널(60)의 결합강화용 부재(68)와 마감부재(G)에 접착된 석고용 접착제층간에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짐으로 상호 견실하게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요부인 상기 연결부재(70)는 하부패널(50)과 다른 하부패널(50)들을 연결하여 벽면(W)에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개의 하부패널(50)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인 바, 상기 하부패널(50)과 다른 하부패널(50) 사이에 일체로 성형되고, 건축물의 벽면(W)에 부착되는 하부패널(50)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형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폭이 하부패널(50)의 폭보다 좁은 직선의 패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70)는 3개의 하부패널(50)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 하부패널(50)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4개 이상의 하부패널(50)을 연결하거나 각각의 하부패널(50)간에 절곡되게 연결되면 성형시 다소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0)에는 하부패널(50)에 형성된 구멍(51)과 같이 벽면(W)에 부착될 때 접촉 면적을 크게 함과 아울러 기계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로, 세로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 형상의 구멍(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70)의 구멍(71)은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구조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70)의 하측면에는 소정 간격마다 폭 방향으로 '∧' 형상의 노치(72)가 형성된다. 이는 벽면(W)에 창문, 도어 등이 설치되었을 때 벽면(W)의 면적이 줄어들어 연결부재(70)에 연결된 하부패널(50)을 부착하기 곤란할 때 가위 등의 절단기로 노치(72)를 따라서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70)와 하부패널(50)이 연결되는 연결부마다 하부패널(50)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토록 적층용 홀(73)이 형성된다. 이를 본 발명의 하부패널 적층 구조가 표현된 단면도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패널의 적층구조는 우선, 하부패널(50)의 우측(또는 좌측)에 형성된 적층용 홀(73)에 다른 하부패널(50)의 고정핀(55)을 삽입시킨 다음 또 다른 하부패널(50)의 좌측(또는 우측)에 형성된 적층용 홀(73)에 상기 다른 하부패널(50)의 고정핀(55)에 끼워진 하부패널(50)의 고정핀(55)에 끼운다. 다음,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하부패널(50)을 적층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부패널(50)을 교호되게 적층함으로써 보다 많은 개수의 하부패널(50)을 견실하게 적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표현된 분해사시도로서, 상기한 일실시예와 기타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하부패널과 결합되어 단열부재를 지지하는 상부패널간에도 하부패널과 같이 패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가 추가된 구성만이 상이하다.
이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다른 실시예의 연결부재에 관련된 사항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80)는 상부패널(60)과 다른 상부패널(60) 사이에 일체로 성형되고, 고형의 재질로 이루어져 하부패널(50)의 고정핀(55)이 상부패널(50)의 중공축(6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패널(60)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그 폭이 하부패널(5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70)와 동일한 직선의 패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80)는 전면에 걸쳐 마감부재(G)와의 견실한 부착을 위해 격자형상의 구멍(81)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노치(8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패널이 벽면에 부착된 상태를 표현한 구성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고정구가 벽면에 시공된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단열부재(S)를 설치할 건축물의 벽면(W)에 설치된 못, 철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벽면(W)이 평평해지도록 한다.
다음, 벽면(W)의 정리가 완료되면 벽면(W)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면(W)을 상, 하부로 구분하기 위해 벽면(W)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심선(C)에 연결부재(70)로써 연결된 하부패널(50) 중 가운데에 위치한 하부패널(50)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접착제(B)에 의해 부착한다.
이때, 연결부재(70)에 의해 연결된 하부패널(50)은 그 길이 방향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부착되고, 통상 900mm ×2400mm의 규격품이 사용되는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될 벽면(W)의 면적 내에 형성된 중심선(C) 중앙에 부착된다.
다음, 이미 부착된 하부패널(50)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른 하부패널(50)을 접착제(B)로써 부착하되, 가운데에 위치한 다른 하부패널(50)의 중심이 중심선(C)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다른 하부패널(50)은 기준이 되는 하부패널(50)과 수평을 이루도록 부착되고,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될 벽면(W)의 면적 가장자리측에 부착된다.
다음, 중심선(C)에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된 3개의 하부패널(50)을 기준으로 하여 상, 하측에 각각 3개의 또 다른 하부패널(50)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접착제(B)로써 부착하되, 기준이 되는 하부패널(5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기준이 되는 하부패널(50)의 상측에 부착되는 하부패널(50)은 하부패널(50) 중 상측에 위치한 하부패널(50)이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될 벽면(W)의 면적 가장자리측에 위치되도록 부착되고, 기준이 되는 하부패널(50)의 하측에 부착되는 하부패널(50)은 하부패널(50) 중 하측에 위치한 하부패널(50)이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될 벽면(W)의 면적 가장자리측에 위치되도록 부착된다.
즉, 상기와 같이 시공하면, 마감부재(G) 하나가 부착되는 벽면(W)의 면적 당 연결부재(70)로써 연결된 하부패널(50) 9개가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구조는 도 10을 참조하면 보다 이해가 빠를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벽면(W)에 먹줄을 일일이 메길 필요가 없고, 벽면(W)에 부착하여야 할 하부패널(50)의 개수가 감소되며, 3개의 하부패널(50)이 연결부재(70)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3개의 하부패널(50) 중 어느 하나만 수직, 수평을 맞추면 나머지도 수직, 수평이 맞추어짐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벽면에 부착된 하부패널(50)의 고정핀(55)에 단열부재(S)를 밀어 끼운 후, 단열부재(S)를 관통한 고정핀(55)에 상부패널(60)의 중공축(65)을 끼워 단열부재(S)를 지지시킨다.
이때, 고정핀(55)의 후크부(56)와 중공축(65)의 스토퍼(66)에 의해 상호간에 견실하게 결합된다.
다음, 상부패널(60)에 접착제(B)로써 마감부재(G)를 부착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부재(80)에 의해 연결된 상부패널(60)을 사용하게 되면 마감부재(G)와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어 상호간에 보다 견실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는 다수개의 하부패널이 연결부재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벽면에 하부패널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하측면에 노치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손쉽게 잘라 길이 조절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패널과 연결부재의 연결부에 적층용 홀이 형성되어 많은 개수의 하부패널을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핀에 형성된 후크부와 중공축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이 결합되기 때문에 하부패널의 고정핀이 작업자의 의도와 달리 과삽입되거나 중공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 그리고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후크부와 스토퍼는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형상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는 달리 슬라이더가 설치된 금형 장치가 불필요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 건축물의 벽면(W)에 부착되는 하부패널(50)과;상기 하부패널(50)에서 돌출되고 단열부재(S)가 끼워져 고정되며 선단에 서로 대향되게 2갈래로 이격된 탄성의 후크부(56)가 형성된 고정핀(55)과;상기 단열부재(S)가 끼워진 고정핀(55)과 끼움 결합되어 단열부재(S)를 지지할 수 있도록 중공축(65)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축(65)의 내측에는 상기 후크부(56)의 갈라진 부분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후크부(56)의 상단부가 과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T'형상의 스토퍼(66)가 형성된 상부패널(60)과;상기 하부패널(50)과 다른 하부패널(50)들을 연결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개의 하부패널(50)을 벽면(W)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70)는 하부패널(50)과 다른 하부패널(5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벽면(W)에 부착될 하부패널(50)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패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70)는 3개의 하부패널(50) 사이에 각각 일직선상으로 연결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재(70)는 하측면에 다수개의 노치(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패널(50)과 연결부재(70)의 각 연결부분에는 상기 하부패널(50)의 고정핀(55)이 끼워져 적층되며, 서로 교호될 수 있도록 적층용 홀(7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상부패널(60)은 다른 상부패널(60)들과 하측면에 다수개의 노치(82)가 형성된 패널형상의 연결부재(80)에 의해 연결되며, 3개의 상부패널(60) 사이에 각각의 연결부재(80)가 일직선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6469A KR100438756B1 (ko) | 2001-09-13 | 2001-09-13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6469A KR100438756B1 (ko) | 2001-09-13 | 2001-09-13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8213U Division KR200258316Y1 (ko) | 2001-09-13 | 2001-09-13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3315A KR20030023315A (ko) | 2003-03-19 |
KR100438756B1 true KR100438756B1 (ko) | 2004-07-09 |
Family
ID=2772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6469A KR100438756B1 (ko) | 2001-09-13 | 2001-09-13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3875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4464Y1 (ko) * | 2008-10-01 | 2011-07-06 | 송정곤 | 단열재 고정구 |
KR20140011180A (ko) * | 2012-07-18 | 2014-01-28 | 주식회사 케이씨씨 |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
KR101327534B1 (ko) * | 2013-01-24 | 2013-11-08 | (주)지오산업 | 코너브라켓 |
KR102672489B1 (ko) * | 2021-07-09 | 2024-06-05 | 최규현 | 원터치 결속형 다용도 마개 |
KR20230026974A (ko) | 2021-08-17 | 2023-02-27 | 국제상공 주식회사 | 난연성 파스너 |
-
2001
- 2001-09-13 KR KR10-2001-0056469A patent/KR1004387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3315A (ko) | 2003-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70723B2 (ja) | 連結された複数のフォーム・パネルを使用する絶縁コンクリート型枠 | |
US8468761B2 (en) | Insulated concrete form | |
CA2191914C (en) | Insulated concrete form | |
JP5559461B2 (ja) | コンクリート壁用型枠モジュール | |
US5465542A (en) | Interblocking concrete form modules | |
SK279585B6 (sk) | Stavebný prvok | |
US8028492B2 (en) | Upright support member for an insulating sheet of a wall having an internal cavity | |
US3992844A (en) | Building panel | |
US20150368915A1 (en) | Form 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the same | |
KR20110031583A (ko) | 단열재를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이중 단열 영구 거푸집 | |
KR100438756B1 (ko)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
KR200258316Y1 (ko) |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 |
CN210658733U (zh) | 一种建筑装配式预制板 | |
TW202338190A (zh) | 梳狀切削鋼板 | |
KR20200053193A (ko) |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 |
KR20080050213A (ko) | 건축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단열 거푸집 및 어셈블리 타이 | |
KR102180280B1 (ko) |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 |
KR200186899Y1 (ko) | 거푸집 | |
JP4058049B2 (ja) | 建築用型枠の緊結部材 | |
RU2204668C1 (ru) | Сбор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 |
JP3038895U (ja) | コンクリート壁成形型材 | |
KR200286054Y1 (ko) |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 |
EP1988226B1 (en) | Wall-form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 |
KR200393440Y1 (ko) | 들보를 위한 측면 및 하부 거푸집패널 연결구 | |
KR100717410B1 (ko) |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